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캠퍼스 시설의 친환경적 설계에 관한 연구 : 경원대학교 본관 계획안

        김정수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의 대학은 80년대 이후 급속한 양적성장을 이루며 부족한 대학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무계획적인 팽창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90년대 후반 들어 대학시설 확충에 있어서 제반시설과 공간에 대한 미래예측적인 계획이 강조되었으며, Master Plan 계획 시에 성장과 변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외부광장 및 운동장 지하 공간 개발 등 캠퍼스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성남시 경원대학교의 경우 새로운 정문지구는 기존 캠퍼스 공간구성체계와는 다른 공간의 중심축을 형성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캠퍼스 중심공간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기술관 부지에 정문지구와의 연계를 통한 캠퍼스 중심축을 형성하도록 본관시설을 계획하였으며, 그 기본 계획방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불리한 서향을 극복하면서 새롭게 형성되는 캠퍼스 코아와의 연계를 통하여 전체 캠퍼스에서의 중추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둘째, 기존의 도로체계를 변경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지상에 보행자를 위한 넓은 외부공간을 확보한다. 셋째, 기본적으로 캠퍼스에서 영장산으로 이어지는 녹지축을 형성하도록 계획하여 친환경 캠퍼스를 조성하고 기능적, 공간적, 시지각적인 연계를 통하여 대학본관으로서 가지는 상징성을 부여한다. 넷째, 대상지의 입지적 이점을 활용하여 BIPV시스템, 이중외피(Double Skin), 옥상녹화 등과 같은 친환경 기술요소를 도입하여 에너지 저감형 시설을 계획한다. 대지의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캠퍼스 시설의 특성과 연계하여, 본관건물의 특성상 효율성, 쾌적성, 상징성 등을 고려하여 기존의 불합리한 배치를 환경에너지 활용의 최대화를 통해 보완하고, 본관건물 이전에 따른 현 기술관 부지의 활용방안을 친환경적 접근에 의한 분석을 통하여 그 대안을 검토/제시하고자 한다. The university in this country has achieved rapid quantitative growth since 1980s and unplanned expansion has been showed to expand and improve sufficient college facilities. However, in the latter half of 1990s, future-predicting plans about all of the infrastructure and space were stressed in expanding college facilities, and possibilities to grow and convert them has begun to be considered in projecting the master plan. Accordingly, cases have increased to use campus space effectively including the existing outside squares and playgrounds and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In case of Kyungwon University in Seong Nam city, the new front gate area formed the central axis of other space than space composition systems of the existing campus, and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central space of the campu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lanned the main building so that it can form the central axis of the campus in the site of the present technology building through connection with the area of the front gate, and its basic planning direc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entral space is formed in the entire campus in close association with the campus core to be constructed newly overcoming the existing west exposure which is disadvantageous. Second, accessibility is enhanced mending the existing the system of the roads, and wide outside space is secured for pedestrians on the ground. Third, basically, the environment-friendly campus is constructed by planning to form the green track of land connected from the campus to Mt. Young Jang and symbolic meaning is given as the main building of college through functional, spatial and visual connections. Fourth, using spatial advantage of the target area, environment-friendly technical elements are introduced including BIPV system, double skin) and outdoor tree-planting on the roof to plan facilities for energy reduction. The characteristics of campus facilities are linked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earth, an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main building, efficiency, comfortableness, and symbolic meaning etc are considered and the existing disadvantageous arrangement is complemented by maximizing use of green and clean energy, and alternatives are to be examined and proposed by analyzing methods to use the site of the present technology building by environment-friendly approach as they move the main building of the university to another building.

      • 일부 경기도 지역 대학교 급식소의 음식과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 만족도 조사

        임지영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부 경기도 지역 대학교 급식소의 이용실태 및 음식과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고객 만족도 조사를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 급식소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불만사항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나은 급식소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음식과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통해 주 고객인 대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급식소의 음식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다인서브(DINESERVE)와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문항들을 바탕으로 개발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각 질문 항목에 대해 학생들의 기대 정도를 측정하는 중요도(Importance)와 실제 급식소에서 제공받는 음식과 서비스 수준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인지 정도를 측정하는 수행도(Perception)의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각 항목에서 조사된 중요도와 수행도의 갭(Gap)으로 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 갭(Gap)이 작을수록 만족도가 큰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 중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서비스 품질의 5가지 차원인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확신성, 공감성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경기도에 위치한 K대학교 남·여 재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2009년 11월 23일부터 12월 10일 까지 학기 중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주당 평균 3.12 회 정도 급식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내 급식소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생들이 교내 급식소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시간 절약을 위한 것이고, 급식소의 메뉴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음식의 맛이며, 가장 개선되기를 바라는 점은 메뉴의 다양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소의 음식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모든 평가 차원에 있어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식에 대한 불만이 서비스에 대한 불만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음식의 경우 음식의 맛과 메뉴의 다양성에 대한 평가가, 그리고 서비스의 경우 대응성과 유형성 차원에서의 평가가 중요도와 수행도의 갭(Gap)이 크게 나타나 특히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성의 경우 품절메뉴에 대한 대처, 실수나 불만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수정에 대한 불만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성의 경우 식당 내부의 청결함, 주방의 청결함이 특히 학생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급식소의 음식과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남·여 학생간과 학년별 차이는 유의미하게 크지 않아, 대학교 급식소에 대한 낮은 만족도 수준은 성별이나 학년별 구분 없이 학생들 모두가 공감하는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교내에 위치하여 편리하고 저렴한 급식소를 이용하고자 하는 대학생들의 욕구와 수요는 상당하나. 급식소들의 음식 및 서비스 측면에서의 실제 수행 수준은 학생들의 기대 수준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갭(Gap)을 극복할 수 있는 보다 시스템적 접근 방식을 갖춘 대학 급식소의 체제 마련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급식소의 음식 및 서비스에 대한 정기적인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불만사항을 파악하고, 이의 원인인 급식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대학생들의 교내 급식소의 음식과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 향상은 물론 더 나아가 교육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ustomer satisfaction of meal and service qualities in university foodservice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mainly based on the DINESERV model. To evaluate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it was assessed the difference between customers' judgements on importance and customers' perceptions with actual meal and service qualities delivered by university foodservic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university students, and a total of 240 students were collected with a usable response rate of 80%.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a SPSS program; descriptive analyse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the mean frequency of students' visiting university foodservices was 3.12 per week. The mean frequency of male students(3.64) was larg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2.59). The main reason was time-saving why students chose university foodservices from other alternatives. The priority was given to the criterion of food tastes when students ordered a menu in university foodservices. The primary factor that students wanted to improve in foodservices was the diversity of menus. 2) overall,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eal and service qualities of university foodservices. The gaps between the importance mean scores and the perception mean scores were 1.35 for meals and 0.974 for services, which showed that students were more unsatisfied with the qualities of meals in foodservices. For the qualities of services, students were particularly unsatisfied with the dimensions of responsiveness and tangibles in foodservices.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stomer satisfactions by gender and by grade of university students. It proved that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eal and service qualities of university foodservices in gener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university should implement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improve current problems in university foodservices.

      • 한국과 미국 회계학 교육의 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

        조선혜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회계학교육의 변화와 개선과정을 고찰하고, 양국 주요 대학의 최근 교과과정 운영현황을 비교·분석하여 회계학 교육의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에서 이루어진 회계학 교육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한 그 동안의 변화 과정을 고찰한다. 둘째, 미국의 각 회계전문단체와 대학에서 그 동안 제시하고 있는 회계학 교육모형을 고찰한다. 셋째, 한국과 미국의 주요 대학에 대한 회계학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회계학 교육의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검토하였으며, 미국 워싱턴주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의 연구교수들의 도움을 얻어 현지의 인터뷰나 현지답사자료에 의하여 미국 대학의 회계학 교육자료의 입수하였다. 또한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미국과 한국 주요 대학의 회계학 교육 관련 규정의 입수 등의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입수된 자료를 통하여 미국과 한국 대학의 회계학 교육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회계학 전공자나 수강자의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회계학교육의 위기로 인식된 바 있다. 그러나 2002년의 회계부정사건을 계기로 회계학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회계전문가나 회계전공자의 수요가 증대되면서 회계학 전공자의 고용과 대우면에 있어서 최고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경우는 1990년대의 학부제 도입 이후 회계학교육의 위기를 맞이하였으나 1997년말 IMF 외환위기 이후 회계학 교육의 중요성 인식 및 공인회계사제도의 개선으로 회계전공자의 수도 증가하고 회계전문직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었다. 둘째, 미국회계학회 및 미국공인회계사회 등의 회계전문단체에서 회계학 교육개선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에 따라 미국회계학회의 회계학교육개선위원회가 활동하여 연구보고서를 제출하여 회계학 교육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공인회계사회는 회계학전공자와 회계학수강자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계기를 가져온 150학점을 제안하여 회계학교육의 개선과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이 학부과정 이후에 대학원 석사과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하고 심도있는 회계학 교육과정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석사과정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한국의 경우에도 1990년대 후반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회계학 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된 바 있으며, 특히 2002년도에 한국회계학회가 회계학교육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특별연구서를 발간하여 회계학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셋째, 많은 대학들이 커뮤니케이션능력을 강조하여 교양이나 기초과정에서 중요시하고 있으며, 미국회계학회의 회계학 교육개선위원회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국 대학의 경우 학부과정에서 교양과목이 전체 졸업학점의 50%에 이르고 있는 실태이다. 그러나 한국 대학의 경우 학부과정에서 교양과목에 대한 학점은 30%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원 과정을 통하여 회계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있어서도 전공과 관련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의 배양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박사과정에서는 수리통계학이나 경제학, 재무론 등 기초과목 및 관련 학문에 대한 이수를 강조하고 있으며, 연구방법론의 터득에 많은 학점이수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연구역량을 갖추어 단독 연구자로 자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한국 대학의 경우 학과교수진의 다양성 부족 및 학제간 연구의 미흡으로 대학원 과정에서 기초적인 연구방법론 분야와 인접학문에 대한 소양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한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중심대학의 경우 교수진의 다양한 구성이 필요하고 교육중심의 대학의 경우에는 학제간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미국 회계학 교육의 현황과 실태가 우리나라 회계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최근 대학 이수학점의 축소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교양과정의 학점이 축소되고 있는 바, 커뮤니케이션능력의 향상이나 대인관계능력의 배양을 위하여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무분별한 축소는 지양되어야 한다. 둘째, 공인회계사제도를 개선하여 대학의 회계학 교육과 연계시키는 방안이 강조되어야 한다. 최근 공인회계사시험제도의 개정이 대학의 회계학 교육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나, 미국의 경우와 같이 공인회계사시험에 응시요건으로서 회계관련 학점이수를 크게 강화하여 대학원 교육과도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프로그램을 공인회계사의 직무교육과 연계하여 재구성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셋째,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기초학문 및 인접학문의 이수가 강화되어야 한다. 특히 수리통계분야와 연구방법론, 재무론과 경제학분야의 개설이 필요하다. 또한 기초과목이나 관련 과목에 대하여 학점이수로 충분하나 전공과목에 대하여는 이수 후 실시되는 필기시험을 강화하여 일정 수준의 유지가 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학위논문에 대하여 심사위원회가 일찍 구성되어 심도있는 토론과 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제기되는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를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즉, 미국 회계학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인터넷을 통한 교과과정의 검토, 미국 일부 지역의 회계학 교수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나 실태 파악만으로 미국 회계학 교육의 실태를 모두 파악할 수 있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 또한 한국의 경우에도 일부 대학만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미국의 다양한 지역의 대학으로 대상을 보다 확대하고 세밀한 분야까지 조사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실험이나 면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미국 회계학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을 파악하 (이후원문누락)

      • 한국과 중국의 회계교육에 대한 비교 연구

        김청옥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중대학 회계교육에 대한 발전의 흐름을 분석, 비교하여 한중회계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제까지 한·중회계교육의 주된 흐름이 어디에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국내외의 대학의 웹사이트, 게재된 논문을 검토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회계교육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우선 과제일 것이다. 중국의 정부와 대학에서 회계교육의 목표를 수립할 때 회계교육발전의 전략원칙과 발전방향을 고려하는 동시에 시장의 수요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대학에서는 시장의 수요에 맞는 특색 있고 풍부한 전문지식을 습득한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대학은 교양교육과정에 대하여 커뮤니케이션능력의 향상이나 대인관계능력의 배양이 강조되고 있어서 교양과목에 대한 충실화를 위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중국대학은 좀 지나친 교양과목의 설치로 불필요한 교양과목의 설치를 취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셋째, 수강과목에 대하여 한국대학은 약간의 통제와 제한이 필요할 것이다. 다방면의 지식의 습득도 좋지만 체계적으로 지식을 쌓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중국대학은 학생들이 다방면의 지식을 배울 수 있도록 규정된 과목을 줄이고 선택과목을 늘이는 방법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넷째, 회계실무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 회계실무를 강화하기 위하여 회계실무를 담당할 실무 계 인사를 겸임교수 등으로 초빙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중국대학은 적극적으로 회계교육이 발전된 나라의 교재를 연구하여, 사회와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강의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중대학 모두 일방적(단일)교육에서 쌍방향교육으로 변화를 시키고 “사례+토론”중심의 교육방법을 채택하여 기존의 이론중심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회계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사례 제시 및 풀이 수업과 토론, 발표 및 프로젝트 식 강의 등을 도입하고 활발하게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결론을 해석하여야 할 것이며 다음과 같은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본 논문은 기재 된 논문과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다소 객관화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객관화시킬 수 있는 연구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한중대학 회계교육의 비교에 있어 한국대학과 중국대학의 특히 회계교육과정에 관한 비교대상을 일부대학만으로 선정하였고 또한 본인지식의 한계로 인하여 결론이 다소 미흡한 점이 많기 때문에 향후에는 더 많은 대학을 선정하여 통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주요 어: 한국, 중국, 회계교육, 회계교육과정 The aim of this study is that a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Korea and China development history to find out the Korea and China accounting education problems and to give advice on improvement. The study also can master the main flow in Korea and China accounting education and know the weak point in education. In order to reach the study purpose, collect the Korea and China web documentation and website information from univerdity, and reading reference study about it. The results and improvem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iority No. 1 for accounting education innovation is setting the goal of new accounting education. Whenever build up the goal of education, Chinese government and university should be consider strategy principle and development direction, but also consider market needs. Especially in university, main task is to grow up the students who have abundance knowledge and meet market needs. Secondly,For the Cultural Education in Korea University, it focus on the improvement 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ability, so, it should need to improvement on cultural education substantiality. In case of Chinese University, its too much focus on cultural education, so it will effective if delete some classes. Thirdly, Korean Universities need to control and limit the courses. It’s better to systemize to gain the knowledge than wide knowledge. In other way, Chinese Universities need to add optional course, reduce the regular courses, in order that, students can get wide knowledge. Fourthly,For the Cultural Education in Korea University, it focus on the improvement 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ability, so, it should need to improvement on cultural education substantiality. In case of Chinese University, its too much focus on cultural education, so it will effective if delete some classes. Fifthly, Korean Universities need to control and limit the courses. It’s better to systemize to gain the knowledge than wide knowledge. In other way, Chinese Universities need to add optional course, reduce the regular courses, in order that, students can get wide knowledge. This study has limitations, so it should be consider the limitations and providing ideas for further conclusion and give the study directions. Firstly, the thesis is mainly based on history thesis and documentation, so it is not completely objectivity. In future, it should be need developed model with objectivity Secondly, the study for comparison on Korea and China accounting education, the limitation is selecting special university and my own knowledge. So, it needs to update after selecting much more university analysis.

      • 학부모와 대학생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 연구

        이정림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구성 요소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추출된 요인들을 요인분석한 후에, 현재 유치원에 자녀를 보냄으로써 유치원 교사와 직?간접적인 경험을 갖고 있는 학부모와, 유치원 교사에 대한 객관적인 입장을 갖고 있으며 미래에 직업을 선택할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으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차이를 조사하는데 있다.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공 ?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유아의 학부모 250명과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 비전공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도구는 류칠선(1998)이 개발하여 제시한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척도와 유치원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조사 설문지(김효선, 2000) 등과 이론적 배경, 문헌고찰을 토대로 수정 및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1. 자녀를 보내고 있는 기관유형이나 학력에 따라 학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위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2. 성별에 따라 대학생이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위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구성 개념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1. 자녀를 보내고 있는 기관유형이나 학력에 따라 학부모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 구성요인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2. 성별에 따라 대학생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 구성요인에는 차이가 있는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첫째, 주요 집단별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위상에 대하여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구성개념을 탐색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공통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공통요인분석(CFA : Common Factor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공통변량의 초기치는 중다상관자승(SMC : Square Multiple Correlation)으로 하고 요인추출은 주성분 추출법(principal components)을 사용하였으며, 요인의 회전은 직교회전방식(varimax)을 사용하였다. 셋째, 주요 집단별에 따라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for Windows 1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위상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교직 관련 직업 중 사회적 지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직업에는 학부모와 대학생 모두 중?고등학교 교사, 초등학교 교사 순으로 꼽았고,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두 집단 모두 직?간접적인 경험을 꼽았고, 자녀의 직업으로 유치원 교사를 선택할 의향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선택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 이미지의 측정변수들은 총 6개의 요인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인성적 자질, 업무 태도적 자질, 직업적 위상, 전문가적 자질, 개인적 자질, 전문 직업의식으로 명명하였으며,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6개 요인들은 유치원 교사 이미지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소로 분류되는데 유치원 교사의 역할 요소는 업무 태도적 자질이, 자질 요소는 인성적 자질, 개인적 자질이, 전문성 요소는 전문가적 자질이, 직업적 위상의 요소는 직업적 위상, 전문 직업의식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 이미지 요인에 대한 태도와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모든 이미지에서 학부모가 대학생 대비 긍정적으로 평가한 가운데, 학부모의 경우에는 전문 직업의식을, 대학생의 경우에는 전문가적 자질에 대한 이미지를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공립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가 사립기관에 보내는 학부모 대비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미지 평가를 긍정적으로 하였고 대학생의 경우 전문가적 자질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 대비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구성요소가 파악되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연구도구가 제안되었으며,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는 대상자와 직?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가장 크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과 일상생활에서 유치원 교사가 올바른 이미지 형성을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특정 집단에 좋은 이미지가 축적되면 그 집단만의 독특한 고유자산이 되는 것을 고려할 때 미래에 직업을 선택할 대학생에게 유치원 교사에 대한 올바른 직업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도 강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figure out components of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is previously to analyze constructed factors that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differ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image as an job between the parents who hav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by sending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and college students who have objective standpoint and have to choose a job in the future. 250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250 4-year-university students whose major is no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surveyed. The instruments of this research is consisted of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based on valuation scale of preschool teachers that developed and offered by Chilseon Ryu(1998),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the social perceptions of images that preschool teachers have(hyoseon Kim,2000),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To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1-1. What is parent's perceptions of the professional status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stitutions to send their children o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 Research 1-2. What is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rofessional status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Gender? Research 2. What is the constructs for an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Research 3-1. Do parents have any difference for image constructs of factor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stitutions to send their children o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 Research 3-2. Do University students have any difference for image constructs of factor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Gender? As a way to resolve these issues First, Cross-sectional analysis was held in order to find out perceptional difference for the professional status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 main groups, Chi-square verification was held in order to figure ou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navigate the construct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image. Use CFA (CFA: Common Factor Analysis) to extract a common factor, SMC (SMC: Square Multiple Correlation) as the initial numerical value of common values, principal component to extract the ingredient of sampling method, And use, varimax for the rotation of factors. Third, Mean analysis was held in order to find out difference in attitude for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 main groups, t-verification and F-verification was held in order to figure ou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the analysis of SPSS for Windows 13.0. In the study, according to research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onjunction with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status , both the parents and university students judge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have higher social status of the teaching-related jobs, Both groups took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mong the factors that have a great effect on a kindergarten teachers' image. About the groups' intention to select a job of their children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portion of both groups who were not inclined to select kindergarten teacher as a job of their children were slightly higher. Second, a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a measurement variable of a kindergarten teachers' image is classified under six heads which named human nature-quality, work attitude-quality, professional status, professional quality, personal quality, and professionalism. This 6 factors are categorized in four elements that make up the image of preschool teachers. It was showed that role elements of preschool teachers include work attitude-quality, quality elements include human nature-quality and personal quality, expertise elements include professional quality, professional status elements include professional status and professionalism. Third, Being related to attitude toward the image factor of teachers in kindergarten, while parents place higher value on generally whole images than university students, parents set highest value on professionalism and university students set highest value on professional quality.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public institutions place higher value on image of teachers in kindergarten than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private and male students place higher value on whole factors of image except professional quality than female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elements about factors that constructs image of teachers in kindergarten are grasped which means research tool that evaluate it objectively is offered and the fact that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is formed by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with recipient. Therefor further research about what effort is need to form upright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field of the primary school and everyday lif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accumulation of fine image in a particular group become a unique asset of that group, steps should be taken to form fine professional image of teachers in kindergarten to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choose a job in the future.

      • 일부 경기지역 대학생의 라면 섭취 실태와 라면 구매시 영양표시 활용도 조사

        최윤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라면은 폭넓은 연령층에서 선호하고 섭취빈도가 높은 가공식품 중의 하나이다. 오늘날 국내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은 무려 80개로 세계 제 1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라면의 소비는 날로 늘고 있지만, 라면의 건강과 영양상의 문제에 있어서는 늘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라면을 비롯한 가공식품의 올바른 구매 의사 결정을 돕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정청은 식품등의 표시 기준을 고시하고 각 식품회사가 이에 의거한 영양표시내용을 해당 가공식품의 겉면에 표시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영양표시내용을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고, 영양표시내용에 대한 이해도도 낮아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내용의 확인 없이 선호도 위주로 식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영양표시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및 이해도 제고를 통한 영양표시내용의 올바른 활용을 장려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나 대학생이라는 소비자층은 비교적 자유로운 생활패턴을 보이므로 식사대용이나 간식으로, 그리고 저렴한 가격에 어디서나 부담없이 라면을 사먹기 쉬운 반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식생활 지도나 영양교육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대학생은 인생주기에서 20세를 기점으로 성인기로 전화하는 시기에 속해 있어, 이 시기의 식행동은 다음 단계인 성인기에 습관화될 식생활 태도를 가장 잘 반영하고, 성인기와 노인기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부 경기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라면의 섭취실태와 라면 구매시 영양표시에 대한 활용도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면의 섭취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 일주일에 1~3회에 섭취한다는 의견이 전체의 75.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주 섭취 장소로는 집에서 먹는다가 57.5%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다. 라면을 먹는 시간대로는 점심이 52.1%를 차지했으며, 봉지 라면을 즐겨 먹는 것(72.4%)으로 나타났다. 라면을 섭취하는 주된 이유로는 먹기 간편해서라는 응답이 56.0%로 과반수이상으로 나타났고, 라면 구입 시 중요한 선택 기준은 맛이 좋은 것이 92.2%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영양이 풍부하다는 답변은 0.8%에 그쳤다. 둘째, 라면 구입 시 영양표시내용의 활용도에 대한 조사 결과, 라면 구입 시 영양표시내용을 확인하지 않는다(57.7%)가 확인한다(42.3%)보다 높게 나타나, 대학생들이 라면 구매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라면 구입 시 영양표시내용을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관심없다는 응답이 37.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너무 작거나 조잡해 읽기 불편하다는 응답이 31.4%로, 영양표시 활용의 필요성이 재강조되고 표시상의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영양표시내용을 확인 할 경우, 가장 먼저 확인하는 사항은 열량(79.8%)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나트륨,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 순으로 나타나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영양성분들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였다. 라면의 영양표시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질문에서 보통이다(42.3%)와 잘 알고 있다(33.0%)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라면의 영양표시내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약 87%로 대부분을 차지해, 대학생들이 영양표시내용을 이해하고 있고 그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 라면 구매시 판단을 위한 기준으로써 활용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라면의 영양표시가 소비자에게 주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신의 건강에 필요한 식품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 선택 시 타제품과 쉽게 비교할 수 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을 갖고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은 간편하고 맛이 좋다는 이유로 주 1-3회 정도 라면을 섭취하는 경향을 보였고, 영양표시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는 있으나, 실제 라면 구매시 영양표시내용을 참고하기보다는 라면의 관능적인 맛을 기준으로 구매의사결정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모든 라면의 영양표시의 필요성에는 대부분 공감하는 것으로 보였고, 라면의 영양표시가 소비자에게 주는 영향도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영양표시내용을 이해한 결과가 식품 내에서의 현명한 선택, 더 나아가서는 라면이란 식품 자체의 구매 여부를 판단하고, 올바른 식생활을 위한 의사결정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즉, 이러한 영양교육을 통해서 대학생들에게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내용 확인의 중요성은 물론, 영양표시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인식된 영양표시내용을 활용하여 올바른 식품 구매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이라는 시기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바른 식습관이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생활 특성상 그 사이에 형성된 식습관의 틀이 저해되기 쉬운 시기이며, 이것이 곧 이후 성인기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오늘날 대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은 관련학과 이외의 학생들에게는 체계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채널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전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ramen intake conditions and the utilization of nutrition labeling by university students in Kyungi-do provence. Ramen is a highly popular throughout all age groups due to its convenience and low price. However, ramen has continuously brought about controversial issues in relation to its effects on health. Particularly, university students are likely to be seduced into excess ramen consumption since they tend to be excluded from any official or unofficial diet educations. Also, it is questioned to what extent university students utilize nutrition labeling in order to choose and purchase foods to cater their needs; especially those with controversial issues on health like ramen. For the study,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24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a SPSS program; descriptive analyse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below: 1) University students are likely to have ramen 1-3 times per week(75.9%). The primary reason for ramen intake was its convenience in eating(56.0%), and the critical criterion in selecting ramen was taste(92.2%). 2) University students are less likely to refer to nutrition labeling when selecting to purchase ramen. The main reason why they did not refer to the labeling was that students were not interested in it(37.9%) and the labeling was difficult to read(31.4%). 3) Universit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able to comprehend nutrition labeling to some extents, and they checked out calorie(79.8%) first then, sodium, saturated fat and trans fat. 4) University students high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nutrition labeling(87%), and the positive impacts of the labeling on customers. In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although university students agree on the necessity of nutrition labeling and its positive impacts on customers, they are less likely to utilize the labeling when selecting to purchase ramen, and they decide based solely on tastes of ramen. Therefore, it should be spotlighted that a systematic diet education be offered on campus for all university students. The diet education would help university students to utilize the information from nutrition labeling in making a right decision on foods; especially those with controversial issues on health as in the case of ramen.

      • 헤어일러스트레이션의 美容敎育 改善에 관한 硏究

        권옥주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hair illustration is the most creative and artistic field in creating which has the function of information delivery, art, and record. In general, the purpose of illustration is to suggest or symbolize the desirable contents to deliver with visual image, the hair illustration which is a part of illustration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for various purposes of the use, and particularly i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idea development process or independent art genre. Korean universities related to the hair dressing placed stress on acquiring standardized uniform knowledge and technique of hair dressing that aim to nurture special veteran hairdresser in the past, but now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air dressing as the hair dressing art with the improved curriculum, not as hair dressing technique, and to put stress on nurturing special hair dresser through the deepened course for each subject by satisfying the flow of the times that demands creativity, originality, and specialty. In particular, it is demanded to improve the objective of illustration education to foster active and creative special hair dressing artist that is required by future society. Additionally, it is urgent to research and develop special curriculum for the basic art knowledge and the illustration to make the better environment for hair illustration education in 21st century. Nevertheless, now there are only a few previous studies or books on illustration related to hair dressing, and also there are a small number of illustration instructors or authors who have special knowledge of hair dressing. Accordingly, educator teaching hair illustration in school or the educational world need to recognize that the systematic and creative education will be an important base for the competitiveness of hair dressing industry, and to grope for the epoch-making pla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illustration open by selecting 51 2-year-course colleges and 16 4-year-course colleges from more than 200 hair dressing-related colleg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in particular, investigating the hair field which is the most creative in hair dressing-related subjects, and suggested the plan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goal of university to nurture fundamental hair dressing artist to improve some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the necessity of illustration education, shortage of time and subject to cultivate artistic sense, shortage of basic education for art, insufficiency of minute instruction owing to too many students in a class, lack of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so on. Additionally,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Hair Design Process wit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hair and illustration, and suggested the plan for improving systematic long-term curriculum ranging from basic art to deepened education, the schedule for hair illustration education, and the design thinking method which should be trained in priority. The plan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hair illustration is classified into basic course and deepened course as follows: 1) basic course : basic fine art - phrenology - basic education for make-up․ hair dressing - chromatology - thinking and expression - illustration education 2) deepened course : design methodology - application design methodology - presentation․production of portfolio Also the hair illustration suggested the plan for improving curriculum of basic and deepened course respectively for 2-year-course and 4-year-course college. The hair illustration design methodology was proposed as follows: Design methodology : data research and collection - analysis and synthesis - establishment of concept - data research and collection - analysis and item selection - idea sketch - decision of final plan - illustration Now it is the time to innovatively improve and complement the educational goal and curriculum of university to nurture hair dressing artists who have artistic sense and creativity, and help them get the knowledge as the specialist in hair dressing with education centered on theory and practice. In the education of hair illustration, the deepened course is demanded rather than short-term simple course to establish hard base for basic major, and on the side of educational contents, it is necessary to educationally emphasize the purpose, function, and necessity of original and creative hair design and illustration, and to put stress on the systematic and logical artistic sublimation process.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study will be implemented to recognize the ultimate goal, importance and necessity of hair illustration in nurturing special hair dressing artist, and to change and specialize the recognition of basic major and deepened course. 헤어일러스트레이션의 궁극적인 기능은 정보전달의 기능, 예술적 기능, 기록의 기능을 가진 창조적이고 예술적 가치가 있는 창작의 한 분야이다. 일반적인 개념에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들을 암시 또는 상징화하여 시각적 이미지표현으로 내용을 전달하는데 목적이 있듯이 헤어일러스트레이션은 그 중의 한 분야로 미용과 관련된 영역에서 쓰이는 목적에 따라 활용 영역도 다양하게 활용이 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아이디어의 전개과정이나 독립된 예술장르에서 널리 쓰여지고 있다. 우리나라 미용관련 대학의 경우 전문 중견 미용인을 양성한다는 교육목표 아래 정형화되고 획일적인 미용지식과 기술의 습득에만 중점을 두었던 과거의 교과과정을 개선하여 이제는 미용이 미용기술이 아닌 미용예술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조성과 독창성 그리고 전문인을 요하는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보다 전공별 심화과정을 통한 전문 미용인 육성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특히 미래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을 위해서는 지금의 획일적인 대학의 교육과정을 사회가 요구하는 보다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전문 미용예술인을 육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21세기의 헤어일러스트레이션 교육환경을 위하여 미술기초 지식교육과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용관련 일러스트레이션의 선행 연구나 관련서적이 부족하고 전문적인 미용지식을 가진 일러스트 강사진이나 작가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체계성을 갖춘 교육과 이를 통한 창의성을 갖춘 전문 미용인을 육성하는 것이야말로 미용업계의 경쟁력을 키우는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는 것을 헤어 일러스트레이션을 가르치는 교육일선의 교육자나 교육계는 인식하여 획기적인 방안으로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 미용관련 2년제, 4년제 대학의 메이크업, 헤어, 피부전공 중에서 창작적인 예술행위가 많이 이루어지는 헤어 분야에 있어서 전국 200여개 미용관련 전문대학 중 51개 전문대학과 16개의 4년제 대학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목 개설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헤어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의 문제점으로 나타난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의 필요성의 결여, 예술적 감각 배양을 위한 시간과 교과목 부족, 미술 기초교육의 부족, 많은 학생 수로 인한 세밀한 지도교육 미흡, 체계적 교육내용 부족 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근본적인 미용예술인 양성을 위한 대학의 교육목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헤어와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헤어디자인 프로세스(Hair Design Process)의 전개과정을 정립하였으며 기초미술에서 심화교육까지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교육과정 개선안과 헤어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시간 편성안, 교육내용 중에서는 중점적으로 훈련되어져야 할 디자인 발상법을 제시하였다. 헤어일러스트레이션 교육과정 개선안으로는 크게 기초교육과정과 심화교육과정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1) 기초교육과정 : 기초미술 - 인체골상학 - 메이크업․헤어 기초교육 - 색채학 - 발상과 표현 - 일러스트레이션교육 2) 심화교육과정 : 디자인 방법론 - 응용디자인 방법론 - 프리젠테이션․포트폴리오 제작 또한 헤어일러스트레이션 교과목 편성 개선안에서는 교과과정개선안을 미용관련 2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로 구분하여 기초과정, 심화과정에 관한 편성안을 제시하였다. 헤어 일러스트레이션 교육내용 제안으로는 헤어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 방법론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디자인 방법론 : 자료조사 및 수집 - 분석 및 종합 - 컨셉(concept) 설정 - 자료조사 및 수집 - 분석 및 아이템선정 - 아이디어 스케치 - 최종안 결정 - 일러스트레이션 예술적 감각과 창의성 있는 미용예술인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과 이론과 실무중심의 교육으로 전문가다운 전문 미용예술인의 소양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의 혁신적인 개선과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때이다. 헤어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에 있어서는 단기간의 단순한 교육보다는 기초 전공의 견실한 바탕을 다지기 위한 교육과정의 심화과정이 요구되며 교육의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미용예술을 행하는 헤어아티스트로서의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헤어 디자인과 일러스트레이션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필요성에 대해서 교육적 강조가 필요하며,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예술적 승화과정에 역점을 두어 교육내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대학의 궁극적인 교육 목표와 시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전문 미용예술인을 육성하는데 헤어일러스트레이션 교과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기초전공교과목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특성화, 심화교육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음악과 임용고사 출제경향의 분석을 통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과정 개선방안 연구 : 2000년-2007년도 국악이론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황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는 어느 국악인의 평소 말씀처럼 음악과의 7차 교육과정은 국악의 소중함을 깨닫고, 음악문화 창달을 위해 국악교육을 그 목표 중 하나로 삼고 개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처음 치러진 2000년도부터 2007년도까지의 중등 음악과 임용고사의 출제문항 중 국악이론영역의 분석을 통해서 출제 경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이를 통해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과정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임용고사의 출제문항 분석은 국악을 예로 든 교과교육학 문항과 국악이론의 교과내용학 문항을 내용 및 내용별 요소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고,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과정은 각 대학의 홈페이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실시된 중등 음악과 임용고사의 출제문항을 연도별, 내용별로 분석하여 세부 분포와 내용의 균형유지 상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대학 음악교육과 교과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임용고사 출제문항 분석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을 예로 든 교과 교육영역의 평균 배점율을 분석해 본 바, 그 문항의 배점율이 근래에 와서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음악과 임용고사 전공필기시험을 100%로 보았을 때, 교과교육영역의 8년간의 평균 배점율은 29%이다. 29% 중 국악을 예로 든 교과 교육영역의 평균 배점율이 4.9%로, 8년간의 평균은 높지 않지만, 2006년에 8.8%, 2007년에 13.1%로 최근에 와서 국악을 예로 든 교과교육영역의 비중이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과내용영역을 국악이론영역과 서양음악이론영역으로 나누어 그 평균 배점율을 분석한 결과 국악이론의 배점율이 서양 음악이론의 배점율보다 0.3% 많았다. 음악과 임용고사 전공필기시험을 100%로 보았을 때, 2000년부터 국악이론영역의 평균 배점율은 36.7%, 35%, 37.1%, 32.9%, 30.0%, 38.8%, 36.9%, 36.9%로 평균 배점율이 35.5%이고, 33.3%, 35%, 37.1%, 38.6%, 41.1%, 33.8%, 28.1%, 35%의 평균 배점율을 나타낸 서양이론은 평균 35.2%의 평균 배점율을 보여 주었다. 셋째, 악전, 형식, 장단, 악기, 악곡, 국악사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지어 지는 국악이론 문항의 배점은 음악과 임용고사 전공필기시험을 100%로, 그 중 국악이론영역의 배점율을 총 35.5%로 보았을 때, 악전, 형식, 장단, 악기, 악곡, 국악사의 각각의 평균 배점율이 7.8%, 0.5%, 6.4%, 3.1%, 13.5%, 4.4%를 나타냈다. 이상으로 악곡이 13.5%로 가장 높은 배점율을 가지고, 형식 문항의 배점이 0.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고, 년도별 문항 출제를 살펴보았을 때, 장단, 악곡, 국악사는 8년간 매 해 출제 되었지만, 악전, 형식, 악기는 간헐적으로 출제되었으며, 특히 형식 문항은 2003년도 단 한해에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항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수집·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과정은 서양음악영역:국악이론영역의 비중도가 58.3 : 9.1로 중등교원양성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으로서 중등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었고, 임용시험의 출제 흐름에도 동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에 중등학교 7차 교육과정의 내용과, 중등 임용고사 출제 경향을 반영하여 국악영역의 수업을 좀 더 다양하게 하고 그 전체 이수학점을 늘리는 등의 개선으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좀 더 실용적인 교육과정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둘째, 9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영역 비중도에 대한 표준편차는 전공실기 및 부전공실기, 서양음악, 국악, 음악교육 및 지도법 순으로 각각 2.7, 2.3, 3.14, 2.1이며, 국악이 4가지 영역 중 각 학교간의 표준편차가 가장 컸다. 이는 아직 국악영역에 대한 대학 음악교육과의 영역별 체계가 잡혀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각 대학별로 영역별 기본 이수학점에 대한 체계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대학 간의 정보교류 등으로 전체 음악교육과의 기본이수과목에 대한 틀이 갖춰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선을 통하여 국악과 서양악의 독특한 느낌을 심도있게 발전·계승시켜 나갈 수 있는 교원의 양성이 이루어지고,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입지가 굳게 다져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