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해경 조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839

        The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Welfare Practicum on Career Choice With decreased job opportunities for college (and/or university) graduates due to the worst economic crisis in recent years, there have showed the phenomenon of so called 'job searching reckless of wage levels and career plans,' resulting in many graduates' application for positions of social workers and/or counselors with lower wage levels. They select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inking that even if they have not an aptitude for the area, things just would go well over time once they are started. College students selecting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lay their purpose on first being employed as soon as possible and second acquiring professional skills. College students with the first purpose sometimes change their major after finishing the first semester in the first academic year or give up their study. They leave in order to search another path after just wasting time in thinking of their real aptitude. Practical training in actual working sites is a requisite subject for college students and the first step toward becoming a social worker for them. They can graduate after complete practical training courses and where and how the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have an important role in career selection. Practical training provides an opportunity to form one's own values, and improve and display specialty, and is even more important in terms of processes through which one can grow as a social worker. Practical training in actual working sites is a process through which one apply knowledge, theories, and values acquired from the university to the actual sites, and provide a chance to determine whether one has an aptitude for the work and select the right career direction. When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ry to identify career directions clearly, determining their specialty among many areas of such as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health care through subjects they learned and practical training they participated in, will help them in choosing career directions.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examining whether practical training in actual working sites would help college (and/or university) students to becom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s a gateway to society and finding out the effects of practical training on career selection. And also the purpose is laid on providing basic material possibly helping college students who will engage in practical training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First, the hypothesis that of factors of the social welfare department, satisfaction with regular lessons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election was rejected. That is, it was reveled that of factors of the social welfare department, satisfaction with regular lessons does not affect career selection. Second, the hypothesis that of factors of the social welfare department, the desire of facilities and/or institutes to have connections with the depar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election was rejected. That is, it was reveled that the degrees to which facilities and/or institutes desire to have connections with the social welfare department have no effect on career selection among the students. Third, the hypothesis that of factors of practical training, satisfaction with practical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election was adopted. That is, in practical training in social work one can lay equal emphasis on theory and practice, and skills acquired even only practical training in social work can be applied to actual working sites of social welfare, and also during the training students can make decisions by themselves, resulting in such that everything related to career selection do not become vague and unclear, so the students can select one special area among various areas of social welfare. Fourth, the hypothesis that of factors of practical training, displaying ones abilities during the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election was adopted. That is, the students can display their own abilities and skills during the training sufficiently, have opportunities to acquire the value of social welfare, faith, and a sense of ethical duty, and are able to make decisions by themselves during the training, faithfully engaging in training schedules and tasks, resulting in such that everything related to career selection do not become vague and unclear, so the students can select one special area among various areas of social welfare. In addition, i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troduces curricula in the department to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interest in it, and make regular visits to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s in order to create opportunities to cooperate, students who enter the department can become easy to adapt to the department and have opportunities to make right career selection without much trouble. In practical training also, there were more female students rather than male ones, and the training was provided in social welfare centers and facilities related to the elderly. In fact, social welfare centers and facilities require more male workers, Of course, there are lots of matters that female workers must take care of, while because social work also require physical strength, men's help is needed. In order for men to have interest in social work, wage levels should be increased to maintain standard of living.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요즘 매체마다 ‘묻지마 취업’이란 말을 하며 최악의 경제위기와 함께 대학(원)생들의 취업의 문을 닫아 버리고 있고 있어, 임금이 적은 사회복지사나 상담사 쪽으로 지원을 많이 하고 있다고 한다. 적성에 맞지 않으면서도 우선 시작해보면 해결이 되겠지 하는 생각에 사회복지학과를 선택 한다. 사회복지학과를 선택하는 대학(원)생은 첫째, 취업을 빨리 하기 위해서 둘째,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어서 오게 된다. 첫 번째 이유로 사회복지학과에 들어온 대학(원)생은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다른 과로 전과하거나 포기하는 일도 생겨난다. 그것은 적성에 맞지 않아 고민하다 시간낭비만 하고 다른 길을 찾아 떠나는 것이다. 현장실습이 대학(원)생에겐 꼭 필요한 필수과목이면서 사회복지사의 첫 걸음이기도 한다. 현장실습을 받아야 졸업을 할 수 있고, 어디서 어떻게 받았느냐에 따라 진로 선택 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장실습은 자신의 가치관, 전문성을 훈련시키고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기회이며, 사회복지사로 성장할 수 있는 과정이기에 더욱 중요하다. 현장실습은 대학에서 배운 지식과 이론 및 가치를 현장에 투입되어 적용을 시켜보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지 확인하고 진로방향을 정하는 것이다. 사회복지 전공자들은 뚜렷한 진로를 선택하기 위해선 자신들이 배운 과목과 현장실습을 통해서 아동, 노인, 장애인, 보건 등을 확실히 정하는 것도 진로방향을 잡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원)생이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관문으로 실천적 학문을 실습현장을 통해 전문가로서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지는 알아보고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대학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실습에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봄으로써 사회복지학과의 교육과정과 실습을 할 대학(원)생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지에 목적이 있다. 첫째, 사회복지학과 요인의 교과수업 만족도는 진로 선택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검증한 결과 기각되었다. 즉, 사회복지학과 요인의 교과수업만족도는 진로선택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학과 요인의 시설, 기관 등의 연계를 원하는 정도는 진로 선택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한 결과 기각되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학과 요인의 시설, 기관 등이 연계를 원하는 정도는 진로선택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에 관한 요인의 실습의 만족도는 진로 선택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한 결과 채택되었다. 즉, 사회복지 실습을 위해서 이론과 실천을 똑같이 강조하고, 사회복지실습만으로도 사회복지실무에 활용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 실습을 하는 동안 스스로 판단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 진로선택에 관한 모든 것이 너무 모호하고 불확실해지지 않고,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복지 중에서 한 가지를 결정 할 수 있는 진로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실습에 관한 요인의 실습발휘 정도는 진로 선택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한 결과 채택되었다. 즉, 실습기간동안 자신의 능력과 기술을 충분히 발휘 하였고, 사회복지의 가치, 신념, 윤리적 사명감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실습기관에서 제시하는 실습일정, 과제를 성실히 수행하도록 하면 사회복지 실습을 하는 동안 스스로 판단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 진로선택에 관한 모든 것이 너무 모호하고 불확실해지지 않고,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복지 중에서 한 가지를 결정 할 수 있는 진로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학과는 고등학교와 연계를 시켜 사회복지학과에 관심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커리큘럼을 보여주고 시설 ․ 기관 등의 연결이 되어 있는 곳에 방문하고, 정기적으로 같이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게 학과에 들어와서 적응도 빠르고, 졸업 후 진로선택에 대한 고민을 덜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는 것이다. 실습에 있어서도,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남자들보다 여자가 많고 노인관련 복지관 및 시설에서 실습을 많이 하였다. 사실, 노인관련 복지관 및 시설은 남자들의 힘을 더 많이 필요로 한다. 물론 여자들이 해야 할 부분도 많지만, 복지 또한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남자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남자들이 사회복지에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해선 봉급에 있어서도 생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 주어야 남자들이 복지 일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 학생들의 노인보건 및 복지서비스 연계에 관한 태도 연구

        김보미 호남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건·복지 연계태도에 개인적 특성과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위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두 집단의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두 집단의 노인보건과 노인복지서비스 연계에 대한 인식수준 및 태도 어떠한가 셋째, 개인적 특성과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가 보건·복지 연계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대상은 노인복지학과 노인 간호학이 전공 선택 과목으로 개설, 운영되고 있는 광주지역 H대학교와 C대학의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 학생들이며, 자료 조사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에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지식정도가 간호학과 학생들의 지식정도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노인보건과 노인복지서비스의 연계에 대한 인식수준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연계필요성에 관한 응답분포에서는 응답자의 80% 이상이 연계가 필요하다는데 긍정하였으며, 연계저해요인에서는 자원의 부족, 전문직간 상이한 서비스 방침으로 인한 문제점, 업무의 과중, 잦은 인사이동, 역할의 불명확성 등을 연계의 저해요인으로 꼽고 있었다. 셋째, 개인적 특성과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가 보건·복지 연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대했던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는 두 집단간 차이가 있었지만 보건복지 연계태도에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적 특성에서 노인과의 동거경험 유무와 노인관련 자원봉사활동 유무가 보건복지 연계태도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의 노인보건 및 복지서비스의 연계를 위해서는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의 사회복지학과 및 간호학과에서 보건·복지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보건·복지 연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확대 실시되어야 한다. 현장에서 서비스를 실천해 나가는 실무자들의 교육을 통해 보건·복지 전문직간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수가 학생들에게도 확대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보건·복지 서비스 연계를 위한 제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서비스 간 조정을 통한 보건과 복지의 지속적인 협력관계의 유지를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결국, 노인보건과 복지서비스 전문직의 협력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이 제공받는 서비스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게 하고, 자원의 한계나 서비스의 중복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노인들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사회복지실천 상에 가장 중요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o effect the knowledge degree to the old toward the connection attitude of health welfare and to searc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nd Social Welfare. Then, I set up thre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knowledge degree of two groups toward the old? Second, what is their recognition level and attitudes of two groups toward the old's welfare service? And, third, how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degree to the old effect toward their connection attitude of the health welfa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d Nursing in H University and C University in Kwangju area, where they learn the science of nursing for the old as their major selective subjects. I used a question research as its research method. I received 210 responses in total, and, among them, used 201 responses as the final data except 9 responses which are not suitable for this study.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I analyzed their knowledge degree toward the old of two groups, in case of the student in the Dept. of Social Welfare, they show their right response rate of 79 percent in physical area, 59 percent in psychological area, and 62 percent in social area.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students in the Dept. of Nursing, they show their right response rate of 78 percent in physical area, 52 percent in psychological area, and 49 percent in social area. Then, the knowledge degree of the students in the Dept. of Social Welfare shows higher than that in the Dept. of Nursing. And, among the lower areas, it is appeared as a slight meaning statistically, expecially it is appeared as p <.01 level in the psychological area and as p <.001 level in the social area. Second, as a result I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the connection between the old's welfare service and the old's health, over 80 percent of the respondents agree that the connection is necessary and they point out that their obstruction factors are the lack of resources, the problems due to the different service policy between the experts, the overload of duty, the frequent personnel change, and the obscurity of their roles. That is, it seems to be a reflected result by the expectation toward the connection possibility with an anxiety for the problems totally. Third, as a result I analyzed the influence affected to the connection attitude of the health welfare by the knowledge degree toward the old and their characteristics, it show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ir knowledge degree toward the old, but the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ir connection attitudes to the health welfare. But, i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whether they stayed with the old or not and whether they volunteered related with the old or not is a meaningful factor to their connection attitude of the health welfare. Regarding on whether they stayed with the old or not, among the lower areas to the connection attitude of health welfare, it is appeared a slight meaning statistically in that the connection necessity is a p <.05 level, the connection obstruction factor is a p <.01 level, and the connection attitude is a p <.001 level. For the connection of welfare service and the old's health by the students in the dept. of Nursing and Social Welfare, I can recognize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Departments' students is necessary and I want to sugg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education on health welfare in the Dept. of Nursing and Social Welfare should be strengthened. The courses such as the old's welfare and nursing science for the old presently, which are attended as a selective course,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university curriculum in the Dept. of Nursing and Social Welfare. And our concerns and participations to the experts on the old's welfare should also be enhanced.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onnection on health welfare should be enlarged and executed. Throughout the training for the experts in charge of, who execute the welfare service on the spot, a various programs for enhancing the recognition levels of the experts on the health welfare area should be enlarged and executed even for the students. And their recognition level and the understanding degree relating with the health welfare on the spot should be enhanced by participating not only in their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with their majors performed by the Dept. of Nursing or Social Welfare but also in other majors performed by other Departments. Third, an institutional maintenance for the connection of the health welfare service is also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continual cooperation relation toward health and welfare through the adjustment between the services, the lawful and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epared and the continual maintenance is also necessary. Finally, the cooperation between the experts on the health for the old and the welfare service makes their services the old are received effective and successful in the society of the old and has a role to solve the problems due to the limitation of resources or the overlapping of services. And because they receive the services, fitted for their various and complex needs, I expect that the client-oriented servic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one in the practice of the social welfare, will be more enhanced.

      •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최한숙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9807

        복지 선진국 판단의 잣대 중 하나는 생애주기별로 질적으로 풍부한 복지 혜택을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복지서비스를 국민들에게 제 공하는 전문인력이 바로 사회복지사들이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추고 복지서비스를 사회복지 현장에 전달하는 중요한 매 개자이며, 사회복지 전문가로서의 철저한 직업소명 의식과 직업윤리 의식도 필수적으로 필요한 덕목 중 하나이다. 사회복지사들은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기업들에 비해 투여 되는 감정노동을 직업적인 소명으로 간주하고 사회복지사 개인적인 문제로 판단하여 실제 투입되는 노동의 형태로 인정받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국내외 사회복지사 관련 연구들의 경우 대체적으로 동기부여, 인식, 자 기효능감, 조직몰입, 임파워먼트, 이직의도, 직무만족, 직무분석 등을 주제로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사회복지사의 감정, 전문직의 정체성 등 정서적인 측 면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마음챙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성찰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23년 10월 초 사회복지사 56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데이터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V29.0, AMOS 26.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부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표면행위 차이를 성별, 연령, 종교, 결혼, 사회복지사 근무 경력, 보유자격증, 근무 형태, 계약 형태, 현재 직위, 담당 업무로 파악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내면행위의 차이를 보인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 연령, 종교, 학력, 결혼, 사회복지사 근무경력, 보유자격증, 근무형태, 기관과 운영 주체, 기관복지 유형, 월평균 급여, 계약 형태, 현재 직위, 담당 업무, CP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의 실증 분석을 시행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성별, 연령, 종교, 학력, 결혼, 사회복지사 근무 경력, 보유 자격증, 근무 형태, 기 관과 운영주체, 기관 복지유형, 월평균 급여, 계약 형태, 담당 업무, CP로 나타나대부분의인구사회학적특성에서유의미한 수준안에서차이가있었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석에서는 감정노동, 감성지능, 전문직 정체성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각 주요 변인 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게 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종교, 학력, 결혼, 사회복지사 근무 경력, 보유 자격증, 근무 형태, 기관과 운영 주체, 월평균 급여, 계약 형태, 현재직위, 담당 업무, CP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감정노동의 표면행위, 내면행위는 전문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중 표면행위는 부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며 내면행위는 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감성지능은 전문직 정체성에 유의미한 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들의 감성지능이 높아짐에 따라 전문직 정 체성이 높아짐을 의미하는 결과로 확인 되었다. 넷째, 표면행위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표면행위는 전문직 정체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으며 마음챙김은 전문직 정체성에 정적(+)인 영향력을 주었다. 다시 말해 사회복지사들의 표면행위가 높아지면 전문직 정체성은 감소하게 되며 반대로 마음챙김이 높아지면 전문직 정체성은 증가한다는 것으로 파 악되었다. 마음챙김이 낮은 집단에서 높은 집단으로 갈수록 마음챙김이 감 성지능의 간접효과에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의 표면행위가 감성지능과 전문직 정체성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 지사들의 감정노동자로서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실증적인 연구결과로 나타 났다. 또한, 내면행위는 감성지능에 정적 영향력을 도출하였다. 이는 사회 복지사의 내면행위가 증가하면 감성지능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감성지능은 전문직 정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 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들의 감성지능 요인이 증가하면 전문직 정체성은 고양된다는 것으로 이해되는 결과이다. 일곱째, 감성지능 표면행위, 내면행위의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도출하였으며 이중 내면행위가 높은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감정 노동을 많이 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전문직 정체성을 고양하기 위해 감성지능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감정노동, 감성지능,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각 변수의 구 조적 관계 연구를 통해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직접적 으로 미치는 영향과 감정노동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 복지사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 복지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당사자들에게 올바른 양식으로 변화시키는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본 연구의 공헌 및 의의로 제시할 수 있다. * 핵심주제어: 사회복지사, 감정 노동, 감성 지능, 전문직 정체성, 마음챙김

      •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년여성의 자기결정성 요인과 정서적 안정감,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정재갑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9807

        의료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인간의 평균 수명 연장은 우리 사회의 많은 부분을 바꾸어 놓았다. 결혼 평균 연령이 높아졌으며, 혼인의 비율이 줄고,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저 출산 및 자녀수의 감소는 전통적인 가정의 형태에 변화를 초래했으며, 여성의 사회진출로 사회적 역할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특히 중년기 여성의 생활 패턴이 크게 바뀌게 되고, 중년기의 여성은 신체적·정신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중년여성이 겪는 대인관계에서 오는 갈등과 스트레스는 우울감 등을 유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신체 및 정신적인 부분을 치유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년여성의 자기결성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과 사회적 지지, 정서적 안정감, 행복감의 인과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독립변수인 인간의 본연적인 내재적 동기를 강조한 자기결정성의 중요한 3가지 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종속변수인 정서적 안정감,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내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9월 23일부터 9월 30일까지 일주일간 실행하였고, S, G, J 소재의 사회복지관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총 550부를 배포하여 534부를 회수하였으며, 4부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530부를 이용하여 실증 검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결정성 요인이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결정성 요인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사회적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 요인이 정서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결정성 요인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정서적 안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성 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결정성 요인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여성의 자기결정성 요인과 정서적 안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1, 2, 3단계에서 설명력은 각각 47.3%, 36.8%, 39.8%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Sobel Test 결과,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Z=5.072, P<.001). 다섯째, 중년여성의 자기결정성 요인과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1, 2, 3단계에서 설명력은 각각 47.3%, 43.0%, 46.2%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Sobel Test 결과,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Z=5.532, P<.001). 본 연구의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을 위한 신체적, 심리적 건강 상담을 할 수 있는 기관을 늘리고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재원을 투입하여야 한다. 둘째, 중년기는 인생의 제2 모작으로 인생에 필요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일을 하면서 느끼는 행복감을 맛볼 수 있도록 중년기 여성들의 일할 수 있는 사회복지 차원의 좋은 일자리 프로그램서비스 창출을 제언한다.

      • 원불교 해외교화의 종교사회복지적 접근

        이운주 원광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91

        해외교화는 1935년(원기20년) 6월 20일, 박대완 교무를 일본 오사카지부에 정식 파견하여 그 해 7월 7일에 첫 예회를 보기 시작한 때로 본다면 올해 들어 73년를 맞이하고 있다. 원불교 역사 93년과 비교하여 볼 때 해외교화에 일찍 관심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원불교가 목적하는 일원세계를 지향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해외교화에 대한 빠른 관심과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상황을 점검해보면 많은 문제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이를 테면 교당의 경제적 어려움, 교도연령의 노령화, 현지인 교화 및 2세교화의 역량부족, 교당간의 지리적인 한계와 교구차원의 구심력의 부족 등이다. 이 때문에 해외교화에 대한 교단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재정적인 어려움과 해외 교역자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해외교화에 대한 새로운 방향설정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여기에 있다. 많은 종교학자들은 효율적인 종교전파의 수단으로 문화에 대한 상대론적 시각(cultural relativism)을 지적한다. 이는 타문화를 자신의 문화와 대등한 입장에서 사회적 맥락과 그 민족의 생활사(life history)를 이해하려는 것으로, 타문화를 함부로 평가・비판해서는 안 된다는 문화인식방법이다. 이를 통해 현지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거기에 적합한 전파방식을 모색할 때만이 종교가 가지는 인류애 가치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많은 종교사회복지 연구가들은 종교의 해외전파 방식으로 사회복지의 유용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제3세계 지역의 농민층과 빈곤층에 대한 종교전파는 맹목적인 교리전달보다 사회복지적 접근을 통해 사회통합을 이루고,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교리에 친화력이 생기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정체 상태에 있는 원불교의 해외교화방식으로서 사회복지적 접근의 유용성과 활용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자료수집은 각 교단의 종교전파에 관한 연구논문과, 종교사회복지와 관련된 연구논문을 기초로 하여 중국 옌볜교당 삼동유치원, 캄보디아 바탐방 교당, 러시아 모스크바 교당의 사례를 통하여 원불교 종교사회복지의 특성과 개선점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례에서 다루고 있는 삼동유치원, 바탐방, 모스크바 교당은 모두 사회복지적 접근을 통하여 종교전파를 하고 있다. 이러한 복지적 접근을 통하여 종교전파에 도움여부를 단기적으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종교전파의 사회복지적 유용성을 주장하는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민족간의 문화적 이해의 폭을 넓히고 또한 순수한 목적에서 그들의 어려움을 돕는 과정을 거치다 보면 장기적 효과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3곳의 사례를 분석하여 보면 모두 공통적으로 사회개발적 접근방법과 문화적 접근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개발적 접근방법은 지역주민들의 욕구를 파악하여 그들의 어려움을 종교적 교리에 바탕하여 도움을 주는 것이다. 주로 교육의 혜택을 주거나(장학금 전달), 어려운 이웃에게 도움을 주거나(생필품전달), 지역사회의 어려움을 해결(도로공사, 공동우물 공사 등) 해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도움을 통하여 지역사회에 원불교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복지에 도움을 주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문화적 접근방법으로 전통무용, 사물놀이, 전통혼례식, 태권도시범 한글교육, 예절교육 음식 등 한국문화를 통하여 문화교류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현지인들에게 한국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역할 뿐 아니라 현지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의 장을 마련하여 한국의 종교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 위의 세 곳의 사례가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소는 첫째, 각 나라마다 처해진 특수성을 잘 고려한 점, 둘째, 교화와 복지의 선을 확실하게 구분한 점, 셋째, 한국의 문화를 전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종교가 자신의 교리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장은 사회이다. 일종의 사회제도로서의 종교기관은 지역사회에서의 사회복지적 역할은 매우 중요한 종교의 사회적 기능으로 인식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실제로 초창기 이루어진 방언공사와 저축조합, 한글공부방, 귀환전재동포구호소 등은 그 시대의 지역주민들의 문제점을 잘 파악하여 대처하였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현대까지 내려오면서 원불교의 사회복지사업들은 새로운 이웃과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며 교화사업을 간접적으로 촉진함으로써 교단의 발전에 상당히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교단의 흐름은 해외교화라고 하여 별개로 치부되지는 않았다. 특히 교단의 3대 목표 중 하나를 자선으로 규정하였기에 해외교화 또한 교화, 교육, 자선이 함께 병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각 나라의 특성과 외국어와 병행한 복지사들의 부족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종교사회복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다 질 좋은 프로그램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인력의 양성이다. 원불교의 사회복지 사상과 철학을 준거로 하여 활동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를 배출하지 않는다면 원불교복지의 주체성을 확립할 수 없다. 다행히 현재 국내의 경우에는 원광대학교와 영산선학대에 사회복지학과를 개설하여 많은 젊은 교역자들이 복수전공을 하고 있기에 전문인력이 수급되고 있으나 해외의 경우에는 복지사자격증뿐만 아니라 현지 외국어와 해외교화를 희망하는 자의 세 가지 조건을 다 구비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기에 전문인력이 턱 없이 부족한 상황에 있다. 이를 위하여 미주동서부교구는 미주선학대학교에 사회복지학과 개설로 전문인력을 충당하고 제3국의 경우에는 학부시절부터 해외교화를 희망하는 자를 선별하여 현지 교당과 긴밀한 유대관계 속에 전문인력으로 양성될 수 있기를 희망하여 본다. 그리하여 종교인으로써 순결성과 양심성을 기초로 행정기관과의 관계 개선, 시설운영상의 합리적 및 효율적 방안 모색, 시설 재정확보와 운영상의 선진적 방법 개발 등에 모범을 보이며, 또한 프로그램면에 있어서도 종교적 견지에서의 인간에 대한 심오한 이해방식을 되살려 좀 더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개발에 대한 모범을 보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원불교복지 서비스 방법을 개발하는 일이다. 다양한 사회복지 영역에서 원불교복지가 제공할 수 있는 독특한 서비스 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원불교복지 서비스의 개발은 결국 축적된 전문인력의 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정신복지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데 원불교의 심리학과 원불교상담학을 발전시켜 원불교 정신복지서비스 방업을 개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시민들에게 안심입명과 삶의 의미를 갖도록 해주는 것이 종교의 의무이면서 시민들의 바람이기 때문이다. 셋째, 다양한 후원 및 자원봉사 단체를 조직하는 일이다. 선진국 국민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은 20%수준에 이르는데 반해서 한국은 4% 수준에 불과하여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미국 기독교인의 경우 70%이상이 적어도 1주일에 1시간이상 교회 밖에서의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도 신앙을 바탕으로 이웃사랑을 실천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와 결단을 가진 각종 재능의 소유자가 종교계에는 상당히 많다고 할 수 있다. 사회봉사를 실천하려는 의지는 있으나 그 구체적인 실천방법이나 기술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사회봉사 세미나나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종교사회복지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이들 자원봉사를 관리하고 필요한 사람에게 연결시켜줄 수 있는 체계도 갖추어야 한다.

      • 정신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정준수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91

        The receptive attitude of local community toward mental diseases and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re crucial environmental variables on which the successful prevention, early discovery and early treatment of mental diseases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rehabilitation hinge. Such an attitude can be defined as behavior that is learned through cultural environments from childhood, and that is under the influence of multiple factors such as local traditional culture, values, social class, occupation, personality traits, personal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patients o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etween social welfare majors and other students according to volunteering experience, experience of taking mental health courses and field work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health on the assumption that an attitude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social distance is learned through society and could be variable. It's basically meant to seek down-to-earth ways of minimizing social distance between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55 students at six colleges that were selected from among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city of Daejeon. There were departments related to social welfare in the selected universitie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54 respondents were analyzed. A SPSS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multiple-response analysis, t-test, F-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gaps i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etween the social welfare majors and nonmajors by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religion, club membership, volunteering, the terms of volunteer work and experience of taking volunteering courses. It implied that being more expos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y taking related courses or doing volunteer work could be of great use for taking a positive attitude or building values that could narrow social distance. Second, concerning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etween the social welfare majors and nonmajors, the social welfare majors scored higher than the nonmajors. It indicated that the former felt less social distance than the latter. Third, t-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intergroup gaps in social distance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majors' volunteering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health, experience of taking mental health courses and relevant field work experienc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experience of taking relevant courses and field work experience, and only volunteering experience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t=4.428, p<.001). Fourt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intergroup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social will, knowledge, emotion and contact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majors' volunteering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health, experience of taking relevant courses and the number of relevant field work experience. As a result, just contact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ose who were more expos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cored higher. Fif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mary variables on social distance. And social distanc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ed by religion, age, experience of taking volunteering courses, volunteer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conversation with the disabled, and unpleasan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dist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experience of conversation with the disabled had the largest impact on that, followed by unpleasan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age, experience of taking mental health courses, religion, experience of taking volunteering courses and volunteer work experience.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bridge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First, students should be urged to do more volunteer work to have more chances to be expos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narrow their social distance from them. To make it happe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hould map out systematic publicity plans and reinforce their cooperation with volunteer clubs to encourage students to do volunteer work on a long-term basis. Second, more courses related to mental health should be offered to social welfare majors, and general education courses of mental health should be offered to other students as well. To boost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ourses, practical education and field instruction should b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ird, the departments of social welfare should keep track of relevant local facilities and acquire accurate information to expand the scope of mental health field work practice geared toward social welfare majors. Loc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hould publicize themselves to attract trainees and provide them with more opportunities to make a face-to- face contact with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narrow their social distance. Fourth, massmedia should use discretion in carrying reports about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try to provide precise information on mental diseases and those people and to publicize related local events.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적 태도는 정신질환의 예방과 조기발견, 조기치료 및 재활을 좌우하는 중요한 환경적 변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태도는 어릴 때부터 접해온 문화적 환경 내에서 학습된 행동으로 볼 수 있는데, 그 지역사회의 전통 문화와 가치관, 사회계층이나 직업, 개인의 성격특성, 정신질환자에 관련된 개인적인 경험, 교육수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은 사회로부터 학습을 통해 습득된 것이며 변화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사회복지 전공생과 타 전공생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관련 경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 수강, 정신보건 관련 실습 경험에 따른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에 사회적 거리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 중 사회복지 관련학과가 개설된 6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5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다중응답 분석, t검증과 F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전공생과 타 전공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살펴보면, 분석 결과 성별, 종교, 동아리 가입유무, 자원봉사 활동유무, 자원봉사 기간,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적인 교과목의 수강경험과 자원봉사 경험을 통한 정신장애인과의 접촉이 많을수록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인 태도나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 전공생과 타 전공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복지 전공집단의 평균이 타 전공집단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 전공집단이 타 전공집단 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정신보건관련 자원봉사 경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 수강 경험, 정신보건 영역 실습 경험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교과목 수강과 실습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자원봉사 경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428, p<.001). 넷째, 사회복지 전공생 중 정신보건 관련 자원봉사 경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 수강 경험, 정신보건 영역 실습 경험 수에 따라 사회적 거리감, 사회적 의지, 지식, 정서, 접촉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접촉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경험수가 많을수록 평균이 높았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 및 주요변인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종교, 연령,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자원봉사 여부, 장애인과의 대화정도는 사회적 거리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인에 대한 불쾌한 경험은 사회적 거리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각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과의 대화정도가 사회적 거리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 장애인에 대한 불쾌한 경험, 연령, 정신보건 교과목 수강, 종교,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자원봉사 여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원봉사 활동 활성화를 통한 정신장애인과의 직접적 접촉 경험 기회를 늘려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신장애인 관련 시설에서는 체계적 홍보방안의 마련과 자원봉사 활동 동아리와 연계⋅협력을 강화하여 자원봉사가 안정적, 장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의 확대와 타 전공생을 위한 교양과목의 개설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습을 병행한 현장위주의 교육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정신보건 영역 현장실습의 확대를 위하여 사회복지학과에서는 지역사회 내 관련시설에 대한 체계적 현황 파악과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며, 정신보건 관련 시설은 실습생의 적극적 유치를 위한 기관의 홍보와 실습생과 정신장애인과의 직접적 대면접촉 기회 제공을 통한 사회적 거리감의 감소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대중매체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주 정보제공원으로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내용의 보도에 신중을 기하고,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정보의 제공과 지역사회 내 정신장애 관련행사의 홍보에도 적극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3개 대학 사회복지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김수영 원광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91

        대학에서 가장 이상적인 전공 선택 과정은 학생들이 다양한 학문분야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갖고,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부합되는 전공을 자율적으로 선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한국의 현실은 입학생들이 자신이 선택할 전공에 대한 구체 적인 지식도 갖추지 못하고, 자신의 입학시험 성적과 고등학교 내신 성적에 맞추어 인생의 가장 중요한 선택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그러므로 본인에게 맞 는 전공을 선택하고 명확한 진로 계획을 세우는 것은 청년기의 개인에게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전북지역(전북대, 전주대, 원광대)에 재학 중인 사회 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 선택 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조사 분 석을 통해, 그 요인들이 졸업 후 진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가장 큰 동기는 적성에 맞을 것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사회복지 전공에 대해 만족하냐는 질문에 과반수이상이 만족하고 있다고 답했다. 학교 졸업 후 진로방향을 살펴보면 기관 및 시설 취업이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시험 준비 ,일반 공무원시험 준비 ,아직 결정 못함, 학업 연장, 전공과 관련 없는 취업,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과반 수 이상이 졸업 후 전공을 살린 취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관 및 시설 취업의 경우 1학년에 비해 2, 3, 4학년으로 갈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 만족도를 보면 학교생활에 만족할수록 기관 및 시설에 취업하고자 하는 비 율이 높았으며 학교생활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일반 공무원시험 준비를 하겠다는 응답 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생활의 만족도가 높은 학생이 전공을 살려 현장에서 일 하고자 하며, 만족도가 낮은 학생은 전공과 상관없이 일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여 안 정된 직업을 갖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선택 동기를 보면 적성에 맞을 것 같아서, 흥미에 맞을 것 같아서처럼 자발적 으로 전공을 선택한 경우는 기관 및 시설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수능점 수에 맞춰서, 부모 주위의 권유처럼 비자발적으로 전공을 선택한 경우는 일반 공무원 시험 준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시험 준비를 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전공만족도와 학과만족도가 높을수록 기관 및 시설에 취업하고자 하는 응답자가 많 았으며, 그 이유는 전공을 살려 현장에서 사회복지를 실천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답변 이 많았기 때문이다. 직업가치관 만족도가 높을수록 기관 및 시설 취업이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시험 준비를 하겠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직업에 대한 가치관의 만족도 에 따라 전공을 살려 본인이 원하는 직업을 갖겠다는 의지기 나타났기 때문으로 보 인다. 진로선택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 관련하여 기관 및 시설 취업을 희망하는 응답 자가 많았으며, 그 이유는 본인의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 전공을 살려 현장에서 사회복 지사로 일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답변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진로문제를 살펴보면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에 있어 ‘사회복지 사는 무엇을 하는 전문직이며 어떠한 소명의식을 가져야 하는지’에 관해 정체성을 분 명히 확립하고 학생 스스로가 전문가로서 역할을 부족함 없이 수행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이직률이 높은 것을 감안하여 볼 때 낮 은 보수규정, 인사정체 등 사회복지사의 근로의욕 감퇴와 정체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인사문제와 적정보수 지급을 위한 국가의 지원과 관련 부처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College students can make the best choice of their major by being exposed to diverse fields of learning. They are able to make the right decision in consideration of their own interest and aptitude by experiencing various academic fields. But Korean students who enter college are bound to make the most important choice just based on thei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cores and high school grades without knowing well about different major fields of study. One of the most vital developmental tasks for individuals in adolescence is making the right choice of major and mapping out specific career pl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affected the major selection of social welfare majors in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in north Jeolla province, includ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University and Wonkwang University, in a bid to find out how the motivation factors influenced their post-graduation career.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motivation of major choice,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chose social welfare since that seemed to be appropriate to their aptitude. More than hal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Concerning post-graduation career, the greatest group planned to find a job in welfare agencies or facilities. The second largest group made a preparation to tale an examination to become government workers in social welfare posts, and the third greatest group was going to take an examination to be civil servants in general posts. The fourth largest group was undecided yet, and the fifth greatest group planned to study more. The sixth largest group was going to get a job unrelated to their major. More than half wanted to find a job related to their major, and the students who were in the upper academic year hoped to work at social welfare agencies or facilities.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those who were better satisfied wanted more to be employed by social welfare agencies or facilities, and the students who found their school lives less satisfactory were more going to take an examination to be government workers in general posts. The satisfied students wanted to stay in the field by utilizing their major, and the unsatisfied students hoped to get a stable job within the government regardless of their major.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those who made the decision at their own option in light of their aptitude or interest wanted more to work in social welfare agencies or facilities, and the others who chose the major unvoluntarily due to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cores or through the advice of others including parents were more going to take an examination to become government workers in general or social welfare posts. The students who were better satisfied with their major and department wanted more to work at social welfare agencies or facilities because they hoped to contribute to social welfare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major. Those who were more contented with their work values wanted more to work at social welfare agencies or facilities or to become civil servants in social welfare posts. It seemed because their work values urged them to get an occupation related to their major. The students who were more gratified with their career choice hoped more to be hired by social welfare agencies or facilities, because they wanted to serve as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ir major.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in terms of career, social welfare majors should be educated to build their identity as social workers by waking up to what social workers are and what sense of calling they should have.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strive to perform their expected roles perfectly. Given the high turnover rate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improve current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pay regulations that actually demotivate social workers and shake their identity.

      • 학교사회사업의 단계적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정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기존 진로상담제도의 문제의식을 기초로 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학교사회사업 시범사업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현실적 학교사회사업의 제도화를 위하여 기존 제도와의 관계를 고려한 학교사회사업 제도화 방안을 모색하여, 이에 보다 탄력적이고 현실적인 학교사회사업의 제도화를 위한 단계적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학교사회사업이란 학교라는 장에서 사회사업을 실현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학교사회사업은 학교의 교육적 기능과 사회사업의 사회 복지 적 기능을 동시에 실현하는 전문적인 활동으로 학교상담 활동과는 구분된다. 이러한 학교사회사업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해외에서뿐만 아니라 국내 학교사회사업 시범운영을 통해서도 이미 그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학교사회사업이 제도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홍보 및 인식이 부족하고 학교사회사업을 실시하는데 따른 예산이 부족한데 그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기존 진로상담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교육계와 학교사회사업의 제도화를 주장하는 사회복지 계의 상호 이해관계에 따른 갈등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하겠다. 즉, 교육계에서는 진로상담제도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전문 상담교사제를 제시하였으나, 전문상담교사의 자격 기준에서 사회복지사를 배제함으로써 기존제도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학교사회사업의 제도 도입에 대해서도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과 학교사회사업의 도입시기 등, 제도화의 방향과 방법에 있어서도 여전히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이러한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문제 해결을 위한 기존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으로 학교사회사업의 단계적 제도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기존제도로는 진로상담교사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중심 학교사회사업,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 주관 학교사회사업 시범운영이 있으며, 그 각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상담교사제도의 한계점은 진로상담교사가 전문적 상담이론과 기법을 체계적으로 이수한 전문가가 아니므로 청소년 상담에 있어 전문적 개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복지에 대한 교내 협력체계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학교 밖, 즉 지역사회와의 교류가 거의 없어 청소년 문제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불가능하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 중심 학교사회사업은 학교와 지역사회복지관의 전문인력 간의 연결고리가 취약하며, 전문인력이 학교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기 어려워 서비스의 단편성과 단절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이 제도는 민간 기관의 자율적 운영에 의존하므로 학교사회사업의 전문인력의 지역적 배치에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며, 운영 주체가 민간기관이므로 학생문제 해결을 위한 공권력 행사가 필요한 경우 이를 위한 협력을 얻기가 어렵고, 마지막으로 서비스 전달 주체가 민간법인 성격의 지역사회복지관이므로 공공행정 실현이 어렵고 재정지원의 구심점이 없어 책임성 있는 적극적 개입 의지가 미약하다. 셋째,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의 학교사회사업 시범운영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기존 상담인력과의 이질감, 다양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개발 적용을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 대책의 부족 등으로 학교사회복지사의 학교 상주 근무를 제도화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두드러진 문제점으로 첫째,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교사 및 진로상담교사와의 갈등과 둘째, 지역사회의 전문기관 및 인적 자원을 일선 학교에 지원할 수 있도록 유기적 협력체계를 갖추고 통합 관리하는 통합기구가 없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존제도의 문제점에 따른 학교사회사업의 제도화 방안으로써 단계적 제도화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로써 먼저 진로상담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갈등을 약화시키고 학생복지 서비스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제도적 공존 단계로 학교사회복지사와 진로상담교사가 학교 내에 함께 공존하는 것이다. 이는 현재 우리 나라 학교사회사업의 초기단계에서 가장 적절하고 위험 부담이 적으며, 기존의 진로상담인력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 안에서의 전문성을 확립하고 독립적 체계로써의 독자성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학교 안에서의 학교사회복지사의 지위가 확립되어 독자성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면 학교 밖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관리하고 통합할 수 있는 통합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이 단계에서는 학교체계 내에 학교사회복지사의 배치뿐만 아니라 학교 외부에 통합기구를 설치하여, 한 학생의 초등학교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의 성장과정을 통한 서비스의 지속적 통합 관리, 학교와 학교, 학교와 지역자원과의 연결을 통한 최적의 학생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학교사회사업의 단계적 제도화 과정을 통하여 학교사회복지사의 지위가 제도적으로 확보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행정체계가 확립되었을때 학생 복지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적 활동이 가능할 것이다. Based on the problems of existing counseling systems in school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working model programs of school social work. It also tried to identify the better way that school social work can go along with the existing school systems. Consequently, this study concluded with a suggestion that would lead a gradual establishment of school social work in a more realistic and flexible way. School social work is a way of social work that pursues well-beings of students at school settings. That is to say, school social work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chool counseling in several ways. But, mostly, it can be said that school social work is pursuing two major functions in terms of education and welfar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ocial work has already been demonstrated from a number of studies both in many advanced countries and in Korea, especially from the model school social work programs. However, school social work has not been firmly established in Korea. A number of reasons can be traced for this phenomenon such as the lack of public information, recognition, and the budget for school social work programs. However,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e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school social work between the two professions, education and social work. That is, in education, they argue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counseling systems and vice versa in social work. More specifically, a system has been proposed by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counseling systems in school but it systemically excludes social workers' participation. Furthermore, there still has been a number of controversies between the two helping professions such as the qualifications of school social workers and the timing for its realization and so 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existing problems and identifying the realistic way of establishing school social work as an alternative. For an in-depth analysis, school counseling system, community focused school social work, the model programs ru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ity of Seoul were utilized. The problems and issues identified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teachers of existing school counseling systems are not the professional counselors equipped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theories and techniques,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m to intervene to the problems effectively. Furthermore, the lack of cooperation among professionals both in and out of schools effectively prohibits them from a more holistic approach to the problems. Second, several problems also have been identified from the community focused school social work. Most of all, the scarce of cooperation among the professionals that are working for schools and community centers makes it more difficult to provide continuous services to clients. Third, the model program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in the city of Seoul have demonstrated several problems. The sense of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counselors and the lack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further application of the school social work programs were identified. It led the problem that school social workers are not able to work at school settings. However, more importantly, the expertness of school social workers has not been appreciated by existing counseling teachers. Furthermore, there is no controlling tool or office, which can bridge the various helping professions and professionals. Based on the proposed problems, the following suggestions would work for establishing school social work in a step-by-step way. First, to minimize the conflicts between the existing school counselors and school social workers and to maximize the services for students, I would like to propose a certain amount of time in which those two professions are working together at school settings. At this early state, it would be the safest way to realize the school social work system with the least conflicts among professionals. In the meantime, school social workers need to establish the expertness as well as independence at school settings. Second, after establishing the expertness and independence at school settings, school social work needs to set up a mechanism that places out of school to overview and organize various functions. That is, this mechanism can serve one stop service as well as managed care for one client throughout his/her growth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with continuous and individualized services. Through this step-by-step process, school social work can secure and establish its institution. Consequently, the established syste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s would make it possible for school social workers to provide professionals services.

      • 농촌노인의 복지욕구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방안에 관한 연구 : 무주군 노인을 대상으로

        배소혜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According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iqu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being extends. Many people live longer than the past. Nowadays the world tendency is an aging society. Korean rural area have already become super-aging society, so there are plenty of work to do rural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aged. The welfare for the aged pursues the increase of life quality. It aims any more to the struggle for surviv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looking for the way of optimal social welfare services. For it, I surveyed the welfare needs of the aged in Muju county and analyzed about the influencing factors. I want to increase satisfaction degree of the aged about the life through this research.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old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Muju county. The questionnaire consist of general aspects(gender, age, single/couple, average income, housing status), health aspects(ill/healthy, who wants to care you when you are ill),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receiving welfare service, wish desire and necess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art of receiving aged welfare service is ‘income/economics’ and then ‘leisure/culture’part. The subsection in ‘income/economic’ is basic senior pension and the elderly worker. The subsecion in ‘leisure/culture’ is senior citizen center and programm in senior welfare center. Second, the ranking of the satisfaction degree in aged welfare service is ‘ health/care’‘housing’ ‘leisure/culture’ ‘psycology/sociality’ ‘income/economics’. Third, the ranking of the necessity in aged welfare service is ‘medical service’,‘health/care’,‘housing/enviornment’,‘income/economics’ ‘psycology/sociality’, ‘leisure/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research, it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80% of the participated aged have chronic illness, so it is worth consideration about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aged welfare services and medical services in Muju area in preventional dimention. Second, for the increase of satisfaction degree in ‘income/economics’ part, we consider the distinct charateristics of the rural area and dig out working places for the elderly using the strongpoint. We need to offer the oportunity for the elderly to increase their income on their own through working places. Third, the highest ranking of necessity in elderly welfare service is ‘medical service’ and ‘health/care’ part. This means we find the way to cowork and interchange between various hospitals in Muju area and Muju county office. Fourth, the aged have theirs own’s houses, but they are deteriorated. so for the quality of the elder’s life, it needs barrier-free houses that are convenient to live or shared community home. Fifth, we need to prepare a social capital based on mutual trust and cooperation, for example Korean farmer’s cooperative group. 오늘날 산업화와 의료기술의 발달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이에 따라 노인인구가 증가하여 현재 고령사회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농촌은 이미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어, 농촌지역의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노인복지 분야는 많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 노인복지는 노인의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단순한 생존차원을 넘어 ‘삶의 질’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무주군 노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복지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고, 어느 분야에 대한 복지욕구가 더 요구되는지 분석하여 무주군 노인의 복지서비스를 통한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무주군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가구 일반사항(성별, 나이, 독거/부부, 평균소득, 주택상태)과 건강사항(질병유무, 질병시 병수발 원하는 형태), 현재 받고 있는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노인복지욕구에 대한 희망우선순위, 노인복지서비스 종류별 필요정도에 대한 내용으로 대상자를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노인복지서비스 수혜는 ‘소득 및 경제’분야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여가 및 문화’분야였다. 소득경제 분야에서는 기초연금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항목이었고, 여가문화 분야에서는 경로당 이용과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이용 항목이었다. 둘째 노인복지서비스 만족도에서의 만족이 높은 순서부터 살펴보면, ‘건강 및 돌봄’ ‘주거’, ‘여가 및 문화’, ‘심리사회’, ‘소득 및 경제’부분 순서였다. 셋째 노인복지서비스 필요도에 있어서는 ‘의료서비스’, ‘건강과 돌봄’, ‘주거 및 환경’ ‘소득 및 경제’, ‘심리사회’, ‘여가 및 문화’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시사점은 첫째, 응답대상 노인들의 80% 정도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차원의 노인복지서비스와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계와 협력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둘째, 무주군 노인의 ‘소득 및 경제’부분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유한 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노인들이 일할 수 있는 아이템을 발굴하여 이들의 소득창출 기회를 제공해야 하겠다. 셋째, 노인복지서비스 필요도에 있어서 ‘의료서비스’와 ‘건강과 돌봄’이 높은 순서로 나타났다. 이것은 무주군 보건의료원 및 기타 무주군에 있는 민간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와 더불어 건강과 돌봄에 대한 노인사회복지서비스의 지속적인 교류, 자원 및 정보공유를 통하여 기관간의 협업에 의해 무주군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상생효과를 도출해야 할 것을 나타낸다. 넷째, 노인들의 자가비율이 높으나 대부분 노후되어 있는 주택들이다.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접근, 이용, 이동에 불편하지 않는 생활하기에 편리한 barrier-free주택이나 서로 돕고 살피는 노인공동생활가정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다섯째, 노인들의 심리사회측면 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해 상호간의 신뢰와 협동의식에 의한 사회적 자본 확충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우리나라 고유의 두레나 품앗이활동과 같은 종류를 예로 들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