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정준수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receptive attitude of local community toward mental diseases and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re crucial environmental variables on which the successful prevention, early discovery and early treatment of mental diseases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rehabilitation hinge. Such an attitude can be defined as behavior that is learned through cultural environments from childhood, and that is under the influence of multiple factors such as local traditional culture, values, social class, occupation, personality traits, personal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patients o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etween social welfare majors and other students according to volunteering experience, experience of taking mental health courses and field work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health on the assumption that an attitude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social distance is learned through society and could be variable. It's basically meant to seek down-to-earth ways of minimizing social distance between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55 students at six colleges that were selected from among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city of Daejeon. There were departments related to social welfare in the selected universitie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54 respondents were analyzed. A SPSS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multiple-response analysis, t-test, F-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gaps i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etween the social welfare majors and nonmajors by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religion, club membership, volunteering, the terms of volunteer work and experience of taking volunteering courses. It implied that being more expos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y taking related courses or doing volunteer work could be of great use for taking a positive attitude or building values that could narrow social distance. Second, concerning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etween the social welfare majors and nonmajors, the social welfare majors scored higher than the nonmajors. It indicated that the former felt less social distance than the latter. Third, t-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intergroup gaps in social distance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majors' volunteering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health, experience of taking mental health courses and relevant field work experienc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experience of taking relevant courses and field work experience, and only volunteering experience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t=4.428, p<.001). Fourt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intergroup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social will, knowledge, emotion and contact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majors' volunteering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health, experience of taking relevant courses and the number of relevant field work experience. As a result, just contact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ose who were more expos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cored higher. Fif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mary variables on social distance. And social distanc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ed by religion, age, experience of taking volunteering courses, volunteer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conversation with the disabled, and unpleasan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dist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experience of conversation with the disabled had the largest impact on that, followed by unpleasan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age, experience of taking mental health courses, religion, experience of taking volunteering courses and volunteer work experience.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bridge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First, students should be urged to do more volunteer work to have more chances to be expos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narrow their social distance from them. To make it happe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hould map out systematic publicity plans and reinforce their cooperation with volunteer clubs to encourage students to do volunteer work on a long-term basis. Second, more courses related to mental health should be offered to social welfare majors, and general education courses of mental health should be offered to other students as well. To boost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ourses, practical education and field instruction should b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ird, the departments of social welfare should keep track of relevant local facilities and acquire accurate information to expand the scope of mental health field work practice geared toward social welfare majors. Loc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hould publicize themselves to attract trainees and provide them with more opportunities to make a face-to- face contact with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narrow their social distance. Fourth, massmedia should use discretion in carrying reports about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try to provide precise information on mental diseases and those people and to publicize related local events.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적 태도는 정신질환의 예방과 조기발견, 조기치료 및 재활을 좌우하는 중요한 환경적 변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태도는 어릴 때부터 접해온 문화적 환경 내에서 학습된 행동으로 볼 수 있는데, 그 지역사회의 전통 문화와 가치관, 사회계층이나 직업, 개인의 성격특성, 정신질환자에 관련된 개인적인 경험, 교육수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은 사회로부터 학습을 통해 습득된 것이며 변화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사회복지 전공생과 타 전공생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관련 경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 수강, 정신보건 관련 실습 경험에 따른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에 사회적 거리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 중 사회복지 관련학과가 개설된 6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5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다중응답 분석, t검증과 F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전공생과 타 전공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살펴보면, 분석 결과 성별, 종교, 동아리 가입유무, 자원봉사 활동유무, 자원봉사 기간,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적인 교과목의 수강경험과 자원봉사 경험을 통한 정신장애인과의 접촉이 많을수록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인 태도나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 전공생과 타 전공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복지 전공집단의 평균이 타 전공집단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 전공집단이 타 전공집단 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정신보건관련 자원봉사 경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 수강 경험, 정신보건 영역 실습 경험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교과목 수강과 실습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자원봉사 경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428, p<.001). 넷째, 사회복지 전공생 중 정신보건 관련 자원봉사 경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 수강 경험, 정신보건 영역 실습 경험 수에 따라 사회적 거리감, 사회적 의지, 지식, 정서, 접촉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접촉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경험수가 많을수록 평균이 높았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 및 주요변인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종교, 연령,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자원봉사 여부, 장애인과의 대화정도는 사회적 거리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인에 대한 불쾌한 경험은 사회적 거리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각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과의 대화정도가 사회적 거리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 장애인에 대한 불쾌한 경험, 연령, 정신보건 교과목 수강, 종교,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자원봉사 여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원봉사 활동 활성화를 통한 정신장애인과의 직접적 접촉 경험 기회를 늘려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신장애인 관련 시설에서는 체계적 홍보방안의 마련과 자원봉사 활동 동아리와 연계⋅협력을 강화하여 자원봉사가 안정적, 장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의 확대와 타 전공생을 위한 교양과목의 개설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습을 병행한 현장위주의 교육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정신보건 영역 현장실습의 확대를 위하여 사회복지학과에서는 지역사회 내 관련시설에 대한 체계적 현황 파악과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며, 정신보건 관련 시설은 실습생의 적극적 유치를 위한 기관의 홍보와 실습생과 정신장애인과의 직접적 대면접촉 기회 제공을 통한 사회적 거리감의 감소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대중매체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주 정보제공원으로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내용의 보도에 신중을 기하고,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정보의 제공과 지역사회 내 정신장애 관련행사의 홍보에도 적극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행정자료의 활용성 제고 방안 연구 : 신혼부부통계를 중심으로

        설재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우리나라가 COVID-19 사태에서도 신속한 대응체계로 맞서면서 각종 조사결과를 집계하면서 행정자료 등을 신속하게 입수하여 조사결과를 보완 또는 대체하여 필요 시 국민의 응답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노력했다는 보도자료가 있었다. 이와 같이 행정자료는 여러 방면에서 활용가치가 높은데, 무엇보다 통계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선진국 수준으로 소득이 높아지면서 국민의 복지 수요는 증가하고 있고, 이와 비례하여 국민의 다양한 수요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통계조사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통계조사 응답자들이 가지는 응답부담 또한 함께 증가하면서 조사자료의 정확성과 응답률도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해결방안이 바로 앞서 언급했던 행정자료를 활용한 통계작성 방안이다. 선행연구 사례로 살펴본 일자리행정통계는 글로벌 금융・재정 위기에 따른 취업・실업 등 일자리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사회적 요구에 따라 작성된 통계로서 사업장 기준의 일자리 통계를 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대 보험자료와 직역 연금자료 그리고 국세자료 그리고 법안 등기자료 등 총 27종의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한다. 또한, 귀농어・귀촌인통계도 살펴 본 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등으로 귀농어・귀촌인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의 안정적 정착 및 지원과 활성화를 위한 통계 작성 요구에 따라 작성되었는데, 모두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귀농인의 경우 농업경영체 자료 등 총 18종의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한다. 본 연구의 주된 관심 통계인 신혼부부통계는 신혼부부에 대한 결혼, 출산・보육, 경제활동 및 주택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저출산 주요 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조사된 자료와 행정자료를 활용하였는데, 작성대상은 혼인 신고 후 5년이 경과하지 않은 부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신혼부부통계에서 출산자료를 보완하기 위하여 등록센서스를 위해 구축한 가족관계등록부 자료를 활용하여 출생자료를 보완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는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자료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접근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일자리 행정통계와 귀농어・귀촌인통계 그리고 신혼부부통계는 행정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를 작성하여 그 목적에 맞게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들이다.

      • 사회복지관 관장의 리더쉽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기현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사회복지관 관장의 리더쉽 유형과 조직목표의 효율적 달성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복지환경속에서 사회복지관이 도태되지 않고 경쟁력을 가지며 장기적 생존과 자립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사회복지관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회복지조직은 상당히 외부 의존적이며, 한정된 자원으로 운영되어지므로 이를 충분히 감안한 사회복지사에 대한 동기부여가 필수적인데, 그러한 동기부여, 전문성 및 역량강화에 사회복지관 관장의 효과적인 리더쉽은 매우 중요하고 유용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회복지조직의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이들 관계에 대한 학문적 성과측정이 많이 미흡한 실정이며, 실제 사회복지조직의 문제를 진단하여 이를 해결할 만큼 통합적이고 보편적인 리더쉽 및 조직몰입에 관한 이론은 아직 정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관 관장의 리더쉽 유형을 분석하고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유효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사회복지관 조직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써 직무요인, 조직요인, 근무환경요인(신뢰), 개인요인 등 4가지를 기타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조직몰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적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리더쉽(변혁적․거래적 리더쉽)과 조직몰입에 관한 이론적 접근을 위해 국내 서적 및 선행연구 논문, 외국문헌, 기타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토대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다고 검증 제시된 선행연구자들의 설문지를 현재에 맞게 수정 및 구성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한 설문 대상자는 대전소재 18개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 한정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SPSS 13.0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관장의 리더십과 직무, 조직, 근무환경 등의 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사회복지관 관장의 리더쉽 유형을 파악하고자 회귀분석을 한 결과 변혁적 리더쉽(β=.483, p<.001)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거래적 리더쉽(β=.193, p<.001)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타 독립변수 중 근무환경요인의 하위요인으로 살펴본 신뢰가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과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무환경요인(신뢰)(r=.801)이 거래적 리더쉽(r=.513)보다 조직몰입에 월등히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거래적 리더쉽의 조건적 보상과 예외적 관리보다 근무환경요인의 신뢰(조직신뢰, 동료신뢰, 리더신뢰)가 조직몰입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더 이상 직장 내에서 자칫 삭막하고 딱딱한 거래적 관계보다는 유연하고 인간적인 신뢰적 관계가 조직구성원들에게 보다 큰 안정감과 더불어 조직에 헌신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개인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력(β=.077, p<.001)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다음으로는 연소득(β=.034, p<.001)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며, 성별, 연령, 결혼여부 등 다른 변인들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주목적인 사회복지관 관장의 리더쉽과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사회복지관 관장의 리더쉽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독립변수들에 비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리더쉽 유형별로 분석했을 때, 변혁적 리더쉽이 거래적 리더쉽보다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보다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모든 독립변수를 고려하여 분석했을 때, 거래적 리더쉽의 경우 유의미한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 흥미롭다. 일반적인 리더쉽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리더쉽이 조직원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 등에 당연히 영향을 준다는 전제하에 리더쉽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리더쉽유형을 찾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본 연구처럼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변수로써 변혁적 리더쉽과 거래적 리더쉽, 직무요인, 조직요인, 근무환경요인(신뢰) 등을 동일선상에 놓고,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 한것이 주목할만하며, 이를 통해 리더쉽의 특성상 대체로 리더쉽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리더쉽 유형별 비교분석을 했을 경우, 거래적 리더쉽이 그다지 큰 영향력이 없다는 것을 밝혀낸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이상적인 사회복지관의 관장은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 동기부여를 바탕으로 조직구성원들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변혁적 리더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 변혁적 리더쉽을 가진 사회복지관 관장의 리더쉽과 조직의 신뢰를 많이 받을 경우, 사회복지관에 보다 더욱 조직몰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or the director’s leadership style of a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effectual organizational goal achievement, in the mist of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e social institution’s research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o provide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with competitive advantage, so that the institution can have a continued existence and self-reliance. Almost ever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cluding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re highly dependent on outer resources and have limited support to manage their own organizations. Motivation is necessary for social workers that have fully taken these circumstances in consideration because the director’s effectual leadership in a social welfare institution is significantly important in professionalism and potential empowerment, however; if one observes the latest research trend of the social organizations, the academic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is area lacks considerably. In reality, integrative and comprehensive leaderships and theologies regar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can investigate and solve the problem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have not yet been found. Through this investigation, one can suggest an effectual way to manage a social welfare institution by analyzing leadership types and researching valid principal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e can also underst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four main independent factors that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are duty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working factors (establishing trust), and personal factors. Literature researches for this study have referenced domestic literatures, preceding research papers, foreign literatures, and other various resources to theologically approach matters related to social organization leadership (changingㆍmarketing leadership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ming basis in investigated prece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s, we fixed and composed the questionnaires of valid researchers who can be trusted and have legitimacy. To verify this hypothetical research, we have selected eightee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Dae-Jeon, and have utilized the SPSS 13.0 stat program to analyz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o identify how the influential trend of a social institution director’s leadership, duty, organiz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affect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the subjec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we also implemented the T-Test and One-way ANOVA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spect to societal temperament of the test subjects. This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evious instructions. First of all, to identify the type of leadership that affects the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director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discovered that only the changing leadership(β=.483, p<.001) have a noticeable affect. Marketing leadership have no noticeable affect (β=.193, p<.001),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marketing leadership(β=.053, p<.001) has no a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pared to changing leadership(β=.452, p<.001) when one takes the two leadership style in consideration to identify a more influential leadership style. Secondly, establishing trust, which was examined as a subordinate factor of a working environment among other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had the most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working environment factor (establishing trust) (r=.801) had a significant advantage over marketing leadership (r=.513)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is result, working environment factor of establishing trust (organizational trust, trust between co-workers, and trust in leadership) is a more important element in organization commitment than the conditional rewarding and exceptional management of marketing leadership that social workers recognize. Instead of a dull and rigid marketing relationship in a working environment, a flexible and reliable relationship provides a comfortable environment that motivates the organization members to effectively devote themselves in the organization. Thirdly, according to the research don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sonal social temperament on organization commitment, the results confirm that academic ability (β=.077, p<.001) most influences the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Next to academic ability, yearly income (β=.034, p<.001) influences the organization commitment the most. Research reveals that age, sex, marital status, and other various factors do not have a noticeable effect on organization commitments. Overall, by obser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ne can realize that leadership of the director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compared to other various independent factors. By studying the leadership types, one can also know that changing leadership is more advantageous than marketing leadership in respect of organization commitment. The results showing the ineffectiveness of marketing leadership, when one takes all independent factors in consideration, were especially interesting. The theory being leadership has effe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career satisfaction, and sense of duty, earlier general researches on leadership mostly focused on the types of effective leadership. This research is worthy to take note of because the comparison of the main factors on the same level, which are changing leadership, marketing leadership, duty factors, organization factors, and working environment (establishing trust), could have effect on the commitment of the organization members. Although leadership generally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one compares the leadership types, this research is interesting because marketing leadership has in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is research, one can know that a changing social welfare institution leader that have charisma, care for other individuals, inspiration, and motivation can effectively establish trust with co-workers an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mmitment of the organization. In case of social worker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can be augmented by having a leader that has a changing leadership and establishing trust with the organization.

      • 지방정부 행정PR 매체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충남도청 도정신문과 충남넷을 중심으로

        박태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충남도청의 다양한 행정 PR 매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그 효과성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충남도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정신문과 충남넷의 인지도와 접촉률, 독자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충남도청 행정PR 매체(도정신문, 충남넷) 만족도가 충남도청 행정홍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충남도청 PR 매체인 도정신문 인지도 분석에서 도민 70% 이상이 도정신문을 알고 있으나, 도정신문이 한 달에 몇 번 발행되는 지에 대해선 절반 이상이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남넷 인지도 분석에서 도민 80% 이상이 충남넷을 알고 있으며, 70% 이상은 충남넷을 통해 행정정보를 취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도정신문 접촉률 분석에서 도민 40% 정도가 공공기관을 통해서 도정신문을 보게 되었으며, 도민 30% 정도는 도정신문을 1년에 5회 이내 접촉하고 1회 접촉시간은 10분 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충남넷 접촉률 분석에서 도민 50% 정도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충남넷을 처음 방문하게 되었으며, 도민 40% 정도는 충남넷을 한 달에 5회 정도 방문하고 1회 방문시간은 10분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정신문 만족도 분석에서 도민 80% 이상이 도정신문이 제공하는 행정홍보에 만족하고 유익성 측면에서도 높은 점수를 주었으며 행정정보의 공정성도 확보한 것으로 보았다. 여섯째, 충남넷 만족도 분석에서 도민 90% 이상이 충남넷이 제공하는 행정홍보에 만족하고 있으며, 충남넷에 게재된 내용이 유익하고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도정신문·충남넷 만족도와 도청 행정정보 인지의 교차 분석에서 도정신문·충남넷의 만족도와 유익도, 공정성, 신뢰도가 높을수록 도청 행정정보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도정신문·충남넷 만족도와 도청 행정정보 정도의 교차 분석에서도 도정신문·충남넷의 만족도와 유익도, 공정성, 신뢰도가 높을수록 도청 행정정보 정도 역시 함께 상승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충남도청 행정PR 매체인 도정신문과 충남넷의 인지도와 독자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에 있는 반면, 접촉 빈도와 접촉시간이 너무 짧아 도민들이 도정신문과 충남넷을 자주 찾고 오래 머물 수 있도록 충남도청 정책에 관한 각종 행정정보는 물론 생활에 유익한 볼거리와 읽을거리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요구되었다. 또한 도정신문·충남넷의 만족도에 따라 도청 행정정보 인지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도민들이 행정정보를 많이 알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행정PR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행정자료를 활용한 인구주택총조사 개선 방안 : 건축물대장 중심으로

        이정수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1925년부터 매 5년마다 실시하는 인구주택총조사는 막대한 비용과 인력을 투입하여 대한민국의 행정구역내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사람과 거처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갈수록 사생활 보호의식의 증가와 응답거부 현상이 심화되고 맞벌이 가구와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조사환경은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선진국에서는 인구주택총조사에 행정자료를 활용한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여 오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행정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구주택총조사에 활용 가능한 행정자료로는 주민등록, 건축물대장, 토지대장, 국세자료, 호적부, 4대보험, 한국감정원자료, 교육청 자료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주소와 건축물대장을 이용하여 총조사에 활용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행정자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료간의 연계가 중요한데, 현재 우리나라의 행정자료는 연계를 위한 고유값을 가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1994년부터 범 국가적으로 추진해 온 새주소 부여체계(도로명 및 건물번호)는 현재 거의 완료 단계에 있다. 앞으로 새주소를 행정자료 간의 고유한 연계값으로 활용한다면 유용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인구주택총조사와 건축물대장에서 분류하는 주택의 개념과 기준이 다르다.이런 문제로 양 자료간에는 주택수에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인구주택총조사를 등록자료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건축물분류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행정자료의 정확성과 앞으로의 등록센서스를 준비하기 위해서 준비해야 할 방안들에 대해 몇 가지 제언하였다. Population & Housing Census has been conducted in every 5 years since 1925 with massive costs and labors to figure out every person and residence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republic of Korea. Survey environment is getting worse as awareness of privacy, response refusal, double-income family and single household increase. To tackle the above-mentioned issues, developed countries have introduced new census methodologies using administrative data. Initiatives and research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use administrative data in Korea. Administrative data which could be used i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re resident registration data, building registration data, land registration data, tax data, family registration data, 4 different national insurance data, data from Korea appraisal board, and data from educational administration. Measures to use new address and building registration data in Population & Housing Census were thoroughly reviewed in this research. To use administrative data, linkage between data is important, however, we don't have unique value to link the data. As new address reform initiative conducted since 1994 as a nation-wide initiative is at the final stage, if new address is used as unique linkage between administrative data, usability is expected to wide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a house i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building registry is different. Therefore, discrepancy arises in two data sets. Problems need to be solved to replac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with administrative data. Measures to improve accuracy building classification was proposed. Finally, a few proposals were made to prepare for register-based census and to enhance accuracy of administrative data.

      • 의료사회복지사의 지지가 뇌졸중환자 가족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연구

        임연희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upport from medical social workers on the caregiving burden of families with stroke pati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patient-related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medical social workers on strok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an effort to offer some authentic information on the right directions for intervention by medical social workers and program development. The geographic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city of Daejeon,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1 providers who had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in rehabilitation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geriatric hospitals in Daejeon.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support from medical social workers on their caregiving burde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ies who had male patients were under heavier caregiving pressure, and the families felt more burden when the patients were older, when they had their spouses, when they were less educated, when their spouses looked after them and when they suffered from the disease for five years or more. In other words, the spouses whose husbands were older stroke patients faced more difficulties because they had to provide for and look after them at the same time. A longer duration of the disease led to heavier time-dependence burden and more financial caregiving burden. Second, the families for whom the women provided were under heavier caregiving pressure, and the caregiving burden of the families became more serious when the providers were in their 50s, when they were married, when they were less educated, when they believed in Buddhism, when they were homemakers, when they were daughters-in-law, when they spent six hours or more a day looking after the patients, when they continued to look after them for five years or more, when they were in bad health, and when their monthly mean family income was small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much support the families with stroke patients received from medical social workers, they gave a mean of 3.65 out of five, which showed that the providers received a lot of support from medical social workers. Among different types of support from medical social workers, informative support was most prevalent (3.75), followed by emotional support(3.62) and evaluative support(3.59). Material support was smallest(3.57). In conclusion, social support from medical social workers was shown to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giving burden of the providers of the stroke patients. The four kinds of social support provided by medical social workers, which were emotional support, informative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had a significant even impact on the six kinds of provider burden, which were time-dependence burden, developmental burden, physical burden, social burden, emotional burden and financial burden. And their social support served to relieve the providers of caregiving burden.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지지가 뇌졸중 환자 가족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하여 환자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의료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뇌졸중 환자와 가족에게 미치는 조절효과를 밝혀 의료사회복지실천가들의 개입방향 설정과 프로그램개발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의료사회복지사의 지지가 뇌졸중 환자 가족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공간적 범위를 대전 시내에 한정하였고, 대전 시내 소재에 있는 전문재활병원, 종합병원, 노인전문요양병원에서 입원중인 뇌졸중환자를 둔 211명의 부양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뇌졸중 환자 가족의 부양 부담중에는 평균이 ‘시간-의존적 부담’이 3.40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신체적 부담’ 3.19, ‘경제적 부담’ 3.12, ‘발달 단계적 부담’ 2.98, ‘사회적 부담’ 2.71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부담이 2.5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첫째, 뇌졸중환자 가족의 부양부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된 부양부담을 살펴보면 환자가 남자인 가족이 부양부담이 높고, 환자가 나이가 많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가족일 경우, 학력이 낮을수록, 배우자가 간병을 하고 있는 가족, 환자가 발병 기간이 5년 이상 길수록 가족의 부양부담은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나이가 많은 남자 환자를 둔 가족이 배우자가 부양과 간병을 병행해야 하는 어려움과, 발병기간이 길면 길수록 시간-의존적 부담과, 경제적 부양부담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졸중환자 가족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부앙자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 하여 부양부담을 살펴보면, 부양자가 여자인 가족이 부양부담이 높고, 50-60세 미만인 부양자가, 기혼인 가족, 학력이 낮을수록, 불교를 믿는 가족, 부양자가 주부인 가족, 관계가 며느리인 가족, 하루 평균 부양시간이 6시간 이상인 가족, 부양기간이 5년 이상인 가족, 건강 상태가 나쁜 가족, 가족의 월 평균 소득이 적을수록 가족의 부양부담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환자를 배우자로 두고 있고, 부양자가 여자 배우자인 가족이면서 학력이 낮고, 하루 평균 부양시간이 6시간 이상 간병을 하는 가족, 부양자가 며느리인 가족, 소득이 낮고 건강상태가 나쁜 가족 일수록 가족의 부양부담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뇌졸중 환자의 가족들은 시간-의존적 부담, 신체적 부담, 경제적 부담, 사회적 부담을 크게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뇌졸중 환자 가족의 의료사회복지사의 지지수준에 대해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 전체평균이 3.65로, 뇌졸중 환자 부양자들은 의료사회복지사의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사회복지사의지지 중에는 ‘정보적지지’가 3.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정서적지지’ 3.62, ‘평가적지지’ 3.59, 순으로 나타났으며, ‘물질적지지’ 3.57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 결과적으로 뇌졸중 환자 가족들은 의료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는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료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4가지 차원의 사회적 지지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 지지는 부양자가 부담하는 6가지 차원의 부담인, 시간-의존적 부담, 발달단계상의 부담, 신체적 부담, 사회적 부담, 정서적 부담, 경제적 부담에 모두 골고루 유의한 영향을 미쳐서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환자나 부양자 개인에 대한 접근 뿐 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 환경적인 차원의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러한 결과들은 사회복지 전문가와 실천가들이 지역사회 공동체 안에서 뇌졸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자원을 연결 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망 구축을 위한 실천적 합의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활동보조인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관 활동보조인을 중심으로

        안재흥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에서는 활동보조인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활동보조인들의 이직의도를 경감 시킬 수 있는 대책과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애인에게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요소와 활동지원 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ed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activity assistants and to examine the measures and methods redu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Personal assistants through this research. Also, it is to suggest the measures of elements and Personal assistance business improving service quality for the disabled who us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n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to the Personal assistants of assistant of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in Daejeon from September 21st to November 7th, 2014 an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One-way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factor, working conditions of Personal assistants, and organization factor were established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established as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professionals support level of Personal assistants was indicated as 4.39 in average. The information support was the most high as 4.42 in average, and evaluation support was 4.38, and emotional support was 4.37. Therefore, it was known that research targets were supported comparatively by professionals. Second, organization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s was very satisfactory as 4.43 in average. Third, the turnover intention level of Personal assistants was 2.17 in average and it was indicated that turnover intention was relatively low. Four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factors affected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Personal assistants, it was indicated that the satisfaction about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s suppor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to turnover intention. It was known that the higher of professionals support was, the lower of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was, and the higher of satisfaction about organization was, the lower of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wa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minimization of turnover intention of Personal assistants as followings. First, it is suggested to supplement for activity support training education. Second, unit cost per hour for Personal assistant must be reestablished by service pay type and by disable type. Third, the measures for sustaining monthly fixed payment for Personal assistant must be sought. Fourth, it is necessary to simplify document writing, voucher terminal use, and administration business, and to enhance education for administration practice added to present supplementary educ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change service approval method protecting service corruption of supply and demand. Sixth,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 of professionals and the head of providing organization. The enhancement of practical education for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for Personal assistants and service receivers is urgent.

      • 행정자료를 활용한 무응답 대체방법 비교

        김소은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에서는 무응답 대체 방법 고찰과 행정자료를 활용한 통계의 무응답 자료를 데이터 실증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무응답 대체 적용하여 수행 연구하고자 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