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모스크바장로회신학대학교의 교회개척

        한재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1) 서론부분에서는 다음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오늘날까지 수행해 온 선교에서 교회가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선교를 하고 있는가에 대한 대안으로 교회의 진정한 선교를 위해서 선교의 근원을 하나님 자신이라는 점과 선교는 하나님의 것이라는 점에서 시작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삼위일체의 하나님 안에 있는 교회와 하나님의 선교를 찾으려했다. 연구절차로는 러시아교회 특히 모스크바장로교 신학대학교에 의해서 개척된 교회를 중심으로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러시아 교회개척을 살펴보았다. (2) 교회론의 변화에서 교회의 정의를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찾고자했다. 즉,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성령의 전으로서의 교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물론 이것은 사도 바울이 본 교회이다. 여기서 교회의 주인은 사람이 아니라는 점과 교회는 제도가 아니라 에클레시아인 하나님의 백성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성령의 전안에서 교회의 속성을 갖는다. 교회의 속성은 하나된 교회로서 하나됨과 거룩한 교회로서 거룩성과 보편적인 교회로서 보편성과 그리고 사도적인 교회의 사도성이다. 하나님의 선교는 사도성 안에서 계속되는 보냄을 갖는다. 교회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부르심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되며 성령의 전이된다.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로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선교적인 사명을 수행하는 가운데 교회의 존재의 근거를 갖는다. 과거의 선교에 있어서 교회를 위한 선교나 선교열정으로 인위적인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와 다른 제도적 교회가 행한 선교의 한 모습이었다. 오늘날 하나님의 백성인 에클레시아 역시 하나님의 선교로 부름을 받고 있으며 에클레시아인 교회는 그 부름에 응답해야 한다. 하나님의 선교에 응답하는 교회만이 참된 교회로 하나님의 백성이다.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교회만이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종말론적 공동체가 된다.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 관계에서는 교회는 곧 하나님의 나라가 아니라 부활의 빛 속에서 '이미' 온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한 교회가 세상 속에서 '아직' 완성되지 않은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 가야 한다. 세상은 하나님이 사랑한 세상으로 교회는 세상 가운데서 그 역사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교회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이루어 가야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교회와 세상과 선교, 교회와 이성과 하나님의 나라, 교회와 역사와 하나님의 나라, 그리고 교회와 정치와 하나님의 나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 러시아 개신교회에서는 먼저 러시아 정교회를 먼저 밝혔다. 왜냐면 러시아는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진 백성이기 때문이다. 러시아인들에게 러시아 정교회는 종교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러시아 개신교회 역시 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러시아 정교회와 러시아에 대해서는 러시아와 정교회, 러시아국가교회, 그리고 동방 정교회의 중심된 선교신학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러시아 개신교회에 대해서는 먼저 러시아 개신교의 전래와 전파지역 그리고 선교의 대상, 오늘의 개신교의 성장을 이루어낸 지하교회의 고난과 소망 속에서 승리한 러시아 개신교회로 보았다. 이는 초대교회가 로마의 핍박을 딛고 일어난 것처럼 러시아 개신교회가 갖고있는 신앙의 전승 속에서 오늘날까지 러시아교회가 남은 자로서 성장하는데 큰 바탕을 이루었다. (4)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하나님의 선교에서 본 러시아 교회개척인데 먼저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개념을 정리했다. 즉,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도구이며, 선교의 근원은 하나님 자신에게 있고 그 선교의 내용은 하나님으로부터 보냄 받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삶을 통한 교회의 참여이다. 교회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하나님의 선교공동체이며 성령은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도록 인도하고 이루시는 분이다. 따라서 인위적이거나 제도적 교회에 의한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에서 배제된다. 이 같은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모스크바 장로교신학대학교에 의한 교회개척을 살펴보았다. 특히 교회개척의 의미를 하나님의 선교와 하나님의 나라 그리고 복음과의 관계에 비추어 찾고자 했다. 여기서 교회개척은 단순한 양적 증가의 의미보다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복음의 활성화와 러시아 교회의 요청에 의한 상황화이며 한국교회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모스크바 장로교신학대학교의 교회개척은 '러시아인에 의한 러시아선교'의 과정이며 신학교육의 장으로 신학과 교회의 유기적 상호관계 속에서 열매를 맺어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모스크바 장로회신학대학교에 의한 교회개척은 러시아 개신교회의 활성화에 참여하는 역동적 기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 교회개척의 방법과 성장에 있어서 러시아 교회의 성장은 양적인 교회성장보다는 러시아교회에 요구하시는 하나님의 음성에 응답하는 유기적인 신앙공동체가 될 때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바른 교회의 바른 성장이라는 것이다. 러시아교회의 특징으로는 신학적 특징으로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성례전의 중시와 사랑의 신학 그리고 도덕성과 부활의 신학을 들 수 있다. 예배학적 특징으로 러시아 교회가 지니고 있는 신앙전승 속에는 말씀의 선포뿐만 아니라 찬양과 시 낭송 등 신앙고백적인 적극적인 참여를 들 수 있다. 목회학적 특징은 공동체정신을 바탕으로 친교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러시아 교회의 선교 신학은 과거 핍박의 시기를 지나는 동안 교회들은 기본적으로 에큐메니칼 정신을 공유하고 있다. 개척교회의 분류는 러시아교회의 신앙전승을 토대로 하는 교회들과 모스크바 장로교 신학대학교에 의해서 개척된 교회들로 나눌 수 있다. 개척된 러시아교회들은 비록 한국교회의 협력 속에서 개척되고 있을지라도 러시아 교회가 지니고 있는 신앙의 전승 속에서 러시아적인 장로교회로 태어나야 한다. 러시아 교회는 러시아에서 역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러시아 교회는 러시아에서 요구되는 개인의 영혼구원과 함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예배 공동체인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에서는 선교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 본질이 선교적이며 선교적이어야 한다. 선교적인 교회만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교회가 된다. 하나님의 선교는 한국교회 뿐만 아니라 오늘 러시아교회에서도 요구된다. 러시아 교회개척과 러시아 교회의 성장은 교회의 제도나 교회에 대한 단순한 개종을 넘는다. 이것은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개종하는 교회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이 세상에서 실천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함으로서 새로운 변화를 찾을 수있다. 그 동안 양적 성장을 거듭한 한국교회에게 교회 갱신의 필요성과 교회갱신 기회를 갖게 한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질적인 성장을 위한 선교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자기를 돌아보고 반성하며 쇄신하는 겸손한 자기 비움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러시아교회와 파트너쉽(partnership)의 선교를 통해서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되고 성령의 전이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된 세계교회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러시아교회의 개척은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개교회 차원의 단순한 한국교회의 이식과 확장이 아니라 러시아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 안에 있는 지체로서 의미를 가진다. 러시아교회는 러시아의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그 동안 성장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러시아교회는 러시아 정교회에도 충격을 줄 수 있도록 개인구원과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우월한 도덕성을 계속 전승해야하고 다양한 계층에서 요구되는 삶의 질문에 대해서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응답 해야한다.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과 함께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삶으로 모두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 가야한다. 이를 위해서 러시아 교회는 특히 정교회의 선교신학 가운데 하나인 사랑의 신학으로 모두를 포용하는 선교를 해야한다. 오늘날 선교의 내용과 활동도 변하고 있다. 이것은 세상과의 관계 속에 있는 교회도 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근본적이고 선교의 큰 틀인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러시아교회가 열린 마음으로 러시아라는 세상과 친교를 이루어 갈 때 러시아 교회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강한 믿음과 소명의식 그리고 리더쉽(leadership)과 책임감을 가진 목회자들과 선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한국교회는 러시아교회를 통해서 나눔과 친교공동체로서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고 있음을 기억해야한다. 하나된 교회를 위해서 한국교회는 값비싼 하나님의 은혜를 구할 수 있어야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삶을 나누는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을 보여주어야 한다. 다양하고 활발한 선교활동가 곧 값비싼 은혜는 아니다. 교회와 세상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교회는 값싼 은혜 속에 있다. 오늘 한국교회에게 필요한 것은 한국교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값비싼 은혜를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가운데서 구해야한다. 한국교회는 값비싼 은혜가운데서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을 남기고 자기비움으로 경계를 넘어가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해야 한다. 우리를 변화시키고 화해시키는 하나님의 선교는 한국교회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편애하시는 가난한 사람들과 약한 자들과 억압받는 자들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나누고 치유하는 교회가 되도록 할 것이다.

      • 광주·전남지역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의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자오링링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China has gradually globalized, consumers in China have changed for culture-oriented consumption life, getting out of the propensity to materially consume. In particular, China has imported Korean popular culture such as Korean drama, K-pop, and Korean movies since the end of 1990s, which triggered the Korean wave in China, and brought out growing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society such as fashion, food, cosmetics, and hair style, together with sensational popularity in Korean pop culture such as Korean drama, K-pop, and Korean movies. China with approximately 1.3 billion people serves as a manufacturing plant of the world, which is grabbing attention from the world people for the global market. Together with rapid growth in economy, increased income and education levels,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the quality of average life has risen, so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people has changed from the basic necessities of life to decent life which they can afford. Following global luxury goods and the latest fashions in Europe is not a rare case any more in China today. Such a change also has led to change in clothing consciousness of the people in China. For Chinese today, clothing is no more a fundamental need, but a symbol for personal satisfaction or individuality expression, representing their social status. Behind this, there is considerable purchasing power of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South Korea.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use and enjoy trendy Korean clothing, culture and music, and then recommend and promote them to their family and friends in China. Research on purchasing behavior of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will enable Korea clothing industry to establish long-term strategy and strategy for its advancement to Chinese market. Thus, this research herein aims to investigate what difference the purchasing behavior can mak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argeted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on their purchasing Korean clothing product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what difference each of the purchasing behavior can mak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region, academic background,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and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by classifying purchasing behavior into 5 factors (i.e. purchase motivation, information source, apparel attribute,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after-purchase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intended for Chinese students attending 10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nnam areas, including Honam University, Chosun University, Gwanju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Women's University, and Nambu University in Gwangju, Sunchon National University in Sunchon, Sehan University and Mokpo National University in Mokpo, and Dongshin University in Naju. For data collection, a total of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rom May 7, 2014 to May 18, 2014 with each 25 copies of them distributed to the universities, and the 208 copies of them were collected. Out of them. a total of 183 copies of them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except for 25 copies of them having inappropriate responses.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values of items 'Because of the change of seasons', 'Purchase experience in their past', 'Color', 'Quality of Product' and 'Suitability of body type (comfortable wearing sensation and size)' were the highest 3.60, 3.27, 3.85, 3.74, and 3.60, respectively for purchase motivation, information source, apparel attribute,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after-purchase satisfaction. Purchasing behavior by ag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wo items 'worn clothing' and 'to show financial afford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region, and the four item 'to show financial affordability', 'because of the change of seasons', 'to wear trendy clothing', and 'to wear clothing on holidays and birthday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cademic background, mean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Firstly, when it comes to purchase motivation, the four item 'Because of feeling the urge by seeing clothing displayed in shops', 'To wear trendy clothing', 'Because of desire to wear new product of fashion magazine' and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The four items 'Because of feeling the urge by seeing clothing displayed in shops', 'to wear trendy clothing', 'to express my individuality with clothing' and 'because of desire to wear new product of fashion magazi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Secondly, when it comes to information sour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region, meanwhile the two items 'advice from sales clerk' and 'advice from friends or co-work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cademic backgrou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resident period in South Korea. The four items 'clothing of entertainers and celebrities', 'advertisement through printing media (e.g. newspaper,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 'newspaper and broadcasting articles about fashion', and 'display of shops or shop window'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meanwhile one item 'clothing of entertainer or celebr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Thirdly, when it comes to a 중국은 점점 글로벌화가 되면서 중국 소비자들이 물질적 소비성향에서 벗어나 문화 중심적 소비의 삶을 추구하도록 변화시켰다. 특히 1990년 말 이후 중국은 한국드라마, 가요, 영화 등 대중문화를 수입하여 큰 인기를 끌어 ‘한류’가 형성 되었으며, 한류열풍으로 중국에서는 한국의 드라마, 가요, 영화 등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선풍적인 인기와 이에 의해 촉발된 패션, 음식, 화장품, 헤어스타일 등과 함께 한국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와 함께 13억이라는 방대한 소비인구를 갖고 있는 중국은 전 세계의 제조공장으로서 또한 세계시장으로 세인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경제적인 급성장과 더불어 국민들의 소득 수준이 증대, 교육수준의 향상, 생활수준의 개선 등으로 평균적인 삶의 질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본적인 의식주 수준에서 이제는 어느 정도의 여유를 추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소비패턴이 바뀌었다. 세계적인 명품을 구매하고 유럽 및 최신유행을 추구하는 것은 중국에서 더 이상은 과거에는 보기 드물었던 희한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인들의 패션에 대한 의식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의복은 더 이상은 의, 식, 주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욕구가 아니라 개인의 만족이나 개성표현 또한 자신의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기 위한 상징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중국학생들의 구매력을 무시할 수 없다. 재한 중국유학생들은 한국의 패션, 문화, 음악 등을 직접 사용하고 중국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홍보하기도 한다. 중국 유학생들의 이런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류의 장기적인 전략과 한국의류산업의 중국진출을 위한 전략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패션의류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서의 구매행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매행동을 구매동기, 정보원천, 의류제품 선택속성, 점포선택기준, 구매 후 만족도 등 5가지로 구분하여 연령, 지역, 학력, 한국 거주기간, 한달 평균 용돈, 한달 평균 의류구매 지출 등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설문지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광주·전남지역의 10개 대학에서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0개 대학은 광주지역의 호남대학교, 조선대학교,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남부대학교이고 순천지역의 순천대학교, 목포지역의 세한대학교, 목포대학교, 나주지역의 동신대학교이다. 자료의 수집은 2014년 5월 7일부터 5월 18일까지 각 대학별로 25부씩 총 250부를 배부하여 최종 208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내용이 불완전하거나 성실하지 않은 25부를 제외한 총 18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구매동기에 있어서는 ‘계절이 바뀌므로’ 문항의 평균값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원천에 있어서는 ‘본인 과거의 구매경험’의 평균값이 3.2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의류상품의 선택속성에 있어서는 ‘색상’의 평균값이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점포선택기준에 있어서는 ‘상품의 품질’의 평균값이 3.74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구매 후 만족도에 있어서는 ‘체형과의 적합성(편안한 착용감, 사이즈)’의 만족도 평균값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 있어 연령에 따른 구매행동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동기에 있어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지역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옷이 낡아서’, ‘경제적으로 여유있게 보이기 위해서’의 두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경제적으로 여유있게 보이기 위해서’, ‘계절이 바뀌므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명절, 생일 등에 입기 위하여’의 네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거주기간에 따른 구매동기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 평균 용돈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매장에 전시된 의복을 보고 충동을 느껴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패션잡지의 신상품을 입고 싶어서’, ‘사교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 의 네 문항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달 평균 의류구매 지출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매장에 전시된 의복을 보고 충동을 느껴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옷차림으로 나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패션잡지의 신상품을 입고 싶어서’ 의 네 문항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정보원천을 살펴보면, 지역에 따른 정보원천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정보원천의 차이에 있어서는 ‘판매원의 조언’,

      •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기념품 구매속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우타오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관광기념품 개발 및 판매의 활성화는 관광수입 증대에 기여하는 등 관광산업발전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역 고유의 관광기념품 개발은 판매수익을 증진하고 고용을 증대하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관광기념품은 여행의 추억을 상기시킬 뿐 아니라 여행경험을 증명하는 수단이며, 사람들은 기념품을 소유함으로써 어느 정도 강한 실제감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에 대한 관광기념품 구매속성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이론적 틀을 정립한 다음,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양국학생간의 구매속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광기념품사업자에게 관광기념품의 개발 및 판매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관광객은 한국 전체 외래 관광객의 비율 중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면서 한국관광에 중요한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중국유학생은 전체 유학생의 68.91%로 매우 높은 비중을 보이며 양적부문과 성장률에서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국인과 외국인의 구매속성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고 관광기념품을 개발할 경우 관광기념품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내·외국인간의 구매속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시기는 2011년 2011년 05월 20일부터- 2011년 05월 29일까지 10일 동안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표적 대학교 4곳인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340명을 연구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총 340부를 배포하여 310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일부 주요항목의 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17부를 제외한 유효한 설문지인 293부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연구과 현장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범위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대학교 중 연구방향에 부합하고 대표성을 지닌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회수된 설문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기념품 구입이유와 구입하지 않은 이유에 있어서 특히 관광지의 특징을 담은 상품이 없어서와 다른 곳에서도 살 수 있어서라는 항목이 높게 나타났는데, 관광기념품은 우선적으로 소재의 다양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 유형의 소재뿐만 아니라 무형의 소재를 이용한 제품기획과 보편타당하고 특색 있는 의미부여로 천편일률적인 형태에서 진일보한 다양하고 독특한 관광기념품을 개발해야한다. 둘째, 한국대학생과 중국유학생 중 모두 개인관광의 형태가 가장 높았고, 중국유학생은 차선으로 단체관광의 비중이 높았지만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단체관광과 가족관광의 비중이 비슷하였다. 특히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모두 관광정보원에서 인터넷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TV나 인터넷, 관광 관련 책자를 통해서 중국유학생은 인터넷, 여행사나 친구를 통해 관광정보를 얻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광프로모션이나 정보제공의 원천이 되는 이곳들의 정보제공 수월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광비용에서 한국인 학생들은 본인수입과 타인의 도움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타인의 도움이 압도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셋째, 관광기념품의 재 구매와 추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관광기념품의 가격 및 품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생산업체와 판매업체에서는 다양한 소재의 개발과 함께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베트남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구발 방안 연구 : -대학 강의용 교재를 중심으로-

        부반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베트남과 한국 간의 수교 이후 양국의 경제ㆍ정치ㆍ문화 교류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한국어 통ㆍ번역 인재와 한국 관련 전문가 수요의 증가로 한국 관련 인력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베트남 학습자들이 날로 늘어나면서 한국어 자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특히 이들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다. 그동안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 이민자와 외국인 유학생과 관련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기능별 교재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본격화되지 못하였으며,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 특히 대학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베트남 학습자의 주요 학습 목적이 한국 사람과 유창하게 의사소통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이들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본고는 베트남 내 대학교 한국어과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상황을 살펴보고,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초급 교재와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교재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베트남 대학교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를 위한 초급 말하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과 교재 개발에 관련된 기존 연구 및 말하기 교재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베트남 대학에서의 말하기 교육 현황과 실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교육 과정,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현황과 사용하는 교재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하노이 국립 인문사회대학교와 홍방국제대학교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제3장에서는 말하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1절에서는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와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교재를 분석하였다. 교재분석은 주로 교재의 내적 구성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주제, 어휘, 문법, 말하기 활동 유형, 그리고 교재의 현지 적용 가능성을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제2절에서는 교사 요구 분석 결과와 학습자 요구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설문조사의 구성은 학습자 기본 정보,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련한 질문, 말하기 수업에 사용하는 교재와 관련된 항목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요구분석을 통해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교재 개발과 교수 방안을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절에서는 제1절과 제2절에서 도출된 결과를 분석한 후 말하기 교재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실시한 분석 결과를 통해서 베트남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 방안과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실제를 제시하였다. 2장과 3장에서 살펴본 베트남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 설문조사,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단원 구성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요목 설계와 실제 교재 모형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논문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과제에 대해 기술하였다.

      • 베트남 내 대학교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연구

        트란티반 호남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developing translation textbooks for lectures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of Vietnamese learne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d already published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nd also analyzed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teachers, learners, and related work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poi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university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Vietnam, and suggested development plans for lectu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that respond based on the needs of teachers, learners, translators, and practitioners. In order to develop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learners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the field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teachers and learners in Vietnam and the work situation and role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address the following topics. First, the component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of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re identified. Seco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in Vietnam is analyzed. The educational reality to be analyzed include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used textbooks, and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analysi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isting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were distinguished. Third, a demand survey was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Vietnam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suitable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ther words, it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 of awareness, satisfaction, and demand for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eachers in charge of the subject.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what Korean language is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the job contents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needs of current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urth, based on the previous basic research, the goal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as finally set, the curriculum and syllabus were desig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were comprehensively developed. Considering this, a correspond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proposed. This study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conducted overseas, especially in Vietnam, ra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Based on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above research,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clarifi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addition,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were identified. In Chapter 2,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ere explored from the cont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hapter 3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Vietnam, and in particular, analyzed the aspect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published in Vietnam. After selecting and analyzing representative textbooks among them, problems that exist in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then applied to the textbook composition plan.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were developed by Korean learners (132 people), teachers (30 people),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workers (66 people). Through the demand for textbooks, th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demand for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instructors in charge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to have a practical perspective o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in Vietnam. In Chapter 5,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eds of learners, teachers, and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Chapter 4,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ere presented, and the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used in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actual unit composition based on the curriculum and syllabus, an appropriate method of composi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as also presented. Finally, in Chapter 6,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were summarized and organized, and the shortcomings in the development of logic,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tasks were reviewed.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통번역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베트남 내 대학 강의용 통번역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베트남 대학의 통번역 교육 현황과 이미 출판된 통번역 교재를 분석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원과 학습자, 관련 종사자에게 통번역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 조사도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재 베트남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학용 통번역 교재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파악하고 교원, 학습자,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토대로 대응하는 강의용 통번역 교재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제 통번역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통번역 실태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및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업무 상황과 역할에 대해서도 충분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첫째, 통번역 능력의 구성 요소, 통번역 교육, 그리고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개발 원리를 파악한다. 둘째,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의 한·베 통번역 교육 실태를 분석한다. 분석할 교육 실태에는 교육목표, 교육과정, 사용교재를 포함하며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장단점을 구별하였다. 셋째,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학습의 주체인 한국어학과 학습자와 해당 과목 담당 교사가 현재 수행 중인 한·베 통번역 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한국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한·베 통번역과 관련된 종사자의 업무 내용을 알아보고, 현직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넷째, 앞선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마지막에는 베트남 내 4년제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한국어 통번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응하는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이 아니라, 해외, 특히 베트남에서 실행되는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범위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절차를 규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통번역 교육의 내용부터 통번역 원리를 탐구하였다. 제3장에서는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 현황을 살펴봤는데, 특히 베트남에서 출판된 한·베 통번역 교재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중 대표적인 교재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한 후,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존재하는 문제를 제시한 다음, 이를 교재 구성 방안에 적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존의 한·베 통번역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132명), 교사(30명), 통번역 종사자들(66명)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에 대한 요구를 통해 베트남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교재 개발 방안에 반영하였다. 아울러 베트남에서 한국어 통번역 교육 및 통번역 교재에 대한 현장의 실제적인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통번역 수업 담당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도 진행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의 학습자, 교사 및 통번역 종사자들의 요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원리 및 방향을 제시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예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적절한 구성 방식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H대 사회봉사과목 수강 대학생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정진희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사회봉사에 대한 사회적인 필요성과 요구로 인해 대학차원에서의 사회봉사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대학생들의 학습을 도모하는 교육활동으로 봉사학습이 폭넓은 지지를 받음으로써 대학 내 사회봉사과목을 통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급증하고, 이들의 봉사활동 관리 및 활성화 방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2004년 사회통계조사에 의하면 전체 자원봉사자의 60%이상이 6개월 이내에 봉사활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중도 탈락 현상은 새로운 자원봉사자를 교육시키고 훈련시키는데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기관의 업무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대상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등 사회 전체적으로 많은 비용 손실을 초래하여 자원봉사자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의 시급함이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봉사 과목 수강을 통해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봉사활동을 지속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급증하고 있는 사회봉사 과목을 통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개인요인(개인적 속성, 사회봉사과목 수강동기, 봉사활동 경험,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기관요인(기관의 유형, 봉사활동 내용, 봉사활동 시간, 담당자와의 관계, 기관에서의 교육), 학교요인(사회봉사과목 구성과 내용, 정책적 지원 및 관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호남대학교 재학생중 지역사회봉사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남·녀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10.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 중 대입이후 봉사활동 경험과 학년,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봉사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봉사활동을 지속하며, 사회봉사 과목을 통해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학생 수는 저학년일수록 많으나 중단하는 비율이 높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참여하는 수는 적으나 봉사활동을 지속하는 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관요인 중에서는 봉사활동 내용, 봉사활동 시간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노력봉사나 업무보조 등 간접적인 봉사활동보다는 프로그램 진행 및 보조, 학습 및 생활지도 등 직접봉사활동을 할 경우 지속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봉사활동 시간이 3-4시간 인 경우보다 1-2시간인 경우가 봉사활동을 지속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요인은 사회봉사과목 구성 및 내용과 정책적 지원 및 관리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봉사과목 구성 및 내용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책적 지원 및 관리에서는 전담부서의 역할과 프로그램 개발의 적극성, 지역사회와의 연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전담부서의 역할에 따라, 프로그램 개발의 적극성에 따라,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원봉사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요인 중에서는 학년과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이, 기관요인 에서는 봉사활동 내용, 학교요인에서는 사회봉사 교과목의 다양성이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효과적인 관리와 활성화 방안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자원봉사자 활용 기관 및 담당자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정과 배려 둘째,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성향을 고려한 봉사활동 배치 셋째, 대학의 사회봉사 전담부서 설치 및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조직 구성 넷째, 학교교육의 활성화 및 학교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social service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is considered important due to the social necessity and request on social service, and service learning as a educational activity is having support for enhancing the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As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ho attend university lectures of social service is on the increase, it is necessary to draw up programs for managing and encouraging the students'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ocio-Statistical Survey in 2004, however, more than 60% of the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are shown to give up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the middle of volunteering. Considering the cost and time used for educating and training new volunteers, the dropping-out of the volunteers causes enormous social cost loss including the efficiency decline in the operations of social welfare agencies and the quality deterioration in the services provided for those who need the services. Preliminary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urgent to take a measure for the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to be able to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ho attend university lectures of social service to continue their volunteer work, and find out measures by which the rapidly-increasing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can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For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ho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author divided the factors into the individual facto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motive by which the students attend the social service lecture, the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the recognition on volunteer activity), agency factors (types of agencies, content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hours of service activities, relations with persons in charge, training by agencies), and university factors (construction and contents of social service lectures and formal support and management).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e 146 male and females students in Honam University who took the local social service lecture were presented of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0.0. First, as for the individual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after entering university, academical year,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The more the students had the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more they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Among those who were lower-year students, the number of those who did volunteer work was high but the rate of dropout was also high. Meanwhile, in higher-year students, the number of volunteers was low but the rate of continuing was high.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tinuing social service activities due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Second, as for the agency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inuing social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content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hours of servic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students tended to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longer when they performed direct service activities such as progressing and assisting programs or teaching and life-guiding rather than indirect service activities such as mere labor-intensive activities or office assisting. Also, those who spent one to two hours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tended to continue their volunteer work longer than those who spent three to four hours. Third, as for the university factors including construction and contents of social service lectures and formal support and manag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in the construction and contents of social service lectur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role of agencies in charge, the positiveness of developing programs, and the connection with communities in the formal support and manage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tudents' continuing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showed differences due to the role of agencies in charge, the positiveness of developing programs, and the connection with communities. Fourth,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ademical year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in the individual factors, content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the agency factors, and curriculum diversity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were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continuing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presents proposal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encouragement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social welfare agencies and persons in charge on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2) the arrangement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individual inclinations, (3)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ervice department and the positioning of experts in universities, and (4) Promo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active support of university author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for promoting volunteer work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위까오엔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based on fundamental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documents collected by the on-the-spot questionnaire survey. The investigation is applied to thos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uch as Gwangju University, Chonnam University, Chosun Univeristy and Honam University. The collected questionnaire survey data is analyzed by use of SPSS/PC+for window 18.0 statistical program.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of tourists in choosing travel destination will be helpful for those destinations to develop or build corresponding policy in order to cater to consumers. It is also fruitful for tourism market: finding out the consuming tendency and making the tour plan with consumers focus will promote consumption.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suming psychology of young people and student tourists and to distinguish them from ordinary consumers and tourists. With the increase of tourists from college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take some measures to understand and handle their consuming psychology and potential deman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ercentage of choosing individual travel is largest both for Korean students and for Chinese students. The second choice for Chinese students is traveling with a group, while Korean students prefer to travel with a group or with family. About lodging, Chinese students generally choose hotel or motel, while Korean students prefer to stay at the pension. Different from the package tour organized by universities for on-the-spot investigation, students always travel individually during the holidays. The choice to lodging shows the national difference to some extent. Chinese students select hotel or motel which can be known easily, while Korean students like choosing pension. However,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have characters in common as students. The majority choose cheap apartments or Youth hotels. Accordingly, considering the requirements from students, more information about condominium or pension with cheap rent should be provided instead of expensive advanced hotel. The study shows that the Korean students prefer to travel with family, and the probability of private use of car for traveling is high. On the other hand, Chinese students mainly choose public transportation to travel. Based on above mentioned investig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me service being aimed at foreigners, such as city tour bus and transportation guide. Additionally, internet is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 for both students. In general, Korean students receive travel information from TV, internet or tourist guide, whereas Chinese students get internet, travel agency or their friends. For Korean students, the most of travel costs comes from their own income or partially from other’s support. However, for Chinese students those costs almost come from their family’s support. Aimed at Chinese students, some tour with Korean features may be developed and be used to increase Chinese students’ initiative of traveling.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oice difference to travel destin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ome planning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results. Some markets plan can be designed and some preferred tourism destinations can be developed. To attract more tourists from foreigner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provides a good way to balance the deficit of tourism income, which is induced by the increasing oversea travel of Korean people. Also it will help to activate the tourism market from Chinese students. In summary, this study highlights three issues as follows: Firstly. the residential range of objects involved in this study is limited. Thu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investigation in whole Korea for further analysis; Secondly, it should have more realistic value to use analysis on mental level, which based on investigation with deep-talking or interview focusing on special group; Finally. it is required to collect data through Systematic random sampling and simultaneously Longitudinal study, which can generalize this study`s results and achieve accurate conclusion.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연구과 현장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범위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대학교 중 연구방향에 부합하고 대표성을 지닌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회수된 설문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관광객의 관광 목적지 선정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관광지적 관점에서는 관광 목적지를 소비자의 경향으로의 계획개발이나 정책을 수행 하는데 도움이 되고, 마케팅적 관점에서는 소비자의 경향을 파악함으로 소비자 중심적 관광매력 계획을 수립하고 소비촉진을 돕는데 중요하다. 특히 청소년 및 학생관광객의 선택속성을 이해하는 것은 일반 관광자와 다른 특성을 갖고 날로 늘어나는 한국 국내의 대학생 관광수요와 중국 유학생 관광객의 관광 선택 속성을 이해함으로 잠재수요에 대비한 개발적, 마케팅적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특성은 한국대학생과 중국유학생 중 모두 개인관광의 형태가 가장 높았고, 중국유학생은 차선으로 단체관광의 비중이 높았지만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단체관광과 가족관광의 비중이 비슷하였다. 또한 숙박시설은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호텔이나 모텔 등을 주로 이용하였지만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펜션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는 학생들의 관광이 학기 중에 학교가 주관하는 답사나 시찰 등의 단체여행 보다는 대부분 방학기간을 이용해 개인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숙박시설도 중국유학생들은 호텔이나 모텔처럼 비교적 쉬운 선택 숙박서설을 이용하였지만 한국대학생은 주로 펜션을 이용한다는 이야기로 국적에 따라 숙박시설의 이용형태는 달랐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모두 학생신분에 어울리는 저렴한 콘도나 민박, 유스호스텔, 민박 등의 시설이 제대로 학생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이 못 됨을 보여주고 있는 내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관광은 방학시즌의 수요를 감안하고 비싸고 럭셔리한 고급 호텔보다는 민박, 콘도나 기타 저렴한 관광 숙박시설의 정보제공 등의 필요성이 강조 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연구 결과는 한국대학생은 가족과 같이하는 경향이어서 자가용 등의 교통편을 이용하고 중국유학생은 버스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외국인을 위한 버스 노선, 안내 기타 유사 교통편의 정보 제공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모두 관광정보원에서 인터넷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tv나 인터넷, 관광 관련 책자를 통해서 중국유학생은 인터넷, 여행사나 친구를 통해 관광정보를 얻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광프로모션이나 정보제공의 원천이 되는 이곳들의 정보제공 수월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광비용에서 한국인 학생들은 본인수입과 타인의 도움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타인의 도움이 압도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이는 중국유학생에게 보다 많은 한국적인 관광매력을 통해 관광동기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를 수 있는 한국대학생과 중국유학생간의 관광 목적지 선택 속성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도출 된 결론 들은 학생선호 관광지를 개발하고 마케팅계획을 수립함으로 한국인 해외관광객 증가의 경향으로 심해지고 있는 관광수지적자를 해외 학생관광객의 국내 유도는 물론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유학생을 국내관광에 유도함으로 관광수지적자를 해소하고 중국유학생들의 국내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는 첫째, 본 연구의 대상보다 한국 전국적으로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심층 면접이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정신적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병행하는 것이 실질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 종단적(Longitudinal study)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노력이 수행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표집(Systematic randomsampling)을 통하여 자료 수집을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대학사회봉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학학협동(學學協同) 프로그램 중심으로

        선우현 湖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각 대학에서는 대학의 사회봉사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봉사학점제를 점차적으로 늘리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의 실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사회봉사 활동이 대학의 특성과 부합되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대학 사회봉사활동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대학의 사회봉사활동은 대학생들이 봉사를 통해 배우게 하는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실현과 지역사회에 대한 열린 대학으로서 대학과 지역사회의 담을 허물며, 사교육비 문제와 같은 현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를 통한 의식 및 태도조사를 통하여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인식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국내외 대학들의 사회봉사활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대학 사회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대학의 사회봉사활동의 조직화 및 체계화를 통하여 봉사학습 방안을 모색한다. 넷째, 이러한 제반 내용에 근거하여 학학협동 프로그램이 대학의 사회봉사 활성화에 우리 나라 교육체계 전반에 활용 가능한 사회봉사활동의 모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이러한 연구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남대학에서 시도하고 있는 대학과 초중고 협력방안에 대한 모형인 '학학협동' 프로그램을 이론적으로 고찰했다. 따라서 광주광역시교육청이 학학협동 시범학교로 지정한 광주하남중학교와 어등초등학교 방과후 교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호남대학교 자원봉사자, 하남중·어등초등학교 교사, 하남중학교 학생, 어등초등학교 학생, 어등초등학교 학부모 대상으로 중간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근거로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시범운영 과정의 제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의 기술적 통계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교사가 77.07%로 가장 만족했고, 학생 69.67%, 대학생 봉사자 65.26%, 학부모 63.7%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68.92%가 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특히 교사선생님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교사들의 업무과중을 학학협동 프로그램이 일정부분 해소시킨 것이 요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사교육비 절감여부에 대한 기여도는 대학생 봉사자가 69.13%, 교사 64.56%, 학부모 61.96%순으로 전체 65.22%가 학학협동 프로그램이 사교육비 절감에 기여한다고 했다. 셋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을 다음 기회에 참여하거나 참여 시키겠다는 의견에 대해 학부모 88.47%, 학생 80.6%로 나타났으며, 대학생 봉사자의 경우는 33%를 차지했다. 대학생 봉사자가 낮게 나타난 이유에 대해서는 학기 단위로 운영 및 학점제 운영으로 교과선택상의 문제와 시간적인 여유 등의 문제로 다른 학생들에게 소개한다는 내용이 과반수가 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목 운영체계 확립의 조직화 및 체계화가 필요하다. 대학 사회봉사센터는 학학협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대학생 봉사자들이 지속성 확보를 위해 교과목 운영체계의 확립이 절실하리라 본다. 둘째, 학학협동 활동 인증제가 필요하다. 사회봉사센터는 봉사활동을 하는 봉사자들에 대한 보상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봉사 활동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지원과 역할 분담을 위하여 국가차원이나 대학에서 봉사활동의 실적과 수준에 따라 인증제도가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봉사자들에게 장학금 제도, 사회봉사상, 교통비 지급, 보험제도 등의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교생 실습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 대학생 봉사자의 교육의 질을 굳이 따진다면 교생실습과정을 방과후 교육활동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사범대학, 사회복지학과 계열, 사회교육전문요원 등의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에 대해서 방과후 교육활동을 실습과 동일하게 인정해 주는 방안이다. 대학의 사회봉사는 실용중심의 대학교육을 지역사회에 기여한다는 열린대학 정신이 강조되어야 한다. 대학은 지역사회와 더불어 공존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상급학교로써 초중고등학교와의 연계활동은 대학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중요한 것이라 하겠다. Lately every university recognize importance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y and is trend of increasing service mark system gradually. But It's true that mostly social service activations to become operative present are full of discrepant program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ies are realized service- learning that students learn through service and break down the fence between local community and university at open university on a local community and i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esent matter such as personal educational expense matter. This is link next. First, it grasp recognizing standard of a study cooperation program through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participant's investigation. Second, it grasp the realities of home and aborad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grape a device for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ation. Third it grope a service study device through systemation and organization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ies. Forth, by reason of these various contents,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exhibit a pattern of social - service activities to practical use in our general education system. This treatise study method considered a study cooperation program in theory on cooperation device of university, 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senior high school to being attempt in Honam university to solve this - study subject So, education organ of Kwangju city appoint it Kwangju Hanam middle school and Adng elementary take part in it education activities program after school Honam university volunteer Hanam middle school·Adng elementary teachers, students, parent of students on object it's conducted a study cooperation program exhibition running that it's middle question investigation data from base. To summaries this investigation finding is like next First, to look around statsfaction standard of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participant is like this. It's come out in order of teacher 77.07%, student 69.67%, university student servicer 65.26% and parent of student 63.7%, also general statisfaction standard is researched in 68.92% part of teacher's bussiness overweigh. it may be this reason that statisfaction standard of teacher is high specially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is solve requlor. second, contribution standard of personal educational expenses in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come out in order of university student servicer 69.13%, teacher 64.56% parent of student 61.96%, 65.22% of all think that a study cooperation program contributed to personal educational expenses. Third, the opinion to participate and be participated in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come out parent of student 88.47% student 80.6% and occupy 33% in case of university student . University student servicer come out lowly for reason of subject select in tern unit, accreditong system running and timely reserve, etc on this investigation, to exhibit activation device is like next First,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subject running system is needed. in policy fola study - cooperation activation, social service center need establishment of subject running system for continuous insurance. Second, attenstation system of a study - cooperation is needed social service center need to build compensation system on servicer attenstation system must be put in force for more systematic support and part assignment on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national or university situation through actual and standad of service activities. Third, It must grope activation device like a scholarship system, social service statue, traffic expense provision, insurance system to servicer to participate in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Forth, student and teacher exercise disposal device need. If it distinguish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 servicer. it can think way to alternate student teacher of exercise course with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it is a device to recognize samely between the college of educational professionally worker, etc and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Social service of university has to emphasize university education of forcalized practical using to open university spirit contributes to community university has to recognize in fact that it has to coexisted with community. It is important that joint activity as an advanced school a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 베트남 남부지역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버상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Ho Chi Minh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 Information Technology, Hong Bang International University, I will discuss the study direction and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through the Korean and Korean subject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each university. As a result, it examines the problem and suggests the posi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that it can provide way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not only in the southern part but also in Vietnam. In addition, I learned the communication of Korean learner in Vietnam and acquired knowledge about Korean studies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n Vietnam. The status of Korean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Vietnam is gradually evolving in general. However, If we look closely at the curriculum, there are relatively clear plans for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educational purpose of the Ho Chi Minh National Humanities and Social universities College among the three universities. In addition to SEGA University, Korean universities and Vietnamese universities have been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for a long time. However, in order to develop them in the right direction, the Vietnamese university related to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we need right direction. In addition, existing departments that major in Korean (or) science and those that are going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should t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curriculum under clear educational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and Korean studies in the southern part of Vietnam, or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Korean and Korean studies in the future. Many Vietnamese professors did not take courses in Korean studies, and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on Korean studies and information on textbooks.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and Korean education at Sagae University in southern Vietnam has been evaluated in detail at the present time. Therefore, this article can be helpful in study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in Vietnam in the future. 한국과 베트남은 양국의 수교 관계를 맺게 된 지 24년이나 되었다. 지난 1992년부터 지금까지 수교 이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비약적인 관계 발전을 이루어 왔다. 특히, 최근 베트남이 한류의 진원지라고 불릴 정도로, K-Pop과 한국 드라마, 한국 음식 등이 베트남 국민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아오고 있다. 양국 간의 인적 교류 또한 꾸준히 증가하여 연간 약 130만 명 이상이 상호 방문하고 있으며, 양국에 거주하는 국민들의 수도 각각 14만여 명에 달한다. 본고는 남부 지역의 호찌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 외국어 정보대, 홍방 국제대에서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대학교별 한국(어)학과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과목을 통해 교육 방향과 교육목적을 고찰하고 비교하는 내용을 다룰 것이다. 그 결과로 문제점을 점검하여 앞으로 남부 지역뿐 만 아니라 베트남 내에서 한국어 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겠다. 제1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 선행 연구 검토 등을 포함한다. 연구 배경 및 목적은 베트남 내에서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에 대해 일반적으로 소개한 후 호찌민 소재 대학교들 중에서 호찌민 국립 인문 사회과학대, 외국어 정보대, 홍방 국제대를 선택하는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남부지역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에 대해 정보를 조사하고 남부 지역 대학교별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의 일반 현황을 분석하겠다. 이를 통해 남부 지역 대학교별 설립 및 발전 역사를 알아보고 대학교별 규모를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베트남에서 남부 지역이 한국어 교육이 가장 활발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다음으로 호찌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 외국어 정보대, 홍방 국제대를 중심으로 대학교별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을 알아보겠다. 여기에는 대학교별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목적, 교과목 현황, 교원과 학생 현황, 교수요목 을 대학교별 담당자 인터뷰 및 홈페이지를 통하여 필요한 자료를 찾아보며 수집하였다. 제3장에서 한국어 학습과 한국어 교재에 관련된 질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다음에 설문조사 분석해서 대학교별 장점, 단점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3장을 통해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향을 찾아보았다. 문제점은 교육과정, 교육교재, 강사진, 졸업 후 학생 취직 4가지의 중심으로 하였다. 그 결과로 문제점을 점검하여 앞으로 남부 지역뿐 만 아니라 베트남 내에서 한국어 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았다. 제5장에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요약하고 베트남 남부지역의 한국어 및 한국학을 위한 교육 방향과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진옥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 진 옥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발달과업 중 필수라 할 수 있는 진로에 대한 문제들 을 들여다보고, 좋은 해결방안을 위해 함께 탐색하며 적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진로태도 성숙에 대해 기저를 이루는 변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변인 간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에 따라 서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 성장 마인드셋과 사회적 지지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 는가?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태도 성숙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 지는 매개효과가 있는가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국내 G 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 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참가자는 총 204명으로 남학생 67명과 여학생 137명이었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일련의 진술에 대해 참여자들이 얼마나 동의하거나 불일치하는 지를 나타내는 자기 보고식 리커트 척도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자료를 통해 대학 생들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태도성숙, 그리고 이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 과를 연구측정 할 수 있었다. 자료통계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을 시행했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고, Cronbach’s ⍺검증을 통해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또한, 변수 간 상 관관계를 분석하고 T-test, 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 Scheff를 실시하여 변수의 차이를 검증했다. 아울러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론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 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 마인드셋,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 성숙은 모두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생들의 진로선 택과 직업 세계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진로태도 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를 검증한 결과,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은 진로태 도 성숙과의 관계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 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태도 성숙에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진로태 도 성숙에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은 진로태도 성숙의 하위요인인 결정성 과 독립성에 각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의 매개 역할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태도 성숙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접근방법으로 성장 마인 드셋 강화 프로그램개발,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 구축, 진로태도성숙을 위한 교육 및 상담서비스 확대, 학교 생활만족도 향상 활동과 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아르 바이트 및 취업 경험, 동아리 및 봉사 활동 등과 관련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통하여 본인의 진로태도를 성찰하고 발전시킬 기회를 얻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요 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구체적인 의의와 제한, 후속 연구 의 개발과 필요성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에 도움 되기를 바란다. 향후 진로 및 직업상담 과정에 대학생들의 성장 마인드셋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다면 직업 세계와 진로선택에 대해 더 나은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또, 대학의 안과 밖에서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여, 멘토링이나 동아리 네트워킹, 상담서비스를 통해 본인의 진로태도를 성찰하고 발전시킬 기회를 얻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의의와 제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관해 확인하는 과정이 되었다. 주제어 : 대학생, 성장 마인드셋, 진로태도 성숙, 사회적 지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