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 개정 초등학교 중학년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교육 내용분석

        임선영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한국 사회는 점점 구성원이 다양하게 변화되면서 다문화사회를 향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2006년부터 다문화교육 정책이 시행되었고, 이후 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 내용을 반영하기 시작하였으며 개정에 개정을 거쳐 그 내용은 조금씩 확대되어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왔다. 교실 구성원이 다양해져 감에 따라서 교사들은 다문화사회를 매일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있으며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균형 있는 교육을 실행해야 하는 책무성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2020년의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 중에서 3~4학년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이러한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얼마나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사회과 교과서는 다양한 학생 캐릭터가 등장하여 학생들에게 학습활동 과정에서 친근감을 주며 다양한 캐릭터와 삽화 등 시각 자료를 등장시켜 현실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사회과에는 민주시민과 시민성 함양이라는 목표 아래 다양한 다문화교육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 분석 기준을 구안하여 내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기술 특성 분석을 위해 교과서의 캐릭터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분석 기준, 외모 분석 기준, 다양성 분석 기준, 다문화학생의 학습 참여 현황 분석 기준, 캐릭터, 삽화, 자료사진을 대상으로 지역 및 위치 분석 기준, 인종과 관련된 직업군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 내용요소 분석 결과 내용요소별 편향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내용 요소 중에서 정체성과 관련된 내용이 17회 나타났다. 세부 내용으로는 개별정체성이 1회, 집단정체성이 16회였다. 다양성은 20회로 나타났다. 세부 내용으로는 문화의 다양성과 관련된 내용이 15회, 타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대한 내용이 1회, 타문화에 대한 인정 및 관용에 대한 내용이 4회 다루어졌다. 3~4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정체성과 다양성에 대한 내용이 주요 내용으로 등장하게 되어 내용요소 분석 기준에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설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내용요소는 정체성 중에서도 집단정체성, 다양성 중에서도 문화의 다양성에 편중되어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요소의 집단정체성이 민족 중심적 시각에 편향되었다. 총 16회로 나타난 집단정체성과 관련하여 ‘우리…’, ‘우리 조상들은…’이라는 표현과 ‘우리나라’라는 표현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한민족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외국인 학생이나 중도입국 학생들의 경우 ‘우리 조상’이나 ‘우리나라’가 될 수 없는 상황이다. 다양한 학습자를 고려하여 민족 중심적인 내용 표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성에 대한 가치·태도와 관련된 내용 보완이 요구된다. 다문화교육 내용요소의 다양성과 관련하여 타문화에 대한 인정과 관용 영역은 다양한 갈등과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요소임에도 4회 등장하는 데 그쳤다. 타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대한 내용은 1회로 나타났다. 다양한 문화에 대한 내용 제시와 더불어 이러한 문화 특성을 가진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우리 사회의 현실과 관련하여 가치·태도와 관련된 내용 보완이 요구된다. 넷째, 교과서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성별 연령별 분석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10% 더 많이 등장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남녀 아동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으며 성인 남성, 성인 여성, 노인 여성, 노인 남성 순으로 나타났고 영유아는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다섯째, 교과서의 캐릭터가 좀 더 인종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캐릭터의 외모 분석 결과 한국인을 의미하는 동북아시아인이 96.7%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한국인으로 표현되었다. 동남아시아인, 서양인, 아프리카인, 기타의 분류로는 모두 2%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인을 제외하면 특별히 어느 인종에게 치우치지 않고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여섯째, 교과서의 캐릭터가 좀 더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캐릭터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 표현되었는지 분석한 결과 일반인 캐릭터가 96%로 절대다수로 나타났다. 장애인, 이주민, 기타 다양성 캐릭터의 경우 극소수로 표현되었다. 일곱째,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장면에서 다문화학생 학습 참여 및 적극적 학습활동(발표)과 관련된 캐릭터 표현을 늘려야 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장면 삽화는 총 85회 나타났고 이 중 11회만 다문화학생이 포함되어 있다. 발표 장면 삽화는 총 16회 나왔고 이중 다문화학생이 발표하는 장면은 2회에 그쳤다. 현실 교실에 존재하는 다문화학생 비율을 고려할 때, 다문화학생이 포함된 학습 장면과 발표하는 캐릭터를 더 늘려야 한다. 여덟째, 교과서에 나타난 지역이나 위치 정보가 보다 다양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지역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자료 중 한국과 관련된 내용은 91%로 나타났다. 그 외의 지역은 아시아, 유럽, 북미, 남미 순으로 나타났고 아프리카 지역이나 극지방, 대양주 등은 등장하지 않았다. 아홉째,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관련 시각 자료의 다양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교과서에 직업이 나타나는 시각 자료에 대해 인종과 직업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한국인 중심으로 등장하였다. 한국인의 직업별 분포는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성만 표현된 직업(택배/운송)도 있었고, 여성이 다수로 묘사된 직업(의료인)도 있었다. 아시아인과 서양인, 아프리카인이 극소수 등장하였으며 외국인은 주로 무용가, 요리사, 운동선수, 가수 등으로 표현되었다. Korean society is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as its members are increasingly diverse. Reflecting these chang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were implemented in 2006, and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gan to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expanded little by little through revisions several times, and eve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This researcher wants to examine specifically how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multicultural education are reflected in social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among the textbooks used by students in 2020. In this study,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by devising criteria for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elements focusing on identity and diversity. To analyze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 the criteria for gender age analysis, appearance analysis, diversity analysis, multicultural student participation status analysis, character, illustration, and data photography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analysis of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that bias by content elements was concentrated in terms of collective identity and cultural diversity. Second,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biased toward ethnic-centered view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pression of ethnic-centere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various learners. Third, supplementation of contents related to values and attitudes about diversity is required. Fourth, as a result of gender character analysis,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appeared almost the same, followed by men and women, men and women, and the elderly by age. Fifth, the characters in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express more racial divers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s appearance analysis, 96.7 percent of Koreans are Korean. Sixth, the characters in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express more diversity. Ninety-six percent of ordinary people's characters were found. It was expressed in very few cases for the disabled, migrants, and other diversity characters. Seventh, 10.6% of all learning scenes presented in textbooks showed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student learning and 2.4% of multicultural student presentation scenes. Multicultural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should be expanded. Eighth, the area or location information shown in the textbook should be expressed in more diverse ways. 91 percent of the data showed the location and location of the site related to Korea. Ninth, the diversity of job-related visual materials shown in textbooks should be secured. As a result of analyzing race and occupation on visual materials in which jobs appear in textbooks, most occupations have appeared centered on Korean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middle-grade social textbooks were presented based on identity and diversity, and ethnic-centered expressions such as our ancestors and our country are mainly expressed in relation to identity, and various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insufficient. Second, character analysis in textbooks has shown that many characters are Korean and ordinary. The proportion of characters representing racial and minority diversity was very poor. Since most of the characters related to jobs are also described as Koreans, it is necessary to expand diversity in relation to the criteria for characters appearing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future. Third,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and presentation scenes in relation to multicultural student charact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presented in textbooks is significantly less expressed than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as of 2020 and presentation scenes are very rare, so the appeara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presenting characters needs to be expanded.

      •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연구 :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 분석에 입각하여

        노재윤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외국인노동자, 국제결혼이주자, 유학생, 기업인 등의 급속한 유입으로 한국사회는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은 단일민족을 바탕으로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강조하고 자기 민족 중심의 우월감을 내세우는 교육을 해 왔다. 그 결과 한국인들은 자신도 모르게 다른 인종이나 민족에 대해 문화적 편견과 차별의식을 갖게 되었다. 이는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야기될 폭력‧차별 같은 여러 가지 갈등상황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수에 해당하는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이 시급히 요구된다. 그런데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고 편견을 갖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적응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교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 자료를 찾기도 어렵다. 경기도교육청 다문화교육 기본 계획서에서도 ‘교과별로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여 활용한다’라고만 언급되어 있을 뿐 일반화된 교과 자료를 아직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 교육현장에서 교과와 함께 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다각적인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를 통해 일반 학생들이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고 다문화 사람들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가지지 않도록 국어교과를 활용한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우선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방향, 교수‧학습프로그램의 목표‧내용‧방법‧평가 등을 살펴보았고, 교육과정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적인 내용을 분석한 후 교과시간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2009개정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 중에는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의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우리의 교육이 이제는 단일민족, 단일 국가의 차원을 넘어 세계와 소통하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소수자에 대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다문화교육을 적용하기 위해 2007개정교육과정 23종의 1학년 국어교과서(1,2학기 포함 46권)를 살펴보았다. 다문화내용을 직접 다루고 있는 제재는 전 교과서 중 단 15개(0.8%)뿐이었다. 이는 교과서 집필진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해 아직은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셈이다. 다음으로 학습목표와 소재들의 활용을 토대로 다문화교육을 하기에 적절한 제재 196개(10%)를 추출하였고, 이를 내용에 따라 사회정의, 다양성‧다원성, 정체성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각 영역의 교수‧학습과정안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은 기존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다문화적인 텍스트를 절충하여 다문화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교육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국어 교과서의 제재와 연결한 다문화 텍스트의 형태를 보면 ‘홍길동전-자전거 여행(동영상)’, ‘소나기-완득이(소설)’,‘헬로 인디아-인터넷 정보’, ‘매체와 함께-다문화 공익광고(동영상)’ 등이었다. 특히 광고를 활용한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다문화광고를 직접 제작하도록 하여 다문화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영역별로 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 후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문화 사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따라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공교육 현장에서 다문화사회를 이해하는 국어 수업의 예를 보여줌으로써 다문화교육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국어교과서의 제재를 활용한 수업은 다른 교과의 교사들에게도 다문화교육을 할 수 있는 하나의 실천적 방법을 제시한다. 새로운 다문화교육 자료를 찾기 보다는 기존 국어 교과서의 제재를 충분히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다문화 수업 프로그램을 전개하였듯이 모든 교과에서도 그 교과의 제재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을 통해 일반 학생들은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배우고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창의적인 태도를 갖게 될 것이다.

      •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분석 : 3-4학년을 중심으로

        박영준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has focused on curriculum and textbook policies amo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e' to analyze multi-cultural content of 3rd and 4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textbook of the 7th curriculum.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multi-culture content of the 7th and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s composed?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regarding multi-culture content between the 7th and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s? In order to achieve a systematic multi-culture education, inspection is required on whether contents related to multi-culture are evenly dispersed according to unit within textbook, and whether such content helps students encountering multi-culture society develop a multi-culture perspective. After considering precedent studies on multi-culture education policy and multi-culture related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analysis standard on multi-culture content of existing textbooks have been reorganized. 3rd and 4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have been analyzed in 1~3 rounds according to analysis standards, 1st classification being analyzed through direct and partial accordance domain based on multi-culture relevance, 2nd classification analyzed through identity, diversity, definition, equality, and multi-cultural civility domain based on essential content, and 3rd classification analyzed through knowledge, function, value, and attitude domain based on detailed goals. Results gained through analysi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of multi-culture content of the 7th curriculum, <partial relevance-diversity/definition․equality-knowledge> domain was noticeable in 3rd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 <partial relevance-diversity-knowledge> domain was noticeable in 4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 and <partial relevance-diversity-knowledge> domain was noticeable when composing 3rd and 4th grades together.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on multi-culture content of revised curriculum, <partial relevance-diversity-function> domain was noticeable in 3rd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 <complete relevance-diversity/definition․equality-value․attitude> domain was noticeable in 4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 and <partial relevance-diversity-knowledge/function> domain was noticeable when composing 3rd and 4th grades together.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achieved by synthesizing such results. First, multi-culture content unit dispersion has to be widened in order to achieve systematic multi-cultur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extbook. Second, content with high relevance with multi-culture has to be included in social studies textbook. Third, main domains of multi-culture have to be evenly covered in social studies textbook. Fourth, value․attitude domain is required to be strengthened in multi-culture content of textbook. Content with high relevance to multi-culture has to be exposed more often and in greater depth to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systematic multi-culture education, and reflection of hierarchical and balanced system regarding multi-culture content in textbooks of each grade is required. 본 연구는 ‘다문화’ 와 관련하여 교육부 다문화교육 정책 중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에 주목하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3․4학년 사회과 교과서와 7차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7차와 개정 사회과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7차와 개정 사회과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의 차이는 무엇인가?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되기 위해서 다문화 관련 내용들이 교과서 속에 단원별로 균형 있게 분포되었는지, 그 내용은 다문화 사회에 직면할 학생들에게 다문화적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우선 다문화교육 정책 및 다문화와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기존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분석 기준을 재구성하였다. 분석 기준으로 사회과 3․4학년 교과서를 1~3차 분석하였는데, 1차 분류는 다문화 관련성을 기준으로 직접․부분일치 영역, 2차 분류는 중요 내용을 기준으로 정체성, 다양성, 정의․평등, 다문화시민성 영역, 3차 분류는 세부 목표를 기준으로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7차 교육과정의 다문화 내용 분석 결과 3학년 사회과 교과서는 <부분일치-다양성/정의․평등-지식> 영역, 4학년 사회과 교과서는 <부분일치-다양성-지식> 영역, 3․4학년을 종합하면 <부분일치-다양성-지식> 영역이 두드러졌다. 개정 교육과정의 다문화 내용 분석 결과 3학년 사회과 교과서는 <부분일치-다양성-기능> 영역, 4학년 사회과 교과서는 <전면일치-다양성/정의․평등-가치․태도> 영역, 3․4학년을 종합하면 <부분일치-다양성-지식/기능> 영역이 돋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교과서에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다문화 내용의 단원 분포가 넓어져야 한다. 둘째, 사회 교과서에 다문화와 관련성이 높은 내용이 담겨야 한다. 셋째, 사회 교과서에서 다문화의 중요 영역들이 균형 있게 다뤄져야 한다. 넷째,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은 가치․태도 영역을 강화해야 한다.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다문화와 관련성이 높은 내용들이 많이, 자주, 깊게 노출되어야 하며 그 내용면에 있어서 각 학년 교과서에 다문화 내용에 대한 위계적이고 균형 잡힌 체계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존중감 향상을 중심으로

        전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존중감 향상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에서 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다문화 사회인 현재, 학교에서는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타문화, 타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다문화교육과 교육연극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초등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Ⅱ장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다문화교육의 배경과 개념, 목표, 접근방법, 존중의 개념과 유형, 교육연극의 개념과 종류, 효용성과 기법을 연구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한 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의의를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존중’내용을 중심으로 한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설정과 모형 설계, 차시별 프로그램 계획 및 내용과 특징을 제시하고 10차시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표설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해 존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둘째, 자문화·타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존중한다. 셋째,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비판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켜 사회정의 실현을 한다. Ⅳ장에서는 경기도 소재한 H초등학교 6학년 1반 23명을 대상으로 매주 월요일 2시간씩 10차시를 실행하였으며 존중감 향상과 다문화인식 변화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행 전·후에 다문화인식설문 조사, 인터뷰, 활동모습을 통해 검증하였다. Ⅴ장에서는 앞에서 검증한 결과를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교육연극기법 활용을 통해 재미를 느끼고 능동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자신, 타인, 편견, 차별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둘째, 무의식중에 자신도 몰랐던 고정관념과 편견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긍정적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반성의 기회를 가졌다. 셋째, 연극놀이와 극적인 활동으로 타문화, 평등의식, 다름과 다양함, 자신과 타인에 대해 이해하고 소중하다고 느끼며 존중해야겠다는 태도의 변화를 보였다. 넷째, 차별에 관련된 문제, 상황의 내용을 비판적인 사고로 바라보려는 연습을 하였으며 보다 긍정적이고 최선의 해결책을 찾아보려고 노력하였다. 따라서 다문화적 능력,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다섯째, 연극놀이를 통해 서로 상호소통과 이해로 인해 협동심과 친구와의 관계개선에 도움이 되었다. 여섯째, 위의 다섯 가지를 모두 내포하는 인간으로서의 성장이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디딤돌이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갖는다. A Study on Develop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Education Theatre : Focused on Enhancing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incorporates theatre education in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ense of respect. Today, in our society - a multicultural one – there are endless count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other or the other’s culture is different from the self or that of the self.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First, this study reviews precedent studies as they relate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atre education and suggests the need for a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ncorporates theatre education and that is targeted for students in upper elementary school grades. Section II review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bo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atre education. It provides a review of the former’s historical background, basic principles, purpose, approaches, and the concept and types of “respect.” This study further reviews the latter’s basic principles and types, expected benefits, and methods. Based of these reviews, the study identifies what it means to have a multicultureal education that incorporates theatre education and that is designed to improve the sense of respect. Section III provides objectives and model designs for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uses theatre education methods that are centered around the concept of “respect.” Offering lesson-by-lesson program plans, their descrip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velops a 10-lesson teaching plan for the teachers, and thereby offers a specific solution to the problem set herein. The program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develop abilities to respect the self and to respect the other. Second, understand and respect the culture of the self and that of the other. Third, improve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in order to resolv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nd achieve social justice. Section IV introduces an empirical study that was conducted at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The study took a group of 23 sixth grade students and executed the 10-lesson teaching plan every Monday for 10 weeks with each lesson lasting for two hours. Surveys, interviews, and behavioral observation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each lesson in order to examine and verify the program’s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sense of respect and on changing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Section Ⅴ integrates the verified results in the previous sections and suggests an overall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chieved: First, by using theatre education methods, students had fun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y gained interest in learning about the self, the other,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Second, they found that they had stereotypes and prejudices without even realizing, in their subconscience, and had the opportunity to reflect and repent and to feel the need for a positive change. Third, through the theatrical games and dramatic activities, students showed changes in their attitude, feeling that it is precious to have different cultures, sense of equality,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an understanding for the self and the other; and that they should have respect for these. Fourth, when students practiced thinking critically, when tackling the issues and situational contents of discrimination, they strived to find the most positive and constructive solutions. Therefore, it helped improve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y and social ability. Fifth, by requiring mutu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theatrical games helped students gain the spirit of team work and improve friendship among them. Sixth, the program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students to change and to grow into someone who has undergone the process of personal changes as described in the five aforementioned observations, and who has acquired multicultural compentency and social abilities through that experience. Therefore, based on these positive results, this study’s significance is found in the fact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t developed herein, by integrating theatre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sense of respect.

      • 미디어를 활용한 효과적인 다문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세계지리 교과 중심으로

        홍은옥 경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지리 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교육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다문화교육을 통해 일반학생들의 다문화학생에 대한 이해를 돕고 다문화학생이 한국인으로서 한국사회에서 빠르게 적응하여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해 두 개의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지리교과에서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가? 둘째,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은 다문화교육을 이해하는데 실제로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지리교과서를 분석하고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43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수업 전․후 학생들의 의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질문지와 면담을 통하여 진행하였고 질문지는 양적연구 형태, 면담은 질적연구 형태로 각각 분석하였다. 질문지는 학생들의 전체적인 의식변화 정도의 분석을 위함이었다. 면담은 대상 학생들의 구체적인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함이었다.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하여 알게 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리교과에서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한 결과,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학습 자료인 미디어를 활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끌기 충분하고 개념을 내면화시켜 인식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용했다. 둘째,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은 다문화교육을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미디어를 활용하여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고 난 이후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수업 이후 학생들은 다문화학생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리 교과에서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해 미디어를 활용한 다문화 교수․학습 지도안은 다문화를 위한 학습 효과가 크다. 미디어를 활용하여 다문화교육을 했을 때 학생들은 이해가 빠르고 오래 기억할 수 있어 좋다고 했다. 둘째, 다문화교육을 통해 일반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은 변화될 수 있었다. 설문지 분석 결과 다문화교육 이후 다문화학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학생 빈도가 높아졌다. 이를 통해 다문화교육으로 학생의 인식변화를 유도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심층면담 내용 분석 결과를 통해서도 학생들의 생각이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업을 운영하는 교사가 다양한 자료를 제시할수록 학생들은 많은 소재 속에서 다문화학생과 같이 할 수 있는 활동을 모색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수준에서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개념을 정립해 주고 목적과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관한 기본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국가 수준의 다문화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최근 다문화에 대하여 진행된 연구를 실제 학생들에게 맞게 재구성 해야 한다. 기존 연구 결과가 학교 현장의 교사와 함께 실제로 실행 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위해 미디어 자료를 활용하는 것은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연구되었으나 아직까지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미디어 활용 교수 방법의 개발이 미비한 상태이다. 다양한 자료의 개발이 효과적인 수업 진행에 도움이 되는 만큼 미디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 유아방문학습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정미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유아 대상의 방문학습지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의 정도와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교사들의 효능감을 알아봄으로써 학교교육기관 이외의 다른 현장에서 또 다른 방법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다문화사회를 함께 준비하고자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방문학습지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방문학습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의 이해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방문학습지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의 태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방문학습지 교사들의 효능감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분당, 일산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방문수업을 하는 교사 250명을 임의 표집하여 223부를 회수하고 219부을 설문 조사였다. 연구의 목적을 검정하기 위해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분산분석, T-검정,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 의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방문학습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의 이해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교육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가지지 못하고 어린 시기 유아를 만나 학습 시켜야 하는 시점에 다문화교육에 대한 오개념이 그대로 유아에게 심어줄 수 있으며 다문화교육에 대한 목표에 대해서도 동화주의적 관점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다문화교육의 인식을 높이고 이해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방문학습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훈련이 부족하다고 교사 스스로 생각하고 우리 사회 안의 다양성과 차이를 인식해야 한다는 태도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문화의 다양성을 가르치는 것은 갈등을 유발한다는 모순적인 응답의 결과로 보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해야 하는 유아기에 다문화교육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함양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셋째, 유아방문학습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효능감은 대체로 ‘보통이다’라는 응답의 결과가 나타나 다문화교육이 가장 시급한 다문화적 상황과 환경 속에서 교사가 가지고 있는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프로그램 제공 및 매체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교육에서 특히 유아기에 가정을 방문하여 1;1학습시키는 교사로서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시민으로서 자질을 함양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올바른 다문화교육의 개념, 목표, 내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다문화교육을 실천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아 특히 유아기로부터 다문화교육이 시작되어야 하기에 유아방문학습지 교사들도 다문화교육의 인식과 태도,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매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유아방문학습지 교사 스스로 다문화교육을 좀 더 적극적으로 실천하려는 노력과 지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초등 일반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은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지식과 기능 중심의 인지적 영역, 가치와 태도 중심의 정의적 영역, 실천과 행동 중심의 행동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세 영역을 포괄하는 타인 중심의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실천의지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가? 셋째, 학생들의 다문화 경험 유무에 따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용인시 소재한 Y초등학교의 6학년 1개 학급의 학생 31명을 연구 대상으로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창의적 재량 활동 시간에 6주간 총 6차시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 및 다문화 경험 유무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밖에 차시별 활동지와 소감문, 연구자의 관찰 등을 근거로 질적인 변화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분석에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다문화 프로그램 효과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는 유의도가 p<.05 수준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행동의지는 의도가 p>.05 수준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질적 분석에서는 다문화 태도의 변화가 두드러졌으며, 양적 분석에서 나타나지 않은 실천의지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학생의 다문화 경험 유무에 따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효과는 유의도가 p>.05 수준으로 학생의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다문화적 문제나 갈등 상황을 해결하려는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교사는 학교생활 전반에서 학생들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편견 없이 존중, 배려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일반 학생의 경우 다문화적 문제나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직접적인 경험을 갖기 어려우므로 교사가 다른 사람의 입장과 처지에서 생각해볼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간접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교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뚜렷한 목표 의식이 필요하다.

      • 오색다문화공동체 운영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효과분석 연구

        이현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오색다문화공동체 학교를 실시해 온 학교를 대상으로 오색다문화공동체 운영을 통한 다문화교육 효과분석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교육청에서는 2008년 15개의 학교, 2009년에는 91개의 학교, 2010년에는 90개의 학교, 2011년에는 104개의 학교를 대상으로 오색다문화공동체를 실시하였다. 오색다문화공동체란 다문화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일반가정 아동이 짝을 이루고 그들의 학부모와 담임교사가 한 공동체를 이루어 공통 체험학습도 함께 하며 각 담임교사가 다문화가정 아동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각 공동체에서 진행하였다. 이러한 오색다문화공동체 운영을 통한 다문화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색다문화공동체 학교 운영이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으로 만족을 주었는지 알아보고, 둘째, 오색다문화공동체 학교 운영에서 추구한 다문화교육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알아보고, 셋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오색다문화공동체 구성원들의 요구분석과 개선방안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2010) 자료를 토대로 다문화가정의 자녀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경기도교육청 다문화교육 기본계획(2011)을 바탕으로 오색다문화공동체 학교를 76%가 초등학교에서 운영되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경기도 지역의 오색다문화공동체 학교를 2년 이상 운영한 학교로서 5개 이상의 공동체를 운영한 36개의 학교에 설문지를 보냈으며 최종 설문지를 회수한 12개의 학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오색다문화공동체의 다섯 주체, 다문화가정 아동/학부모, 일반가정 아동/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에게는 만족도와 다문화 편견, 다문화감수성, 자아정체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교사에게는 오색다문화공동체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다문화교육, 학교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인간관계이론, 경기도 다문화 가정 실태와 경기도교육지원청의 다문화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오색다문화공동체의 개념이나 필요성 등을 알아보았다. 총 36개의 학교 중에 12개의 학교에서 수집한 205부의 설문지를 양적분석으로 연구하였으며 본 연구의 도구는 김영철(2006)의 설문지를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20문항으로 일반적 사항에 관한 질문 6문항과 오색다문화공동체 운영에 따른 인식 조사에 관한 14문항을 구성하여 총 20문항의 설문지를 제작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색다문화공동체 만족도는 집단별로 다문화가정 아동이 82.0%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가정 아동 78.6%, 다문화가정 학부모 68.8%, 일반가정 학부모 61.3% 순으로 집계되었다. 전체적인 만족도는 75.2%였다. 다문화가정 학생을 중심으로 일반아동 가정과 멘토링을 실시한 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학생에게 가장 큰 만족도를 가져온 것은 유의미한 결과였다. 오색다문화공동체 프로그램별 만족도는 (1) 담임교사와의 활동, (2) 다문화체험학습, (3) 또래 멘토링 활동 순으로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담임교사와의 활동이 가장 큰 만족도를 나타내었다는 것은 오색다문화공동체의 각 공동체 활동이 매우 중요함을 나타낸다. 둘째, 오색다문화공동체의 활동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력이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아동의 다문화감수성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이 오색다문화공동체의 같은 반 일반아동 친구와의 활동을 통해 친구관계가 좋아지고 학급에서 담임교사와의 활동을 통해 담임교사와의 원활한 소통의 기회가 많아져 학교생활이 좋아짐을 나타냈다. 일반아동에게는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활동과 체험학습의 기회를 통해 다문화 감수성이 높아짐을 나타냈다. 또한 일반가정 학부모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편견해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멘토링 활동이 지역사회생활 적응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색다문화공동체 구성원들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그램은 한국문화체험이었으며 공연관람이나 전시회, 문화체험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도움이 되었던 활동 역시 공연관람 등 문화체험이 가장 많았으며 한국 전통문화체험이 다음으로 나타나 다문화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문화체험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오색다문화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음이 명백해졌다. 오색다문화공동체를 운영한 교사들이 제시한 유용한 프로그램으로는 미술관 관람, 공연관람, 전통문화체험, 학부모와 함께하는 체험활동, 음식체험(김장하기, 송편 만들기, 팥빙수, 다른 나라 음식 등), 여러 나라 문화체험, 다문화가정 방문, 전통예절 체험, 다문화가정 부모의 나라 가보고 그 나라의 문화와 풍습 배우기 등이었다. 오색다문화공동체 운영 측면에서 교사들이 제시한 개선점으로는 첫째 교사의 업무 부담으로 활동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참여를 신청하기 꺼리는 학교도 있었다. 그러므로 참여한 학교 및 담당자의 인센티브 부여하여야 더 좋은 효과 및 교사들의 적극적인 활동이 기대된다. 둘째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을 많이 활용하여 지역사회에서의 지원과 함께 다문화교육이 되어야겠다. 셋째 일시적, 한시적인 지원정책이 아니라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 장기적인 안목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겉으로 드러내려 하지 않으려는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교사들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가 필요하다. 다섯째,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적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적용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오색다문화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모두 易地思之의 서로를 이해하려는 열린 마음이 필요하며 오색다문화공동체를 운영하는 교사들에게는 다문화가정과의 좋은 관계 유지,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한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적극적인 멘토링 활동,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상담활동들이 필요하다. 정책적으로 이러한 모든 활동을 운영하는 학교 및 교사들에게 인센티브를 주어 활동을 독려하고 다문화교육을 성숙시키는 밑거름이 필요하다. 핵심 되는 말 : 오색다문화공동체, 다문화교육, 담임교사와의 활동, 문화체험학습, 멘토링 활동, 다문화감수성, 易地思之

      •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연구

        김미선 서울교육대학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2010년 여성가족부에서 개발된 다문화 수용성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수도권 내 초등학생 다문화 수용성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초등학생 다문화 수용성 지수를 산출하여 국민, 청소년,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다문화 수용성 조사연구에서 개정된 다문화 수용성 진단도구(KMCI)를 활용하였고, 초등학생에 맞게 문장 및 단어를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인지, 정의, 행동적 측면을 고루 반영한 총 3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크게 3개 차원(다양성, 관계성, 보편성)과 8개의 하위 구성요소(다양성-문화개방성, 국민정체성, 고정관념 및 차별, 관계성-일방적 동화 기대, 거부회피정서, 상호교류행동의지, 보편성-이중적 평가, 세계시민 행동의지)로 체계화하였다. 본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울지역 초등학교에 고학년 3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 지수는 65.73점으로 성인 51.17점과 청소년 60.12점보다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높았다. 성별에 따라서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높았다. 그러나 성인과 청소년과 마찬가지로 초등학생들의 ‘일방적 동화기대’와 ‘이중적 평가’의 지수는 낮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다문화 교육 및 다문화 활동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높게 나타나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활동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대중매체를 통해 다문화 접촉기회가 많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게 나타나 다문화 관련 대중매체가 다문화 수용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이주민 목격 경험이 많거나, 외국인 접촉 빈도가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 직․간접적으로 외국인과의 만남이 다문화 수용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은 주변의 중요인물들이 외국이주민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수용성이 높음을 볼 때 초등학생들에게 주변인들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ISSP의 국민정체성 11개 항목에 대해, 한국 초등학생은 종족적 요인보다 시민적 요인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생의 다문화 한계인식과 국민정체성을 다른 유럽국가와 비교했을 때 배경이 다른 이주민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나 그들을 한국인으로 받아들이는 기준에 매우 포용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유럽과 한국의 다문화 사회 형성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다문화 사회의 갈등에 관용적이라고 결론짓는 것은 위험하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 대상 다문화 교육 정책과 교육과정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 정도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학교 다문화교육의 효과 분석 및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 변화추이를 가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다문화교육, 다문화수용성, 초등학생 다문화수용성

      • '다문화가정 대상국가(필리핀) 교사교류 사업' 참여 교사의 타문화 이해과정과 다문화 역량의 변화

        이유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다문화역량이 중요함을 토대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사 대상 다문화연수 중 <다문화대상국가와의 교사교류 사업>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에 파견되어 활동을 했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필리핀에서의 경험을 분석하여 참여 교사가 타 문화를 이해하는 과정을 살펴서 필리핀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해 나타내고, 이 사업 이후 참여 교사의 다문화역량 변화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리핀에 파견 되었던 초·중·고등학교 교사 7명을 심층 면담하는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2월~2019년 5월까지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고 사전 설문지와 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반구조화된 질문으로 1~2차 면담이 진행되었다. Bennett의 간 문화적 감수성 분석틀과 다문화 역량 분석틀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과정 중 자료의 신뢰성, 타당성과 연구의 윤리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참여 교사들은 필리핀에 가기 전에 고정관념, 지나친 단순화, 과도한 일반화 등의 편견을 보였다. 대부분의 교사에게서 필리핀은 우리보다 한수 아래라는 우월감이 발견되는 Bennett의 DMIS 단계 중 방어, 경시 단계의 태도가 보였다. 다만, 교육 경력이 20년 이상이고 외국에서 학생들을 가르쳐 본 경험이 있는 교사는 편견의 정도가 낮았다. 둘째, 편견이 감소하고 필리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증가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자신의 경험과 필리핀 사람들과의 활발한 교류 등을 통하여 자신의 편견을 인식했고 비판적 사고를 통해 편견을 수정해 나갔다. 또한 필리핀 사람들의 장점을 발견하여 국가에 대한 인식을 바꾸었으며 타 문화의 장점에 비추어 자신과 한국의 문화에 대해 성찰하며 비판적 사고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타 문화를 이해하는 과정과 필리핀에서의 경험에서 나타난 변화를 다문화역량의 구성요소인 지식, 인식·태도, 기술의 영역으로 살펴보아 사업 참여 후의 교사의 다문화역량의 정도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필리핀에 대한 정보와 다문화 관련 지식 및 교육 자료가 늘어났다. 파견 전 사전 연수를 통해 필리핀의 언어나 역사, 지리 등의 간단한 이론을 배웠고 개인적으로 필리핀에 대해 공부를 하기도 했다. 파견 중과 후에 지속적으로 한국, 필리핀 교사들과 교류를 하며 다문화 관련 교육 정보를 공유했고, 한국 학생들에게 수업 시 필리핀의 문화나 교사의 인식 변화 등을 들려주며 수업에 자료를 활용하였다. 둘째, 수용, 관용의 자세와 다름을 구분 짓지 않는 태도를 배웠다. 다양한 학생들이 있는 교육현장에서 참여 교사들은 각자 다른 학생들이 서로를 자연스럽게 인정하고 다름을 구분 짓지 않는 필리핀 사람들의 수용, 관용의 자세를 배웠다고 하였다. 셋째, 타 문화의 틀로 자신과 자 문화를 성찰하는 과정을 겪었다. 타 문화를 직접 경험하고 인지 갈등을 겪으며 스스로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돌이켜 보고 타 문화의 인지 틀로 나를 바라보며 그들의 장점에 비추어 자아 성찰을 하게 되었다. 또한 타 문화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문화를 바라보았을 때 깨달을 수 있는 자 문화의 성찰도 이루어졌다. 넷째, 다문화역량의 실천과 다문화교육의 성과가 있었다. 중·고등 교사들의 주지 과목은 수업 중에 다문화를 접목시키기는 어렵다는 의견과 함께 우리나라 대입 위주의 교육 시스템을 한계를 언급하였지만 초등 교사들의 경우에는 교육과정 변화를 통해 포괄적인 다문화 교육을 실천하였다. 자발적으로 다문화 연수나 업무에 참여를 하였으며,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인식·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였다. 또, 다문화 전공으로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외국으로 한국어 강사로 취업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참여교사들은 다문화역량이 강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파견 이후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고 성찰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르며 자문화 중심주의에서 문화 상대주의의 관점으로 타 문화를 이해하였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교사 대상 다문화연수에 참여한 참여 교사들이 문화적 배경이 다른 필리핀 사람들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문화적 갈등 현상을 규명하고 이에 근거하여 교사 개인들의 문화 차이에 대한 감수성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인지적·정서적 특성을 탐색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문화역량이 강화되었음을 나타내어 <다문화대상국가와의 교사 교류 사업>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이 사업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앞으로 나아가야할 바람직한 사업의 방향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방향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