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령전기 유아와 학령기 아동의 '가족'에 관한 인식 연구

        임선영 한국성서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유아 및 학령기 아동에 이르는 좀 더 광범위한 연령층에 포함된 아동들이 인식한 가족에 대한 이미지를 조명하고 그 의미와 갈등의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구제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령전기 유아와 학령기 아동의 가족에 대한 이미지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가족에 대한 이미지 조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거주하고 있는 학령전기 유아와 학령기 아동 총 5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령전기 유아 및 학령기 아동의 가족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그림그리기에 참여한 아동들로 학령전기 유아 30명과 학령기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방법으로 심층인터뷰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장연집(2000)의 자료 분석 과정에 따라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구성원에 대한 인식에서 학령전기 유아는 가족구성원에 대해 집 등의 같은 공간에서 함께 지내는 동거인과 동거의 유무와 관계없이 자신의 욕구 충족을 가능하게 하는 친척관계에 있는 사람들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령기 아동은 가족구성원에 대해 혈연관계의 가족구성원을 기본으로 하여 사회변화에 따른 새롭게 구성된 가정의 새 구성원들도 가족으로 인식하였으며, 친밀한 관계의 주변 사람들과 사물까지도 그 대상이 확대 되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는 학령전기 유아와 학령기 아동 모두 부모나 형제자매가 자신에게 사랑과 정서적 보상을 제공함으로서 정성을 다해 양육과 보호를 담당하는 애정적 양육자 그리고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는 제공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학령기 아동들은 가족에 대해 과거 전통적 성 역할에 대한 개념에서 벗어나 가사에 함께 참여하는 모습과 자신 보다 가족 구성원을 위해 희생하는 모습까지 확대하여 가족의 기능 및 역할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간의 갈등의 양상에 대해서는 학령전기 유아와 학령기 아동은 부모가 비 일관적인 태도로 약속을 이행하지 않거나 권위주의적인 태도로 자녀가 원하지 않는 행동을 강요하거나 욕구에 대해서 억압을 하고, 행동이나 상황 속에서 가족구성원과의 부정적인 대화를 경험하게 되고, 형제자매관계에서 자신의 생활영역을 침범당하거나 생활 속에서 우애에 대한 기대가 상실됨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학령기 아동들은 가족에 대해 가정생활의 제반 요소인 경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통해 가족의 기능 및 역할 수행에 대한 만족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에 대한 느낌에 대해서 학령전기 유아는 가족을 안전기지의 역할로서의 느낌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령기 아동은 정서적으로 하나라고 인식하고 서로가 서로를 보호하며, 따뜻하고 포근함과 보호의 대상임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about their families and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uch perception and the conflicts therefrom.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1. How about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mage of their famili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518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living in Nowon Gu, Seoul. In order to survey their perception about their families, the researcher grouped 30 preschoolers and the sam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oth of who had participated in a drawing program and thereb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according to Jang Yeon-jip's (2000) data analysis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ers tended to recognize their relatives as the subjects satisfying their needs regardless whether they were living together in the same space or not. On the other hand,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ended to recognize as their family members those family members newly incorporated into their families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s, and further recognized the familiar acquaintances and objects around them. Second, both groups of children tended to recognize functions and roles of their families including parents and siblings as the sources of their love and emotional reward. Namely, they perceived that those family members were rearing and protecting them with all their hearts, making them stable emotionally. In additi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ended to depart from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instead, felt that every member of the family would sacrifice themselves for the other family members, extending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family. Third, with regard to intra-family conflicts, both groups of children felt that their parents had not kept their promises, showing inconsistent attitudes or had urged them to do what they did not want or had oppressed their desires, showing some authoritative attitudes. Moreover, they had experienced some negative dialogues among their family members, while feeling that their living spheres were being infringed upon by their siblings or that their expectation of fraternity was being betrayed. In additi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satisfied with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ir families when the basic conditions for their family life or financial stability and physical health were met. Fourth, while preschoolers perceived that the family was playing the role of safe hav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felt that their family members were united into one emotionally, protecting and embracing each other.

      • 2015 개정 초등학교 중학년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교육 내용분석

        임선영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 사회는 점점 구성원이 다양하게 변화되면서 다문화사회를 향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2006년부터 다문화교육 정책이 시행되었고, 이후 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 내용을 반영하기 시작하였으며 개정에 개정을 거쳐 그 내용은 조금씩 확대되어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왔다. 교실 구성원이 다양해져 감에 따라서 교사들은 다문화사회를 매일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있으며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균형 있는 교육을 실행해야 하는 책무성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2020년의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 중에서 3~4학년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이러한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얼마나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사회과 교과서는 다양한 학생 캐릭터가 등장하여 학생들에게 학습활동 과정에서 친근감을 주며 다양한 캐릭터와 삽화 등 시각 자료를 등장시켜 현실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사회과에는 민주시민과 시민성 함양이라는 목표 아래 다양한 다문화교육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 분석 기준을 구안하여 내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기술 특성 분석을 위해 교과서의 캐릭터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분석 기준, 외모 분석 기준, 다양성 분석 기준, 다문화학생의 학습 참여 현황 분석 기준, 캐릭터, 삽화, 자료사진을 대상으로 지역 및 위치 분석 기준, 인종과 관련된 직업군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 내용요소 분석 결과 내용요소별 편향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내용 요소 중에서 정체성과 관련된 내용이 17회 나타났다. 세부 내용으로는 개별정체성이 1회, 집단정체성이 16회였다. 다양성은 20회로 나타났다. 세부 내용으로는 문화의 다양성과 관련된 내용이 15회, 타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대한 내용이 1회, 타문화에 대한 인정 및 관용에 대한 내용이 4회 다루어졌다. 3~4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정체성과 다양성에 대한 내용이 주요 내용으로 등장하게 되어 내용요소 분석 기준에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설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내용요소는 정체성 중에서도 집단정체성, 다양성 중에서도 문화의 다양성에 편중되어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요소의 집단정체성이 민족 중심적 시각에 편향되었다. 총 16회로 나타난 집단정체성과 관련하여 ‘우리…’, ‘우리 조상들은…’이라는 표현과 ‘우리나라’라는 표현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한민족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외국인 학생이나 중도입국 학생들의 경우 ‘우리 조상’이나 ‘우리나라’가 될 수 없는 상황이다. 다양한 학습자를 고려하여 민족 중심적인 내용 표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성에 대한 가치·태도와 관련된 내용 보완이 요구된다. 다문화교육 내용요소의 다양성과 관련하여 타문화에 대한 인정과 관용 영역은 다양한 갈등과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요소임에도 4회 등장하는 데 그쳤다. 타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대한 내용은 1회로 나타났다. 다양한 문화에 대한 내용 제시와 더불어 이러한 문화 특성을 가진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우리 사회의 현실과 관련하여 가치·태도와 관련된 내용 보완이 요구된다. 넷째, 교과서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성별 연령별 분석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10% 더 많이 등장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남녀 아동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으며 성인 남성, 성인 여성, 노인 여성, 노인 남성 순으로 나타났고 영유아는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다섯째, 교과서의 캐릭터가 좀 더 인종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캐릭터의 외모 분석 결과 한국인을 의미하는 동북아시아인이 96.7%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한국인으로 표현되었다. 동남아시아인, 서양인, 아프리카인, 기타의 분류로는 모두 2%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인을 제외하면 특별히 어느 인종에게 치우치지 않고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여섯째, 교과서의 캐릭터가 좀 더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캐릭터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 표현되었는지 분석한 결과 일반인 캐릭터가 96%로 절대다수로 나타났다. 장애인, 이주민, 기타 다양성 캐릭터의 경우 극소수로 표현되었다. 일곱째,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장면에서 다문화학생 학습 참여 및 적극적 학습활동(발표)과 관련된 캐릭터 표현을 늘려야 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장면 삽화는 총 85회 나타났고 이 중 11회만 다문화학생이 포함되어 있다. 발표 장면 삽화는 총 16회 나왔고 이중 다문화학생이 발표하는 장면은 2회에 그쳤다. 현실 교실에 존재하는 다문화학생 비율을 고려할 때, 다문화학생이 포함된 학습 장면과 발표하는 캐릭터를 더 늘려야 한다. 여덟째, 교과서에 나타난 지역이나 위치 정보가 보다 다양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지역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자료 중 한국과 관련된 내용은 91%로 나타났다. 그 외의 지역은 아시아, 유럽, 북미, 남미 순으로 나타났고 아프리카 지역이나 극지방, 대양주 등은 등장하지 않았다. 아홉째,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관련 시각 자료의 다양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교과서에 직업이 나타나는 시각 자료에 대해 인종과 직업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한국인 중심으로 등장하였다. 한국인의 직업별 분포는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성만 표현된 직업(택배/운송)도 있었고, 여성이 다수로 묘사된 직업(의료인)도 있었다. 아시아인과 서양인, 아프리카인이 극소수 등장하였으며 외국인은 주로 무용가, 요리사, 운동선수, 가수 등으로 표현되었다. Korean society is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as its members are increasingly diverse. Reflecting these chang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were implemented in 2006, and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gan to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expanded little by little through revisions several times, and eve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This researcher wants to examine specifically how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multicultural education are reflected in social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among the textbooks used by students in 2020. In this study,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by devising criteria for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elements focusing on identity and diversity. To analyze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 the criteria for gender age analysis, appearance analysis, diversity analysis, multicultural student participation status analysis, character, illustration, and data photography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analysis of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that bias by content elements was concentrated in terms of collective identity and cultural diversity. Second,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biased toward ethnic-centered view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pression of ethnic-centere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various learners. Third, supplementation of contents related to values and attitudes about diversity is required. Fourth, as a result of gender character analysis,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appeared almost the same, followed by men and women, men and women, and the elderly by age. Fifth, the characters in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express more racial divers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s appearance analysis, 96.7 percent of Koreans are Korean. Sixth, the characters in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express more diversity. Ninety-six percent of ordinary people's characters were found. It was expressed in very few cases for the disabled, migrants, and other diversity characters. Seventh, 10.6% of all learning scenes presented in textbooks showed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student learning and 2.4% of multicultural student presentation scenes. Multicultural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should be expanded. Eighth, the area or location information shown in the textbook should be expressed in more diverse ways. 91 percent of the data showed the location and location of the site related to Korea. Ninth, the diversity of job-related visual materials shown in textbooks should be secured. As a result of analyzing race and occupation on visual materials in which jobs appear in textbooks, most occupations have appeared centered on Korean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middle-grade social textbooks were presented based on identity and diversity, and ethnic-centered expressions such as our ancestors and our country are mainly expressed in relation to identity, and various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insufficient. Second, character analysis in textbooks has shown that many characters are Korean and ordinary. The proportion of characters representing racial and minority diversity was very poor. Since most of the characters related to jobs are also described as Koreans, it is necessary to expand diversity in relation to the criteria for characters appearing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future. Third,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and presentation scenes in relation to multicultural student charact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presented in textbooks is significantly less expressed than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as of 2020 and presentation scenes are very rare, so the appeara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presenting characters needs to be expanded.

      • 결혼준비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결혼준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론적 연구

        임선영 경기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결혼준비와 결혼만족이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결혼준비의 어떠한 하위 요인이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사는 107명의 기혼 남녀를 분석하였으며, 결혼준비와 결혼만족에 대해 조사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준비와 결혼만족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결혼준비 정도가 높을수록 결혼 후 결혼만족 정도도 높았다. 둘째, 결혼준비 하위 영역 중 특히 관계준비 측면과 결혼생활준비 측면이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결혼 자체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게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결혼준비 하위 요인 중 특히 역할분담, 상대방에 대한 파악과 이해(의사소통능력), 결혼관, 금전관리, 자녀양육, 성, 성숙이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을 앞두고 있는 개인이나 예비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결혼준비 프로그램이나 상담, 교육을 할 때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개입한다면 매우 효과적이며 더 나아가 결혼 후의 만족스러운 결혼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다.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d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premarital preparation. Therefore, analyzing the sample of married 107 people in the capital, I surveyed marital satisfaction and premarital prepar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ly,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premarital preparation, correlation is high. The premarital preparation is higher, marital satisfaction is high. Secondly, The relation-preparation side and the marital life-preparation side have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Thirdly, The division of role, understanding for spouse, a marriage value, the control of money, to care for children, sex, maturity have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must be intervene focused its attention the premary factor on influence for marital satisfaction.

      •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를 위한 건강코칭 프로그램 효과

        임선영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IMB 이론을 근거로 건강코칭 전략을 활용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이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 자가관리 지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 당뇨병 자기효능감, 당뇨병 자가관리 행위, 당화혈색소와 공복혈당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U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환자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9명, 총 55명을 대상으로 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실험 중재는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건강코칭 프로그램으로 집단코칭 8회, 전화를 이용한 개별 면담 및 전화코칭 4회로 구성되어 12주간 주 1회씩 운영되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11월 25일부터 2017년 2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당뇨병 관련 특성, 종속변수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고, 가설검정은 repeated measure ANOVA, paired t-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K-R20 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가설 1.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건강코칭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당뇨병 자가관리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1은 지지되었다(F=30.90, p<.001). ● 가설 2.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건강코칭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2는 지지되었다(F=17.03, p<.001). ● 가설 3.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건강코칭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당뇨병 자기효능감 점수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3은 지지되었다(F=122.79, p<.001). ● 가설 4.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건강코칭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당뇨병 자가관리 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4는 지지되었다(F=146.86, p<.001). ● 가설 5.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건강코칭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당화혈색소 수치가 낮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집단 간, 측정 시점 간 차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5는 지지되었다(t=-3.93, p<.001). ● 가설 6.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건강코칭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공복혈당 수치가 낮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집단 내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F=10.35, p<.001)가 있었으나 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6은 부분 지지되었다(F=2.14, p=.127).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를 위한 건강코칭 프로그램은 당뇨병 자가관리 지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 당뇨병 자기효능감, 당뇨병 자가관리 행위를 향상시키고 당화혈색소, 공복혈당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건강코칭을 전략으로 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적용을 제안한다.

      • R&D성과에 디자인씽킹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공연구기관의 R&D지원인력과 기술적 성과를 중심으로

        임선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생물학적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기술과 산업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기술혁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세계경제포럼, 2016). 또한 지식기반경제(Knowledge-based Economy)의 등장과 고도화로 인하여 지식의 습득과 교류 속도를 확산되면서 기존의 제도, 조직, 지식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술의 수명주기가 단축고 연구개발(R&D)의 불확실성을 증대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기업과 국가의 생존과 경쟁우위 선점을 위하여 기술력 확보는 필수조건으로 작용하게 되었다(송영화 외, 2016). 세계적으로 국가의 경쟁력의 주요 원천인 과학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기술혁신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막대한 양의 R&D 투자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투자 대비 성과의 효율성에 대한 이슈가 제기되고 있다. 국내 공공연구기관은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의 기반으로 기초과학을 넘어 응용과학까지 전 분야에 걸친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공공연구기관은 초기 역사적 특수성과 그로 인한 혁신기반 부재라는 국내의 악조건 속에서 국가 산업의 발전을 주도하고 산업 기술의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연구기반이 부족한 민간기업에 우수한 역량을 갖춘 연구인력을 공급하고 글로벌 경쟁력의 기반 마련에 중심 역할을 하였다. 공공연구기관은 민간기업에서 실패한 시장을 보완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의 기반이 되는 지식과 기술 창출 및 확산 등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 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공공연구기관의 역할을 고려할 때, 국가 연구기관으로써 성공이 예고된 연구가 아닌 사회의 수요 중심의 R&D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공연구기관의 새로운 역할 수행을 위하여 수요자를 깊이 이해하고 공감을 기반으로 잠재된 문제를 파악하고 분석적이며 통합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씽킹 적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기반으로 문제해결 방법론인 디자인씽킹이 공공연구기관의 R&D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디자인씽킹의 공감→통합적사고→실험주의 프로세스는 아이디어 탐색→문제 해결 과정→실험 및 실행이라는 기술혁신 과정과 유사한 프로세스로 R&D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디자인씽킹 하위요인에 특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교육 이수와 직무 관련 커뮤니티 활동에 따라 공감, 통합적 사고, 실험주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직기관에 따라 통합적 사고가 재직 기간에 따라서는 실험주의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Digital Revolution, the distinction between biological and physical space and digital space has become ambiguous, and new technological innovations have been made through the fusion of technology and industry. Is actively taking place (World Economic Forum, 2016). In addition, the advent and sophistication of the Knowledge-based Economy has spread the speed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interaction, blurring the boundaries of existing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knowledge. These changes are accelerating, the technology life cycle is shortene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R & D) uncertainty is increasing. In modern society, securing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s become a prerequisite for the survival and competitive advantage of companies and nations (Song movies, 2016). Technological innovation is further emphasized in efforts to secure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s a major sourc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globally, and the cost of huge amounts of R & D investment is continuously increasing, resulting in investment ratio results. Efficacy issues have been raised. Domestic public research institutes are conducting research in all fields, from basic science to applied science, on the basis of strengthening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public research institutes strive to meet the demand for industrial technology by leading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ndustries in the early historical peculiarities and the resulting innovation-based components and adverse domestic conditions. , Supplying research personnel with excellent abilities of private companies lacking research base, played a central role in building the foundation of global competitiveness. Public research institutes are required to supplement the failed markets of private companies and contribute to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and technology that will be the basis for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Given the role of these public research institute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social demand-driven R & D rather than research that has foretold success as 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In order to fulfill the new role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it is important to deeply understand consumers, identify potential problems based on empathy, and apply design sinkins to solve problems by integrated accidents in analysis. It is emphasiz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design sinkin, which is a problem-solving method, on the R & D result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based on the review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design sinkin's sympathy → integrated accident → experiment attention process has an influence that pays attention to the R & D result in the process similar 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rocess of idea navigation → troubleshooting → experiment and execution. Has been verifi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sinkin subfactor according to the norm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integrated accidents, and experimental attention depending on the education course and job-related community activities. It was clar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ention of the experiment depending on the length of employment.

      • 현존감 및 멀미에 대한 사용자 요소 분석

        임선영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가상현실에서 현존감, 멀미가 영향을 받는 특정 사용자 요인을 찾기 위한 실험이다. 현존감은 가상현실이 다른 디바이스와 차별화 된 몰입형 디스플레이로 구분되는 핵심 요인이다. 현존감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피드백(feedback loop)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특정 요인에 의해 발생된 멀미는 가상현실 경험을 중단시키는 문제이다. 본 연구는 특정 사용자 요인이 가상현실 멀미와, 현존감에 차이를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가설을 검증한다. 해당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 3차례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 같은 환경에서 20대와 50대의 연령에서 동일한 미션을 제공하고 안구 추적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안구 추적 방법에 차이가 멀미 감수성에 차이로 이어졌다 예측하였으며, 그 결과 50대 이상의 노안의 경우 시각 상전 운동에 안구 움직임 장애를 호소하였다. 해당 원인이 멀미 감수성을 높였다 예측한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사전 연구 리서치를 통해, 연령 외에 가상현실 멀미와 현존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예측한다. 마지막 연구에서는 예측 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사용자의 연령, 성별, 시각 굴절 장애(난시,근시), 민첩도(운동신경), 탈것에 관한 멀미 민감도가 가상현실 멀미와 현존감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한다. 실험은 20대의 남,여 실험자로 구성되었으며 하루 90분씩 5일동안 관찰을 진행하였다. 실험 환경은 소닉 게임과 유사한 형태로 디자인 되었으며, 자동 전진하는 환경에서 벽을 피해 동전을 수집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실험 변수는 해상도 변수 4개(양안 기준2160, 1080, 720, 540)와 컨트롤 변수(키보드, 머리 회전)로 총 7가지 변수로 진행되었다. 실험결과 해상도가 낮아짐에 따라 모든 피실험자의 멀미가 증가되었지만, 해상도 720에서 극심한 멀미를 호소하였다. 동시에 해상도 720에서 현존감도 함께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멀미와 현존감은 음의 관계성이 아니라 예측된다. 난시의 피실험자는 난시가 없는 피실험자 보다 높은 멀미 감수성을 제공 받았으며, 방향감각 상실 기반의 멀미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난시 N :102, 난시Y:140 ). 근시 유무에 있어서는 구역질과, 방향감각상실 기반 멀미에서만 차이를 확인하였다. 현존감 부분에서는 난시, 근시가 없는 사용자가 높은 현존감을 제공 받았다. 마지막으로 일차에 따른 멀미 민감도를 확인한 결과 실험이 계속 진행될수록 멀미 감수성이 낮아졌다. 이는 반복 학습을 통해 멀미의 일부분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을 경험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멀미와, 현존감이 변화한다는 가설을 일부 증명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용자 연령에 따른 FOV, 최적의 시점 높이 값을 확인해야 하며, 안구 굴절 장애(근시 ,난시, 원시)에 관한 세분화된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 to find user factors that are affected by Presence and Motion Sickness in Virtual Reality. Presence is the key to classifying virtual reality as immersive devices. Unlike traditional display devices. For the presence, a feedback loop should be made, and the motion sickness generated at this time is a problem that stops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s the hypothesis that a specific user element acts as a factor that differentiates between motion sickness and presence.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Pilot test, provided the same mission for ages of 20s and 50s and confirmed motion sickness and eye tracking in the same environment. We predict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eye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ge led to differences in the susceptibility of Motion Sickness. As a result, Oculomotor disorder was applied to visual elevation exercise in presbyopia over 50s. In the second study, we predict factors affecting virtual reality motion sickness and presence in addition to age. The final study is an experiment to identify predictive variables. Determine whether the user's age, sex, vision deficits (astigmatism, nearsightedness), agility (motor nerves) to mounts affect motion sickness and presence. The experiment consisted of 20s age male and female subjects, and they were observed for 90 minute / 5 days(total 450min).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as design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Sonic game, and it proceeds by collecting coins in an automatic forward environment. Experimental variables consisted of four resolution variables (resolution 2160, 1080, 720, 540) and control variables (keyboard, head rotation). There are seven variables. All subjects experienced increased motion sickness as the resolution was reduced, but extreme motion sickness was reported at 720. At the same time, there was also an increase in presence at 720 resolution. The subjects of the astigmatism were given higher motion sickness sensitivities than the ones without astigmatism, and were the biggest differences in directional loss-based motion sickness. As for nearsightedness, the difference between nausea and loss of directional sensitivity-based motion sickness was only identified. High Presence is provided by a user who does not have astigmatism or nearsightedness. Finally, result checking the sensitivity of motion sickness according to day by day, the sensitivity of motion sickness decreased as the experiment progressed. Repetitive learning can reduce parts of motion sickness. Research has shown some Confirmed that motion sickness and presence change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of users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Future studies should study FOVs and best point-in-time height values based on user age, along with detailed studies on eye flexure disorders (nearsighted, astigmatism, primordial).

      • 매체전환에 따른 극 공간연출 변화에 대한 디자인프로세스 연구 : 뮤지컬<김종욱 찾기>의 영화화를 중심으로

        임선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매체전환에 따른 원작 뮤지컬과 영화로 재창작된 작품을 비교한 연구로서, 공연매체와 영상매체를 고찰하여 각 장르와 형식적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술하고 매체별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차이를 구명하고자 한다. 최근 연극이나 뮤지컬이 영화나 TV드라마로 제작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거대 자본이 투자되는 뮤지컬과 영화, TV 매체는 경제적 수익성을 창출해야 하는 분야로 새로운 콘텐츠의 빠른 개발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원작을 다른 장르로 전환하여 재생산 및 재창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원작의 재창조 과정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것은 매체적 특성이고, 매체가 가지고 있는 형식적인 특성에 의해 이야기가 새롭게 재구성되고 그에 따른 극 공간의 시각적 표현방법도 확장과 변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대 공간의 표현방식이 어떤 이유로 달라지는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하다. 사실상 매체 전환된 작품의 공간비교는 제작되어진 작품 수에 비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이의 논의를 위해 매체전환 된 구체적인 작품사례인 뮤지컬 <김종욱 찾기>와 영화 <김종욱 찾기>의 매체적 특성에 따른 무대공간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원작에서 매체 전환하여 재창작된 작품에 대한 선행연구와 이론자료들을 수집하여 각 매체의 미학적, 기술적 특성에 대해 논하고, 공연매체와 영상매체의 상관성을 문헌연구를 통해 제시한다. 둘째, 뮤지컬 <김종욱 찾기>의 서사 내용과 공간연출의 형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영상매체인 영화 <김종욱 찾기>의 형식적인 특성에 의해 재구성된 이야기와 그에 따른 극 공간연출 표현의 확장과 변형을 분석한다. 셋째, 영화 <김종욱 찾기>의 프로덕션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매체적 특성과 영화 속 공간연출 방법의 상관성을 수립한다. 넷째, 원작인 뮤지컬 <김종욱 찾기>가 영화 <김종욱 찾기>로 재창작 되는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간표현 형식과 그것에 대한 기능적, 정서적 변화의 특징을 논의한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차례로 기술하였다. 본 논문의 본문인 2장에서는 공연매체와 영상매체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연과 영상의 매체 미학적인 특성과 장르별 공간연출의 표현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뮤지컬 <김종욱 찾기>와 영화 <김종욱 찾기>의 매체전환에 따른 특성을 서사 내용과 표현의 형식 변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뮤지컬에서 매체전환 된 영화 <김종욱 찾기>의 극 공간 디자인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영화의 매체성이 극 공간연출의 기능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에 어떠한 특징적 결과물을 보여주었는지 알아보았다. 공연매체에서 영화매체로 전환되는 뮤지컬〈김종욱 찾기〉와 영화〈김종욱 찾기>의 ‘극 공간의 시각화 전환’을 중심으로 살펴본 디자인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뮤지컬 <김종욱 찾기>의 무대공간은 연극적 상상력의 제한성, 전체성, 직접성에 따라 관객이 상상할 수 있는 상징들을 무대 위에서 표현한다. 소극장이라는 장소의 협소함에 거의 빈 무대이지만 조명의 움직임이나 프로젝터를 이용, 무대 뒤 스크린에 배경을 상징적으로 투사하여 공간감을 부여하는 맵핑(Mapping) 기법을 활용하여 공간적 3차원성을 표현하고 무대예술의 한계성인 장소 이동을 효과적으로 극복한다. 반면, 영화 <김종욱 찾기>는 영화적 리얼리티와 시공간 확장의 사용이 가능한 매체적 특성에 맞춰 스튜디오 세트와 로케이션, 오픈 세트를 프레임, 쇼트, 앵글 등의 화면구성 요소와 미장센, 몽타주(편집) 등을 고려해 구체적인 공간으로 디자인 하였다. 또한, 지각 방식의 차이에서 뮤지컬은 직접적 감각을 사용하며 관객과 쌍방적으로 소통하고, 집단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에 관객과 무대 위의 배우들 사이에는 암묵적인 약속이 가능하여 빈공간이나, 최소한의 도구로 무대를 간소화 할 수 있다. 이처럼 추상적인 무대는 관객의 극적 상상력을 자극하여 연극 본연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하지만 영화는 카메라로 매개된 감각임으로 간접적이며 관객에게 일방적 반응을 유도한다. 따라서 카메라 쇼트에 따라 동일화가 생기며 구체적 형상성, 공간의 동질성에 따라 관객은 심리학적, 미학적, 주관적인 각 개인의 경험적 감정을 느낄 수 있다.

      • 지역사회 취약성과 다양성이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임선영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Adolescence is characterized by a sudden change and growth of young boys and girls before they become an adults. In adolescence, social capital increases as social relations and activities of adolescents become diverse and expand. As adolescents' social capital influence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ir well being, happiness, self esteem, academic achieve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ocial capital in adolescence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examined factors that influence adolescents' social capital noting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in adolescence. This study examined an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on adolescents' social capital. First, whether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adolescents' social capital was examined. Second, whether adolescents' social capital change over time was verified. Third, whether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a change in adolescents' social capital over time was examined. Adolescents' social capital was examined in terms of family social capital (parents' supervision, parents attachment), school social capital (relationships with peer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local community social capital (sense of community, recognition of local community).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were examined in terms of vulnerability of local community(poor population rate, population migration rate, crime rate in local community, single parent family rate) and diversity of local community (foreigner rate, diversity of income level).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conducted by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in 2010, 2011 and 2012 and local community environment related census data were used for analysis. 2,035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s of 2010 in Korea were analyzed. Unit of analysis was si, gun and gu. 3 leve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which is multilevel analysis metho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show a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s' social capital according to regions and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visually. Main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ocial capital changes over time. The higher grade of students is, the more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which correspond to adolescents' school social capital increase significantly. The higher grade of students is, the more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corresponds to local community social capital increases significantly while the more recognition of local community decreases. Second, when analyzing an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on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it was found that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have an insignificant influence on family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An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on relations with friends out of school social capital was not identified but it was found that population migration rate and foreigner ra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lations with teachers. It was found that poor population rat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single parent family rat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local community which suggests that diversity of local commun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hird, when analyzing an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on adolescent social capital over time, it was found that foreigner rat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 change in awareness of local community and diverse income level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the sense of community and a change in awareness of local community. When analyzing an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on adolescent social capital over time, an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was identified only in social capital area of local community . Implications that were drawn through above mentione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ecological system theory was applied to explain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Second, factors that influence a change in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at regional level were investigated. Third, influences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in si, gun, and gu was investigated. Fourth, influence of regional environmental factors was investigated by utilizing national data to secure external validity for generalization.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regions in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for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programs for adolescents who live in isolated local community. Third,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plan for securing diversity of local community.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services and resources in local community that can countervail negative influence of weakness in local community are presen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various programs so that adolescents can improve acceptance of diversity. Third, it is advisable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for local community by making good use of free semester system.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personal factors and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so that adolescents' social capital can be expanded. This study examined an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on adolescents' social capital but has the following limits. First, it is doubtful whether concepts of regions in a questionnaire and those established in this study coincide. Constraints caused by a difference in geographical range can be overcome to some extent as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adolescents' social capital. However, it is necessary to unify standards for local community so that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can be identified in more detail. Second, this study classified local community into si, gun and gu. However, si, gun and gu are not enough to assume homogeneity of local community compared to eup, myeon and do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ata for eup, myeon and dong.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hat includes variables such as grade, period of residence and unemployment rate of local community that influence adolescents' social capital. Fourt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hat expands the range of adolescents. keyword: social capital, local community environment, vulnerability of local community, diversity of local community, multilevel analysis, HLM, GIS 청소년기는 성인기의 직전 단계로서 급격하고 다양한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사회적 관계가 다양해지고 활동 범위가 확대되어 사회적 자본이 증가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은 청소년의 복지감, 행복감,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와 학교생활적응 등 매우 광범위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청소년기에 사회적 자본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특히, 지역사회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역사회 환경 요인이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둘째,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지 확인하고, 셋째, 지역사회 환경 요인이 청소년 사회적 자본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은 가족 사회적 자본(부모감독, 부모애착), 학교 사회적 자본(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공동체 의식,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살펴보았으며, 지역사회 환경 요인은 지역사회 취약성(빈곤인구 비율, 인구이동율, 지역범죄율, 한부모가구비율)과 지역사회 다양성(외국인 비율, 소득수준 다양성)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1차년도(2010년) ~ 3차년도(2012년) 자료와 지역사회 환경 관련 센서스 자료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10년 당시 중학교 1학년이었던 전국의 청소년 2,035명이이며, 분석 단위는 시군구 단위이다. 분석방법은 다수준 분석방법인 HLM(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활용하여 3수준 분석을 실시였으며, 지역별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환경 요인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분석을 병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교 사회적 자본에 해당하는 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에 해당하는 공동체 의식은 학교 사회적 자본과 마찬가지로 학년이 증가할수록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환경 요인이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가족 사회적 자본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사회적 자본 가운데 친구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지역사회 환경 요인의 영향력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교사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인구이동율과 외국인 비율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취약성과 다양성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에 있어서는 빈곤인구 비율은 공동체 의식에, 한부모가구 비율은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지역사회 취약성의 영향력이 확인되었으나, 지역사회 다양성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환경 요인의 청소년 사회적 자본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 영역에서만 지역사회 환경 요인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외국인 비율은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수준 다양성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함의는 첫째,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을 설명하기 위해 생태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지역수준에서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셋째, 시군구 단위에서 지역사회 환경 요인의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넷째, 지역환경 요인의 영향력을 전국 데이터를 활용하여 규명함으로써 일반화를 위한 외적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정책적 함의는 첫째,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있어서 지역 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지역간 균형발전의 필요성과 둘째, 취약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 셋째, 지역사회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첫째, 지역사회 취약성의 부적 영향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내 다양한 서비스와 자원을 제시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의 다양성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할 것과 셋째, 자유학기제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참여활동을 강화시키고 넷째,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해서 개인적 요인과 지역사회 환경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다차원적이고 개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환경 요인이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설문지와 본 연구에서 설정한 지역의 개념이 일치하는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환경 요인이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리적 범위의 차이에서 오는 제약은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지역사회 환경 요인의 영향력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기준을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하겠다. 둘째, 본 연구는 지역사회를 시군구로 설정하여 살펴보았으나, 읍면동 단위에 비해 지역사회 동질성을 가정하기에 다소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읍면동 단위에서의 지역사회 관련 데이터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학교성적, 거주기간, 지역사회 실업률과 같은 변수를 포함한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겠다. 넷째, 본 연구는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 전반에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청소년의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