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 연구

        도티녹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세계와 주변 나라의 한국어/학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베트남 내 한국어/학 교육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대학의 교육과정 문헌 및 교수, 재학생, 졸업생의 인터뷰를 분석함으로써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학 교육의 실제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어/학과와 교육과정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설립 연도, 학과 특징, 지역 3가지의 요소를 감안하여 5개의 대학교를 선정하고 한국어/학과를 살펴보았다. 이는 하노이 국립 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HN USSH), 하노이 국립 대학교 외국어대학 (ULIS), 호찌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학 (HCM USSH), 호찌민 외국어 정보대학교 (HUFLIT), 하노이 대학교 (HANU)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우선 5개의 대학 교육과정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의 한국학 교육과정은 기업의 요구에 충족하는 다양한 전공 선택을 제공하는 한국어 중심 한국학 교육과정이다.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 한국학과는 한국학 연구자를 양성하는 목표에 충실하고 학문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호찌민 외국어정보대학교 한국학과가 동방학부에 속하고 있어서 교육과정을 발전시키는 것이 제한적이지만 학생과 기업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 유연하고 실용적인 한국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하노이 국립 외국어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교육과정은 한국어학 및 한국문화를 기초로 통번역, 한국학, 관광, 한국어 교육 전공의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고 있는데 한국어학 중심의 학문적 특징이 보인다. 하노이 대학교 한국어학과는 통번역 지향 한국어 교육과정에 충실하고 있고 실제학습활동을 중요시한다. 둘째, 베트남 한국어/학 교육 특징을 파악하였다. 베트남 대학은 30여년 간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의 양적 및 질적 확정이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학으로 발전의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인터뷰 결과를 통해서 취업 등과 같은 학생의 실질적인 필요와 사회적 수요로 인하여 한국어 교육이 단순히 한국학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기 보다는, 한국학과 동등한 지위로 함께 발전하는 특징이 보인다. 베트남에서 한국어/학 교육은 한국 기업에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의 필요성이 약하고 논문의 필요성이 적다. 교원들의 낮은 급여 로 인해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을 위한 인력을 양성하는 것도 쉽지 않다.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면서 한국학 교육으로 확장하지 않고 한국어 교육이 한국학 교육과 동등한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모순되어 보이지만 베트남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한국어/학과는 이러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 현황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 주는 개념어이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keholder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in Vietnam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the world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examine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By analyzing the curriculum documents of representative universities and interviewing professors, students, and graduates, we examines the actual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at Vietnamese universities and the perceptions of those concerned about the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department and curriculum. In this study, five universitie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ree factors: the year of establish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the region. It includ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anoi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 Information Technology,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main research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nds of the five university curricula were identified.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at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s a Korean language-centered curriculum that offers a variety of majors to meet the needs of Korean compan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anoi Universi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perates an academic curriculum that is faithful to the goal of nurturing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o Chi Minh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Information is part of the Faculty of Eastern Studies, so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is limited, but it is operating a flexible and practical Korean studies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and Korean companies.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urriculum offers a variety of majors i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orean studies, touris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Korean studies and Korean culture.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Hanoi University is faithful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riented toward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values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Vietnamese universities have confirm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30 years, and based on this, there is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to Korean studies. However,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develops into an equal status with Korean studies rather than simply being composed of a subcategory of Korean studies due to the social needs and practical needs of students such as employment.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is focused on nurturing talented people in Korean companies, the necessity of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is weak and the need for dissertations is small. Due to the low salaries of teachers, it is not easy to train human resources for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eveloping into an academic equivalent to Korean studies education without expanding into Korean studies education. Although contradictory, this reflects the reality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Therefore, Korean language Studies/Korean Studies department is a conceptual word that symbolical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 아랍어 교육을 위한 번역의 활용 방안 연구

        곽순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11

        번역은 전통적으로 외국어 교육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외국어 교수법 중 하나이다. 세계화ㆍ정보화ㆍ다문화 시대에서 신속ㆍ정확한 정보의 획득을 위해 번역 그 자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외국어 교육과를 개설하고 있는 대학과 외국어 교육 기관들은 외국어를 가르치기 위한 학습번역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직업 번역가를 양성하기 위해 전문번역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번역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내 아랍어 교육에서의 번역 교육의 실태와 그 문제점을 파악하며, 학습자들이 번역실습에서 일으키는 오류사례를 수집ㆍ분석한다. 또한 학습번역과 전문번역 교육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고, 전문번역의 기반인 등가번역의 실례 제시를 통해 효율적인 아랍어 교육을 위한 전문번역 교육방법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번역의 정의와 번역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후, 외국어 교육을 위한 학습 번역과 전문적인 직업 번역가 양성을 위한 전문번역의 목표 및 교육방법 등을 비교 연구하였다. 또한 국내 아랍어 교육에서의 아랍어 번역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지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조선대학교 아랍어과의 교과과정 및 교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 4개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입시반 강좌에 참여한 학생들과 통번역대학원 한아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번역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와 번역실습을 실시하였고, 번역 관련 교과목에서 채택되어 통ㆍ번역 학습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선정하여 텍스트를 내용면에서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 아랍어 교과과정에 번역과 관련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나, 번역수업이 아랍어 교육을 위한 학습번역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외국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전문번역 교육 수준에는 이르고 있지 않음을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아랍어 번역 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첫째, 텍스트 주제가 분야별로 균형 있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학습자들이 번역연습에서 선호하는 주제를 부분적으로 반영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정보 습득측면에서 일부 텍스트는 시사성과 무관한 주제로 일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텍스트는 시사성이 있지만 오래되어 최신 정보 습득이 어려웠다. 셋째, 일부 텍스트는 실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부는 실제 텍스트가 아닌 아랍어 학습을 위한 정형화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 조사를 통해 아랍어과 학생들의 아랍어-한국어 번역실습에서 나타난 오류가 주로 아랍어 텍스트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외면적 오류와 한국어 어휘 및 표현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내면적 오류임이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아랍어 번역실습에서 나타난 오류는 아랍어의 철자, 문법 오류, 한국어 텍스트의 이해 부족으로 인한 외면적 오류, 그리고 아랍어 어휘 및 표현능력 부족으로 인한 내면적 오류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양방향의 번역에서 나타난 내면적 오류 사례의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아랍어 교육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전문번역 교육방법을 이용한 교수법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조사인 설문조사, 번역실습 조사를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설문조사와 번역실습 조사에 참가한 학생들이 국내 4개 대학에 고르게 분포되어 전체 아랍어 학습자를 대변할 만하다. 하지만 참여 학생수가 전체 아랍어 학습자 수에 비하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아서 아랍어 번역 교육의 현황을 완전히 규명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연구를 토대로 향후 다양한 수준별 번역실습을 통해 아랍어 번역에 관한 보다 더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전문번역 교육방법을 활용한 교수법 및 평가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효과적인 아랍어 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중첩 교육 방안 연구

        주자욱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효과적인 조사중첩 유형을 교수하기 위해 첫 번째로 조사 체계를 고찰하고 조사중첩 유형을 요구하는 문장을 확인하여 어떤 경우에 조사중첩이 쓰이는지 확인하며, 실제 교재에 쓰인 조사중첩을 분석하여 단계별 교육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기존의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조사체계를 정리하고 한국어 교재 내 조사중첩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학습자 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재 간의 조사중첩 교육내용 편차가 큼, 수준별 반복학습과 새로운 유형 제시 등 단계별, 체계적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음, 초급에서 중급, 고급 학습 조사가 나타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조사 체계의 정리를 통하여 격조사의 조사중첩 어순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보조사의 의미기능을 파악하여 조사중첩형이 사용되는 상황 및 맥 락 등을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에 부합하는 조사중첩형 교수를 위하여 교수 순서를 정리하기 위한 객관적 기준을 기존 교재 분석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넷째,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즉, 본 연구는 기존의 교재를 분석하여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교수 순서 및 수업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두 개의 조사가 중첩되는 것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a method for educating learners on effectiv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sets up the postposition system and identifies the sentences that require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confirm when postposition overlapping would be used and present a step-by-step educational plan by analyzing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used in actual textbooks. The research on the postposition system was organiz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analysis of existing Korean textbooks, and the status of postposition overlapping in Korean textbooks was identified. This study confirmed the problems that there was a large deviation in postposition overlapping educational content between textbooks, and that step-by-step and systematic learning, such as repeated learning by level and new type presentation, was not carried out.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postposition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n learning Korean at the beginner level, which was hard to understand as a beginner. Thus, this study suggests a lesson plan to improve th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this study can reduce the errors that occur in the word order of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of case particles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postposition system. Second, this study presents educational contents so that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 is used by understanding the semantic function of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s. Third, this study shows objective criteria for arranging the teaching sequence for postposition-overlapping teaching that matches the learner's level as the basis for analyzing existing textbooks. Fourth, this study presents a specific lesson plan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less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the educational order and lesson plan based on objective evidence by analyzing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only targeted at the overlapping of two postpositions.

      • 한국어 학습자용 워크북 쓰기 활동 유형 분석 연구

        허미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riting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Workbooks as a second language. This study will provide support for teachers to select or reorganize Korean workbooks afterwards and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contents in Korean workbook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7 kinds of intermediate level Korean workbooks, examined their organizational system and analyzed th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The writing activ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omlinson's(1983) three types of writing : type of controlled writing, type of guided writing and type of free writing, and Kang, Seung-Hae's(2002) classification of writing activities. Analyzing the writing activities of the Korean workbooks, this study has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ost writing activity types in the Korean workbooks were the type of controlled writing. The writing activities in the Korean workbooks consist of 85.9% of controlled writing, 10.6% of guided writing and 3.4% of free writing. <Sogang University workbook>, <Yonsei University workbook> and <Ihwa University workbook> did not present the type of free writing. Second, the most various types of writing activities were shown in <Kyung Hee University workbook>. Then comes <Yonsei University workbook> and <Easy Korean Academy workbook> in that order. Third, th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workbooks heavily relying on controlled writing of 'sentence completion' type and 'fill-in-the-blanks' type. Th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workbooks consist of 47.7% of 'sentence completion' type and 23.9% of 'fill-in-the-blanks' typ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will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controlled and guided writing activities should be more diverse and various. And they need to be presented in meaningful and interesting formats. Second, the number of free writing activities must increase in order to strengthen students' writing skills so that they can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 throughout the workbooks. Third, it is important to promote various writing activities from the integrated approach by collaborating with other language skills. It will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language skill.

      • 영어 및 한국어 쓰기불안이 한국인 대학원생들의 영어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다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영어 및 한국어 쓰기불안이 한국인 대학원생들의 영어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한국 대학원생들이 글을 쓸 때 경험하는 영어 쓰기불안과 한국어 쓰기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 두 언어불안이 외국어 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외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모국어)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쓰기불안 간의 상관관계는 있는가? 둘째, 한국어(모국어)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쓰기불안은 각각 영어(외국어)쓰기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쓰기불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인 낮은 자기효능감, 평가에 대한 두려움, 쓰기에 대한 거부감 등이 쓰기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에 있는 H대학교 교육대학교에서 영어 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47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들 가운데 두 강좌의 영어 글쓰기 수업을 동일하게 수강하는 학생 2명과 실험참여에 기권하는 학생 4명을 제외시키고 최종적으로 41명의 연구대상자 자료를 본 연구의 표본으로 삼아서 실험자료로 이용하였다. 먼저, 연구자가 본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자 하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 대하여 피험자들에게 설명을 하고 난 후, 피험자들은 30분 동안 해당 주제(“인생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최고였던) 경험에 대하여 서술하시오”)에 대한 영어쓰기를 실시하였다. 영어쓰기를 마치고 난 후, 15분 동안 Daly와 Miller(1975)의 쓰기불안 측정도구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및 영어 쓰기불안 측정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영어와 한국어 쓰기불안검사를 실시하고, 본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파악하고자 배경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본 논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대학원생들이 글을 쓸 때 경험하는 한국어 쓰기불안과 영어 쓰기불안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둘째, 한국어 쓰기불안과 영어 쓰기불안 모두 학습자들의 영어쓰기수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영어쓰기수행을 설명하는데 두 언어불안은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다. 셋째, 쓰기불안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인 낮은 자기효능감, 쓰기에 대한 거부감, 평가에 대한 불안감 중에 낮은 자기효능감이라는 요인은 학습자의 영어 쓰기수행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쓰기에 대한 거부감이과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학습자들의 영어쓰기 수행을 설명하는 요인으로는 미비하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EFL이나 ESL학생들을 위하여 영어쓰기지도교사들에게 더 나은 영어쓰기지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한국어(모국어) 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 쓰기불안 간에 유의미한 상관간계가 존재함으로 교사는 영어쓰기 지도 시, 학습자의 영어(외국어) 쓰기불안을 낮추기 위해서 먼저 학습자의 한국어(모국어)어 쓰기불안을 낮추게 된다면 그들이 영어(외국어)로 글을 쓸 때 부정적인 감정을 덜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둘째, 한국어(모국어)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쓰기 불안은 학습자들의 영어로 글을 쓰는 수행에 영향을 줌으로 학습자에게 영어쓰기 지도 시, 영어(외국어/제2언어) 쓰기교수자는 한국어(제1언어)쓰기교수자와 협력적인 교수방법을 통하여 먼저 학습자들의 제 1언어 쓰기불안을 감소시킨다면 그들의 제2언어 쓰기불안감 또한 감소되면서 영어로 글을 쓸 때 부정적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셋째, 두 언어 쓰기불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인 낮은 자기효능감, 쓰기에 대한 거부감, 평가에 대한 불안감 중 낮은 자기효능감이 학습자들의 외국어쓰기 수행 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으로, 외국어 쓰기지도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외국어로 글을 쓸 때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즉, 외국어로 글을 쓰는 것에 대한 성공적인 경험을 많이 부여해주고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쓰기과제를 제시하고 긍정적인 피드백과 함께 약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도록 도와주면 한국어나 영어로 글을 쓸 때 긍정적인 수행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오류 분석을 통한 태국어 작문 지도방안 연구

        김신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올해는 한국과 태국이 공식적으로 수교한지 54년이 되는 해이다. 한국과 태국은 1958년 공식적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래 정치, 외교, 경제, 문화 등 여러 방면에 걸쳐서 매우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 발전시켜왔다. 한태 관계는 처음에 정치 경제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외교 문화적 관계로 그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 한태 양국 간의 실질적인 관계가 이루어진 것은 한국전쟁이 일어난 1950년으로, 태국이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하면서부터였다. 당시 태국정부는 11,876명의 군인을 파견하였고 134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 이를 시작으로 한국과 태국은 현재까지 21개의 국제조약을 체결하였는데 이는 양국의 교역과 투자, 문화 교육, 이중과세 방지, 과학기술 협력, 범인인도, 사법협력, 근로자 협력 사안 등을 총 망라하고 있다. 근래 태국에서는 한국드라마와 노래, 음식,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화가 크게 인기를 얻으며 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최근 한국의 대중매체에서도 태국인이 인기 연예인이 되거나 태국 음식과 마사지, 영화, 그리고 그 밖에 다양한 태국의 문화들을 소개하는 프로그램들도 많아지고, 일상생활에서도 태국 음식이나 마사지, 영화, 그리고 여행 등과 같이 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크게 늘어나면서 양국의 문화 교류는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한태 관계의 발전은 언어교육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한국은 1966년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태국어과가 설립되어 일찍부터 태국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 후 1982년도에 부산외국어 대학교에 태국어과가 설립되었고 이듬해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 태국어 통번역학과가 설립되었다. 이들 교육기관을 통해 배출된 태국어 전공자들은 현재 한태 관계발전에 적지 않게 이바지하고 있다. 언어란 인간의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일 뿐 아니라 그 나라의 사회적 문화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으로써 언어 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태국어는 한국인들이 학습하기 쉽지 않은 언어로써, 한국과 태국은 비록 지리적으로 같은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으나 한국어는 알타이어(Altalic)족, 태국어는 차이나-티벳어(Sino-Tibetan)족으로 서로 다른 언어 유형에 속하며 문법적 특징 또한 매우 다르다. 한국어는 문장 내의 단어가 어형이 변화하지 않고 각 단어의 문법적 관계가 조사 또는 접미사에 의해 표시되는 교착어인 한편 태국어는 문장 내의 단어가 어형 변화가 없고 문법적 관계가 어순 혹은 특정 조동사에 의해 표시되는 고립어이다. 또한, 음성 음운론적으로도 태국어는 한국어와 달리 성조가 있는 언어로, 같은 형태의 단어라 할 지라도 음의 높낮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태국어는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배우기 어려운 언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는 듣기와 읽기에 속하는 이해 기능과 함께 말하기와 쓰기에 속하는 표현 기능, 이 두 가지를 모두 학습해야 하는데 이 중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고루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외국어 교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기의 경우는 대화의 상대자가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의사 전달이 명확해질 수 있으나, 쓰기의 경우는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오로지 글로만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어려울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작문은 보다 고차원의 의사소통 수단임은 틀림이 없고, 오늘날 인터넷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각종 전자우편을 통해 쓰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은 나날이 부각되고 있다. Paulston(1972)은 “외국어 학습 과정의 초급과 중급 단계에서 작문은 다른 언어 기술을 보강하고 강화해 주는 데 기여하며, 과제나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도 매우 중요하고 작문은 학습자의 기억력을 증진시켜 후에 참고를 위한 자료로 이용되어지기도 한다.”고 하며, 작문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의 변화로 일반적인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듣기와 말하기 교육은 강화되고, 전통적으로 읽기는 항상 중요시되어 온 반면, 쓰기의 영역은 다소 소홀히 다루어져 왔는데, 이러한 경향은 태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인이 태국어를 학습하는 데 필요한 교재 및 교과 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는 상당수 이루어져왔지만, 태국어 작문 교육 분야에 있어서는 충분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의 한 학기 교과과정 중에서 ‘작문’ 과목이 차지하는 비율은 총 22개 과목 중, 2학년 과정인 ‘중급태국어작문’과 3학년 과정인 ‘고급태국어작문’, 그리고 4학년 과정인 ‘태국어회화작문연습’ 과목으로 3개 과목뿐이다. 그 중 2학년 중급 태국어작문이라는 과목이 개설되어 있긴 하나, 쓰기에 대한 부담감으로 2학년 학생 보다는 대다수가 3학년 이상의 학생들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초급 단계에서의 작문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의 한 학기 교과과정에서도 1학년~4학년 총 15개 과목 중, 작문 영역에 해당되는 과목은 ‘초급태국어작문실습’ 1개 과목뿐이다. 이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의 태국어 교육에 있어서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한 작문 교재 역시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외국어 학습자의 오류를 분석하는 것은 학습자의 언어 습득 단계가 어디까지 도달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가 되고, 교사에게는 앞으로 학습자에게 무엇을 지도할 것인지, 혹은 학습자들이 어떤 방법과 과정을 통해 언어를 습득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학습자 역시 학습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켜가는 창조적 노력이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한국인 학습자의 작문 교육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한우(1988)는 태국어 학습에 있어서 작문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인식하고, 태국어 문법구조의 특징들을 바탕으로 작문 시에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한 바 있다. 정환승(2002)은 태국어와 한국어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 학습자가 태국어로 작문할 때 나타나는 오류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문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태국어 작문 학습의 중요도에 비해서 이와 관련된 연구는 지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특히나 한국인 학습자가 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태국어 작문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한국인들이 무엇을 가장 어려워하는지, 어느 부분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지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한 효율적인 작문 지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태국어 학습의 초기 단계부터 작문 지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점차 높은 단계로 훈련을 해 나간다면, 이 후 일상생활이나 업무 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보고서 및 학문적인 글과 같은 더 높은 수준의 자유 작문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학습자에게 작문에 대한 편안한 접근 자세를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반복되는 오류가 습관화되지 않도록 올바른 태국어식 표현을 지도하면서 적절한 교정법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태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들에게서 나타나는 작문 오류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태국어 작문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태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내용 연구

        홍혜련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박사

        RANK : 249695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ai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comparing the findings of several case studies and survey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policy of education and the historical event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ailand. Second, it analyzed the curricula of foreign language in Thai universities and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from various countries. Third, the study worked to analyze the preferenc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ir university’s Korean department. This resulted in the proposal of an ideal model for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In chapter 1, the study proposed its purpose and necessit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and disclosed its improved methods and composition. In chapter 2, for the basis of the discussion, the study reviewed the policy on education in Thailand, the history of foreign language in Thailand, and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To discuss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olicy of foreign language from the Thai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In chapter 3, in order to establish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ai universities, the study scrutinized another foreig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mainly focusing on Japanese and Chinese. This is because Japanese and Chinese, as well as Korean, are considered Oriental studies, and classified as second languages in Thailand. It is also to be noted that such countries receive governmental support through the dispatch of native speakers, which enables their language programs to be more successful. In additi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Japan and China have been analyzed and reviewed.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urricula, research methods and materials of Prof. Dr. Kim Jae-Uk’s research paper have been used. This research has been used as a guide to improve upo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chapter 4, by analyzing the curricula of Korean language in Thai universities, the study aim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pres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Feedback from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ai universities were evaluated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 reform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chapter 5, with proposed revisions to the Thai Ministry of Education’s foreign language policy, the new and improved curricular model for specialized Korean language was created. With proposed revisions from associated professors, the validity of the updated curricular model has been examined. Based off of the revisions and examination, this specialized curriculum is advocated f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chapter 6, the conclusion summarized the discussion and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future projects. Format of language curricula are continually changing due to a variety of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e to the dynamic nature of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are affected by education policies and the relevance of international societies, course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need to be continuously adapted. In addition to curricular studying objectives, diverse methods of learning must be developed to fit each students’ needs. Referring to various language majors and Korean majors abroad, the optimal form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foreign language students to efficiently master Korean, they must be thoroughly educated in literature, linguistics, and general knowledge of Korea. In light of this, proposed subjects for this curriculum include Korean History, Culture, Social Studies, Politics, and Economics. This results in a program reflecting the concept of “Koreanology” rather than Korean language. This holistic approach to learning was the preferred method of education by Thais. Foreign experts in Korean language are expected to not only be fluent in Korean, but also a “Korea expert” ? someone who is familiar with Korean history, culture, and etiquette. Nevertheless, the main inten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master fluency in Korean language.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ose studying Korean language to be educated in methods of teaching Korean to others. In general, language instruction and practicums are needed components of education in Thai universities. Although educating students in the area of Korean teaching is not the main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majors, it is necessary to include such curricula since occupations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re in high demand. Third, based on factors of tourism, technology, and relevant executive subjects, Korean language majors are expected to not only speak fluently, but also be capable of conducting business-level interactions in Korean. Thus,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tourism, technology, and various business subjects, incorporating them into Korean language curricula.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education in Thai middle and high schools, the expectations of Korean linguistic skills for university freshmen are increasing. Thai universities need to adapt to this by placing more importance on business-oriented Korean, as opposed to simply linguistic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improved forma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are as follows: According to educational objectives, two required subjects shall be placed in every semester: basic Korean and lexis, morphology, syntax, and pragmatics. Such classes are intende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general Korean knowledge. The selected subjects are based on the requests of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fter inquiry and evaluation. The proposed tracks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eneral Track>, <Korean Language Expert Track>, <Tourism and Service Related Track>, <Business Track>, and for the executive work, <Liberal Arts and General Administration Track>. These tracks are arranged in a way to help students choose what they want to study according to their desired career. Furthermore, as professors of Korean language are hired by Thai universities, it is an opportune time to implement higher-level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oday’s society, Thai students majoring in Korean need to be educated on future career opportunities as well as general knowledge of Korea, since the ultimate goal is to gain employment. This improved proposal to Korean university curricula in Thailand is distinctive in the way that it seeks to specify subjects of learning. Therefore, this proposal will be the model for development of specific course studies in Korean departments of Thai universities, reflecting the current educational dem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tentions of assisting Thai universities in their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tandard for Korean language curricula. By combining aspects of societal relevancy and structure, this analysis seeks to positively impact the realm of Korean language learning.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 연구 : 한ㆍ영 속담 비교를 중심으로

        정혜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외국어 학습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최후의 목표는 원활한 상호의사소통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문화란 지식․신망․예술․도덕․법률․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적인 개념이다. 문화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 한 나라의 언어가 그 사회의 문화를 잘 반영한다. 또한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는 한국 문화의 이해를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삶의 방식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영미 문화와 한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여 상호 문화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한다. 본 논문은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한국어 교육의 다양한 학습 자료 중 속담을 이용한 교육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특별히 속담을 이 논문의 고찰 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속담은 어느 언어에서나 대부분 존재하며, 속담의 내용은 그 민족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내용을 장별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한·영 속담 비교를 이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가 미진한 상태임을 확인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논문을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속담의 개념 및 특징과 속담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속담이 가지고 있는 문화 교육적 특성과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속담은 짧은 문장 속에 민중의 전통적인 생활 습관, 의식 구조, 사회 구조, 가치관 등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응축되어 있으므로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속담의 문화 교육적 특성과 기능을 알아보고 속담이 어떤 문화 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6개의 대학(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선문대, 성균관대, 연세대) 부설기관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급·고급 교재를 중심으로 속담 교육의 현황 및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 문화와 영미 문화의 차이점을 문화 요소와 의식구조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였다. 한국 문화는 집단주의 문화, 계층주의 문화, 형식주의 문화, 감성주의 문화, 유교문화, 농경문화와 같이 6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영미 문화는 개인주의 문화, 평등주의 문화, 실용주의 문화, 이성주의 문화, 기독교 문화, 유목․상업 문화로 구분하였다. 분류된 문화별로 제3장에서 조사 분석된 한국어 교재에서 사용된 속담들 및 선행연구에서 조사한 속담들을 문화별로 정리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에서 정리된 속담들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용 속담의 선정 방안을 검토하여 단계별로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였다. 수업 모형은 크게 중급 단계와 고급 단계로 나누어 ‘제시-설명-연습-활용-보충․심화’ 로 제시하였으며, 속담과 한국 문화가 연계되어 학습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마지막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한계점을 정리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한국 문화와 영미 문화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6개의 문화로 구분하고 문화별로 한·영 속담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정리된 한·영 속담을 중급과 고급 단계로 나누어 학습모형을 개발한 점이다.

      • 수탁 외국군 배우자 대상 한국어 교육 내용 개발 연구 : 국방대학교 내 수탁 외국군 배우자 대상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김지혜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commissioned education system for foreign military officers is designed to carry out defense diplomacy. And also, it aims to foster them as friendly people to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spouses of foreign military officers in Korea and to help them play a positive role as friendly people to Korea even after they return to their own country. Through the educational institution unde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Republic of Korea conducts military exchanges with foreign troops annually. So, they can achieve a certain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s by completing systematic prior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period. But no research has been still conduct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spouses of foreign military officers who stay with them together in Korea. Therefore, it causes some troubles in basic communication as well as a decline i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demand survey on the spouses of foreign military officers in the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and to study more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to help them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in Korea and play a positive role as friendly people to Korea.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takes place during their stay in Korea, it can help them maintain their interest and positiv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ven after they return to their own country. Therefore,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spouses of foreign military officers is essential to maintain their positive perception of Korea and their motivation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urthermore, some positive results in the formation of friendly perceptions about Korea and Korean Military. In this study,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bined with field-trip’ is presented as a cont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learners. And as details, ‘balanced education contents between behavioral culture and achievement culture' and ‘integrated education contents of language and culture' are presented. In addi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ultimedia' is presented as a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s details,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drama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smart-phones' are presented. Throug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bined with field-trip, not only can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field trips in military exchanges, but it also enables field trips with clear purposes, and allows more effici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selecting and applying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s to both Korean language and field-trip. The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ing Korean while watching a scene of a drama, it can be a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 that meets the specificity and needs of Korean learners who stay in Ko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learning Korean daily culture and behavioral culture by watching a scene of Korean dramas or entertainment programs using smart-phones, it can be used as a self-directed method that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In addition, Korean language class using special ‘apps’ for beginners of Korean language, it enables Korean language study by reflecting learners' demand for simple and useful Korean expression, and also as practical use in preparing classes as well as presenting tasks.

      • 영어 능격, 중간태동사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이해도 연구

        하예원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Korean College learners of English understand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and to provide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eaching those construction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Grammaticality Judgment test(GJT) was administered to 104 Korean college students who were randomly chosen from different ages, gender, and colleges. SPSS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frequencies of GJT and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JT result indicates that Korean college learners show a substantially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middle and ergative constructions, compared to that of transitive, passive, and ungrammatical sentences. Most of the participants ticked the boxes of ungrammatical for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which implies that they consider those sentences ungrammatical.. To compare and examine their understanding of different uses of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GJT consists of transitive, passive, and ergative sentences for ergative verbs, and transitive, middle, and ungrammatical sentences for middle verbs. The average score of transitive, passive, and ungrammatical sentenses of the 104 Korean college students tested was 87.9%, 85.1%, 77.4% respectively, but that of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was 39.1%, 34.8% respectively. Second, the results of GJT and survey questionnaires suggest that Korean college learners are not expected to use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appropriately from the views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Most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have not been taught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and seen them in textbooks or materials. they would not properly use those constructions, when in situations needed to use them. As shown in the GJT result, the fact that they think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ungrammatical implies that they would not use the expressions in any conversations and that using other expressions may cause meaning differences or misunderstandings. Considerabl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se two constructions may lead to unnatural, inappropriate communications between Korean EFL learners and native English speakers. Third, the GJT result shows that advanced to low level groups do not have substantial differences of the average scores of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The average score of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of advanced level students was 48.3%, 34.8% respectively, intermidiate 34.6%, 30.6%, low level 42.3%, 40.2%.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lausible implications are given here. First, English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ing of the ergative and middle verb constructions. Second, in order for Korean EFL learners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ergative and middle verbs are used in real life situations, textbooks should provide an authentic texts and discourses of these constructions. Third, teachers are highly recommended to more actively take an interest i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se two constructions. 본 연구에서는 영어 비대격 동사구문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능격 및 중간태 구문으로 나누어 한국 대학교 학습자의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어 평가지를 실행하였다. 또한 능격 및 중간태 동사 구문 학습에 관하여 대학교 학습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학년, 나이, 지역이 다른 무선으로 표집한 대학교 학습자 120명이다. 설문과 영어평가지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영어학습자들에게 능격 및 중간태 구문에 관한 영어 평가지 및 설문지를 시행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능격 및 중간태구문을 틀린문장으로 인식하였고 이와 같은 문장을 학습한 경험이 ‘없다’라고 응답했다. 능격 및 중간태구문 영어평가지는 많은 학생들이 익숙할 것이라 예상되는 능동태문, 수동태문, 강의어를 뺀 비문과 함께 제시하여 이해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능동태문, 수동태문, 강의어를 뺀 비문은 각각 87.9%, 85.1%, 77.4%로 비교적 높은 정답률을 보인 반면 능격문 및 중간태문은 각각 39.1%, 34.8%로 낮은 정답률을 나타내어 능격문 및 중간태문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 대학교 학습자들이 원어민의 관점에서 볼 때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을 올바르게 사용할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먼저 한국의 대학교 학습자들은 중, 고등학교에서 능격 및 중간태 구문에 관한 수업을 듣지 못했고, 교과서나 교재를 통해 학습한 경험역시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았다. 표현자체에 대해 생소하고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회화상에서도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의 사용이 필요한 상황에 놓였을 때 이러한 표현을 구사하기 어렵다. 또한 영어 평가지의 문항 정답률에서도 나타났듯이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을 ‘틀린 문장’으로 간주하고 있다라는 점은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하며 이를 대체할 다른 표현을 사용하였을 때 수반되는 의미의 차이나 오해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셋째, 영어 평가지를 통해 우리나라 대학교 학습자들의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의 수준별 이해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항 정답률이 높았던 상위권의 학습자들도 능격 및 중간태 구문에서는 각각 48.3%, 34.8%로 중위권의 학습자 문항정답률 34.6%, 30.6%, 하위권의 학습자 문항 정답률 42.3%, 40.2%와 커다란 차이 없이 낮은 문항 정답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가 영어교육 현장에서의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의 지도와 학습에 대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능격 및 중간태 동사의 학습이 영어 학습에 미치는 중요도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능격 및 중간태 동사는 비교적 쉬운 동사에 속하고 말하기나 쓰기에 자주 사용되는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이라는 점에서 학습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둘째, 영어 비대격 동사의 동사교체에 관한 내용을 교과서에 수록할 필요가 있다. EFL 상황에 놓여 있는 우리나라의 학습자들은 교재 및 수업이외에 목표 언어를 접할 기회가 한정돼 있으므로 교과서를 통한 언어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교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능격 및 중간태 동사 학습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어 학습에 있어 교사는 학생들과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자신의 발화를 통해 지속적이고 적절한 긍정적 증거(Positive Evidence)와 부정적 증거(Negative evidence)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도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