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알츠하이머병의 정량적 뇌파검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에 대한 탐구와 체계적 고찰

        이유정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Due to the global aging population,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increase brings a great socioeconomic burden. There are several types of dementia, and the most representative and common type of dementia is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disease is a chronic brain disease that causes memory loss and cognitive decline. In all dementia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the disease progression can be slowed down if they are detected early and treated appropriately.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A brain biopsy with pathological examination is the only way to definitively diagnose Alzheimer's disease, and since this test is only possible post-mortem, indirect auxiliary methods for diagnosis have been used. Currently,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es brain imaging markers such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or uses cerebrospinal fluid as a biomarker to identify amyloid beta and tau proteins. In addition,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blood tests are used as auxiliary tests. However, many auxiliary tests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have disadvantages such as inducing pain, exposure to radiation, and high price. Therefore, research to utilize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as a non-invasive, relatively inexpensive diagnostic 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is being investigated. QEEG is a digitized EEG analysis that quantitatively analyzes EEG through mathematical changes. EEG classifies frequency components according to amplitude. There are slow waves (less than 1Hz), delta waves (1-4Hz), theta waves (4-8Hz), alpha waves (8-13Hz), beta waves (13-30Hz), and gamma waves (30Hz or more). Quantitative EEG shows abnormal brain activity at a specific location and is widely used as an auxiliary method for brain-related diseases. In particular,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cently recognized QEEG as a helpful indicator for the diagnosis of attention deficit behavior disorder (ADHD), and the effectiveness of QEEG as a diagnostic marker for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orders is being emphasized. In Alzheimer's disease, QEEG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ta and delta waves in the parietal-occipital lobe, and a decrease in alpha and beta waves. About 50%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have depression, and when depression is present, theta wave in the occipital region increases and the alpha/theta wave ratio decreases, so QEEG can determine the presence of depression in Alzheimer's disease. Also, using QEEG to differentiate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other dementias is continuously under investigation. QEEG can also be used as a tool for staging of dementia as clinical dementia evaluation (CDR). Studies have found that an increase in theta waves and a decrease in alpha waves can lead to Alzheimer's disease. These studies suggest that QEEG can be used as a predictor of progression to Alzheimer's diseas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other dementias, such as Lewy body dementia, Parkinson's disease dementia, frontotemporal dementia, and vestibular dementia, research to differentiate the difference through QEEG is continuing.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various diagnostic markers. By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EEG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QEEG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diagnostic and auxiliary 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as an early diagnostic tool for Alzheimer's disease, but also to detect the progression or treatment response of the disease. 전 세계적인 고령화로 인해 치매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가져온다. 치매의 종류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대표적이고 흔한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다. 알츠하이머병은 기억력 감소, 인지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만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모든 치매는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추거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알츠하이머병의 확진은 직접적인 뇌 조직 검사법이 유일하나, 이 검사는 사후에만 가능하므로 진단을 위한 간접적인 보조 방법들이 사용되어왔다. 현재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은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혹은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과 같은 뇌 영상표지자를 이용하거나 바이오마커로 뇌척수액 (cerebrospinal fluid; CSF)을 이용하여 아밀로이드 베타 및 타우 단백질을 확인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그 밖에 신경 및 정신과 검사와 신경심리 검사 및 혈액 검사 등이 뒷받침되어 보조검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츠하이머병 진단 보조검사들은 통증을 유발하거나 방사선 노출, 비싼 가격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알츠하이머병의 보조 표지자로써 비침습적이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이 드는 정량적 뇌파검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QEEG는 디지털화된 뇌파 분석법으로 뇌파를 수학적 변화를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뇌파는 주파수 성분을 진폭에 따라 분류하며 크게 서파 (1Hz 미만), 델타파 (1-4Hz), 세타파 (4-8Hz), 알파파 (8-13Hz), 베타파 (13-30Hz), 감마파 (30Hz 이상)로 나눌 수 있다. 정량적 뇌파검사는 특정 위치에서의 비정상적인 뇌 활동을 보여주며, 뇌 관련 병증의 보조적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는 QEEG를 주의력결핍 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지표로 인정하면서 신경 및 정신 질환의 진단 표지자로서 QEEG의 유효성이 강조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에서 QEEG 특징은 두정-후두엽에 세타파와 델타파 증가하고 알파파와 베타파는 감소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50% 정도가 우울증을 동반하는데 우울증이 있는 경우 후두부에서의 세타파가 증가하며 알파파/세타파의 비율이 감소하므로 QEEG는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우울증 유무도 알 수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 다른 치매들과의 QEEG 차이를 통해 구분하려는 연구들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치매의 병기 결정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임상치매평가(Clinical Dementia Rating; CDR)의 차이에 따라 정량적 뇌파에도 차이가 있는데 연구에 따르면 세타파가 증가되고 알파파가 감소하면 알츠하이머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알츠하이머병으로의 진행의 예측인자로 QEEG가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경도인지장애와의 차이뿐만 아니라,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혈관성 치매 등 다른 치매와의 감별진단에도 QEEG를 통해 차이를 구분하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진단 및 보조 진단 표지자를 종합해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높은 시간해상도를 가지는 뇌파검사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적인 정량적 뇌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진단 및 보조 표지자로서 QEEG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적 가치뿐만 아니라 병의 진행을 반영하고 더불어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도구로써도 널리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평범한 일상의 풍경에 관한 회화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유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주제 면에서 평범한 일상의 풍경을 다루고, 표현 방법 면에서 본인의 작품과 유사성을 띠고 있는 팀 아이텔(Tim Eitel) 그리고 빌헬름 사스날(Wilhelm Sasnal)의 작품과 본인의 작품에 대해 비교·분석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본인의 작품에서 표현되는 일상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평범한 나날들이다. 일상이란 ‘날마다 반복되는 생활’을 의미하며 우리는 일상 속의 추억을 되새기며 현재를 살아간다. 근래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개인의 일상을 업로드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일상 속 추억은 기억에도 담을 수 있지만, 사진으로 찍어 추억을 저장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본인의 작업은 사진으로부터 시작된다. 본인은 작품의 구도를 설정할 때 대상에 대한 클로즈업 없이 모든 주제를 원경으로 물러나 있게 한다. 본인은 작품의 구도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그 순간이 갖는 일상성, 평범함을 드러내기 위하여 사람의 표정은 드러나지 않게 함으로써 강조를 없애고 편안함을 표현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작품에서 보여주는 일상들은 중요한 사건들 뒤에서 삶을 묵묵히 채우고 지켜주는 변함없는 날들이 주는 위로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반복적이고 쳇바퀴처럼 돌아가는 따분한 일상 속에서 지나가는 행인, 소중한 반려견 그리고 지인들을 멀리서 바라보았을 때 그 순간의 편안함과 휴식 같은 감정을 느꼈기에 본인은 그 순간을 사진으로 기록했고 사진에서 느꼈던 감정을 다시 그림에 담았다. 작품의 대부분은 본인이 먼발치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느낌을 줌으로써 일상속의 편안함에 의의를 두고자 했다. 오랜 기간 동안 회화는 역사적 사실과 사건들을 기록하는 매체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19세기 이후부터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포착하는 역할을 사진에 내어주었고, 회화는 이미지를 단순히 화면에 재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본인은 어떤 그림이 여전히 유효하고 가치 있는지 고민해 왔으며 작품을 만드는 동안 그것이 본인을 둘러싼 환경과 삶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 끊임없이 자문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할지 고민하였다. 따라서 본인은 본 논문에서 과거와는 달라진 새로운 회화의 존재 방식을 탐구했던 작가 중 본인의 작업과 유사한 팀 아이텔 그리고 빌헬름 사스날의 작품과 본인의 작품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또한 이 작품 논문을 통해 일상이라는 소재가 평범함에도 불구하고 왜 가치 있는 주제로 쓰이는지, 일상의 이미지를 회화로 어떻게 담아내야 효과적인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This paper is a research paper that analyzes the works of Tim Eitel and Wilhelm Sasnal who have studied ordinary scenery, compared with my works. ‘Daily life’ which is expressed in my works means ordinary days that nothing happen and repeated life. We are living in the present by reminiscing about daily life memories. these days, we can see many people upload their personal life to Social Network Service. in this way, more people are taking pictures to cherish their memories, although we can keep our daily memories in mind. My work starts from the picture. when composing my work, I made all subjects seem far away without close-up. ‘daily life’ is expressed the comport by excluding facial expression to express dailiness and commonness at the moment. When staring at passerby, acquaintances and dog in everyday life which is in a rut, I felt comfort and relaxed. so I photographed that moment and expressed by art work. most of my work was intended to make sense of the comfort of daily life by giving them the impression that they were looking at objects from a distance. For a long time, painting has been used as a medium for recording historical facts and events. however, since the 19th century, picture has taken the role of capturing the world as it is, in the other hand, the painting has changed to variety of foams rather than just reproducing images on screen. while creating an artwork, I wondered which painting is still valid and worth. I constantly asked by myself how it relates to surrounded environment and life and wondered how to express it. therefor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works of Tim Eitel and Wilhelm Sasnal with my works since my work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ainters who explored the new way of painting that has changed from the past. I have been studying why the subject of "everyday" is a valuable despite it is common. moreover, I have studied how to express it into paintings.

      • 지역박물관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 고령대가야박물관을 중심으로

        이유정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상북도 박물관, 특히 대가야박물관을 중심으로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박물관에 필요한 역할이 무엇인가를 분석해 보면서 박물관이 그 지역에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경북지역 박물관으로 범위를 한정하였고, 경상북도의 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도내 37개의 등록박물관 중에서 대가야를 주제로 조성하여 운영 중인 고령대가야박물관을 중심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은 이론적 체계와 지역박물관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박물관과 관련된 현행법을 비롯하여 박물관활성화 및 지역문화활성화와 관련된 문헌을 통한 문헌조사기법을 중심으로 하였고, 선행연구논문, 박물관 및 정부가 발행하는 간행물, 신문, 인터넷 등 언론매체와 국내외 단행본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특히 고령대가야박물관을 통한 지역문화활성화 방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업무지침, 경상북도 문화재과 및 문화체육관광부 내부자료, 고령군·고경대가야박물관 업무보고서 및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고 인용하였다. 또한 연구자 본인이 박물관 업무를 담당하면서 보고 느낀 경험과 박물관에 근무하는 학예사들과의 면담 등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경상북도박물관의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몇가지를 제언하면, 첫째 박물관의 관리·운영의 주체 및 체험학습과 박물관 교육 등을 위한 전문인력의 확보를 제시하였다. 둘째 지역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박물관을 특화시킬 수 있는 지역문화유산의 적극적 활용을 제안하였다. 셋째 경상북도내 안동소주박물관을 예로 들어서 지역특산물과의 결합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넷째 결혼이민자 증가 등 다문화가족 구성 비율이 높아지면서 박물관내 다문화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의 네트워킹을 통한 협조 및 통합을 중요시 하였다. 경상북도내 여러 박물관 중에서 대가야박물관을 활용한 지역문화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고령지역의 20%이상을 차지하는 노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지역에 산재해 있는 문화재 및 무형문화재를 활용한 박물관내의 교육 및 찾아가는 박물관의 형태로의 진행을 강조하였으며, 셋째 2005년부터 시작한 축제, 즉 대가야축제와 연계성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문화를 알리는 계기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는데도 충분히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경상북도의 박물관, 특히 대가야박물관을 중심으로 내부자료 및 각종 연구논문 및 서적들을 참고하여 몇 가지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지만 부족함이 많다. 특히 연구대상을 편의상 경상북도의 박물관 만으로 국한 시켰기 때문에 분야별 분석과 연구에서 객관성이 미흡한 것이 사실이며, 여타의 지역 등과 비교하여 좀 더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하리라고 본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밝히지 못한 박물관을 통한 지역문화의 활성화 방안 측면들이 나타나게 될 것이며, 이는 박물관의 활성화, 지역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여러 방안들을 강구하는 하나의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믿는다.

      • 고교학점제에 대한 공립 일반 고등학교 교원의 인식

        이유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공립 일반 고등학교 교원의 인식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교학점제 도입을 준비하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공립 일반 고등학교 두 곳을 선정하였고 각 학교에서 교장, 교감, 부장, 평교사의 직위별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심층면담과 현상학적 연구방법 이용하여 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 일반 고등학교 교원들은 고교학점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이해도 지니고 있었다. 학생의 선택을 강화한다는 면에서는 고교학점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앞으로 나아갈 교육의 흐름이라는 것에도 동의했다. 그러나 부정적인 면으로는 우리나라의 현재 교육환경에서 고교학점제를 바로 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과 제반 환경이 잘 준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있었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많은 변화와 노력이 있었다. 교원의 인식 변화 및 학교문화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학생선택이라는 취지에 맞추어 선택과목의 수를 늘리고 있었다. 또한 학교환경의 개선을 위해 힘쓰고 있는 모습이었다. 셋째, 선결과제로는 다교과 지도에 따르는 어려움 해소, 교원양성 및 교원 선발 제도의 변화, 강사 지원, 온라인 수업 등 다양한 학습 채널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또한 절대평가로의 변화, 융통성 있는 학사운영, 교과교실제에 최적화된 학교환경의 조성, 교과 담당 교사의 권한 강화 및 항상 공부하고 소통하는 학교문화의 정착 등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교학점제의 도입 및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현장의 교원들은 학점제에 대해 상당히 잘 이해하고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교학점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교과 지도 가능한 교원 양성, 학사운영, 수업 면, 행정 면, 학교 환경면에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public high school teachers awar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achieve this, two high schools that prepare to apply the school credit system to their schools were selected among public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In each school, subjects were chosen by their positions; principals, vice-principals, and regular teachers. The study is conducted by qualitative research and consists of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the subjects generally showed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redit system. In terms of reinforcing students’ choices on their curriculum, the subjects perceived the system positive and they also agreed that the system will be the mainstream in the education field in the nearest future. On the other hand, it is discovered that current surroundings in our education system are not well-prepared to adapt school credit system. Second, lots of efforts are being made to change in the actual schools. There were lots of efforts to change teachers’ awareness and to improve school culture. The number of elective subjects was enlarging. Also, the schools had high interests in improving their school surroundings. Third, there existed tasks to be solved beforehand: relieving the stress caused by teaching different subjects at once, the necessity of change in teacher training and selection system, hiring auxiliary instructors, and providing a variety of learning channels such as on-line. Also, the application of absolute evaluation, flexibility in adjusting academic calendar, improvement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creating a communicative atmosphere can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sum up, school faculties understand the school credit system very well and have a positive view of this phenomenon. Most of all, they are trying their best to make a change in a good way. However, to actualize the school credit system in our schools, there must be lots of changes preceded in the aspects of teacher training, adjustment of academic schedule, teaching methods, administration, and school environments.

      • 문화예술분야 청년층 고용현황과 정부 취업지원정책 효과 분석

        이유정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문화산업의 영향력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류가 확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문화시장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고, 문화예술분야의 산업적 경쟁력 강화도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문화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우수한 인력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고용환경은 임시직 및 비정규직이 타 영역에 비해 많고 고용이 불안하여 우수인재가 이 분야로 진출하는데 있어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우수한 인력확보를 위해서는 보수, 고용안정성, 근무환경 등 근로조건의 개선이 중요하고, 문화예술분야 청년층 정부 취업지원정책은 문화예술전공 졸업생의 고용안정을 지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분야 전공 졸업생들의 고용현황과 정부의 청년취업지원정책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정부의 청년취업정책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0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0GOMS)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이 문화예술전공 학생의 졸업 후 취업률과 고용안정성에 어떠한 효과를 주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 졸업생이 경험한 2013년 현재 정부의 청년 고용촉진정책 프로그램 대부분은 주로 임금근로자 및 상용직 위주의 정책으로, 임시직과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문화예술분야에는 대체적으로 크게 도움이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예술분야 졸업생의 고용안정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재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제언하였다.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effect of Korean government’s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imed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especially focusing on those majoring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s(C&A). C&A majors are known to have suffered both from low employment rate and low job security. To develop the culture and arts industries in Korea as a new growth driver as manifested in the government’s policy platform,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to improve the job prospective and employment performance for college graduates majoring C&A so that the culture and arts industries can induce better human resources and talents to find their long-term career goal in this area. I analysed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C&A major graduates using 2010 Graduates’ Mobility Surveys(2010GOMS1 and 2010GOMS3).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mployment, wages, and employment type in September 2011 and 2013, 18 and 42 months after the graduation, compared to other majors, C&A majors show no significantly low possibility of employment while earning less wages and showing lower possibility to get regular jobs. Compared to other majors, C&A majors also show larger proportion to venture start-ups. I also found that most of government active labor market programs for young college graduates were not so effective in boosting the employability for C&A majors. As for C&A majors, the experience of a intern program designed for small and medium compan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loyment in 2011. Youth global leader program was also turned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loyment in 2013. SME intern experience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ecurity in 2011. The analysis result suggests that new labor market policies designed or focusing more on C&A majors are needed as most of the current policy programs are of little help in helping them to get more secure jobs or to prepare or operate their start-ups.

      • 모듈 자동 정렬 알고리즘 기반 패션 도식화 소프트웨어 개발

        이유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섬유패션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패션 도식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기성복 디자인을 분석하여 도식화를 모듈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Bodice, Sleeve, Collar, Cuffs, Pocket 모듈로 구성되며, 모듈을 자동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사용자가 모듈의 조합만으로 새로운 도식화를 완성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기능은 기존 상용 시스템에는 없는 기능으로, 이를 통해, 패션 디자인 관련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손쉽게 도식화를 제작할 수 있게 될 것이므로 최근 관심이 늘고 있는 의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시대에 고객이 프로슈머로서 의류 설계 단계부터 참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구현된 시스템이 향후 패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다면 도식화 완성과 함께 봉제 패키지 제작이 가능해져 의복 생산 자동화를 더욱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a fashion flat CAD system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textile fashion industry. To carry out this, ready-made clothing designs were analyzed to modularize schematics and databases are built. The database consisted of Bodice, Sleeve, Collar, Cuffs, and Pocket modules. An algorithm was also developed that automatically aligns modules so that users can complete new fashion flat only with a combination of modules. These features are not available in traditional commercial systems, which will make it easy for users without fashion design expertise to produce fashion flats.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o enable customers to participate from the stage of clothing design as prosumers in the era of clothing mass customization, which has recently increased interest. If the implemented system is linked to the clothing pattern database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produce a sewing package with the completion of schematics, which will further speed up automation of clothing production.

      • 투어멀린(Tourmaline) 보석요법의 노인 혈액순환 개선 효과

        이유정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의 혈액순환 개선에 투어멀린 보석요법이 노인이 자각하는 주관적인 건강상태 개선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투어멀린 보석요법을 독립변수로 하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의 통증, 뇌기능 저하, 자율신경계 반응, 배설 기능 감소, 행동변화를 종속변수로 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틀은 투어멀린 보석요법이 혈액순환과 기혈운행 촉진, 세포 활력증진, 긴장 이완을 증진시켜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가정하였다. 연구 설계는 유사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9월 9일부터 7주간 투어멀린 보석 착용 전․ 후에 나타나는 혈액순환 개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0일간 대상자별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64명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 군포시 소재의 노인복지관, 문화원과 경로당을 중심으로 만 60세 이상 노인에게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 64명을 선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실험 전과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종속변수를 측정하였다. 노인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1:1로 직접 질의 문답식으로 시전, 시후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 실험군의 주관적인 건강상태, 생활습관, 운동습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조군과 실험군의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시전, 시후의 건강상태의 차이를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주관적인 건강상태, 생활습관, 운동습관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생활습관에 대해서는 p값이 0.05 이상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운동습관의 하위항목인 운동량과 운동시간에서 p값이 0.05미만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주관적으로 자각하는 건강상태에 대한 유의검정 결과 시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건강상태는 몸 상태, 임상적인 특징, 간, 심장, 소화기, 뇌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험군에 비해 대조군의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후 실험군과 대조군 건강상태에 대한 유의검정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실험군에 비해 대조군의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가 시전에 비해 크지 않았다. 시전 실험군과 시후 실험군의 건강상태에 대한 유의검정 결과 몸 상태, 임상적인 특징, 소화기 등 세 가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시전에 비해 시후의 실험군의 건강상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시전 대조군과 시후 대조군의 건강상태에 대한 유의검정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노인의 혈액순환 개선에 투어멀린 보석요법 적용으로 몸 상태, 임상적인 특징과 소화기의 개선에 보석요법이 기여할 수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되었으므로, 반복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더욱 입증된다면 노인 건강용품으로 개발이 많이 될 것이다. 혈액순환의 장애가 노인기의 건강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므로 노인들이 손쉽게 착용하여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ourmaline gemstone therapy on improving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aged, especially in terms of their subjective feelings. Tourmaline gemstone therapy was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the pain they felt, deteriorated functions of their brains, the reactions of their autonomic nervous systems, their excretory functions, and other behavioral changes was consider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is program.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that tourmaline gemstone therapy would promote blood circulation by stimulating Gihyeol station, enhancing cell vitality, and helping to improve relaxation.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in the setting of a non equivalent control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pplication of the pre and post test. The data needed for the study was collected for seven days starting September 9th of 2011 by means of giving questionnaires to a total of 64 participants aged 60 or older, and the objective of the survey was to find out how their blood circulation had improved. (experimental group: 32 ; control group: 32) I visited two senior citizen centers - the Gun-Po Cultural center and a senior community relief center located in Gun-Po, and made them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survey and persuaded them to take part in the study willingly. Since the subjects were senior citizens, I conducted the man-to-man surveys twice – prior and posterior to the experiment. I utilized SPSS 17.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o figure out general features. I also made an cross-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life styles including workout habits. And a T-test was carried out to recognize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 of the cross-analysis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life style and workout habits of both groups indicated more than p 0.05, which mean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tatistics. Meanwhile, exercise habits and the amount and time of exercise, its subcategory, showed less than p 0.05, which can be interpreted 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effect before the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subjectively-felt health status of both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of the liver, heart, digestive organs, and brains,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better health status than its counterpart. However,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after the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and that the control group had better health status tha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of the group control of the health status of the body, if the p-value 0.001, clinical features, the p value <0.001, if the p value between 0.041, p = 0.003 for the heart, fire extinguishers, the p value 0.008, p = 0.011 appeared as if the brai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periments than in the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 health status is good. The test result prior and posterior to the experiment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 their body conditions, their clinical features, and digestive organs. Also, the test result suggested that the senior citizens in the experimental group felt better health status after the experiment than before the experiment. Based on this experiment, we can conclude that Tourmaline gemstone therapy can improve senior citizens’ body conditions, their clinical features, and the function of their digestive organs. Furthermore, Tourmaline gemstone therapy is expected to be developed as health-enhancement products with more research to prove its medical effects. One of the leading factors which cause senile health problems is blood flow disorder. Therefore, Tourmaline gemstone therapy is a very easy and simple way aged people can take to monitor their health conditions and that’s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is study.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a significant test resul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n all items. The health statu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showed a good condition. However, the difference is not greater than before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just before the group the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 experimental test of significance for health is the result. If the body of the state is a p-value 0.027. If the p value of clinical features is 0.033. If a fire extinguisher with a p-value 0.036 in the three it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the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he health statu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better now.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on the health status of test resul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n all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ore than, Of seniors tourmaline gemstone therapy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by applying state of the body, clinical features and therapy of firearms jewelr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is was confirmed through research. Through repeated studies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if more seniors will be developing a lot of health products.

      • 초보상담자의 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자 되어가기

        이유정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inherited in the experience of beginning counselors in the education process of placement in graduate school and to study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Started from the autobiographical question of ‘what is the process of becoming a counselor?’ this study found meaningfulness of the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having conversation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expanded that meaning.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of the beginning counselor through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of Clandinin & Connelly to examine and investigate what the first counseling means to beginning counselor and what meaning does that experience have in the process of becoming counselor in the life of counselor. Especially, this study aimed to theorize the counselor development process of becoming an experienced counselor from beginner, not through a structuralism view which sees beginning counselor as inexperienced but through vivid voice of the beginning counselor, to show the process where the unique experience shapes the counselor and to find the qualitative meaning of this period. The researcher has collected data relevant to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of beginning counselors through interviewing with research participant Y for 13 months. The research participant Y is 28 years old single woman who is making progress to her first counseling case in the counseling placement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The first counseling of Y started in her 3rd semester of the counseling graduate school (March 2013) and has continued for more than a year until the time when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ended (March 2014).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repeated analysis, interpretation, advice from colleagues, and review of the research participant.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of the beginning counselo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of the beginning counselor was a struggling process but it eventually made the beginning counselor to be matured. Second,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was a continuous process of instability, but it allowed the counselor to form identity as a counselor. Third,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was a time of continuous frustration but it made the counselor to realize the role of counselor in the counseling. Fourth,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gave the counselor firm conviction that, despite uncertain and inferior difficulties of life, the counselor will share joys and sorrows together with the client for long time. The researcher found a common subject working on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 which is the mechanism with ambivalent meaning of ‘adversity versus orientation’. The counselor repeatedly experienced the layering of the mechanism with ‘actual adversity’ and ‘hopes orient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n experienced counselor.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have interpreted the series of process of becoming a counselor in the perspectives of ‘human, love, and growth’ to suggest the result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the meaningfulness of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continuous life of the beginning counselor instead of previous perspectives based on the counselor’s development model. In the psychological research where life and human are the main subjects of interests, follow-up studies which reveal the growth experience of the counselor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instead of standardizing the growth of the counselor in structural view must be conducted. Also, this study has experimental meaning as it is a thesis which applied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in full scale while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is unfamiliar in the Korean counseling research areas. The values being oriented in the counseling are shown to have many common points with characteristics of field, practice, and reflection pursued by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will be a chance for narrative inquiry researches to take meaningful part in the counseling research field in the future. 이 연구는 대학원 현장실습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상담자가 된 초보상담자의 경험 속에 내재되어 있는 현상을 깊이 탐색하고 그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상담자는 어떻게 되어 가는가?’라는 연구자의 자전적인 질문으로 시작된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와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 속에서 그 유의미성을 발견하고 그 의미를 확장해 가는 작업이었다. 연구자는 초보상담자의 현장실습 상담 경험을 Clandinin &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초보상담자의 첫 상담 경험은 무엇이고 그 경험은 상담자가 되어가는 삶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성찰하고 탐색하였다. 특히 초보상담자에서 숙련된 상담자에 이르는 상담자 발달 과정을 단계적으로 이론화하여 초보상담자를 미숙하게 보는 기존의 구조주의적인 시선이 아니라, 초보상담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서 그 고유한 경험이 상담자가 되어가는 삶의 맥락에 통합되는 과정을 드러내고 그 시기가 갖는 질적인 의미를 발견하는 데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13개월 동안 연구 참여자 Y와 인터뷰를 하면서 초보상담자의 현장실습 상담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 Y는 28세 미혼 여성으로, 대학원 현장실습 상담 교육과정에서 첫 상담 사례를 진행하고 있는 초보상담자이다. 상담대학원 3학기 차(2013년 3월)에 시작한 Y의 첫 상담은, 본 연구의 자료수집이 종결되는 시점(2014년 3월)까지 1년 넘게 진행되고 있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의 반복적인 분석과 해석, 동료 연구자들의 조언, 연구 참여자의 검토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로 도출되었다.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고군분투의 실습과정이었지만 궁극적으로 초보상담자를 성장하게 하였다. 둘째,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불안의 연속 과정이었지만 상담자로서의 정체감을 갖게 하였다. 셋째,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연속적인 좌절의 시간이었지만 오로지 상담 그 자체에서 상담자의 자리를 깨닫게 하였다. 넷째,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열악하고 불확실한 상담자의 직업적인 삶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여전히 내담자와 오래 오래 함께 하겠다는 확신을 갖게 하였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연구 참여자의 경험 속에서 그 경험을 작동하고 있는 공통적인 주제를 발견하였는데, 그것은 ‘애환 대 지향’이라는 양가적인 의미의 기제이다. 초보상담자는 현장실습 과정에서 ‘현실적인 애환’과 ‘성장을 지향하는 희망’이 중층(重層)되는 경험을 반복하면서 궁극적으로 숙련된 상담자가 되어가고 있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상담자가 되어가는 일련의 과정을 ‘사람, 사랑 그리고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여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초보상담자의 경험을 상담자 발달 모형에 근거한 기존의 관점이 아닌, 초보상담자 개인의 연속적인 삶의 맥락 안에서 현장실습 상담 경험이 갖는 유의미성을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인간과 삶이 주된 관심사인 상담학의 연구에서, 상담자발달을 구조적 시각으로 정형화하여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상담자 개인의 전인적인 성장 경험과 그러한 경험의 의미를 밝히는 관점의 후속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이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가 아직은 생소한 국내 상담학 연구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본격적으로 적용한 학위논문 사례로서 실험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상담학이 지향하는 가치가 내러티브 탐구가 추구하는 현장성·실천성·성찰성과 많은 공통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 연구를 시작으로 앞으로 상담학 연구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내러티브 연구물들이 본격적으로 출간되기를 기대한다.

      • 고독 선호도,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긍정정서의 관계 :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

        이유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심리적 부적응의 증후이자 외로움과 같이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해오던 고독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고, 고독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을 재조명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37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기 청소년과 후기 청소년의 고독 선호도,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의 차이를 검증하고, 고독선호도,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부모로부터 정서적 자율성, 정서조절전략의 정서표현억제, 인지재해석이 긍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독 선호도와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모두 초기 청소년보다 후기 청소년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기 청소년의 경우, 자기결정적 고독동기만이 긍정정서에 영향을 주었으나, 후기 청소년은 고독선호도,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인지재해석이 긍정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독이 긍정적으로 경험되기 위해서 고독 선호도뿐만이 아니라 자기결정적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으며, 후기 청소년시기에 증가하게 되는 인지기술이 고독의 시간 이후의 긍정 정서를 경험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게 해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독에 대한 발달적 차이를 밝혀주었으며,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자율성과 정서조절전략의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