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수관망의 적수와 탁수 발생 위험인자 도출 및 시나리오기반 위험도 분석

        한진우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의 적수와 탁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인자를 도출하였고 적수와 탁수 발생 위험도를 각각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로 구분하여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정상상황과 비정상상황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청주시 13개 동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가 높은 동을 선정할 수 있었다. 퇴적위험도와 박리위험도가 가장 높은 동은 내덕1동과 율량동 구시가지로 매설 경과년수가 30년이 이상으로 청주시에서 가장 오래된 동이다. 퇴적위험도와 박리위험도가 둘다 높은 동은 적수와 탁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수관망에서 수질사고 발생 시 최초 발생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역추적 계산법을 통해 파이프 초기 탁도를 변화시켜 관망내 설치한 탁도계에 측정된 탁도와 Percentage Error를 비교하여 탁수가 발생한 관을 탐지할 수 있었다. 실제 상수관망에 가상의 수질사고 발생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수질사고 발생 관을 탐지한 결과 최초 수질사고 발생한 관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수관의 퇴적위험도와 박리위험도 분석기법과 역추적 계산법은 실제 관로에 활용하면 개선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운영관리에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시민들에게 안전한 물 공급을 할 수 있어 수돗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risk factors that can cause red water and turbid water in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were derived, and the risk of red water and turbid water occurrence was analysed by dividing the risk into detachmentrisk and deposition risk, respectively. Normal and abnormal scenarios were applied to 13 areas in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of Cheongju City, and areas with high risk of detachment and deposition were selected. The pipes with the highest risk of detachment and deposition are Naedeok1-dong and Yul1ang(old)-dong, which are the oldest pipes in Cheongju City with more than 30 service year. The areas with the highest risk of detachment and deposition are considered to be areas with a very high probability of red water and turbid water. In addition, we developed a technique to detect the initial location of turbidity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By varying the initial turbidity of the pipe through back tracking calculation method and comparing the percentage error with the turbidity measured by the turbidity meter installed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we were able to detect the pipe where the turbidity occurred. By applying a hypothetical turbidity scenario to the actual water supply network, the detection of turbid pipes was confirmed to be consistent with the initial turbidity. By applying the detachment and deposition risk analysis method and back tracking calculation method to actual water pipes, it is possible to clearly determine the priority of maintenance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ap water by providing safe water supply to citizens through economical and efficient operation management.

      • 도로의 회전구간에서 횡풍과 편경사도가 고속주행 차량의 전복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연구

        한진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2층 버스 차량이 고속도로의 회전구간을 주행할 때 횡풍에 의해 발생하는 차량의 운동 모멘트를 산출하고 원심력과 편경사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크기를 산출하여 주행 중 차체에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의 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선회 주행 시 횡풍과 편경사가 차량의 주행 안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대상 모델은 영국의 Alexander Dennis사의 Enviro500로 하였다. 차량이 15 m/s의 횡풍을 받으며 주행할 때 차량에 발생하는 압력 저항과 압력 중심(CP)의 위치를 CFD를 이용하여 산출한 후, 산출된 값을 이용하여 차체에서 발생하는 요잉(Yawing),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모멘트의 값을 산출하였으며, 이론식을 이용하여 원심력 및 편경사에 의해 차체에 발생하는 힘의 크기를 합하여 횡풍, 원심력, 편경사에 의해 차체에 발생하는 힘의 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차량의 무게, 타이어 마찰계수, 무게중심, 무게중심으로부터 각 휠 축 중심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차량의 회전 저항 모멘트의 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두 힘의 크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횡풍의 속도를 15 m/s로 고정하였으며, 차량은 60~120 km/h의 속도로 회전반경 100~300 m, 편경사 0~10 %인 고속도로의 회전구간을 정속주행 할 때 차량의 주행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편경사가 없는 구간에서 100 km/h의 속도로 회전 반경이 150 m 이하, 120 km/h의 속도로 회전반경 200 m 이하인 도로를 선회 시 모델 차량은 롤링 저항 모멘트의 크기보다 차체에 작용하는 롤링 모멘트의 값이 커져 주행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편경사가 커질수록 차량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의 크기는 감소하고, 회전 저항 모멘트의 크기는 증가하여 차량의 주행 안전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 대상 모델 차량의 외부 운행 조건 변화에 따른 주행 안전성 판단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a double decker bus service has been considered to solve the heavy traffic problem for rush hour by K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For a double decker, the height to width ratio is over 1.16 times bigger than the general high-speed single decker bus and C.G point of the model double decker bus is higher than the general bus. It could be a serious reason for the driving stability problem of a double decker vehicle such as turn-over and breakaway the lane especially under the strong side-wind condition at high-speed running. In this Analytical study,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double decker bus has been reviewed under side-wind and superelevation condition. With CFD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the rolling, pitching and yawing moment of the model bus was calculated and compared the results to the recovery angular moments of the model bus to evaluate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bus at the given driving condition on a road.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s the model vehicle moves through a straight level road, the model bus is under the stable condition at any side-wind condition. However, as the bus moves through the curved road under the side-wind condition, it could reach to the unstable condition dynamically. When the bus moves at a curved road that the radius of gyration is less than 100m under side-wind (15m/s), there is a chance of turn over of the bus. When the radius of gyration is less than 150m at 100km/h and less than 100m at 120km/h, there is a chance of the turn over of the model vehicle at zero superelevation.

      • Polyisobutylene을 이용한 S-이부프로펜 TTS 제조

        한진우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부프로펜은 강력하고 안전한 프로피온산 유도체인 비소테로이드성 소염진통 약물로서,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경구투여를 통해 많이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통한 이부프로펜의 복용은 전신적인 부작용과 위장관 장애를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이 약물을 경피투여하는 것이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은 그 치료용량(1.2 g ~ 2.4 g)이 매우 많고 피부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경피투여를 통한 치료효과를 얻기 어렵다. 이부프로펜은 S-이부프로펜과 R-이부프로펜의 두가지 enantiomer로 존재하는데 이중에서 S-이부프로펜만이 약리학적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게다가 이부프로펜의 융점이 76℃인데 비해서 S-이부프로펜의 융점은 56℃로 더 낮게 존재한다. 낮은 융점은 더 높은 피부투과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S-이부프로펜을 함유한 경피투여제제는 이부프로펜 경피투여에 문제가 되었던 많은 치료용량과 낮은 피부투과력을 해결할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폴리이소부틸렌과 가소제과 여러 피부투과 촉진제를 이용하여 S-이부프로펜의 피부투과를 증진시티고 D-이부프로펜을 포함한 TTS제를 제제설계하였다. 다양한 비율로 섞인 고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HPIB)과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LPIB)혼합물이 PIB PSA모델로 사용되었고 S-이부프로펜의 피부투과에 미치는 영향이 적출한 쥐의 등피가 사용된 프란즈 확산셀을 통하여 37 ℃에서 평가되었고 HPIB/LPIB의 비율이 85/15에서 높은 피부투과력을 보였다. 85/15(HPIB/LPIB)가 S-이부프로펜 패취의 폴리머로 선정되었고 피부투과 촉진제 가운데서는 PGML에서 피부투과 촉진작용이 나타났다. 가소제로서의 mineral oil은 matrix에서 약물의 유동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PIB matrix에서의 S-이부프로펜의 방출이 mineral oil에의해 증가하게된다. 85:15(HPIB:LPIB) /S-ibuprofen/mineral oil의 비율이 60/5/40인 제형에서 최대 피부투과 속도 25.90 ㎍/㎠/hr을 얻었다. S-이부프로펜 패취의 점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tackifying resin인 regalite A1100이 사용되었는데 폴리머내의 tackifying resin은 순수한 폴리머의 Tg를 미세하게나마 높여주고 피부투과력을 감소시킨다. 5:15(HPIB:LPIB)/ S-ibuprofen/mineral oil/regalite A1100의 비율이 55/5/40/5인 제형에서 24.21±4.46㎍/㎠hr의 피부투과 속도를 얻었다. Ibuprofen, a potent and safe NSAIDs of propionic acid derivatives, has been widely used for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via oral administration. Because the oral administration of ibuprofen can induce unwanted systemic side effects and gastrointestinal irritation, transdermal delivery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However, it was difficult to get an effective therapeutic action by transdermal delivery of ibuprofen due to its extremely high dose (Daily dose : 1.2 g ~ 2.4 g) and its intrinsically poor skin permeability. Ibuprofen exists as two enantiomers, S-ibuprofen and R-ibuprofen. Among them, only S-ibuprofen has a pharmacological activity, while R-ibuprofen is pharmacological nonactive. And, the melting point of ibuprofen (76℃)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S-ibuprofen (51℃). The low melting point of drug exhibits a high skin permeability. Therefore, topical administration containing S-ibuprofen will works out the problem that topical delivery of ibuprofen is difficult due to high dose and poor skin perme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the skin permeation of S-ibuprofen from patch using polyisobutylene(PIB), plasticizer and various permeation enhancers and to formulate a TTS containing S-ibuprofen. Several ratios of high molecular weight PIB(HPIB):low molecular weight PIB(LPIB) were used as the model PIB PSA matrices. The effect of HPIB/LPIB ratio on percutaneous absorption of S-ibuprofen through excised rat skin were evaluated using a franz diffusion cell system at 37℃ and selected to obtain some optimal formulations. 85:15(HPIB:LPIB) showed the higher permeability of S-ibuprofen than any other PSAs. 85/15 was selected as the polymer in the preparation of S-ibuprofen patches. Among the penetration enhancer studied, PGML showed a increase in the skin permeability. Mineral oil as a plasticiz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mobility of the drug in the matrix. The diffusion of S-ibuprofen in the PIB matrices was increased by mineral oil. The highest flux of S-ibuprofen, 25.90㎍/㎠/hr, was obtained with the formulation at a 85:15(HPIB:LPIB)/S-ibuprofen/mineral oil ratio of 60/5/40. In order to increase adhesive force of S-ibuprofen matrix, Tackifying resin, regalite A1100 used. Tackifying resin in matrix slightly increased the Tg value compared to that of the pure polymer and also decrease the skin permeation of S-ibuprofen. Flux of S-ibuprofen, 24.21±4.46㎍/㎠hr, was obtained with the formulation at a 85:15(HPIB:LPIB)/S-ibuprofen /mineral oil/regalite A1100 ratio of 55/5/40/5.

      • 불가촉천민의 사진학적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진우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진은 예술에서뿐만 아니라 특별한 순간의 기록이나 지리적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사진과 같이 정확하고 객관적인 증거를 남기기 위해 어느 곳에서든지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 중 다큐멘터리사진은 “연구 또는 시각자료로서의 분명한 목적 아래서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사진의 특성인 사실성과 객관성을 눈에 보이는 실재, 즉 가시적 실재의 직접적인 기록물이라고 여겨지는 까닭은 사람들이 처음부터 사진의 사회적 활용을 ‘사실성’과 ‘객관성’에 두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사진의 사실성과 기록성, 객관성을 바탕으로 현대 인도 사회에 뿌리 깊게 박힌 계급사회에 대해서 사진적 연구 대상으로 기록하고자 하였고 연구 작업을 통해 사회와 개인간의 관계에 대해 성찰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고대로부터 정복인과 피정복인과의 관계에서 계급사회는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보이지 않는 계급들이 존재한다. 금전력과 권력을 바탕으로 사회지도층이라 불리는 지배계층과 서민, 대중이라 불리는 피지배계층이 암묵적으로 존재한다. 현대의 계급사회에서 가장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대상을 탐구하던 중 인도의 카스트제도가 눈에 들어왔다. 현재에도 존재하는 카스트제도의 연결고리의 끝에 불가촉천민이란 사람들이 존재함을 인식하였고 그들의 삶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작품 논문으로 다큐멘터리 사진의 기록성을 바탕으로 인도 계급사회인 카스트제도의 최하위 계층에 속하는 불가촉천민들의 삶을 관찰하며 그들의 내면을 보이게 노력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진실성과 객관성을 확보하여 사회 표면으로 그들을 드러냄으로써 객관적인 시선으로 그들의 삶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 제도의 문제점을 환기시키고자 하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다큐멘터리 사진의 힘을 빌어 현대 인도사회의 카스트 제도의 최하위층에 있는 불가촉천민들을 연구했으며, 불가촉천민과 그들의 사회상을 사진이라는 형식으로 기록하고 표현하고자 했던 것은 연구자의 연구 과정이었다. - 연구 대상의 선정 및 연구 - 카스트제도의 기원과 역사적 고찰. - 불가촉천민의 개념정리와 그들의 사회적, 종교적 문제. - 연구자와 참고 작가들의 사진 비교 분석 및 한계. - 결론 및 의의. 21세기를 살아가는 현재, 인도에서는 카스트제도라는 계급사회가 존재한다. 1950년대에 법적으로 폐지되었지만, 수 천년동안 인도에서 존재했던 카스트제도는 쉽게 없어질 수가 없었다. 아직도 그들의 규범인 힌두사회에서 불가촉천민의 지위는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최하층을 집단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오염되고 더러운 직업에 종사해서 불가촉천민이 아니라 그들의 부모의 계급의 세습으로 인해 불가촉천민인 것이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존엄성을 가지고 평등한 존재이다. 그러나 불가촉천민은 절대 평등하지 않다. 사회적, 종교적으로 각종 차별을 받으며, 세습된 계급과 직업으로 더욱 차별을 받고 있으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다른 일자리를 구하는 것조차 봉쇄되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생활을 극복할 수가 없고 일상의 여러 장소에서 편견과 차별을 받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들의 자손들까지 세습화되는 현실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불가촉천민의 삶과 사회적 종교적 문제를 파악하려고 하였고, 본 연구자가 사진적 대상으로 선택한 불가촉천민 중 극히 오염된 존재로 여기는 돔(Dom)과 도비(Dobi)를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그들의 삶의 터전인 화장터와 빨래터에서 인터뷰와, 사진촬영을 전개하면서 그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사전 지식으로 알고 있던 내용보다 현실적으로 불가촉천민의 삶을 체감했으며, 힌두사회에서 조금이나마 인정받으려는 그들의 삶을 사진으로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여러 참고자료와 인도서적저자, 전문가이드, 주재원, 인문학교수들과의 인터뷰들을 통해 정확한 정보와 사실을 얻으려고 하였다. 본 논문에서 논제의 근간을 이루는 카스트제도 속 불가촉천민인 돔과 도비의 삶을 기록한 결과물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자는 인물에 대한 접근과 그들의 사회상, 작품의 당위성에 영향을 준 사진작가 루이스 하인(Lewis Wickes Hine)의 작품과 형식적 방법론에 영향을 준 린제이 아다리오(Lynsey Addario)의 작품을 통해 연구자의 이론적 동기와 방법론을 설명하고자 했고 표현 방법에 대한 당위성을 말하고자 하였다. 참고작가들의 사진들은 대상에 접근하는 방식과 대상이 가지는 고유한 정체성을 표현하려한 연구자의 사진적 방법론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또한 불가촉천민의 계급을 개선하려 한 간디(Mohandas Karamchand Gandhi)의 ‘하리잔(HariJan)’운동과 암베드카르(Bhimrao Ramji Ambedkar)의 ‘달리트(Dalit)’운동을 통해 불가촉천민들의 지위 상승에 대한 움직임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 속에서 본 연구자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한 것은 ‘인간은 평등하다.’라는 존엄성의 가치아래 불가촉천민에 대한 사회의 시선이 재조명되어지고, 본 Photographs have been used not only for artistic purpose but also for variety of purpose such as recording special moments, leaving objective evidences. Especially, documentary photography is conventionally used for researches or instructional visual materials. The reason that photography often regarded as a direct record of visual existence is the main focus of photography was on reality and objectivity. Based on the main point, I recorded the class system of India in pictures, and during this research, I could thoughtfully reflect on the relations between a society and an individual. Since ancient times, there have been class systems, and also, there is a stratum in Korea internally, which divides people into two large groups: the ruling caste called the leadership of society and subjugated class called common people. When searching the research object which best represents differences between social classes, I could find India’s caste and the lowest class in the system called untouchable. This paper, wrote by Invisible People, covers the untouchables and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m in India with the documentary photography. Main focus of this paper is indicating the problems of the dignity of men in the Hindu society by suggesting objective sources which let us not only see the fact of their life, but their mental agony. The paper focuses on the life of untouchable class by suggesting their problems. By virtue of photography, I could study about untouchable people, the lowest class in India, and the main point of this research is the process of the study covers recording their life and cultural problem in pictures. - The selection and the study of research object - The origin of caste and historical research - The concept of untouchable class and cultural religious problems. - Comparing photos between researcher and reference photographer. - Conclusion Even though it is now 21st Century, the caste is still pervaded in India. The system was abolished 1950s but it was not so easy to get rid of the system which has lasted for thousands of years. Untouchables are still in the lowest position socially and even financially, indeed, their social status was not determined by themselves. All men are created equal, however, untouchables have been receiving unfair treatment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y were born poor. There is nothing that untouchables can do for acquiring the status of higher rank, thus the social status was not only for the present generation, but continued to be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During the defining sociocultural problems of the caste, Dom and Dobi came into sight, which are considered as the dirtiest level among the untouchables. I could understand their thinking and life style while I conducted interviews and took some pictures. I tried to project their effort for moving a step up in the society onto pictures and collect more accurate data through gathering reliable references and interviewing resident employees and liberal arts professors. Reference photographers’ works heavily influenced my photographical methodology which shows an identity of an object and the approach to the object. In order to explain my theoretical motive and necessity of expression, I followed the methods of approach suggested by Lewis Wickes Hine and Lynsey Addario famous in the field of documentary photography. Furthermore, through HariJan and Dalit, which were leaded by Mohandas Karamchand Gandhi and Bhimrao Ramji Ambedkar, I could recognize untouchables’ effort for a better social status, and I sincerely hope this article to help spreading the truth of untouchables’ lives and shedding new light on Indian society’s prejudices against untouchables under the slogan, “All men are equal.”

      • 현행 교원 성과급 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과 교사헌신과의 관계

        한진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현행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공정성과 교사 헌신이 어떠하며,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현행 교원성과급 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들의 교사 헌신은 어떠한가? 셋째, 현행 교원 성과급 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과 교사 헌신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20개교를 표집하고, 표집된 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365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현행 교원 성과급 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과 교사 헌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공정성에 관한 질문지는 조국행(2002)이 제작한 질문지를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교사 헌신에 관한 질문지는 홍창남(2005)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SPSS WIN 프로그램(Versio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하였으며 차이 검증을 위해 t검증과 F검증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또한 현행 교원 성과급 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과 교사 헌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현행 교원 성과급 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의 수준은 공정성 전체와 분배공정성 그리고 절차공정성 모두 평균 3.06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 살펴보면 성별은 공정성 전체,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모두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직위별로는 모두 부장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일반교사보다 부장교사가 학교 경영에 참여할 기회가 많고 관리자와의 의사소통의 기회도 많으며 학교조직에서도 어느 정도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교원성과급 제도의 공정성 인식에서 높게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교직경력별로는 25년 이상인 교사가 공정성 전체,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두 25년 이상인 교사가 공정성 인식이 가장 높게 나온 것은 성과급 평가 기준에 교육경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낮은 경력의 교사들에 비해 학교로부터 받는 교원 성과급이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과급 등급별로는 공정성 전체,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모두 A등급인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성과급 등급을 높게 받은 교사일수록 학교에서 맡고 있는 업무의 양, 달성한 성과, 그리고 교원성과급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이나 절차들을 봤을 때 학교로부터 받는 교원 성과급이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사 헌신에 대한 수준은 평균이 3.74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수업 헌신은 3.94, 학생 헌신은 3.79, 학교조직 헌신 3.50으로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 살펴보면 성별은 교사 헌신 전체, 수업 헌신, 학생 헌신은 여자가 높게 나타났고 학교조직 헌신은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서 다른 변인들은 여자가 높게 나왔지만 학교조직 헌신에서 남자가 다소 높게 나온 것은 여자에 비해 인원수가 적고 적은 인원수에 비해 학교경영에 참여하는 기회가 많고 직무성취의 기회가 많이 제공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직위별로는 교사 헌신 전체, 수업 헌신, 학생 헌신, 학교조직 헌신 모두 부장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로도 기혼이 미혼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교직경력은 25년 이상인 교사가 교사 헌신 전체, 수업 헌신, 학생 헌신, 학교조직 헌신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직경력에서 모두 고경력자의 수준이 높게 나온 것은 경력을 최우선으로 하는 교직 사회의 승진단계와 젊은 교사들에 비해 학교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학교조직 헌신 등에서 경력이 낮은 교사들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성과급 등급별로는 A등급인 교사가 다른 등급인 교사에 비해 교사 헌신 전체, 수업 헌신, 학생 헌신, 학교조직 헌신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전해 성과급 등급을 높게 받은 교사가 등급을 낮게 받은 교사에 비해 수업과 학생 그리고 학교조직에 대해 중요하다고 여기는 정도나 정서적으로 느끼는 일체감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업과 학생 그리고 학교조직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려는 의지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공정성 인식과 교사 헌신과의 상관관계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교 교사들의 현행 교원 성과급 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의 수준이 높아지면 교사 헌신의 수준도 약간 높아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관관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이것은 교사 집단이 전문적 헌신 집단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교사들은 자신들이 받는 성과급에 상관없이 학생들에게 사명감을 가지고 학생들과 하는 수업에 최선을 다하는 집단이라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현행 교원 성과급 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과 교사 헌신과의 관계는 아주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사 헌신을 높일 수 있는 교원성과급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 헌신의 하위요인 중 학교조직 헌신의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교조직 헌신을 높일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질문지법으로 조사된 양적연구이다. 질적연구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양질의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불소화 Poly(hydroxyamide)s의 제조 및 특성

        한진우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eries of fully aromatic poly(hydroxyamide)s(PHAs) were synthesized by direct polycondensaton of diacides containing di-ether, di-imide ring and trifluoromethyl group with 3,3′-dihydroxybenzidine. PHAs were studied by FT-IR, 1H-NMR, DSC, XRD and TGA. PHAs exhibited inherent viscosities in the range of 0.62∼0.88 dL/g at 35 ℃ in DMAc solution. The solubility revealed that PHAs were readily soluble in Pyridine, THF and aprotic solvents such as DMAc, DMF, DMSO and NMP. PBO 2 and PBO 4 were soluble in sulfuric acid with LiCl(on heating). While, PBO 1 and PBO 3 were quite insoluble in other solvents except partially soluble in sulfuric acid. It was confirmed by using DSC that PHAs were fully converted to PBOs via a thermal cyclization reaction, whose endothemic peaks were observ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77 ℃∼293 ℃. Thermal properties of PHAs and PBOs were characterized by TGA. For PHAs, the first 10% of weight losses were occurred in the temperature of 346 ℃∼526 ℃, and then the maximum weight losses were follow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75 ℃∼683 ℃. However, for PBOs, the first once were notic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540 ℃∼575 ℃, and the maximum losses were successively observ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72 ℃∼681 ℃. Here, the char yields were 49%∼55% for PHAs, and 51%∼59% for PBOs, respectively.

      • 대전류용 고온초전도 코일의 손실 특성 연구

        한진우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the AC loss from the operation of the superconducting power equipments. The major part of the AC loss from the superconducting power equipments is a magnetization loss caused by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 superconducting wires, which have various shapes and the inner crystal structures. In this paper, we chose the HT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CORC® (Conductor on round core) among the various superconducting conductors for the large current capacity, and try to predict the magnetization loss by the experimental measuring and the numerical calculations. The experiment system for measuring magnetization loss of the HTS CORC® was defined and prepared and the various types of CORC® samples were have been tested to compare the loss generations from each samples. The basic structure of the HTS CORC® has the multiply stacked HTS wires wound helically on the round former, so th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ar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each layers, the winding pitches, the shape of the HTS wires, and the ralative positions of the HTS wires in CORC®. Considering all th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we prepared various CORC® samples and measured experimentally the magnetiztion losses from each samples to compare the results. Considering all the experimental results, we try to predict the magnetization loss from the HTS coils made of HTS CORC® under the condition of AC transport currents. Three different kinds of HTS coil with the same impedance were analyzed by the calcula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s a result the hybrid HTS coil with a combination of CORC® coils and pancake coils showed the lowest magnetization loss under the same operation conditions.

      • 저출력레이저가 2도 화상 백서 모델의 화상치유 및 염증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진우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도 화상 유도 후 저출력레이저가 화상치유에 관여하는 인자와 염증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Sprague-Dawley계 흰쥐 48마리를 대상으로 2도 화상(second-degree burn)을 유도하고, 21일간 저출력레이저를 처치하였으며, 각 실험군은 3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화상 유도 후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n=16), 유도 후 드레싱을 처치한 실험군 Ⅰ(n=16), 유도 후 드레싱과 저출력레이저(1.2 J/㎠)를 처치한 실험군 Ⅱ(n=16)로 구분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화상치유와 염증완화를 평가하기 위해 유발 전, 유발 후 3일, 7일, 14일, 21일에 평가를 실시하였고, 피부의 각 치유 과정 중 조직학적 변화의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육안적 관찰에서 실험군Ⅱ는 다른 군에 비해 염증과 발적 등의 소견이 거의 없는 상태로 화상 회복 속도도 빠르고 향상된 치유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화상 유발 후 21일간의 화상부위의 직경변화와 회복에 따른 정량적 수축변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 Ⅱ에서 14일차(p<0.05), 21일차(p<0.01)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염증성 지표 인자의 수치가 감소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저출력레이저군에서 백혈구, 중성구, 림프구, 단핵구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조직학적 형태 관찰을 위해 H & E, M & T, VVG 염색을 실시한 결과 대조군은 불규칙한 정렬 상태와 손상정도가 심한 조직상태를 보였으며, 각 실험군들은 주변의 정상조직과 유사한 형태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실험군 Ⅱ에서 더 회복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2도 화상 유도 후 저출력레이저 치료는 화상 부위의 치유 및 염증성 지표 인자 수치 감소를 통해 화상으로 유도된 화상치유에 가속화를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저출력레이저 치료가 열적 손상으로 유도된 피부 화상치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w level laser treatment on the burn injury healing and anti-inflammation of burn injury in rats. The experiment groups were divided them into three groups, and assigned 16 rats to each group. Control group was non-treatment after burn injury; Experimental Ⅰ was dressing film after burn injury; Experimental Ⅱ was dressing flim and low level laser (1.2 J/㎠) treatment after second-degree burn injury. In each group, burn area diameter, retraction quantification, hematological value, morphologic and histologic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 In the result of burn area diameter, the outcome of each group significantly differenc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ignificantly changed after 14days. Especially, Experimental Ⅱ was most significantly difference than the other group). 2. Wound size retraction quantification, the outcome of each group significantly differenc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ignificantly changed after 14 days. Especially, Experimental Ⅱ was most significantly difference than the other group). 3. Hematological value, significant reduction of neutrophil and leukocyte, lymphocyte, monocyte in Experimental Ⅱ group. 4. Histological observations in the Experimental Ⅱ, Experimental Ⅰ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almost normal skin tissue regeneration seems was confirmed. It is suggested that low level laser treatment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burn injury healing in ra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ow level laser treatment have an effect on inflammatory reaction and skin regeneration.

      •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개념 : 기능주의적 해석의 정당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진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영혼과 신체의 관계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의 의미를 밝히고, 더 나아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이론에 대한 해석들 가운데 가장 유력한 것으로 간주되었던 기능주의적 해석의 정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psych?) 개념이 그의 인식론과 윤리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이 갖는 해석적 난점들 때문이다. 『영혼론』을 해석하는 가장 최근의 시도는 기능주의적 해석이다. 이 해석은 현대 심리철학의 특정한 문제들에서 출발하여 ??영혼론??에 접근하면서, 형상과 질료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언급에서 현대 기능주의의 기원을 찾으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의 현대적 적합성을 찾고자 하는 일부 학자들은 이런 기능주의적 아리스토텔레스 해석에 환호를 보냈지만, 그들은 아리스토텔레스를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의 이론적 시각에서 보고자 하는 연구자들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두 진영 간의 주요 논쟁은 질료형상론과 감각이론에 대한 것이었다. 따라서 기능주의적 아리스토텔레스 해석의 정당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이 두 문제와 관련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의 진정한 의도를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본 논문은 일차적으로 영혼을 형상일 뿐만 아니라 실체라고도 정의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술을 살펴볼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론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따라, 기능주의적 해석은 형상의 실체로서의 지위를 부정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질료와 형상의 합성물인 자연적 육체뿐 아니라 그러한 육체의 형상인 영혼 또한 실체로 간주한다.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론이 제1실체와 제2실체의 논리적 구분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제2실체는 질료와 형상의 합성물인 제1실체의 형상이라는 의미에서 실체이다. 영혼이 형상인 동시에 실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술은 육체는 제1실체인 반면 영혼은 제2실체라는 것을 의미한다. 제2실체가 제1실체를 자기 자신으로 규정하는 본질과 원리이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적 관점에서 영혼은 육체가 살아있게 만드는 원리이다. 반면 질료형상론에 대한 기능주의적 해석은 정신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의 데카르트적 구분에 기초해 있다.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영혼은 물질적 육체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이러한 영혼이해가 사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반박했던 영혼조화론과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진다면, 기능주의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이론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부적합하다는 것이 분명해질 것이다.다음으로 본 논문은 기능주의적 해석이 감각이론에서 정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기능주의적 해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와 형상의 차이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때문에 감각 과정이 감각기관의 구조나 상태의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생리학적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질료형상론에 대한 기능주의적 이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이론을 일종의 생리주의적 이론으로 전락시킨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서 감각과정은 감각 가능한 형상이 감각능력에 의해 그것 자신의 본성에 의해 한정된 방식에 따라 수용되는 과정이다. 이 점이 분명히 밝혀진다면, 아리스토텔레스를 기능주의의 선구자로 보는 시각은 더 이상 지지될 수 없을 것이다.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이론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논의로부터 우리는 그가 자신의 영혼이론을 목적론적인 관점 하에서 기획하고 전개했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다. 그는 호메로스로부터 플라톤에 이르기까지 고대 그리스사회에서 전개된 영혼담론의 전통을 계승한다. 이러한 전통은 삶의 다양한 측면들을 반영하여 각 생명체의 '삶'이 어떻게 통일성과 전체성을 성취하는가를 고려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기능(ergon)'은 각각의 부분과 전체의 관계에 있어서 어떤 것을 그것 자신으로 만드는 특정한 내적 목적을 가리킨다. 이러한 기능은 각각의 생명체들의 물질적 구성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그것들의 본성과 활동에 의해 결정된다.

      • 기독교인의 신앙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한진우 경성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experiences in christian’s life of faith. Two research questions were: first,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of christian’s life of faith? second, what are the structure and essentials of the experience of christian’s faith life? The author want to util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to develop a program for helping christians familiarize with christian’s life of fait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participants who had been christian at least twenty early and who were not elders and pastors.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Giogri’s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to interpret a mass of the subjects’ experiences data. The researcher identified seven primary themes representing the experiences in christian’s life of faith. The indirect ones are: ① experiences regarding worship prayer and praising, ② desire for words of God, ③ desire for learning christianity. The direct ones are: ① voluntary service and evangelism, ② the experience in a christian community, ③ fellowship among church members. At last, the life of grace life is a common linkage between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participants have been strongly and continuously desperate for the word of God, learning for christian life, and sharing and fellowships in a church. Overall, christian’s life of faith is focused on experiencing the grace of God and living by it. The researcher was able to take the course of a follow-up study by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experience of christian’s life of faith and their needs of the life of faith that appear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신앙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문제로 첫째, 기독교인의 신앙생활 경험의 내용이 무엇인가? 둘째, 기독교인의 신앙생활 경험의 구조와 본질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자가 기독교인의 신앙생활 경험의 내용과 구조와 본질을 파악하고자 하는 이유는 향후 기독교인의 신앙 생활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은 신앙생활을 20년 이상 계속하고 있는 성도를 중심으로 선정하되 장로와 목회자는 제외한 7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을 통하여 확보한 자료를 전사하고 코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 덩어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Giorgi의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7가지 신앙생활 경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구조와 본질은 다음과 같다. 신앙생활 경험의 내용은 간접경험과 직접경험으로 나눌 수 있었고, 간접경험으로는 첫째, 예배와 기도와 찬양 둘째, 말씀에 갈급함 셋째, 교육받고자 함이었다. 직접경험으로는 첫째, 봉사와 전도 둘째, 공동체의 경험 셋째, 성도의 교제로 나타났다. 간접경험과 직접경험 전체를 이어주는 중심에는 ‘은혜의 삶’이 자리 잡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두드러지게 드러난 점은 연구 참여자인 성도들은 말씀에 대하여 한결같이 갈급하고 있었고, 신앙생활에 대한 교육적 갈망이 컸다. 또한, 교회 안에서 성도들과 나눔과 교제에 대한 간절함이 드러났다. 전체적으로 기독교인의 신앙생활은 은혜를 받고, 계속 은혜의 삶을 사는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구자는 연구결과에 드러난 성도들의 신앙생활 경험의 내용과 필요와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후속 연구에 방향성을 잡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