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지역 다문화가족의 건강수준과 보건의료 이용실태

        하영주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sage of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services by immigrant women, their infants and children who lived in influencing the usage,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immigrant Muju-gun, Jeonlabukdo. Furthe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factors women’s characteristics in health services, and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to support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147 immigrant women who were in the list of multi-cultural households in the Municipal Office of Muju-gun between 8/22/2011 and 9/20/2011. The response rate to the questionnaire was 80.72%, and the collected 118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respondents, 33.0% were Vietnamese. The average range of marriage age was 20s.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relationships between nationalities and som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al attachment, health status, and the rate of cancer check,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ty and their Korean speaking skills, medical check-ups, and disease. 2. The average length of marriage of respondents who experienced a pregnancy was 5.7 years. Their number of times being pregnant was 1.8, and none of the respondents had a miscarriage.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skills in Korean and the rate of medical check-up for infants and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ariables including nationality, speaking skills in Korean, prenatal care rate and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3. Medical center visits of respondents were less than 10 times per year, and most visits were satisfactory. However, immigrant women were accompanied by family members in the visit, since language and transportation were the barriers of access to medical centers. In summary, compared with Korean women, while the immigrant women in Muju-gun, Jeonlabukdo had a higher rate of medical check-ups and breast feeding, their cancer check-up rate, prenatal care, and a take-up of health education during pregnancy and delivery were lower. Additionally, the disease rate (76.3%) of immigrant women during pregnancy and delivery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women. Therefore, in order to address health problems of immigrant women and their families (including infants and children), a more advanced health care system for them is required. In particular, cancer check-ups and health care for infants and children not supported by the previous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dditionally, to address language issues in medical center visits, establishing a system supporting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immigrant women including arrangement of translators for multi-cultural households and translated health inquiry table health check-up questionnaire is also recommended. An expansion of the number of medical staff and their supports at each site will make possible ease of access and timely and appropriate health services. In addition, providing health education and information for the prevention of disease enables immigrant women to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ies for keeping healthy, and doing so by themselves.

      • 심상을 이용한 자기통제훈련이 ADHD 성향 유아의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하영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s of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on problematic behavior of a child at risk with ADHD Woosuk Graduate School Dep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Young Ju H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on problematic behavior of a child at risk with ADHD. Three children at risk with ADHD were involved as participants. A multiple-probe across subjects design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se the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During baseline period, the social interaction activities of 15-minutes in the free play session were observed. And in processing intervention,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ive times a week in the context of ongoing activities and routines.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event recording and anecdotal record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effectively reduced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with ADHD. Second, the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was effective in decreasing aggressive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with ADHD. Third, the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was effective in decreasing hyperactivity of children at risk with ADH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can provide kindergarten teachers with meaningful data to intervene children at risk with ADHD in the classroom.

      • 자연과의 교감을 통한 환상공간표현

        하영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환상 이미지들이 흘러넘치는 시대이다. 오늘날 현대인이 겪는 현실의 각박함과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환상은 매우 매혹적인 존재이며, 현실의 경계를 넘어 허구의 공간으로 우리를 향해 손짓하곤 한다. 여기서 환상은 일반적으로 비현실적이고 비생산적인 사고활동으로 인식되기 쉽다. 하지만 우리의 무의식을 고양시킴으로써 억압받는 삶에 대해 질문을 하기도 하고, 억압을 넘어선 따뜻한 감정과 소망을 고조시키는 것 또한 환상이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환상의 중요성과 그 의미를 연구함으로써 긍정적 에너지로 작용되는 환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르크 샤갈은 신비로운 색을 이용하여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롭 곤살베스는 꿈과 현실의 공존을 통해 환상의 공간을 그려낸다. 또한 마이클 파크스는 신화적 소재를 중심으로 신화가 빚어내는 아우라를 이미지화 한다. 이들은 모두 환상이라는 독창적인 상상력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한 작가로,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작품을 분석해 봄으로써, 환상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하고 작품화시켰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본인의 작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조형적 언어인 '색'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색의 중요성과 작용적인 면을 살펴보았는데, 그 중에서도 색의 상징과 심리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본인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한층 더 도움을 주었다. 본인의 작업은 크게는 자연을 세부적으로는 특정한 동물 혹은 인물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감을 그것과 조화된 환상으로서의 공간으로 시각화함으로써, 현실과 환상이 공존하는 상상 속 환상 공간을 이야기한다. 이 공간은 단순한 공상이 아닌 오히려 일상적이고 낯익은 것들의 관계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개개인의 사유적 공간으로 존재하게 된다. 우리는 이러한 시간과 공간을 가짐으로써 본인마저 숨기고 살아가고 있는 자신의 깊은 속마음을 알 수 있으며 그것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마음을 다독이고 어루만지는 치유의 시간을 가지게 된다. 본인이 생각하는 환상은 거창한 어떤 것이 아닌 이렇게 사물과의 교감을 통한 치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소박한 꿈과 같은 존재이다. 이러한 소중한 존재들과의 교감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심상은 자유로운 색과 선, 문양을 통해 표현되며 그것은 자연과의 교감을 통한 자연적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고 반복되는 선과 단순하게 패턴화 된 꽃문양의 반복으로 표현되어 지기도 한다. 또한 그들과 소통하며 느낄 수 있는 그 당시의 감정에 충실한 색의 사용과 자연만이 가질 수 있는 고유한 아름다운 색의 중첩적인 표현을 통해 무수한 흔적들을 남김으로써, 교감을 통한 감성이 일시적인 것이 아닌 지속성을 가지고 오랜 시간 이루어졌음을 표현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일상 속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교감을 통한 상상과 사유의 중요성을 이야기하였고, 그로 인해 사람들이 ‘환상’이라는 단어를 떠올림에 있어, 그것은 곧 사라지고 마는 덧없음의 환각적 존재가 아닌, 힘든 현실을 극복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논문을 연구하였다. The present age in which we live is witnessing a flood of fantasy images. In the harsh reality of contemporaries and their repetitive daily lives, fantasy is so attractive a being that often signs us to enter the fictional space beyond the boundary of reality. Here, it is likely that fantasy is generally assumed as an unrealistic and unproductive activity of thinking. However, what interrogates the repressed lives by inspiring our unconsciousness, as well as elating warm emotions and wishes beyond repression, is also the role of fantasy. I looked into such fantasy that exerts positive energy in effect by investigating its importance and meaning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Marc Chagall produces fantastic atmosphere with mystic colors, and Rob Gonsalves draws the space of fantasy with coexistence between dream and reality. Also, Michael Parks is based on mythical subject matters to make images with the aura shaped by mythology. All of these are the artists who based their works on original imagination of fantasy, and this study analyzed their works so as to identify how they embodied the abstract concept of fantasy and realized it into works. Besides, the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working of ‘color’ which was a formative language accounting for the large part of my work; particularly, exploration about the symbolic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rs helped more to understand my work. My work visualizes a space of fantasy harmonized with both nature in a broad sense and the communication through a specific animal or person in particular, thus narrating a fantasy space of imagination in which reality and fantasy coexist. This space is not a mere idle fancy, but rather harmonized in relation to everyday and familiar things as a space for individual thinking. We can see in this time-and-space our innermost feelings hidden by ourselves, and have the healing time to caress and appease our minds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m. The fantasy in my idea is not something in a big way, but a being like a simple dream which functions as a therap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ings. The mental images experienced by this communication with valuable beings are rendered with free colors, lines, and patterns, sometimes taking natural forms through communication with nature and other times reiterating lines and simple flower patterns. Also, leaving a number of traces with the colors true to my feelings at the time of communicating with them and the superposed expression of beautiful colors which can be found only in nature, I indicated the communicative sensation was not temporary but had continued for long time. This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imagination and thinking through communication that can occur in daily lives. Working this study, I hoped that the word ‘fantasy’ should come across the mind of people not as an ephemeral illusion that would disappear soon, but as a dynamic power to overcome the stifling reality.

      •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하영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조절 및 또래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배려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동화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동화 통합활동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은 유아의 정서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2개 사립 유치원 만 4세 70명으로 사회, 경제적 수준이 비슷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Ⅰ 25명, 비교집단Ⅱ 25명이다. 실험집단에게는 매주 40분 이상 주 2회에 걸쳐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을 제공하였다. 비교집단Ⅰ에게는 배려동화를 소개하고 언어영역에 비치해 주었고, 비교집단Ⅱ에게는 일반 동화활동을 적용하였다. 먼저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배려 구성요소(인지-관계성 인식, 조망수용능력, 타인심정고려, 정서-염려, 책임, 공감, 민감성, 애착, 염려, 측은지심, 민감, 행동-도움, 돌봄, 실천, 응답, 전념, 수용, 사랑의 노동, 양보심, 배려행동, 긍정적 반응)를 포함하고 있는 동화를 선정하여 통합활동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2013년 4월 29일부터 2013년 7월 5일까지 10주에 걸쳐 주 2회 총 20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는 신현숙(2006)이 수정·보완한 정서조절능력 척도와 박주희와 이은해(2001)의 또래유능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Ⅰ, 비교집단Ⅱ 유아들의 정서조절 사전검사 결과에 대해 F검증을 실시하여 세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동질성이 가정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의 사후검사 결과에 대해서도 F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이를 고려하여 자신의 행동에 반영하는 것이 배려의 특징이며 동화라는 매체를 통해 유아가 주인공이 되어 감정이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좋은 매체였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이후 유아의 정서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에서는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과 같은 실제 활동을 통해 유아의 조절능력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요구되어 진다. 둘째,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을 통해 배려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하였고 이를 실제 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경험하면서 또래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해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간 관계 개선 및 사회정서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 교육환경과 주택가격의 상관관계 및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양천구 사례를 중심으로

        하영주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s recent social education gap by region and stratification of educ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its gap are causing many side effects socially and economically. Based on this kind's phenomenon of the above, this study began from the questions of how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eal estate prices, and social and spatial polarization phenomenon caused each other practically.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social and spatial polarization caus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ts gap, with focus on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each distinct's relevant factors were analyzed. After selecting the variables to investigate Seoul's educational attain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difference by autonomous district, they are summarized in the graph. Through th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housing environment and price by autonomous district according to that, the study found out that correlation with housing pric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as high. And finally, based on the index such a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housing price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f analyzing the rank of social indicator by each district showed that the specialization to be connected to education-income-class had the correlation mutually.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n property prices to be directly affect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ru the more detailed cases.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housing status in Yangcheon district, Yangcheon district also showed that the existence of regional differences, like Seoul City, could be found. If so, to check the effect on house prices to be influenced by the actual educational environment, it was analyzed with empirical data of apartment's prices and the apartment complex's environment. with the sample of 146 apartment complex located in Yangcheon district,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 as to how general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of each apartment complex and the education environment affect apartment price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esidential complex scale, parking per household number, brand and the distance to nearby subway station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entrance status of special-purpose high schoo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distance to private education center's concentration area appeared to be affecting the apartment price. Even though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s in determining house prices, b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wed the presence of underlying eff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look at them by connecting between housing price problems form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ocial polarization issue. Through Seoul's case study, the determination of real estate values due to educational factors and the phenomenon to be resulted from social gap caused by that, was macroscopically confirmed. In addition, regarding the core topic of this study of housing prices' fixing due to educational factors, its influence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Yangcheon district. If the relevant factors of apartm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nvironment, with targeting a more diverse case areas, are included in affecting apartment prices, it is expected to find more implications. 최근 한국사회의 지역 간 교육격차와 그에 따른 학력계층화는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그 예로, 일정한 지역의 교육환경은 지대 및 주택의 가격까지 영향을 미치며 공간적 격차를 발생시키는 현상을 이야기할 수 있다. 학군이나 거주지 주변의 사교육환경이 주거지의 아파트 가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교육환경과 부동산 가격,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공간적 격차의 문제가 실제 서로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에서 시작되었다. 먼저 교육환경 및 교육격차로 인한 사회·공간적 양극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서울시 자치구 25곳을 사례로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서울시 자치구별 교육 성취 정도와 교육환경의 차이를 알아보는 변수로 특목고 및 명문대학 진학률, 평균 수능성적, 교육재정지원 현황, 방과 후 교실 운영 현황, 사설학원 수 등을 선정하였고 기초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그것을 정리, 도식화 하였다. 그에 따른 자치구별 주택환경 및 가격과 거래량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육환경과 주택 가격이 갖는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환경 및 주택 가격과 같은 지표들을 바탕으로 각 자치구별 사회적 지표들의 순위를 상관분석을 한 결과, 교육-소득-계층으로 연결 되는 지역 격차가 서로 상관성을 띄우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환경이 직접적으로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부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양천구에 대한 교육환경과 주택현황 분석을 통해 양천구 역시 서울시와 마찬가지로 지역별 격차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교육환경이 주택 가격에 미치고 있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아파트 가격 및 단지 환경의 실증 자료를 통해 이를 분석하였다. 양천구에 위치하는 146개의 아파트 단지를 표본으로 설정하여, 각 아파트 단지의 일반적인 물리적 환경요인과 교육환경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거환경요인으로는 단지규모, 세대 당 주차 수, 브랜드여부, 인근 지하철역까지의 거리가, 교육환경요인으로는 특목고 진학현황, 수능점수, 사설학원 밀집지역까지의 거리가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주택 가격 결정에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내재되어 있지만 교육환경이 미치는 영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환경이 형성하는 주택 가격에 관한 문제를 사회적 격차의 문제와 연관하여 바라보았다는데 의의를 둔다. 서울시 사례를 통하여 교육요인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의 결정, 그에 따른 지역격차가 일어나는 현상을 거시적으로 확인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핵심주제인 교육 요인으로 인한 주택 가격의 결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들을 양천구를 사례로 실증분석 하여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더욱 다양한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교육의 여건과 관련된 추가적인 지표의 발굴뿐만 아니라,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파트 개별특성 및 주거 환경 관련 변수들을 포함시킨다면 보다 많은 시사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개발이익환수제도의 위헌성에 관한 공법적 연구

        하영주 단국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公共福利의 增進을 위하여 국민의 부담으로 시행하는 開發事業으로 인해 그 지역의 토지소유자에게 발생하는 開發利益에 대한 적절한 환수제도의 필요성은 긍정하지만, 이러한 還收制度가 資本主義市場經濟秩序를 기본으로 하여 私有財産權을 보장하고 있는 우리 헌법질서에 합당한지의 여부에 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더욱이 근래에 들어와 뜨겁게 논쟁이 된 土地公槪念과 더불어 정부의 부동산정책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소위 土地公槪念 3법인 土地超過利得稅法.「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개발이익환수에 관한 법률」 중 土地超過利得稅法은 헌법불합치로,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은 위헌으로 결국은 그 입법목적을 상실한 채 각각 폐지되고 말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硏究는 開發利益還收制度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이의 이론적.사상적 배경으로 작용한 土地公槪念을 살펴보면서 이 土地公槪念과 헌법의 기본원리인 私有財産權保障制度에 과연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유독 私有財産權 가운데 土地財産權에 대하여 많은 사회적 제약이 가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일반의 私有財産權과 달리 土地財産權은 본질적으로 이러한 숙명을 타고난 것인지, 아니면 土地財産權도 여타의 財産權과 동일하게 그 특성에 따른 제약을 내포하는 것에 불과한지를 실증적으로 硏究하였다. 즉, 土地財産權에 대한 제한과 규제가 헌법상 私有財産權 保障과 관련하여 헌법 제37조 제2항에 위배되느냐의 여부와 헌법상의 원칙인 비례의 원칙.과잉금지의 원칙 그리고 위헌여부의 판단 기준으로서 二重課稅禁止의 原則.미실현이익에 대한 과세의 문제 등에 대하여 憲法裁判所의 판단 기준인 목적의 正當性.방법과 수단의 適合性.法益의 均衡性.침해의 最少性 등도 함께 檢討하였다. 따라서 본 硏究는 우선 私有財産權의 하나인 土地財産權과 이에 대한 제한원리로서 등장한 土地公槪念의 관계에서 土地公槪念은 태생부터 資本主義市場經濟秩序를 근간으로 하는 自由市場經濟體制와는 다른 것으로 이의 전면적.부분적 수용은 헌법질서에 위배된다는 점을 밝히면서, 헌법 제23조 제1항.제2항.제3항 및 제119조, 제122조 등과 체계적인 해석을 통하여 土地公槪念과 같은 별도의 불확정적이고 다의적인 개념을 동원하지 않아도 충분히 公益과 私益의 조화가 가능하다는 논리와 논거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그리고 세계 각 국에서 자국의 실정에 따라 운용되고 있는 開發利益還收制度 내지 이와 유사한 제도를 개관한 후 우리나라의 제도를 전반적으로 고찰하면서 본 硏究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開發利益還收制度의 違憲性에 대하여는 헌법질서 위반 및 제37조 제2항에 위배되어 위헌이라고 보았다. 開發利益還收制度의 위헌성에 대하여는 첫째, 헌법의 원리인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 존중에 위배된다는 점 둘째, 국토이용.개발의 효율성과 균형성에서 차원에서 특별한 이익으로서 開發利益을 환수한다면 반대로 특별한 희생에 해당하는 開發損失에 대하여는 損失補償制度를 두지 않았다는 점 셋째, 행복추구권과 인간다운 生活權과 배치된다는 점 넷째, 私有財産權에 대한 사회적 제약 내지 공공성의 무제한적인 확대는 私有財産權制度의 형해화를 초래하여 헌법 제37조 제2항에 위반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開發利益還收制度의 기능과 역할을 살리면서 합헌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開發利益還收制度에 대한 합헌성 부여 논리로 資本主義體制의 근간을 구성하는 自由市場經濟秩序를 긍정할 것과 開發利益還收制度가 정당성과 보편성을 확보할 것, 開發損失補償制度와 사후구제제도를 보완할 것, 開發利益의 범위를 명확히 할 것, 開發利益還收制度를 체계화 할 것 등을 요청하면서 개선방안을 토지의 소유단계와 이용.개발단계, 처분 등 거래단계의 3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開發利益還收制度는 資本主義經濟秩序와 배치되는 것으로 違憲이므로 개발이익환수는 물론 土地公槪念을 포함한 財産權의 사회적 제약과 공공성의 해석과 적용기준은 헌법질서에 부합하도록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In reward of a development gain generated by the development business which needs people’s liability for promoting a public welfare to the landholders of relevant territory, a necessity for the Restitution System is affirmative, but nevertheless the Restitution System is still questionable for whether it is adequate for our constitutional system which secures the Private Property Right based on the capitalistic market economy system. Furthermore, among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which recently became a heated controversy, together with the Excessively Increased Valuable Land Tax Law, the Ceiling on the Ownership of Building Lands Act, and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Act, which are three representative acts under the government’s real estate policy, the Excessively Increased Valuable Land Tax Law and the Ceiling on the Ownership of Building Lands Act are abolished as a result of the constitutional discordance and the unconstitutionality in the end. Even though this study reviewed in this point of view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it examined whether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coincide with the Private Property Security System while inquiring into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which is operated as a theoretical and an ideal background of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System which is a fundamental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aw. It is realistic that there have been many social restrictions especially to the land property right among the private property right, but this study positively researched on whether it is fatalistic for the land property right to be different from a general private property right or whether the land property right is no more than just connoting the restrictions in compliance with its traits identical to other property rights.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 restriction and a regulation in relation with the land property right shall be restrained by Article 37 (2)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related to the private property right security, and also examined the principle of proportion and the principle of excessive prohibition that are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the principle of the Prevention of Double Taxation and the Taxation of the Non?realized Profit that are judgment standards of unconstitutionality along with the justice of a purpose, the suitability of a method and a measure, the balance of a legal benefit, and the minimization of a infringement that are judgment standard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us, while demonstrating it clear that an entire or a partial expropriation of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shall be against the constitutional system due to the fact that it is originally different from the Free Market Economy System on the basis of the Capitalistic Market Economy System in a connection between the land property right, the one of the private property right, and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which appeared as the principle of a restriction to the land property right, this study also clearly provided a logic and an ground that the accord of a public gain and a private gain would enough be possible through Article 23 (1)·(2)·(3), Article 119, Article 122, etc.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and the systematic analysis without mobilizing an equivocal and indefinite concept like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In addition, after making a general survey on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System being operated properly under the actual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in the world and other systems analogous to it, while considering the system of our country by and larg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Unconstitutionality on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System, the core argument of this study, shall be unconstitutional because it is restrained by Article 37 (2)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and the infringement of a constitutional order. There are four reasons why this study has seen that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System is unconstitutional. First, it is contrary to economic freedom and respect that ar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Second, there is no indemnifica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loss, which is a special sacrifice, despite the fact that the Restitution of the Development Gains as a special benefit is approved under the efficiency and balance of land utilization and development. Next, it is against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and the human living right. Lastly, a social restriction to the private property right or an unlimited expansion of public sector is restrained by Article 37 (2)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as it causes the meaninglessness of the private property right system. On the other hand, while demanding the affirmation of the free market economy system which organizes the basis of the capitalistic system, the security of justice and generality for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System, the complement of the indemnification system for development loss and the post relief system, the definiteness of the range for development gains, the systematization of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System, etc. as standards of the constitutionality on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System in order to operate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System constitutionally with its max function and role, and while dividing its standards into three steps that are a possession, an utilization and a development, and a deal of land, this study conclusively suggested that the social restriction, the analysis of public sector, and the application standards of the property right including the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and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should be reconsidered in a new point of view due to the fact that the existing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s System is unconstitutional as it is contrary to the capitalistic market economy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