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급여사례관리를 통한 진료비 절감방안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주정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료급여제도는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국민의 의료문제를 국가가 보장하는 공공부조 제도로 건강보험과 함께 국민 의료보장의 중요한 수단이 되는 사회보장제도이다. 즉,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들에게 발생하는 의료문제 즉, 개인의 질병, 부상, 출산 등에 대해 의료급여서비스(진찰, 검사, 치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의료급여제도를 이용하는 의료급여수급자는 대다수가 저학력자나 고령자가 많아서 올바른 의료이용에 대한 정보가 취약함으로써 합리적 의료이용을 위한 의사결정에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더불어 만성질환자의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고 있으나 적절한 상담 및 관리서비스의 제공이 미흡하며, 과다‧과소의료이용자의 사전발굴 및 예방전략으로 수급자의 불합리한 의료이용으로 인한 건강위험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과다한 의료이용으로 인한 의료급여비 급증을 적정하게 관리하기 위해 수급자에 대한 의료급여 재정의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급여수급자에 대한 의료급여사례관리 역할과 의료급여 사례관리 접근방법이 의료급여수급자 진료비 절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더불어 정부에서 진료비 재정안정화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의료급여사례관리가 진료비 절감에 대하여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의료급여사례관리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전라북도 의료급여 사례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효율적인 진료비 절감 방안을 모색하여 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2011년 8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전북지역 내 61개소 요양병원에 입원중인 의료급여대상자에 대한 적정의료이용 사례관리를 6개월 동안 2년 연속 개입하였다. 2011년도에는 1,598명을 2012년도에는 2,105명을 대상으로 전수 관리하여 의료급여대상자 입원여부 및 건강상태 확인, 장기입원자 사례관리, 의료급여기관 사례관리를 실시하였다. 의료급여관리사가 수행하고 있는 사례관리 진료비 절감을 규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내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의료급여수급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 개입 전과 개입 후의 의료이용에 관한 사례관리 효과를 비교하여 단일 집단 전후 비교설계를 하였다. 진료비를 국가가 지불하는 의료급여 제도의 특성상 의료공급자의 도덕적 해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수요측면에서도 의료이용 남용 및 오용에 따른 비효율적인 의료이용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는 사례를 요양병원 사례관리에서 착안하여 접근한 결과 전북지역에서는 최초 요양병원에 대한 사례관리를 개입한 전후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기관부담금이 79억 5백만원으로 11.49%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전국은 기관부담금이 4,993억 9백 3천만원으로 18.39%의 증가율로 전국현황과 비교하여 봤을 때 6.9%나 낮은 증가율을 보임으로써 진료비 절감에 기여하였다. 전라북도의 요양병원 수의 증가추세는 2010년도에는 전국 20.5%를 차지하여 전국 3위, 2011년도에는 21.7%로 전국 4위, 2012년도에는 22.9%로 전국 4위를 차지하고 있어 최근 3년간 높은 수를 지속적으로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현행 의료급여제도가 갖고 있는 체제상 요양병원 사례관리에 대한 접근은 진료비 절감을 위하여 필요한 사례관리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 해비타트마을의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외부환경디자인연구 : 천안'희망의 마을'을 중심으로

        주정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가 발달할수록 주거의 형태는 단독주거에서 집합주거로 옮겨가 현재는 집합주거에서의 거주가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점점 고층화되는 집합주거에서의 무관심과 소외현상으로 거주민들은 자기가 속해 있는 공동체, 혹은 집합에서 일체감을 느끼지 못하고 오히려 고립되어 있다고 느낀다. 이에 "함께 더불어 사는 삶"이 중요시되고 이를 위한 행동들이 인간의 생활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다. 특히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집단생활은 의식주의 세 가지를 모두 실현할 수 있는 해결방안으로 주목되고 있다. 또한 공동체는 지속가능한 정주지실현을 위한 방법으로도 인정되고 있다. 그동안 공동체에 관한 연구 중에서 사회적 약자인 저소득층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있다 해도 해결책 역시 경제적 지원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저소득층들이 지난날 경험했던 소외된 문화와 열악한 주거환경에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해비타트 마을이란 공동체를 통해 저소득층 가정에 화목을 주고 더 나아가 계층간의 화합을 통해 이웃관계를 회복하려는 해비타트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오늘날 '공동체'란 의미는 포괄적이고 '커뮤니티'란 용어와 혼용되고 있는데 선행연구를 통해 이는 '함께 있음의 의식' 또는 '일체감을 느끼는 것'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커뮤니티는 지역성, 공동체성, 유기체성을 그 구성요소로 하며 이 세 가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나타나는데 이는 생명체가 가지는 속성과 닮아 있다. 특히 주변 여건에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존속, 생존하려고 하는 유기체성은 생명체의 속성과 닮아 있다. 이에 생명체, 생명체의 기본인 세포가 가지는 조형적 특성을 이용해 저렴집합주택의 외부환경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 고찰을 통해 커뮤니티 및 저소득층의 개념에 대해 논하였다. 제 3장에서는 저렴주택단지의 일반적 정의를 논하고 해비타트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본 연구의 대상지가 해비타트마을 이어야 하는 타당성과 적합성에 대해 논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해비타트마을과 저렴주택단지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서 진행될 연구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디자인을 위해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해외의 저렴주택단지 사례를 조사하였다. 사회주택의 출발지인 영국을 비롯한, 유럽의 사회와 다민족, 다계층의 국가적 특성을 가진 미국의 사례를 검토, 현재 선진국의 저렴주택이 지향하는 바를 제시하였고 서유럽과 미국의 코하우징(CO-HOUSING) 사례를 조사하여 공동체주택들이 가져야 할 기능과 변화되고 있는 공동체의 기능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공간프로그래밍의 기본 틀을 마련하였고 저소득층을 위한 집합주택에서의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디자인의 진행과정으로 2장과 3장에서 연구된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컨셉을 도출, 공간을 프로그래밍화 하고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저렴주택단지의 계획에 있어 주택의 기능성보다 이웃관계를 위한 공간계획이 더 중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고, 앞으로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프로그램과 연계된 단지의 관리방법, 공동체 프로그램등의 연구가 더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rapid growth of the cities the housing type has been changed from single housing to gathering housing. So it is being an universal type now. But many residents feel that they are isolated from society rather than feel the sense of unity because of the apathy and the alienation. Hence, as part of healing this society problem people have thought that the life related to their neighbor is important. So there are occurring some activities in the general parts of human life. Spacially the communal living based on community comes in to the spotlight as a solution of the problem. Also community is recognized as a method realizing theirs fixed place of residence where can be durable. this while there are few studies on community of the low-income brackets who are usually the weak in society. If there were, the plan of partially financial support is almost all. But fortunately estranged culture and the poor environment of housing, which the low-income brackets were experienced, have being changed. At present Habitat movement which goals the harmony of low-income brackets through community of a Habitat village and getting along with every brackets to recover good relation with neighbor is spreading in our society. These days the meaning of community is summarized in the consciousness of living together or the feeling of unity. The community consists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communal society and organism. It has some similarities to the organic body because the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each other. Spacially the organic character which is apt to continue and survive independently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s resembles the character of organic body. So I developed the outdoor environmental design of low-priced gathering houses which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 of organic body. This paper's contents consist of as follow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study are described in the first chapter. The definition of community and the low-income brackets through studying theory was explained in the second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general definition of low-priced gathering houses was described. Also the appropriateness and the reason why the objective site of study must be the Habitat village was explained through considering Habitat movement. And the basic direction of study indicated after examining Habitat villages and the problems of low-priced gathering houses in our country. In the fourth chapter some example of design and low-priced gathering houses in overseas countries was investigated to develope the design of communal facilities. Through reviewing some housing of England, in where the social housing was originated and America where there are various people and diverse classes, I introduced the ideal concepts for which the advanced nation are heading. And I investigates the function of community and the function which must be included in the communal housing through researching some co-housing of Western Europe and America. By considering these results I drew the basic frame of space program and show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n the gathering houses for low-income brackets. Lastly in the fifth chapter Ⅰ extract the design concepts stemming from the progress of chapter 2 and chapter 3, and design the space after programing.

      • 옥수수 (Zea mays L.) 뿌리의 굴중성 반응에서 활성 산소종의 역할

        주정희 梨花女子大學校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Gravitropism, directional growth in response to gravity, is a general phenomenon in plants. Characterized mechanisms of gravitropism involve roles of auxin as a plant hormone. Recent evidence indicates tha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ay function as as intracellular messenger in growth factor and hormone signal transduction. Here we show the roles of ROS in plant gravitropism. Stimulation of maize primary roots with gravitropic stress resulted in a transient increase in the intracellular concentration of ROS. ROS accumulated in the tip of primary roots in response to gravistimulation, whereas the elongation zone reveals no change of ROS. ROS generation by gravistimulation is observed in the lower endodermis of the root tip within 30 min. H2O2­contained agar placing on a upper side of the root tip against gravity reduces gravitropic curvature, whereas the agar placing on a lower side of the root tip stimulates increase in gravitropic curvature. Scavenging of generated ROS by N-acetylcysteine (NAC) inhibits gravitropism. The natural auxin, IAA (Indole-3-acetic acid), induced H2O2 in maize roots. When seedlings were incubated in a 5 μM IAA solution, ROS production was increased and reached the maximum content at 60 min. The efficient concentration of IAA for the ROS production in maize roots was 5 μM. PCIB (α-(p-chlorophenoxy)isobutyric acid), anti auxin, reduced IAA effects on ROS generation. And other synthetic hormones such as 2,4-D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and α-NAA (α-naphthalene acetic acid) also induced ROS. However, β-NAA (β-naphthalene acetic acid), an inactive auxin, did not cause ROS generation suggesting that ROS production by IAA is related to functional mechanism of gravitropism. It was also found that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inase) may function as a downstream component in auxin-mediated signal transduction in root gravitropism and the effect of auxin on H2O2 generation was blocked by the PI3K inhibitors LY29400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roduct of PI3K is required for auxin-induced production of H2O2 in plant cells. The generation of ROS by gravistimulation is essential for the phosphorylation and activation of p38MAPK like plant MAP kinase in maize roots, although not of ERK2. Furthermore, NAC-pretreatment of roots abolished the activation of p38MAPK like plant MAP kinas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activation of p38MAPK like plant MAP kinase by ROS is essential for root gravitropism and p38MAPK like plant MAP kinase was a potential target for gravistmulation-induced ROS. We next asked the signal transduction roles of ROS in response to auxin and investigat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When protoplasts were treated with IAA, intracellular calcium levels were increased. Furthermore, scavenging of ROS by NAC treatment abolished intracellular calcium mobilization. As soon as H2O2 was added into protoplasts, intracellular calcium levels were promptly raised 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OS i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intracellular calcium movement. We also investigated the role of ROS in auxin-induced ethylene generation. ROS induced ethylene generation by activation of ethylene synthesis enzymes and auxin-induced ethylene generation was inhibited by NAC. These results show that ROS plays role as a signal transducer in auxin-induced ethylene generation. To identify the target molecules of gravistimulation induced­ROS in maize roots, biotin-labeled iodoacetate was engaged. Three candidate proteins (43 kDa, 40 kDa, and 23 kDa) were detected in gravistimulated roots. Among thease candidates, the 43 kDa target protein is proven as Gαi.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indicate that ROS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second messenger in plant gravitropism. 본 연구에서는 최근 새롭게 부각된 이차신호전달물질인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뿌리의 굴중성 반응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옥수수 뿌리조직에서 중력 자극에 의해 활성 산소종이 빠르게 생성, 소멸됨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양상은 식물의 중력반응에서 활성 산소종에 의한 신호전달 매개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의 차등적 분포를 고농도의 H2O2 혹은 항 산화제를 처리하여 제거한 경우 굴중성 반응이 억제되었다. 이는 활성 산소종과 항 산화제를 비대칭적으로 첨가한 뿌리에서 굴중성 반응을 조사함으로써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는데, 중력 자극을 줄 때 뿌리 아래 면에 활성 산소종을 처리한 경우 굴중성 반응이 촉진되는 반면, 윗면에 처리하여 주면 굴중성 반응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항산화제인 N-acetylcysteine (NAC)을 아래 면에 처리해 주면 굴중성 반응이 억제되고 윗면에 처리해 주면 오히려 촉진된다. 따라서 중력 자극시 활성 산소종이 편재된 상태로 생성 분포하는 것이 굴중성 반응에 중요하다. Auxin의 이동 저해제인 NPA 처리로 억제되었던 굴중성 반응이 H2O2를 아래 면에 첨가한 경우 회복되었다. 또한, 원형질체를 사용하여 auxin 처리시간에 따른 활성 산소종의 생성 양상을 살펴본 결과 10분 이내의 빠른 시간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고 또한 빠른 속도로 대조구 수준까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auxin에 의한 활성 산소종 생성 유도는 auxin의 활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활성 산소종의 생성이 유도될 때 PI3­kinase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PI3­kinase의 특이적 저해제인 LY294002를 이용하여 PI3­kinase와 굴중성 그리고 활성 산소종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는데 LY294002는 굴중성반응을 억제하고 중력자극과 auxin에 의해 유도되는 활성 산소종의 생성도 억제하였다. 또한 EEA1을 과잉발현시켜 PI3P의 신호전달을 억제시키면 auxin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생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I3­kinase의 활성화와 그 생산물인 PI3P에 의해 auxin이 유도하는 활성 산소종의 생성 기구가 조절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경로를 통해 중력 자극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생성도 조절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력 자극이 유도하는 활성 산소종의 대상 물질을 규명하기 위해 MAP kinase (MAPK)와 Ca2+, 그리고 auxin이 유도하는 ethylene 생성이 활성 산소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MAPK 저해제에 의하여 중력반응이 억제되고 중력 자극에 의해 p38 MAPK가 활성화되며 활성은 NAC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는 중력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MAPK가 활성 산소종에 의해 조절 받을 뿐 아니라 그 대상 물질임을 암시한다. 활성 산소종과 auxin에 의한 Ca2+ 이동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활성 산소종과 auxin에 의해 Ca2+의 이동이 일어나 세포질의 Ca2+농도가 증가하였으며 NAC을 전처리 해주면 이러한 반응이 사라졌다. 이 결과로 중력 자극시 생성되는 활성 산소종에 의해 의 이동이 조절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산소종에 의해 유도되는의 이동은 PI3­kinase의 저해제인 LY294002에 의하여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활성 산소종의 생성에 PI3­kinase가 관여하기 때문에 활성 산소종의 생성정도에 따라의 이동이 조절될 것으로 생각된다. 활성 산소종에 의해서 ethylene 생성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ethylene 생합성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며 auxin에 의한 ethylene 생합성의 증가가 NAC 처리에 의해 그 효과가 저해되었다. 따라서 활성 산소종이 auxin의 ethylene 생성 유도를 조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ethylene 생합성이 억제되었을 때 auxin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생성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ethylene에 의해 활성 산소종의 생성은 영향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중력 반응시 유도되는 활성 산소종의 대상 단백질을 알아본 결과, pKa가 4.5정도이고 분자량이 43 kDa인 단백질이 대상물질로 밝혀졌으며 여러 가지 G protein의 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한 결과 43kDa의 대상 단백질은 Gαi 으로 밝혀졌다.

      •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대상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주정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통은 도시 및 경제발전의 수단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대부분의 교통문제 원인은 도시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찾을 수 있으며, 도시활동이 활발하면 활발할수록 더 많은 교통수요가 발생하고, 교통시설물의 확충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교통시설물의 확충은 많은 예산과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도시내에서 이루어지는 개별건축물의 교통수요에 일일이 대응할 수 있는 교통시설을 설치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통시설이라는 것은 현재 및 미래까지 지속되는 자산으로 사람 및 국가전체에 영향을 주게 된다. 우리나라는 70, 80년대 이후 압축·고도화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인구 및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가 초래되었고, 이는 교통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야기하여 도시내 교통상황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여건을 타개하기 위하여 경제성 뿐만 아니라 공익성 확보를 위한 교통영향평가제도가 도입되었다. 교통영향평가제도는 대상사업의 시행에 따라 발생하는 교통흐름의 변화 및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예측․분석하고, 그와 관련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로 1982년 서울시 ‘교통개선방안연구’에서 제안되었고, 1986년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의해 법제화되어 시행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까지 수차례 개정작업이 진행되어 2009년 1월 1일부터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항의 변경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건축물 신축시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의 대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일정규모(건축 연면적 또는 부지면적)로 법제화되어 있어 각 사업별·지역별 등의 특성을 고려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지역적 범위로 공동주택(아파트) 신축시 건축 연면적, 활동인구, 세대수, 발생교통량, 주진출입구와 전면도로의 인접거리, 주차면수, 전면도로 현황교통량, 동 인구, 구 인구, 총통행량 등 교통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들을 찾아 요인간의 상관관계분석을 1차 목표로 설정하였고,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판별분석을 통하여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의 대상여부를 판별하는 모형식 구축을 2차 목표로 설정하였다.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판별분석을 통하여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의 대상여부를 판별하는 모형식을 산정한 결과, 설정한 모든 요인을 적용한 판별 모형식은 81.2%의 판별능력을 보였고, 4가지 요인(건축 연면적, 세대수, 주차대수, 구 인구)을 적용한 판별 모형식은 85.9%의 판별능력을 보이는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라는 동일한 지역을 기반으로 공동주택이라는 하나의 개별건축물을 토대로 한 것으로 각 지역으로 확대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이를 시작으로 향후에는 각 지역별 특성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교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세분화하여 각 사업의 특성과 지역의 특성 등을 반영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그리하면 각 지역별, 사업별 특성을 고려한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의 수립이 가능해지고, 교통문제 개선에 더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거라 생각된다. The compressed/high economic growth of our country after 70s/80s leaded to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and cars, and this is worsening traffic condition. The traffic impact assessment has been introduced not only for economical efficiency but also to secure public good to break through the given condition. The traffic impact assessment investigates/predicts/analyzes the change of the traffic flow and the influence to the safety originated by enforcing the scope business, and was suggested as a system to minimize the related problems from the 'Research on traffic improvement plan' in 1982. It started to enforce as the 'Traffic improvement of City promotion law' enacted in 1986, and it has been enforced as the traffic impact analysis ·improvement plan from 1st January 2009 by numerous improvement works until recently. However, although numerous articles has been changed, it is supposed that it is not enough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usiness/area as the standard judging subject feasibility of traffic impact analysis· improvement plan when newly constructing structure is enacted. Therefore, this study has set the first objectiv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by finding out each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raffic, such as space, productive population, number of households, outbreak volume of traffic, main shock entrance and adject distance of the front road, parking pages, volume of traffic condition of the front road, population of Dong, population of Goo, and total volume of passing, when newly constructing apartment within the scope of Seoul. The second objective, establishment in model distinguishing the scope of traffic impact analysis·improvement plan based on distinction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has been set and analyzed. This study that is on the basis of the apartment the one separate construction based on the same area Seoul suggests that ,although there are hard parts to extend application to each area, hereafter se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in the concrete, and perform researche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businesses and areas after departmentalized factors that influence to traffic; It concludes the efficient traffic impact analysis·improvement plan would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at. It appears that, by doing so, it enables to establish traffic impact analysis·improvement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ares and business, and would accomplish a larger role in the improvement of traffic problems.

      • 경기 일부지역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리 및 교육실태

        주정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how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me cities at Gyeonggi-do province such as Goyang, Gimpo and Bucheon perceive food allergy and management. Based on this finding, it will provide basic data with the aim of efficiently managing student suffering from this disease. As such, this study conducted survey among 192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me cities at Gyeonggi-do province to which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52 questions were administered, and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95.3 percent of the participants regularly find out students suffering from food allergy. One interesting finding revealed that the percentag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conducting this investigation turned out 97.3 percent and 95.9 percent, respectively, which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high schools (86.7%) (P<.05). As to date of investigation, the early semester represented 95.6 percent and main topic on “food causing food allergy” primarily accounted for 96.7 percent. Notably 96.4 percent of the respondents underscored the role of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managing students suffering from this disease; and 95.9 percent of them mentioned the need to develop manual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ood allergy.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of notification and labeling of “Allergy-trig gering Food Labeling System” at cafeterias, 91.2 percent of the participants said it is appropriate and moderate. It also found that 73.5 percent of them said this labeling system is helpful in making NEIS food menus. It was seen that 68.8 percent of the respondents provide students suffering from this illness with food without allergy-triggering ingredients and replacements. In addition, a slight difference was noted as shown by the fact that 79.2 percent of Nutrition Teachers provide these alternative foods to the ill students, whereas only 61.7 percent of ordinary dietitians do so (p<.05). 111 dietitians representing 57.8 percent built emergency contact system for food allergy-related medical services. It was revealed that 74.0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not aware of treatments such as epinephrine usage. In addi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62.5 percent of school or ordinar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attended educational programs on food allergy. 99.5 percent of them called for the need to hold educational programs on food allergy. The percentage of scores on food allergy reached 80.9 percent. Knowledge of food allergy scores averaged 9.7 points of total 12 points. It was found that according to type of employment, Nutrition Teachers whose average score was 10.12 points, which were relatively higher than average score, 9.43 points, gained by ordinary dietitians (p<.01). 93.9 percent of the participants mentioned the need to perform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students and 53.6 percent of them are providing these services to students in need. According to type of employment, 72.7 percent of school dietitians perform them, while 40.9 percent of ordinary dietitians do so (p<.001). To sum 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highlighted the role of school or ordinar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managing students suffering from food allergy. It is expected that preparing well-organized manuals, professional education on this disease and emergency treatment will help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efficiently managing the affected students.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지역(고양, 김포, 부천)의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 192명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관리 실태와 식품알레르기 교육실태를 알아보고 효율적인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관리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기 일부지역 영양(교)사 95.3%가 식품알레르기 유병학생을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형태에 따라 초등학교나 중학교의 경우 각 97.3%, 95.9%로 조사하고 있으나 고등학교는 86.7%가 조사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p<.05). 조사 시기는 ‘학기 초’가 95.6%로 가장 높았고, 조사 내용은 ‘식품알레르기 원인식품’이 96.7%로 가장 높았다. 식품알레르기를 정기적으로 조사하지 않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단체급식에서 개별 관리가 힘들어서’가 88.9%로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96.4%가 식품알레르기 학생 관리에 있어 영양(교)사의 역할이 중요하거나 보통수준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또한 95.9%가 식품알레르기 관리를 위한 매뉴얼이 필요하거나 보통수준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2. 학교급식에서「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의 공지 및 표시방법의 적절성은 조사대상자의 91.2%가 적절하거나 보통수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공지 및 표시방법이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중복적인 알레르기 유발 식재료 공지 및 표시로 인한 업무과중’이 7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나이스(NEIS) 식단 작성 시 식품알레르기 표시의 도움정도는 조사대상자의 73.5%가 도움이 되거나 보통수준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는 74.3%, 중학교는 81.6%가 도움이 되거나 보통수준인 고등학교는 55.6%가 도움이 되거나 보통수준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차이가 있었다(p<.05). 3. 식품알레르기 유발 식품의 제거식 및 대체식은 조사대상자의 68.8%가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교사의 경우 79.2%가 제거식이나 대체식을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영양사의 경우는 61.7%가 제거식이나 대체식이 제공되고 있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다(p<.05). 제거식이나 대체식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개별급식 제공의 어려움’이 83.3%로 높았으며, 제거식 및 대체식 제공시 개선사항을 조사한 결과 ‘영양(교)사의 행정적 업무 경감’이 48.3%로 가장 높았다. 4.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기관 연락망 구축여부는 57.8%(111명)는 구축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응급상황 발생 시 처치약품(항히스타민제, 에피네프린 자가 주사제)은 50.5%(97명)는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처치방법(에피펜 사용법 등)의 숙지정도는 조사대상자의 74.0%가 처치방법을 숙지하지 않고 있었다. 5. 영양(교)사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와 관련된 교육을 62.5%는 이수한 적이 있으며, 식품알레르기와 관련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의 99.5%가 필요하거나 보통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알레르기 교육 중 가장 필요한 내용은 영양교사와 영양사 모두 ‘식품알레르기 실제 급식 적용방법’이 41.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순위는 영양교사의 경우 식품알레르기 학생 대상 교육 및 상담(21.1%)이 필요하다고 나타났고 영양사는 식품알레르기 관리 매뉴얼(23.5%)이 필요하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다(p<.05). 식품알레르기 지식에 대한 정답률은 80.9%였으며, 식품알레르기 지식점수는 12점 만점에 평균 9.70점이었으며, 고용형태에 따라 영양교사의 경우 평균 10.12점으로 영양사의 평균 9.43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학생 대상 식품알레르기 교육 및 상담의 필요성은 93.3%가 필요하거나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53.6%가 학생대상 식품알레르기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형태에 따라 영양교사의 경우 72.7%가 실시하고 있으나 영양사의 경우는 40.9%만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p<.001).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식품알레르기 유발식품의 제거식 및 대체식을 제공하지 않는 학교가 많은 실정이며,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리를 위한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나 교육부 차원에서 단체급식의 특성을 고려한 실질적인 대체식 제공에 대한 대책 및 표준화된 식품알레르기 매뉴얼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영양(교)사의 행정적인 업무의 경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응급 상황에 대비한 의료기관의 연락망 구축율과 처치방법의 숙지율이 낮게 나타나 응급 상황에 대비한 의료기관 연락망을 구축하고, 처치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등 학교 단위의 체계적인 응급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영양(교)사 대상 식품알레르기 직무교육 및 연수의 요구도가 높았으며, 식품알레르기 실제 급식 적용 방법에 대해 교육부에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 및 상담 자료 개발이 이루어져 현장의 영양(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학생대상 식품알레르기 교육 및 상담은 영양교사가 배치된 학교의 학생들이 교과수업 등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육 및 상담의 기회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영양사도 적극적으로 학생 대상 식품알레르기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지방보훈청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번트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주정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행정서비스의 접점에 있는 공무원의 사소한 태도와 행동이 고객의 만족과 불만족을 유발하는 기재이기 때문에 지방보훈청 공무원의 고객지향성 향상을 위해서는 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대의 흐름과 고객인 주민에게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주민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주민이 입장에서 해결하려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마인드 정립이 필요하다. 특히,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공헌한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방보훈청은 고객지향성이 더욱 요구된다. 하지만 지방보훈청의 업무 특성상 상당한 직무스트레스가 유발되고 있으며 고객지향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보훈청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고객지향성 간의 조절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방보훈청의 고객지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역할갈등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낮추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역할갈등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대한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인, 즉 비전제시, 공동체형성, 성장지원, 헌신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직무스트레스와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지방보훈청의 공무원들은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역할과부하를 높게 인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고객 지향적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리더는 과거처럼 자신에게 주어진 지위와 권한이라는 특권을 이용해 조직 구성원들을 강압적으로 이끌어 가서는 안된다. 오히려 조직 구성원들의 잠재적 능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먼저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서번트 리더십의 발휘가 필요하다. 즉,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조직 구성원에 대한 관점을 인간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조직구성원의 성장과 발전에 중심이 높여진 서번트 리더십의 발휘가 요구되며, 이러한 새로운 리더십의 패러다임의 전환 및 강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lient orientation, targeting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s a survey questionnaire to evaluate servant leadership, job stress, and client orientation. A 39-item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10 public employees working in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e research data was analyzed using three statistical method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role overload,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constructs of job stress, have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s on client orientation. Second, servant leadership has positivel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lient orientation. Servant leadership is made up of 4 constructs: sharing vision, forming community, supporting individual's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mong them, forming community has the highest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lient orientation. For sharing vision, its moderating effect is the second highest among them, while supporting job stress and client orientation have lower moderating effects compared to sharing vision and forming community. From this research, we can see that servant leadership can positively moderate the negative impact of job stress which deteriorates the client orientation in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us,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should need to build effective servant leadership to reduce job stress and to enhance client orientation. To do this,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as to show the clear vision and share with public employees as well as make great efforts for creating cooperative community within their organizations. Finally, leaders should build the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that public employees can have a chance for their personal development and commit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 도시 색채 이미지 정체성 형성과 평가 요인에 관한 연구

        주정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oday, city images are spread quickly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websit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are often used as a key marketing tool to strengthen city competitiveness. The city comes to possess an identity through a process that simplifies and compresses complicated visual information, where the city is the subject of an identity and humans are the object of city identity formation and the subject of its dissemination. Of the many factors, the most influential is the color. The current trend explicates that the image held by humans leads to a collective memory, which is then recognized as a city’s symbolic system. However, research results so far consists only of qualitative analyses and case studies. All researchers have mentioned the limitations of generalization from qualitative studies, and stressed that there is a need for empirical study.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ity color image identity through an empirical study. The limitations of qualitative studies include not only generalization but also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sults. This is because the researcher’s open attitude adds subjectivity. Against this backdrop,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n objective method of study in examining city color image identity. The questions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include: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constitute city color image identity? What factors affect the assessment of city color image identity?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city color identity assessment? Does color affect city identity assessment directly? The research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ity color image identity is a tool that stores and transmits historical and cultural memory, i.e. identity. It leads to a collective memory among local residents, and external differences due to transcribability are sustained to be recognized by residents of other areas as a symbolic system. Second,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he four factors that give rise to city color image identity include natural factors, historical cultural heritage,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prefer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colors and color of historical cultural heritage resulting from natural recognition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a city’s color image formation. Third, residen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s in a t-test on formative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color image identity, it was confirmed that a city user may be distinguished between a local resident, who has lived in the city for 3 or more years and is still living there, and an outsider, who has never lived in the city in question. Fourth, a city color image assessment was done with outsiders to deduce the assessment factors of city color image identity. It was revealed that ‘attractiveness’ and ‘peculiarit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an assessment of city color image identity. ‘Peculiarity’ and ‘attractiveness’ cause outsiders to feel the city’s distinction, while ‘familiarity’ and ‘superiority’ have the same effect on local residents. However, even if ‘peculiarity’ were an important factor, ‘peculiarity’ that has no relevance to the natural scenery, culture, and history is not assessed as an identity. It may linger in the mind of the observer, but the memory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a positive assessment.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assessment, and memory of city color image identity is weak. The symbols and landmarks that often represent the city also have a weak relationship with colors. Before, studies on city color identity focused on symbol colors. Symbol colors were selected with strict rules, as shown in the history of crests, the origin of city emblem. They were chosen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rather than they themselves being the local culture and history. However, it was often concluded that the symbol colors were the city color image identity just because they both have symbolic roles. Some even applied the symbol colors directly to the city landscape. A study on city color image identity must address various factors that the observer observes. Sixth, four types of city color image identity were identified through case studies. The four types are: symbol-city color image association, symbol-city color image separation, symbol-city color image coexistence, and nature-cultural image continuance. The classification addresses what kind of a historical context there is in terms of the beginning of the color identity, and what kind of a relationship there is with the current city landscape. This implies that, in developing and using colors that represent today’s cities, identities cannot be sustained if the same method and factors are used to extract colors, and if the historical context is ignored in their application to the city landscap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ystemizes the formative factors of city color image identity, deduces assessment factors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ity color image identity, and proposes a research methodology. However, this study targeted large cities, and so may have limitations when applied to small cities and islands. The research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the color image identity of rural villages, discove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도시 정체성은 도시의 환경개선과 활성화를 지향하며 관광, 도시계획,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도시 정체성의 개념은 도시 간 서로 다른 ‘그 도시다움’으로써 차별화된 도시 정체성은 도시의 경쟁력이라는 연구 결과에 따라 도시 정체성을 형성하는 요인에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 정체성과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색채는 도시 정체성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는데, 인간의 감각 중 시각 의존도가 가장 높으며 가장 먼저 인지된다는 이론에 따른 것으로써 도시환경에도 그대로 적용하여 해석한 것이다. 그러나 도시색채는 그 도시만의 색채, 그 도시다운 색채로 정의되어 연구되었을 뿐 현시점에서 학술적인 용어나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색채가 만드는 도시 정체성을 ‘도시 색채 이미지 정체성’이라 정의하고 형성요인과 평가요인 도출과 체계화를 목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이용자 특성에 따라 도시 이미지에 관하여 인지 방식과 형성요인이 다르다고 밝힌 선행연구를 근거로 지역 거주자와 타지역 거주자로 구분하였다. 연구 과정은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 정체성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도출한 후 선행연구의 일관된 방식인 정성 조사의 표본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체적인 형성요인과 평가요인 도출을 위해 정량조사를 진행한 후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 색채 이미지 정체성을 형성하는 4개의 요인 자연요인, 현대문화유산요인, 역사문화유산요인, 기호 요인을 도출하였고 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자연색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현대문화유산요인과 기호 요인의 색채 이미지평가로 거주자와 타지역 거주자를 구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시 색채 이미지 정체성 평가 분석을 통해 타지역 거주자는 도시환경의 색채가 독특하다고 느낄수록 매력적이라 느끼며 색채 속성변화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색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기억과 도시 색채 이미지 정체성과의 관계에서는 응답자가 가장 먼저 기억한다고 해서 정체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것은 아니며 기억은 단순히 1차 색에 대한 경험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으며 통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색채 이미지 정체성에 관한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색채 이미지가 도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이며 형성요인과 평가요인, 요인 간 상관관계, 기억과의 관계를 밝혀낸 연구로써 그간 시각적 상징물에 집중하여 색채 정체성을 찾고 그 결과를 도시에 그대로 적용하거나 건축물 색채계획을 진행하며 지역의 자연환경을 무시한 채 건축적 특성만을 반영하는 방식에 새로운 방법론과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대도시로 제한하여 진행하여 추후 섬, 촌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지역별 특성에 따른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 진성리더십이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주정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리더와 부하들의 긍정적 심리 역량이 강조하고 리더와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적과 도덕적이 더불어 진성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직 리더들의 진성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또 한편으로 그들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기업의 조직구성원 21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부하직원들의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부하직원들의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 그리고 혁신행동 사이에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 그리고 혁신행동 사이에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조절효과가 없다고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