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적층제조용 저산소 타이타늄계 구형 분말의 제조 및 유동도 개선

        조성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itanium and titanium alloys have been evaluated as the most promising materials to replace the existing Ni-based super alloys due to their high specific strength, excellent oxidation resistance and good creep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However, titanium and titanium alloys have high strength, but have poor ductility and brittleness at room temperature,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by conventional processing techniques, limiting their applications.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dditive manufacturing,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it to Ti and Ti alloys. Additive manufacturing provides significant advantages, such as cost reduction and flexible design, over conventional processing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the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uses powder, and the impurity content of Ti and Ti alloy powders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should be small. Typical impurity elements include oxygen, nitrogen, etc. In addition, powder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must be smoothly supplied to the powder bed, so a powder with high flowability is required. In this study, low-oxygen Ti and Ti64 alloy spherical powders were manufactured using Ca in a vacuum atmosphere, and a deoxidation mechanism in accordance with the Al content of TiAl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spherical powder oxide layer for 3DP was changed to amorphous after deoxidation to change the surface state from hydrophilic to hydrophobic, and flowability was improved.

      •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품질평가 기준 및 타당성 검증

        조성재 호서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세계적 규모의 지리정보시스템을 총칭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분석,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으로서 GIS 시장은 일반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장비와 실제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최근의 GIS 개념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정보처리 플랫폼과 환경에서 운용 가능한 기술로 진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재난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위해 구축된 구·군별 재난 관제 시스템을 지자체에서 통합하고 다시 이를 시·도 별로 통합하여 궁극적으로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사업이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라 국내외를 막론하고 국가기반의 대규모 시스템에는 대부분 GIS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공간정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GIS의 시장 현황 및 관련기술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GIS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국제표준 ISO/IEC 14598과 ISO/IEC 9126을 참조하여 일반적 요구사항을 포함한 주특성(6가지)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으며, 타당성 검증을 위해 GIS 소프트웨어를 선정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한 평가항목을 적용하여 각 품질 특성별로 결함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성능시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자원 효율성과 시간 효율성에 대해서 시험 평가하였다.

      • Directed Energy Deposition 공정으로 적층 제조된 316L 스테인리스강의 마모 특성에 관한 연구

        조성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additive manufacturing of metals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in the metal parts industry a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products with complex shapes that are difficult to implement with existing manufacturing processes and reduce the weight of parts. Stainless steel 316L is mor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part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and the products obtained by the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are exhibited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pitting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excellent weldability. The literature suggested that wear properti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roduct life.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n the additive manufacturing of STS 316L and investigated the wear properties according to temperature, load, speed, and anisotropy. However, a study on the wear mechanism of STS 316L manufactured using the Direct energy deposition(DED) process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detail.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manufactured a cuboid shape bulk sample with dimensions of 30x30x20mm3 through the DED process using SUS 316L alloy powder.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In particular, the wear characteristic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through the friction coefficient, and specific wear rate. The behavior of wear characteristics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time, speed, and load was systematically studied with the help of microstructural investigations. As the wear time and speed conditions increased, the specific wear amount decreased, and even though the wear load increased, the specific wear rat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investigate these causes, the wear behavior according to each condition were analyzed. As the wear time increased, oxidative wear and delamination wear decreased on the wear track surface. Due to this, fine debris was formed and lubricated, reducing the adhesive wear on the ball surface and the specific wear rate decreased. The wear behavior according to the wear speed and load was also analyzed. Analysis of these wear mechanisms is expect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wear behavior according to wear time, speed, and load, and to develop parts and products with improved wear properties.

      • 지하생활 공기질의 측정 및 분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재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대에 이르러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각종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배출이 늘어 나고 있다. 경제적 수준의 발전은 도시의 인구집중과 교통량의 팽창을 가져왔고, 그 결과로 대기오염의 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실내오염 또한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도시인들의 생활양식과 근무형태의 변화로 실내생활 활동의 시간도 증가하였고, 도시인구의 밀집현상이 지하공간의 활용을 유발시키게 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의 하나로 교통량의 증가는 선진국형 교통기관인 지하철 대중 교통기간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지하 생활공간은 실외가 아닌 실내라는 특성 때문에 그 오염물질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지하철역사는 입체화에 의한 환승역의 터미널화, 역구내로 연결된 지하통로, 지하상가의 통로, 건물간의 지하통로 등 지하의 용도는 확대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실내공기 오염 및 지하생활 공기질에 대한 기준이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체계적인 규제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도시인의 기본생활인 지하역사의 대합실, 승강장, 환승통로의 오염물질 중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의 오염도를 분석함으로서, 지하생활의 오염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오염물질의 관리와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As industrialization is rapidly progressing in recent times, a variety of materials harmful to the human body are increasingly discharged.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ic standard brought in gravitation of the population toward urban areas and the expansion of traffic volume, which resulted in more complex and various air pollution problems, and indoor pollution due to it also started being perceived as a social problem. The changes in urbanites' life styles and working conditions increased hours of indoor-life activities. The congestion of population in urban areas caused the use of underground spaces. As one of the above outcomes, the increase in traffic volume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public transportation by subway which is a transport facility in an advanced-nation style. Particularly, the underground life space needs an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ollutants due to its characteristic of not being outdoor but being indoor. Regarding the subway station building, the uses of underground are expanding, such as the terminalization of transfer stations by dimensionalization, passages connected to the station yard, passages to underground shopping centers and underground passages between buildings. The criteria for indoor air pollution and the air quality of underground life are strictly established, while systematic regulations are not enough in our countr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ollution of underground life by analyzing the pollution level of particles, formaldehyde,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among the pollutants in waiting rooms, platforms and passages for transfer, where are a basic life for urbanite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find the ways to manage and improve pollutants.

      • Simulating Problem Difficulty in Arithmetic Cognition Through Dynamic Connectionist Models

        조성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similarities between how humans and connectionist models experience difficulty in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s. Problem difficulty was operationalized by the number of carries involved in solving a given problem. I aimed to simulate this human arithmetic cognition, performing either addition or subtraction, by using the Jordan network, which is a connectionist model dynamically computing outputs through time. The Jordan network is a recurrent neural network whose hidden layer gets its inputs from an input at the current step and from the output at the previous step. Problem difficulty was measured in humans by response time, and in models by computational step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both humans and connectionist models experience difficulty similarly when solving binary addition and subtraction. Specifically, both agents found difficulty to be strictly increasing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carries. Furthermore, the models mimicked the increasing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seen in humans. Another notable similarity is that problem difficulty increases more steeply in subtraction than in addition, for both humans and connectionist models. Further investigation on two model hyperparameters — confidence threshold and hidden dimension — shows higher confidence thresholds cause the model to take more computational steps to arrive at the correct answer. Likewise, larger hidden dimensions cause the model to take more computational steps to correctly answer arithmetic problems; however, this effect by hidden dimensions is negligible. 본 연구는 산술 문제를 풀 때 사람과 연결주의 모형이 겪는 어려움이 유사한지를 조사하였다. 문제의 난이도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데 수반되는 올림의 수에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계산하는 연결주의 모형인 조단 신경망(Jordan network)을 통해, 덧셈 혹은 뺄셈을 푸는 사람의 응답 시간을 모사하고자 하였다. 조단 신경망은 은닉층이 현재 입력값과 이전 예측값을 입력으로 받는 순환 신경망이다. 이 연구에서 문제 난이도를 사람의 응답 시간으로, 모형의 계산 걸음 수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람과 연결주의 모형 모두가 이진 덧셈과 뺄셈을 풀 때, 올림 수가 증가할수록 어려움을 겪음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두 실험 대상 모두는 올림 수에 따라 문제 난이도가 강한 증가(strictly increasing) 경향을 보였다. 게다가, 문제에 올림 수가 많아질수록 사람이 문제를 푸는데 걸리는 응답 시간의 표준편차가 증가하였는데, 제안한 모형은 그 현상을 모방하였다. 사람과 모형의 또 다른 유사점은 올림 수에 대한 문제 난이도가 덧셈보다 뺄셈에서 더 가파르게 증가했다는 점이었다. 모형의 두 가지 하이퍼 파라미터 — '신뢰 임계값'과 '은닉 차원' — 에 대한 추가 조사 결과, 신뢰 임계값이 커질수록 모형이 정답에 도달하기 위해 더 많은 계산 걸음 수를 가지었다. 한편, 은닉 차원이 커질수록 모형이 정답에 도달하기 위해 더 많은 계산 걸음 수를 취했지만, 증가율은 무시할 만한 정도이었다.

      • 혁신형 중소기업의 신사업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조성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중소기업들이 직면하게 된 주요한 최근의 환경변화는 경쟁의 심화현상, 소비자의 소득수준 향상으로 인한 소비형태의 다양화와 품질고급화의 요구, 안정적인 자원 확보의 애로, 기업의 사회성 또는 윤리성의 강조, 급격한 임금인상, 제조기업의 국제경쟁력 급락 등으로 집약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응한 혁신형 중소기업의 성장인자 변화와 시장 환경의 변화는 중소기업이 과거에 접해 보지 않은 새로운 도전이다. 이러한 도전에 직면한 혁신형 중소기업이 미래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혁신형 중소기업들이 창업 이후 성장발전단계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신사업 진출 전략에 관하여 실증적 검토를 통하여 미래 환경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두고 있다. 그러므로 혁신형 중소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국내외 환경의 변화에 맞춰 어떻게 하면 이 같은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성장을 추구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사업의 진출 전략의 유형과 종류에 대하여 사업전환의 성공사례를 들어 연구하고 있다. 혁신형 중소기업은 물론 일반 중소기업의 지원정책의 강화에도 불구하고 내부 및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신규 창업과 도산이 증가되는 추세에서 지속적인 성장・발전 전략은 모든 중소기업의 당면과제라고 할 수 있다. 연구내용은 중소기업의 성장과 관련되어 연구된 이론과 그에 따른 성장전략의 종류 및 유형 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특히 혁신형 중소기업의 다양한 특성과 성격에 따른 중소기업에 적합한 신사업의 정의 및 유형, 또한 성장 단계별 성공 전략 등에 관해 성공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신사업 진출은 또 하나의 도전이며 혁신이기 때문에 현재의 어려움을 회피하는 방법이 아닌 어려움을 극복하고 돌파해 나가는 적극적인 기업가 정신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소기업에서 요구되는 기업가 정신은 추진력, 전 임직원과의 화합력, 창의력 등 모든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건전한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은 계속적인 성장을 지속해나갈 수 있는 것이다. 혁신형 중소기업이 미래 성장을 위해 현시점에 택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으로서는 ①혁신적 제품/서비스 개발, ②선도 기술을 위한 R&D, ③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④기업의 합병/인수(Merger & Acquisition), 그리고 ⑤신사업 진출 등 5가지로 이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방안이 심층적으로 검토・실시될 필요가 있다. 혁신형 중소기업 발전의 원동력은 기술혁신을 통한 국제경쟁력 확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신기술 개발을 통해 부가가치를 고도화하고 세계 일류 상품 개발을 통한 신시장 개척과 미래성장 발전의 구도를 확립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미래 성장을 위한 전략적 대안들 어느 것 하나 쉬운 것이 없기 때문에 각각의 전략적 대안들에 대해 필요한 요건과 기업의 현재의 역량을 고려하여 전략적 우선순위와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혁신형 중소기업이 미래 성장을 위해 어떠한 전략적 선택을 한다 하더라도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것이 바로 고객중심적 사고와 실행이다. 다시 말하면, 전략적 대안들을 관통하는 공통적인 요건은 바로 고객중심적 사고와 실행이라는 것이다. 셋째, 성장에 대해 혁신형 중소기업들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은 여태까지 중요시 되어 왔던 성장의 속도에 대한 재검토이다. 아무리 고속성장을 해왔더라도 그 성장이 지속가능한 것이 아니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향후에는 과거와는 달리 혁신형 중소기업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전유적인고객가치를 창조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 장수기업(Living Company)으로 성장의 방향 전환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혁신형 중소기업의 현재와 미래 환경은 과거에 접해 보지 않았던 환경으로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어떠한 전략을 선택하든 혁신형 중소기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것은 고객 중심적 사고와 실행이 중요하다. 선도기술의 개발도, 기업의 인수합병도, 신사업의 추진도 고객의 미 충족된 니즈와 고객의 Pain Point에 대한 더 나은 솔루션을 찾는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기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口腔의 扁平上皮癌腫에서 MMP-2, MMP-9, TIMP-1, TIMP2 發現과 EGFR과 E-cadherin 發現의 相互聯關性

        조성재 仁濟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는 세포외기질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종양의 침윤성 성장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강 편평상피암종에서 MMPs의 발현은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연관이 있으며, MMPs 발현의 조절은 tissue inibitor of metalloproteinases (TIMPs)이 나 E-cadheerin, EGFR 같은 세포접착인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구강내에 발생한 편평상피암종 조직을 이용하여 MMP-2, MMP-9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여 MMP-2, MMP-9 발현과 펀평상피암종의 조직학적 분화도, 침윤 성장 양상, 병기 및 재발 유무와의 연관성 및 MMP-2, MMP-9 발현과 TIMP-l, TIMP-2, EGFR, E-cadherin 발현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MMP-2, MMP-9 발현이 예후인자로서 의의가 있는지, 편평상피암종의 진행에 있어서 MMP-2, MMP-9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생검 혹은 절제된 후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구강의 편평상피암종 55예를 대상으로 하여 MMP-2, MMP-9, TIMP-l, TIMP-2, E-cadherin 및 EGFR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발현양상을 조사하고, MMP-2, MMP-9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인자인 조직학적 분화도, 침윤 성장 양상, 병기 및 재발유무 및 MMP-2, MMP-9 발현과 TIMP-l, TIMP-2, E-cadherin 및 EGFR 발현 간의 상호연관성을 통계학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 1. 구강에 발생한 편평상피암종의 진행 과정에 MMP-2와 MMP-9 발현 및 이를 조절하는 TIMP-l과 TIMP-2 발현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2. 전체 55예 중 MMP-2와 MMP-9 발현은 각각 30예 (54.5%)와 22예 (40.0%)에서 관찰되었고, TIMP-l과 TIM:P-2 발현은 각각 21예 (38.2% )와 33예 (60.0%)에서 관찰되었다. E-cadherin은 55예 중 35예 (63.6%)에서, EGFR은 26예 (47.3%)에 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3. MMP-2 발현율은 재발이 없는 경우, TIMP-2 발현율은 침윤성이 강한 경우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MMP-2, MMP-9 및 TIMP-l, TIMP-2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4. EGFR은 조직학적 분화도가 좋을수록 발현율이 유의 하게 높았으나 (p=0.0047), E-cadherin과 조직학적 분화도와의 연관성은 없었다. 임상 병기, 재발 유무, 침윤 양상에 따른 E-cadherin과 EGFR 발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MMP-9 발현과 TIMP-l 발현이 역의 연관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나, MMP-2, MMP-9 및 TIMP-l, TIMP-2 발현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6. MMP-2 발현율은 E -cadherin 및 EGFR 양성인 경우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MMP-9 발현율은 E-cadherin 양성인 경우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221) EGFR 발현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구강에 발생한 편평상피암종의 진행에 MMP-2 와 MMP-9 발현 및 이를 조절하는 TIMP-l과 TIMP-2 발현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MMP-2, MMP-9 및 TIMP-l, TIMP-2 발현과 E -cadherin 발현은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아 예후인자로서 의의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EGFR 발현율은 분화도가 좋은 경우 유의하게 높으므로 좋은 예후를 시사하는 인자로 여겨진다. MMP-9 발현과 E-cadherin 발현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MMP-2, MMP-9 발현과 TIMP-l, TIMP-2 발현 간, MMP-2, MMP-9 발현과 EGFR 발현 간 상호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으므로 구강에 발생한 편평상피암종의 진행 과정에 있어서 MMP-2, MMP-9 발현 조절에 E -cadherin은 협력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TIMP-l, TIMP-2, EGFR의 역할은 추정하기 어려우며, 상기 인자 외에 다른 인자들이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Background: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re involved in the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which is related to infiltrative growth and metastasis of tumo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MPs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were reported, and MMPs expressions were regulated by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TIMPs) or cell adhesion molecules such as E-cadheri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MP-2, MMP-9 expressions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such as clinical stage, recurrence, histologic grade and invasion pattern, and between MMP-2 and MMP-9 expressions and TIMP-1, TIMP-2, EGFR and E-cadherin expressions. Methods: The materials were 55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and immunohisdtochemical studies for MMP-2, MMP-9, TIMP-1, TIMP-2, E-cadherin and EGFR were performed. Clinico-pathologic factors such as clinical stage, recurrence, histologic grade and invasion pattern were recorded through microscopic examination and clinical record review. Statistical analyses between MMP-2, MMP-9 expressions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TIMP-1, TIMP-2 expressions and EGFR and E-cadherin expressions were done. Results: 1. MMP-2 and MMP-9 expressions were noted in 30 (54.5%) and 22 (40.0%) of 55 cases, respectively. TIMP-1 and TIMP-2 expressions were observed in 21 (38.2%) and 33 (60.0%), and E-cadherin and EGFR expressions were found in 35 (63.6%) and 26 (47.3%) of 55 cases, respectively. 2. MMP-2 expression rate was slightly higher in cases without recurrence, and TIMP-2 expression rate was slightly higher in cases showing more infiltrative growth patter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MMP-2, MMP-9, TIMP-1, and TIMP-2 expression rates according to other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were noted. 3. The expression rate of EGFR was higher in cases with well differentiation (p=0.0047), but no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rate of E-cadherin and histologic grade was fou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expression rates of E-cadherin and EGFR according to other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4. Cases with positive reaction for MMP-9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of negative reaction for TIMP-1. However,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MP-2, MMP-9 expressions and TIMP-1, TIMP-2 expressions were not noted. 5. The expression rate of MMP-2 was higher in cases with positive reaction for E-cadherin and EGFR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expression rate of MMP-9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ses with positive reaction for E-cadherin (p=0.022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MP-9 and EGFR express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MP-2, MMP-9, TIMP-1 and TEMP-2 expressions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but MMP-2, MMP-9, TIMP-1, and TIMP-2 expressions might not seem to be a useful prognostic factors because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EGFR express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ow histologic grade, so EGFR expression could be regarded as a good prognostic factor. In the progression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oral cavity, MMP-9 and E-cadherin might be involved with positive correla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MP-2, MMP-9 and TIMP-1, TIMP-2 and EGFR expressions rate. Further study for other factors such as cytokines or growth factors except TEMP-1, TIMP-2 and EGFR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