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품 접촉의 통제감과 속도감이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정재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인 감각적 자극은 우리의 삶 전 영역에서 매일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마케터들은 이런 감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 중 특히 촉각이 중요시 되면서 촉각에 대한 제품의 속성을 강조한 터치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지만 정작 촉각이 제품의 평가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제품을 접촉할 때 생기는 통제감과 속도감이 실재감, 관여도, 친밀도, 제품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터치 제품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설문으로부터 얻어진 자료는 SPSS 12.0 version을 통해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와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AMOS 4.0을 사용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립변수로 설정했던 통제감과 속도감 중 제품 접촉의 통제감은 실재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하지만 제품 접촉의 속도감은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재감은 제품의 관여도와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에 대한 관여도는 제품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품에 대한 친밀도는 제품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와 같이 속도감은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제품의 관여도와 친밀도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관여도는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케터들이 터치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이런 속성들을 잘 파악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As we belong to our modern lives, the sensibility stimulation among the most basic functions works in our whole parts of every single day. The marketers had recognized throughout the importance of the sensibility; especially there are continuously a huge of latest releases with the great sense of touch, but no where any professionals studied hard about the effects of sensibility on the evaluation of the products through any routes. Therefore, this study is about how the sensitivity and the velocity affect when using the new products presence, involvement, intimacy and product evaluation. In this research only the people having chances to use with the touch products answered on the survey, and all the data from the collected papers show into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roughout SPSS 12.0 version. Also, there has been using path analysis with AMOS 4.0 to verify a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below. It is rejected that there is a hypothesis between sensitivity and velocity set up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 to affect the sensitivity of touch product to the velocity. But the velocity of the touch products has an effect into the presence. And the presence influences into involvement of the products and intimacy. More, the involvement of the products points at positive aspects on the product evaluation. However, it i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the intimacy of the products looks at good effect on product evaluation. Likewise, velocity affects presence. It also means the involvement of the product and intimacy, so the involvement affects the product evaluation. Thus, this research offers that it is significant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y from the marketers who bring out positive evaluation on touch product to figure out the attributes.

      • 私立幼稚園 公敎育化를 爲한 政府支援政策의 現況과 發展方向에 關한 硏究 : 敎員과 學父母의 認識을 中心으로

        정재영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에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무상교육 확대와 더불어 사립유치원 공교육화가 중요한 정책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치원 공교육화에 대비해 사립유치원의 각종 현황과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사립유치원이 어떤 노력을 해오고 있으며, 어떤 어려움에 처해 있는지를 알아보고 정부는 이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를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원리인 평등성, 무상성, 의무성, 보편성, 중립성 측면에서 제시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실증조사를 위한 표본 집단은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원(원장, 교사)과 사립유치원에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를 위해 총 1,000부에 달하는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에서 회수된 총 453부를 중심으로 통계기법을 통해 설정해 놓은 가설을 증명하고자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을 하였다. 설문지 배부 및 조사는 2009년 10월중 3주간이 소요되었다. 이 회수된 설문지 463부 중 응답이 미비한 설문지 10부를 제외시킨 사립유치원 원장·교사용 187부, 학부모용 266부로 총 453부를 연구의 자료로 최종 분석에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여 문항 간 내적 일관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을 위해 Levene의 등분산 검정에서 독립 t검정 및 F 검정, 분산분석(ANOVA)에서 F검정, 평균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주제를 수행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토대에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H1. 사립유치원 공교육화에 따른 정부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은 준거 집단 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었다. 정책 실현정도와 정책 문제점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정책 개선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교원 집단과 학부모 집단 간의 유의한 인식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H2. 사립유치원 공교육화에 따른 정부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은 인구 통제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었다. 결론적으로, 사립유치원의 공교육화 정책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H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H2-1에서 교원 집단의 경우에는 연령과 직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학부모 집단의 경우에는 연령에 따라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H2-2에서 교원 집단은 학급수와 학부모 집단은 연령의 각각 한 가지 특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원 집단은 학급수에 따라 정책 문제점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정도가 차이가 있었고, 학부모 집단은 연령에 따라 그 인식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2-3에서 교원 집단의 경우에는 연령·직위·학급수에 따라 정책 개선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학부모 집단의 경우에는 개선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어떤 인구통계학적 요인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3. 사립유치원 공교육화에 따른 정부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은 준거 집단별 공교육 원리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었다. H3-1의 분석 결과, 사립유치원의 공교육화 정책의 실현정도는 5가지 공교육 원리의 측면에서 준거집단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H3-1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H3-2의 분석 결과, 사립유치원의 공교육화 정책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5가지 공교육 원리의 측면에서의 준거집단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H3-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H3-3의 분석 결과, 사립유치원 공교육화 정책개선의 필요성에 있어서 5가지 공교육 원리의 측면에서의 준거집단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H3-3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넷째, H4. 준거집단별 사립유치원 공교육화에 따른 정부 지원정책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 인식과 개선 필요성의 인식 간에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었다. 교원 집단의 경우, 보편성 측면에서의 정책 문제의 심각성이 개선 필요성 기준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행해야 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 지역을 대상으로 표본 집단을 선정하였지만 표집수의 한계로 그 대표성을 인정하기는 어렵다. 대표성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표본 집단의 수를 확대 실시로 그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사립유치원에서 공급자인 교원(원장 및 교사)과 수요자인 학부모와의 인식조사로 실시한 분석 결과보다는 국·공립 유치원의 교원 및 학부모 간 인식조사와 정책입안자, 교육정책 수혜자 그리고 교육정책 실행자의 연구대상으로 집단 간 인식 차이를 비교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 의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공교육화에 따른 정부 지원정책의 대한 인식은 공급자 집단 및 수요자 집단 모두 정책의 개선 필요성에 대하여 가장

      • 국가균형발전 관점에서 지방전문대학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정재영 목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aiming not only at examining comprehensively into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administration, finance, culture, concerning the local colleges which weigh much on our national education, but also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college and local development in order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local college and national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real state and the cause of trouble of local colleges, and regional disparity. Despite the government's sustained policy for balanced local development over the past four decades,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has become more deepened in its quality and quantity, which is now a grave concern hampering the national development. Among the cause of unbalanced developments is the disparity of cultivation of able human resources. The one way of solving this problem is to promote the equal assignment of able human resources, for which related body's role as a local self-governing body and college's self-relief effort as well as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id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or this, the concept of local college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re examined at chapter two, and the related policy concerning local college chiefly initiated from participatory government was examined in chapter three, on the basis of the above investigation. In chapter four,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for local college was searched for its solution. The result of study reveals that from the point of government are required the reform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search, the expansion of employment opportunity for graduates, strengthening the aid for local college's self-relief effort, the increase in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id, sustained supplement and reform of educational system. From the point of local self-governing body is also necessary planning the enhancement of cultivation of local colleg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cooperation system between local colleges, along with its linkage with balanced local development. Each college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duction of its fixed number of students, make an effort to heighten the qu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the quality of student-oriented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secure the distinction from university, and other universities with special purpose, while providing the educational program for adults. And it should play a major part in driving engine for local development by taking a measure to prevent from the persistent decline of recruits by inducing foreign human resources, and by seeking for its direction of development. This can be ultimately the rational measure to expedite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via the utilization of high-class human resources and rational allot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between regions.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교육에 있어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지방전문대학과 관련하여 행정,재정,문화 등의 내 · 외부 요인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지방대학과 지역발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우리나라 지방전문대학의 침체와 지역불균형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여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전문대학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지난 40여 년간 정부의 지속적인 지역균형 발전정책에도 불구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불균형발전은 질적 · 양적으로 더욱 심화되었으며, 이는 국가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이러한 불균형발전의 원인에는 인재양성에서의 불균형에 있으며,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인재의 균형배분과 이를 위한 정부의 행 · 재정지원 및 지방자치단체,지방대학의 자구노력 등 관련기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목적 아래 제2장에서는 지방전문대학과 국가균형발전의 개념과 관계와 지방대학위기현실을 살펴보고.이를 바탕으로 제3장에서는 참여정부를 중심으로 추진된 지방전문대학관련정책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4장에서 지방전문대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발전방향으로는 중앙정부차원에서 교육 및 연구 여건의 개선, 졸업자의 고용기회 확대,지방전문대학의 자구노력에 대한 지원 강화,행ㆍ재정 지원의 확대,계속교육제도의 개선 및 보완을 들 수 있으며 지방정부에서는 지역균형발전과 연계한 지방전문대학의 육성방한 수립하고 지역대학간 상호 협력체계의 구축하여야 하며 각 대학에서는 대학운영을 내실화하기 위해 대학정원을 적극적으로 감축하고 직업교육의 질적 수준향상,재학생만족도증가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4년제 대학 및 기타 대학과의 차별성확보,성인학습자원 및 외국인 교육자원 발굴을 통해 지속적인 입학자원감소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여 발전방향을 모색함으로서 지역발전의 원동력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이는 결국 고급두뇌 및 전문직업인력의 지역 간 합리적 배분 및 활용을 통한 국가균형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 주차전용건축물의 특성이 비주차시설로 인한 용도복합 및 주차잠식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경기도를 중심으로 

        정재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주차장은 차량이 존재하는 한 도시 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기반시설이다. 주차전용건축물은 도시계획시설 ‘주차장’이자, 노외주차장의 일종으로 건물 형태의 주차장이다. 주차전용건축물은 「주차장법」에 따라 연면적의 30% 미만까지 주차장 외의 용도(이하 ‘비주차시설’이라 한다)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도시를 중심으로 민간이 주차장용지를 매입한 후 주차전용건축물을 건축하여 주차장과 함께 비주차시설이 활발히 공급되어 왔다. 하지만, 주차전용건축물이 자칫 그 본래 목적인 주차장의 효율적 공급보다는 비주차시설의 상업적 이용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악용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 이는 주차장용지의 대부분이 민간을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실제로 주차전용건축물의 주차장이 판매시설의 창고로 변질되거나, 오피스텔의 부설주차장으로 잠식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차전용건축물 내 비주차시설로 인한 용도복합 현황을 파악하고 비주차시설로 인한 주차수요를 산정하여 영향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주차전용건축물이 도시계획시설 ‘주차장’으로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주차전용건축물의 개념과 법・제도적 내용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주차전용건축물 및 비주차시설의 용도복합과 용도변질에 미치는 영향요소를 파악하여 독립변수로 건물특성, 입지특성, 지역특성과 종속변수로 비주차시설의 주용도(주거시설・업무시설・판매시설・근생시설) 포함여부, 용도복합(용도수・PUM 지수), 용도변질(주차잠식률)을 설정하였다. 셋째, 경기도 주차전용건축물 전체를 대상으로 주용도 결정, 용도복합, 용도변질에 미치는 영향요소를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넷째, 용도복합을 고려하면서 주차잠식률을 줄이는 방안에 대하여 정책적 수단을 강구하고, 이러한 수단이 주용도 결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주거시설, 업무시설, 판매시설, 근생시설 등 비주차시설의 주용도 결정과 관련하여 연면적, 건물유형, 사용년수, 건물구조, 용도수, PUM 지수 등 건물특성과 용도지역, 공시지가, 종사자수, 버스정류장과의 거리, 연계버스 노선수, 접도폭, 학교와의 거리, 공원과의 거리 등 지역특성이 영향요소로 나타났다. 주거시설은 건물유형, 사용년수, 용도수, 종사자수, 버스정류장거리, 접도폭, 학교와의 거리가 영향요소로 작용하였다. 업무시설은 건물유형, 사용년수, 용도수, 용도지역이 영향요소로 작용하였다. 판매시설은 연면적, 건물유형, 용도수, PUM 지수, 종사자수, 접도폭, 공원과의 거리가 영향요소로 작용하였다. 근생시설은 연면적, 건물유형, 사용년수, 건물구조, 용도수, 공시지가, 연계버스 노선수가 영향요소로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비주차시설의 용도복합을 나타내는 용도수 및 PUM 지수와 관련하여 연면적, 건물유형, 사용년수, 소유유형, 용도수가 영향요소로 작용하였다. 용도수는 연면적, 건물유형이 정(+)의 방향으로 소유유형, 용도지역이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PUM 지수는 연면적, 건물유형, 용도수가 정(+)의 방향으로, 사용년수, 소유유형이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영향요소와 PUM 지수와의 관계에서 용도수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주차시설의 용도변질을 나타내는 주차잠식률과 관련하여 연면적, 건물유형, 사용년수, 소유유형, 건물구조, 용도수, PUM 지수, 도시유형이 영향요소로 작용하였다. 방향성을 살펴보면 연면적, 건물유형, 건물구조, 용도수, 도시유형은 정(+)의 방향으로, 사용년수, 소유유형, PUM 지수는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영향요소와 주차잠식률과의 관계에서 용도수 및 PUM 지수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차전용건축물의 용도복합을 고려한 주차잠식률 저감 지표로 연면적, 건물유형, 소유유형, 용도수, PUM 지수를 선정하여 정책혼합(Policy Mix)과 그에 따라 예상되는 효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비주차시설의 연면적을 일정 수준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다. 둘째, 「집합건물법」상 집합건물의 허가를 규제하는 것이다. 셋째, 용도수를 일정 수준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다. 넷째, PUM 지수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규제하는 것이다. 다섯째, 공영 주차장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다. 이상의 정책수단이 주거시설, 업무시설, 판매시설, 근생시설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이기 때문에 지역 여건에 따라 개별적인 판단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3기 신도시 등 주차전용건축물이 대량 공급이 예상되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그간 조성된 주차전용건축물과 비주차시설의 현황을 조사하고 비주차시설의 주용도 결정, 용도복합, 용도변질이라는 종합적인 차원에서 영향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주차전용건축물이 도시계획시설 ‘주차장’으로서 공공성을 유지하면서 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 parking lot is an essential infrastructure in a city as long as vehicles exist. A parking-only building(POB) is a ‘parking lot’ of an urban planning facility and a type of off-street parking lot, which is a building-type parking lot. POBs can be used NPFs(Non-Parking Facilities) as purposes other than parking lots, up to less than 30% of the total floor area in accordance with the 「Parking Lot Act」. Accordingly, NPFs have been actively supplied along with parking lots by constructing POBs after the private sector, centering on new towns, has purchased parking lots.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B may be misused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commercial use of NPFs rather than the efficient supply of parking lots, which is its original purpose. This is all the more so since most of the parking lots are supplied through the private sector. In fact,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the parking lot of a POB degenerating into a warehouse for a sales facility or encroaching on an attached parking lot for an officetel.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use complex due to NPFs in POBs, calculates parking demand due to NPFs, analyzes the influencing factors, and shows policy implications to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as an urban planning facility 'parking lot'.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a POB and its legal and institutional contents were theoretically reviewed. Second, in previous studies, factors affecting the use complex and change of use of POBs were derived. Building characteristics,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hether or not the main use of NPFs was included, use complex, and change of use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ird, for all POBs in Gyeonggi-do, the factors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main use, use complex, and change in use were verifi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Fourth, policy measures were devised to reduce the parking encroachment rate while considering the use complex, and the effect of these measures on the determination of the main use was analyzed.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first, building characteristics and uses such as gross floor area, building type, number of years of use, building structure, number of uses, PUM index, etc.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region,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number of workers, distance from bus stop, number of connected bus routes, access width, distance from school, and distance from park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As for residential facilities, the building type, number of years of use, number of uses, number of employees, bus stop distance, access width, and distance from school acted as influencing factors. For business facilities, the building type, years of use, number of uses, and use area acted as influencing factors. For retail facilities, the gross floor area, building type, number of uses, PUM index, number of employees, access width, and distance from parks acted as influencing factors. As for neighborhood facilities, the total floor area, building type, number of years of use, building structure, number of uses,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and number of connected bus routes acted as influencing factors. Next, the total floor area, building type, years of use, type of ownership, and number of uses acted as influencing factors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uses and the PUM index representing the mixed use of NPFs. As for the number of uses, gross floor area and building type had a positive (+) direction, while ownership type and use area had an effect in a negative (-) direction. The PUM index had a positive (+) direction of gross floor area, building type, and number of uses, and a negative (-) direction of number of years of use and type of ownership. In addition, the number of uses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ing factor and the PUM index. Finally, for the parking encroachment rate, which indicates the change of use because of NPFs, the gross floor area, building type, number of years of use, type of ownership, building structure, number of uses, PUM index, and city type influenced. In terms of direction, gross floor area, building type, building structure, number of uses, and city type had a positive (+) direction, while years of use, ownership type, and PUM index had a negative (-) dire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uses and the PUM index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ing factor and the parking encroachment ra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total floor area, building type, ownership type, number of uses, and PUM index were selected as indicators for reducing the parking encroachment rate considering the use complex of POBs, and the policy mix and expected effects were presented. First, the gross floor area of NPFs is regulated below a certain level, second, the permission of collective buildings under the Collective Buildings Act is regulated, third, the number of uses is regulated below a certain level, and fourth, the PUM index exceeds a certain level Fifth, increase the proportion of public parking lots. Since the above policy measures have a complex effect on the decision-making of residential facilities, business facilities, sales facilities, and neighborhood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criteria for judgment were needed according to regional condi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OBs and NPFs that have been built so far, focusing on Gyeonggi-do, where a large amount of POBs such as the 3rd phase new towns are expected to be supplied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at the overall level,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so that POBs can be utilized in a complex way while maintaining publicness as an urban planning facility 'parking lot'.

      • 노래를 통한 영어 의사소통능력신장 효과에 관한 연구

        정재영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노래 활동을 중심으로 한 영어 수업 모형 적용을 통하여 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고, 초보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이에 따른 영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노래 지도 수업의 지도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노래 지도를 위한 실험 수업 대상과 단원을 선정하고 활동 내용을 구안하였다. 셋째, 노래 지도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안하여 통제반과 실험반에 실험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의 효과를 정의적 영역, 의사소통능력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실험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생활 영어 노래 수업이 의사소통능력선장에 효과를 주는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O초등학교 4학년 40명을 실험반, 동일지역 G초등학교 4학년 40명을 통제반으로 선정하여 4학년 영어 교과서 1단원부터 3단원까지 학습하는 동안 수행평가와 자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도구는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위한 수행평가 기준안에 의해 작성된 수행평가는 매 단원 4차시 단원의 총정리 활동에 실시하였고,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태도를 평가하기 위한 자기평가는 3월, 7월 총 2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통계처리 프로그햄을 이용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 소통 능력의 향상면에서 실험반이 통제반보다 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노래를 통한 영어 수업이 의사소통능력신장에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둘째, 영어 학습 흥미도 비교 결과는 1차 평가에서는 통제반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2차 명가에서는 실험반 흥미도가 더 높게 나타나 노래를 통한 영어 학습이 학습 의욕을 높여 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어 학습 태도 비교 결과는 실험반이 높게 나타나 노래로 영어 학습 지도를 할 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임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노래 활동이 정의적 측면에서 동기 유발과 흥미 유지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생활 영어 노래를 통한 영어 수업 모형 적용이 초등학교 수준에서 즐거운 학습 분위기를 유지시켜 주며 학습자에게 기본 어휘 기억을 오랫동안 유지 시켜 주어 노랫말이 일상 생활 용어로 전이될 수 있어 의사소통능력향상에 매우 유용한 교수 방법이라는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학생들은 영어 노래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노래를 통하여 초등 학교 학생틀에게 영어를 지도하고자 할 때는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적합한 영어 노래를 선정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영어 노래를 지도할 때는 외국의 영어 노래만을 지도할 것이 아니라, 우리 어린이들이 즐겨 부르는 동요, 놀이 말 중에서 가사의 내용이 실제 언어 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여 지도할 수 있는 자료가 개발 보급되고, 또 수업에 적용되어야 하겠다고 생각되며 노래의 가사는 단순한 문형 연습의 차원을 넘어 실제 언어 사용의 활용도가 높은 어휘나, 노래 가사를 작곡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하겠다. 아울러 현장 교사들이 모여 노래에 대한 정보 교환 및 연구협의회가 활성화되어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어야겠다.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o find effective solutions to evoke interest and motivation for English learning 'from the students and improve elementary communicative competence by using songs to teach English in Elementary school, and to deduce suggestions for English education from this. As for the methods for this study, First, suggest teaching methods and procedures for teaching songs with a focus on researching the literature. Second, select the unit concerned with experimental teaching of songs,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create a project for real activities. Third, make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songs and conduct experimental teaching in the control class and the experimental class, and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n terms of affectiv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Fourth,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analyze the effects of teaching live English songs on the growth of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this study, we selected 40 fourth-year students at O Elementary school for an experimental class and another 40 students for a control class in Urn-sung, Chung-buk, and we taught them from the first to third unit of the English textbook, and then we gave a performance test and a self test. Testing tools for the performance test were made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plan of performance test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we gave the performance test for summarizing activities in the fourth class of each unit, and we gave self-tests on interest and attitude for English learning twice, in March and July.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study, we used t-verification by "SPSS"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more improved communicative competence than the controlled class, so we have confirmed that English teaching through songs are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Second, as for the interest in English teaching, the control class showed more interest for the first test but, in the second test,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more interest so, we have confirmed English teaching through songs motivates the students to study English. Third, as for the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a more enthusiastic attitude, so we have confirmed that, in the affective field, English learning instruction through songs helps the students to easily gain access to English, and that song activities contribute to motivating the students to study English and to keep an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is that applying an English teaching model that includes live English songs to ElementaIy school creates a pleasant environment and helps the learner to memorize basic vocabulary for a long time and the words of the songs can be transferred as real-life vocabulary, so this method is a useful teaching method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addition, ElementaIy school students are not familiar with English songs, so if the teacher intends to teach English to these students, it is desirable for the teacher to select proper English songs in accordance to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each learner. We should select and translate Korean children's songs and lyrics as well as foreign songs that are applicable to real life, and we should develop and supply the teaching materials, and we should apply them to the class. The words of a songs should be applicable to the class beyond simple pattern practice, so it is desirable to compose songs that are useful in real-life and teach them in the class. In addition, the teachers in the field should gather to exchange information, compose songs and create a research society to continue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