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재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 재 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근 호)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교육으로 인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시기 비 대면 교육이 교과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 또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이 일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 성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그리고 초중고 학생 들에게 1인 1 기기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 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두 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인성교육 과 진로교육에서 ‘자존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며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또한 국내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며 진로 연계 교육과 앱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다양한 직업과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인성 기반 진로 교육 앱을 개발하고 교수 학습과정안을 만들어 수업에 활용한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앱을 활용한 수업 중 학습지, 설문조사, 참여 관찰 을 활용하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 한 자존감 측정 방법으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 택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존감 5문항과 부정적 자존감 5문항으로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평정을 따르고 있다. 측정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표본이 N≤30 이므로 정규분포의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앱 활용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가 치관을 바르게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자존감을 향상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 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생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연구라는 점이 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앱의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인성교육을 연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주요어: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성교육 연계 진로교육, 자존감, 공동체 의식, 앱 활용 교육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특수교육진흥법에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으로의 변화가 가지는 교육학적 의미 분석

        강선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특수교육 관련 법규는 특수교육 정책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법제화 한 산물이며, 이에 따라 특수교육 관련 법규는 그 시대의 특수교육 정책을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로 특수교육 발전에 있어 특수교육법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발전해 온 특수교육법의 변화 과정, 그 중에서도 가장 최근의 특수교육진흥법에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으로의 변화가 가지는 교육학적 의미 분석을 통하여 새로 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가진 문제점들을 찾고자한다. 이 연구는 앞으로 다시 개정이 될 새로운 법령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진흥법에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으로의 어떠한 내용이 변화했는가? 둘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가지는 교육학적 의미는 무엇 인가?를 중심으로 연구문제를 다루었으며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법인 특수교육진흥법의 법조문과 2008년 5월 26일 새로 제정된 신법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법조문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중에서 특수교육의 목적, 특수교육의 유형의 세분화, 특수교육의 내용 및 방법의 규정, 특수교육의 법적 지위와 지원의 명문화 등에 관해서 비교․분석해 보았다.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의 목적 자체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실시 방안을 법률로 제정함으로써 자아실현과 사회통합이라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가진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자아실현이라는 장애아동의 교육목적이 비장애아동과 비교해서도 균등한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하며 사회통합도 한정된 관점에서 벗어나 장애인들이 지닌 능력과 소질을 계발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요구에 맞는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한 인격체로서 동등한 입장에서 통합을 이룰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통합교육, 개별화교육과 같은 특수교육의 내용 및 방법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은 단순한 물리적 통합의 차원을 벗어나 실제적인 사회적 통합을 이룸으로써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개별화교육과 통합교육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개별화교육은 통합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도구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통합교육은 개별화 교육과 관련되어서 규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필요한 사항에 대한 법적인 규정과 내용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의무교육은 국가의 무상 공교육을 의무화하는 차원에서 실천하고 부모에게는 다양한 교육환경을 통한 선택권을 행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최상의 교육환경의 기회를 제공하고 특수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현재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위의 논의처럼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해결해야 하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제한 요인들을 어떻게 잘 극복해 제대로 된 특수교육을 실시할 것인가는 특수교육이 당면한 중요한 과제이다. 지금까지 특수교육법이 발전해 온 것처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시행규칙 등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할 것이다. 현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내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특수교육법의 내용의 발전을 이룰 수 있고, 그에 따른 시행에 대안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새롭게 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신법의 제정에 걸맞게 앞으로의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명문화 되어 있는 여러 조항들이 잘 실천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그 내용 속에 포함되어 있는 중요한 내용들이 빠르게 변화해 가는 현대 시대의 상황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수정․보완 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11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장자와 상담

        최준섭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ABSTRACT Chuang-tzu and Counseling Choi Joon Sup Major in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Sung H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uang-tzu from a perspective of counseling and to get some practical counseling insight from Chuang-tzu philosophy. For this study, The key concepts of Chuang-tzu philosophy were proposed as five concepts, and the counseling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inherent in Chuang-tzu were extracted based on the concepts. Chuang-tzu's content can provide abundant creative ideas in line with counseling approach, because the key storytelling method of Chuang-tzu is fables which give the readers the freedom to interpret the stories in their own way. Various content were categorized, and the associations among them were determined and reinterpreted from a counseling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Chuang-tzu and counseling” could be determined more easily, by analyzing the key concepts of Chuang-tzu. The concepts include the philosophy of Way, Inaction, Nature, Sacrifice, Core Material, and Oblivion in terms of counseling psychological meanings. Second, the counselor Chuang-tzu can be found through Chuang-tzu’s interest and role in counseling scenes. They included valuing the changes in clients’ perceptions and ways of thinking, helping clients’ changes and proactive growth, and desiring for clients to gain absolute and spiritual freedom and lead a carefree wanderer’s life. Third, through reinterpretation of each chapter of Chuang-tzu’s writings, various counseling psychological meanings were discovered. To be specific, “Carefree Wandering” refers to the desired state the client aims to achieve through counseling; “Equality of Things” denotes that clients have the potential to grow on their own as well as that each of us is both counselor and client in our lives; and “Health Master” means that a healthy mind is the ultimate goal as well as the very goal of counseling. Additionally, other counseling psychological meanings can be found, including “Life as a Human” for the reason why counseling is needed, “Full Compliance with Virtue” for the counseling process to overcome one’s problem situation, “Grandmaster” for the character that a client should seek to emulate, and “Becoming a King” for becoming a person with ownership of life. Fourth, Chuang-tzu counseling can be characterized as 12 aspects, including counseling as change and growth, a counselor as a client, counseling of unity between one and object, counseling as adaptation and evolution, counseling as discovery, and counseling for self-purification. Fifth, the counseling components extracted from Chuang-tzu’s philosophy book showed links to area of modern counseling and real life. They include guidance, parent consultation, school counseling, career counseling, self-help, character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derstanding that Chuang-tzu was not only a philosopher, but an outstanding counselor. His writings provide counseling psychological meanings that are appropriate and required in the extremely stressful society like these days.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e possibility of Chuang-tzu counseling and its actual applications in counseling practice. It emphasizes living a carefree wandering life by paying attention to internal health and mental discipline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s.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measures to effectively apply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components of Chuang-tzu counseling found in this study in real life. In addition to research on how to apply these to specific life situation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counseling programs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uang-tzu counseling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Keywords: Chuang-tzu the book, Chuang-tzu the counselor, Chuang-tzu and counseling, counseling psychological components found in Chuang-tzu the book.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5. 논 문 요 약 장자와 상담 Chuang-tzu and Counseling 최 준 섭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전공 (지도교수 : 박 성 희) 이 연구의 목적은 장자(莊子)의 철학과 그의 사상이 담겨 있는 책「장자」를 상담학적 의미로 재해석함으로써 장자 상담의 면모와 장자 상담의 다양한 특징을 밝혀 현대 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장자 상담의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장자 철학의 중요 개념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책 「장자」에 내재된 상담적 특징과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책 「장자」의 주된 이야기 방법인 우화(寓話)는 그 특성상 읽는 사람들에게 제각각 나름대로의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는 자유로움을 가지고 있는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담학적 접근이라는 방향성만 유지한다면 무궁무진한 상담적 요소를 제공하는 충분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기존의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자료들을 같은 맥락이나 동일한 범주로 묶어 상담적 연관성을 밝히고 새롭게 재해석 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서 첫째, 장자 철학의 중요개념이라 할 수 있는 도(道), 무위(無爲), 자연(自然), 제물(祭物) 그리고 심재(心齋)와 좌망(坐忘)을 상담학적 의미로 분석하여 ‘장자와 상담’의 관계를 보다 쉽게 풀어낼 수 있었다. 둘째, 상담 장면에서 나타나는 장자의 관심과 역할을 통해 상담자로서 장자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는데, 이는 청담자의 인식전환과 사유방식의 변화를 중시했다는 점, 청담자의 변화와 주체적인 성장에 조력했다는 점 그리고 청담자가 절대적, 정신적 자유를 얻어 소요유의 삶을 살기를 원했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책 「장자」의 내편(內篇)의 각 편(篇)명을 상담적 의미로 재해석한 결과 다양한 상담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좀 더 세부적으로는, 소요유(逍遙遊)는 상담을 통해 지향하는 청담자의 모습을 의미하고 있으며, 제물론(齊物論)은 청담자에게는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과 함께 우리 모두가 삶속에서 상담자이자 청담자임을 의미하고 있고, 양생주(養生主)는 마음의 양생이 곧 상담이 추구하는 목적이자 궁극적인 목표임을, 인간세(人間世)는 우리 모두에게 상담이 필요한 이유로, 덕충부(德充符)는 청담자가 자신의 문제 상황을 극복해나가는 하나의 상담과정으로서, 대종사(大宗師)는 상담자가 지향해야 하는 모습을, 응제왕(應製王)에서는 상담을 통해 청담자 자신이 삶의 주인으로 ‘응제왕’해야 한다 등의 다양한 상담적 의미들을 찾을 수 있었다. 넷째, 장자 상담의 특징으로 변화와 성장의 상담, 서로가 상담자이자 청담자인 상담, 물아일체의 상담, 치언의 상담, 발견의 상담, 자정을 위한 상담 등 총 12가지의 측면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다섯째, 장자(莊子)의 사상과 책 「장자」에서 추출한 상담적 요소를 가지고 현대 상담 및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었는데, 이는 크게 생활지도, 부모 상담, 학급 상담, 진로 상담, 자기(自己) 상담법, 인성 교육과 다문화교육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인식의 전환을 통한 내면의 건강과 마음의 수양에 주의를 기울여 소요유(逍遙遊)의 삶을 살기를 강조한 장자를 통해 장자가 철학자뿐만 아니라 극도의 스트레스로 고통 받고 있는 현재의 시대상황에 적합하고 꼭 필요한 상담학적 의미를 제공해주는 뛰어난 상담자임을 알고, 장자 상담의 가능성을 찾아 실제 적용을 시도하는 상담학적 연구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한 장자 상담의 특징과 관련 요소들을 실제 생활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하다. 구체적인 생활 장면에서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를 비롯하여 장자 상담의 특징을 반영한 구체적인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한 연구도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책 장자, 상담자 장자, 장자와 상담, 책 장자에서 나타나는 상담학적 요소 ※ 본 논문은 2015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 지도에서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과학과의 방안 연구

        구선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문요약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 지도에서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과학과의 통합 방안 연구 구 선 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전공 (지도교수 황 연 주) 21세기를 흔히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공존하는 다원주의 시대라고 한다. 다원주의 시대에는 인간이 부딪치는 복잡한 문제 상황에 대하여 독특한 사고방식으로 해결하는 창의적이고 보다 다양한 능력과 개성을 지닌 인간상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주제인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통합교육은 이에 대한 하나의 교육적 대안이 될 것이다.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여러 교과에 상호 횡적으로 연계된 학습 주제를 통합하여 운영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전인적인 인간의 육성을 바탕으로 하는 통합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오늘날의 교육적 흐름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통합교육은 교과목들을 분리시키는 경계가 없어지면서 특히 인지적 사고력이 미분화된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절한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적용하고 있는 통합교과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즐거운 생활󰡑은 미술, 음악, 체육이 통합된 교과이며, ‘슬기로운 생활󰡑은 사회와 과학이 통합된 교과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각 통합교과를 구성하고 있는 관련 교과간의 연계성이나 통합성이 비교적 부족하고 단지 주제만 같을 뿐 기존의 교과별 수업을 그대로 진행하고 있는 경향이 많다. 즐거운 생활의 지도에서도 단원별 주제를 중심으로 미술, 음악, 체육이 통합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지만, 각 교과별 수업이 따로 따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등과 같은 통합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을 실시할 수 있는 부분들도 많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통합교과 중심으로 통합교육이 실시되고 있을 뿐 다른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은 거의 실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미술과 과학 또는 미술과 국어 및 수학 등과의 통합적 접근은 거의 옳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학교교육에서 미흡하게 실시되고 있는 미술과 과학과의 통합교육을 프로젝트 접근을 통하여 실시해보고자 한다. 미술과 과학은 인류 역사를 통해 다양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해 왔다. 이 두 분야는 서로 대립되는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상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미술사에서 인상주의는 스펙트럼의 과학을 예술에 끌어들여 팔레트에서 물감을 섞지 않고 밝은 색 조각들을 병치하여 어두워지지 않는 혼색을 고안해내기도 하였고, 오늘날 Computer Art, Video Art, Laser Art, Digital Art 등 현대 미술에서 테크놀로지의 사용은 미술과 과학의 통합적 현상들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과학 교과의 성격을 비교해 볼 때 미술과에서 강조하는 창의적 사고 과정에 바탕을 둔 창의성 함양은 과학과에서도 󰡐단편적인 지식의 획득보다는 기본 개념의 통합적 이해의 토대 위에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Ⅳ, 2008: 171) 라고 밝히며 두 교과 모두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보다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존중하며 교과에서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고 활용하여 일상생활의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는 것도 두 교과의 성격이 매우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과학의 상호 밀접성을 바탕으로 미술 활동과 매체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원리를 학생들이 스스로 발견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중심으로 통합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우선 통합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프로젝트 수업의 이해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미술과 과학의 통합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통합 방안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과를 분석하여 미술영역만 추출하고 ‘슬기로운 생활’에서 과학영역만을 추출하여 통합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백일홍 꽃󰡑을 주제로 레지오 에밀리아(Reggio Emilia) 접근법을 그리고 ‘콩’을 주제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북 지역에 소재한 P초등학교 2학년 1개 반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장 실험 연구 기간은 2010년 4월에서 11월까지 8개월 간 이루어졌다. 개발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통합교육 방안에 대한 결과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은 작품 결과에 대한 교사의 관찰법과 수업 전후에 투입한 설문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관찰법을 통하여서는 미술 표현력, 창의적인 태도 등을 알아보았으며, 설문지법을 통하여서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통합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선호도, 수업의 난이도, 미술활동에 대한 자신감, 흥미도, 협동하는 태도 등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해 수업을 한 결과 통합교과인 즐거운 생활에서 미술영역에 대한 선호도가 다소 증가되었고, 미술과 과학통합 수업에 대한 흥미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스스로 문제를 찾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다 흥미를 느끼게 되었음을 뜻한다. 둘째,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해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의한 프로젝트 과정에서 학생들의 상호 작용이 증진되어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상징화 주기에 따라 학생의 지식의 구성이 확대되어 작품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미술활동이 보다 쉽다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세히 보고 그리는 활동에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이는 반복적인 관찰을 통해 보는 눈이 길러졌으며, 여러 번의 그리기 활동을 통해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주변의 자연 환경에 보다 관심을 가지고 관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직접적인 현장 관찰 체험학습을 통하여 대상을 보다 객관적인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증진되었다. 넷째, 미술과 과학의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수업을 한 결과 두 과목이 요구하는 학습목표를 서로 연계하여 과학의 개념 습득 및 미술의 시지각적 사고 및 표현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하였다. ※ 본 논문은 2011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발전적 방향 탐구

        안보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ABSTRACT A Study on the Progressive Direction about Development of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hn, Bo Young Major in Educational Methodology Graduate School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o, Je Soon, Ph. D.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hould play a supporting role in helping to organize and operate the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ogressive direction for curriculum developm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elementary curriculum in each region. For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f seven regions in Chung-buk was collected and used for research.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in seven reg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document organization and cont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the document was divided into A, B, and C types by grouping similar data. The same type of data is presented similarly to the items and contents of each region. Second, according to the contents analysis,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on contents of national level curriculum. In addition, various examples of practical contents were presented to suppor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the researcher was able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the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irst,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hould pursue localization and diversity of curriculum by suggesting basic direction of local education. Second, the content and nature of the data should be clarified to form an appropriate table of contents. Third,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curriculum, various types of example data should be presented and sufficient data should be reviewed. Based on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proposed. Based on the flow of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a table of contents structure including sub items was proposed. And I proposed the contents and example data to be presented in each chapter.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developed to reveal the specificity and autonomy of the region based on national level curriculum. Second, it provided various examples of practical contents to suppor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Third,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plays a bridge role between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school curriculum. Therefore,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Finally, regional-leve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hould be continually improved and developed through the interests and efforts of school teachers and local education office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9. 논 문 요 약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발전적 방향 탐구 안 보 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전공 (지도교수 유 제 순)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돕는 지원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교육지원청에서 개발한 지역 수준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충청북도 내 7개 지역 교육지원청에서 개발한 지역 수준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인 실천중심 장학자료를 수집하여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7개 지역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문서 구성 체제와 영역별 내용으로 구분하여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의 구성 체제가 비슷한 자료를 묶어 A, B, C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같은 유형의 자료는 영역별 항목과 내용도 비슷하게 제시되었으며 지역별로 다른 자료가 일부 제시되기도 하였다. 둘째, 내용의 분석 결과 각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그리고 지역마다 특색 있게 구성되어 지역성과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또한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실천적 내용이 담긴 다양한 예시자료를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지역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여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둘째,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자료의 내용과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여 내용과 목차 상의 정합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지원하는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천 중심의 내용이 담긴 다양한 형태의 예시자료를 제시하고 자료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개선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발전적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구성 체제 측면에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흐름에 따라 하위 항목을 포함하여 목차 구성 체제의 예시를 작성하여 제안하였다. 영역별 내용 측면에서 각 영역에서 제시해야 할 자료의 성격 및 내용과 필요에 따라 예시자료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발전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의 특수성과 자율성이 드러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실천적 내용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예시 자료를 제시해주어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셋째,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 간의 교량적 역할을 하므로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반드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수준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더욱 발전되어 학교 교육과정 지원의 본래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 교육지원청과 일선 학교 교사들의 관심과 개선의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19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로봇교육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진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로봇교육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 진 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실과교육 전공 (지도교수 남 현 욱)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ADHD 아동의 치료가 특수교육 외에 로봇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문제행동을 개선하고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DHD아동으로 판정되었거나 담임교사가 추천한 4-6학년 학생 8명을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선정하였다. 토요 방과 후 로봇 교실을 조직하여 주 1회 10차시를 지도하였으며 로봇교육활동의 효과를 살펴보고 다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전문가에 의한 주의산만도 측정, 교사에 의한 ADHD 평정척도(CTRS-R), 아동의 주의집중력 검사 도구(ADS)를 활용하여 자료를 얻었으며, 그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전문가에 의한 행동관찰 측정 결과는 ADHD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이 지도회수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주의력결핍 평정척도(CTRS-R) 검사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교실에서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아동의 주의력 장애 진단시스템(ADS)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아동의 주의 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로봇 교육활동은 ADHD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로봇 교육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제시한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 of the Robot Education on the Behavioral Problems and Attention of ADHD Children Lee Jin Hyang Major in Practical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Nam, Hyun-w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rge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elementary students using operational design in robots. The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students with ADHD using a robot building program. The effects were judged by clinical professionals, student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this program to improve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students in this study of ADHD were selected by homeroom teachers and doctors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e student's grades ranged from grade four to six. Each student's parents also consented to the study. The study was performed over ten Saturday after-school periods. The study utilized various observers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student. This included clinical professionals, homeroom teachers, and the students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observ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rough the observation of clinical professionals, the program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ttentivenes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revis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 (CTRS-R)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s attentiveness in the classroom. Third, the results from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showed that concentration had improved in ADHD students. This study presents that this robot program has been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robot program has proven that it has a variety of educational benefits present. * 본 논문은 2015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관찰·추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교사추천서와 영재수업 활동 사례 분석

        우미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ABSTRACT An Analysis on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and activity cases for the gifted student class of the students selected by the examination of observation․recommendation Woo mi ran Major in Science Gifted Education Graduate School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ongwook Park, Ph. D The relation between the gifted student class program activity cases and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for the selected student by the examination of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for 9 students selected by the examination of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in institut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of CNUE was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depending on the description style and contents of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and 1 student was selected from each group for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 a1 who was described with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episode style in the letter of recommendation showed the aggressive task adher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tudent, a2 who was described with definitive․social characteristics in episode style attended at the class in active attitude, but the student solved the problem by the assistance of the colleagues or the teacher. The student, b1 who was listed superficially in the teacher's recommendation showed the excellent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the task adherence, experiment design ability and experiment manipulation ability. The student, b2 who was listed in superficially in the teacher's recommendation attended at the class in positive and upright attitude, but the task solving was lagged behind. The most of the students with high appearance frequency in the definitive area on the letter of recommendation from the teacher attended at the class actively. The student a1 and b2 attended at the class actively always and the student b1 displayed the aggressive attitude in the favored contents of the class. There was a seasonal difference, for example, the student, a2 showed the most active attitude at the winter camp in 2010 at the occasion of selection for the science in-depth clas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the social area in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were appeared in variety depending on the ability of the student in the gifted student program performance course. The student, b1 who was approved for his ability by his friends in performing the gifted student program showed the same leadership in the school sites , but the student a2 and b2 who showed medium performance ability in the gifted student program attended at the class friendly in cooperative attitude. The student, a1 who showed the leadership of encouraging the confidence of the friends at the school life displayed the powerful rivalry mind while showing the cooperative attitude rather than the leadership. It is conclud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description on the cognitive area is necessary for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to have the imaginative power for deciding the gifted student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diversified special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the club activities shall be expanded to display the specific examples in the schools at the front lin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2. 論 文 要 約 관찰․추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교사추천서와 영재수업 활동 사례 분석 禹 美 蘭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科學英才敎育專攻 (指導敎授 朴 鍾 旭) 본 연구에서는 관찰․추천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영재수업프로그램 활동사례와 교사추천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C 교육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2010년 관찰․추천전형으로 선발된 학생 9명의 교사추천서를 분석하였다. 교사추천서의 서술방식과 내용에 따라 학생들을 4그룹으로 분류하고, 분석대상으로 그룹별로 1명씩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추천서에 일화 형식으로 영재의 인지적 특징이 서술된 학생 a1은 영재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적극적인 과제집착력과 문제해결능력을 나타내었다. 일화 형식으로 영재의 정의적․사회적 특징이 주로 서술된 학생 a2는 적극적인 태도로 수업에 임하나 동료나 교사의 도움을 받아서 문제를 해결하였다. 교사추천서에 피상적으로 인지적 특성이 나열된 학생 b1은 과제집착력, 실험설계능력, 실험기구조작능력 등을 바탕으로 우수한 문제해결력을 보였다. 교사추천서에 피상적으로 정의적․사회적 특성이 나열된 학생 b2는 적극적이며 바른 태도로 수업에 임하나 과제해결이 미흡하였다. 교사추천서에 정의적 영역의 빈도수가 높은 학생들은 영재프로그램에서도 대부분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과제수행에 임했다. 학생 a1과 학생 b2는 늘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했고, 학생 b1은 좋아하는 수업내용에서만 적극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학생 a2는 과학 심화반 선발이 있는 2010년 겨울캠프 때 가장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시기별로 차이가 있었다. 교사추천서의 사회적 영역에 대한 개인별 특성은 영재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학생의 능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친구들에게 영재프로그램 수행 능력을 인정받은 학생 b1은 학교현장에서와 동일한 리더십을 나타내었고, 영재프로그램 수행능력이 보통인 학생 a2와 학생 b2는 협조적인 태도로 우호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학교에서 친구들의 자신감을 북돋워주는 리더십을 나타내는 학생 a1은 리더십보다는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며 강한 승부욕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관찰․추천 영재선발에서 교사추천서가 영재판별의 예측력을 갖고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천학생에 대한 과학지식, 주도적 탐구능력 등 인지적 영역의 서술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사례가 나타날 수 있도록 일선 학교에서 동아리 활동 등의 다양한 특별활동이 확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논문은 2012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주보람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주 보 람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전공 (지도교수 유 제 순) 본 연구는 2017년에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1∼2학년군에 적용되기 때문에 단위 학교에서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과 다르게 변화한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을 의도한 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며 편성·운영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바람직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충북 도내 256개 초등학교의 학교 교육과정 및 1∼2학년의 학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실태, 입학 초기 적응활동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단위 학교에서 시간 편성과 관련된 세부 내용은 자세하게 구성하였으나 성격, 목표, 평가 등에 관한 사항은 내용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학교의 실정에 맞게 창의적 체험활동을 재구성한 곳은 적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수의 학교에서는 교육부와 충청북도 교육청의 편성·운영 지침을 그대로 진술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대다수의 학교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편성 방법이 학교에서 동일한 중점 영역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영역은 자율활동에 해당하였다. 1∼2학년의 경우 기본생활습관 형성 등과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었는데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는 사항을 잘 반영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4개의 영역의 세부 활동을 분석한 결과, 자율활동 영역의 자치·적응활동에서는 행사활동, 민주시민교육,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관련된 내용, 창의주제활동은 범교과 학습주제와 관련된 내용 지도에 많은 시간을 편성하고 있었다. 범교과 학습주제의 개수가 줄어들었음에도 창의주제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컸다. 동아리활동은 학교에서 동일한 활동을 편성하여 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학생들의 선택권이 많지 않았다. 동아리활동 중 문화·예술활동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의 경우 다른 두 영역에 비해 시간 배당이 많지 않았으며 봉사활동은 환경보호활동, 진로활동은 자기이해활동, 진로탐색활동을 많은 학교에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입학 초기 적응활동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단위 학교에서 시간 편성, 활동 내용, 운영 방법의 자율성이 부여됨에도 불구하고 입학 초기 적응활동 지도 계획이 유사하였다. 대다수의 학교에서 60시간 이상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학교생활 적응 영역에 많은 시간을 편성하며 대부분의 학교가 3월에 집중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의 경우 학생 평가 계획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지 않았으며 목표가 중요함에도 많은 학교에서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2009 개정과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평가 실시 및 기록 방법이 달라졌음에도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는 곳이 많아 평가를 실시한 후 누가 기록한 내용을 참고하여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을 정리하여 기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단위 학교에서는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변화한 내용을 정확히 인지하고 자율적으로 편성하여 학교마다 특색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편성·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18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문화다양성 프로그램 개발 적용 및 효과 검증

        박기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우리 사회의 구성원의 변화와 함께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다문화교육에 대한 수요가 날로 커지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관심의 폭이 커졌고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그렇지만 국내 다문화교육 관련 교육활동의 대부분은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 한국문화 및 적응 교육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행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를 분석해보면 외국 곡 익히기, 외국에 있는 친구에게 우리나라의 우수한 문화 소개하기 등의 단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교육을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다문화교육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 하에 문화다양성의 관점이 반영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각 교과별로 나누어져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문화다양성 영역별로 재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학생들의 문화다양성 인식 및 다문화수용성 태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 사전과 사후를 비교하였을 때 문화다양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 사전과 사후를 비교했을 때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 태도 함양에 기여하는가, 셋째,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이 이전에 실시하던 교육과 비교하여 지니는 강점은 무엇인가 이다. 이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실행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사회 교과와 다른 교과의 다문화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영역과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결과, 문화다양성 인식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문화의 의미와 특징’, ‘문화다양성의 요소’, ‘문화다양성의 확산’, ‘문화다양성의 인정과 존중’의 네 영역 모두 학생들의 인식이 높아졌고, 이 중 상대적으로는 ‘문화의 의미와 특징’, ‘문화다양성의 요소’, ‘문화 다양성의 확산’ 세 영역의 인식이 더 개선되었다. 둘째, 문화다양성 교육 프로그램 적용 결과, 다문화 수용성 검사에서는 보편성, 관계성, 다양성의 세 영역 중 관계성 영역에서만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다른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잘 관찰되지 않은 이유는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 검사의 초기 값이 이미 높았고, 인식 변화에 비해 태도 변화는 더 어렵다는 점에서 약 삼 개월 가량의 프로그램 투입만으로는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기 어려웠다고 판단되며, 또한 설문지를 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용성 검사 문항이 학생들에게 다소 어렵게 느껴져 정확한 태도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셋째, 여러 교과에 흩어져있던 다문화 관련 내용을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으로 통합하여 조직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아졌다. 문화다양성 프로그램 속에서 사회, 미술, 체육, 수학 교과 등을 통합적으로 조직하여 수업한 결과 학생들은 학습 일기에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와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표현했고, 우리 사회의 문화다양성 요소로 인한 차별 현상을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문화다양성 인식을 크게 개선시켰으며 다문화 수용성 태도도 일부 개선시켰다. 그러나 이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이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또, 이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보다 장기적인 계획 아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주제어 : 다문화교육, 문화다양성, 다문화 수용성, 교육과정 재구성 ※ 본 논문은 2017년 1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