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멘트계 충진제를 이용한 GFRP 보강 콘크리트 보의 휨 성능

        정시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flexural strength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GFRP using cementitious filler was investigated. The external bonding of FRP to reinforced concrete members has become a popular method of retrofitting/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s in recent years. This bond mechanism includes chemical bond and mechanically fastened by anchor. However, this kind of bond mechanism has become weak in wet condition. As the adhesive bond is usually the weakest link in such strengthened or retrofitted structures, failure is typically caused by the breakdown of the bond at the adhesive interface. In the case of FRP reinforcement, although epoxy as an adhesive is used in practice, many problems occur in humid environments. The latest attempt to tackle this problem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bonding system. This bonding system uses the cementitious filler, which can be used on behalf of epoxy. Simply supported RC beams retrofitted with a GFRP strip on the soffit were tested in this study. These test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test is to measure bond ability of cementitious filler in humid condition. The second test is flexure test of RC beam strengthened with GFRP. The test variables includes the thickness of cementitious filler, loading system and the dimensions of the anchor. Followings are a summary of this study 1) In bond test, cementitious filler specimens, saturation of 100%, 90%, 80%, 75%, 65%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 was that specimens of saturation 90%∼85% showed the highest bond characteristic, which are satisfied with that of the KS F 4716. 2) In bond test, the bond strength of epoxy specimens, saturation of 90%, 80%, 75%, 65% was satisfied with KS F 4716. However, the specimens in saturation 100% showed 0.73 N/mm2 at 7 days, 0.84 N/mm2 at 14 days, which are not satisfied with that of the KS standard. 3) As the result of the four point bending experiment, the flexural strength was the largest when the thickness of cementitious filler was 10mm. 4) As the result of the three point bending experiment, the flexual strength was the largest when the anchor dimension was 200mm. 5) None anchor specimen represented 12% flexual strength in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RC beam not strengthened. 6) In the case of GFRP strengthed RC beam without wick, the flexual strength of 200mm anchor dimension specimen was incresed by 30% compared with the control RC beam. 7) In this study, the design procedure of RC beam strengthen with GFRP was suggested to use cementitious bonding, Pa, and anchor bonding, Pu. The result of the design equation showed -3.8% error with experiment data, which are well predicted. 8) The result of the economic feasibility study shows that GFRP strengthened with RC beam using cementitious filler in this study has 10.3% lower total construction cost than the strengthened method using epoxy resin. 본 연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GFRP 판넬(Glass Fiber Reinforced Composites Polymer) 보강 시 콘크리트와 GFRP 접합 및 휨 거동에 관한 연구로 시멘트계 충진제의 부착성능, 앵커간격 및 보강 두께에 따른 GFRP 보강 RC보의 휨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보수․보강 분야에서 FRP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의 보강에는 주로 에폭시 수지로 인한 1차 화학적 접합과 앵커볼트를 이용하는 2차 기계적 접합이 많이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보강 방법은 외기에 노출된 교량 및 건조부위에서는 성능이 우수하나 하수암거, 터널, 수로 등 결로 및 누수가 있는 곳에서는 에폭시 수지와 손상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부착성이 떨어지는 현상 등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구조물의 습윤 상태 시 에폭시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접착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열팽창계수가 유사하고 습윤 상태에서도 부착성능이 우수한 시멘트계 충진제를 사용하여 습윤 상태에서 시멘트계 충진제의 부착성능을 측정 에폭시 수지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멘트계 충진제의 두께 및 앵커의 간격을 달리하여 GFRP 보강 RC보의 휨 성능을 알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시멘트계 충진제 시편별 포화율 100%, 90%, 85%, 80, 75%, 65%의 부착강도 실험 결과 함수율 90%∼85%에서 가장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났으며, KS F 4716 시멘트계 바탕 바름재 접합강도 품질규정에 만족하고 있다. 2) 에폭시계 접착제 시편별 포화율 90%, 85%, 80, 75%, 65%에서 대부분 모체를 물고 떨어져 부착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화율 100% 시편에서 7일 부착강도가 0.73 N/mm2, 14일 0.84 N/mm2로 KS F 4716에 규정된 부착강도 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4점 가력에서 GFRP 보강 판넬 길이 2.0M 시멘트계 충진제 두께 20mm, 30mm, 40mm의 변수에 따른 시험 결과는 시멘트계 충진제 두께가 10mm일 때 가장 큰 하중을 나타냈다. 4) 3점 가력에서 앵커 간격 200mm, 300mm, 400mm의 시험에서는 앵커 간격 200mm일 때 가장 큰 휨 강도를 나타냈다. 5) 3점 가력에서 무 앵커 보강 실험체의 경우 무 보강 시험체 보다 12%의 휨 강도 보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6) GFRP 판넬 보강 심지를 제거 하고 휨 강도를 측정한 결과 앵커 간격 200mm일 때 35.7 kNㆍm으로 가장 큰 휨 강도를 나타냈으며, 무 보강 실험체와 비교해 보면 30%정도의 휨 강도 보강 효과를 보였다. 앵커간격 300mm인 무 보강 심지 일 때 25%의 휨 강도 보강 효과를 나타냈다. 7) 본 연구에서는 GFRP 보강 판넬이 받는 인장력 Tf를 시멘트계 접착제의 부착강도 Pa 와 앵커에 의한 전단강도 Pd 의 합 인 Pu값으로 보고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실험 설계 제안식의 값은 3.8%의 오차값으로 나타나, 오차값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8) FRP 섬유보강 공법, GFRP 에폭시계 주입 공법 및 GFRP 시멘트계 충진제 주입공법 경제성 평가 결과, GFRP 시멘트계 충진제 주입공법은 기존 GFRP 에폭시계 보강 공법보다 공사비가 10.3%로 저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에 외삽법을 적용하여 산출한 자해자살 손상의 기전별 발생률 및 현황 분석 연구

        정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23개 병원에서 수집되는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자료에 외삽지수를 적용하여 전국 지역응급의료센터 이상 급 응급실로 내원하는 손상의 규모를 산출하는 외삽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외삽하여 산출한 자해자살 손상의 기전별 발생률과 연도별 추세를 분석하고 자해자살의 손상 피라미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외삽법을 이용한 자해자살손상의 발생률 산출에 앞서 외삽으로 추정한 수치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대표성이 확인된 퇴원손상심층조사와 비교하였다. 외삽지수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응급실 내원 후 입원가능성이 높은 손상지표인 고관절 골절의 추정 입원률과 퇴원손상심층조사의 고관절 골절의 입원률을 비교하였다. 이때 두 조사의 모집단 규모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전국 환자 수준으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한번 더 외삽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한 고관절 골절의 추정 입원률은 퇴원손상심층조사 입원률과 일치하여 대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응급진료정보망의 자해자살 손상 환자수(N)를 응급실손상환자 심층조사의 자해자살 손상 환자수(S)로 나눈 값(N/S)을 자해자살의 외삽지수 (extrapolation factor, EF)로 산출하였고, 외삽지수에 세부 자살기전별 손상환자수를 적용하여 지역응급의료센터 이상 급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해자살 손상의 기전별 발생률을 산출하였다. 2011-2015년 지역응급의료센터 이상 급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해자살의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41.8-52.1명으로 이 중 목맴 자해자살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3.1-3.1명, 추락 자해자살은1.4-2.2명, 농약 자해자살은 6.6-7.2명, 가스 자해자살은 2.2-4.8명이었다. 자해자살 손상의 연령표준화 발생률의 5년간 추세를 분석한 결과, 전체 자해자살 손상의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고, 가스 중독 자살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파라쿼트 중독 자살은 크게 감소하였다. 외삽법을 통해 산출한 자해자살 손상의 발생률은 사망원인통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와 통합하여 자해자살의 손상 피라미드를 제시하였다.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와 퇴원손상심층조사,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자료로 산출한 자해자살의 손상 피라미드의 비는 1.0:1.2:2.8 (사망:입원:응급실내원)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삽법을 이용하여 현재 운영 중인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와 국가응급진료정보망의 자료를 활용하여 외삽된 자료의 대표성을 확인하고 자해자살 손상의 기전별 발생률을 추정할 수 있었고, 사망원인통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와 통합하여 자해자살의 손상 피라미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추후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자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ncidence rate of suicidal attempts in the emergency rooms extrapolated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ED) 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and to evaluat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data. Based on the surveillance data, the extrapolation method is used to estimate the incidence rate per 100,000 of suicidal attempts by age, gender and suicidal mechanism in 2011-2015. The extrapolation factor (EF) is calculated as the weights from the reciprocal of the extraction rate from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to data of the ED 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To assess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data, the admission rates of indicator (fracture of hip) extrapolated from the ED 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are compared with the admission rates from the hospital discharge registry. And we analyzed the trends and change of estimated incidence and mortality of the suicidal attempts related ED attendance in 5 years. The EF of suicidal attempts calculated from data from NEDIS and ED 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s was 4.0-4.5 in 2011-2015. The incidence rate of suicidal attempts by hanging was 3.1-3.8/100,000 in 2011-2015 and the incidence of suicidal attempts by fall was 1.4-2.2/100,000. The incidence of suicidal attempts by poisoning was 25.6-32.9/100,000. Among them, suicidal attempts by pesticide was 6.3-7.2/100,000 and suicidal attempts by gas was 2.2-4.8/100,000. The injury pyramid of suicidal attempts was 1:1.2:2.8(death:admission:ED). The incidence rate of suicidal attempts has been increased. The incidence of suicidal attempts by gas has been increased and the incidence of paraquat poisoning has been decreased. Extrapolation from the data of the ED based injury surveillance was able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the suicidal attempts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s in South Korea. The representativeness of extrapolated data was confirmed by assessed to compare with Hospital Discharge Registry.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complement the weaknesses of each hospital-based injury surveillance and to calculate the incidence rate at national level, and it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injury indicators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future.

      • IEC 61508 기반의 기능안전 달성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정시영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이란 안전의 일부분으로서, 운영되는 시스템이나 장비가 그 입력값(Input)에 대해 올바르게 동작할 때 확보된다. 일반적으로 장비 또는 그와 관련된 제어 시스템의 치명적인 위험요소들을 명세자나 설계자에 의해 위험원 분석을 통해 도출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능안전 관련 시스템이 과연 잠재된 각각이 위험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안전기능 요구사항으로 정의하고, 안전관련 시스템에서 위험한 사건의 발생 가능한 결함으로 인해 위험이 생겨날 가능성의 정도를 안전무결성수준(SIL)으로 안전무결성 요구사항을 결정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상용 시스템의 온도를 제어하는 안전기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기능안전을 달성 가능함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페트리넷을 이용한 그래픽적 분석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안전기능을 담당하는 대상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스크립트 작성으로 시스템에 일어날 수 있는 상태변화 등을 추정하여 페트리넷을 모델링 하도록 한다. 이것은 도달성 그래프를 통해 실제 시스템이 예측된 결함 또는 이상상태에 놓이더라도 안전을 담당하는 기능이 상시 운용되고, 기능안전이 확립됨을 모델링 분석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 학습관리시스템의 활용 효과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정시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습관리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활용 효과에 대해 대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 수업에서 학습관리시스템의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면에서 학습관리시스템의 활용 정도에 따른 대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북도 A시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인 C대학의 재학생 중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을 듣는 학생들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할 때의 주요 기능인 강의게시판, 토론실, 동영상 강의, 실시간 강의, 팀프로젝트 시스템의 5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관리시스템의 활용 수준은 보통 정도 내지는 그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시간 강의의 경우에는 시스템조차 마련되지 않아 학생들이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도 효과 인식에 있어서는 강의게시판, 토론실, 팀프로젝트 시스템의 활용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세가지 기능을 많이 활용한 학습자들은 그렇지 못한 학습자들에 비해 이 기능들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 강의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습참여도 효과 인식에 있어서는 강의게시판, 토론실, 동영상 강의, 팀프로젝트 시스템의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활용정도가 높은 학습자들은 그렇지 못한 학습자들에 비해 이 기능들이 학습참여증진효과를 가져온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학습만족도 효과 인식에 있어서도 강의게시판, 토론실, 동영상 강의, 팀프로젝트 시스템의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역시 활용정도가 높은 학습자들은 그렇지 못한 학습자들에 비해 이 기능들이 학습만족도증진효과를 가져온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실시간 강의는 현재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기대치는 다른 기능들과 비교하면 평균적이거나 비교적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폭력예방정책 문제정의의 변화와 정책수단의 선택

        정시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폭력에 관한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수단 유형이 시대별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수단 선택간의 관계를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문제 정의의 요소를 학교폭력 문제의 법적인 정의, 문제의 심각성 인식, 문제의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대상 집단에 대한 시각으로 구성하였으며, 정책 수단의 유형을 명령, 유인, 역량형성, 체제변화로 분류하였다.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수단 선택의 관계에 대해서는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즉 정책문제의 정의가 정책수단 유형 및 내용 선택에 합리적・논리적 영향을 미쳤는지.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 수단 선택간의 관계는 우연적・독립적인 관계인지, 아니면 특정 정책수단 사용을 정당화하기 위해 정책문제의 정의가 역(逆)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로 문헌연구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학교폭력예방 정책결정 과정에 정부 담당자로서 참여한 연구자의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학교폭력관련 선행연구, 정책문제 정의 및 수단과 관련된 선행연구, 신문기사, 정부 및 민간의 보도자료, 학교폭력예방법령 및 정부의 주요 대책을 담은 공문서를 포함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1995년 5.31 교육개혁방안부터 2017년 교육부 학교폭력 전수실태조사 발표일까지로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학교폭력 정책의 주요 변곡점에 활동해온 국책연구기관 연구위원, 대학교수, 민간의 학교폭력문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학교폭력 문제정의의 변화, 정책수단의 변화,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수단 선택간의 관계에 대한 개방형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밝혀진 각 시기별 학교폭력 정책문제 정의의 변화, 정책수단 유형 변화, 정책문제 정의와 정책수단 선택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제1기(태동기)에는 학교폭력의 정의를 ‘학생들 간’에 발생하는 신체적・물리적 폭력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었고, 일부 학생들의 개인적 일탈로 보려는 인식이 강했다. 대상 집단에 대한 시각도 피해자 보호나 치료에 대한 인식보다는 가해자 선도 또는 처벌에 관심을 두는 경향이 많았다. 학교폭력 정책수단의 유형을 보면 교육정책의 특성상 역량 형성의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학교폭력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초창기이고 신체적・물리적 폭력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어 직접적・단기적・강제적 성격을 띠는 명령의 비중이 다른 시기에 비해 비교적 높았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가해학생에 대한 징벌적 수단이 많았다. 제2기(점증기)의 학교폭력에 관한 정의에는 성폭력과 정보통신망을 활용한 폭력이 추가 되어 학교폭력의 범위가 넓어짐과 동시에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도 제1기에 비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06년부터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주관 학교폭력 실태조사가 실시되어 정책문제 정의의 근거로 작용하면서 피해자 보호 및 상담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가해자에 대한 처벌뿐만 아니라 선도 및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싹트기 시작하였고, 목격자 보호 조치에 대한 인식도 점차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정책수단 유형의 선택을 보면, 명령의 비중은 제1기에 비해 감소한 대신 역량형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학교폭력의 정의를 반영하여 성폭력, 사이버 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수단이 도입되었다. 아울러, 가해자 선도 및 보호의 질 제고를 위한 다양한 수단이 도입되었다. 제3기(고조기)의 경우 2012년 개정된 학교폭력예방법상 학교폭력의 정의에 학교폭력이 ‘학생 대상’으로 바뀌고 강제적인 심부름과 사이버 따돌림에 대한 정의 규정이 추가적으로 생겨나 학교폭력의 인정 범위가 더욱 넓어졌다. 특히, 2011년말과 2102년초에 사회의 주목을 끄는 심각한 학교폭력사건이 연쇄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부의 학교폭력 전수실태조사에서도 학교폭력 피해 경험율이 2012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을 반영하듯 제2기에 비해 명령의 상대적 비중이 더 높아졌다. 반면 유인이나 체제변화는 거의 없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인터넷 등 유해요인 대책, 학교의 책무성을 강조하는 수단과 더불어 피해자 보호 및 치료가 한층 더 강화되었다. 반면, 가해자에 대해서는 전학, 학급교체, 학교 생활부 기재 등 엄정한 조치가 가해졌다. 제4기(감소기)는 제3기에 비해 객관적인 학교폭력 피해 실태와 학교폭력문제의 심각성 인식은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학교폭력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문제의 원인에 대해서는 개인, 가정, 학교, 사회 요인으로 포괄적으로 지목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해매체 등 사회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학교폭력의 저연령화, 성폭력, 사이버폭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였고, 학교폭력의 원인으로 가정과 정신의학적 문제가 부각되어 문제정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선택된 정책수단의 유형은 명령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역량 형성의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유인과 체제변화의 비중이 다른 시기에 비해 월등히 높은 증가를 보였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학교폭력의 저연령화, 성폭력 문제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 수단이 도입되었다. 정신적 문제가 학교폭력의 원인으로 부각됨에 따라 정신과 자문의 제도가 도입되었다. 학교폭력에 관한 정책문제의 정의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수단 선택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매 시기별로 유형적․내용적 측면에서 합리적・논리적 연결이 가장 많은 양상을 보였다. 다시 말해 정책문제의 정의에 따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수단이 적절하게 내용적・유형적 측면에서 뒷받침되는 양상을 보였다. 학교폭력에 관한 정의가 확장되고, 문제의 심각성 인식이 커질수록, 그리고 피・가해자에 대한 조치가 미흡하다는 인식이 커질수록 정책수단의 내용과 형식이 강제적・직접적으로 개입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학교폭력 문제의 심각성이 인식이 줄어들고 피・가해자간 화해와 회복적 관점이 강조되는 제4기에는 유인, 체제 변화, 역량 형성적 수단들이 다른 시기에 비해 더 많이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 정책문제의 정의와 관계없이 거의 모든 시기마다 등장하는 정책수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수단들은 체험중심 인성교육, 교원 연수, 청소년 유해 업소 정화, 학부모 교육 등 주로 장기적이고 예방적인 성격을 띠는 역량 형성적 수단들이었다. 때로는 학교전담경찰관제 운영이라든지, 정신과 자문의 도입 등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정책수단을 지지하는 집단들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정책문제를 정의하려는 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특정 집단이 정치적・개인적 이유로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정책문제를 정의하려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정책수단이 제한되어 있을 때 나타는 현상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올바른 정책문제의 정의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다행히 학교폭력문제의 정의는 정부와 민간의 실태조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측면이 크므로 학교폭력의 변화양상에 맞게 실태조사를 정교하게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정책수단 선택의 합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전통적 행정에서는 직접적․강제적 정책 수단이 더 많이 선택되었지만, 현대 정부의 일하는 방식이 민간과의 협업이나 제3의 기관에 위탁하여 수행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므로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도 민간 또는 민관협업 방식을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수단이 활용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셋째, 정책문제와 정책수단 선택간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관계가 유지되도록 정부가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무총리 주재 민관합동 학교폭력대책위원회가 활성화되어 올바른 정책문제의 정의 및 정책수단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다음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다. 첫째, 올바른 정책문제의 정의를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정의는 정확한 실태조사에 기반을 두어 이루어 졌지만, 추후 다른 교육정책 분야의 사례들을 통해 올바른 정책문제의 정의가 이루어지는 요인들을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수단 선택간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학교폭력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수단의 선택은 합리적․논리적 연결이 주를 이루지만, 이러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인과구조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문제정의의 변화와 수단 선택 간에 시차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문제정의를 원인변수로 본다면 원인 변수의 작동이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려면 일정한 숙성기간이 필요하므로 시차요인 대한 고려를 통해 양자간 인과법칙에 대한 보다 명확한 설명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넷째, 수단 유형분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외 수단관련 연구를 보면 여전히 보편적인 분류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특정수단의 경우 그 유형이 중복되는 수단조합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추후 다른 교육정책 분야에서도 문제정의의 변화와 정책수단 선택 간 관계 분석 틀을 활용하여 정책 문제정의와 변화와 정책 수단의 선택에 내재된 기제를 보다 더 심층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학교폭력, 정책문제의 정의, 정책수단, 명령, 유인, 역량형성, 체제변화, 시차 ABSTRACT Changes in the Problem Definition of School Bullying Prevention Policy and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policy actors have defined the problems of school bullying and have chosen policy instruments for solving school bullying problems.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systematic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blem definitions and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divided school bullying problems into four distinct periods: the quickening period (the first period), the incremental period (the second period), the summit period (the third period), and the declining period (the fourth period).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this study employed literature investigation research and a questionnaire method targeting experts who had actively participated in policy making processes related to school bullying policies. With regard to the school bullying problem definition, the elements include the definition of school bullying,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s seriousness, the causes of school bullying, and the perspective on the target group. Related to the definition, the study reviewed how the policy actors have formed and changed their perspectives on school bullying with the passage of the four-time periods. Secondly, this study categorized the policy instruments into four types, which include mandates, inducements, capacity building, and system change, and examined how the patterns of the policy instruments' choices have been changed with the passage of the time periods. Thirdly, this study analyzed how changes in the definition of school bullying are related to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finition of the problem and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are logical and rational,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re independent or, on the contrary, whether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defined the school bullying problems. The results of each period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eriod, the focus of the school bullying problems was on physical violence.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n the target group, the policy actors tended to emphasize strict punishments of the bull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olicy, the portion of capacity building outnumbered other types of instruments among the types of policy instruments. The next alternative tool type was mandates, which include coercive and direct rules governing the actions of individuals and agencies. In the second period, though the trend of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indicators showed declining patterns, the recognition of the severeness of school bullying incrementally increased and new types of bullying, such as cyber bullying, began to emerge. The awareness of the target group slightly changed so that proper guidance for and discipline of the bullies were emphasized along with strict punishment. Also, awareness of the protection of the bullied and witnesses emerg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instruments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choice of instruments was diversified. While the portion of capacity building types increased, the portion of mandates slightly decreased. In the third period, the policy actors'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school bullying reached its peak, mainly influenced by serious serial school bullying cases. The government ascribed the main causes of school bullying to the poor management of school authorities and teachers; thus, the punishment was strengthened for the concealment or under-reporting of school bullying cases. The awareness of the target group dramatically changed so that the punishment for bullies was emphasized rather than guidance or discipline, while the protection and treatment for the bullied were effectively supplemented. In the fourth period, as the occurrence of school bullying showed a downward trend, the recognition of the severeness of school bullying declined compared to the third period. However, the policy actors began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measures for dealing with the issue of younger age bullying, cyber bullying, verbal abuse, and sexual abuse. As a result, in this period the portion of mandates reduced while the indirect and preventive instruments, such as capacity building, inducements, and system change, were used in large numbers.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new types of school bullying, measur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cyber bullying, and sexual abuse were established in this peri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 a macro level contex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blem definition and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were logically and rationally connected in terms of both the contents and types. In some cases, the relationships were independent. There were even some cases in which a particular policy instrument reversely defined the problem for the advantage of some constituencies, such as the Police Agency and the Association of Psychiatrist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the policy proposals for the government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oblem definition of poli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oosing policy instruments. Thus, policy makers should pay careful attention to defining the problem of policy correctly. Secondly, choosing policy instruments is not solely a rational process. Thus, to make a right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policy actors should take into account other factors such as political and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Thirdly, policy actors should design an elaborate system which strengthens the connections between the problem definition and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The proposals for subsequent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risks of incorrect problem definition, an in-depth study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ncorrect problem definition of policy. Secondly, as this study fou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blem definition of school bullying and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are mostly rational and logical.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blem definition of policy and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are not always logical. Thus, additional study needs to be done to reveal the causes of independent or reversal linkage between the problem definition and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Thirdly, consider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roblem definition of policy and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results can be different. Thus, to what extent the elapsed tim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fully explain the causes and the effects is a research question that should be raised. Fourthly, there are no standard typology methods with regard to policy instruments. Thus, an attempt to develop better typology methods which fulfill both the exhaustiveness and exclus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is needed. Finally, other fields of educational policy also need to b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right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blem definition and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Key Words: Policy Actors, School Bullying, Policy Instruments, Problem Definition, Mandates, Inducements, Capacity Building, System Change, Time Difference

      • 단편영화 <골고다의 방> : 연출스타일 분석

        정시영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사성을 지닌 영화는 소설보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하며, 사진과는 다르게 움직임을 담고 있다. 따라서 같은 이야기라도 영화언어의 선택에 따라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영화언어의 선택은 감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나 주제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신중함을 요구한다. 결국 이야기를 상징적인 영화언어로 풀어낸다는 것은 이야기와 표현방법이 밀접하고도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내러티브에 대한 구조주의적 접근은 이야기의 분절을 통해 전체의 의미를 재창조 시킨다. 표층적 의미를 통해 심층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기호들이 갖는 상징성은 그 구조 안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 따라서 이야기가 시각화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자 지침서와도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구조주의를 통해 분석하는 단편영화 <골고다의 방>은 등장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종교, 사회, 가족관계를 보다 면밀히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즉, 주인공의 갈등은 구조 안에서 발생하게 되며 기호들의 관계에 따라 그 형태와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야기의 상징성을 시각화 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공간과 촬영이다. 성경적 모티브를 가진 <골고다의 방>의 규식은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단순한 방의 의미를 넘어 상징적인 의미와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공간 안에서 인물의 프레이밍은 표층적 의미를 넘어 심층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미술적인 요소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쇼트, 구도, 움직임, 화면비 등과 같은 촬영적 요소들과의 적절히 상호작용을 일으킬 때 비로소 영화의 효과적인 시각화가 시작된다. <골고다의 방>에서는 4:3화면비의 사용으로 영화안의 또 다른 프레임을 만들면서 공간을 보다 축소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인물들간의 수직적 구조를 넓은 화면의 횡(橫)의 구조가 아닌 좁은 화면의 종(縱)의 구조로 이미지화 시켰다. 사실(fact)와 허구(fiction)가 만난 팩션(faction)영화는 환영성을 불러일으키기에 좋은 장르다. 영화의 환영성(illusion)은 관객들의 몰입을 도와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골고다의 방>은 실제 일어나고 있는 사회적 현상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관객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몰입을 유도한다. 실제사건에 허구를 가미해 영화로 보는 이유는 상징성과 메시지를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팩션영화 속의 인물과 상황의 관계성을 구조주의적인 관점으로 바라봤을 때 관객은 실재하는 것들의 심층적의미를 고찰하게 될 것이다. Films with narrative convey more information in a relatively short space of time than novel, and they also convey motions different from photographs. By this token, same story can deliver remarkably different meanings by cinematographic language. After all, deciding film language as a tool of conveying message or theme needs much prudence, since envisioning narrative with cinematographic language in symbolic ways means there are close interaction between narrative and method of expression. Structural approach to narrative reinvents overall meaning by dividing a story. Meaning in-depth can be understood by outer meaning, and symbolism of various signs can be given new meanings in the structure. Therefore, a story plays a role as a core element and as a guide to be visualized. The thesis aims to analysis religion, society, and family relations of the character of The Room of Golgotha, a short film in a structuralist approach. Since the conflicts of the character occur in the structure, the shapes and the meanings of conflicts also chang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among signs. Space and filming are most important keys to visualize symbols of narrative. Kyusik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pace in The Room of Golgotha, which has biblical motif. Since the room has symbolic meanings and messages, framing of the character in the room has meaning in-depth. Various artistic elements are effectively visualized when they have appropriate interaction with filming elements like short, structure, movement and picture ratio which are used in the film to express space. The director used 4:3 picture ratio and double framing techniques in The Room of Golgotha to make scale-down and visual effect of narrow screen, giving prominence to vertical structure between characters. Faction films which combine fact and fiction are proper genre to call concept of illusion to cinema audiences. Illusion of film helps audiences to be absorbed in the film. The Room of Golgotha makes audiences naturally concentrate on the narrative of the film by telling social phenomenon based on a real life. Audiences can appreciate symbolism and messages of faction film, contemplating on in-depth meanings of the existences by analysing relations of the character and circumstances in structural approach.

      • 정부출연 비영리 연구재단 설립과정 비교 분석 : 고구려연구재단과 동북아역사재단 설립 사례를 중심으로

        정시영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stablishment Processes of Two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Cases of the Koguryo Research Foundation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Si Yung Jung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ough a comparative approach the establishment processes of the Koguryo Research Foundation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social environment, Graham Allison's Governmental Politics Model, and John W.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in order to clarify the establishment processes of these two organizations and to identify which factors determined their institutional achievements. Generally, both contingency theory and organizational ecology theory have been widely used as tools for analysis of organizational establishment. These theories have strengths for explaining the contingencies and contexts which determine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However, these theories have weaknesses in explaining the reasons why an organization fails to be established in the presence of a certain contingency or why there are differences of institutional achievements between certain similar organizations.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establishment and the incidence of differences of institutional achievement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this study adopted the Governmental Politics Model and the Policy Streams Model. In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social environment, both contingency theory and organizational ecology theory were adopted as tools for analysis. Contingency theory assumes that the structure or management style of an organization depends on the environment which surrounds the organization. In the perspective of contingency theory, the creation of the Koguryo Research Foundation was initiated by the Chinese distortion of Koguryo history, while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was created by the Japanese distortion of history and sovereignty provocation over Dokdo.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ecology theory was adopted to explain the reasons why the Koguryo Research Foundation was closed and then merged into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after two and one-half years of activity. Throug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found that the closure of the Koguryo Research Foundation resulted from such factors as lower reliability and accountability, the liability of newness, the small size of its organization and budget, the attempt of essential organizational change, and the creation of a new organization,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Governmental Politics Model, this study examined how the political resultants, the Koguryo Research Foundation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were drawn through bargaining and negotiation by the players involved in the gam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institutional achievements between the two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resulted from the differences of the players' perceptions, preferences, and stands on the issue. In terms of perception, the perception of key players such as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is administration on the issue of the Chinese distortion of Koguryo history was pacificatory, while the perception of the president and the administration on the issue of the Japanese distortion of history and the issue of Dokdo was quite determined. Through this len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players perceived the issue not only on the basis of national interests, but also on the basis of their organizational interests and personal concerns. Finally, through the viewpoint of the Policy Streams Model,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treams of problems and policy alternatives proceeded along the processes of the founding of the two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treams of problems surrounding the founding of the Koguryo Research Foundation were weaker than the streams of problems concerning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In the perspective of policy streams, those concerning the founding of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were consistent and strong due to the determined stand of the president on the issue, while the policy streams regarding the Koguryo Research Foundation were incremental, inconsistent, and mutated due to the lack of presidential support and the passive attitude of the administration toward the issue. The first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a variety of aspects of organizational establishment should be review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founding more clearly. Though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eories have assumed that environment or context determines the structure or function of the organization, the theories can not clearly explain why the birth or closure of an organization occurred in a specific time in spite of the presence of previous contingencies. The second implication is that policy makers or researchers should consider such factors as politics, administration, and the legality of the issue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 because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governed by legal, administrative, and other institutional constraints unlike private organizations. The third implication is that, as Korea society is growing more pluralistic, the relevance of the Governmental Politics Model is likely to become higher in explaining the establishment processes of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Keywords: Historical-social Environment, Contingency Theory, Organizational Ecology Theory, Graham Allison's Governmental Politics Model, John W.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구려연구재단과 동북아역사재단의 설립과정을 역사적 사회 환경적 관점, Allison의 정부정치 모형적 관점, 그리고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두 기관의 설립, 두 기관의 제도적 성취 및 역할 범위의 차이를 가져온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조직설립을 다루는 이론으로서 역사적 사회 환경적 관점에서는 조직 환경론, 특히 구조적 상황이론과 조직생태이론이 유용한 분석도구로 활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이론들은 조직설립이 그것을 둘러싼 맥락 또는 상황에 의존한다는 결정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상황적 요인의 존재 또는 발생으로 조직이 설립되었다는 것을 설명하는 데는 유용한 관점인 것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직 환경론적 관점만으로는 왜 특정 공공조직은 특정 상황 또는 맥락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설립 또는 사멸되지 않으며, 왜 유사한 공공조직간 제도적 성취의 차이가 발생하는 가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조직설립과 관련된 조직 환경론적 관점의 한계를 적시함과 동시에 준 정부조직 설립과정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정부정치모형과 정책흐름 모형을 추가로 적용함으로써 고구려연구재단 및 동북아역사재단 설립과정에 대한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역사적 사회 환경적 관점에서는 구조적 상황이론과 조직 생태이론을 적용하여 두 기관의 설립을 가져온 역사적 배경이 무엇이며, 동북아역사재단 설립과 더불어 이에 흡수 통합된 고구려연구재단의 사멸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동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구려연구재단의 사멸은 낮은 신뢰성 및 예측가능성, 신생조직의 불리, 작은 조직 규모 및 예산, 핵심적 조직 변화의 시도 및 동북아역사재단의 설립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Allison의 정부정치 모형을 통하여 두 기관 설립을 둘러싸고 벌어진 참여자들의 흥정과 타협을 분석하여 이들의 입장·선호·인식·기대이익 등의 차이가 두 기관의 설립 및 제도적 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설명하였다. 그 결과 두 기관의 설립 및 제도적 성취의 차이 발생은 핵심참여자로서의 대통령과 행정기관의 인식 및 선호의 차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고구려연구재단 설립과 관련된 대통령 및 행정기관의 인식 및 입장은 한·중 양국의 외교관계 등을 의식해서 상당히 유화적이었던 반면,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및 독도 영유권 도발로 시작된 동북아역사재단 설립과 관련하여서는 대통령과 행정기관의 인식이 매우 단호하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세 번째로, Kingdon의 정책 흐름 모형을 적용하여, 두 기관 설립을 둘러싼 문제 및 정책의 흐름의 차이가 어떠하였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문제 흐름의 측면에서 고구려 역사 왜곡 문제에 대한 정책 당국자 또는 학계의 인식은 약했으며, 정책의 흐름도 시민단체 주도로 이루어져 일관성 및 강도가 약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및 독도 영유권 도발로 촉발된 동북아역사재단 설립을 둘러싼 문제의 흐름은 강하고 일관성이 있었으며, 정책 흐름 역시 대통령과 행정기관의 주도하에 하향식으로 이루어져 일관되고 강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두 가지 흐름상의 차이가 두 조직간 제도적 성취의 차이를 가져온 또 다른 설명 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발견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역사적 사회 환경적 관점만으로는 공공조직 설립과정을 명확히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역사적 사회 환경적 관점은 조직의 구조나 기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특정 환경 혹은 맥락을 강조해왔지만, 동 관점만으로는 왜 특정 환경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왜 특정시점에는 조직 설립 또는 사멸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다른 시점에 와서야 이루어지는가에 대해서는 명쾌한 해답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준 정부조직은 민간조직과는 달리 법적·행정적·제도적 제약 조건하에서 설립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준 정부 조직의 설립과정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관점 즉, 정부 정치적 관점 및 정책 흐름적 관점 등을 통한 기존 이론의 보완 또는 대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사회가 다원화된 사회로 진행되어감에 따라 공공조직 설립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참여자의 정치적 흥정과 타협을 다루는 정부정치적 관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주요어: 역사적 사회 환경적 관점, 구조적 상황이론, 조직 생태이론, Allison의 정부정치 모형,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 준 정부조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