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UV 광학계 Cell Mount 설계 및 정밀 조립

        정승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반도체 웨이퍼의 미세 패턴의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높은 분해능의 검사 장비가 필요하다. 높은 분해능의 광학계는 짧은 파장, 높은 NA를 사용하여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 및 안정성을 가지는 광학 기구 설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DUV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렌즈와 광학 모듈의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는 미세한 오차는 항상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DUV 광학계에 사용되는 cell mount를 설계하고, 렌즈의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류수차의 보정을 위하여 영향을 가능한 서로 상쇄시켜 보상하여 성능 저하가 되도록 만드는 조립 정렬 방법으로 보상자를 선정하여 외부에서 5축 정렬을 통하여 보상되도록 설계를 진행하였다. A high-resolution inspection equipment is an essential tool for detecting defects on fine patterns of semiconductor wafer. Optical systems with high resolution using deep ultraviolet (DUV) and high numerical aperture (NA) require precise and stable opto-mechanical designs. However, in the fabrication and assembly processes of individual lenses and optical modules of the DUV optical system, there are always some inevitable errors. In this study, cell mounts of DUV optical systems were designed, and a precise assembly alignment method was developed to minimize the impacts of the residual aberrations due to the production and assembly errors. To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DUV optical system, the compensators allowing for external 5-axis alignment were chosen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residual errors.

      • 재작업 가능한 활동이 포함된 자원제약 하의 프로젝트 일정 문제 : 시나리오 기반 휴리스틱 기법

        정승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의 일정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에는 다양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이 경우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프로젝트 일정 문제의 최근 연구에서도 SRCPSP(Stochastic Resource Constrained Project Scheduling Problem)라는 모형이 다루어지고 있다. 전형적인 RCPSP 모형은 확정적 모형이지만, SRCPSP 모형은 활동의 기간이나 비용 등에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모형이다. 백인섭(2020)은 SRCPSP 모형을 다루었다. 이 모형에서 일부 활동은 검수에 따라 재작업이 요구될 수 있으며, 재작업 확률은 사전에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핵심은 일정을 작성할 때 재작업 횟수를 어떻게 추정하는가에 있다. 재작업 횟수를 기댓값으로 추정한 값을 중립적이라 할 때, 기댓값보다 크게 추정한 값은 비관적, 낮게 추정한 값은 낙관적이라 할 수 있다. 백인섭(2020)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별 낙관-비관 계수를 찾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기댓값을 사용한 일정작성보다 낙관-비관 계수를 적용한 일정작성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백인섭(2020)의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과 동일한 모형을 다루지만, 일정을 작성하는 방법론은 차이가 있다. 백인섭(2020) 연구는 일정작성에 기댓값을 사용하였지만, 본 연구는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본 모형에서 프로젝트 일정의 의사결정나무는 결정 노드와 상황 노드로 구성된다. 결정 노드는 그 시점에서 시작할 수 있는 활동과 모드이며, 상황 노드는 재작업 가능한 활동의 검수를 의미한다. 검수가 합격이면 그 활동은 완료되며, 불합격이면 재작업 되어야 한다. 결정 노드에서 활동의 선택은 향후 존재하는 상황 노드를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향후 존재하는 상황 노드의 합격, 불합격 조합을 시나리오라 하자. RCPSP의 속성상 시나리오별 최적의 일정을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매우 클 수 있다. 본 연구는 제한된 시간 내에 우수한 일정을 작성하기 위해 휴리스틱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시나리오 기반 휴리스틱 기법에 해당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의 안정성과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특징은 SRCPSP 모형에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도입한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였고, 재작업 가능한 활동의 수가 비교적 작은 경우 프로젝트 비용의 확률분포를 체계적으로 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In general, there are various uncertainties in planning and carrying out the project schedule, and in this case, decisions must be made under uncertainty. A model called SRCPSP(Stochastic Resource Constrained Project Scheduling Problem) is being dealt with in recent research on the project scheduling problem. The typical RCPSP model is a deterministic model, but the SRCPSP model is a model in which uncertainty exists in the duration or cost of an activity. Paek(2020) dealt with the SRCPSP model. In this model, some activities may require rework according to inspection, and the probability of rework is known in advance. The key to this study is how to estimate the number of reworks when creating a schedule. Assuming that the estimated number of reworks as an expected value is neutral, a value estimated larger than the expected value is pessimistic, and a value estimated lower than the expected value is optimistic. Paek(2020) suggested a method to find the optimism-pessimism coefficients for each project through simulation, and schedule creation with optimism-pessimism coefficients showed better results than schedule creation using expected values. This study deals with the same model as the model presented in the study of Paek(2020), but the methodology for creating the schedule is different. The study of Paek(2020) used expected values ​​for scheduling, but this study ha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hat it used the decision tree technique. In this model, the decision tree of the project schedule consists of decision nodes and situation nodes. The decision node is the activity and mode that can be started at that point, and the situation node refers to the result of the review of the reworkable activity. If the inspection passes, the activity is completed, and if it fails, the activity must be reworked. The selection of an activity in the decision node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node that exists in the future. Let the pass/fail combination of the situation nodes that exist in the future be a scenario. Due to the nature of RCPSP, the time required to create an optimal schedule for each scenario can be very large. This study used a heuristic method to create an excellent schedule within a limited time. Therefore,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study corresponds to a scenario-based heuristic method. The st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were verified through simulation. The characteristic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s a new solution procedure that introduces the decision tree technique to the SRCPSP model, and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project cost can be systematically obtained when the number of reworkable activities is relatively small.

      • Polymerized urushiol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rhus product in Korea

        정승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 Systemic contact dermatitis commonly occurs with the intake of rhus(boiled chicken with rhus) as a health food and a folk medicine to cure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Korea. Also recently, rhus products are commercialized and rhus companies insist they have the technology for rhus detoxification. But many people who suffer from these rhus products visit dermatologic clinics. Principle of present techniques for rhus detoxification is the induction of the polymerization of urushiol. But polymerized urushiol may still have antigenicity, although its degree diminishes.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artion(KFDA) has regulation to prohibit urushiol use as a food. However, the laboratory method which KFDA uses for detection of rhus can search only urushiol monomer. Objective : We conducted experiment for detection of polymerized urushiol in a rhus product approved KFDA. Methods : A rhus product approved by KFDA was partitioned with chloroform. Chloroform fraction was fractionated on a recycle HPLC system. Four peaks were achieved and evaporated to give amorphous powder. Each powder was analyzed on a NMR system and on a mass spectrometer. Results : The materials which can be considered as urushiol dimer having 638 MW were detected in one of four kinds of the powder from HPLC peaks.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the commercially available rhus product has materials considered as urushiol dimer. Therefore, even if the antigenicity of the rhus products is low, this product may cause adverse effects and is not completely detoxified. 우리나라에는 옻(Japanese lacquer, Rhus verniciflua)이 위장병 등에 좋다는 민간요법이 있어 옻을 닭 등과 함께 삶아 먹는 경우가 많아 옻에 의한 전신성 접촉 피부염이 흔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농림부 국책 사업으로 옻 진액 판매 회사에서 다양한 옻 해독 기술을 소개하며 참옻 진액을 상품화하여 판매함으로써 옻 복용이 늘고 있다. 그러나 옻의 건강 증진 효과, 옻 해독 기술의 안전성은 검증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이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옻의 항원으로 작용하는 물질은 카테콜(catechol) 복합체인 우루시올(urushiol)로 이것이 합텐으로 작용하여 체내 자기 단백질과 결합하여 항원성을 획득한다. 옻 해독이란 이런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옻 해독 기술에는 분쇄와 건조, 단순 가열, 산화제나 효소를 이용한 방법, 한약재 등의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방법, 단백질과 함께 가열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런 방법들은 우루시올의 산화, 중합화를 통해 우루시올 중합체의 발생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체내 자기 단백질과 결합하는 활성 부위를 감소시켜 우루시올의 반응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우루시올 중합체도 항원성은 감소되지만 완전히 소실되지는 않기 때문에 이것이 이미 감작된 사람에게 노출될 경우 접촉 피부염 등의 증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식약청에서는 옻나무를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로 정하고 우루시올 확인 시험법을 개설하여 옻 관련 식품의 경우 이 기준에 의해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으면 허가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험법은 우루시올 단량체는 검출할 수 있으나 중합체는 검출하지 못하므로 식약청의 허가를 받은 제품 내에 항원성이 남아있는 중합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저자는 시중 판매되고 있는 옻 제품 내 중합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국내에 시판중인 옻 진액 제품 중 한 가지를 이용하여 클로로포름으로 분획을 하고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의 분말을 얻은 후,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ecycle HPLC system)으로 4개의 분획을 얻었다. 각각의 분획을 증발시켜 얻은 4가지의 분말 시료를 질량 분석기와 핵자기공명 분광법(^(1)H NMR)을 이용하여 분석을 한 결과 한 가지 시료에서 분자량 638의 우루시올 이합체(dimer)로 생각되는 물질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재 식약청의 판매 허가를 받은 옻 제품 내에는 이합체와 같은 우루시올 중합체가 존재하므로 항원성이 적기는 하지만 이미 감작된 사람에게 노출될 경우 접촉 피부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옻 제품의 무분별한 광고와 판매를 막아야 하며 옻 관련 제품의 판매 허가 기준을 보다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UAV 기반 공간정보를 활용한 수목주수 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정승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신속하고 정확하게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는 새로운 공간정보 구축 기술로써 무인비행시스템(UAVS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은 위성측량이나 기존의 항공측량에 비해 비교적 기상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5cm급 이하의 고해상도 영상을 언제 어디서나 반복적으로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음으로써 높은 공간 및 시간해상도의 자료를 얻을 수 있고 저비용으로 자료의 취득이 가능하여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UAV를 이용하여 해당지역 항공영상자료를 취득하고 수치사진측량 기술 기반의 자료처리과정을 통하여 해당지역 정사영상을 제작한 후, 정사영상으로부터 과수의 수목주수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템플릿 매칭기법 기반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이를 농작물 재해보험의 기초자료조사에 적용하였다. UAV 항공영상 촬영시 대규모 산림지역 또는 농경지에서 정확도 개선효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PPK방식을 적용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하였으며, 지상기준점 없이 최초 취득된 GPS 자료만을 사용하여 제작된 정사영상 및 RTK 방식으로 촬영된 영상을 사용하여 제작된 정사영상과 검사점에 의한 위치오차를 비교함으로써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템플릿 매칭의 6가지 매칭기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템플릿 매칭 적용을 위한 최적의 매칭기법을 선정하였으며 동일한 지역을 대상으로 생육시기가 서로 다른 정사영상을 제작하여 수목의 다양한 생육시기에 따른 알고리즘의 수목추출정확도를 추출율과 일치율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알고리즘 적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적절한 자료취득 시기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수목주수 자동추출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현지조사에 의한 표본/전수조사, 목측/실측조사의 기존조사 방법의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조사업무의 효율성 및 객관성을 개선함으로써 정확하고 정량적인 조사방식에 의한 보험료 산정의 신뢰성 및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검도지도자의 욕구지지가 선수의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정승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지도자의 욕구지지와 선수들의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 요인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2020년 대한검도협회에 선수 등록된 중‧고등학교 선수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전체 설문지 200부 중 신뢰성이 결여된 15부를 제외한 185부를 최종 자료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 Program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분석과 신뢰도 분석, 차이검증(t-test, F-검증 및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검도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욕구지지의 차이는 학제, 운동경력, 입상경력에 따라 욕구지지의 하위요인 자율성지지, 유능성지지, 관계성지지 등의 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검도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는 학제, 입상경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검도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는 학제와 입상경력에 따른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고 운동경력에 따른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검도지도자의 욕구지지가 운동몰입의 하위요인 인지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자율성지지와 관계성지지가 인지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유능성지지 요인은 인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도지도자의 욕구지지가 운동몰입의 하위요인 행위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자율성지지와 관계성지지가 인지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유능성지지 요인은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검도지도자의 욕구지지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자율성지지와 관계성지지가 인지된 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능성지지 요인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00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Kendo Association in 2020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aders' needs, athletes' immers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factors, and finalized 185 parts of the 200 questionnaires, excluding 15 lacking reliability. Using Statistics Program SPSS Win 25.0, frequency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difference verification (t-test, F-validation and post-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desire suppor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ng kendo athletes was found to differ in factors such as autonomy, ability, and relationship support, depending on the academic system, athletic experience, and winning experience. Second, the difference in athletic immers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ng kendo athlet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cademic and prize-winning experie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thletic immersion according to athletic experience. Third, the perceived perform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ng kendo athletes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perceived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academic and prize-winning performa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ived performance according to athletic experience.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e effect of kendo leaders' desire support on cognitive immersion, which is a lower factor of motor immersion, show that autonomy and relational suppor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immersion, and the competent support factor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cognitive immersion.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e effect of kendo leaders' support for desire on behavioral immersion, show that autonomy and relational suppor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immersion, and the competent support factor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immersion.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e effect of the kendo leader's desire on perceived performance showed that autonomous and relation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performance, and the factors of competence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performance.

      • 희곡 작품의 갈등 양상 연구 : 창작극 <길목>, <춘화네 빵집>, <연애>

        정승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창작극 <길목>, <춘화네 빵집>, <연애>를 중심으로 희곡이 지니는 갈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희곡에서 드러나는 갈등 양상을 연구한다. <길목> 및 <연애>는 부산 지역에서 공연되었으며, <춘화네 빵집>은 전라남도 순천에서 공연되었다. 위 작품들은 본래 공연을 위해 창작된 희곡 작품이며, 불특정 다수의 일반 시민들을 상대로 공연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세 작품을 기준으로 갈등 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관객 다수가 공감을 할 수 있는‘갈등’을 찾는 과정이기도 하다. <길목>은 한국 근현대사에 등장했던 군사정권이 묘사되며, 이와 대립하는 민중의 모습이 드러난다. 또한 오랜 시간 한국에 존재했던 이데올로기의 모순과 사회에 존재했던 폭력의 부당함이 드러난다. <춘화네 빵집>에서는 높은 자본력을 지닌 기업이 작은 빵집을 강제로 인수하려하고, 문제의 발단에는 해소되지 못한 가정(家庭)의 결핍, 관습적으로 인정되지 못하는 남녀의 애정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연애>는 꿈과 현실 사이에서 고민하고, 경제적 능력이나 사회적 지위 때문에 갈등을 겪는 젊은 청춘남녀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위 작품들은 얼핏 모두 다른 이야기를 가진 작품들로 보인다. 어느 작품은 한국 근현대사를 묘사하고 있고, 어느 작품은 2019년도의 청춘 남녀 문제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대적, 공간적 상황만 다를 뿐, 사실 갈등의 양상은 세 작품 모두 크게 다르지 않다. 과거 군사정권이 행하던 물리적인 폭력은 오늘 날 각종 자본으로 변모하였다. 자본을 가진 기업일수록 권력을 가지며, 대기업은 소기업에게 새로운 형태의 폭력을 행한다. 또 현대를 살아가는 청춘남녀에게 자본은 꿈을 이루어주거나 포기하게 만드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이 모든 상황에는 보이는 갈등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개인 간의 사랑 문제나 가족 문제가 존재하며, 또 새로운 계층 간 갈등이 존재한다. 이는 <길목>, <춘화네 빵집>, <연애>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갈등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연령 및 성별, 삶의 경험이 다른 관객 일 지라도 공감할 수 있는 갈등을 애정갈등, 가족 간 갈등, 세대 및 계층으로 분류하였다. 무엇보다 공연을 목적으로 하는 희곡에서 갈등은 관객에게 이해 및 인정되어야하며, 세 작품에서 ‘갈등’은 어떻게 인정과 이해를 받는지 분석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희곡 내 갈등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희곡의 갈등 양상을 위 작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목차 Ⅱ’를 통해 갈등의 양상과 표현 방법을 연구하고 작품 안에서 갈등이 어떻게 해소되는지 연구할 것이다. 또한 ‘목차 Ⅲ’를 통해 이번 연구의 결과를 말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말하고자 하는 갈등양상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목차Ⅳ’에는 작품 <길목>, <춘화네 빵집>, <연애>를 수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onflict in the play-making drama <Street corner>, <Chunhwa's Bakery> and <Romantic>. <Street corner> and <Romantic> were performed in Busan, while <Chunhwa's Bakery> was performed in Suncheon, Jeollanam-do. The above works were originally created for the performance, and were performed for an unspecified number of ordinary citizens. Therefore, analyzing the conflict between the three works is also the process of finding 'conflict' that many audiences can sympathize with. <Street corner> depicts the military regime that appear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reveals the people who are at odds with it. It also reveals the contradictions of ideology that existed in Korea for a long time and the injustice of violence that existed in society. In <Chunhwa's Bakery>, companies with high capital force to take over small bakeries, and the lack of families that have not been resolved at the beginning of the problem, and the affection problems of men and women who are not universally recognized, are inherent. <Romantic> tells the story of a young man and woman who agonizes between dream and reality and is at odds over their economic ability or social status. All of the above works seem to have different stories at first glance. It's because some depict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hile others talk about the issue of men and women in 2019. However, only the times and spatial situations are different, and in fact, all three works are not very different in terms of conflict. The physical violence that military governments used to commit in the past has turned into various capital today. Companies with capital have more power, and large corporations commit a new form of violence to small businesses. In addition, for young men and women living in modern times, capital may be an important tool to make their dreams come true or give up. Above all, there are not only visible conflicts in all these situations. There are love issues between individuals and family members, and conflicts between new classes exist. This is also a common conflict in <Street corner>, <Chunhwa's bakery>, and <Romantic>. Therefore, this researcher classified conflicts that can be shared even though they are audiences of different ages, genders, and experiences in life into love conflicts, family conflicts, generations and classes. Above all, conflicts in plays aimed at performing should be understood and acknowledged by the audience, and in the three works, how "conflict" is recognized and understood should be analyzed. Thus, this researcher will study the pattern and expression of conflicts through Table II. how conflicts are resolved within the work through Table Ⅲ. I would also like to talk ab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able of Contents Ⅲ. In order to understand more specifically the conflicts that this study is trying to address, Table Ⅳ will include works <A coner>, <Chunhwa's Bakery>, and <date>.

      • 도시개발 관리를 위한 누적환경영향 평가체계 수립 연구 : 대기질을 중심으로

        정승현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토의 난개발로 인한 영향은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되고 있다. 소규모이고 시간적, 공간적으로 인접사업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개별적인 개발사업은 그 영향을 사전에 예측하여 환경영향을 국지적으로 관리하여 저감시킬 수 있으나, 광역적 범위에 다수의 재개발·재건축사업이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실시될 경우 그 영향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누적되어 예상보다 더 큰 도시환경문제가 발생된다. 국내에서는 환경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각종 영향평가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환경문제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전에 비해 환경의 질이 더 악화되기도 하였다. 여기에는 환경문제 발생과 직접적으로 관계된 요인이 작용하기도 하지만 개발사업의 집중에 따른 누적영향이 원인으로 작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는 개별 단위사업에 국한된 환경영향 저감보다는 개발영향의 조합과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누적영향의 개념을 적용하여 환경문제를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누적영향의 개념에 기초하여 누적영향 평가체계를 작성하였다. 누적영향 평가체계는 평가요소, 평가범위, 평가방법으로 나뉘어 작성되었다. 누적영향의 평가요소는 기존의 환경영향평가 요소를 기본으로 선정가능하며, 이중 자연환경에 해당하는 대기환경, 수환경, 토지환경, 자연생태환경에 대해 누적영향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누적영향의 평가범위는 개별사업 단위가 아닌 지역전체 규모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유역단위를 공간적 범위의 예로 제시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과거의 사업에서부터 예측 가능한 미래의 개발사업까지를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누적영향의 평가방법은 누적영향 평가범위의 설정, 현재 환경수준의 평가, 개발사업이 누적된 상태의 평가, 개발허용 수준의 검토의 4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의 누적영향 평가체계와 그 기반으로 한 도시개발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그간 국내에서 논의가 미흡했던 누적영향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의 질을 달성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정립한 누적영향의 개념은 개별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의 검토 뿐 아니라 광역적이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개발사업의 복합적인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의 성과는 기존의 환경영향평가 방식에서 누적영향을 고려한 영향평가와 도시개발 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 둘째, 누적영향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수도권을 대상으로 누적영향을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개별 사업단위별 영향평가를 통해 저감대책을 마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는 여전히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발사업들의 입지와 규모 개발시기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국토․도시의 개발과 관리에 있어서 누적영향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 누적환경영향 평가범위의 선정, 광역적·장기적 관점에서의 환경영향 평가, 지역 환경용량 하에서의 개발유도, 개발입지, 시기 및 규모의 조절, 도시개발체계와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연계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의 누적영향 평가체계는 그간 국내외 선행연구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이고도 실용적인 접근방법을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미래 국토 및 도시의 개발과 관리에 있어 구체적인 행동지침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as a result of urban development. The environmental impact of each development project that occurs on a small scale and is not influenced by other spatio-temporal neighboring developments, can be predicted and managed individually. However, many redevelopments that are near each other and in succession can cause spatio-temporal cumulative impacts on the macro scale. Subsequently, the total impact from these developments can cause heavier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than expected. Even though various impact assessment programs are being conducted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environmental problems still persist. Moreover, environmental quality is becoming worse in some places, which can be the direct result of environmental problems, as well as cumulative impacts that are caused by concentrations of developments. Needless to say, a solution that is based on the cumulative impact concept is needed more than simply attempting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that occur from each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framework of cumulative impact assessment is established, which consists of 3 parts; criteria of cumulative impacts, assessment boundaries, and assessment methods. The criteria of cumulative impacts can be selected from exist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boundaries of cumulative impacts have to be set up not within the boundaries of each development but in the entire region; the basin is suggested as the spatial boundary. Finally, the development projects of the past, present, and foreseeable future should be considered. The assessment method to determine cumulative impact is conducted in 4 steps; 1) establishment of the assessment boundaries, 2) analysis of the existing state and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3) assessment of interactions between impact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4) determination of the cumulative impacts and preparation of mitigating measures or development proj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conceptual framework, which was established to achieve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al quality, can be suggested by establishing the notion of the cumulative impacts. The concept of cumulative impacts establish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to be conducted not only in the boundary of individual developments but also on the macro spatial and long-term temporal scale to consider the complex impacts of various developments. This can be the foundation for chang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o consider cumulative impacts. Second, the cumulative impac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till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lthough the reduction measures that are based on each development are working. This can be due to the location, scale, and the time of the developments. Third, the following are suggested as methods to introduce cumulative impacts for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selection of regional cumulative impact boundaries;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macro scale and in a long-term view; guiding developments under regional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control of the location, time, scale of each development; and connecting urban development system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nlike previous research work, this study is particularly meaningful as it suggests an assessment framework for cumulative impacts, which offers a concrete and practical approach from the case study. Moreover,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establish guidelines in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 강화학습에 의한 리니어 동기모터의 정밀 모션제어

        정승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영구자석형 리니어동기모터(PMLSM : 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의 고정밀 위치제어를 위하여, 7차 또는 그이상의 고차 방정식 또는 정현파 기반의 고기능 위치, 속도, 가속도, 저크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PID 제어기, 뉴럴네트워크, 강인한 내부루프 보상기(Robust Internal Loop Compensator), RIC 극배치 제어기, 자기강화학습, 강화학습 기반의 PID 제어기, 강화학습을 이용한 RIC 기반의 극배치 제어기 등의 다양한 제어알고리즘들을 PMLSM의 고정밀 제어기를 구현하기위해서 모의실험, 시스템 구성 및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PID-피드포워드 제어기 및 RIC 기반의 극배치 제어기가 적응적으로 제어 파라미터를 찾을 수 있음을 보였고, RIC 기반의 극배치 제어기의 외란제거 성능이 PID 제어기에 비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PMLSM 시스템 실험을 통하여 랜덤변수를 이용한 강화학습이 PID-피드포워드 제어기 및 RIC 기반의 극배치 제어기의 제어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찾을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PID-뉴럴네트워크 기반의 학습형 피드포워드제어기의 경우 뉴럴네트워크의 위치오차 역전파 학습에 의해서 계산되어진 토크값이 피드포워드 제어입력 값으로 사용되어 정지 위치구간에서 우수한 추종 성능을 나타내었다. 특정 구간에서의 스프링에 의한 가변부하 외란인가의 실험에서 RIC 기반의 극배치 제어기가 Q필터작용을 통해 고주파 성분의 외란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뉴럴네트워크 기반의 학습형 피드포워드제어기는 특정 구간의 가변부하 자체에 대한 뉴럴네트워크의 오차역전파 학습이 이루어져서 미리 계산 되어진 부하보상 토크값과 리플력을 보상하는 토크값을 피드포워드 제어값으로 사용하여 가변부하 인가 전후의 성능에 별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To realize the high speed and high precision motion control of PMLSM(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 it is important to make high functional position, velocity, acceleration, jerk motion profiles based on 7th-order or higher-order equation or sine wave for fast, smooth and efficient motion. Several control algorithms such as conventional PID, Neural network, RIC(Robust Internal loop Compensator), RIC Pole placement, Self organized Reinforcement Learning, Leaning Feedforward controller, Reinforcement leaning based PID controller, Reinforcement leaning RIC based Pole placement controller are adopted and compared to obtain high precision controller of PMLSM. Through the MATLAB simulation and the experiment to make high precision PMLSM control, it was known that reinforcement leaning RIC based pole placement controller's performance is faster and more accurate than conventional PID-Feedforward controller. And it is also more robust when the external disturbance such as variable load was applied. Afterwards obtaining more accurate model of PMLSM, the studies for learning rate, linear or nonlinear activation function are necessary to make better adaptive PMLSM motion controller.

      • 한국의 장신구와 의류부자재에서의 니켈과 코발트 용출에 관한 연구

        정승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니켈은 접촉피부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니켈을 용출하는 장신구, 의류부자재 등과 반복적,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니켈에 의한 접촉피부염을 일으킨다. 한국에서 니켈에 대한 첩포 검사 양성률은 다른 나라보다 거의 2배 정도 높으며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코발트는 니켈과 상호반응이 흔한 금속으로 한국에서 코발트에 대한 첩포검사 양성률은 높으며 니켈과 마찬가지로 서구에 비하여 양성률이 높다. 한국에서 니켈과 코발트의 감작률이 높은 이유는 이들이 포함된 금속제품의 빈번하고 지속적인 노출과 제품에서 용출되는 니켈과 코발트 양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한국의 금속 용출에 대한 현재 실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니켈과 코발트 감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장신구, 의류부자재 중 다양한 제품을 선택하여 니켈과 코발트가 용출되는 제품의 빈도를 알아보고 일부 품목을 대상으로 니켈 용출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브랜드 장신구 (등록된 회사의 상품명을 가지고 있는 정품) 193개, 비브랜드 장신구 (생산업체를 알 수 없는 비교적 저가의 제품) 202개 및 의류부자재 76개가 포함된 총 471개의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제품 표면에서의 금속 용출 선별검사로 니켈은 dimethylglyoxime (DMG) 검사, 코발트는 cobalt spot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니켈 용출 정량 검사는 유럽의 표준 방법인 EN1811:1998을 이용하였다. 니켈의 경우 대상 제품 중 47.8%가 DMG 검사 양성이었으며 브랜드 장신구 중 12.4%, 비브랜드 장신구 중 70.8%, 의류부자재 중 76.3%가 양성이었다. 장신구를 품목별로 비교하면 헤어핀 (85.7%)과 벨트 (81.0%)가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비브랜드 장신구 중 노점상에서 구입한 제품이 83.3%의 높은 양성률을 나타냈다. 니켈 용출 정량검사 결과 니켈 용출이 0.1 µg/cm2/week 미만에서 88.4 µg/cm2/week로 넓은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DMG 검사의 위양성률 10%, 위음성률은 20%이었다. 코발트의 경우 대상 제품 중 6.2%가 cobalt spot 검사 양성이었고 이 제품은 모두 DMG 검사에도 양성을 보였다. 품목별로 비교하면 벨트 (28.6%)와 헤어핀 (14.3%), 의류부자재 (14.5%)가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금속제품, 특히 비브랜드 장신구와 헤어핀, 벨트, 의류부자재에서 니켈과 코발트 용출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이 제품들은 어린 나이부터 반복적으로 피부에 장시간 접촉하여 니켈과 코발트 감작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금속 용출 규제 시 이 품목들에 대한 규제 및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대규모 시장 조사를 바탕으로 장신구와 의류부자재에서의 니켈과 코발트 용출 빈도를 파악한 것으로, 이는 향 후 한국에서의 니켈과 코발트 용출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앞으로 시행될 예정에 있는 금속 용출에 대한 규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기반이 되리라 기대된다. Nickel allergy is by far the most frequent contact allergy, and may develop following repeated or prolonged skin contact with metallic items that release nickel. In Korea, the prevalence of nickel allergy is nearly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and showed the sharp increasing trend. Main uses of cobalt are in the production of alloys. Contact allergy to cobalt is often associated with concomitant contact allergy to nickel and is also more common in Korea. The high prevalence of nickel and cobalt may be related to the frequent exposure from metallic items. The present aim was to study the prevalence of items that release nickel and cobalt on Korean market. We also conducted the quantitative study of nickel release from some items. Total 471 items including 193 brand jewelry (refined jewelry having brand name of registered companies in Korea), 202 non-brand jewelry (relatively cheap jewelry produced by unknown manufactures) and 76 sewing materials were included. To detect nickel and cobalt, we used dimethylglyoxime (DMG) test and cobalt spot test, respectively. For quantitative study of nickel release, EN1811:1998 which is European standard method was conducted. Nickel release was shown for 47.8% of 471 tested items. The result of DMG test showed the positive rate of 12.4% on brand jewelry, 70.8% on non-brand jewelry and 76.3% on sewing materials. Among the jewelry and accessories, hairpins (85.7%) and belts (81.0%) showed high DMG positive rat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rand jewelry and non-brand jewelry, and remarkably high DMG positive rate was shown in items of street vendors. The quantitative study of nickel release showed the various result from under 0.1 µg/cm2/week to 88.4 µg/cm2/week, and showed that the false positive and the false negative rate of DMG test were 10% and 20%, respectively. The result of cobalt spot test on 471 items showed the positive rate of 6.2%, and the remarkable point was that all cobalt spot test positive items were also positive to DMG test. Relatively high cobalt spot test positive rates were observed in specific items such as hairpins (14.3%), belts (14.3) and sewing materials (14.5%). Our study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items releasing nickel and cobalt among jewelry and sewing materials was much high in Korea, especially in non-brand jewelry, belts, hairpins and sewing materials. Considering that these items are used from the early ages and can directly contact the skin, they may be the main cause of nickel and cobalt sensitizaion. Therefore, close and regular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especially on these items in regulation of metal relea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nickel and cobalt release in jewelry and sewing materials through the first large-scale market survey. This will create a basis for future study on nickel and cobalt, and also for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nickel regulation in Korea.

      • 종합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승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 광역시와 J도에 소재하는 100∼300병상 규모의 3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6개월 이상인 간호사 150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8월 12일부터 9월 02일 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감정노동은 Morris과 Feldman(1996)이 개발하고, 김민주(1998)가 번안하고, 정은선(2014)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감성지능은 Wong과 Law(2002)이 개발한 WLEIS(Wong Law Emotional Intalligence Scale) 측정도구를 김천석과 유태용(2005)이 번안하고 수정, 보완한 도구를 하였다. 그리고 소진은 Maslach과 Jackson(1981)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측정도구를 장은숙(1995)이 번안하고, 정혜연(2008)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41.3점, 감성지능은 49.5점, 소진은 67.0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연령(F=35.39, p<.001), 종교(t=-3.99, p<.001), 결혼(t=8.31, p<.001), 학력(t=-3.24, p<.01), 건강상태(F=3.26, p<.05), 직위(t=2.22, p<.05), 현 병원근무경력(F=9.25, p<.001), 총 근무경력(F=23.73, p<.001), 근무부서(t=3.50, p<.001), 근무형태(t=5.55, p<.001), 밤 근무일수 (t=-6.61, p<.001), 돌보는 환자 수(F=5.43, p<.005), 부서이동경험(t=-2.42, p<.05), 직업 만족도(F=29.00, p<.001), 향후근무 계획(F=38.7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소진은 감정노동(r=0.79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 계를 나타냈고, 감성지능(r=-0.789,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감성지능(β=-0.44, p<.001), 감정노동(β=0.40, p<.001), 현 직위는 책임간호사 이상이(β=-0.11, p<.05), 건강상태는 건강한 경우(β=-0.10, p<.05) 순이었다. 또한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통계량은 35.51(p<.001)으로 매우 유의 하였고, 설명력은 79.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직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감정노동이 낮을수록 소진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정노동을 줄이고 건강 및 감성지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소진을 낮추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