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pergillus nidulans에서 yakA 유전자의 기능분석

        임채호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63

        단백질인산화효소는 다양한 세포자극을 통한 인산화에 따라 여러 종류의 기질단백질을 인산화함으로써 그 기능을 제어하고, 대사, 전사, 세포골격 재구성, 세포운동, 세포자살, 분화 등 여러 가지 생체기능 제어에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성 모델 진균인 Aspergillus nidulans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처음 보고된 YAK1(yet another kinase) 유전자의 상동 유전자인 yakA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하고자 yakA 유전자가 제거된 결실 돌연변이 균주를 제조하여 그 형질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완전영양배지에서는 yakA 결실 돌연변이가 야생형에 비하여 80%정도 크기로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고 최소영양배지에서는 야생형의 70%정도의 크기로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야생형 균주는 성장하는 동안 많은 수의 무성포자를 생성하고, hülle cell 이나, cleistothecium이 정상적으로 형성 되었으나, yakA 결실 돌연변이는 무성포자의 생성이 정상적이지 못하였다. 무성포자의 수를 측정한 결과 야생형에 비하여 2.5-3.5%의 극히 낮은 수치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보아 무성분화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yakA 유전자의 유성분화 관련성을 확인해보고자 유성분화 유도조건인 5% CO 스트레스 조건에서 배양을 실시한 결과 유성분화가 전혀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yakA 유전자가 무성분화 뿐 아니라 유성분화과정에도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액체배양에서도 돌연변이 균주의 균사체 성장이 야생형에 비해서 느린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yakA 유전자는 A. nidulans에서 분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함께 성장조절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spergillus nidulans에서 yakA 유전자의 기능분석 임채호 제약공학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There are many kinds of protein kinase that can phosphate different protein and they can regulate the transcription, cytoskeleton remodeling, cell movement, differentiation and also related with other physiological function. There is one kind of them: yak1 (yet another kinase) was foun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In this study, the ortholog gene of yak1 was found in Aspergillus nidulans genomic DNA database which is named yakA, knock-out mutants were made via Double-joint PCR and transformation and conformed by enzyme cutting. After cultured deletion mutants in CM medium, there is a obviously difference of growth rate when compared them with the wild-type, and the growth rate is about 20% decreased, same result was also can be observed in the MM medium and the growth rate is about 30% decreased. While wild-type were found make the conidia, hülle cell and cleistothecium normally, the yakA deletion mutant can not make many conidia which is only 2.5%-3.5% when compared with wild-type, For checking whether yakA is related with sexual development, the deletion mutants were also cultured in 5% CO2 condition, and they were found can not do the sexual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yakA gene plays a important role in both asexual and sexual development. When the deletion mutants and wild-type were cultured in the liquid medium, the deletion mutants show that the growth of mycelia is slower than wild-type. In the summery, it is suggest that yakA gene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differentiation and also regulate the growth of A. nidulans.

      • Periodic surface waves in incompressible fluid over a bump

        임채호 고려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We study gravity surface waves of a fluid with finite depth with a small obstruction of compact support on the rigid boundary. By assuming that the fluid has large potential at far upstream, a time dependent K-dV equation with forcing term for surface wave is derived without using the constant condition at far upstream. Various types of new solutions are obtained and stability of the solutions are studied numerically

      •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의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임채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를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강섬유로 보강된 숏크리트의 강도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료는 무보강 숏크리트, 기존 후크형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와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이며, 이들 시료를 이용해서 강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은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이다. 실험결과를 통해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의 강도특성이 기존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에 비해 향상됨을 확인되었으며, 실험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론적 검토를 실시한 결과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로 보강할 경우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의 강도증진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 분산보정 지진해일 전파 수치모형의 정밀도 평가

        임채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진해일파는 풍파에 비해 파장이 매우 길어 장파로 간주되지만 조석에 비하면 파장이 짧아 상대적으로 분산성이 강하므로, 먼거리를 전파하는 경우에는 분산성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지진해일에 대한 수치모의는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하고 leap-frog 유한차분기법을 주로 적용한다. 이 기법은 격자간격을 적절히 선정하면 분산효과를 옳게 고려할 수 있으나, 수심이 변하는 경우 전 계산영역에서 분산효과를 모두 만족시킬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균일한 격자와 계산시간간격을 사용하면서도 수심이 완만하게 변하는 지형상을 전파하는 지진해일의 국부적인 분산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 기존의 2차원 완변수심상 분산보정 유한차분기법을 개선하고, 이 수치모형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1983년 Akita 지진해일과 1993년 Okushiri 지진해일에 대하여 검조기록이 있는 동해안의 속초, 묵호, 포항 그리고 울산항에 대하여 수치모의 하였다. 또한 1983년 및 1993년 지진해일에 대해 각 항만에서 측정된 검조기록과 수치모의에 의해 계산된 값을 비교‧분석하여 수치모형의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새로운 유한차분모형이 매우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wave lengths of tsunamis are much longer than those of wind generated waves and shorter than those of tides. Thus, the dispersion effects of tsunamis are relatively strong, and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in the numerical simulation of tsunami propagation for better accuracy. Most of finite difference numerical models for the simulation of tsunami propagation developed so far are based on the shallow-water equations which is frequently solved by the leap-frog scheme. If the grid size is properly selected, this numerical scheme gives a correct dispersion effect for constant water depth. However, if the water depth changes, the dispersion effect of tsunamis can not be accurately considered at every grid point in the whole computational domain. In this study we improved the existing two-dimensional dispersion-correction finite difference numerical scheme which satisfies the local dispersion relationships of tsunamis propagating over a slowly varying topography while using uniform grid size and time step. To verify the application of the improved numerical model, two historical tsunami events, 1983 Akita tsunami and 1993 Okushri tsunami, are simulated for harbors with the tide gage records, such as Sokcho, Mukho, Pohang and Ulsan in the East Sea. Numerical results of 1983 Akita Tsunami and 1993 Okushiri Tsunami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at each of the harbors, and we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present numerical model. As a result, the improved finite difference numerical model is verified to be reliable.

      • 강해설교에 대한 한 연구 : 산상수훈의 반대명제 본문(마5:21~48)을 중심으로

        임채호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경은 변함없이 “하나님의 말씀은 진리이다”(요17:17, 시119:16)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말의 뜻은 성경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성경은 시간과 공간, 언어와 시대, 역사와 환경 등에서 오늘날과 많은 괴리감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설교자가 오늘의 청중들에게 진리의 말씀을 올바르게 들려주며, 시대적인 간극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강해설교가 가장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다.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해 볼 때 “강해설교란 성경과 성경본문으로부터 출발하여 성경속의 사회적, 역사적, 관습적 상황을 고찰한 후 현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청중들에게 현재 적용가능하게 하는 설교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정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강해설교는 성경에 가장 충실한 설교이며, 청중들에게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설교이다. 현대 사회의 청중들은 학력수준과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성경에 관한 지적 수준 또한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도시에 있는 많은 교회들이 다양한 방법의 성경공부를 진행함에 따라 평신도들의 성경적 지식수준이 매우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설교자는 청중들에게 좀 더 깊이 있는 본문 연구를 통해 말씀의 깊이를 더해 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문에 대한 충실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하는데 강해설교의 본문연구의 여러 방법들은 성경본문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좋은 도구가 된다. 본 연구자는 강해설교의 정의와 필요성과 유익 등을 살펴봄과 동시에 강해설교의 본문연구 방법의 다섯 가지 방법을 제시함으로 본문연구에 있어서 어떠한 연구 방법이 이용되는지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강해설교의 본문 연구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산상수훈 반대명제(마 5:21~48)를 선택하였다. 예수는 “내가 율법을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율법을 완성하러 왔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말씀 속에 본문을 대하는 청중들은 당시 유대인들의 오랜 전통 속에 형성된 율법과 전면적으로 배치되는 예수의 가르침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한 의문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의문점을 강해설교의 본문연구방법 중 관찰적 요소, 문자적, 문법적, 역사적, 교리적 요소를 이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끝으로 산상수훈 반대 명제 중 제 1 반대명제에 해당하는 마태복음 5:21~26절을 가지고 강해설교 본문을 작성하여, 율법과 배치되는 예수의 가르침의 진정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강해설교 연구를 통해 강해설교는 설교자로 하여금 본문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가지게 함을 깨닫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청중들로 하여금 성경 기록당시의 시대를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현재의 상황 속에서 과거를 볼 수 있는 신앙적 안목을 열어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계속적인 강해설교의 연구와 선포는 청중으로 하여금 성숙하고 건강한 그리스도인으로 나아가도록 만들 것이며, 교회성장을 이루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 기상증착방법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임채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휴대기기의 보편화, 다양화 및 에너지 절감, 환경 보전의 필요성에 따라 이차 전지가 매우 중요한 국가적인 전략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소형 휴대 기기 시장은 리튬 이온 전지가 주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능 향상에 따라 하이브리드 카(HEV), 전기 자동차(EV) 등 중대형 전지 시장도 주도하게 될 것이다. 향후 기술 발전은 음극 및 양극 재료의 고용량화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용량이 증가할 것이며 Ni-Cd 전지나 Ni-MH전지와의 용량 격차는 더욱 벌어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리튬 이온 전지의 양극에는 LiCoO2, 음극에는 흑연 등 탄소가 주로 사용된다. 카본재료는 낮은 가격과 안정성이 좋다는 점 외에도 많은 장점이 있지만 이론적 용량이 372 mAh/g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고용량화를 요구하는 현재의 추세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카본계 음극 소재를 대체하는 물질을 찾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그 중 리튬과 합금화 반응을 하는 소재를 이용한 음극 소재는 에너지 밀도가 커서 고용량화에 대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을 보이고 있지만 충전과 방전과정이 반복되면서 전극이 큰 부피 변화를 수반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이 급격히 열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열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복합 소재를 이용하여 열화를 억제하기 위한 연구로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금계 중 이론적 한계 용량이 가장 높은 비정질 실리콘을 주된 활물질로 이용하고, 비정질 실리콘의 부피 팽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완충(buffer material)재를 선택하여 교대 증착을 통해 다층구조(multilayer)의 전극을 형성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의 급격한 열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에 많은 연구에서 부피 팽창에 대한 열화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완충재로 리튬과 반응하지 않는 비활물질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다층구조 전극의 경우 전극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면 비활물질은 리튬 이온의 확산을 방해하여 전극 물질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을하게 된다. 이에 실리콘의 완충재로 리튬과 화학적 반응을 하는 활물질을 선택하여, 교대 증착하여 형성 된 다층구조 전극을 통해 실리콘의 부피 팽창으로 인한 열화 현상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완충재의 역할을 수행할 물질을 선정하여 물리적 기상증착법(PVD)법으로 실리콘과 교대 증착을 통해 다층구조 전극을 형성하여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층구조 안에서 층간 활물질과 활물질의 두께의 비, 층 수 등의 변수가 다층구조 전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실리콘-저마늄 다층 구조 전극이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물질로써 사용 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Lithium alloys, e.g. LixM (M = Sn, Si, Ge, Al, etc) offer a large increase in both volumetric and gravimetric capacity due to high lithium packing density and safe thermodynamic potentials compared with carbonaceous materials like graphite. Especially, Si is a noticeable material as a new anode material for Li-ion batteries, and its theoretical capacity is as high as 4200 mAhr/g. However, Si anodes undergo pulverization because of the very large volume change during lithium ion insertion and extraction, therefore, the capacity rapidly drops down. Although many research have been done on Si based anode materials,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nhance the cyclic abilities of electrodes. Moreover, electrodes manufactured by the deposition method have the problem of being thickened. In this study, electrodes were manufactured by using the vapor deposition method, and they doesn’t use any undesired materials such as a binder, a conductive additive, to observe the only active material’s characteristics. The Si and Ge electrodes were deposited by RF/DC magnetron sputter, and each electrode consists of those two elements. Silicon and germanium were deposited with alternating, and stacked one by one up to two hundred Si and Ge layers.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ed electrode was fixed, and only the number of layers was changed. A Si/Ge multi-layer was deposited sequentially with a fixed periodicity and the desired thickness by using RF/DC magnetron sputtering with a multi-target system. The chamber was evacuated down to 4.0ⅹ10^(-6)torr as a base pressure, and a working pressure of 5ⅹ10^(-3)3torr was maintained with argon gas. The thickness of each layer was monitored by using the deposition time. The multi-layered electrodes were deposited with a thickness of about 1.3μm. The films were deposited on electrolytic Cu foil (about 18μm thickness) having a value of 0.5μm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The rough substrate surface is able to retain a thick film. Consequently, a notable increase in adhesion will decrease the electrical resistance and, thus, results in an improved cyclic performance. The mass of Si was analyzed by using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 and the amount of deposited Ge was calculated assuming a density of 5.32g/cm³ for the Ge thin film, indicating dense film.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the multi-layers was primarily conducted by using X-ray diffractometer (RINT 2000, RIGAKU) with C_(uK) radiation and Raman spectroscopy. Also, the morphologies of the specimens were observed using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with a typical coin-type cell (CR2032,Hohsen Co. Ltd, Japan). Si-Ge bondings in the interface were analyzed by using EXAFS (PLS 3-C1, Korea) and multi-layer effects are observed. The cell consisted of deposited film / porous polyethylene film / lithium metal as a working electrode / separator / counter electrode, respectively. The electrolyte was a 1:1 v/v mixture of ethylene carbonate (EC) and diethyl carbonate (DEC) containing 1-M LiPF6 (Merck). The cell was assembled and sealed in an argon-filled dry box. The charge-discharg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with a cycle tester (WBCS 3000, wonatech) and carried out between a potential of 0.01 and 1.2 V. Insertion of Li-ion into the electrode was referred to as charge, and extraction was referred to as discharge. Active materials were deposited on an electrodeposited copper foil which had many mountainous irregularities on the film’s surface.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active material deposited film also had a rough morphology similar to its substrate. This rough surface of the copper foil increases the adhesion force of the deposited film and copper foil. After 1~2 cycles of the charging/discharging test, cracks were formed, by Cu current collector’s integrity. Morphology changes and cyclic abilities of typical multilayered electrodes were investigated. Deposited electrodes were proved by XRD, RAMAN, SEM, and TEM. The Si/Ge multi-layered electrode maintained greater than 80 % of the initial capacity after 75 cycles.

      • 중정극장(中庭劇場)의 무대 공간 활용 비교 연구 : 자유소극장, 도프만 극장, 더 피트 사례를 바탕으로

        임채호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lative to the unit of area, there is a high density of theatres in Korea, concentrated in and around the capital area. A majority of these theatres is furnished with an end stage, with the audience on a single side of the performance area, as is evidenced in the case of the 23 new theatres in Daehak-ro founded post 2010 housing an end stage or a proscenium stage. Research into the diversity of theatre styles in Korea found that theatre styles alternate to the end stage or proscenium stage constituted only a small number. In the process, Jayu Theatre housed in Seoul Art Center became the focus of this study, in recognition of the theatre’s a highly mobile performance area that can be used as a traditional single sided end stage, three-sided thrust stage, arena stage (theatre in the round), long traverse stage and promenade stage. Although Jayu is a courtyard theatre with high versatility most performances utilized the space as an end stage, implying the end stage is a stylistic preference for theatre performances rather than that of the performance space provider. In light of this, this researcher hypothesized the overwhelming popularity of end stages is a result of user predilection. The expansion of data acquisition of Jayu Theatre’s spatial usage to include performance photographs, stage plans/sketches, seating arrangements and other visual information followed by analysis confirmed the user penchant for end stages. To understand whether this was an isolated trend limited to Korea, further research into international courtyard theatres in the West and East – Dorfman Theatre housed in the Royal National Theatre in United Kingdom and The Pit housed in the New National Theatre in Japan respectively – was conducted for a comparative study. Data for each of the theatres was collected in identical fashion to Jayu Theatre. In case of Jayu Theatre, 117 out of 122 performances (95.9%) used the space as an end stage, while 61 of 85 performances (71.76%) at The Pit and 224 of 404 performances (55%) at Dorfman used the space as an end stage. Objective comparative case analysis of the three theatres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performance space users prompted the biased preference for end stages in Korea. An investigation into the cause for Korea’s evident preference for end stages found three possible contributing causes. The first is attributed to how plays as a form of performance art were introduced to Korea. In contrast to Meiji Japan’s traditional plays, melodrama (sinpageuk) developed in Korea. Early1900’s influx of western plays marks the modernization of plays, resulting in contemporary plays performed on end stages without further evolution or transformation since. Given that most stages founded during this time were prosceniums, no notable attempts of diverse use of performance area were made. The second is the lack of diversity in delivery with plays and musicals as mainstream theatre performances. Both genres focus on acoustic experience through the actors’ songs or lines rather than spatial and visual experience, showing little variance from the initial introduction of modern theatre in the early 1900’s. Naturally, the preservation and prevalence of song and line centric performance style over a century limited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performance and delivery styles. The third and final reason points to limitations of higher education in performance arts at the university level. As of 2019, around 80 four year universities offer performance arts studies with the highest number of students graduating with a degree in acting. Although a handful of schools offer programs concentrating on technical theatre, the numbers are insignificant. Because most teaching staff at these performance arts programs specialize in acting, classes center around producing actors. In other words, most performance arts majors at universities focus on the effective presentation of actors, fortifying the existing face-to-face style in the utilization of performance area. The fact that most theatres housed in universities are end stages farther proves this trend. 우리나라는 면적 대비 많은 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는데 특히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밀집되어 있다. 주목할 점은 공연장 대부분이 객석과 무대가 한 면만 접한 끝무대(end stage)로 편향된 것인데, 실제로 대학로에서만 2010년 이후 개관한 극장 약 23곳이 끝무대, 프로시니엄(proscenium) 형식이다. 끝무대가 주류인 추세에 반하는 극장을 조사했지만 소수에 불과함을 확인했으며 이 과정에서 객석과 무대가 접하는 면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횡단무대(long traverse), 돌출무대(trust stage), 원형무대(arena), 산책무대(promenade)가 가능한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 주목했다. 자유소극장은 중정극장(中庭劇場, courtyard theatre)으로 공간변형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무대에 오른 대부분 공연이 끝무대 형태임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극장 공급자가 끝무대 극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극장 사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끝무대 편향성이 만들어졌다는 가설을 세웠다.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자유소극장 공간 활용 사례 수집범위를 넓히고 공연사진, 도면, 스케치, 좌석배치도와 같은 시각적 자료를 분석하여 더 명확하게 끝무대로 편향된 흐름을 확인했다. 더 나아가 이런 흐름이 우리나라에 국한된 추세인지 확인하고자 자유소극장과 유사한 해외의 서양, 동양 중정극장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했다. 서양의 사례는 영국 국립극장(Royal National Theatre)의 도프만 극장(Dorfman Theatre), 동양의 사례는 일본 신국립극장(New National Theatre, Tokyo)의 더 피트(The Pit)를 선정했고 자유소극장과 유사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그 결과 자유소극장의 경우 수집한 122편 중 끝무대 공연 117편(95.9%), 더 피트 85편 중 끝무대 공연 61편(71.76%), 도프만 극장 404편 중 끝무대 공연이 224편(55%)임을 확인했다. 객관적인 비교과정을 통해 극장 사용자에 의한 끝무대 편향성 발생을 증명했다. 더 나아가 국내 편향성 원인에 대해 고찰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몇 가지 가설을 세웠는데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연극이라는 공연예술이 우리나라에 유입된 경위에 따른 것이다. 메이지 이후 일본에선 전통극과 신파극이 대립하는 와중에 서양 연극을 받아들여 근대극운동이 일어났다. 이것이 우리나라로 유입되어 연극이 정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끝무대로 정형화된 형태를 별다른 발전과정 없이 받아들였고 당시 공연장 대부분은 프로시니엄 극장이었으므로 실험적인 공간 활용시도는 미미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두 번째는 연극, 뮤지컬이 주류를 이뤄 극을 전달하는 방식이 다양하지 못함에 따른 것이다. 연극과 뮤지컬은 공감각, 시각적 체험중심 공연 보다 대사와 노래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청각 중심 공연인데, 이런 형태는 1900년대 초반 국내로 유입된 초창기 연극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즉, 대사와 노래 중심의 초기 연극 형태가 큰 변화 없이 현재까지 주류를 이루고 극을 표현, 전달하는 방식은 편향되어 실험적 시도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 세 번째는 공연예술을 가르치는 대학 교육과정의 한계를 꼽을 수 있다. 2019년 기준 4년제 대학 중 공연예술을 가르치는 학교는 약 80곳이 있는데 이들이 배출하는 졸업생의 가장 큰 비율은 연기 전공이다. 일부 학교에서는 스태프를 위한 전문기술 과정이 존재하지만, 그 비율은 미미하며 학과 교수진 대부분이 연기자 또는 연출가 출신이므로 배우양성을 목적으로 한 교육과 배우 중심 공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연기 위주 교육은 연기를 가장 잘 보여주기 위한 공연을 지향하게 되고, 이를 위해 관객과 배우가 마주 보는 끝무대 형태로 귀결되는 것은 자연스러워 보인다. 게다가 대부분 학교 소속 극장이 끝무대 형태라는 것 또한, 이런 흐름의 방증으로 볼 수 있다.

      • 慶尙南道 財政危機 事例 硏究 : 2004~2013

        임채호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동안의 재무상태 추세분석을 통해 2012년 후반기의 경상남도 재정위기 사례를 연구했다. 경상남도 사례는 지방정부의 재정위기에 개입하는 미국 주 정부 제도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미국의 주는 연방 헌법에 따라 지방정부와의 관계에서 한국의 중앙정부와 같은 위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50개 주가 주체가 되어 지방정부의 재정위기에 개입하는 제도를 200여 년의 역사를 두고 다양하게 발전시켰다. 이에 비해 한국은 2012년과 2016년부터 각각 지방재정위기 사전경보시스템과 긴급재정관리제도를 시행하는 등 지방재정위기 관리의 역사가 비교적 짧다. 따라서 오랜 역사에 걸쳐 다양하게 발전한 미국 주 정부 제도의 관점에서 경상남도 재정위기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는 두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했다. 먼저 이론 및 제도적 기초로서 미국 주정부의 제도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위기관리제도를 예방 제도, 예측 확인 제도, 그리고 완화 제도가 반복되는 순환과정으로 인식하고 미국 주 정부의 다양한 제도를 이들 3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이것은 Beth W. Honadle이 지방정부의 재정위기에 대응하는 주의 역할을 위기 진행단계별로 예측, 회피, 완화 및 재발방지의 4개 모형으로 구분한 것을 수정해서 적용한 것이다. 다음은 경상남도 재정위기 사례를 세 개의 연구문제를 통해 분석했다. 첫째, 한국의 사전경보시스템과 미국의 지방재정위기 확인시스템을 적용해서 2012년 후반기 경상남도의 재무상태가 재정위기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했다. 이와 함께 양국 시스템의 상대적 오류 가능성을 재정위기 판단지표 및 수준의 차이와 지방정부의 재원 통제력에 기반을 둔 재정위기 대응능력을 기준으로 평가했다. 미국의 시스템으로는 정부관계자문위원회(ACIR)의 6개 조기경보 신호와 지방재정위기 선언조건을 법률로써 규정해 놓은 15개 주의 시스템을 사용했다. 둘째, 경상남도의 재무상태가 재정위기 또는 재정위기로 인식되는 상황에 이르게 된 원인을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결합한 종합적 방식으로 분석했다. 양적 분석은 먼저 세입, 세출, 재정수지 및 채무잔액의 내부 재정구조 4개 부문에서 18개 분석요소를 도출했다. 그리고 이들 분석요소가 개별적으로, 또는 개별 지출 유형이나 관리 영역에 귀속되는 분석요소 집단별로 지방재정위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단순증가율과 누적증가율, 균형 단순 및 누적증가율, 균형 단순 및 누적증가율 이격도, 누적증가액 및 누적증가분담률 개념을 개발하여 분석 도구로 사용했다. 질적 분석은 양적 분석의 해석상 오류를 줄이기 위해 재정 및 정치환경에서 10개 요소를 선정하여 이들이 직접 또는 내부 재정구조를 통해 재정위기 발생에 미친 영향을 연구자의 경험 및 판단을 통해 보완적으로 분석했다. 셋째, 미국 주 정부의 제도를 경상남도에 적용했다고 가정하고, 기대효과와 실제 운용 가능성을 분석했다. 예방 제도 중에서는 수량적 통제 제도인 균형예산원칙과 지출 한도 제도를 장기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질적 예방 제도 중에서는 자본예산제도와 예산안정기금의 기대효과와 운용 가능성을 분석했다. 완화 제도는 2012년 후반기에 경상남도 도지사권한대행이 재정구조조정을 추진한 것을 한국 긴급재정관리제도의 긴급재정관리인 또는 미국 지방정부 수권관리제도의 수권관리인 지위에서 추진했다고 가정하고 그 효과를 분석했다. 측정 및 확인 제도의 효과 및 운용 가능성은 첫 번째 연구문제를 통해 경상남도가 재정위기에 빠졌었는지를 양국 시스템을 적용하여 확인하고, 상대적인 오류 가능성을 평가한 것으로 갈음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