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對 ASEAN 수출 결정요인 분석

        이화연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paper analyzes the ASEAN exports, which recently increased in importance as a trade partner focusing on the impact of competitor’s exchange rate. For the convenience of analysis, we conduct the empirical study in the case of ASEAN major 6 countries (Malaysia, Vietnam , Singapore, Indonesia, Thailand, Philippines) which account for over 97% of Korean exports to ASEAN. Using data of ‘real export', 'real GDP', 'real exchange rate' and competitor’s real exchange rate', we conduct three co-integration regression analysis, FMOLS, CCR, DO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al GDP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real exports in the case of all the ASEAN major countries. And real exchange rate between the won and Philippines peso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real exports. But real exchange rates between won and other ASEAN major 5 countries hav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real exports. The estimation results of Competitor’s real exchange rates, renminbi and Yen, appear differently by country. In the case of Singapore, renminbi and Ye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s on the real exports. And in the Philippines, renminbi and Ye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real exports. Finally, In the case of Vietnam only Ye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real exports. Estimation results are different from our expecta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view of economics. One of the reasons is that trade of intermediate goods for final goods production increased. Such a trend is more pronounced in East Asia countries with low production costs and Geographical proximity. Because the composition of trade items differs from each other and the portion of imported intermediate goods is also different from each items, the estimation result appear differently by country. 본 논문은 한국의 對 ASEAN 수출을 경쟁국 환율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편의상 한국의 ASEAN 수출의 97%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의 6국가를 주요국가로 정하고 이들 개별 국가의 실질수출, 실질GDP, 실질환율 그리고 경쟁국의 실질환율 자료를 활용하여 FMOLS, CCR 그리고 DOLS의 공적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대상국가에서 실질GDP의 증가하면, 실질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 ASEAN 주요 국가 간 실질환율의 상승(원화의 평가절하)은 필리핀의 경우에만 실질수출의 증가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다섯 국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경쟁국의 실질환율인 위안화와 엔화의 영향은 국가별로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먼저 싱가포르의 경우 위안화 및 엔화의 상승(위안화 및 엔화의 평가절하)은 한국의 對 싱가포르 실질수출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리핀의 경우 위안화 및 엔화의 상승(위안화 및 엔화의 평가절하)이 한국의 對 필리핀 실질수출의 증가를 가져오며, 베트남의 경우에는 엔화의 상승(엔화의 평가절하)이 한국의 對 베트남 실질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환율의 영향이 경제학의 전통적인 견해와 다르게 나타난 것은 최종재 생산을 위한 중간재의 교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환율에 대한 영향이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특히 지리적으로 근접하며, 임금 등의 생산비가 저렴한 동아시아 국가 내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국가별로 환율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것은 주요 무역 품목의 구성이 다소 상이하며 품목별로 수입 중간재의 투입 비중도 다른 것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 이동 통신 단말에서 전송속도를 고려한 QoS 재요청

        이화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1xEV-DO (Evolution-DataOnly) Revision A 상용 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단말에서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대역폭(bandwidth)을 QoS(Quality of Service) 협상을 통해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동적으로 변화하는 무선 환경이 악화된 상황에서는 QoS 협상된 일정한 대역폭을 망에서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단말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높은 전송 속도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QoS 협상된 비트율로 만들어진 대용량 데이터를 단말 물리 계층에서 높은 전송 속도로 전송 할 수 없는 경우 이는 데이터 전송 실패로 인한 패킷 손실을 발생시키고,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품질 저하와 예약된 무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망 상황에 따라 단말에서 능동적으로 QoS 요청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단말의 물리적 상황을 연동하여 QoS를 재요청함으로써, 단말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대용량 데이터의 인코딩 비트율을 낮추어 단말 물리 계층에서의 데이터 패킷 손실을 감소시키고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자 한다. 상용 시스템에서 무선 망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QoS 서비스는 제한된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사용자들에게 좋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xEV-DO (Evolution-DataOnly) Revision A system offers high-speed data service through QoS (Quality of Service) negotiation. This high data rate capability of 1xEV-DO Revision A enables delivery of high-capacity data transmission in conjunction with the multimedia service. But in wireless network situation under bad traffic conditions, it can occur that mobile device can not transmit high-capacity data at high-speed data rate even if support QoS negotiated a fixed bandwidth in network. If high-capacity multimedia data which is created with QoS negotiated encoding bit-rate can not be transmitted in a physical layer of a mobile device at high-speed data rate, this will generate packet loss by data transmission failure, and will cause quality deterioration of multimedia service. And It will generate waste of wireless resource of multimedia services.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change QoS request spontaneously in mobile device according to wireless network situation. It request QoS again by reflecting physical situation of mobile device (with RRI value) so that encoding bit-rate of the multimedia data that wish to transmit can reduce. This QoS request can reduce data packet loss and damage in physical layer of mobile device and improve quality of multimedia service. QoS service that can correspond spontaneously in wireless network situation at common use system can offer more users service of good quality as well as they can use limited wireless resource more efficiently.

      • 유희적 감성의 이미지 맵핑을 통한 디자인 마케팅 활용에 관한 연구 : 집단 간 감성 인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oday, the world at large is paying attention to the human emotions. Since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of technologies and services among companies, the actual purchasing decision element is the emotion of the consumer. Among the several emotions we human feel, the amusing emotion is the satisfaction for the human basic desires and one of the motive powers we are living. As the world is complicated, people like more pleasure and fun instead of serious things. And this basic desires for the fun becomes the keyword of the purchasing and marketing. Amusing emotion consists of tension, pleasure, and fun, but the amusing emotion in this thesis is the same one with fun, the complex pleasure. Fun emotion is today's tendency, and is utilized as the fun marketing, fun design, fun advertising or fun management. To have a positive result by using fun emotion,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at the fun emotion is and how the age groups recognize it different. Thus, this thesis finds out the image map of the fun emotion throughout some experiments and researches. By studying literatures, here finds out the emotions, studying areas about the emo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amusing emotions, with surveys, asks people what the fun emotions feel like in adjectives, and understands the differences of fun emotional image maps among age, gender, design professionals and general people. This thesis is significant since it finds out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or age groups for the negative feelings about fun emotion, concludes that we need to divide the age group and approach to them with each proper emotional code, and presents one way to utilize this fun emotion in the marketing, design and advertisement. 지속적인 신기술의 등장과 정보화에 따른 경제 발전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기술 수준이 평이해 짐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에 있어 최종 결정 요인이 바로 감성에 있다고 보여 진다. 인간이 느끼는 여러 감성들 중 유희적 감성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에 대한 충족이며 살아가는 원동력 중 하나이다. 또한 사회가 날로 복잡해지면서 무겁고 심각한 것 대신 즐거움과 재미로서 웃음을 추구하려는 성향이 짙어지고 있다. 기본적 욕구와 사회의 반영으로 오늘날 유희적 감성은 소비자의 마음을 얻는 핫 키워드로 부각되게 되었다. 유희적 감성은 긴장, 쾌락, 재미 등의 요소로 구분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희적 감성의 본질은 복합 재미감성의 'fun’ 감성과 동일하다고 보았다. ‘fun' 감성은 이미 사회적 코드가 되어 fun 마케팅, fun 디자인, fun 광고 , fun 경영 등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지만 ‘fun' 감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fun 감성 활용한 제품의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보다 긍정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fun 감성이란 어떤 것이며, 성별, 연령별 등의 집단 간의 fun에 대한 인식의 차이 비교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fun 감성의 이미지 맵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fun 감성이 사람들에게 어떠한 느낌인지에 대하여 fun 감성 관련 형용사와 상관성 정도를 통하여 이미지 맵을 알아보고, 성별, 연령대별, 디자인 전문집단과 일반인집단의 비교를 통해 집단 간의 fun 감성 이미지 맵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하여 감성의 본질적 영역과 감성 활용의 학문적 영역, 그리고 유희적 감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들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고,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fun 감성 대한 실험 연구를 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12.0 version 을 사용하여 신뢰성과 내부 항목의 관계성을 알아보고, 항목에 대한 집단 평균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fun’ 감성은 형용사 ‘신나는’ 과 가장 흡사한 느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 fun 감성을 ‘속성’ 관련 감성과 ‘형태’ 관련 감성 중 어느 쪽에 상관성이 높은지를 비교해본 결과 ‘신나는, 재미있는, 즐거운, 유쾌한 ’ 등의 ‘속성’ 관련 형용사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fun 감성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 맵은 부정적 느낌과의 상관성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사례를 비롯한 전체 분석 결과, 여성에 비하여 남성이 부정적 느낌을 갖는 형용사와 fun 감성과의 상관정도를 높게 평가한다는 점이 나타났다. 넷째 , fun 감성에 대한 이미지 맵의 연령대별 비교에 있어 전체적으로 10대와 40대 이상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제품사례 비교에 있어서는 20대와 30대의 이미지맵은 크게 차이가 없으며, 광고사례 비교에 있어서는 10대와 20대가 비교적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fun 감성에 대한 이미지 맵의 디자인 전문집단과 일반인과의 비교에서는 전체적으로 상관성의 정도 차이만 근소하게 나타나고 비교적 이미지 맵의 형태적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종합해 보면, ‘fun'감성은 신나고, 즐겁고, 재미있는 느낌으로 다수의 사람들에게 이미지 맵핑되어 있으며 이미지 맵 속에서 사람들은 신나는 느낌과 즐거운 느낌을 매우 유사하게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집단 간 비교를 통하여 남성이 fun 감성에 대한 부정적 느낌이 강하다는 것을 알아냈고, 연령대 간의 차이가 나타나므로, fun 감성 활용에서 타겟 설정 및 전략 수립에 있어 연령대별 구분과 연령대에 맞는 적합한 감성 코드로의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마케팅과 디자인, 광고 등 다양한 분야의 fun 감성 활용에 있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군 간부 자살생존자의 애도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 어려움 및 도움 요인

        이화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군 간부 자살생존자가 동료의 자살 이후 애도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을 식별하였다. 이를 위해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군 간부 자살생존자 9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시행하였고, 진술 내용을 기초로 어려움 요인과 관련된 89개의 핵심 문장과 도움 요인과 관련된 58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이 문장들은 연구 참여자들에 의해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것끼리 분류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념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군 간부 자살생존자의 애도 경험에서 어려움 요인은 ‘외부 자극 및 내부 반응’ 축과 ‘개인 및 군 시스템’ 축의 2차원으로 구성되었고, 군집은 총 4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은 ‘자살 사고 조사과정에서의 심리적 고통’, ‘군 조직의 미흡한 자살 사후 대응’, ‘동료의 자살에 관한 후회와 죄책감’, ‘마주하기 힘든 동료의 흔적’으로 명명되었다. 군 간부 자살생존자의 애도 경험의 어려움에 대처하는 도움 요인은 ‘군 조직 내 및 군 조직 외’ 축과 ‘일상 회복 지향 및 상실의 수용’ 축의 2차원으로 구성되었고 군집은 총 4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은 ‘사회적 지지(군 조직 내)’, ‘사회적 지지(군 조직 외, 지인 및 친구)’, ‘사회적 지지(군 조직 외, 가족 및 자신)’, ‘일상 및 현재에 집중’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군 내 자살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군 간부의 애도 경험에 주목하여, 동료의 자살을 경험한 군 간부가 애도 과정에서 갖게 되는 어려움과 도움 요인의 구조적 특성과 기저차원을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Thisstudyusedtheconcept-mappingapproachtoidentifythehelpfulfactors andhinderingfactorsexperiencedbymilitaryexecutivesuicidesurvivorsinthe processofbereavementafterthesuicideoftheircolleagues.Ninemilitary executiveswereinterviewedfromwhich89corestatementsrelatedtothe hinderingfactorsand58corestatementsrelatedtothehelpfulfactorswere extracted.Thesecorestatementsweresortedbytheparticipantswithsimilar meanings,andbasedonthesedata,amultidimensionalscalingmethodand hierarchicalclusteranalysiswereconducted. Afterperformingtheanalyses,thehinderingfactorsofthemilitaryexecutive suicidesurvivorsconsistedoftwodimensions:‘externalstimuliandinternal response.’and‘individualandmilitarysystem’.Fromthesetwodimensionsfour hinderingfactorclustersemerged:(a)psychologicaldistressduringsuicideinvestigations, (b) military organizatio’s inadequate post-suicide response, (c) regret and guilt about a colleague’s suicide, and (d) traces of colleagues that are hard to face. For the helpful factors, the dimensions consisted of ‘within and outside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and ‘focus on recovering daily routine and acceptance of loss’. The clusters for the helpful factors were: (a) social support (within the military organization), (b) social support(outside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acquaintances and friends), (c) social support(outside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family and self) and (d) focusing on the daily tasks in the present moment.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explored and describ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fundamental dimensions of the hindering and helpful factors of the military executive suicide survivors’ bereavement following their colleague’s suicide.

      • 통영 영운리 연안의 해조상

        이화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1년 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통영시 산양읍 영운리 연안의 해조군집에 대한 연중 생물계절학적 변화를 매월 line transect에 따라 방형구법으로 조사하였다. 출현 종수는 총 106종으로, 녹조류(Chlorophyta) 14종, 갈조류(Phaeophyta) 29종, 홍조류(Rhodophyta) 63종으로 나타났다. 그 중 36종은 연중 출현하였다; 녹조류에서는 청각(Codium fragile), 잎파래(Ulva linza), 구멍갈파래(U. pertusa), 갈조류에는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가시뼈대그물말(Dictyopteris prolifera), 곰피(Ecklonia stolonifera), 패(Ishige okamurae), 외톨개모자반(Myagropsis myagroides), 톳(Sargassum fusiforme), 괭생이모자반(S. horneri), 지충이(S. thunbergii), 홍조류에는 잔금분홍잎(Acrosorium polyneurum), 누운분홍잎(A. yendoi), 부챗살(Ahnfeltiopsis flabelliformis), 넓은게발(Amphiroa anceps), 에페드라게발(A. ephedraea), 볏붉은잎(Callophyllis japonica), 참사슬풀(Champia parvula), 개서실(Chondria crassicaulis), 진두발(Chondrus ocellatus),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애기돌가사리(Gigartina intermedia), 돌가사리(G. tenella), 잎꼬시래기(Gracilaria textorii), 참까막살(Grateloupia affinis), 참도박(G. elliptica), 참지누아리(G. filicina), 미끌도박(G. turuturu), 참가시우무(Hypnea charoides),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애기마디잘록이(L. hakodatensis), 참곱슬이(Plocamium telfairiae), 모로우붉은실(Polysiphonia morrowii), 개무우(Pterocladia capillacea), 참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가 출현하였다. 최대 현존량은 894.4 g/㎡로 12월에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최소값은 364.5 g/㎡로 1월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상대피도와 상대빈도로부터 얻은 연중 출현한 우점종의 중요도값은 구멍갈파래가 45.0, 지충이가 44.5로 나타났다. 성숙개체가 출현한 홍조류에는 잔금분홍잎, 누운분홍잎, 부챗살, 굵은석묵(Campylaephora crassa), 참까막살, 참사슬풀, 개서실, 진두발, 누른끈적이(Chrysymenia wrightii), 우뭇가사리, 돌가사리, 잎꼬시래기(Gracilaria textorii), 참도박, 미끌도박, 각시잇바디가지(Herpochondria elegans), 반달타래(Leveillea jungermannioides), 마디잘록이, 애기마디잘록이, 쐐기꼴도박(Pachymeniopsis yendoi), 모로우붉은실, 왜잎송진내(Portieria japonicus), 두갈래분홍치(Rhodymenia intricata), 넓은보라색우무(Symphyocladia marchantioides)였다. 출현종의 R/P값과 (R+C)/P값은 각각 2.17과 2.66이었다. 따라서, 통영 영운리 연안의 해조상은 전형적인 온대계 해조상이라 볼 수 있다. The phenology of a marine algal community at Yeongunri, Tongyeong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s investigated monthly by quadrat method along the line transect from February 2011 to January 2012. The numbers of species appeared were 106 species in total, including 14, 29 and 63 species of Chlorophyta, Phaeophyta and Rhodophyta, respectively. Among these species, 36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i. e. Chlorophyta: Codium fragile, Ulva linza, U. pertusa, Phaeophyta: Colpomenia sinuosa, Dictyopteris prolifera, Ecklonia stolonifera, Ishige okamurae, Myagropsis myagroides, Sargassum fusiforme, S. horneri, S. thunbergii, Rhodophyta: Acrosorium polyneurum, A. yendoi,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Amphiroa anceps, A. ephedraea, Callophyllis japonica, Champia parvula, Chondria crassicaulis, Chondrus ocellatus, Corallina pilulifera, Gelidium amansii, Gigartina intermedia, Gigartina tenella, Gracilaria textorii, Grateloupia affinis, G. elliptica, G. filicina, G. turuturu, Hypnea charoides, Lomentaria catenata, L. hakodatensis, Plocamium telfairiae, Polysiphonia morrowii, Pterocladia capillacea, Symphyocladia latiuscula. Maximum standing crop was recorded at December as 894.4 g/㎡, whereas minimum value was observed at January as 364.5 g/㎡. Year-round occurrence of dominant species of important value obtained from relative coverage (RC) and relative frequency (RF) was Ulva pertusa 45.0 and Sargassum thunbergii 44.5 was showed in sampling site. The red algal species with reproductive organs are Acrosorium polyneurum, A. yendoi,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Campylaephora crassa, Carpopeltis affinis, Champia parvula, Chondria crassicaulis, Chondrus ocellatus, Chrysymenia wrightii, Gelidium amansii, Gigartina tenella, Gracilaria textorii, Grateloipia elliptica, G. turuturu, Herpochondria elegans, Leveillea jungermannioides, Lomentaria catenata, L. hakodatensis, Pachymeniopsis yendoi, Polysiphonia morrowii, Portieria japonicus, Rhodymenia intricata, Symphyocladia marchantioides. The value of R/P and (R+C)/P of appeared species was 2.17 and 2.66, respectively. Therefore benthic marine algal flora at Yeongunri, Tongyeong was typical temperate-type.

      • 초등학생의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에 관한 의사결정에 나타난 추론 유형과 자료에 대한 반응 특성

        이화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이하 SSI)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나타난 비형식 추론의 유형과 자신의 입장과 상반된 자료에 대한 반응 특성을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의사결정력 함양을 위한 과학 교육에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Walton(1996)의 논증활동 유형(argumentation schemes)을 분석틀로 하여 학생들의 비형식 추론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자신의 입장과 상반된 자료에 대한 반응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2명이었고, 의사결정을 위한 설문지 작성과 쟁점에 관한 찬반 논쟁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도입한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은 ‘방사능 오염수’와 ‘동물실험’이다. 또한 찬반 논쟁 중 자신의 입장과 상반된 자료에 대한 반응 응답지를 작성하였으며, 이후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별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찬반논쟁과 설문지에 나타난 논증유형을 분석한 결과, 총 10가지의 논증 유형이 나왔으며 그 중 7개가 주로 사용되었다. 학생들은 SSI 찬반논쟁을 할 때 알고 있는 입장기반 논증, 전문가 의견기반 논증을 사용하여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상관관계에서 원인 추론 논증, 원인의 결과 추론 논증, 결과기반 추론 논증 등을 사용하며 쟁점의 인과관계를 추론해내기도 하였으며, 헌신 기반 논증, 편견 기반 논증도 사용하였다. 윤리적인 가치가 깊게 관련된 동물실험 주제는 방사능 주제에 비해 헌신기반 논증유형을 많이 사용하였다고 과학 지식적 측면이 많이 관련된 방사능 쟁점에서는 대중매체나 전문가의 의견에 의존하는 경향이 보였다. 둘째, 자신의 입장과 상반된 자료에 대해 절반가량의 경우 자료의 타당성을 수용하였다. 학생들은 권위에 의해 수용하거나, 자료의 경험적 증거로 인해 타당성을 수용하였다. 혹은 이유를 대지 않고 무조건 타당성을 수용한 학생도 있었다. 자신의 입장과 상반된 전문가 의견의 타당성을 거절한 이유는 자신의 입장과 상반되거나 대중매체에 대한 불신, 경험과의 모순, 다른 자료와의 모순, 자신의 추측과의 모순, 경험적 증거의 부재, 쟁점과 관련성이 적음, 전문가 의견에 대한 불신 등이 있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입장과 상반된 자료의 타당성을 수용하더라도, 이를 의사결정에 사용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때 주로 권위, 인과, 신념에 기반하는 추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신의 입장과 상반된 과학적 자료가 타당하더라도 이를 의사결정에 이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과학 수업시간에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의 논증이나 대중매체의 자료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가르쳐야 함을 시사한다.

      • 미국 공공외교와 풀브라이트 프로그램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Admittedly, the United States has taken a vital role as the world's only superpower based on overwhelming ascendency in terms of military and economic power as well as ideological and cultural power even though the World War II informally caused Europe to be split into Western and Soviet spheres, which meant a shift in power from Western Europe and the British Empire to two new superpowers,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midst of those powers, the crucial reason why the United States can hold hegemony lies doubtlessly in hard power. As I mentioned, however, it should not be ignored the fact that ideological and cultural attraction that the United States emanates has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keeping America's imperialist power. That is, this thesis addresses the question of whether America's ideological and cultural attraction, so-called 'soft power' has such a practical influence on America's unipolarity.This present paper aims to focus on 'public diplomacy' of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diagnose the impact of soft power. The truth is, 'public diplomacy' has been chosen to a main one of several diplomacy lines by America since the Cold War began, becoming the mean of intensifying America soft power. For a long period,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s which are one of several U.S. public diplomacy programs, has been spotlighted for the most noticeable accomplishments. In particular, 'Fulbright Program' has mad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deliver the ideology and value of the United States since the Cold War, also being quite attractive enough to implant positive images towards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o evoke admiration for the strong power that it holds from people. In this aspec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fundamental goal and intent of public diplomacy are successfully accomplished by Fulbright Program and the fact that the program has been continuously sponsored by the United States, Fulbright Program can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United States public diplomacy,The basic as well as ultimate purpose of public diplomacy is just 'mutual understanding.' The United States believes that it can get a national security as well as interest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with other countries with different cultures and situations; therefore, whether Fulbright Program sufficiently operates as public diplomacy is dependent on its function involved in widening a range of mutual understanding. For the sake of fully examining this, it is worthwhile to re-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 in terms of soft power on the grounds that Korea is quite a conspicuous case as an object of study in that Korea has quite a long history of Fulbright Program and even today, many Korean people are interested in this program.To begin with, with three analytic frames - diffusion of idea and value of the United States, networking and cross-cultural learning, we see how Fulbright Program as public diplomacy draws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U. S.These frames reveal that people in Korea has been imbued with idea and value of the United States, that is, democracy and equalization of people and aspiration of freedom from Americans, while Korean people as recipients of the program sent to the United States get fully absorbed in the U.S. technological leadership and advanced culture. Besides, this program shows that each Fulbright program recipient continuously cultivates a sort of attitude to understand and respect each other by building and contacting with the network for Fulbrighters(participants in Fulbright Program) in spite of the program's ending. In addition, through learning about unfamiliar culture, people get accustomed to different life styles and further, they naturally experience to be assimilated with other people. Ultimately, given this situation, Fulbright program is employed in successfully accomplishing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main goal of public diplomacy.Apparently, even though Fulbright program cannot give the most crucial and primary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K and U.S., it functions efficiently by getting close to the purpose of public diplomacy, which itself is quite significant. Even today, considering the fact that Fulbright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public diplomacy program by U.S. Department of State, America will employ this program for strengthening U.S. soft power as it did in the past.All in all, through this thesis, Fulbright Program is absolutely an international educational exchange program as well as an exemplary public diplomacy program in making a remarkable contribution to reinforce U.S. national interest and security to America despit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program; furthermore, it is convinced that Fulbright program is a primary asset of U.S. soft power. 비록 제 2차 세계대전이 동서 양대 진영으로의 분열을 가져왔으나, 미국은 군사력과 경제력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문화적 흡인력이라는 측면에서 압도적인 힘의 우위를 기반으로 패권국의 역할을 자임해왔다. 그 가운데서도, 미국이 최강대국으로 완벽하게 헤게모니를 장악할 수 있었던 것은 절대적으로 하드파워에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미국의 ‘이데올로기적, 문화적 흡인력’ 또한 미국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즉 ‘이데올로기적, 문화적 흡인력,’ 인 미국의 '소프트 파워'가 미국의 패권유지를 위해 실질적으로 그 영향력을 행사했느냐에 대한 의문이 이 논문의 발단이다.이 논문에서는 미국의 소프트 파워의 영향력을 진단하기 위해, 미국의 ‘공공외교’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사실상, 공공외교는 냉전기부터 미국이 취해왔던 외교노선의 하나이며, 그들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시키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오랜 기간 동안 미국에서 추진했던 여러 공공외교의 프로그램들 가운데서 가장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린 정책 가운데 하나는 ‘교육․문화 교류 프로그램(Educational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이다. 특히 풀브라이트 프로그램(Fulbright Program)은 냉전기간 동안 미국의 가치와 이념을 널리 전달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고, 당시 미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 줄 뿐만 아니라 그들이 갖고 있는 강한 힘에 대한 동경심마저 불러일으킬 수 있는 충분한 매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공외교의 기본적 목표와 취지를 잘 살리고, 냉전 기간부터 지금까지 그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은 미국의 대표적 공공외교의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공공외교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절대적인 목표는 바로 상호간의 이해(mutual understanding)이다. 이는 미국이 상대국과의 서로 다른 환경과 문화적 차이를 이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국의 안보와 이익을 염두 해 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풀브라이트 프로그램(Fulbright Program)이 공공외교로써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였는지의 여부는 서로간의 이해(mutual understanding)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능을 제대로 이행하는 가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오랜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오늘날에도 활발하게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을 통해, 소프트 파워 측면에서의 '한, 미관계'를 재조명해 보기로 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우선, 세 가지 분석틀인 미국의 아이디어와 가치 확산, 네트워크 형성, 상호 문화의 학습을 통해,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이 공공외교의 목표인 상호 이해를 한국과 미국에서 도출해 낼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그리고 이러한 분석틀을 통해 분석한 결과,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은 미국인들로 하여금 한국 사회에 미국의 아이디어와 가치, 즉 민주주의와 인간의 평등, 그리고 자유에 대한 열망을 심어주었으며, 미국에 보내진 한국 수혜자들에게는 미국의 선진문화와 기술에 대한 동경심을 고취시켰다. 또한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에도 풀브라이트 수혜자들은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유지함으로써,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배양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낯설은 문화에 대한 학습과 배움을 통해서, 타 민족의 생활방식에 익숙해지고, 그들과 자연스럽게 동화되어 가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공공외교의 목표였던 ‘상호이해(mutual understanding)를 끌어내었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다.물론,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이 오늘날 한,미 관계에 있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고는 볼 수 없으나, 미국의 매력적 자원의 하나로서 미국의 공공외교가 실현코자 하는 궁극적 목표를 제대로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현재 미국에서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을 자신들의 대표적인 공공외교 프로그램이라고 언급하는 것을 볼 때, 이는 미국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 시키는데 긴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고, 앞으로도 계속 될 것임을 알 수 있다.비록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이 끼치는 부정적 영향도 있겠지만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은 명실공히 세계적 교육 교류 프로그램이고, 미국에 있어서는 자국의 이익과 안보를 강화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는 대표적인 공공외교 프로그램으로서, 소프트 파워의 중요한 자산이라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이화연 계명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하여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를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8월 23일부터 12월 30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D시 D공업고등학교 1학년이며 1단계인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진단 단계에는 1학년 전수인 297명이 참여하였고, 개발된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는 2단계에는 실험군 30명, 대조군 28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1.0을 이용하였으며, 사전 동질성 검증은 χ² test, t-test로, 가설검증은 ANCOVA 검증,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 α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PRECEDE-PROCEED 모형을 토대로 개발된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은 5명의 전문가들로부터 타당도를 평가받아 적절성이 인정되었다. 개발된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보건교육, 금연, 운동, 건강상담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16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사전진단을 바탕으로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보건 교과서와 1618건강파일 및 다수의 문헌들을 참고하여 16시간의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금연준비 단계, 금연결심 단계, 금연실천 단계로 구성된 12시간의 금연프로그램을, 28시간의 운동 및 건강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그리고 사전 사후 설문지 작성 및 건강상태 측정에 8시간을 할애하였다. 첫째, 보건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청소년기 성장과 발달, 자아존중감 향상 및 의사소통 기술, 청소년 정신건강, 가족건강, 청소년건강, 학교폭력 예방 및 따돌림, 임신과 피임, 성문제와 성폭력 예방, 알코올과 건강, 사람의 심성, 안전사고예방, 컴퓨터 중독과 VDT증후군 예방, 스트레스 관리, 등으로 주로 실업계 학생들의 건강문제와 요구도가 높은 내용을 중심으로 적용하였다. 둘째, 금연프로그램의 내용은 금연교육 강의(금연준비단계), 금연 미술치료(포스터 그리기, 찰흙 생활도자기 만들기, 꼴라쥬 기법으로 표현하기), 금연 VTR 시청(금연결심단계), 스모키 인형 및 금붕어 금연실험, 실험 후 토론 수업, 금연 모의 재판, 금연 역할극, 금연서약서 작성 및 선서하기(금연실천단계)로 구성되며 실업계 고등학생의 건강문제와 건강위해 행위를 고려하여 보건교육프로그램 외에 별도로 12시간의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셋째, 운동프로그램은 학교 내에서 줄넘기와 체력 단련실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가정에서는 매일 30분 이상의 줄넘기 운동을 스스로 실천하게 하였다. 넷째, 건강상담프로그램은 스스로 실천여부를 기입해온 건강생활실천 평가표를 바탕으로 건강상담을 실시하였다. 2.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효과분석 1) 제 1가설에서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하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이하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아질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자기효능감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F=10.873, p=0.002),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아질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자아존중감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F=26.41, p=0.000),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건강지식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건강지식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F=44.79, p=0.000)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4) 제 4가설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건강증진행위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F=59.79, p=0.000),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5) 제 5가설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건강위해행위가 감소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음주경험(χ²=7.18, p=0.028), 흡연경험(χ²=6.52, p=0.038), 음주빈도(χ²=13.52, p=0.004), 흡연량(χ²=8.18, p=0.042)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경험 (χ²=2.35, p=0.309)은 유의하지 않아 제 5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6) 제 6가설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신체적 건강문제가 감소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신체적 건강문제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F=27.72, p=0.000), 제 6가설은 지지되었다. 7) 제 7가설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정신적 건강문제가 감소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정신적 건강문제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F=36.45, p=0.000), 제 7가설은 지지되었다. 8) 제 8가설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건강상태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BMI(F=21.63, p=0.000), 체지방률(F=14.93, p=0.000), GOT(F=18.72, p=0.000), GPT (F=40.70, p=0.000), CO농도(χ²=12.38, p=0.000), 수축기혈압(F=4.86, p=0.032), 이완기혈압(F=9.48, p=0.003), 총콜레스테롤량(F=95.47, p=0.000)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제 8가설은 지지되었다. 9) 제 9가설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삶의 만족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F=30.41, p=0.000), 제 9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건강상태 및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건강위해행위, 신체적 건강문제, 정신적 건강문제를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건강증진프로그램은 실업계 고등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향후 실업계 고등학생들에게 확대, 보급될 수 있는 정책적 지원과 보건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 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PRECEDE proces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through PROCEED process. First,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liminary diagnosis, and second,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done with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3rd to December 30th, 2004.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10th graders in the D vocational high school in D city. On the 1st diagnostic stage, the total number(297) of 10th graders were participated. On the 2nd evaluation stage, 30 student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28 students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² test, t-test, ANCOVA test, and Cronbach's test with SPSS/WIN 1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based on the diagnostic result using PRECEDE-PROCEED model (social, epidemiological, behavioral, environmental, educational, ecological and administrative, policy assessment ).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5 professional experts.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consisted of health education, smoking cessation, exercise, and health counseling.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16 hours using a standard health education textbook, along with 1618 health files and other references.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which was divided into preparation, resolution, and practice phases was employed for 12 hours. Exercise, along with the health-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28 hours, and on responding questionnaires and participating pre-test and post-test, 8hours were used.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program were included growth and development of adolescenc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mental health for adolescent, family health, physical health for adolescent,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ostracism, pregnancy and contraception, prevention of sex related problem and sexual violence, alcohol and health, understand human mind and control self anger,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computer game addiction and VDT syndrome, and stress management. The content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were included smoking cessation classes(preparation phase), art therapy (drawing poster, making clay ceramics, and making collagist), watching smoking cessation videos(resolution phase), experimental test by SMOKYⓡ doll and gold fish, discussion class after experimental test, a mock trial on smoking, role-playing, make a written pledge and swear on no smoking(practice phase). The exercise program was included jumping rope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exercise by using instruments which located in school physical training center. In addition,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perform a 30 minutes rope jumping exercise everyday at home. The health-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self reported health behavior practice checklist. Positive reinforcement and encouragement counseling approach was used. When the students fail the practice, discussed the reasons and found the way how to solve the problems. This counseling program included the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through the use of notes and letters sent to their homes. The opening ceremony of this program and pre-variable measurement took place during its first week of intervention and closing ceremony and post-result measurement were conducted during the last week. 2. The program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 on health promotion.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0.87, p=0.002).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level of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26.41, p=0.000).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level of health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44.79, p=0.000). Hypothesis 4: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59.79, p=0.000). Hypothesis 5: "The experimental group will commit less health-harming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partly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 drinking experience(χ²=7.18, p=0.028), smoking experience(χ²=6.52, p=0.038), the frequency of drinking(χ²=13.52, p=0.004), and the amount of smoking(χ²=8.18, p=0.042).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exual experience(χ²=2.35, p=0.309). Hypothesis 6: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less physical health problem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27.72, p=0.000). Hypothesis 7: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less mental health problem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36.45, p=0.000). Hypothesis 8: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better level of health statu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 BMI(F=21.63, p=0.000), body fat ratio(F=14.93, p=0.000), GOT(F=18.72, p=0.000), GPT(F=40.70, p=0.000), CO(χ²=12.38, p=0.000), systolic BP(F=4.86, p=0.032), diastolic BP(F=9.48, p=0.003), and total cholesterol(F=95.47, p=0.000). Hypothesis 9: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life satisfaction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30.41, p=0.000). In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developed by the researcher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approved as an effective, working, and easily applicable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self-esteem, health knowledge,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level, and reducing harmful-unhealthy behavoir, physical health problem, and mental health problem. Therefore, nation wide expanding strategy of this health promotion program including political support and school health teachers participation should be made and applied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