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李慧琳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대한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 애착아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 하위변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자연적 보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건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강북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8개소에 다니고 있는 만 3, 4, 5세 학급 유아 2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사용 설문지와 유아의 셀프리더십 측정을 위해 교사용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상황이 아닌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애착안정성을 연구할 수 있는 애착 Q-set을 번안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유아-교사의 애착안정성을 살펴보고, 유아들이 나타내는 셀프 리더십과 유아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들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셀프 리더십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과 유아 셀프리더십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하위 변인 중 유아의 반응작용이 유아 셀프 리더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애착-탐구균형과 의존성과 인내력, 사회적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하위 요인 중 대인대물지각은 유아의 셀프리더십에 미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셀프리더십 하위변인 별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변인 중 애착-탐구균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유아의 반응작용, 사회적 상호작용, 의존성과 인내력, 대인대물지각 순으로 비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자연적 보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변인 중 유아의 반응작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존성과 인내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탐구균형과 대인대물지각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건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변인 중 유아의 반응작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의존성과 인내력, 애착-탐구균형이 영향을 미쳤으며, 대인대물지각과 사회적 상호작용은 미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유아 셀프리더십의 하위 변인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애착안정성의 변인 중 유아의 반응작용이 유아 셀프리더십의 하위 변인인 유아 자연적 보상과 유아 건설적 사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유아-교사의 애착안정성의 변인 중 애착-탐구균형이 유아의 셀프리더십의 하위 변인 중 유아의 자기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애착안정성이 이루어진다면 유아의 셀프리더십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아와 교사의 애착의 유대가 좋을수록 유아 스스로 리더십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이혜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이혜림(지도교수 김 소 향)이 연구를 실시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 경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율성, 창의성, 놀이전문성의 일반적 경향성을 살펴본 결 과, 유아교사의 자율성의 평균은 4.10점, 창의성은 3.62점, 놀이전문성의 평균은 4.26점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평균이 중간 이상 값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 구모형의 측정변수에 대한 표본의 분표경향을 살펴본 결과 왜도는 모든 변수가 2 이하이고, 첨도는 모든 변수가 7이하이므로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 그리고 놀이전문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먼저 놀이성과 창의성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율성과 놀이 전문성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놀이전문성도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자율성이 높을수록 창의성이 높은 양상을 보이고, 자율성 이 높을수록 놀이전문성도 높은 양상을 보이며, 창의성이 높을수록 놀이전문성도 높은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놀이전문성도 높아진다는 유의 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놀이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영향력의 크기를 파 악한 결과 자율성, 창의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변인을 살펴본 결과, 자율성 의 하위변인인 ‘학습지도’, ‘연구 및 연수활동’, ‘학급경영’과 창의성의 하위변인인 ‘독창성’, ‘자기확신’이 높을수록 놀이전문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의 강화가 교사의 놀이전문성을 증진시키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강화하기 위 한 교사교육 및 교사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놀이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 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자율성, 창의성, 놀이전문성 *본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임.

      • 여성의 복지 증진을 위한 헌법적 연구

        이혜림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onstitution that considers assimilative incorporation of society as the ultimate value regulates as follows: Article 10. Human Worth and Dignity, Article 11. Equal Right, Section 4, Article 32. Prohibition for Sexual Discrimination and Section 3, Article 4, Respect for Women Welfare and Right. Reflecting such consitutional mind, it contains realization of women equal rights in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Framework on Women's Development, Prohibition and Remedy for Sexual Discrimination and Labor Standards and Labor Standards. However, as roles of men and women have been divided and fixed due to our patriarchal system for such a long time, women were subordinated to men. They have been forced to be superwomen both in caring children and housework and working, and had lower quality of life because of overwork so that their abilities could not be exercised completely at work and they had to choose one of them. In particular, Korean womem's welfare falls behind the standards of OECD member countries. According to the Human Development Report presented by UNDP, Korea's status is stagnant or lowering. For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based on distinction of sex, 48-50% of women participate in labor fore in our country while 75% of men participate in labor force. In addition, most of the former work in part time, which can not be explained through educational background or career. In spite of thei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many women are engaged in part-time job, leave labor market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because of pregnancy and nurturing babies, and reemployed to lower position. They suffer from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nd wages, and sexual harassment, which are in conflict with the Constitution. As the formula of “Men work outside and Women work inside” is still maintained, women have to have fourfold roles of mother, wife, housewife and worker, which causes continual conflicts in identity of their roles. Pregnancy and childbirth which are physiological nature of women are considered as personal matter by office, resulting in frequent damages to work and health rights of wome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accomplishment of human respect and value through realization of equal rights by mobilizing all the policies and facilitate equal and harmonious status for social incorporation. Through legislature cases of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searches for directions of welfare realization(Chapter 3), reviews the Constitution, Framework on Women's Development,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and Labor Standards critically, tries to discover directions for equal right and welfare realization (Clause 1 and 2, Article 4), identifies the status of Korean women welfare and suggests political suggestions which meet the Constitutional intent (Clause 4 and 4, Article 4). This study suggest education of human rights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along with a series of measures to improve unequal welfare of women. Controversies on equal right of women are getting intense as they have been discriminated and as long as structural problems are not resolved, it is very difficult to resolve it. Therefore, it should be dealt with in longitudinal and macro point of view and assimilative incorporation of society should be facilitated through realization of human respect.

      • 현미경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evate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by first developing a microscope oriented program and implementing the same dur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period, then understanding the students' change in scientific attitude and perception of that program, and ultimately, developing and providing programs that can be utilized in elementary classroom settings. This study was implemented on a fifth grade class in Seoul district and integrative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program's efficacy. Before and after scientific attitude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and from them objective results were obtain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ata such as "after the fact opinion" surveys, interviews, diaries, study activity results, etc.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overall level of recognition and to increase the validity for the statistical result of the change in scientific attitude.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becaus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microscope oriented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program, subject that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and positively change scientific attitude was chosen. Moreover, the subject chosen was composed of 12 chapters of activity contents considering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relevance to educational course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program. Teacher-study course and student activity sheet for each chapter were created so that the developed program can be utilized in schools. Some chapters were divided into basic and intensive activities considering students' level and operation period, and some substitute activities were also created considering school's current status. Second, although the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periods indicated overall increase in the scientific attitud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7 of the lowest areas of the scientific attitude all saw increase in their average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mong them, voluntariness, perseverance and crea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t p<.05 Third, the overall opinion of the program,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endency to participate again in the program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the program to others, was generally positive. On the question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re will be a positive effect on the scientific attitude.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foregoing shows the use of microscope and interesting subject/content had an effect on positively changing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In summarizing this study, as the result of the developed program implemented at school, the overall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re positive,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as been verified by, among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scope, cultivating creativity and perseverance and encouraging voluntariness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herefore suggesting utilization of the program at actual school setting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현미경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 후,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변화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대해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 및 보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학교 5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통합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전ㆍ사후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한 후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결과를 얻고, 프로그램에 대한 사후 인식 설문 조사, 면담, 일기장 및 학습 활동 결과 등 정성적 자료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인식과 과학적 태도 변화의 통계적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보완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현미경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므로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고 과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교육과정 연계성 및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취지에 적합한 창의ㆍ인성 요소를 고려하여 총 12차시 주제로 활동 내용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차시별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생 활동지를 구성하였으며 일부 차시는 학교 실정을 고려한 대체 활동과 학생들의 수준 및 운영 시간을 고려한 기초 활동 및 심화 활동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제시하였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한 결과 과학적 태도의 전체 평균이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적 태도의 7개 하위 영역의 평균이 프로그램 적용 후 모두 향상되었으며 그 중에서 자진성, 끈기성, 창의성은 통계적으로 p<.05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 본 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프로그램 재참여 의사, 추천 의사 여부 결과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묻는 질문에는 과학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이러한 인식의 결과는 정량적 분석과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현미경을 활용했다는 점과 흥미로운 주제와 내용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해 본 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만족도가 긍정적이며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범주 중 창의성과 끈기성을 기르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진성을 높이는데 본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검증함으로써 현장 교육의 활용성을 시사하고 있다. * 본 논문은 2013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요로감염 환아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요로감염 관련 지식 및 예방행위 실천

        이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로감염 환아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요로감염 관련 지식, 요로감염 예방행위의 실천 정도를 확인하고 부모 효능감, 요로감염관련 지식이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녀가 요로감염으로 진단 받고 연구 내용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어머니 69명이었다. 부모 효능감은 Gil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의 P.S.O.C.(Parenting Sense of Competence)를 신숙재(1997)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요로감염 관련 지식과 예방행위 실천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요로감염관련 지식 13문항, 요로감염의 예방행위 실천 10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12.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조사 대상자인 어머니의 평균 나이는 34.1세였으며, 다른 자녀가 요로감염으로 진단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가 63명(91.3%)이었고, 주 양육자는 엄마(84.1%)가 대부분이었다. 아동의 평균 개월 수는 11.3개월이었으며, 보호자가 생각하는 아동의 기질은 대부분 힘든 편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2.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의 총점의 평균은 45.22(±3.23)점으로 ‘부모로서의 능력은 보통이다’라고 지각하고 있었다.“나는 나의 행동이 아이에게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잘 알고 있다.”라는 문항은 3.70(±0.60)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대체로 부모로서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를 의미한다.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내가 아이를 가르치고 이끌어 주려고 해도 아이가 내 뜻대로 잘 따라오지 않아 좌절감을 느낀다.”로 2.29(±0.57)점이었으며,’부모로서의 능력은 보통이다’를 의미한다. 3.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부분의 총 점수의 평균은 26.04(±3.12)점, 문항 평균은 2.60(±0.65)점으로 “그렇지 않은 편이다”라도 답하였으며 요로감염 예방행위를 잘 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항 중 가장 실천도가 높았던 항목은 “회음부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샤워기로 씻긴다”라는 문항으로 3.43(±0.58)점으로 “대체로 그런 편이다”라고 하였다. 가장 낮은 실천 항목을 보인 문항으로 “아이에게 유산균 제제를 먹인다”로 평균은 1.22(±0.64)점으로 “거의 그렇지 않다”라고 답하여 이에 대한 것을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실천행위의 결과는 요로감염 관련지식의 점수와 비교하여 볼 때 “회음부의 이물질이 있는 샤워기로 씻긴다”는 지식과 실천부분 둘 다에서 높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유산균 제제를 먹인다”와 “느슨한 면 속옷을 입힌다”가 지식과 실천 부분 둘 다에서 점수가 낮은 것을 볼 수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4.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요로감염 관련 지식, 그리고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이라는 세가지 변수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은 요로감염 예방 행위 실천 (r=.397,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로감염 관련 지식은 요로감염 예방 행위 실천(r=.345, p=.004)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회귀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F=14.662, p<0.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형이 적합하였다. 회귀분석의 결정계수를 검증한 결과, Adjusted R2값은 0.287로서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요로감염 관련 지식은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을 29% 설명하였다.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요로감염 관련 지식은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부모 효능감이 높을수록, 요로감염 관련 지식이 높을수록 영•유아를 위한 요로감염 예방행위를 잘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요로감염 관련 지식 중 정답률이 낮았던 문항과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 정도가 낮았던 문항을 중심으로 요로감염 관련지식을 대상자에게 교육하고 부모 효능감과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 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This research verifies that the parenting self efficacy of mothers of patients of urinary tract infection, that how much the parents have the knowledge of the disease, and that how often they practice the precautions so that to define the effects of the parenting self efficacy and having the knowledge of the disease to the practice of the precautions of urinary tract infe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greed to participate in research about and children who are diagnos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69 were mothers. Parent efficacy Gilbaud-Wallston and Wandersman (1978) of the PSOC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s Shin(1997) was adapted tools, knowledge and preventive behavior related to urinary tract infection, the researchers developed a urinary tract infection, practice-related knowledge 13 questions, 10 questions Practice prevention of urinary tract infection was measured by using. The data collected SPSS / WIN Ver 12.0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urveys are following. 1.The parenting self efficacy is average 45.22 points (±3.23) out of 80 points in 16 questions. The question scored the highest point is that “I’m aware of the effects of my actions to my child well.” And The question having the least points is that “Although I try to teach and guide my child, my child does not really follow as I wish so that I feel frustrated.” 2.In the case of related knowledge of urinary tract infection, The question showing the highest response is that “I give my child anthelmintic if parasitization is predicted.”And the question showing the lowest response is that “I dress my child a loose cotton underwear.” It i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age of the subjects who are mostly under 12 months. The questions showing the second lowest response is that “lactobacillus prevents from urinary tract infection.” 3. In the part of practice of the precautions of urinary tract Infection, the average is 26.04 (±3.12)points out of 40 points. The question showing the highest point is that “If there is any foreign substance at the perineal region, I bath my child.”and The question showing the least practice is that “I give my child lactobacillus foods.” 4.The followings show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related knowledge of urinary tract infection, and practice of precaution of the disease by the correlation analysis. By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has a positive correlation (r=.397, p=.004) with the practice of precautions of the disease. The related knowledge for urinary tract infec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r=.345, p=.001) with the practice of precaution of the disease. 5.Verifying the results of the fit of the regression model F = 14.662, p <0.001 level, the model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itable. Verifying the results of regressio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djusted R2 value of 0.287 as a mother, parenting self-efficacy, prevention of urinary tract infection, urinary tract infection-related knowledge, practice behavior was explained by 29%. Mother's parenting efficacy (β = 0.099, p <0.001) and urinary tract infection-related knowledge (β = 0.127, p <0.001) and urinary tract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wer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actice Since the practice of precautions of urinary tract infection is a part of promotion health. The parenting self-effica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omotion health and I think the parenting self-effcacy is higher, the parenting is more effective and the parents are active for participating in the parenting.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higher parenting self-efficacy represents higher rate of practice of precautions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infants and children. It is necessary to found a new precaution for urinary tract infection considering the mental supports, encouragements,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child-rearing, which are determined as affecting factors to parenting self-efficacy

      • 개인화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 입력 폼 개선 연구 : 취업포털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이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recent vitalization of mobile application that could be conveniently used anytime and anywhere in the smartphone popularization era, the applications providing the personalized service are continuously appearing. To provide the personalized service, the collection of users’ information is essential. Even though such newly-appearing applications are adjusting themselves to the interface suitable for the mobile environment, still,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detailed input form for data collection. Also, it is rare to find the researches on the input form of the concrete mobile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at the guidelines have a positive impact on users by producing a prototype based on the input form items of the existing application after suggesting the mobile form guidelines that could be reflected in the planning/development of personalized service.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interface and mobile form through literature study, the importance of mobile form design could be realized as there were lots of differences from PC environment. Thus, the mobile form-relevant guidelines by a foreign UX expert were researched and summarized. Second,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the perception and needs of users of domestic employment portal application providing the personalized service could be understood.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necessity of the improvement of input form could be reconsidered. Also, the researched guidelines were modified/complemented through the verification by experts. Third, the opportunity elements were drawn through the analysis of guidelines by selecting the cases of domestic employment portal application. Also, after analyzing the cases of foreign application providing the personalized servi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e final guidelines were drawn. Fourth, in order to verify the actual effectiveness of the mobile form guidelines after producing a prototype reflecting the final guidelines based on the input form items of the existing service,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In the results, the input form reflecting the guidelines received the positive evaluation of not giving any pressure to users. After that, the prototype was improv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shown in the evalu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satisfaction as the personalized service users receive the suitable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duce users to complete the input procedure without feeling pressure.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에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요즘, 개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개인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정보 수집은 필수적이다. 새롭게 등장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로 맞춰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보 수집을 위한 입력 폼은 세부적인 개선이 미흡하다. 또한 구체적인 모바일 환경의 입력 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화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는데 지침으로 반영할 수 있는 모바일 폼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폼 항목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가이드라인이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려고 한다. 연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하여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특성과 모바일 폼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PC의 환경과 많은 차이가 있어 모바일 폼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해외 UX전문가의 모바일 폼 관련 가이드라인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개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취업포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식과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입력 폼 개선의 필요성을 재고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한 가이드라인을 전문가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셋째, 국내 취업포털 애플리케이션 사례들을 선정하여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분석 및 기회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개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외 애플리케이션 사례들을 분석 후 특징을 바탕으로 최종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넷째, 기존 서비스의 입력 폼 항목을 바탕으로 최종 가이드라인을 반영하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모바일 폼 가이드라인이 실질적으로 유효한지 검증하기 위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이드라인이 반영된 입력 폼은 사용자들에게 부담을 주지않는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후 평가를 통해 받은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토타입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화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을 이끌어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며, 이를 위해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가 부담을 갖지 않고 입력 절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인지·행동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및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혜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및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1> 인지‧행동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발달에 영 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2> 인지‧행동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발달 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3> 인지‧행동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영 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D초등학교 6학년 학생 25명 (남자 13명, 여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같은 학교의 학년과 성별을 실험집단에 맞추어 25명을 추출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은 기존의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정서적인 면의 리더십 요소(열정, 배려, 감사)를 추가한 인지‧행동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전검사와 동형인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리더십, 자아존중감, 사회성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양적 평가(ANOVA, ANCOVA)를 실시했으며, 양적 평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 실험집단 학생의 참여보고서, 연구자의 관찰 평가를 통해 질적 평가도 보충하였다. 처치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모두 권영웅(2004)의 리더십 측정 검사, 전규혁(1999)의 자아존중감 검사, 홍명수(1997)가 번역한 ‘사회적 기능 진단 도구’와 백경선(1993)이 사용한 ‘아동의 사회성 측정도구’를 참조하여 서승석(2002)이 구성, 최상길(2005)이 수정·보완한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총10회기의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통제집단 25명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결과1> 인지‧행동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발달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친다. <결과2> 인지‧행동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결과3> 인지‧행동적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본 연구는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의 대상을 영재학생이나 특별한 학생이 아닌 일반 학급 학생으로 설정하고, 기존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리더십 요소들을 정선한 다음 정서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보완한 것으로써 큰 의미가 있다. 반면, 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학습능력 기술, 집단관리 기술, 자기이해 기술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 중 가정적 자아, 학문적 자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위요소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