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화예술 경험이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재은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문화예술 경험이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재은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문화콘텐츠개발학과 문화콘텐츠개발전공 본 연구는 문화예술 활동 참여 및 감상경험이 빈곤계층 아동들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 거주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빈곤계층 아동 2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경험이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 경험이 있는 아동이 문화예술 경험이 없는 아동에 비해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문화예술 활동참여가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 활동참여 상 집단이 활동참여 하 집단에 비해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문화예술 감상경험이 빈곤계층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 발달에서는 문화예술 감상경험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사회성 발달에서는 문화예술 감상경험 상 집단이 중 집단과 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빈곤계층 아동들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은 활동(참여)과 감상이라는 영역을 균형 있게 제시하지 못한 편중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향후 정부차원의 빈곤계층 아동들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이 배우기(참여)와 감상이라는 균형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참여와 감상경험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fluence of Art and Culture Experience on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Jae Eun Lee Major in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Dept. of Education and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The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e and art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A survey based on the North Jeolla Province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aim of the study 286 young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has been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the regular experience of culture and art has been positively affected to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The participants who have regular culture and art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level to compare that of those who do not much involved in the experience. Secon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ho are more involved in learning culture and art have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status. Third, 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ho are more involved in appreciating culture and art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statu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balanced governmental support on culture and art experience for young children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 has been suggested.
페미니즘 페다고지 기반의 대학교 여학생 진로 교과목 개발을 위한 설계기반연구(DBR)
진로교육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교 여학생 대상의 차별화된 진로교육에 대한 필요성 역시 제기되면서 정부와 대학 차원의 교육지원 역시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대학교 여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이란 무엇이며, 이것은 어떠한 내용 구성과 교육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지금까지 대학교 여학생 대상의 진로 프로그램들은 상당수 기존의 진로 프로그램에서 여학생 특성을 반영한 일부 모듈을 추가적으로 덧붙이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으며 결과적으로, 몰성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별다른 차별성을 찾아보기 어려운 한계가 존재하였다. 특히, 교육방법 측면에서 살펴볼 때 그동안 대학교 여학생 진로 교육 프로그램은 여학생 학습자의 심리적,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려한 접근을 거의 시도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들로 인하여 설계기반연구(DBR)을 통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지 심층적인 탐색을 통하여, 현장을 개선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적 개입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설계기반연구란 교육현장의 진짜 문제를 찾아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안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체계적 연구로 문헌연구를 통한 설계원리를 바탕으로 형성적 순환을 반복하여 현장 기반의 설계원리를 지속적으로 추가, 통합하여 실제 현장 개선과 맥락 중심의 이론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설계기반연구를 통하여 현장의 문제점을 찾기 위한 탐색 및 분석과정을 통하여 잠정적인 해결안을 도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대학교 여학생 진로 프로그램은 젠더 기반의 진로교육의 지향점과 교육철학이 정립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진로와 젠더 영역간의 유기적인 교육과정 개발과 함께 여학생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법 역시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시사점을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시사점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즘 페다고지’라는 여성 교육철학이자 교수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대학교 여학생 진로 프로그램을 재접근하고자 하였으며, 진로교육 프로그램 가운데에서도 페미니즘 페다고지가 추구하는 성평등 의식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교과목 형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교 여학생의 진로 발달 과제, 진로발달 변인, 여성 진로 이론 등의 문헌연구와 현장의 대학교 여학생 대상의 요구분석 및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 내용구성을 위한 1차 설계원리를 도출하였으며, 페미니즘 페다고지의 철학, 이슈, 교수방법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통하여 교육방법을 위한 설계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초기 프로토타입 개념모형과 절차모형을 설계하였다. 이후 2차에 걸친 형성적 순환과정을 통하여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장 전문가 논의 및 추가적 문헌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설계원리를 반복적으로 추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미니즘 페다고지 기반의 진로 교과목 내용구성을 위한 핵심원리는 ‘심층적 자기탐색을 촉진하라’, ‘젠더와 젠더 이슈 간 긴밀한 관련성을 확보하라’, ‘개별화된 진로경로를 고려하여 직무분석 수업을 구성하라’, ‘진로미결정자 고려하여 목표설정 수업을 구성하라’, ‘명확하게 말하고 경청하는 능력을 배양하라’ 총 5개 설계원리와 20개의 실행전략이 도출되었다. 둘째, 페미니즘 페다고지 기반의 진로 교과목 교수학습방법을 위한 설계 원리는 ‘교수자 학습자 간의 수평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라’, ‘학습자 경험과 학습을 연계하여 의미화하라’, ‘대화를 통해 임파워먼트 하라’, ‘학습자 상호 간 연결성을 경험하게 하라’, ‘안전한 학습환경을 제공하라’ ‘대화를 통해 임파워먼트 하라’, ‘학습자 상호 간 연결성을 경험하게 하라’, ‘안전한 학습환경을 제공하라’총 5개 설계원리와 29개의 실행전략 및 30개의 교수학습방법이 도출되었다. 셋째, 한편 앞에서 도출된 설계원리와 구체적 내용항목을 토대로 최종 완성된 페미니즘 페다고지 기반의 대학교 여학생 진로 교과목 효과성 검증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진로 결정자기효능감은 프로그램 적용 후 모든 항목에서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그러나 진로장벽 검사의 경우 ‘노동시장 제약과 기대’,‘여성취업 고정관념’과 같은 일부 항목의 경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대학교 여학생 별도의 진로 교육에 대한 방향성과 목적이 불분명했던 대학교 여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페미니즘 페다고지를 적용한 대학교 여학생 대상 진로 교과목 개발을 설계기반연구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페미니즘 페다고지 기반의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위한 설계원리와 실행전략을 ‘현장 기반의 이론’(local theory)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의 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대학교 여학생 진로 교과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대학교 여학생은 성별로 단일화할 수 있는 집단이 아니라 대학 유형별, 소재별, 계열별, 전공별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성을 지니는 만큼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세분화된 대상별로 특성화된 진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페미니즘 페다고지는 하나의 인식틀이자 가치체계로서 광범위한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니며 이러한 인식틀 적용은 성별의 구분과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페미니즘 페다고지 진로 프로그램에 있어 성별 분리된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남녀 공동의 교육과 성별 분리된 교육 간의 비교 연구도 후속 연구로 기대해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연구자인 동시에 설계자, 관찰자라는 동시다발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설계기반연구의 경우 다양한 현장 관계자들과 협업이 중요한 특징이자 연구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열쇠인 만큼 연구자가 수행했던 역할을 분리하여 보다 다각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연구도 필요해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설계기반연구로 도출된 설계원리에 대한 일반화 검증을 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즉, 대학교 여학생뿐만 아니라 직장여성, 경력단절여성 등 보다 다양한 층위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진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설계원리와 실행전략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논의와 의의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하여 다양한 성인 여성 대상의 진로 교육과정에 있어서 동일한 교육효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추진되기를 제언한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social exclusion and changes of single parent families through setting social exclusion indicators of single parent family members in the multidimensional areas and measuring the entire social exclusion scores based on Fuzzy Set Theory. Since one parent should perform the role of parents alone in single parent families, single parent families are in a particularly vulnerable situation to the poverty in comparison with other households. Therefore,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parent families with one householder and the nature of poverty as a result of the complicated social phenomenon, multidimensional analysis that considers the situation, social environment, and resources of single parent family is required instead of only analyzing income levels. Since studies on the existing single parent household have focused on economic poverty targeting low-income female-headed households, they have not accurately measured the poverty of entire single parent families which include male-headed households and female-headed households in the multidimensional realms that include income.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which is a new perspective about the poverty that considers multidimensional areas and aims to present basic data of the current condition, required for multidimensional support and policy design for the future single parent families through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s single parent families and the analysis of trends. In this study, the pooling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5-2009) were utilized and the poverty level was measured quantitatively as a social phenomenon by using Fuzzy Set Theory. Social exclusion measurement indicators were eight dimensions; income, employment, health, housing, education, social support networks, social safety networks, and living conditions, and 23 sub-indicators were composed.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ntire level of social exclusion and the trend of social exclusion in single parent families are as follows: First, the entire social level scores of single parent family members in eight areas tended to decrease from 2005 to 2007 for three years, but they increased again from 2008. Second, in terms of social exclusion in areas, the low level of social exclusion in employment, health, and education were experienced. Third, the scores of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were high in income and living conditions, showing a higher level of social exclusion than other areas. Fourth, the social exclusion of female-headed households was more severe than that of male-headed households, while in the case of three household members,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in a single parent family was high. Therefore, the exclusion in social safety networks and social support networks that include the relationships in and out of family like the absorption in the social insurance system as well as economic aspects like income, experienced by single parent families should be recognized, and support for high areas in social exclusion as well as economic support is required in the discussion of providing the policy, system and support plans of single parent famili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구에 속한 가구원들의 사회적 배제 정도를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수치로 측정하기 위한 사회적 배제 지표를 설정하여, 퍼지 집합이론에 입각하여 수치화한 전체 사회적 배제 점수를 통해 한부모가구의 사회적 배제 정도와 변화 추이를 드러내어 분석하는 것에 있다. 한부모가구는 혼자서 자녀를 키우며 부모 역할을 담당해야하기 때문에, 다른 가구집단에 비해 특히 빈곤에 취약한 상황에 처해있다. 가구주가 1명이라는 한부모가구의 특성과 복잡한 사회현상의 결과로서의 빈곤의 성격에 따라, 소득만을 기준으로 빈곤을 분석하던 것에서 벗어나 한부모가구가 처한 상황, 사회적 환경, 자원 등을 포함하여 다차원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 한부모가구에 대한 연구는 저소득 여성가구주만을 대상으로 경제적인 빈곤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소득을 포함한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를 아우르는 한국의 전체 한부모가구의 빈곤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구의 빈곤을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바라보는 빈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인 사회적 배제 개념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한부모가구의 전체적 실태 및 추이 분석을 통해 향후 한부모가구를 위한 다차원적인 지원과 정책 설계에 필요한 기초 현황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의 1~5차년도(2005~2009) 자료를 활용하였고, 퍼지 집합이론을 활용하여 사회현상으로서의 빈곤 수준을 수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배제 측정 지표는 소득, 고용, 건강, 주거, 교육, 사회적지지망, 사회적안전망, 생활여건의 8개 차원으로 영역을 설정하여, 23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하였다. 한부모가구의 전체 사회적 배제 수준과 추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8개 영역에서 한부모가구의 구성원들이 겪고 있는 전체 사회적 배제 점수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간 감소하는 추세에 있었으나 2008년부터는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영역별 사회적 배제는 고용과 건강, 교육 차원에서 낮은 수준의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쨰, 사회적 배제 점수가 높게 나타난 소득과 생활여건차원에서는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 수준이 다른 영역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성가구주보다 여성가구주가 사회적 배제의 정도가 심했으며, 가구원의 구성이 3명일 경우에 한부모가구가 경험하는 사회적인 배제의 정도가 높았다. 따라서 한부모가구가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배제의 측면은 소득과 같은 경제적인 측면뿐 아니라 사회보험제도에의 흡수와 같은 사회적안전망이나 가족 내·외의 관계가 포함된 사회적지지망과 같은 차원에서의 배제도 크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향후 한부모가구에 대한 정책, 제도 및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논의에 경제적인 지원과 함께 배제의 정도가 큰 영역으로의 지원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도시주거지역의 바람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은평구 뉴타운 사례를 중심으로
2020년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에 의하면 낙후지역의 환경정비 부문에서 낙후지역의 재정비, 뉴타운 사업의 지속적 추진 계획이 있으며, 토지이용 부문에서 자연친화형 계획을 실현하는 요소로써 주요 산, 하천변 경관관리체계의 구축과 바람길의 확보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상기 조건을 살펴보면 뉴타운지역과 산지 및 하천, 그리고 바람길의 확보가 현재 국내 상황에서 도시개발 시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로써 도심지역이 분지형태를 띄고 있는 경우가 매우 많다. 그러므로 주거지역에서의 경사지는 그 활용도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화의 가속은 자연환경의 혜택을 그대로 받을 수 있는 보전이 아닌 무분별한 개발로 이어졌고 도시환경이 황폐화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개발이 진행될수록 도시에서 가장 보편적인 주거형태인 공동주택이 고밀‧고층화되고 이로 인해 주거환경의 질이 나빠지기 시작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가 어려워졌으며 도시민들은 점차 건강한 주거환경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바람길에 대한 정부차원에서 법제화와 평가제도가 제‧개정되었으나 평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항목일 뿐 실제적이고 정량적인 수치에 대해서는 기준이 모호한 실정이다. 특히 거시적 측면에서 볼 때 건물 한 동이 아닌 대단위의 도시개발사업은 도시 전체의 환경에 있어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법적 구속은 거의 없는 현실이다. 미시적 측면에서는 아파트 단지를 들 수 있는데, 단지 내에서 판상형은 맞통풍(Cross Ventilation)이 자연스러운 형태이기 때문에 각 세대의 환기가 용이하다. 하지만 군집형·타워형은 세대의 평면에 따라 겨울철 난방에너지를 어느 정도 절감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이점보다는 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여름철 냉방에너지부하에 대한 단점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판상형의 선호보다는 바람길을 차단하지 않고 군집형 세대의 환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배치계획을 세워야 여름철 냉방에너지를 절감하고 나아가 대기질을 개선과 도시 열섬현상 완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에서 경사지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인 분지형 대지를 선정하여, 바람길과 산곡풍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 뉴타운에 대한 이해를 위해 기존의 국내외 연구와 문헌을 살펴보고,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경사지에 근접한 도심지역 주거환경의 풍환경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수치지형도를 사용하여 컴퓨터 설계 지원 프로그램(CAD)으로 모델링 한 후, 전산유체역학(CFD) 기류분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Star-ccm+)을 통해 기상자료를 조건으로 입력하여 각 배치안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산곡풍을 이용한 아파트 단지 배치에 대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평균적이고 일반적인 수치 데이터를 조건으로 진행된 결과이기 때문에 실제 측정값이나 타 프로그램 사용 결과 값과 오차범위가 발생할 수 있으나 경사지역에 인접한 아파트 단지 배치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재은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산자부 고시에 따라 20[MVA]를 초과한 발전기를 소유한 자는 10년 주기로 전력계통 시뮬레이션인 발전기 기술특성시험으로 발전설비 특성 자료를 검증하여 결과를 전력거래소에 제출하게 되어있다. 국내 발전사는 신뢰도 있는 전력시장의 운영과 전력계통 계획을 위해 발전기 기술특성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일부 원자력발전소에서는 계획예방정비 종료 시 발전기 특성시험을 수행하고 후속 공정 중 원자로 정지가 발생하여 원인분석 및 재발방지대책 수립과 규제기관의 조사를 받았으며 발전소 설비 운영에 피해가 발생하였기에 발전기 기술특성시험 수행시기의 적절성 검토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기 기술특성시험의 필요성과 시험 방법, 원자력 발전소의 계획예방정비에 대해 설명하고, 국내 원전 및 타 발전사의 발전기 기술특성시험과 시험 중 정지 사례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원자력발전소에서의 특성시험을 계획예방정비 착수 또는 종료 시 수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차이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수행 시기에 따른 차이점으로 초기조건 생성, 발전소 출력 운전, 총 시험 소요시간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계획예방정비 종료 시 수행하는 터빈 부하 예열운전의 필요성 및 그에 따른 기술특성시험 수행시기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수행시기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최적의 특성시험 시기에 대해 고찰하였다. 따라서 향후 원전의 발전기 기술특성시험 수행 시기에 대한 합리적 결정과 정비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 이라고 생각한다. According to an announcement of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those who own a generator of over 20[MVA] are required to conduct a generator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test based on power system simulations every ten years before testing the data of generation facility characteristics and submitting the results to Korea Power Exchange. In South Korea, power companies conduct a generator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test for the reliable management of power market and power system plans. Some nuclear power plants had a reactor shutdown in a follow-up process after completing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and conducting a generator characteristic test. They had to analyze the causes and prepare a series of measures to prevent a reactor shutdown under the scrutiny of a regulatory agency. The damage to their facility management raised a need to review the proper timing of generator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tests. After providing explanations about the need and method of a generator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test and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of nuclear power plants, this study arranged generator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tests by nuclear power plants and other power companies in the nation and their shutdown cases during a test. The study then examined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 tests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 of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at nuclear power plants.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initial conditions, power operation of a power plant, and total testing hours according to the timing of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By investigating a need for pre-heating operation for turbine load at the end of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and the timing of a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test according to it, the study assessed the proper timing of such a test and examined the optimal timing of such a 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nuclear power plants' rational decisions and maintenance plans regarding the timing of a generator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test.
국제합작투자시 기업특성이 파트너간 신뢰형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기업간 신뢰(Trust)가 기업간 협력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여겨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제합작투자(International Joint Venture)에서 기업의 어떤 특성들이 파트너 기업간 신뢰를 형성하며 합작투자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진출한 국제합작투자기업 중 제조업에 속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뢰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성을 자산특이성(Asset Specificity), 참여(Participation), 정보공유(Information Sharing), 경쟁여부(Competition), 갈등해결기법(Conflict Resolution Techniques), 파트너 적합성(Partner Fit) 등 6가지로 분류하고, 국제합작투자시 기업특성이 파트너간 신뢰형성 및 성과에 미치게 되는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실증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본 연구에서 국제합작투자는 10%에서 90%에 해당하는 지분합작투자를 의미하며, 국내에 진출한 국제합작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74부를 회수하였고, 이 표본을 SPSS Windows 12.0과 AMOS 4.0을 이용하여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고, 공변량구조모형을 이용한 가설의 검증과 분석을 통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과 기업특성이 신뢰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국제합작투자시 파트너 기업간의 높은 정보공유 수준은 파트너 기업간 신뢰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국제합작투자시 파트너 기업간 높은수준의 건설적인 갈등해결기법의 사용은 파트너 기업간 신뢰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국제합작투자시 파트너 기업간 파트너 적합도는 파트너 기업간 신뢰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국제합작투자시 파트너 기업간 신뢰수준은 만족도로 측정된 국제 합작투자기업의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국제합작투자에서 파트너들이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합작투자의 목적 및 목표가 서로 상충되지 않고 서로에게 어울리는 상호보완적인 파트너 기업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 준다. 또한 파트너 기업과 합작사업과정에서는 합작사업에 도움이 될만한 핵심적인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것 이외에도, 서로의 의견이 상충되어 갈등이 형성되었을 경우에 건설적인 갈등해결 기법의 사용으로 서로에게 기회주의적인 행동에 대한 염려와 불신을 제거해주게 되며 서로에게 신뢰감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신뢰의 구축은 합작투자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본 연구는 그동안 국제합작투자의 성과를 설명함에 있어 신뢰를 독립변수로만 인식하였던것에서 벗어나 기업간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들을 살펴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여 실질적으로 국제합작투자기업의 경영자들에게 기업간 신뢰형성 및 성과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rust between firms has begun to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explaining their cooperative relationships. Accordingly, this paper set out to discover which firm’s characteristics create trust between business partners in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and thus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international joint venture. In order to do this, we used firms that belong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from among the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operating in the country as subjects, and proceeded by classifying the firm’s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rust and performance into six types: asset specificity, participation, information sharing, competition, conflict resolution techniques, and partner fit. Then, by deriving a research hypothesis and a research model to test the ways in which firm’s characteristics affect the formation of trust between partners in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and their performance, an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m, meaningful implications were obtained.In this paper, an international joint venture is any equity joint venture with 10% to 90% of equity,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operating in the country as subjects, with a total of 74 surveys retrieved. Using SPSS Windows 12.0 and AMOS 4.0, the survey was checked for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als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hypothesis using a covariance structural model,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regarding how firm’s characteristics affect trust and performance were demonstrated.We organized the results of our research,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ly, a high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business partners during an international joint venture was shown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trust between them. Secondly, the use of high level, constructive conflict resolution techniques between business partners during an international joint venture was shown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trust between them. Thirdly, the level of partner fit between business partners during an international joint venture was shown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trust between them. Lastly, the level of trust between business partners during an international joint venture was shown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international joint venture business, as measured in degree of satisfaction.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 order for partners to build trust in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purpose and the goal of the joint venture not contradict each other, and that business partners that suit each other and are mutually complementary be selected. Moreover, in the process of doing a joint venture with a business partner, besides sharing with each other core information that will help the joint venture, when each side’s opinions contradict with that of the other and conflict forms, the use of constructive conflict resolution techniques eliminates each side’s anxiety and distrust regarding opportunistic behavior, and trust in the other side is generated. Ultimately, the establishment of such trust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effect of exerting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joint venture.With regard to explaining the achievements of past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this paper departed from the existing treatment of trust onl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nstead examined the firm’s characteristics that exert influence on trust between businesses. This paper’s significance is found in the fact that it empirically verifies these influences and provides essential guidance for creating trust between partners and enhancing productivity to the executives of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 기반의 전시 관람 동선 추천 서비스 연구
이재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박물관 혹은 미술관 등에서의 전시는 대부분 고정된 전시물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특히 상설 전시의 경우, 기획전시나 특별전시에 비해 전시물의 변동이 더욱 적으며 대다수가 통사적 흐름에 따른 전시물 배치 구조를 가진다. 이처럼 고정된 전시물의 배치와 전시 공간은 상대적으로 박물관 관람객들의 전시 관람 피로도를 높이고 관람객에게 새로운 전시 관람 경험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새로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박물관이 관람객과 소통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발전하면서 가상공간을 활용한 온라인 박물관 등 관람객의 흥미와 취향에 맞춘 다양한 큐레이션 방식이 등장하였으나, 개별 관람객에 맞추어 모든 전시물을 물리적으로 재배치할 수 없다는 제약과 함께 작품 고유 물질성을 온전히 구현하지 못하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응답으로 개별 박물관 관람객에 대한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전시 관람 동선 추천 서비스를 설계하여 제안한다.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분석을 수행한 후,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서비스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실제 사용자 평가를 통하여 관람객의 전시 관람 경험 만족도 향상 여부 및 물리적으로 재배치되지 않은 전시 환경에서의 차별화된 관람 경험 제공 가능 여부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한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 관하여 서술하는 Ⅰ장에 이어, Ⅱ장에서는 개인 맞춤형 전시물 추천 및 큐레이션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론을 정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전시 관람 동선 추천의 기반이 될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의 효과와 더불어, 전시 관람 시간의 길이에 따라 다른 추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의 효용성, 또한 관람객 유형과 전시 관람 동선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상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실제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을 활용한 한 전시 관람 동선 추천 서비스의 내용을 소개한다. 서비스의 전체적인 프로세스 설계 과정과 함께, 세부적으로 사용되는 전시물 추천 알고리즘 및 전시 관람 동선 추천 알고리즘의 내용을 소개한다. 또한 전시물 추천에 사용할 프로필 데이터 항목과 함께 실제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시물에 부여할 형용사 데이터 선정 과정을 정리하는 동시에. 개발된 서비스 프로토타입인 <Museum Pathfinder>를 소개한다. Ⅳ장에서는 <Museum Pathfinder> 적용을 위한 장소 및 전시물 선정 과정을 소개하며, 이후 실제 박물관에서 진행한 사용자 평가 결과를 정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본 연구 전반에 걸쳐 확인한 내용을 포괄적으로 정리하고, 연구 과정에서 파악한 연구의 한계점 및 관련하여 추후 확장되어 이어질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Most exhibitions in museums or art galleries are based on fixed exhibits. In the case of permanent exhibition halls, the fluctuation of exhibits is less than that of special exhibitions, and most of them have an exhibition structure according to syntactic flow. The arrangement and exhibition space of such fixed and unchanged exhibits have a problem that it makes museum visitors bored and is difficult to provide visitors with a new exhibition viewing experience. As the museum has changed and advanced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communicate with visitors, various curation methods and online museums using virtual spaces have emerged. Nevertheless, there are practical limitations and technical limitations that cannot fully implement the unique materiality of the work. Starting with rais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designed and proposed an exhibition viewing route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personalized curation for museum visitors. Since then, a prototype of the proposed service has been developed and actual user evaluation has been conducted based on it to confirm whether the service can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n with exhibition viewing and provide different exhibition viewing experiences within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that has not been physically relocated. Chapter I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Chapter II summarizes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related to the recommendation and curation of personalized exhibits. Through this, we examined the effect of personalized curation, which will be the basis for recommending exhibition viewing routes proposed in this study,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using ‘exhibition recommendation algorithm’ differently depending on ‘exhibition viewing ti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 type” and “exhibition viewing rout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examined, Chapter III actually designed an exhibition viewing flow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personalized curation. The overall process of the service was designed, and the ‘exhibit recommendation algorithm’ and ‘exhibit viewing flow recommendation algorithm’ to be used in detail were explored and described. In addition, in this chapter, the profile data items to be actually used for exhibition recommendation were organized, and adjective data to be given to the exhibition were selected through an actual survey, and a prototype <Museum Pathfinder> was produced. In Chapter IV, the target museum, user evaluation subjects, and exhibits for applying the prototype <Museum Pathfinder> were selected and the movement was formed. Afterwards, a user evaluation was conducted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using the prototype, and the results were confirmed. Finally, in Chapter V, the content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nd user evaluation were summariz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elt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and the expansion to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지역기반 시민교육의 참여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 희망샘도서관 <인문학산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재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Since our society achieved institutional and formal democracy in the 1980s, it has gradually become an important task for democracy to work as a principle of citizens' lives. In the field of education, raising ideal democratic citizens was recognized as a challeng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discussion on what the ideal civic image is, what competencies should be developed, and what forms and methods of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Until now, civic education has been mainly focused on cognitive education, which includes the legitimacy of democracy and citizens' responsibilities to society. However, the need for democratic symbiosis and cooperation, as well as individual knowledge, has been emphasized, creating a consensus that social, cooperative, and critical learning and practice are increasingly important. In other words, it is persuasive to argue that civic education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to learn various knowledge and skills that enable people to actually become active citizens with the goal of responsible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learners' experiences. In lifelong educatio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which emphasizes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beyond knowledge-oriented civic education, is emphasized. However,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practice of civic participation education y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civic engagement process of Community-Based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for civic participation education at the Heemangsam Library located in West Suwon as a case study. I wanted to analyze the process of civic participation education and find the answer to the next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civic particip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eemangsam Library <Humanities Walk> program? Second, what is the achievement and meaning of civic participation in the Heemangsam Library <Humanities Walk> program? The Heemangsam Library is a private-commissioned lifelong education facility run by local civic groups and is located in West Suwon Community Benefit Facility, and has been operating a civic participation education program called <Humanities Walk> since 2009. In the early days of the program, officials organized the curriculum, invited instructors who fit the topic, and recruited students to give lectures. However, I gradually sought a variety of ways with a sense of problem about the progress of the form of maintaining a general instructor-learner relationship. Changes in operating methods and topics were led by a planning team composed of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by no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institution. Above all, the direction and philosophy of the operating institution and the person in charge played a primary role in the continuity and development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 of the Heemangsam Library. Institutions and officials who have been engaged in civil society activities for a long time based on the region have consistently planned programs with a sense of problem, gathered citizens to manage the programs together, and operated them with citizens. After reviewing and confirming the civic participation process in the Heemangsam Library's <Humanities Walk> program, three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the Heemangsam Library <Humanities Walk> program was decided through the deliberation process of <Humanities Walk> Planning Group. They discussed and decided what to learn, not just learning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citizens with knowledge. The form of <Humanities Walk> program changed according to the learning needs of <Humanities Walk> Planning Group, and the participation pattern of Planning Group changed to operate it. Second, all programs were conducted through the division of roles by the Planning Group and it was the combination of practical elements that brought dynamism to it. Participation activities not only planned the educational program, but also led the program operation and discussion groups. The activities were not stopped in the classroom, but were also linked to other events and programs at West Suwon Community Benefit Facilities and the Heemangsam Library, and expanded and circulated to voice other civic groups and community issues. These experienc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have made social and collaborative learning possible. Third, participation of the <Humanities Walk> Planning Group was maintained based on strong relationships within the members. The Citizen Participation Planning Group, which has been steadily working for over 10 years, had a strong desire for meeting and community activities as well as a desire for learning. They held weekly meetings to learn and discuss together, as well as during each period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structured program. Everyday learning took place, and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was formed. These activities led to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experiences of their own growth and expansion. They helped them find ways to lead their thoughts to specific activities or changes. Not only that, but it also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local community. In other words, a learning community where opinions can be shared and expressed within the region has been created, and it has become a reference group for participants. In addition,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itizens' participatory citizenship. However, the participation process faced various difficulties. However, the participation process also encountered various challenges. Above all, the problem of distributing roles in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caused conflicts. Disagreements over the combination of institutions and planning groups, role distribution, and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among planning members remain tasks to be solved through continuous dialogue. The problem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 centered on the planning team with strong solidarity was also found. People who participated for the first time or people with different values could feel a high entry barrier to approach and be together. This can be said to be a pattern similar to the problem arising from the activities of local civic groups. People with similar thoughts are more likely to be together, and people with different thoughts or different groups may have difficulty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This study aimed to capture the meaning and achievements of civic participation education by closely describing the process of civic participation in <Humanities Walk> program and listening to and recording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The citizen participation pattern of the program, which has been operated regularly for a long time,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It is meaningful that it tried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civic participation education in the community and capture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while reviewing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civic participation education programs at the Heemangsam Library. In the post-corona era, when contacts and meetings are no longer possible after the corona, how the power of the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is relationship needs to change and develop will be another research question. *key words: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Deliberative participation in curriculum, Learning Community, Community practice 우리 사회는 1980년대에 제도적, 형식적 민주주의를 달성한 이후, 점차 민주주의가 시민들의 삶의 원리로서 작동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여기게 되었다. 그리고 교육 영역에선 이상적 민주시민을 키워내는 것을 당면과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상적인 시민상이란 무엇이며, 키워야 할 역량은 어떤 것이고 그것을 다루는 교육의 형식과 방법은 무엇일지 에 대한 충분한 논의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그 동안의 시민교육은 민주주의의 당위성과 사회에 대한 시민의 책무를 내용으로 하는 인지교육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개인의 지식뿐만이 아니라 민주적 공생과 협력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점점 더 사회적, 협력적, 비판적 학습과 실천이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만들어졌다. 즉 학습자의 경험에 토대한 책임감 있는 사회참여를 목표로 실제로 적극적 시민이 될 수 있게 해주는 여러 가지 지식,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시민교육의 계획되고 실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평생교육에서는 지식 중심의 시민교육을 넘어 참여의 개념이 강조된‘시민참여교육’이 중시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시민참여교육의 실천 현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시민 참여 과정의 특성과 의미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로 서수원에 위치한 희망샘도서관 시민참여교육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시민참여교육의 과정을 분석하여 다음 연구문제의 답을 찾고자했다. 첫째, 희망샘도서관 <인문학산책> 프로그램에서의 시민참여 과정과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희망샘도서관 <인문학산책> 프로그램에서의 시민참여의 성과와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희망샘도서관은 지역시민단체가 운영하는 민간위탁 평생교육 시설로 서수원주민편익시설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 <인문학산책> 이라는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그램 초창기에는 관계자들이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주제에 맞는 강사를 초빙하고 수강생을 모집하여 강연을 열었다. 하지만 일반적인 교수자-학습자 관계가 유지되는 형태의 진행에 대한 문제의식 갖고 점차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운영 방식이나 주제의 변화는 기관의 담당자가 아니라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시민들로 구성된 기획단이 주도하였다. 희망샘도서관의 시민참여 프로그램의 지속성, 발전에는 무엇보다 운영기관과 담당자의 지향과 철학이 우선적으로 작용했다. 지역을 기반으로 오랫동안 시민사회 활동을 한 기관, 담당자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함께 프로그램을 꾸려나갈 시민들을 모으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하였고 시민들과 함께 운영하였다. 희망샘도서관 <인문학산책> 프로그램에서의 시민참여과정을 검토하고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희망샘도서관 <인문학산책> 프로그램에서 기획과 운영은 기획단의 숙의 과정을 통해 결정되었다. 시민의 책무와 역할을 지식으로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무엇을 배울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고, 결정했다. 기획단의 학습욕구에 따라 <인문학산책> 프로그램의 형태가 바뀌었고 그것을 운영하기 위해서 인문학기획단의 참여형태도 바뀌었다. 둘째, 모든 프로그램은 기획단의 역할분담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그것에 역동성을 가져왔던 것은 실천적 요소와의 결합이었다. 참여활동은 교육프로그램의 기획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운영 및 토론 모둠을 이끄는 역할까지 나아갔다. 활동은 교실 안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서수원주민편익시설, 희망샘도서관의 다른 행사 및 프로그램과 연계되기도 하고, 다른 시민단체 및 지역 사회 문제에 목소리를 내는 활동으로 확장되고 순환되었다. 이러한 지역사회 공동체 참여 경험은 사회적, 협력적 학습을 가능하게 했다. 셋째, <인문학산책> 기획단의 참여는 구성원 내의 강한 관계형성을 기반으로 유지되었다. 10여년에 걸쳐 꾸준히 활동해온 시민참여 기획단은 학습에 대한 욕구만큼이나 만남과 공동체 활동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상하반기 각 기간뿐 아니라 매주 지속적으로 모임을 갖고 함께 학습하고 토론하는 활동을 했다. 일상적 학습이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구성원간의 관계는 더욱 돈독해졌다. 이런 참여활동은 성과로 이어졌다. 참여한 개개인에게 스스로의 성장과 확장의 경험을 제공했다. 생각이 구체적인 활동이나 변화로 이어질 수 있게 방안을 찾게끔 도왔다. 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즉 지역 내에서 의견을 나누고 개진할 수 있는 학습공동체가 만들어졌고 참여자들의 준거집단이 되었다. 또한 지역사회에서의 참여와 연대활동도 상당히 증가하게 되어 시민들의 참여적 시민성을 키워준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참여과정은 다양한 난관에 봉착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대한 역할분배의 문제는 갈등을 일으켰다. 기관과 기획단 간의 결합과 역할 분배에 대한 의견 불일치, 기획단원들 간의 참여도 차이 등은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았다. 강한 연대를 가지고 있는 기획단을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 프로그램의 문제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처음 참여한 사람이나, 다른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접근하여 함께 하기에는 높은 진입장벽을 느낄 수 있었다. 이는 지역 시민 단체 결사체가 활동 하며 생기는 문제와 비슷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끼리만 함께 할 가능성이 크고, 생각이 다르거나 소속집단이 다른 사람들은 관계를 맺기 어려울 수 있다. 본 연구는 <인문학산책> 프로그램에 대한 시민참여의 과정을 면밀히 기술하고 참여자의 경험을 청취, 기록함으로서 시민참여 교육의 의미와 성과를 포착해보고자 했다. 장기간 상시적으로 운영해 온 프로그램의 시민참여 양상은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희망샘도서관 시민참여교육 교육프로그램 기획, 운영의 변화와 실천을 검토하면서 지역사회에서의 시민참여교육의 의미를 되짚고 한계와 가능성을 포착하고자 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코로나 이후 접촉과 만남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이런 관계 맺기를 기반으로 한 학습공동체의 힘이 어떻게 변화, 발전해나가는 것이 필요할지는 또 다른 연구 문제가 될 것이다. *중심어 : 시민참여교육, 숙의적 교육과정 참여, 학습공동체, 지역사회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