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HP를 활용한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성장단계별 주요성공요인 분석

        윤현영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world is now entering a new era of civilization historical revolution called Ubiquitous IT revolution following agricultural revolution, Industrial revolution, and information revolution. While it is still difficult to set clear concept on Ubiquitous, domestic companies are coping with the new information paradigm by planning various Ubiquitous enterprise promotion strategy, etc. Chip, network, terminal, service, etc, the potential of Ubiquitous has large industrial ripple effect and profit effect incomparable to that of Internet.Thus, on this study, has analyzed critical success factor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Ubiquitous business to promote Ubiquitous strategy successfully. For this, accurate concept on Ubiquitous and its developmental stage are examined closely, and Ubiquitous business growth model are sugges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Ubiquitous business. Ubiquitous business growth stage is reckoned as to be evolved to Context awareness model, Proactive control model, and Intelligent control model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sensing, network, computing, and automatic control technologies. In order to deduce critical success factor of each growth stage, empirical study was achieved, suggested hierarchical model of critical success factor based on the result of empirical study, and proposed critical core factor for each stage by analyzing importance on critical success factor of each Ubiquitous business growth stage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Ubiquitous industry by suggesting realizable business growth stage through combination of Ubiquitous value chain factors by company in Ubiquitous environment and offering critical factor of business strategy establishment that can deal with such change. 세계는 지금 농업 혁명, 산업혁명, 정보혁명에 이어 유비쿼터스 IT 혁명이라는 새로운 문명사적 대변혁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아직까지 유비쿼터스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국내 기업들 역시 다양한 유비쿼터스 사업 추진전략을 마련하는 등 새로운 정보패러다임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칩, 네트워크, 단말기, 서비스 등 유비쿼터스 잠재력은 인터넷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산업파급효과와 수익효과가 크다.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전략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한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성장단계별 주요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비쿼터스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그 발전단계를 규명하고, 유비쿼터스 비즈니스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성장단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성장단계는 센싱, 네트워크, 컴퓨팅, 자동제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지모델(Context awareness model), 능동적 제어모델(Proactive control model), 지능적 제어모델(Intelligent control model)로 진화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성장단계별 주요성공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요성공요인의 계층적 모델을 제시하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성장단계별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단계별 주요핵심요인을 제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기업이 유비쿼터스 가치사슬 요소의 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비즈니스 성장단계를 제시하고, 이러한 변혁에 대응할 수 있는 비즈니스 전략 수립의 핵심요인을 제공함으로써 유비쿼터스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자연의 이미지를 응용한 옻칠 다기(茶器) 개발에 관한 연구

        윤현영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An act of tea drinking equals to an act of culturing both body and mind as it can become means for self-perfection. At the same time, an act of tea taking also plays a role of a medium for social intercourse in human relation. Owing to the social atmosphere of today that values much of the health as people grow well off, tea drinking becomes highly appreciated in a new perception. In this social atmosphere it is natural that the demand for the tea-things increases rapidly. Hereup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original and strikingly new tea-things to meet the various and sophisticated tastes of the moderners.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development of lacquered tea-things to which the image of nature is applied. Prior to making a trial product, a series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various literatures and research materials. At same time a research and analyzation have been made on the sizes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tea-things collected for this study. Based upon this study they have been reconstituted from a modernistic view. The trial product consists of eight(8) sets in total, which consists of as following: Trial product No's. 1, 2, 3, 4, 5, 6, and 7 are made for five(5) persons. The concept of these sets is for the participants to enjoy confabulation over tea, since such tea culture help them regain composure and vitality with their daily living. With respect to the trial product, it is planned to simplify the tea taking procedure, and its constitution comprises a tea kettle, tea cups, tea sauces and a place mat so that as many people as possible could enjoy the taste and gust of tea with ease away from the complicated tea style of the former times. Now the trial sets of No's. 3 and 7 have additional item of either tea container or a cooling bowl in order to render some change to the set constitution. Apart from these sets, the set No. 8 is for two(2) persons, which has an extra item of refreshment tray so that the participants can enjoy refreshment over tea. The motif of the product is the image of nature, into which I have tried to integrate the visualized forms or patterns of the inspiration and feelings that nature has impressed upon me. It is my aspiration that people can receive nature at close by even in a daily living space while enjoying tea served in these tea sets and also appreciating the spiritual affluence and composure gifted by nature. The form of my tea-things simplifies the image of either water drop, pebble, floral pedal and leave, pond, or lake; and the streamline of soft curvature of the product renders agreeable and peaceful feelings. The tone of color of the product is either to depict nature or to incorporate the image of nature by means of making the most of the vague color sense of atmospheric lacquer painting. It is also intented to revive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nd gusto of lacquer painting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tone of pastel color harmoniously matching to the atmosphere of tea time. The pattern of the tea-things is made to realistically depict or partly to distort the images of nature by making most of lotus flower and pond, mountain and lake, and flower and tree as the materials for the pattern. The materials used for expression of the pattern are lacquer paint, nacre, and egg shell, while the expression technique varies including such as kkeuneumjl (cutting), julleumjil (wrinkling), halpaepeop (shell splitting), myochil (depict painting), and gyochil (glue painting). As for manufacturing technique, taltaegeunchil technique is used for making tea kettle and tea cup as it is rather easy to apply for making the mould. And the tea tray and the place mat are made by the technique of moksimchilgi in order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and weight to the tea-things. It is aimed in this study to integrate the nature as material into the tea-things so that whoever uses the product can feel nature at close by so that he or she may live a comfortable life in good health and stable mind. Furthermore, I have made this study with aspiration to explore original and nature friendly tea-things by making most of the characteristics of lacquer paint that could satisfy the living of the moderners with confidence in mind that such tea-things will eventually raise the tea culture through frequent friendly social intercourses over tea. 차를 마시는 행위는 자신의 몸과 마음의 수양을 쌓으며 자기완성의 방편으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 있어 상호간의 교류를 자연스럽게 이끌어 주는 매개체의 역할도 한다. 오늘날 생활이 여유로워지고 건강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 차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고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기(茶器)의 수요 또한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현대인의 다양한 취향과 특성에 맞는 참신하고 독창적인 다기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본 작품 논문은 자연의 이미지를 응용한 옻칠 다기 개발에 관한 연구로 시작품 제작에 앞서 각종 문헌들과 연구자료, 기존에 사용되어 지고 있는 다기들의 크기와 특징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시작품은 총 8set로 구성하였고, <시작품 1, 2, 3, 4, 5, 6, 7>은 5인용 다기를 중심으로 제작하였다. 이는 차를 즐기면서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차 문화를 통하여 일상에 여유와 활기를 주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시작품의 구성에 맞추어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차의 맛과 멋을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과거의 복잡한 다기 양식에서 벗어나 현대 생활에 맞게 절차를 간소화하여 주전자, 찻잔, 찻잔받침, 매트로 구성하였다. <시작품 3, 7>에는 차통을 같이 구성하거나 식힘 그릇으로 기본 구성에 변화를 주었고 <시작품 8>은 2인용 다기로 다과를 함께 할 수 있는 다과접시를 포함하여 제작하였다. 작품의 모티브는 자연의 이미지로 본인의 경험에서 얻은 자연의 감동과 정서를 가시화하여 형태와 문양에 접목하였다. 자연을 담은 다기를 통하여 차를 마실 때 일상의 공간에서 자연을 접할 수 있고 바쁜 생활 속에서 자연이 주는 정신적 풍요로움과 여유로움을 느끼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형태는 물방울, 조약돌, 꽃과 잎, 연못, 호수, 등의 이미지를 단순화시키거나 부드러운 곡선의 흐름을 조형화함으로써 편안함을 주고자 하였다. 색상은 옻칠의 은은하고 분위기 있는 색감을 살려 자연을 묘사하거나 이미지를 담고자 하였다. 또한 차를 마실 때 어우러질 수 있는 파스텔 톤의 색상으로 표현함으로써 옻칠의 전통적인 특성과 멋을 살리고자 하였다. 문양은 자연의 이미지 중 연꽃과 연못, 산과 호수, 꽃과 나뭇잎 등을 소재로 하여 사실적으로 묘사를 해주거나 부분적으로 왜곡시키는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표현재료는 옻칠, 나전(螺鈿), 난각(卵殼)을 사용하였고 표현기법으로는 끊음질, 줄음질, 할패법, 묘칠(描漆)기법, 교칠(絞漆)기법 등으로 다양하게 시문하였다. 제작기법에 있어서는 자유로운 성형이 가능한 탈태건칠(脫胎乾漆)의 공정으로 주전자, 찻잔을 제작하였으며 찻잔받침과 매트는 안정감과 무게감을 주기 위하여 목심칠기(木心漆器)의 공정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연이라는 소재를 다기에 접목시켜 자연을 좀 더 가까이에서 느끼며 생활하고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자연친화적인 옻칠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색상과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현대인의 생활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독창적인 다기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차 문화와 함께 다기의 활용도 높이고자 하였다.

      •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에 관한 연구 : 일반 부모를 중심으로

        윤현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of child abuse at general homes and to identify parental factors related to child abuse, that were not so deeply studied in prior research.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measures for preventing child abuse and to help children to grow safe and soun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parental factors are grouped into tw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ge, sex, educational level, income, job, and residence of parents, and psycho-social factors of abuse history, drinking problem, supporting punishment, spouse relationship, and child rearing attitude.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surveyed 132 mothers and fathers who have one or more children at home and currently live in 4 areas in Gyeongnam Province. The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in this study do not do child abuse so severely with mean score of 11.74 between 10 and 50 points scale. It is attributable to focusing on general parents at home not abusing parents who are reported to the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 As the parents in this study hav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status than on average, they probably do not do child abuse compared to those who are poor and low educated. Second, only sex of parents and residential type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child abuse by the parents at home. Mothers are more frequently abusing children at home than fathers are, and the parents who own house are less frequently abusing children at home than those who have not. Third, abuse history and authoritative child rearing attitude of psycho-social factor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child abuse by parents at home. The higher abuse history of parent and the more authoritative child rearing attitude of parent, the severe and frequent the child abuse. Finally, this study has limitations not to compare with other parents,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general parents at home.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expand this research scope to dissolution families of low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statu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의 발생지가 일반가정에서 주로 일반부모에 의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지금까지 연구가 미약하였던 일반가정을 중심으로 아동학대의 발생정도와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루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부모에 의한 아동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고,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여 아동이 한 사람의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인 아동학대의 발생 정도를 파악하고,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부족하였던 아버지 요인도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와 아버지를 포함하여 부모요인을 인구사회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연구모형과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의 발생정도는 평균 11.74로 나타나 아동학대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학대 가정으로 판정된 가정이 아닌 일반가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더구나 아동학대를 유발하는 부모의 인구사회적 요인과는 달리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은 다소 높은 교육수준과 안정된 경제생활 그리고 초혼으로 이루어진 가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을 학대하는 것과는 거의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둘째, 부모의 인구사회적 요인별 아동학대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주거형태만이 아동학대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성별에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아동을 더 학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형태에서는 자기집을 소유한 부모보다 전세나 월세와 같은 자기집을 소유하지 못한 부모들이 아동을 더 학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사회적 요인 중에서는 부모의 아동기 피학대 경험과 부모의 권위적 양육태도가 아동학대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아동기 피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부모의 양육태도가 권위적일수록 아동학대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 부모의 심리사회적 요인에서 부모의 아동기 피학대 경험과 부모의 권위적인 양육태도가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학대와 관련하여 부모의 아동기 피학대 경험과 권위적 양육태도가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끝으로, 일반가정을 중심으로 하여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과 낮은 교육수준, 그리고 결손가정 등의 인구사회적 특성을 지닌 부모들의 아동학대 요인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인구사회적 요인들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대상들을 중심으로 하여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을 조사해 볼 것을 제안하였다.

      • 전남교육청 공공도서관 자료관리시스템(ILUS)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윤현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라남교육청 공공도서관은 2017년 표준자료관리시스템인 KOLAS를 대체하는 새로운 자료관리시스템인 ILUS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른 ILUS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수서단계의 사용빈도는 낮았지만,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목록단계는 사용빈도가 높았지만 만족도가 낮게 조사되었는데 그 이유로 사용의 불편함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열람단계는 사용빈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았는데 대출반납시 처리속도가 늦어 불편하기 때문이라고 조사되었다. 공통단계는 출력물 관리의 높은 사용빈도에 반해 만족도가 낮았는데 그 이유는 통계출력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사용의 불편함 등이 있다. 개선방안으로 ILUS 개발 민간사업자의 면담조사와, 국립중앙도서관의 통합서비스 지원센터 설치 및 KOLAS 오픈 소스를 제시하였다.

      • 관계의 좌표 찾기 : <모놀로그> 외 2편

        윤현영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first novel Monologue is a piece that the storyteller, who was deeply wounded by her relationship with a lover, talks about the sadness she experiences in love and in farewell in a monotonous tone. I happened to discover his picture in a travel magazine. Realizing that he has come back after leaving me without words of farewell, I called him to make an appointment and let myself back into the memories of three years ago. As an editor for a travel magazine, I met him, a photographer, during a business trip. He did not make a good first impression, coming late to his first appointment, but I gained curiosity about him when I discovered a picture of India in his car. Gradually, I found him interesting with his unique style and our common interests in India. Later, I went on a series of business trips with him. As I spent more time with him, I fell deeper into his charm. When I knew that he was not doing well with his wife, I actively expressed my feelings for him and started dating him. My relationship with him was pretty satisfying except for that his marriage had not ended legally, but when I called him at a business trip and found out that he was with her, I was raged with jealousy. Then, I asked him to end everything with her. He left for Varanasi to end everything with his wife. Varanasi is a city with a legend. A legend that anyone who bathes in the holy water of the Ganges can wash of their sin. I sent him off in doubts and he did not return like he said he would. When I saw him three years later, he confessed that he met his wife in Varanasi and could not end the marriage with her. I lost all my hope and decided to forget him completely. I booked a flight ticket to travel to India. The second novel No Exit talks about a man who falls off the edge of life and gains the strength to stand up again with the power of love and family. I, a former worker at a printing shop, woke up with the sound of an incoming text message. My girlfriend, who used to live with me, sent me a text message to break up with me. She left me the day after when I ignored her proposal and I discovered a pregnancy tester in the bathroom a few days later. The reason why I hesitated marrying her was because she reminded me of my mother. My mother suffered from a serious forgetfulness, but her forgetfulness allowed her to realize that my father was having an affair. She left home to meet her childhood friends, but came back soon to take her purse that she had forgotten to take with her. At that moment, my father was talking to his mistress on the phone. Witnessing my father’s affair and experiencing violence because of that, my mother became a completely different person since that day. Succeeding bad blood from my father, I also had affairs while living with my girlfriend and she neglected my affairs like my mother did. Like my father snatched the money my mother earned in a marketplace, she worked at a bar to pay for my debt. After receiving her message, I went out to wander on the street and encountered the creditors. I tried to escape, but was eventually caught and lynched. After few hours, I was awakened by a newspaper delivery girl. I was in pain, but all I could think of was her. I realized that she was the only person who can save me from my dead-end life. The third novel The Memory of Winds is based on my memory of Kim Young Gap Gallery Dumoak in Jeju. Kim’s photographs that seem to exhibit sound before landscapes became the motif of this piece. I manage my uncle’s photograph gallery at a local city. Ten years ago, my uncle established his gallery and studio in this town where he had no family or friend. He passed away five years after that. I did not want to give up everything for photography like him, but I ended up taking over the gallery to safeguard his only inheritance and because of my personal desire toward photography. One day, she, an editor for an editorial design firm, came to the gallery. She said she wanted to use my uncle’s photograph for her resort brochure. I refused at first because my uncle stood against destroying the nature, but I eventually accepted her offer because of financial difficulties. When she visited me again with the finalized brochure with my uncle’s photograph, I found her favorable. Her interests in my uncle and his photography quickly drew her closer to me. As I immersed myself in my uncle’s work, I could not spend my time for my own photographic work. When she found out that I was living my life for my uncle instead of myself, she asked me to leave the gallery. I loved her, but I could not make a decision because of my memories with my uncle. She eventually left me with a promise that she will come back on my uncle’s memorial day a year later if she cannot forget me, and did not come back after a year.

      • 초등학교 화장실 공간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윤현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공간디자인은 현대사회의 발달과 핵가족화의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에 맞춰 많은 변화를 거쳐 왔다. 현행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시설은 열린 교실, 다목적실, 컴퓨터실 등의 많은 변화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의 여러 시설 중 보건·위생시설 부분은 이러한 변화에 절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학교생활에 익숙하며 신체 발달 단계와 성장속도가 빠른 고학년 학생보다 초등학교에 처음 입학하는 저학년 아동들에게는 학교가 낯선 공간이며, 화장실 공간은 심리적으로 위생상 불결하게 느껴져 기피하게 되는 공간이다. 이에 화장실 공간에 대한 개선이 심리적 안정과 학습효율을 위해서도 절실하며, 그러므로 공간디자인 계획 시 발달과정에 있는 아동의 신체적·행태적 특성과 심리적 선호도를 반영한 화장실 공간디자인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화장실 공간디자인에서, 화장실 공간과 현황에 따른 문제점 발견을 위해서 사용자 설문연구를 진행하여 분석하고 발달단계에 있는 저학년 아동이 선호하는 공간구성과 실내디자인을 위한 영향인자를 추출하여 아동이 쾌적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제안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저학년 아동들이 요구하는 디자인 요소들을 추출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화장실 공간디자인 계획 시 아동들에게 정서적·심리적·환경적으로 적합한 화장실 공간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 하에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연구된다. 1장은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설정하였으며 선행사례연구를 통하여 현 초등학교 화장실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장은 이론적 고찰로써 초등학교 아동의 발달특성과 발달단계에 대한 이론고찰과 초등학교 화장실에 대한 문헌 연구 및 현행되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화장실에 대한 전반적 공간구성 해석과 사용자 중심의 공간디자인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설문연구 조사항목 및 분석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평가지표를 제안한다. 3장은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화장실 사용현황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국내사례조사(11곳)는 2005년 이후 설립된 서울특별시 관할 공립초등학교 저학년 화장실로 한정하였다. 국외사례조사는 북미와 동남아 9곳으로 각 도시의 초등학교 중 현지방문과 사례조사, 그리고 초등학교 화장실 개선 우수사례를 인터넷과 문헌조사에 따라 선정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현황 사례조사 분석의 기준은 2장에서 도출한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화장실 전체공간과 공간영역별로 출입공간, 세면공간, 배변공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만족도·선호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화장실 공간디자인의 가이드라인 지표항목을 구성하였다. 4장은 설문연구 분석 단계로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장실 현황에 대한 ʻ사용행태에 따른 만족도ʼ와 ʻ선호도ʼ를 조사평가하기 위하여 공간영역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설문연구 구성은 화장실에 대한 만족도와 사용행태, 요구사항에 따른 내용으로 물리적·행태적·심리적 측면에서 공간영역에 따른 항목을 구성하고 조사하였다. 5장은 ʻ초등학교 화장실 공간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ʼ로 1장, 2장, 3장, 4장에서 진행된 내용에 따라 화장실 현황, 설문연구 종합분석, 그리고 화장실을 공간영역별로 구분하여 각각 아동의 발달특성에 맞게 영향인자를 포함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전체 내용에 대한 종합으로서 초등학교 화장실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에 대한 방향제시와 향후 적용사례 연구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초등학교 화장실 공간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화장실은 아동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행태적 특성에 맞게 심미적, 정서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즉 물리적 측면에서 각 공간영역별로 사용자 발달특성에 맞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학생들이 쉽게 인지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지원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는 향후 초등학교 화장실 건축설계와 새롭게 리모델링될 화장실 개선 시 제시된 가이드라인과 영향인자의 세부사항에 따른 검토를 통하여 지속적인 사용가능한 화장실 공간디자인을 위한 지표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Space design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has undergone lots of change fitt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getting smaller. According to current 7th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have undergone lots of change and improvement in open class, multi-functional room, computer room, etc. Among many school facilities, however, public health and hygiene sections are absolutely inadequate for such change. Especially for low graders who ender the school for the first time, school is strange space while the toilet feels dirty psychically and sanitarily compared to high graders who are familiar with school life and whose physical development and growth are rapid. The improvement of toilet space is desperate for stable mentality and academic efficiency so at the time of planning space design, a guideline is absolutely needed to improve the space design of toilet where in-the-middle-of-development children's physical and behavioral characters and taste are reflected.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s of developing and proposing a guide line for improvement of kids toilet with pleasant use by proceeding with a research based on the users questionnaire to find out problems in current space and situation of toilet in space design of elementary school toilets and by extracting influence factor for indoor design and space organization favored by low graders who are in the middle of development stage.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tract design factors required by low grade children to see the cases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guideline for space design of toilet that fits their emotional, psycholog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Under the above purposes, this study is done with the following structure. Chapter 1 established the background, purpose, range and method of study, understood and analyzed problems in current elementary school toilets through previous case studie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is study. As an academic investigation, Chapter 2 studied theories on children's development features and stages, studied documents about elementary school toilets, translated the overall space composition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oilets,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space design focused on users. Research items and analysis factors of questionnaire study have been extracted by putting previous studies and document data together, and an appraisal index would be presented. Chapter 3 researched and analyzed current situation of using elementary school toilets focused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domestic cases (11 places) were limited to low graders toilet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under Seoul Special City that were built after 2005. Overseas cases are done in 9 places of North America and South-East Asia by visit and case studies, while exemplar cases of elementary school toilet improvement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the Internet and documentary research. To analyze current cases, the overall space of toilets were divided into spaces for incoming and outgoing, face-washing and defecation to the standard of the appraisal index that was extracted from Chapter 2, through which the problems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were understood and the index items of guideline was organized for space design of toilets. As a stage of questionnaire study and analysis, Chapter 4 researched and analyzed each space section to investigate and assess 'satisfaction according to usage types' and 'preferenc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oilets that are now us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questionnaire study, space area items were organized and studied from physical, behavioral and mental aspects for satisfaction, usage type and requirements of toilets. As 'Development of Guide Line for Space Design of Elementary School Toilets,' Chapter 5 comprehensively analyzed current situation, studied questionnaire about toile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hapters 1 to 4, and developed a guide line including the influencing factor fitting the development features of each children. As conclusion, Chapter 6 puts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tudy together, presenting a direction of guideline development for space design of elementary school toilets and ways to use this study for the application cases in the future. Through the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ases of guideline for space design of elementary school toilets, it has been concluded that elementary school toilets must approach aesthetically and emotionally to fit their behavioral characters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each space section must offer them environment fitting their development characters physically, and must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space to easily recognize and use them. Therefore, the study on guideline development presented by this study must be used as an index of available space design of toilets by reviewing precise items of the presented guide line and influencing factors at the time of improving elementary school toilets to be freshened and of planning co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toilets in the future. Keywords: Toilet, Elementary School, Juvenile Picture, Developmental Stage

      • 단독주택 재건축 사업추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단독주택 재건축 사업지역을 중심으로

        윤현영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1970년대 이후부터 점차적으로 건설되어 온 일반 단독주택지는 계획적으로 도로 등 기반시설이 정비된 주택지 임에도 불구하고 공동주택에 비해 노후화에 따른 재정비가 어려운 지역으로 건축물의 노후화에 따른 안전문제 이외에도 합필로 인한 무분별한 다세대, 다가구 주택 등의 건설로 인해 차후 점진적인 재정비가 어려워짐에 따라 공공차원의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서울은 도심 내 신규주택 공급을 재개발, 재건축 사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재개발 보다 사업추진이 어려운 재건축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단독주택지의 경우 공동주택 재건축과 달리 건축물 및 토지소유자가 가진 지분이 제각각이고 주택의 상태 또한 특성화 되어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이해관계의 협의점 등을 찾는 것이 어려우며 특히 이는 재건축 사업에 추진 단계에서 사업기간이 상당히 지체되는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택 재건축 사업추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사업추진 상 도출되는 문제점들을 법제도적 요인, 재정적 요인, 운영적 요인으로 나누어 파악하여 사업추진에 대한 저해요인, 지연요인 등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합관계자, 정비업체, 시공업체, 관련공무원을 대상으로 사업 참여자 집단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단독주택 재건축 사업 추진 시 가장 큰 영향요인은 조합과 조합원, 업체 등 사업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참여주체 간 갈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에 대한 개선의 시급성에 대해서는 인식되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돼 조합관계자 및 사업 참여주체의 이에 대한 인식제고와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조정기구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행정청의 소극적 행정행위, 건축법상의 층고 및 용적률 제한, 조합의 사업초기자금 마련의 어려움, 협력업체의 과열경쟁, 조합의 불투명성 및 전문성 부족 등이 사업추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단독주택 재건축 사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법․제도적으로는 첫째, 도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토지 등 소유자(조합원의 자격)에 대한 개념 재정립이 필요하며, 세입자에 대한 대책 마련, 미동의자 소유권 확보를 위해 실시되는 매도청구소송 제도에 대한 개선, 지자체의 적극적 행정행위, 건축법 및 도시계획 조례에 의한 층고, 용적률 제한의 완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정적 측면에서는 공공의 자금 및 세제지원, 조합의 사업초기자금 공공지원, 구역 내 기반시설 설치의 공공부담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적 측면에서는 참여주체 간 갈등조정 기구 마련, 업체선정 과열 방지제도 마련, 조합임원의 자격 및 도덕성검증 시스템 도입, 조합대상 교육 및 공청회 마련, 협력업체의 사업 참여 자격요건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가장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법제도적 요인이 가장 많았으며, 토지 등 소유자 문제, 세입자 문제, 층고 및 용적률 완화를 통한 사업성 제고 등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Detached houses in ordinary housing lots built since 1970s are hard to renovate compared to apartment houses although infrastructures including roads are kept in order as planned. Deterioration of buildings and resulting safety issues and indiscreet construction of multiplex and multi-family housing units on aggregated parcels or merged lots hinder gradual renovation in near future, so measures need developing in the public sector as soon as possible. As of now, supply of new houses in downtown Seoul cannot but rely o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giving rise to the necessity to promote reconstruction, which is relatively harder to develop into projects than redevelopment. Contrary to re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in detached housing lots, shares of ownership of buildings and lands are diverse and discrete. Also, conditions of houses are different, which makes it hard to agree on appropriate stakes, resulting in procrastination of reconstruction project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reconstruction projects in detached housing lots and categorized those issues arising in the process of project development into legal, financial and operational factors that hinder or cause delay in such projects. Further, to find out measures to improve the status qu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housing co-op officials, renovators, constructors and relevant public serva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performed in the present stud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developing reconstruction projects in detached housing lots is 'conflicts between participants' directly involved in projects including co-ops and co-op members and companies. Unfortunately, the urgency to improve the condition is far from percep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an arbitration institution needs adopting to release conflicts between co-op officials and participants in projects and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n the matter at hand. In addition, negative factors affecting project development include passive administrative moves in relevant public offices, restrictions on story heights and floor area ratios under the Act of Construction, difficulty in initial funding for co-ops, overheated competition between suppliers and non-transparent unspecialized co-ops. Besides, it was found that the most urgent improvement need be implemented in legal factors such as issues associated with property ownership and tenants and easing regulations on story heights and floor area ratios to boost feasibility of projec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on detached housing reconstruction and those on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call for refinements.

      • 통일을 위한 새로운 정책대안 연구

        윤현영 전남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unification policy, contents, and its political background, and thereby, the government could possibly direct and drive the proper policy against the changes of time. The unification policy and strategic basis of the North Korea is expertly shown on the socialist constitution and the rules of the Choseon Labour Party, the upper-most model of their own; therefore, it clarifies that the communizing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s the outlook of North Korean Unification policy. The fact that the policy had been changed depends on correspondence of the South Korea and its inside circumstances; moreover, it became completed as The Unification Device of Korea-Democratic Republic in 1980 ,and finally it evolved into Low-Level Federation Plan at The First South-North Korea High-Level Meeting. While on the other, the unification policy of South Korean government had also been changed throughout the alteration of political power. First, Lee Seung Man Government completely denied North Korean government internationally and morally. After 4.19 revolution in 1960, a lot of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rties and forces came out to join political activities, and dealt with unification device. Second, the former president Park Jung Hee foresee that the South Korea would not only overwhelm the North Korea economically, but also South Korea would take the practical effect of Unification effort after the democracy settle down in this country. During Park administration, North South and North Korea made the agreement of three principles, called 7.4 South and North Cooperative Declaration. After the Sixth Republic departed, 7.7 Special Declaration gained a great result. Significantly, a successful outcome from 1988 Seoul Olympic and northern diplomacy helped to present Plan for United Korean Peninsula. On third, President Kim Young Sam emphasized the realistic mutualism, based on universalism,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separated country. However, it couldnt slough off from former governments policy, which contained pressured-diplomacy based on economical superiority. In order to make unification, the peace is more important than the impetuous unification because without the construction of peace system, it would not only bring out the political chaos, but also cause the collapse of the economy. For the past 50 years of South Korean government it trials of establishing united country of South and North consequently. For that reason, South Korean government consistently kept the spirit of peace and democracy, bases on unificatopn policy. Namely, we should attain our wish,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based on uninterruption of the peace system on Korean peninsula, if we want to see our unification of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nature solved smoothly 남북으로 분단된 한반도가 반세기가 지난 현재 지난 과거의 통일정책을 분석하면서 새로운 통일정책과 방안을 수립하기위한 연구임 우선 과거의 남북한의 통일정책을 이해하고 이것을 기초로하여 새로운시대에 적절한 통일정책이나 방안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앞으로의 우리정부가 추진되어야 할 통일정책방향설정에 이바지하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