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지역 3개 여자 대학의 웹 아이덴티티(Web Identity) 디자인에 관한 연구

        李恩英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Korean universities has faced the emerged information-oriented and internationalization environment of 21st century, and has tried strengthening their mpetitiveness to survive. Accordingly, they have introduced the business image marketing, CI(Corporate Identity) into their unified UI. The Good image of company makes their customers confident and faithful to the goods and service, so it can relate with their competitiveness. These days, universities have the same situation as the above to make their customers (students, their parents, business people and faculty) confident and faithful as well. As a result, the management of UI becomes the urgent issue. Therefore, Korean universities have made the regulations about UI since early 90's and developed it mainly and practically as the promotion strategy since middle 90's. In the 21st century, the universities have faced the digital era with the most powerful and easiest public communication, the internet. The interactive system, internet is different from the old one-way communication system, and is leading the society revolution with openness and freedom. Then, universities have made the web-site and presented convenience to their customer. However, when they made the web-site, they made the mistake to depend on only technical web technology and simple operation not regarding the concept of off-line UI developed since 90's. In other words, the web-site level was stopped into the copy of printed materials and the limited usage of web-tool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were not considered important. Lack of unique identity can't take the users' interest and attraction in the on-line of enormous information mixed with useless and valuable things. Nowadays, it appears that the new area, web design gets the specialization for the internet, and more and more universities have started the renewal of their web-site to improve their social reputation and future strategy and to harmonize variable people's demand and generation gap. In a word, while the concept of UI is expanding into the web-site of internet, it becomes important issue to install the total Web Identity, and the purpose is as follows; firstly, they must take the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lobal and oriented-information ages. Secondly, on-line image, total Web Identity can make off-line UI image upgraded and more intensive. Now, this research shall choose three women universities of four-year college degree in Seoul which renewed the web-site recently as the research object, and show how well Web Identity is arranged and managed as the strategy of UI improvement. After analyze visual graphic elements focused; the web-design logo-symbol, color, typographic, layout and graphic, the result is as follows; Duksung Women's University renewed the main page of web-site in 2006, and then has shown the process to make the identity aimed for the future life with confidence and intimacy and distinct young women's image. DongDuk Women's University focused the trend excessively in the renewal, so gets the error to give the confusion in the color image because UI and Web Identity do not have onsistency about the color. Otherwis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as the best practice in the visual graphic elements of Web Identity. It shows the unified identity in the on-line corresponding to the university vision in the off-line, and realizes the top leadership of women worldwide, which is their motto and challenge strategy. The conclusion is that the UI shall be recognized clear in the conditions with Web Identity integrated and applied from UI standards, but Web Identity renewed with only trend or technology change makes it difficult to upgrade their image and work out as expected.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that Web Identity must have the consistency with UI to intensify and emphasize university visions. Moreover, the visual graphic elements in the web-design also should have reflexibility and meet users' demand according to the new society change.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교육개방을 앞둔 21세기의 급변하는 정보화, 국제화 환경 속에 국내외에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학들은 생존을 위해 기업들의 CI(Corporate Identity) 이미지 마케팅을 도입하여 통일된 UI를 정립해 오고 있다. 기업의 좋은 이미지는 고객들에게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신뢰감과 충성도를 주어 기업의 경쟁력 증진으로 연결된다. 대학도 마찬가지로 그들의 고객인 학생, 학부모, 기업인, 내부직원들의 신뢰감 및 선호도를 위해 UI의 올바른 정립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그 결과, 지난 90년대 초 국내 대학들은 UI를 도입하고, 중반부터는 홍보 전략의 하나로 UI를 개발하고 활용하고 있다. 21세기에 대학들은 교육 개방 외에 대중적으로 가장 강력한 Communication의 수단인 인터넷의 활용으로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기존의 일 방향 운영체제인 통신 시스템과는 다르게 쌍방향 운영체제인 인터넷은 사용자들에게 정보의 공개성과 자유성을 주며 사회 변화를 주도 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대학들 또한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그들의 고객들에게 편이성을 제시하려 하였다. 하지만 90년 이후 본격적으로 활용한 Off-line 상의 UI를 인터넷 웹사이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디자인이 배제된 단순한 제작 기술에 의한 행정적 운영 관리에 의존하였다. 즉, On-line 상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여 인쇄물을 화면으로 옮기는 수준에 그치거나, Tool의 한정적인 기능사용에만 머물렀다.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정보의 바다인 On-line 상에서는 사용자에게 흥미와 매력을 줄 독창적 아이덴티티(Identity)를 구현하지 못했다. 최근 들어 인터넷에 특화된 기술과 디자인을 겸비한 웹 디자인 이란 새로운 영역이 생겨났으며,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들과 더불어 대학들의 사회적 평판이나 앞으로 지향할 가치, 다양한 대내외 구성원들의 세대·기호 차이까지 융화하는 과정을 위해 웹사이트를 리뉴얼 하는 대학이 점차 늘고 있다. 다시 말해, UI의 개념이 인터넷의 산물인 웹 사이트로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통일되고 총체적인 Web Identity를 구축해야하는 당면 과제가 도출되며, 그 목적으로 첫째, 인터넷을 기반으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치열해지고 있는 국제화, 정보화 시대의 경쟁상황에서 경쟁우위(Competitive Advantage)를 지켜나가기 위해서다. 둘째, 체계적인 Web Identity 확립을 통하여 On-line 상에서 대학의 통합된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써 대학에 대한 UI 인식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새로이 리뉴얼한 4년제 서울지역 여자 대학교 3개 대학 웹 사이트들을 중심으로 대학의 UI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Web Identity가 얼마나 잘 정착되어 가고 있는지에 대해 로고-심볼, 컬러,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그래픽 등 웹 디자인 시각 구성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교별로 다음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덕성여자대학교는 젊은 여자 대학의 이미지 차별화를 분명히 하고 보다 높은 신뢰와 친근감을 줄 수 있는 대학이미지 변화를 위해 2006년 UI와 웹사이트를 리뉴얼하면서 통일된 대학 아이덴티티 정립을 위한 시도를 메인페이지의 변화를 통해 보여주고 있었다. 동덕여자대학교는 트렌드에 변화에 치중한 바람에 리뉴얼한 웹사이트에서는 UI와 Web Identity가 상반된 컬러 이미지에서 오는 대학 컬러의 인식의 혼돈을 유발했다. 그에 반해, 숙명여자대학교는 Web Identity의 시각적 요소별로 살펴보았을 때 UI적용이 Web Identity에 가장 잘 정립한 사례로 On-Off line 상의 대학의 전략과 일관된 Web Identity를 보여주므로, 대학이 모토로 하는 여성이 이끄는 세계 최고 리더십 대학을 향한 도약하는 전략을 일관된 Web Identity로 보여주고 있었다. 이 같은 대학들의 특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통해 본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Web Identity가 UI의 규정을 기초로 적용되지 못한 채 트렌드 변화에 따라 리뉴얼한 사이트 경우에는 전체적인 대학이미지 업그레이드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웠지만 UI 시스템 규정에 따른 웹 디자인으로 Web Identity를 일관되게 구성한 대학 사이트에서는 대학의 특성이 하나의 통합된 아이덴티티가 정립된 대학 이미지로 선명하게 인식되었다. 이에 따라, 보다 경쟁우위를 점유하기 위한 통일되고 총체적인 대학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서는 대학의 이미지 전략과 UI가 규정한 시스템의 범주내의 대학 UI 인식을 강화를 위한 일관성은 유지하면서 새로운 변화에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Web Identity의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심도 높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국내 대학신문 제1면 편집디자인에 관한 연구 -6개 여자대학교 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李美鎭 淑明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University Newspaper is just as significant, nevertheless existing within the university being printed for people on campus, in its roles and functions as other established media in a sense that it is for a great number of people. For the fact that it becomes the path for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ity members, its role is especially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however, it can be witnessed that university newspaper is not properly performing its role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in the campus society. To guard the power of influence and draw attention from readers as a medium, university newspaper needs to work on improving the visual aspects where it most lacks its competitiveness against other media.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solution for newspaper design with a layout that is nice to look at and easy to read through promoting individuality and distinguishment adopting positive design on the pages of newspaper. Also through analyzing university newspapers, find out what the traits of layout and editing are of university newspapers and study methods for betterment and direction of aim. This study is of something that has analyzed and arranged dividing the constituents into several categories determining that visual design of newspaper pages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in the formation of university newspaper’s image. To perform such, 6 school newspapers of domestic women’s universities –Duksung Women’s University,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Women’s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 have been chosen for the study. The Analysis on each paper has been performed around constituents of the cover page. This was in consideration of the cover page having the most exposure and contributing the most in forming the visual identity of the newspaper with the title of the paper. The constituents of design editing of university newspapers cover page can be observed divided as title of paper, typeface, color, pictures, layout, grid system, lines and space, advertisements, and etc. This thesis has analyzed comparing these constituents, set as standards, of 6 domestic women’s universities’ newspapers. Through analyzing the allocation of the consisting visual constituents, it has been pursued to seek problems in the layout and paper design, and solution for amelior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ver pages, the domestic university newspapers are making efforts in visualizing the page. However, it was noticeable that they were yet always produced within a certain frame not being able to make pages more animated for the reasons of newspaper-specific bounds. Moreover, due to using not properly defined rules, an emergence of a number of factors that are rather deteriorating the readability and causing confusion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deliver information fast and accurately through establishing consistency and unity among all of the visual constituents by maintaining harmony with considerations to space and graphics used around the page along with rules of the constituents. For newspapers to continue to maintain readers’ attention and the power of influence as a medium in the 21st century, it is crucial to no longer consider design editing as another mere process of newspaper production or a simple tool for editing pages. The participants that are involved in university newspaper should give thoughts to ‘how you can make newspaper better’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dopting the concept of art direction. University newspapers also need to continuously try to reform and renovate the pages through utilizing visual information following the change of times. 대학신문은 대학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내의 신문이라 하더라도 다중을 상대하는 매체라는 점에서 그 기능과 역할은 기성매체 못지않게 중요하다. 특히 대학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통로가 되기 때문에 그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으로 볼 때 대학 사회 안에서 대학신문은 정보 전달의 통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함을 볼 수 있다. 대학 신문이 미디어 매체로서 영향력을 지키고 독자들로부터 관심을 갖기 위해서는 다른 매체들과의 경쟁에서 가장 뒤떨어진 시각적 측면을 보완하는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신문의 분석을 통해 대학신문의 레이아웃과 편집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앞으로 대학신문이 고려해야 할 신문 지면의 개선 방안과 지향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를 연구하여 신문 지면의 적극적인 디자인 적용으로 인한 신문의 개성화, 차별화 형성으로 독자들에게 보기 좋고, 읽기 쉬운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한 신문 디자인에 대한 발전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 신문의 이미지가 형성되는 데는 신문 지면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들이 끼치는 영향이 크다고 판단하고, 그 요소들을 여러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 정리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6개 여자대학교인 덕성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교내 신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분석은 각 신문의 1면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제 1면이 가장 노출빈도가 높고 제호 혹은 면머리가 포함되어 있어 신문의 시각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대학 신문 제1면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는 제호, Typeface, 컬러, 사진, 레이아웃, 그리드시스템, 선과 여백, 광고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 6개 여자대학교 신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지면구성 시각요소들의 배치를 분석하여 신문디자인과 레이아웃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1면을 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신문들은 지면의 시각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은 신문사 특유의 한계적인 상황으로 인해 살아 움직이는 듯한 지면 제작을 하지 못하고 항상 일정한 틀 속에 갇혀 제작 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제대로 정의 내려지지 않은 규칙의 사용으로 오히려 가독성을 떨어지게 하고 정보의 혼란을 초래하는 요소들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각 구성요소들의 일정한 규칙과 주변에 사용된 그래픽과 여백 등을 고려한 조화 유지를 통해 모든 시각적 구성요소들이 일관성과 통일성을 이루게 하여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신문이 21세기에도 미디어 매체로서 영향력을 지키고 독자들로부터 관심을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편집디자인을 신문제작 공정의 한 단계로만 인식하거나 지면 편집을 위한 단순한 기능정도로만 생각하는 것을 벗어나 대학신문을 제작하는 구성원들도 아트 디렉션의 개념을 도입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신문을 어떻게 하면 더 가치있게 만들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제 대학신문도 시대의 변화에 따라 시각 정보를 통한 과감한 지면의 혁신과 편집개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 한국전통 매듭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이종규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Today modern society is becoming multi cultural society where various peoples live together and is rapidly leaping into a globalization era. These changes are reflected into fashion which mirror the culture of an era and thus fashion which all elements are merged each other and are complex and pluralized. In addition, especially trials that one finds the traditional motives of a native culture and recreates peculiar aesthetic sense through modern reinterpretation have been frequent increasingly. The fusion of Korean traditional motives and modern fashion design informs the originality of our culture and shows new aesthetic expression through the way of sharing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he modeling and sensitivity of the Orient and Occident.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developing design by understanding the aesthetic elements of traditional culture, forecasting the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knot design as an aesthetic and functional model art based on model features shown at traditional knots and expressing creativity and originality required for fashion design through the trials of changes of models by formal beauty shown at traditional knots, especially line and face. This study uses both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the study of literatures and positive research manufacturing 8 pieces of real work applying traditional knot of late Joseon Dynasty as a motive. It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proposi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Korean traditional knots and a braid, knot and tassel which composes a knot, and thus divided them by the use and type of knots and looked at the theoretical features of traditional knots.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fashion design applying Korean traditional knot, and analyzed the designs in which the decorative and functional beauty of knots is expressed. Third, this study manufactured total fifteen pieces including three pieces of jacket and three pieces of skirt, an one-piece and a shawl, two blouses and two skirts, an one-piece dress, one piece of top and a skirt applying the motives of Korean traditional knot of late Joseon Dynasty to fashion desig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rough the manufacture of works, this study could find out that because Korean traditional knots has the form of being weaved with weft and warp, their artistic value and modeling beauty is excellent as cubic form and because various expressive methods obtain various effects, the knots can be the important means in a new design developmen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re are unlimited possibilities in developing and changing new design and texture by applying the functional and decorative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knots to fashion design or textiles design and thus enlarging the application area.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expressive methods which Korean traditional knots had were decorative and functional elements and through the methods one could express in detailed and elaborately. Second, because knots and clothes were harmonized and image was given to them by expressing hand weaving silk and thin silk giving dim and quality feeling with same kind of color and therefore one could create moderate and refine beauty. Third, because Korean traditional knots had the same form as woof and warp was crossed and weaved, the artistic value or model beauty of the knots were excellent and one could obtain various expressive methods and effects. And one could know the fact that the knots could become the important means for developing new design. Fourth, the author of this study thinks that the functional form of knots improves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and applies functional and decorative features to fashion design or texture design and enlarges the application area and thus, there will infinite possibilities in developing and changing fashion design and textur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Korean traditional knots could be highly utilized in decorations area, but applying the knots to fashion design had limitations. The reason is that the method of creating knots were so complicated that it was difficult for one to learn them and it took so long time to master it. And when the author manufactured the works of fashion design in person, the author designed with quality image considering functional and decorative aspects of traditional knots. But because the author used only hand weaving silk and thin silk, the variety of materials lacked. Considering the rate that the knots were used, the works were used as decorative details rather than widely used. This is another limitation. Also, it was very difficult to collect braid having the same color as materials, and thus, we had colored and ordered the same color thin silk as materials. Thus, the variation of color of braid and various goods development is demanded. Whe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form of traditional knots is simple and uniform, it can be thought that the knots will not be harmonized with dynamic modern fashion, but the author thinks that because of such systematicness and uniformity, the knots are possible artistic materials to be systemized. Because the model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knots has high added value that people in the world can sympathize, more various approaches and trials for the systemization of creating fashion design continue to be achieved constantly, and the author wish that this study becomes a starting point for the aesthetic approach of fashion design applying new dimensional traditional knots. 오늘날 현대사회는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를 이루며 세계화의 시대로 비약적인 도약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는 패션에 그대로 반영되어 모든 요소들이 서로 융합되고 복합적이며 다원화된 패션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고유한 문화의 전통적 모티브를 찾아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독특한 미적 감각을 재창조하려는 시도가 빈번해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적 모티브와 현대 패션디자인의 융합은 우리 문화의 독창성을 알리고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조형기술과 감수성을 공유하는 방식을 통해 새로운 미적 표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전통문화의 미적요소를 이해하고, 매듭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에 근거하여 장식적, 기능적인 조형예술 디자인으로서 전통 매듭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해보고, 전통 매듭에 나타난 형태미, 특히 선·면에 의한 조형의 변화를 시도하여 패션디자인에서 요구되고 있는 창의성과 독창성을 표현함으로써 디자인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한 이론적 고찰과 조선후기 전통 매듭을 모티브로 응용한 총 8벌의 실물작품, 아이템으로 제작하여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전통 매듭의 정의, 역사적 고찰과 매듭을 구성하는 끈목, 매듭, 술에 대해 알아보고 매듭의 용도,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전통매듭을 고찰하였다. 둘째, 한국전통 매듭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매듭의 장식적, 기능적 미가 표현된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조선후기 한국전통 매듭의 모티브를 패션디자인에 응용하여 재킷 3점, 탑 1점, 스커트 3점, 원피스 드레스, 숄 각 1점, 블라우스, 스커트 각 2점, 원피스 드레스, 탑, 스커트 각 1점 총 16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전통 매듭이 갖고 있는 다양한 표현 방식은 장식적, 기능적인 요소로서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은은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실크 사를 동일 계열의 색상으로 의상과 서로 조화되도록 이미지를 부여하여 절제되고 세련된 미를 창출 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전통 매듭이 직조의 씨실과 날실이 짜이는 조직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표면의 형태가 입체적이므로 예술적 조형미가 뛰어나 다양한 소재 표현방식과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넷째, 매듭의 기능적인 형태는 편리성과 실용성을 향상시키며, 기능적, 장식적인 특징을 패션디자인이나 섬유디자인에 적용하여 활용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전통 매듭은 형태의 구성과 구조가 단조롭고 일률적이어서 역동적인 현대 패션과는 부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그러한 규칙성과 획일성으로 인하여 오히려 체계화가 가능한 예술적 소재라고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한 제한점으로는 한국전통 매듭이 장식품 분야에서는 활용도가 높지만, 패션디자인 적용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완성 형태까지 매듭을 맺는 방법이 아주 복잡하여 기법을 습득하기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패션디자인 작품을 직접 제작함에 있어, 전통 매듭의 기능적, 장식적 측면을 고려하여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디자인 하였으나, 수직실크, 실크사만을 사용하여 소재의 다양성을 표현하는데 미흡하였고, 매듭이 사용된 비율로 볼 때 광범위한 사용보다는 장식적 디자인에 강조점만이 사용된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매듭 끈 제작에 있어 소재와 동일 계열색상과 동다회 4사의 매듭 끈 수집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소재에 맞게 동일 계열의 실크 사를 특별히 염색·주문하여야만 하였다. 매듭 끈 및 색상의 다양화된 상품개발이 요구된다. 한국전통 매듭의 조형적 아름다움은 세계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고부가 가치를 지니므로 패션디자인 창출에 체계화를 위한 다양한 접근과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새로운 차원의 전통 매듭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미적 접근의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

      • 매스클루시버티(Massclusivity)와 디자인 유형 연구

        김은주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elegant purchasing style, born from economic polarization has created new purchasing trend; new design, aesthetics, and brand are to play an important role when purchasing goods. In other words, having luxury products means having products that gives the most value to users. This trend is somewhat the value of brand becomes something that brings up a company's image to be the best one, instead of just presenting companies' logo. In reflect to this trend, many companies desire to target at the driving market with luxury and authentic products. Even together with other subordinated brands, companies are in pursuit of bringing their image up to the top. The known luxury brand that acquired reliability, brand recognition, spreads over and enhances its recognition by end user's experience. The more powerful brand it is, the higher price is willing to be paid. Customers do not care about price if the product they want to purchase has acquired the fine brand recognition as they tend to presume that high cost products are produced with better design, fine material, and even with state-of-art technology. As the luxury products started to bear great profits to companies, the boom of authentic brand extended dramatically. Even middle-class customers seem to purchase high cost products. In results, general products can no longer attract any of customers, of course no profits can be made to companies. The point is that once only available luxury products become available for mass as 'Luxury for the Masses' (a phenomenon that Luxury products are available with all over the classes by introducing a variety range of price) extends, this trend represents not only volume side but price that can meet customer's satisfactory with reasonable price. A new word 'Masstige' was created to represent satisfyingcustomers who want to purchase prestige products with reasonable products. The examples are Hauzen, Samsung's prestige brand, Tromm, and THE BODY SHOP. Other examples can be found in Starbucks that serve customers with luxury interior and service but with reasonable price and Beanpole is a good example too. More and more companies started to more likely focus on mid-class customers by introducing a wide range of cost, in the light of feedback of mid-class demand. However, companies should keep up their eyes on that introducing a wide range of cost can even damage the value of brand, which means that introducing flexible costs is a good sign for mass but companies should be aware not to damage brand identity by those actions. Every single customer wants to be special, that's probably why they are attracted by unique products. Not too strangely, a few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luxury products or service article on order-base-produced. A new word 'Messclusivity', derived from 'Mass customization', represents that only limited goods are produced on the order of limited customers. This is new marketing strategy to capture increasing market for limited customers by providing fine quality and service. Also it is to introduce distinct and unique products for those who tend to care about brand, design, and image other than only its price and quality. For instance, Sony, attempted to be luxury brand producing company by introducing 'Qualia', only order base produced brand, as a new brand strategy and PUMA introduced 'Driving shoes' only limited quantity for users of MINI COOPER. Also, LG fashion launched 'ALBERO', a tailor visiting made-to-order suit,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brands. Companies are to focus on helping customers express their desires, other than just providing with luxury and expensive products. In reflect, it is believed that customers seem to have thei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s this society we live in is driven by price and image beyond quality, brand, and image. Therefore, design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based on Massclusivity and designs for practical users. Not only usefulness applies on products differently, but importance of design too. Designs for personal use going in the direction where inconvenience is acceptable if it satisfies the one in the matter of technology, characteristic and receptivity. Massclusivity design offers a new design concept that complies with customer needs for both personal and commercial side. There is sure to be most suitable design other than only luxury products. To sum, order-to-make design should comply with the purpose of using products both on practical side and usefulness side and this only can be done by accurate understandings of products. 본 연구는 최근 소비 트렌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하여 급성장하고 있는 국내의 고급 제품 시장을 분석하고 이들 시장에 대한 국내 기업 대응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다. 국내 소비자가 왜 외국 유명 브랜드 제품을 구매하는가에 가치 중심으로 살펴, 어떤 가치가 그러한 구매 행위를 촉발시키는지를 밝힘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내재한 기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 화된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소비자들의 고급 제품 구매 행동에 대한 요인을 고려하겠다. 초점을 고급 제품 시장에 맞추어 환경 변화 따른 최근 소비 트렌드 변화의 추세를 분석하겠다. 여기에는 소비자들의 태도와 동기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겠다. 명품 브랜드 제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요인을 함께 고려한다. 특히 고급 마케팅 전략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의 고급 제품 구매 동기를 파악하겠다. 둘째, 구체적인 외국 유명 브랜드들에 대한 접근과 관련하여 문화적인 관점에서 본 디자인 경향과 브랜드 전략에 대해 분석하겠다. 오늘날 성공적인 세계적 제품들이 문화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디자인이라는 점을 주지시키고, 제품 경쟁력의 근원이 바로 디자인 전략에 있음을 제시하겠다. 기능주의적 디자인을 넘어 이미지를 구매하는 트렌드로 변모하는 감성 디자인 중심의 제품에 대한 논의가 포함된다. 셋째, 현재 국내·외로 명품 브랜드 제품이 대중화됨에 따라 한 차원 상승된 ‘매스클루시버티(massclusivity)’의 소비 코드에 관련된 제품 디자인에 대해 분석하겠다. 수입 브랜드 제품이 범람하는 가운데, 매스클루시버티 제품 디자인 유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어떤 디자인 가치가 구매 행위를 촉발시키는지 파악하겠다. 마지막으로 고급 시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자료 접근과 관련하여 방법론상의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여러 방법을 통해 자료 부족의 단점을 극복하려고 시도하였으며 관련된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기존의 국내 설문조사와 통계자료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장 현황과 기업의 디자인 및 전략에 반응하는 소비 형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 배식화예디자인의 기호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주윤영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e 21st century, an ecological world view has been on the rise as people became aware of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the mechanical view of the world. With it, people turned their interests and attention to nature and environment, in badly wanting and high expecta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which uses plants with numerous functions as well as long-lasting vividness. As human beings and nature have evolved, Planted Floral Art & Design also has exhibited excellence in artistic value with high-quality skills and diversified ways of expression. Nevertheless, the fact is that the area has not been recognized or interpreted as part of plastic arts, and thus in need of more academic understanding and researches. Semiotics currently prevalent in all academic areas started to be in the limelight in art history, when post-structuralism coming into Angle-American nations was transformed into post-modernism. In this context, this study views Planted Floral Art & Design as a sign and translates it in a way of semiotics, laying a grounding work for understanding Planted Floral Art & Design. Planted Floral Art & Design is a formative art, and conveys various visual messages to viewers or users through connotational operation as a non-verbal symbolic system, creating new terminology for floral art and design in a way of manipulation, transformation and various compositions. This study intends to interpret this symbolic opera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on the basis of semiotic theory of C. W. Morris. The first chapter of this study tells about backgrounds, purpose, contents and process of this study, and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attributes and defini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helping to understand its concept through looking into other similar areas including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Its history is examined through two areas, the west and Korea. And theory on Planted Floral Art & Design is studied through its componential four elements; plants, culture base, supportive base, and sub-materials. The third chapter reviews, as a basis of interpretation, occurrence and development and two major streams of semiotics. And theory and three areas of semiotics maintained by C. W. Morris, and their relationship are studied. And, interpretation on formative arts in terms of semiotics is also looked into through visual signs, artistic semiotics, and figurative signs. Based on it, I, recognizing Planted Floral Art & Design as sign of formative arts, try to interpret, in three areas of syntactics, semantics, and pragmatics, the process it serves as signs according to its relations with sign vehicle, designatum, interpretant, interpreter. In the final chapter, based on all those research conclusions, I summarize interpreta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in terms of semiotics, and come up with ways for diverse possible evolu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With this study, I have endeavored to make Planted Floral Art & Design, a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that expresses artistic intention of artists with numerous materials, recognized as one sign of formative arts, and to pave the way for its use and receiving process (to viewers or users) in academic field, and thus solidify its place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cological paradigm and analyze in an objective way. I truly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putting Planted Floral Art & Design on a solid part of floral art and design and encouraging floral artists to create various art works in Planted Floral Art & Design. 오늘날 기계론적 세계관의 근본적인 한계에 대한 자각으로 21세기의 생태론적 세계관이 대두되었다. 이는 자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생명의 지속성을 비롯한 여러 가지 특성에 의해 다양한 기능성이 두드러지는 식물체를 주된 매개체로 하는 배식화예디자인에 대한 기대 및 필요성을 점차 높이고 있다. 그와 더불어 인간과 자연의 존재와 함께 발전하여 오늘날 수준 높은 기술과 표현의 다양성을 이룩한 배식화예디자인은 뛰어난 예술성을 보이고 있어 조형예술로서 인정하고 해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학문적 이해 및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오늘날 모든 학문에 편재하고 있는 기호학이 후기 구조주의가 영미권에 유입되어 포스트모던(Post-Modern)이라는 이름으로 변신을 꾀하면서 미술사에서 새롭게 조명 받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따라 배식화예디자인을 하나의 기호로 보고 이를 기호학적으로 해석하여 배식화예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배식화예디자인은 미술의 한 분야인 조형예술로서 조작, 변형 및 다양한 구성을 통해 새로운 화예언어를 창출하여 비언어적 기호체계로서 의미작용을 통해 감상자 혹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본고에서는 배식화예디자인의 이러한 기호작용을 C. W. Morris의 기호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Ⅰ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내용 및 방법을 밝히고 Ⅱ장에서는 배식화예디자인의 속성 및 정의, 원예와 조경 등 유사 분야의 고찰을 통해 배식화예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였으며 배식화예디자인의 유래를 서양 및 우리나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어서 배식화예디자인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 즉 식물체, 배양기반, 지지기반, 부소재를 통해 배식화예디자인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해석의 근거가 되는 기호학의 발생 및 발전, 그리고 기호학의 두 가지 큰 흐름을 살펴보고 C. W. Morris가 주장하는 기호학의 이론 및 기호학의 3분과와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각기호 및 예술기호론과 조형기호학 등을 통해 기호학 관점에서 조형예술의 해석에 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C. W. Morris의 기호학 이론 관점에서의 배식화예디자인을 하나의 조형예술 기호로 인식하고 그것을 구성하는 기호매체, 지시대상, 해석내용, 해석자의 관계에 따라 기호로 작용하는 과정을 통사론, 의미론, 실용론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Ⅴ장 결론에서는 각 장의 연구 성과들을 토대로 배식화예디자인의 기호학적 해석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배식화예디자인의 다각적인 전개를 제안함으로써 본 연구 전체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식물체 및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작가의 예술적 조형의지를 표현하는 가시적 표상체계의 한 부분인 배식화예디자인을 하나의 조형예술기호로 인식하고 그것이 해석자(감상자 또는 사용자)에게 받아들여지는 과정 및 그것의 사용에 대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여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을 굳히고 조형예술의 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사유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를 통해 차후 배식화예디자인이 화예디자인의 한 영역으로 확실히 자리 잡아 화예작가들을 통해 다각적인 배식화예디자인 작품이 창출되도록 하는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 나비 모티브 텍스타일 디자인

        송은실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Textile industry of Korea has been export-initiated structure in which a third of raw materials are imported, goods are made from them, and two third of them are exported. Our textile exports account for 10.7% of Korean total exports, and 4.6 % of the world exports, standing 5th in the world after textile exporting countries, China, Italy, German, America. It shows that the textile industry has taken an important role on our national economy. Now in 2000, the balance of payments surplus of the textile industry amounted to 13 billion 7 hundred million dollars , which was more than that of the whole industry. The textile industry has been a great contribution to expansion of our foreign exchange holding. However, there still exists some problems. Price competitiveness is weak and there are serious shortages of skilled manpower, of ability adapting design to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demand , of planning and marketing ability and of designing fashion and textile. When it is made promptly complementary measures about these problems, our textile industry will be more hopeful. It needs creative design development in textile design area and designer’s continuous research to do that. Thereupon, in this research, I examined and analyzed related technical books, pictured materials, Internet, theses and trends which domestic textile enterprise gave out. Based on those researches, I determined Design Theme as Delight of Nature. The target of it is the new generation, the young people who create unique life spaces and always pursuit the new with acting and thinking positively about the new century, new beginnings, and new lives. Therefore, the purpose of it became researching and developing the interior design suited for the young’s taste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I set a butterfly as the motif, because it is common in nature. I tried to develop various and unique designs with various techniques and many kinds of materials for expressing the feelings which the butterfly gives us, rapture, happiness, delight, etc. In case of color, I used Red, Blue, Violet, Green, and Yellow as the main colors because I thought they could show the unique mood of the butterfly and as the result of referring Trend color. Consequently, the research shows that Butterfly Motif has various change possibilities and the unlimited potential power as Design material.Moreover it is possible to develop creative design suiting to the young’s tastes thanks to the motif. I assert that we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omestic design development and level up the design qualitatively through comprehensive planning and analyzing for developing the design suitable to the needs of consumers in Korea textile design area. I expect Textile Design Industry may be the main industry in the future in our country, if we support the industry positively and innovate our consciousness, and if we try to level up the design and cultivate men of talent, going with the current of times. 우리나라 섬유 산업은 원자재의 1/3을 해외에서 수입하여 완제품을 만들고 그 중 2/3 정도를 해외로 수출하는 수출 주도형 산업구조를 갖고 있다. 우리나라는 섬유 수출액이 전체 수출액의 10.7%를 차지하여 국민경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섬유 수출국인 중국, 이태리, 독일, 미국에 이어 세계 총 수출의 4.6%를 점하여 세계 5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 현재 우리나라 섬유 무역 수지는 우리나라 무역 흑자 118억불을 상회하는 137억불 흑자로, 섬유산업은 외환보유고 확충에 크게 기여한 산업이다. 그러나 아직도 가격경쟁의 약화, 심각한 기능인력 부족, 수요의 다양화 및 개성화등에 대한 대응 능력 부족, 상품 기획 능력과 마케팅 능력의 부족, 패션 및 텍스타일 디자인 능력 부족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시급히 보완한다면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도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디자인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며 디자이너의 지속적인 연구도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출판된 전문서적과 사진자료, 그리고 인터넷과 논문, 국내의 섬유업체에서 발표한 Trend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디자인 테마를 자연의 환희(Delight of Nature)로 기획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세기, 새로운 시작, 새로운 삶을 항상 긍정적인 행동과 생각으로 자기만의 독특한 생활공간을 연출하고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감성 시대의 젊은 신세대층을 타겟으로하여 실내디자인용 텍스타일디자인을 연구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는 자연에서 흔히 볼수 있는 나비로 모티브를 정하고, 나비에서 느낄 수 있는 환희, 행복, 기쁨 등을 여러가지 기법과 재료를 통해 다양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Color는 나비에서 느낄 수 있는 화려하면서도 신비로운 나비만의 독특한 분위기와 Trend Color를 참고하여 Red, Blue, Violet, Green, Yellow를 주조색(Main Color)으로하여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나비 모티브가 다양한 변화 가능성과 디자인의 소재로서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나비를 소재로 함으로써 젊은층의 기호에 맞는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을 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가 국내 자체 디자인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기획과 분석으로 연구 개발하여 디자인의 질적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본다. 우리나라도 시대의 흐름에 맞게 섬유디자인의 적극적인 지원과 디자인에 대한 국민의 의식개혁을 통해 디자인 자체의 질적 향상과 그에 따른 우수인력 양성을 도모한다면 디자인 산업이 우리 미래 사회의 주요 산업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에 대한 연구 : 이케아(IKEA) 사례를 중심으로

        이솔지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최근 다양해진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리빙브랜드와 브랜드 이용자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판매촉진, sales promotion)을 위해 해외 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에 관한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향후 관련 국내 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에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2012년부터 2014년 10월까지 서울 및 경기도에 입점한 해외 리빙브랜드 중 국내 입점한 리빙브랜드와 국내 입점 예정인 리빙브랜드로 구분하여,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를 병행하였다. 1차의 조사대상은 20~40대의 젊은 세대를 겨냥한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브랜드(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로 선정하였고 2차의 조사대상은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경기도 광명시에 입점예정인 이케아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대상은 브랜드와 고객과의 접점인 그래픽 아이덴티티(G.I), 프로덕트 아이덴티티(P.I), 스페이스 아이덴티티(S.I)와 오프라인 (전시형, 퍼포먼스형, 체험형, 공모형, 캠페인형) - 온라인 (브랜드형, SEO형, SNS형, MPR형, 체험/리뷰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 조사대상의 리빙브랜드는 오프라인인 전시형과 퍼포먼스형. 체험형의 G.I , P.I 프로모션 디자인 활동이 활발하였으나 상대적으로 공모형과 캠페인형 프로젝트형, 세미나형에서는 그 활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2차 조사 대상의 이케아는 해외 매장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으로써, 세계적인 프로모션 디자인 활동이 관찰되었으며, 현재 국내에 입점된 해외 리빙브랜드인 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에서 관찰 할 수 없었던 캠페인형, 세미나형, 프로젝트형에 해당되는 프로모션 디자인 활동이 나타났으며, 오프라인은 전시형을 통해, 온라인에서는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리빙브랜드 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과 국내 입점할 이케아의 프로모션 디자인 사례분석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G.I, P.I 의 따른 프로모션 디자인이 S.I 프로모션으로 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S.I 프로모션 디자인의 특징으로, 독립된 부스공간의 구조로, 오픈형 ZONE을 형성하였고, 이용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제품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프로모션 존(Promotion Zone)의 지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시장에 입점한 리빙브랜드 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과 입점예정인 이케아를 통한 프로모션 디자인 방향을 G.I , P.I , S.I 의 총제적 디자인 방향으로 ´토탈 스페이스 디자인(Total Space Design,이하 TSD )화´ , 브랜드와 이용자의 접점을 강화하기 측면으로 ´퍼포먼스 & 체험 마케팅(Performance & Experience Marketing,이하 PEM )화´, 온, 오프라인 영역의 확장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증강현실 프로그램(Augmented Reality Program,이하 ARP)화´로 나누어 그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리빙브랜드와 이용자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모션에 관한 연구로써 국내 입점예정인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기업 이케아(IKEA)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에 국내 토종 리빙브랜드들도 이러한 해외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의 매뉴얼을 통해 이용자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향에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 기대해 본다.

      • 화예설치미술에 관한 연구

        윤숙병 淑明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Works of art are constituted of internal and exterior factors; inherent passion in the artists is externally displayed through a perceptible physical form, and thereby a work of art is created. As such, floral art and design is also an artistic act of a floral artist who represents the interior world of a human by the medium of natural materials. Coming to the modern times, the aesthetic awareness grows individualized, demanding deeper artistic and academic search. While a number of artistic forms seek for pulling down the boundary of each genre and sharing each other's form instead, the circle of floral art and design finds its contours of expression indistinct, as forms and domains of each genre are overlapp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its major theme on the premise of designating the form of installation art in the area of floral art and design as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as viewers perceive art works within a space, an active and astringent space devoted to floral art and design works. First, concerning setting a standard for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of this study, floral art and design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rtistic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distribution (design expression); artistic expression means composition of factors of plastic art to create nonpractical forms such as paintings or sculptures, and represents freedom and experimental significance and thoughts in visible forms or objects. This leads humans' ego and the spiritual world and unconsciousness out of sight, to the world of ideas and conception going beyond the realm of reason. Furthermore it transforms nonlogical, emotional and intuitive inner lives into formalized and objectified ones through artistic symbols and signs. The study thus aims to interpret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pure art, a way of artistic expression, on the basis of installation works of art displayed in a space focusing on artists and viewers. Selection of art works for this study is limited to those created with natural materials, a major characteristic of floral art and design. The study takes research methods from the standpoint of conceptualism, correlation and realism, which borrow from philosophy's conceptualism, correlation and externalism. This study has been basically done in a same way as that of [A Study on Distinctions of Kineticism in Floral Art and Design] written by Park, Kyung Ok, discussing expression of art work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rt history. For floral art and design has yet to establish its own framework for analysis due to lack of expression and theoretical researches. Different from installation arts, representation in floral art and design is based on nature and forms, and is expressed in a differentiated shape with natural beauty derived from materials from nature. Also it leaves much to be divided technically in expression, and has inherent distinction that expresses vitality and natural embodiment which plants possess. And thus those characteristics of floral art and design prevent it from using a same framework for analysis with that of other genres, and takes realism as a standard for interpretation, in order to define distinctions of expression that only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holds. As described abov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lies in acquiring artistic property of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uggest fundamental grammar for new environments and changed concepts to floral artis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makes aware of possibility for supplementary and complementary thoughts toward expansion of its scope from object art to space art through forming a groundwork for expression process and coming up with future direction for it on the basis of concrete theory and interpretation in the field of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which has been transitional, experimental and ambiguous. 예술가의 영혼 속에 내재된 내적 감정은 감각된 물리적인 관계에 의하여 외적인 요소로 표현되며 그 결과 예술작품이 생성된다. 화예디자인 역시 작가가 자연 소재를 매개체로 사용하여 인간의 내적인 조형세계를 외적으로 표현하는 예술적 행위이다. 현대에 이르러 미의식이 개성화되고 변화, 발전함에 따라 예술적, 학문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많은 예술 형태가 장르의 파괴, 형식의 공유를 추구하고 있는 가운데 화예디자인에서도 표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형식과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는 화예디자인에 나타나는 전시의 형태를 화예디자인 작품 자체에 충실한 적극적인 공간인 수렴적 공간과 확산적 공간에서, 관객이 공간 내에서 작품을 느낀다는 전제하에, 화예디자인에 나타나는 설치미술의 형태를 화예설치미술이라고 명명하여 본고의 논의를 전개코자 한다. 먼저 화예설치미술에 대한 기준설정을 하면, 화예디자인은 크게 예술적 표현(Expression)과 디자인 표현(Communication Distribution)의 조형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술적 표현이란 회화나 조소처럼 비실용적인 형태를 만들기 위한 조형 요소들의 구성으로 자유로움과 실험적인 의미와 사상을 가시적인 형식이나 대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보이지 않는 인간의 자아, 무의식과 정신적 세계, 곧 이성의 영역을 넘어선 관념세계로 인도하고, 인간의식이 표현된 예술적 상징에 의하여 비논리적, 감정적, 직관적인 내적 생명을 형식화하고 객관화한다. 한편 디자인 표현의 조형활동이란 실용을 목적으로 하는 조형요소들을 구성하는 것으로, 재료로서의 물체(object)와 인간과의 관계에서 제안된 일련의 계획 또는 결과물을 말한다. 즉, 디자인은 필요에 의한 모든 조건인 목적, 재료, 표현, 수단, 효과 등의 구성 요인을 해결하여야 하는 기능적, 합리적, 과학적, 체계적 요구에 근거하는 객관적 사고 시스템에 의한 형태화이다. 이에 본고는 순수미술의 화예설치미술을 예술적 표현으로 해석하고, 공간 내에서 작가와 관람자 중심으로 전시된 설치미술 작품을 기준으로 삼는다. 또한 화예디자인에 나타나는 소재의 특성인 자연소재를 주재료로 조형화된 작품으로 한정된 분류기준을 선정하였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철학의 개념론, 상관론, 실재론을 차용하여 개념론적 시점, 상관론적 시점, 실제론적 시점을 본고의 연구방법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개념론[槪念論, conceptualism]은 극단적인 유명론(唯名論)과 극단적인 실념론(實念論)의 중간에서 보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학설로 한 무리의 개개의 것에서 공통적인 성질을 빼내어 새로 만든 관념이다. 일단 개념이 몇 가지 만들어지면 전체를 통일하는 성질에 관한 개념이 다시 만들어 질 수 있다. 새로이 접한 하나의 사항에 대한 경험을 거듭하여 그 사항에 잘 부합할 때 개념이 선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설치미술과 화예설치미술의 성격과 공간에 대한 이해를 위해 개념론적 시점을 고찰하였다. 상관론[相關論]은 신(神)처럼 하나의 꼭지점에서 모든 것이 출발하는 수직 하향적 구조인 '인과론적 사유'와 대비되는 것으로 노자 외에도 붓다와 하이데거 등의 사상에서 발견된다. 상관론적인 접근은 두개의 양이나 현상이 어느 정도 규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변화되어 가는 성질로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연관된 관계로서 본고에서는 아래와 같은 사유로 이러한 시점을 설치미술과 화예디자인의 분석의 시점으로 삼았다. 설치미술에 대한 자료조사를 하던 중 국내에서 발간된 이론서적, 참고문헌은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이 대두되기 시작한 때부터 조사되었던 자료들로 한정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설치미술의 시대적 배경은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현재까지의 것으로서 21세기의 설치미술에 관한 참고문헌이 필요하였다. 그러던 중 런던의 Guildhall 대학에서 건축, 순수 미술, 예술 역사와 이론, 그리고 예술 관리를 가르치는 Nocolas de oliveira와 예술가이며 같은 대학의 선임자인 Nicola Oxley, 런던에 사는 예술가이자 비평가이고 또한 1990년도에 공동으로 설치미술을 위한 특별 장소, 전시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박물관을 런던에 만든 Michael Petry의 공저인 [Installation Art 1994. Thames & hudson]과 [Installation Art in the New Millennium. 2003. Thames & hudson]를 찾을 수 있었다. Installation Art(1994)에 분류된 설치미술은 장(Site), 미디어(Media), 갤러리(Gallery), 건축(Architecture)으로 Site(장)에서 표현되어지는 설치미술을 분류하였고, Installation Art in the New Millennium(2003)에서는 기존의 것에서의 탈출(Escape), 설치작가와 미술관(Author and Institution), 교환과 상호작용(Exchange and Interaction), 시간과 이야기(Time and Narrative), 관람자(The Body of the Audience)로 분류되어 21세기에 들어 설치미술의 분화된 모습을 담고 있었다. 이에 본고는 위 저서를 분류기준의 모형으로 삼아 분석하여 공간이라는 범주(範疇, category)에서 행해지는 설치미술을 공간, 기술매체, 행위의 3개의 소범주로 나누고 1. 공간에서의 유형별 표현, 2. 기술매체의 활용적 표현 3. 표현행위와 관객참여 표현으로 분류하였다. 위의 표현사례를 조사하던 중 화예설치미술에서의 기술매체 활용 및 행위미술 사례의 부족이 입증되어, 구성 전반의 시각적 요소에 내적인 상호관계를 갖는 시각으로 화예디자인과 설치미술의 상호연관 관계에 대한 연구, 곧 상호간의 비교시점인 등가를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하는 상관론적 시점에서 설치미술과 화예설치미술의 표현유형을 연구, 분석하였다. 실재론[實在論, realism]은 인식론(認識論)의 사고방식으로 의식이나 주관과 독립된 객관적 존재를 인정하고 그것을 올바른 인식의 목적 또는 기준으로 삼는 입장이다. 본고에서는 3장에서 도출된 화예설치미술만이 갖는 표현 특성을 실재론적 입장에서 예술적으로 재해석 하고자 하였다. 선 연구 사례인 박경옥의 「화예디자인에서의 키네틱적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미술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예술작품을 표현하는 방법을 논하는 연구방법을 차용하였는데, 이는 타 장르와는 달리 화예디자인에서는 아직 자체만의 분석의 틀을 갖추기에는 이론적인 고찰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예디자인은 그 표현 특성상 설치미술과는 달리 자연과 조형 위에 성립되고, 재료중심의 범주화로 자연미를 지닌 차별화된 예술로 표현되며, 표현에 있어 기술적인 분화가 덜 되었으며 식물 자체가 갖는 생명력과 자연적인 구현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본질적인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화예디자인에는 타장르와 같은 분석의 틀을 사용할 수 없고, 화예디자인만의 분석의 틀이 필요하여 실재론을 해석의 틀로 삼아 화예설치미술만의 표현특성을 재해석 하였다. 이상의 내용으로 요약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화예설치미술의 예술적인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화예작가들에게 새로운 환경과 변화된 개념과 관련한 기초적인 문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 실험적이며 모호한 과도기 상태의 화예설치미술에 구체적인 이론과 해석을 토대로 한 작품 표현 프로세스(Process)의 기틀을 마련하여 미래의 화예설치미술에 방향을 제시하고 오브제 아트에서 공간으로의 확대에 대한 보충적이고 보완적인 사고에 대한 가능성을 인식하도록 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화예설치미술의 표현기법, 재료의 활용 등의 영역은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으므로 앞으로 이와 같은 분야에서 화예설치미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화예디자인에 내재된 오브제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진현주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브제(object)는 일반적으로 물체, 대상, 객체 등을 의미하나 미술용어에 있어서는 주제에 대응하여 일상적, 합리적인 의식을 파괴하는 물체 본연의 존재방식을 위해 사용된 언어이다. 따라서 창조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현재료와 대상 표현을 어떻게 결부시키느냐 하는 점에서 볼 때 조형예술분야에 나타난 오브제의 개념 범위는 광범위하며 그 영향은 실로 크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화예디자인(Floral art & design)에서의 오브제의 개념은 매우 한정된 의미로만 파악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형 예술사적인 측면에서 오브제의 개념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생성되고 변화되어 현대에 이르렀는지 20세기 미술사에 나타난 오브제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자연성과 예술성에 근거하여 그 근본부터 오브제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 화예디자인과 오브제의 상관적 관계성을 규명하고 화예디자인의 오브제적 의의를 논한다. 그리고 오브제로서의 화예작품을 한정적 내부공간과 외부 자연환경에 도입했을 때 환경·설치로서 화예오브제(Floral object)의 표현특성에 대해 순수와 응용예술로서의 화예오브제로 나누어서 각각의 특성을 고찰한다. 환경·설치로서 화예오브제의 표현특성을 토대로 오브제적 연출기법에 의한 화예오브제의 사례를 입체와 공간예술로서의 화예오브제로 나누어서 연구한다. 즉 초현실주의의 데페이즈망기법, 콜라주기법, 자연기법, 키네틱 아트의 키네틱기법, 팝아트의 확대기법, 반복기법, 컴바인기법 그리고 누보레알리즘의 앗상블라주기법, 재현기법, 포장기법으로 분류하여 각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화예디자인에 내재되어 있는 오브제적 표현특성에 대해 논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브제로서 화예디자인이 갖는 함축적인 의미를 인식하고 공간 내에서 새로운 조형언어로써의 화예오브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화예디자인과 오브제의 관계성은 하나의 시도이며 이 시도가 화예디자인계의 다양한 해석과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또 다른 시도를 위한 밑거름이 되길 바라며, 다양한 실험적 사고에 의한 화예오브제가 재료영역과 표현영역의 확대뿐만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현실을 예술로 승화시켜 예술과 대중이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오브제로서 새로운 장(場)을 마련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An object usually means a thing and a subject, but is used for a way of existence of the true thing that destroys routine and rational consciousness by corresponding to the theme in an art term. In considering how expression materials must be connected with object expression as means for cre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conception of an object expressed in the field of formative art is of a very wide range an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However, it is true that the conception of object in floral art and design has been understood as so a limited meaning.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object expressed in the 20th century art history including what the conception of object is in the respect of formative art history and how it has been formed and changed and then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objects and floral art and design with an inherent element as an object on the basis of naturalness and artistic beauty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floral art and design as an object. Introducing floral arts both to the limited interior space and to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it divides expressional properties of floral object as environmental installment into that as pure or applied art to consider each property. Based on expressional properties of floral object as environmental installment, this study examines the cases of floral object by objective expressional technique by dividing them into floral objects as cubic or spatial art. That is, by classifying them into depaysment, collage, and natural method of surrealism, kinetic method of kinetic art, enlargement, repetition, and combine method of pop art, and assemblage, representation, and wrapping method of Nouveau Realism, it analyzes each case and discusses expressional properties as an object in floral art and design. This study understands the implicit meaning of floral art and design as an object and tries to find possibility of floral object to be a new formative language in a space. To correlate floral art and design with an object is one of the attempts, which is expected to be a basis of another attempt in diverse interpretations and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floral art and design. It is also expected that floral object by various kinds of experimental thinking not only expands material and expression areas but also sublimates social and cultural realities in art to prepare a new place as an object enabling the public and art to keep tune with each other.

      • 한국과 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에 관한 비교연구 :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중심으로

        증묘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 대한 리빙스타일디자인을 비교함에 있어서, 양국의 의식주를 담는 기본 생활공간인 아파트에 대한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연출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리빙스타일디자인의 개념과 시대적인 유형 및 모델하우스의 구성요소를 기본 이해에 두고, 양국의 모델하우스의 변천 및 현 현황 조사를 통하여 연출에서 기능적 측면과 장식적 측면의 스타일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연출 특성에 대한 선호도 및 연출 유형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 활용과 각국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는 척도로 서로의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하는 의미와 가치를 두는데 목적이 있다.이에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에 관한 비교 연구>라고 제목하고, 제1장의 서론, 제2,3,4의 본론, 및 결론으로 구성 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의의, 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에 관해서 논한다. 또한 본 논문의 시대적 대상이 되는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유형은 서구의 실내 장식사에서 있어서 종교를 비롯한 특수 공간이 일반화되어 개인공간에서 장식이 보여지기 시작하는 바로크시대에서부터 현재시점까지 한다. 또한 공간적 대상이 되는 모델하우스는 서울과 상해의 실제적 조사를 통하여 시대적 변천 및 현 현황과 구성요소로 나누어 고찰한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리빙스타일디자인에 기초가 되는 역사적 경위와 유형을 제 1절에서 논하고. 제2절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 관하여 변천 및 현 현황 그리고 리빙스타일디자인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3장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서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사례고찰>에서는, 제2장을 근거하여 제 1절에서는 분석 대상과 분석방법 및 분석요소에 관하여 고찰한다. 모델하우스의 조사대상은 각 국의 부동산 회사에서 2012년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 의해 선정한다. 분석요소는 모델하우스의 구성요소에 근거한 고찰 대상으로 연출에서 있어서 기능과 장식적 측면의 요소를 1형태/패턴 2재료 3색상으로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 형태와 패턴은 TTSS 형태환, 재료와 색상은 고바야시의 이미지 스케일을 도입하여 포지셔닝 방법으로 스타일을 분석한다. 나아가 분석 방법의 포지셔닝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제 2절에서는 사례분석을 위한 예비적 고찰로 바로크시대에서 현재 포스트 모던니즘까지 동ㆍ서양의 시대적 리빙스타일디자인을 고찰함으로써 포지셔닝에 대한 기준을 설정한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하여 제3절에서는 한국의 모델하우스, 제4절에서는 중국의 모델하우스를 기능과 장식적 연출요소로 나누어 고찰한다. 그리고 제5절 에서 3장의 전체를 정리한다. <제 4장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서 리빙스타일디자인 비교>에서는, 사례조사의 비교를 정리하고 있다. 제 1절에서는 모델하우스에 대하여 제 2장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한국은 주민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며, 중국은 생활 공간인 아파트로 사후 활용도가 상이하며, 제 2절에서는 공간구성의 비교로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한국과 중국의 생활공간구성에 관한 차이점을 발견한다. 제 3 절과 4절은 한국과 중국의 연출에 관한 비교로 기능과 장식적 측면의 스타일을 도출함으로써 한국은 1미니멀 스타일 2 캐주얼 스타일 3하이테크 스타일로, 중국은 1 신고전 스타일 2 미니멀 스타일 3 하이테크 스타일로 리빙스타일디자인에서 선호하는 스타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했다. 제 5 절에서 한국과 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요소의 연출 특성에 관한 비교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총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 결론>에서는 이하3항목, 즉, 1. 모델하우스의 사후 관리 비교, 2. 음식문화에 따른 생활공간구성의 비교, 3.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연출 선호도 비교에서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본 논문의 결론으로서 논하며, 한국과 중국에서 리빙스타일디자인의 비교를 통하여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연출의 기초적 자료 활용 및 향후 동아시아의 중심시대에 각국의 주거문화에 대한 가치를 이해는 방향으로 본 논문 전체를 맺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