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러닝 유형에 따른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연구

        서원경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브랜디드형 사이버가정학습과 사이버형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 학생은 인천에 소재한 G중학교 3학년 학생90명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교실수업, 브랜디드형 사이버가정학습, 사이버형 사이버가정학습을 적용하였으며, 사전 및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 수학적 성향 검사를 통해 결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교실수업을 실시한 반과 브랜디드형 사이버가정학습을 적용한 반의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평균을 비교한 결과 p=0.048<0.05로 5%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상위, 중하위, 하위수준의 학생들의 성적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수학적 성향에 있어서는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p=0.028<0.05로 5%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브랜디드형 사이버가정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통적인 교실수업을 실시한 반과 사이버형 사이버가정학습을 적용한 반의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평균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으나, 사이버형 사이버가정학습을 적용한 반의 평균이 7.53점 높았으며, 중상위, 하위수준의 학생의 경우 성적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수학적 성향에 있어서는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p=0.026<0.05로 5%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이버형 사이버가정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 브랜디드형, 사이버형,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적 성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e-Learning type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Won Kyoung Seo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Seoul,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unho Song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 efforts on Cyber Education as a means of advancing public education, solving educational differences of regions and reducing a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of school parents. There are three types of e-Learning by the Korea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They are traditional classroom type, Blended type, Cyber type. Each type has different properties and practice directions. To compare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raditional classroom type, Blended type and Cyber type, 30 students of G girls' middle school in S-gu of Incheon were subjected to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he Blended type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30 students of the same school were subjected to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he Cyber type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while 30 students were not subjected to the system at all. 'Achievements Test' and 'Mathematical Tendency Inventory' were conducted in the beginning and in the end. As a result, A study on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e-Learning type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has the following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mathematics abilities: First, the students who were subjected to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he Blended type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wed improvements in the significance level of on Mathematics Achievements compared to those who weren't. The students who were subjected to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he Blended type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wed positive effect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on Mathematical Tendency. Second, the students who were subjected to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he Cyber type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wed no statistically-significant improvements in mathematics achievements compared to those who weren't. It was shown that were changes in improvements to some degree. the students who were subjected to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he Cyber type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wed positive effects in significance level of on Mathematical Tendency. Keywords : mathematics, e-Learning, Blended type, Cyber type, Mathematics Achievements, Mathematical Tendency.

      • 우리나라의 비밀기록 관리 현황에 관한 연구

        서원경 부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information disclosure is actively requested, loopholes of the government's Records Management System have exposed. Important documents of government have been disposed, lost, and closed to the public by the reason that they are 'classified.'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Researches on classified records are necessary to reveal the historical tru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rgan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the management of classified documents of the government institutions. Direct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rough e-mail and telephone were made as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classified records management, it is found that the classified records management is poorly implemented in Korea. This study especially deals with the classified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speci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such as legislative, judiciary, and military agencies. Though this study deals with a specific part of government, it may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classified records management in government as a whole.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 및 또래관계와 심리사회적 적응

        서원경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that children’s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s and their peer relations have on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and then it focused on ways of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eir roles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Study areas cover children’s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s, their peer relations and problem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program satisfaction, peer relations, and their social ability.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program satisfaction, peer relations, and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Variables affecting problem behaviors include social withdrawal, thinking, and distraction; variables affecting social ability include sociability and subscales of academic capability; which were used to examine variabl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program satisfaction, peer relations, and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To measure program satisfaction, the study used scales translated and adapted by Suh Young-Sook et al. (2000); to examine peer relations, scales translated and adjusted by Han Mi-Hyun(1996). To measure variables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tudy used K-YSR(Korean version of Youth Self Report), developed by Achenbach(1991) and translated and standardized by Oh Kyung-Ja et al. (1997). SPSS 12.0 was used in analyzing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llow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was relatively high among children who visit Community Child Centers. Although these children are from low-income families with financial difficulties, they appear to get positive influences in psychosocial adjustment due to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parents and siblings, care and education from after-school teachers at Community Child Centers, socializing with friend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he centers. Seco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s, peer relations, and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the more children at a Community Child Center are satisfied with its program and the better they socialize with their peers, the less likely they show problem behaviors and the higher their social ability is. Third, it turned out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s and their peer relations. It is indicated that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peer relations, and satisfaction with various culture programs affect their psychosocial adjustm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또래관계가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의 효과성 및 그 역할을 넓히고 저소득가정 아동의 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 및 또래관계와 문제행동, 프로그램 만족도 및 또래관계와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문제행동 변인은 사회적 위축,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의 문제와 사회적 능력 변인은 사회성, 학업수행능력의 하위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만족도 및 또래관계와 심리사회적 적응 변인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18개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임의표집과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선정 하였고, 20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77개를 회수 그 중 성의 있게 응답한 172명을 연구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서영숙 등(2000)이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한미현(1996)이 번안,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심리사회적 적응 변인의 측정은 Achenbach(1991)가 개발한 YSR(Youth Self Report)을 오경자 외(1997)가 번안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자기행동평가척도(K-YSR)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가정이여서 경제적 어려움은 있지만 부모․형제와의 정서적 지지, 친구․공부방 선생님의 보호 및 교육, 이해와 관심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조사대상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만족도 및 또래관계와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프로그램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래관계가 원만할수록 문제행동은 감소하고 사회적 능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만족도와 또래관계와의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느끼는 학습, 친구관계,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만족도는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에 지역아동센터가 보호, 교육, 정서적․심리적 안정감을 물론이고 아동들의 욕구를 잘 반영하여 유익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또래관계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사업규모에 따른 직원의 직무중요도, 직무수행도,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분석

        서원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search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ob importance,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CCFSM) according to the budget size by less than 400 million won and 500 million won as well a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job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Research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8 on team staffs and team leaders working at the CCFS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rough direct visits and mail. Of the 265 questionnaires distributed, 239 were collected and 237 (89%) were used as analysis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job importance,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24.0. Research Results : The budget size of the center of the surveyed one was 100∼700 million won, 53.4% ​​was less than 400 million won, and 46.6% was over 500 million w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according to the budget size. However, in terms of job importance, ‘round visits’ (4.61 ± 0.44 points, 4.60 ± 0.52 points) and ‘education by subject’ (4.31 ± 0.56 points, 4.44 ± 0.51 points) were high at less than 400 million won and 500 million won, and also in terms of job performance, ‘round visits’ (4.48 ± 0.58 points, 4.39 ± 0.64 points) and ‘education by subject’ (4.30 ± 0.59 points, 4.38 ± 0.59 points) were high.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job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ess than 400 million w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ound visit’ (p<0.05) and ‘specialized business’ (p<0.05).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job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ore than 500 million w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work’ (p<0.001), ‘menu management’ (p<0.001), ‘round visit’ (p<0.001) and ‘specialized business’ (p<0.001).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satisfaction of employe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budget size (p<0.01).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ary and benefits’ (p<0.05), ‘educational opportunity’ (p<0.01),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p<0.01), ‘working environment’ (p<0.001),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p<0.001). The proportion of employees with turnover intention was 55% of those in less than 400 million won and 47.8% of those in more than 500 million w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related attitude of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ess than 400 million won (3.41 ± 0.70 points) and more than 500 million won (3.20 ± 0.88 points) according to budget size. The reasons for turnover were 52.3% and 52.0% of ‘salary’ at less than 400 million won and more than 500 million won, followed by ‘difficulty of security of status’ (40.9%, 41.3%), ‘working environment’ (18.2%, 18.7%), ‘expiration of contract’ (9.1%, 16.0%), ‘relations with director or cook’ (4.5%, 4.0%).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s' job importance,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budget size of the CCFSM, less than 400 million w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r=0.965, p<0.001)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r=-0.337, p<0.01). More than 500 million w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r=0.961, p<0.001), job importance and job satisfaction (r=0.213, p<0.01),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r=0.206, p<0.01)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r=-0.500, p<0.001). Conclusion : Therefore, job training needs to improve the job importance of employees an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asks with high difficulty. Improvements in employee welfare related with salaries and benefits are needed to enhance employee satisfaction and reduce turnover intention. Exchange of other CCFSM and cooperation with the institutions (e.g. Center for Central FSM, MFDS) are needed to ensure that the center's operations are diverse and effective. Labor conditions of CCFSM should be changed to relieve the employee’s job insecurity.

      • 보육교사와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야간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원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가정 구조와 근로 형태가 다양화되면서 기존의 주간보육 운영시간 이상의 장시간 보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야간보육이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야간보육이 양적인 팽창은 계속되고 있으나 야간보육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이 없어 질적인 수준은 양적인 팽창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야간보육프로그램 상황 및 야간보육프로그램 참여 영아의 행동 특성 등 야간보육프로그램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하다. 야간보육프로그램 참여 영아의 사례를 조사한 연구를 살펴보면, 야간보육프로그램 대상 영아의 대다수가 야간보육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정서적 불안과 산만한 행동과 같은 불안정 애착 행동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 행동 특성을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야간보육프로그램 대상 영아가 야간보육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야간보육교사와 불안정 애착을 형성함으로서 나타나는 행동적 특징이라고 추정된다. 그러므로 야간보육프로그램은 야간보육 상황을 고려한 영아-야간보육교사의 애착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야간보육프로그램의 상황 및 야간보육프로그램 대상 영아의 행동 특성에 적합한 애착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야간보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영아-야간보육교사의 애착 증진 및 영아의 행동특성, 영아-야간보육교사 애착 증진 과정, 야간보육교사의 애착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문헌 고찰과 야간보육프로그램 현황 및 요구도 조사, 동일 야간보육프로그램 대상 영아가 주간보육프로그램에 참여했을 때의 행동 특성과 야간보육프로그램에 참여했을 때의 행동 특성 비교조사, 야간보육프로그램 대상 영아가 야간보육프로그램에 참여했을 때의 행동 특성 조사 등의 기초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 목적 및 목표 설정,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방법, 교육과정 운영원리, 평가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야간보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보육시설 두 곳을 임의 표집하고 야간보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8개월에서 36개월 미만 영아 중 불안정 애착아로 분류된 영아를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애착Q-set, 호기심 상자, 2-3세용 아동 행동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영아를 관찰기록하고 실험집단 야간보육교사와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ann-Whitney U test와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야간보육교사 애착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애착 Q-set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야간보육프로그램은 영아-야간보육교사 애착 증진에 효과가 있다. 둘째, 야간보육프로그램 대상 영아의 탐색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탐색 깊이와 넓이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야간보육프로그램이 영아의 탐색 수준 증진에 효과가 있다. 셋째, 야간보육프로그램 대상 영아의 불안 및 위축 행동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불안 및 위축 행동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영아-야간보육교사 불안 및 위축 행동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넷째, 관찰기록을 통해 야간보육프로그램 대상 영아는 프로그램 적용 초기에는 야간보육교사를 거부하다가 프로그램 적용 중기에는 야간보육교사의 상호작용 및 신체접촉 시도를 무시하고 놀이 활동에 방관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 중기의 후반부에 오면 애착 형성 과도기적 행동이 나타나고 프로그램 후반기에는 야간보육교사를 거부하고 무시하는 행동이 줄어들고 안정된 모습이 나타났다. 다섯째, 실험집단 야간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 관찰 및 면접을 통해 야간보육교사는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야간보육교사의 역할이 영아의 부모가 데리러 올 때까지 신체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것으로만 인식하고 있었으나 프로그램 적용 중 영아와의 안정애착 형성이 야간보육교사 역할에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고 애착 증진을 위한 다양한 요소가 영아와의 상호작용과 놀이 활동 중에 포함되도록 노력하게 되었고 스스로 상호작용에 대한 평가를 하여 이후 상호작용에 반영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야간보육프로그램은 영아-야간보육교사 애착 및 탐색 증진, 영아의 불안 및 위축 감소, 야간보육교사의 애착에 대한 인식 변화에 효과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야간보육프로그램 실태 및 야간보육교사 상호작용의 문제점, 교사 교체에 따른 영아 행동 변화 등과 관련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고 이를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야간보육 현황과 야간보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영아의 특성을 고려한 야간보육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이다. 또한 영아-야간보육교사 애착 증진 과정 및 야간보육교사의 애착에 대한 인식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야간보육프로그램을 확장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야간보육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후속연구 연구는 애착 이외의 발달 영역을 포함한 세분화된 월령으로 구분된 연간야간보육프로그램 개발과 부모 및 부모-야간보육교사의 관계를 고려한 프로그램으로 구성이 요구된다. As the family structure and work types become diversified, necessity for long-time child care service in excess of the operation hours of the existing daycare centers has become emphasized. As a countermeasure for such demand, the nighttime child care service began established. However, despit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nighttime child care services, the qualitative standard of the service is short of the quantitative expansion as there are no programs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nighttime child care service. Therefore, it is an urgent issue to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by reflec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such as of the status of the program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participating in such programs, etc. Looking at the case studies of infants participating in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it has been insisted that most of the infants subjected to such programs display behavioral patterns, which can be specified as an unstable attachment pattern, such as of mental insecurity and desultory actions, etc. Such behavioral pattern is presumed to have been caused as the infants in nighttime child care centers form unstable attachment with the child care teachers. Therefore,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is to be developed so that to increase degree of attachment between infants and child care teachers by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nighttime child car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d applying a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targeted at increasing attachment suitable to behavioral patterns of the target infants and status of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thus at investigating the increase of attachment between infants and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patterns of infants, process of increasing attachment between infants and child care teachers and effect of the program influencing upon the recognition of the attachment of nighttime child care teachers. The program investigated in this study has been organized in its basic direction, goal and target setting,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 education course administration principle and evaluation through the basic researches on literatures and documents, status and degree of demand on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comparison of behavioral patterns displayed by infants when participating in the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and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displayed when infants currently enrolled in a nighttime child care center a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s developed 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organized program, two child care centers offering night time service have been randomly selected and infants classified as the group of unstable attachment among those in the age group of between 18 and 36 months participating in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have been selected. The infants were then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perform tests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the program by using attachment Q-set, curiosity box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2-3. In addition, observation has been made on infants in experimental group for recording and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have been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processed through Mann-Whitney U 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of the following. Firstly, attachment Q-set mark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ave been com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exerted upon increase of attachment between infants and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As a result, the experimentalgroup displayed higher mark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est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refore, it has been indicated that the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ncreasing attachment between infants and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Secondly, marks on depth and width of inquiry o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ave been com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exerted upon the inquiry level of the infants subjected to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higher mark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est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us, it has been indicated that the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ncreasing inquiry level of infants. Thirdly, marks on anxious/depressed and withdrawn behavior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ave been com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exerted upon theanxious/depressed and withdrawn behavioral levels of the infants subjected to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lower mark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est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refore, it has been indicated that the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degree of anxious/depressed and withdrawn behaviors as displayed among infants and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Fourthly, the observation record illustrated that the target infants rejected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in the initial phase of program application and ignored mutual interaction and attempt at physical contact with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in the middle phase of program application to assume an onlooker behavior. In addition, the infants displayed transitional attitude in the course of forming attachment towards the latter part of the middle phase in program application. In the latter phase, the infants displayed stability and decrease in actions to reject or ignore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Fifthly, observation on interaction and interview with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prior to application of the program,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recognize their role to be only of physical protection of the infants until the parents come and pick them up. However, in the middle phase of program application, the child care teacher gradually develop recognition that formation of stable attachment with infants is also an important part of their role. Thus, the child care teacher began dedicating more effort in including various elements to increase attachment in the interactions and playing activities with the infants. It was also displayed that the child care teacher themselves made assessment on their interactions, thus reflected the feedback on achieving further improved interaction in the future. In conclusion, the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a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attachment and inquiry between infants-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reduction of anxious/depressed and withdrawn behavior by infants and change in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recognition on their role and attachment. The import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has provided basic data in relations to the status of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problems in interaction by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and changes in the behaviors of infants, etc. as caused by change in child care teacher. This study has also reflected the results in the developed program, thus suggested a model of nighttime child care program by considering the status of nighttime child care servi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participating in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urse of increase in attachment between infants-child care teachers and the course of change in nighttime child care teacher' recognition on attachment, thus promoted extended application of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In the successive studies aiming at developing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it would be required to achieve development of annual nighttime child care programs to include other development areas other than attachment with further detailed division of infants' age level per each monthly term. It would also be required to organize a program with consideration to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s and between parents-child care teachers.

      • 18세기 사회변화 속에서의 書堂의 역할

        서원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18세기는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나타났던 시기이다. 특히 농업생산력의 향상과 상품화폐경제의 진전, 신분이동과 사회구성원 사이의 분화가 가속되면서 신분상의 혼란이 있었다. 이러한 급격한 정치·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특히 비양반사족층들은 신분을 상승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데 조선사회에서는 교육이 신분의 획득·유지·상승을 위한 수단적인 의미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 후기 사회변동 속에서 일어난 이들의 동태와 당시 교육의 변화된 양상은 상호간에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고, 그러한 가운데서 특히 민에 상응하는 가장 적합한 교육기구로서 書堂이 존재했다. 서당은 조선 전기에도 있었으나, 후기에는 더욱 확대되어 각 고을마다 대략 30여 개가 넘는 서당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 이래로 사족들은 자신들의 지지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서당 설립을 주도하였고, 17세기에 들어서도 여전히 사족들의 서당 설립이 이어지는 가운데, 사족의 재지 지반이 취약한 곳을 중심으로 사족과 수령과의 협력을 통한 서당 설립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즉, 서당의 보급이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서당의 설립을 주도한 세력은 주로 양반사족층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서당은 향촌사회의 교화를 위한 지배층의 일정한 영향력의 범위 안에 있었으며, 유교적 덕목을 가르쳐 지배체제에 순응하게 하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었다. 또한 조선후기에 들어서 나타난 사회신분제도의 동요 현상에 체제붕괴의 위기감을 느낀 양반층은 서당에서의 유교적 강상윤리의 보급을 통해 기존의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려는 보수적 반동 경향을 더욱 강화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서당교육을 통한 유교적 지식의 보급은 결국 기존의 가치체계와 사회질서에 포섭되어 가는 과정이기도 한 것이다. 그러나 18세기 후반 사회 변화 속에서 서얼과 향리 그리고 요호부민층 및 평민층과 같은 비양반사족층의 사회경제적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이들이 서당의 교육 대상과 설립 주체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교육을 자신들의 신분적 구속에서 해방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특히 書堂契의 활용은 소규모의 자본으로도 서당의 설립·운영을 가능케 해줌으로서 보다 광범위하게 민들에게 교육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한편 18세기 들어 향촌 사회에 민들이 세운 서당 설립이 늘어나게 되면서, 몰락 양반층을 비롯한 유랑 지식인들은 생계를 위해서 새로 생겨나는 서당의 훈장이 되어 농민층의 자제를 교육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들은 유교적 학식과 교양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차별 받던 비주류계층이었기 때문에 사회적 모순과 차별적 처우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고, 이에 훈장이 서당을 근거지로 하여 逆謀를 도모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특히 전봉준과 같은 향촌서당의 훈장은 농민을 조직화하여 동학농민운동의 주도적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서당 설립과 운영을 위해 조직되었던 서당계가 변란을 도모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일도 발생하였다. 즉, 향촌 사회 내에서 향촌민을 유교적 가치 덕목에 따라 교화시키고 통제하기 위해 설립 및 운영되었던 서당과 그 소임의 대행자였던 훈장은 18세기 후반 봉건유교사회의 붕괴와 재편성을 요구함으로서 서당에서의 明倫교육은 변질되고 있었고, 오히려 사회변동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서당의 확대를 둘러싸고 서당에서 일어났던 변화는 교육 내용에서의 변화를 수반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로 明心寶鑑, 童蒙先習, 擊蒙要訣 등과 같은 우리의 실정과 童蒙의 수준에 부합하는 교재가 우리 나라 학자에 의해서 만들어지는가 하면, 조선 후기에는 兒戱原覽과 같은 기존의 교재와는 다른 교재가 개발되었다. 특히 아희원람의 경우에는 조선 초부터 내내 강조되어 온 명륜, 경신, 입교 등의 전통적인 양반층 중심의 유교적 가치 배양에서 벗어나, 민들의 관심과 요구를 반영하고 그들의 생활상을 담고 있었기에 그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18세기 민들의 증가된 교육 욕구와 변화된 의식이 반영된 서당 교육의 확대와 민들의 서당 설립 참여는 조선시대 교육의 근본 목적인 유교적 綱常 倫理의 보급을 점차 약화시키는 동시에 오히려 봉건적 사회질서의 동요에 일정 부분 기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즉, 민들은 서당의 설립과 운영이라는 적극적인 행동을 통해 교육의 주권자가 됨으로서 보다 주체적인 삶을 위한 시도들을 실현시켜 나가고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Seodang(書堂) in the change of society in the eighteenth century Chosun Dynasty. Chosun society was greatly change in the eighteenth century when the development of productive force and commercial monetary economy appeared. And the education was greatly changed. The education in Chosun was very important. In an individual dimension, because the education was the means of status maintenance or status upgrading. When education was related to status maintenance or status upgrading, the other status groups as well as local gentry(在地士族) could not help taking much interests in education. The Seodang was one of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Chosun. It was founded mainly in rural communities and its primary aim was to teach basics of confucianism to local children. And it was generally a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lower classes.(常民) Especially, Seodang can not be indifferent to the change of the society as a whole. And change of the eighteenth century Chosun society influenced the role of Seodang. In describing major change in Seodang, the state could not but acknowledge the influence of the local gentry because of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crisis of feudalistic regime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establish of Seodang was to strengthen the influence of the local gentry in the rural communities. But Seodang became to take the strong political characteristics in that it was a point of contact between central political circles and the local gentry in seventeenth century. So it became to be necessary for state to control Seodang in result. The state control to Seodang was connected with the policy that would recover the educational initiative of state or local magistrates(守令) in the rural communities. As the result, the system of the schoolmaster of a subcountry(面訓長制) became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he lower classes raised fund for Seodang's finance by organizing Seodang Gye(書堂契). These contributed to the weakening of the power of local gentry, instead strengthened the role of Seodang as means for status upgrading. This change was reflected in Seodang in difference ways. At first, changes in the role of schoolmasters(訓長) occurred. According to the Confucian tradition, they had engaged themselves to the moral rearmament or enlightenment for people. From the eighteenth century, however, they came to be more realistic, critical, and even radical. Later, this tendency of criticism developed into strong detestation against the existing status and some schoolmasters began to be related with civil riots. Another change in Seodang education took place in the content of its teaching material. Jang Hon(張混) compiled Aheewonram(兒戱原覽) as a typical new textbook for Seodang, introduces new criterion for value judgement. For example, it is the loosing of the previous rigid norms of Confucianism or abandonment of the sole confinement to the enlightenment of morality(明倫). As above, this changes in Seodang reflected what the whole society was experiencing at the time. Especially, are deeply connected with social disorder centering around the hierarchical status of people.

      •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사례 연구 : 호흡명상 및 느낌 보고형 바디스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원경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희귀성 난치병 중 하나인 강직성 척추염 진단을 받은 40대 여성과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호흡명상과 느낌 보고형 바디스캔을 적용해 그들의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주2회 2시간씩 8회기 동안 진행하였으며, 내담자의 신체적, 심리적 반응의 변화 과정을 관찰,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일상생활의 문제를 중심으로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Lazarus와 DeLongis 등(1988)의 척도를 김정희(1991)가 번안한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와 Spielberger(1985)가 개발한 분노표현척도(AX: Anger Expression Scale)를 전겸구(1997)가 표준화하여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Spielberger(1973)가 개발한 STAI-Y형을 한덕웅, 이장호 및 전겸구(1996)가 번안한 상태불안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에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호흡명상과 느낌 보고형 바디스캔을 통해 자신의 통증을 호흡과 함께 있는 그대로 지켜보고 느껴봄으로써 병에 대한 거부감이 없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바디스캔을 통해 몸의 통증을 자신이 직접 보고함으로써 스트레스를 받으면 몸의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는 사실을 통찰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호흡명상과 느낌 보고형 바디스캔은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결과 전체적으로 여성 참여자는 49.07%에서 12.03%로 감소하였고, 남성 참여자는 21.29%에서 9.29%로 감소를 보였다. 범주별로는 가족 및 대인관계, 일, 금전, 사회적 분위기 모두 스트레스가 현격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호흡명상과 느낌 보고형 바디스캔을 통해 강직성 척추염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함에서 오는 분노, 불안, 우울 등의 감정의 원인을 알아차림 하였다. 이로 인해 내면의 통찰이 이루어지면서 정서적인 안정감과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마음이 생기면서 자신의 감정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힘이 생겼다. 결론적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두 내담자가 자신의 병을 받아들인 것이다. 이로써 몸의 통증과 마음의 고통을 분리하게 되었고, 그 원인을 찾아내는 통찰을 보이면서 통증이 줄어들고 심리적인 안정을 찾아 삶에 대한 의욕을 보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 몇 가지 남겨진 과제도 있다. 첫째, 어떻게 단지 호흡명상과 느낌 보고형 바디스캔만으로도 이혼한 남편을 용서하고(여성참여자) 형에 대한 수용(남성참여자)이 되었는지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둘째,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통증에 호흡명상만 적용했을 경우와 느낌 보고형 바디스캔만 적용했을 경우, 미치는 영향이 각각 어떠한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 기간이 짧고 내담자 선정에 한계가 있어 이와 같은 결론에 그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강직성 척추염 환자들에게 있어서는 심리적 안정을 취함으로써 신체적 고통에 대한 염증수치가 감소한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병을 앓고 있는 내 자신을 위해 시작한 공부가 가족에게 힘이 되고 더 나아가 많은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랄뿐이다. 주제어: 강직성 척추염, 호흡명상, 느낌 보고형 바디스캔, 염증 수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