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북 일부지역 초등학생 영양교육을 통한 식생활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김유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 processed food intake, taste in food, food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before education and after education executing nutrition education dividing into the education group and non-education group to an elementary school in the 5th grad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total 170 by education group and non-education group each 86 people and 84 people by a fifth-year students(girl and boy) in a primary school. 1. When snack intake does not eat everyday after education in eating habit, was non-education group 3.5% education group 5.6% and 1~2times non-education group 30.2% education group 39.3% and was 3~4times non-education group 54.7% education group 32.1% and 5~6times non-education group 9.3% education group 10.7% and when eat everyday,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f non-education group 2.3% education group 11.9% was seen (p<0.05). 2. Change of eating habit was seen significantly difference in eating habit change by nutrition education before and after group 2.83 points education group 2.96 points (p<0.05).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f non-education group about 'Eat milk or fruit everyday as snack'(p<0.05) and 'Because I am hungry, I often eat snack'(p<0.05) and 'When take meal, consider and eats 5's nutrient'(p<0.01) and non-education group 3.31 points education the 3.63 points on question about (p<0.01) 'When select food, consider nutrition for the first time'(p<0.05). 3. Significant difference of non-education group 0.59 points education group 0.76 points was seen on question about 'It is cereals and starch kind that must eat most during day in food tower'. 4.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f energy, animal protein, vegetable protein, animal fat, carbohydrate, fiber, being animal iron, zinc, vitamin B&#8326;, niacin, vitamin E, cholesterol(p<0.001) and ash, vitamin C(p<0.01), vegetable fat, animal calcium, thiamine(p<0.05)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ce in energy and KDRIs (p<0.05). 5.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f animal protein, vegetable protein, animal fat(p<0.001) after recommended dietary and excess intake education of school age child and significant change of vegetable was seen (p<0.05). Animal iron was shown significantly change after shortage intake education under school age child(p<0.001) and animal calcium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ces(p<0.05). 6. Average intake of vitamin B&#8326;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ce by boy student, girl student after education in energy and RDIs comparison (p<0.05) and average intake of animal iron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ce by boy student, girl student (p<0.05). 7. In Carbohydrate : Protein : Fat (CPF) ration(%), it was changed from 62 : 16 : 21 to 60 : 20 : 23. 8. Estimation by intake nutrient standard of energy was seen significantly difference in energy, dietary fiber, Thiamine, riboflavin, folate, calcium, potassium. 9.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INQ), nutrition adequacy ratio(NAR) and mean adequacy ratio(MAR) were increased. When continuous interest of nutrition teacher and teacher in charge and regular schooling of given period and link education of home attained continuously to form desirable eating habit and dietary life behavior, is considered that right dietary life habit is kept.

      • 대학생의 자기비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내적 속박감과 반추의 매개효과

        김유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entrapment and rumination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from 354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nd Self-criticism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Internal Entrapment Scale(IES), Korean-Ruminative Response Scale(K-RRS) are used for measurements. Using the SPSS 22.0 packag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examin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entrapment and rumin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t follows; First, self-criticism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ternal entrapment and rumination, and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 entrapment and rumination, and internal entrap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umination. Second, internal entrapment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Lastly, rumination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 조선시대 무덤의 미라와 분변석에서 발견된 기생충알에 관한 연구

        김유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고기생충학(Paleoparasitology)은 오래된 유적의 분변에서 얻은 기생충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간과 기생충의 관계, 기생충의 전파와 인류의 이동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오래된 무덤의 분변석이나 토양에서 기생충을 발견하고, 이들을 1980년대에 발견된 충체에서 얻은 충란과 비교함으로써 그들 사이에 어떤 유전학적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2구의 미라와 3개의 조선시대 무덤에서 얻은 분변석과 토양샘플을 0.5% trisodium phosphate 용액에 넣어 수화시킨 후 거즈로 필터하여 현미경하에서 검경하였다. 조사한 분변석과 토양 모두에서 기생충의 충란이 발견되었는데, 편충이 제일 많았고 회충이 그 다음이었다. 공주에서 발견된 무덤에서는 폐흡충의 충란이 발견되었고, 또한 분선충의 유충도 검출되었다. 모은 충란에서 페놀/클로로포름 용액을 이용해 DNA를 추출하고 분광계로 DNA 농도를 측정하였다. ITS-1에 대한 primer를 제작했고 이에 따른 PCR 반응을 수행한 뒤 DNA 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천목의 무덤에서 발견된 회충알의 cytochrome b 서열이 남미에서 발견된 회충과 97%의 상동성을 보인 반면 현재 우리나라 회충과는 94%만 일치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고대 회충알의 서열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이런 결과는 고기생충학에서 DNA를 분석하는 연구분야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에는 회충과 편충을 비롯한 기생충들이 널리 유행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 現代漢語 ‘給字文’ 중 ‘給’의 詞性 연구

        김유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抄錄> ‘給’에 대해서는 크게 動詞, 介詞, 助詞의 3가지로 그 품사를 달리 보고 있다. ‘給’와 관련된 논저들을 살펴보면 이들 品詞간 경계가 모호한 문제점들이 드러난다. 특히 動詞와 介詞에 있어서는 비슷한 부분이 많아 구분이 매우 혼란스럽다. 이는 ‘給’의 介詞性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게 하는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여기고, 이에 본 論文은 現代漢語 ‘給字文’ 중 ‘給’의 詞性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전의 動詞와 介詞의 定義 및 特徵에 대해 살피고 현재까지 논의되고 있는 介詞와 動詞간 구분문제에 관해 살펴 보았다. 다음으로 자주 쓰이면서 기본이 되는 ‘給字文’ 類型을 4가지로 분류하고 각 구문의 特徵과 詞性을 고찰하였다. 그 요점은 다음과 같다. 1. 動詞와 介詞의 정의 및 특징에서 각 詞性의 특징을 벗어나는 예외현상이 존재하였고 動詞와 介詞간의 구분점에 있어서도 명확한 기준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現 介詞에 대한 王力의 助動詞, 高名凱의 受導詞, 呂叔湘의 副動詞, 丁聲樹의 次動詞 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현재 介詞로 분류되는 단어에 다른 품사 곧, 動詞로 볼 수 있는 실마리가 됨을 확인하였다. 2. ‘給字文’의 類型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하고 그 詞性을 살펴보았다. 1. S+給+O1+O2 2. S+V+給+O1+O2 3. S+V+O2+給+O1 4. S+給+O1+V+O2 제1유형 S+給+O1+O2 (我&#32473;他一本&#20070;): 첫째, 전체 文意는 단순 사실의 전달이며, ‘給’는 ‘주다’의 의미를 지닌다. 둘째, ‘給’는 두 개의 목적어(他와 一本&#20070;)를 취하는 이중목적어 구문을 구성한다. 제2유형 S+V+給+O1+O2 (我送&#32473;他一本&#20070;): 첫째, ‘送(보내다)’의 방식을 통해 ‘給(주다)’가 이루어진다.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대상에게 확실히 전달됨을 의미한다. ‘給’는 ‘주다’의 의미를 지닌다. 動態助詞는 ‘給’의 뒤에 위치한다. 둘째, 뒷 動詞는 앞 動詞의 목적을 나타내는 連動文 (我&#26469;&#32564;&#30005;&#36153;和房&#36153;)과 유사하다. 제3유형 S+V+O2+給+O1 (我送一本&#20070;&#32473;他): 첫째, ‘送(보내다)’의 방식을 통해 ‘給(주다)’가 이루어지지만 제2유형 S+V+給+O1+O2와 달리 대상(他)이 뒤에 위치하여 사물의 도착여부와는 관련이 없다. ‘給’는 ‘주다’의 의미를 지닌다. 動態助詞는 첫 번째 動詞인 ‘送’의 뒤에 위치한다. 둘째, 제1동작 완성 후 뒷 동작이 이루어진 連動文 (我下了&#35838;就去&#25214;&#20320;)과 유사하다. 제4유형 S+給+O1+V+O2 (我&#32473;他寄一本&#20070;): 첫째, 먼저 ‘給’를 통해 포괄적인 대상을 선정하고 뒷 動詞를 통해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문장에 따라 ‘給’가 접수대상을 이끌면 ‘주다’로 수혜대상을 이끌면 ‘~해주다’로 해석된다. 動態助詞는 두 번째 動詞 ‘寄’의 뒤에 위치한다. 둘째, 有/&#27809;有가 제1動詞로 쓰인 連動文 (&#20320;最近有&#38065;用&#21527;?)과 유사하다. 모두 제1유형 S+給+O1+O2에 쓰인 동사 ‘給’의 의미(주다)와 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유형에서 제4유형까지 모두 連動文의 구조를 지닌다. 각 類型에 쓰인 ‘給’는 連動文에 쓰인 動詞의 하나로 여길 수 있을 것이다. 現代漢語 ‘給字文’ 중에서 ‘給’를 介詞로 여길 때의 의문점은 動詞로 간주하면 해결 될 수 있다고 여긴다. 또, ‘給字文’의 문형분석에서도 動詞로 설명할 수 있으니 介詞보다 본래의 詞性인 動詞로 보는 것이 더 합당할 것으로 여겨진다.

      • 쇤베르크의 초기 가곡에 나타나는 구조적 결정 요소로서의 반음계주의

        김유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19세기 후반에 나타난 “극단적 반음계주의” 음악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자의 분석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에 앞서 19세기의 반음계적인 조성 작품을 다루었던 브라운(Matthew Brown), 슈타인(Deborah Stein), 콘(Edward T. Cone), 곤잘레스(Cynthia Gonzales), 송무경(Moo Kyoung Song) 등의 논의를 살펴보며 이들의 분석에서 반음계적 양상의 높은 층위 편입에 대한 가능성을 고찰해 보았고, 궁극적으로는 포스트 쉔커리안들의 논의를 확장·수정하여 필자의 분석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모델은 19세기 “극단적 반음계주의”의 특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는 쇤베르크의 초기 가곡의 분석에 적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모델은 근본선율에 관련되는 차원을 포함하는 “모델-X”와 그것을 대위하는 화성적 차원의 “모델-Y”로 분류된다. 모델-X는 근본선율에서 또는 의 변화가 나타나는 모델로, 본 논문에서 분석한 쇤베르크의 가곡 Op. 3 No. 2에 적용된다. 반면, 모델-Y는 높은 위계에 포함되는 슈투페(Stufe)로서의 반음계적인 화성을 포함하는 모델로 Op. 2/1, Op. 3/1, Op. 3/2가 해당된다. 19세기의 반음계적 조성작품들에 대한 연구는 음악의 표면적 불협화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진행한 구조적 결정 인자로서 반음계주의의 상위 계층 편입에 대한 논의는 조성적 구문론에 토대를 두고 있으면서 동시에 대담하고 비전통적인 화성어법으로 인해 조성을 모호하게 하는 이 시기의 음악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가정용 보일러 제품의 해외전시마케팅 성공에 미치는 요인 분석

        김유미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제 세계는 자기가 속한 나라의 기업들끼리의 경쟁이 아닌, 세계 속의 경쟁을 해야 한다. 세계 속의 경쟁을 위해서, 기업들은 각기 자신들이 가진 역량을 통해 다양한 홍보 수단으로 각자의 기업들을 전 세계 시장에 알리고 홍보한다. 특히나, 오늘날 전시회는 전 세계 많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효과적인 마케팅의 방법 중 하나가 되었다. 특히나 전시회는 경제생활에 있어, 정보,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판매의 수단으로도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 기업들도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해외 전시회 참가가 증가되는 추세이며, 전시회 참가 준비 및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 및 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해외 전시회를 통해, 기업들은 지리적인 위치로 평상시에는 만나기 힘든 현지 바이어들을 만나고, 바이어들에게 신제품의 기술홍보 및 수출 판로 확대의 기회, 신규 시장의 개척을 위한 교두보로 삼고 있다. 전시회는 제품, 기술, 서비스를 특정장소인 전문 전시장에서 일정기간 동안 판매, 홍보, 마케팅 활동을 함으로써 유통업자, 무역업자, 소비자, 관련 종사자 및 전문가,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해당 기업들이 정보를 교환하고 거래가 이루어지는 형태의 행사로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경제활동이다. 미국 ‘CEIR’의 조사에 따르면, 전시회는 비용 효율적이고, 가장 적극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텔레마케팅을 하거나 광고 매체를 통하는 것보다 비용절감의 효과가 크다고 했다. 효율성을 비용 절약에 중점을 두는 현대의 기업들에게 전시마케팅은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혁신적인 마케팅의 수단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에 이어 세계 가정용 가스보일러 시장 규모 2위인 한국의 보일러 산업 현황을 살펴보고, 이와 연관하여, 기존 해외 전시 관련 논문에 연구하지 않았던 기계류 제품 중 가정용 가스보일러 제품과 해외 전시 마케팅과 연관시켜,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국내 기업들의 해외 전시참가 사례 및 해외 유수 보일러 제조사들의 해외 전시 참가 사례를 통하여 효과적인 방법을 살펴보았다. 각 기업들의 운영 실태 분석에 대한 툴(tool)로는 2004년 미국 마케팅학회(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가 새로이 내린 마케팅의 정의인 가치창조(Creating Value),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Value),전달(Delivery Value)가치를 사용하여 국내외 업체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국내 업체들은 해외전시회 참가 시, 신제품 및 신기술 개발에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철저한 사전 표적 시장 기술동향에 대한 분석, 맞춤 고객별 차별화된 제품 및 서비스를 다양하게 마련하는 부분이 유럽의 마켓리더(Market Leader)들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서비스 및 제품 체험의 용이성도 고려하여 전시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 밖에 현지어 홍보자료 준비, 부스 디자인의 매뉴얼화, 부스 규모, 현장 프로모션 실시, 부스 위치 등도 주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핵심은 제한된 경험과 역량을 보유한 국내 가스보일러 생산 업체 및 국내 기계류 수출업체들에게 단순한 전시회 참여보다는 참여 전 준비와 내부적인 연구 및 학습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초기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해외전시회를 준비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에게 해외전시 참가 방법 및 효과적인 해외 전시 마케팅 운영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This study was created for international marketing executives and export managers whose primary concern is the world market for combi gas boiler. With the globalization of this market, managers can no longer be interested in a local view. Recently, many companies are interested in the exhibition global marketing and especially exhibition industry has been rapidly globalized in terms of its markets and businesses. Companies publicize their commodities and brands and find new markets and customers through trade show. According to the 'CEIR' report, the trade show is the best tools for the marketing method, and it's much more effective than TV commercial or telephone marketing. In this study, domestic gas boiler market has been investigated. South Korea is second largest gas boiler market in the world. But the gas boiler market of South Korea has been shrinking gradually. Therefore, many manufacturers of gas boiler changed their target market to overseas, and they are using trade show to promote their product and technologies in the world. However, they do not recognize how other market leaders organize and prepare for the trade show at sight.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inly focus on the key factors of the international trade show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s' participation. This study provides an evaluation tool of trade show which has been derived based on the new Definition of Marketing from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The suggested evaluation tool includes the indice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value creation, value communication, and value delivery in trade show. In particular, this tool has been appli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ompanies who participated in 2010 MCE Italy show.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uropean marketing leaders actually superior to domestic company in terms of preparation of trade show. For the value creation factors, market leaders much care about the new technologies and new product development, analysis of marketing target and provide a differentiated service to their customer at the show. About the value communication factors, the world market leaders of gas boiler more focus on the new technology, great customer relation, promotion on the directory, preparation of local language materials, design of stand, and the size of stand at the trade show. And for the value delivery factors, market leaders occupied a good stand position at the show hall.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indices measuring the success of the trade show and thereupon, analyzing the quality factors of the trade show elements to help our businesses enhance their images through the trade show and ultimately, improve the effects of the trade show. Hen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of trade show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measure the effects and performances of the trade show in an objective and great manner.

      •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하지근력, 하지통증, 균형감과 일상생활수행능력

        김유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 노인들의 하지근력, 하지통증, 균형감과 일상생활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대전, 충남지역의 요양병원 2곳에 입원해있는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9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평균연령은 80.14세로 75세 이하가 26명(28.3%)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정도는 무학이 41명(44.65)로 가장 많았다. 보조기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49명(53.3%)였으며, 지각된 건강상태는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39명(42.4%)이었다. 진단받은 만성질환의 수는 3~5개가 63명(68.5%)이었다. 평균 입원기간은 11.84개월로 7~12개월의 경우가 36명(39.2%)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지근력, 하지통증, 균형감, 일상생활수행능력과의 차이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지근력 정도의 차이에서는 연령, 보조기 사용여부,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지통증 정도의 차이에서는 연령, 보조기 사용여부,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균형감은 정적균형에서 연령, 보조기 사용여부, 지각된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동적균형에서는 보조기 사용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 정도의 차이는, K-ADL에서 보조기 사용여부와 지각된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K-MBI에서는 보조기 사용여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하지근력, 하지통증, 균형감, 일상생활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하지근력은 하지통증, 균형감,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세 가지 항목 모두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통증은 동적균형의 한 개 항목과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균형감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요양병원 입원 노인에서 하지근력이 좋아질수록 하지통증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균형감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쳐 균형감과 일상생활수행능력 역시 좋아지게 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하지근력, 균형감을 향상시키고 하지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자아탄력성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유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탄력성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이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인 설명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은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가 있는가? 둘째, 자아탄력성 하위요인들이 초등학생의 효능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은 어느 정도인가? 셋째, 자아탄력성 하위요인들이 초등학생의 정서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은 어느 정도인가? 넷째, 자아탄력성 하위요인들이 초등학생의 관계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은 어느 정도인가?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3개교의 5,6학년 아동 총 38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하게 대답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한 최종 360명의 자료를 SPSS Statistic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자아탄력성 하위요인들이 초등학생의 효능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은 호기심, 대인관계, 낙관성, 활력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 하위요인들이 초등학생의 정서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은 활력성, 낙관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 하위요인들이 초등학생의 관계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은 활력성, 대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상관관계가 높다는 사실과 주관적 안녕감의 각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과 그 상대적인 설명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는 급격한 신체적․인지적 변화와 더불어 심리적․정신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시기이므로 이 시기 초등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과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특별한 관심과 교육적 처치가 필요하다. 이에 초등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변인인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통해 효과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처치와 상담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디아스포라 동화에 나타난 인물의 재현 방식과 성장의 양상 : 태 켈러의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을 중심으로

        김유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디아스포라 동화에 나타나는 인물의 재현 방식을 살펴보고, 어린이 디아스포라의 혼종적 정체성과 이를 극복하는 성장의 과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의 관점은 사건과 대상의 내포 의미와 상징성, 주체의 무의식과 의식적 행위 등을 해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으며, 문학비평의 방법 중 정신분석 비평의 방법을 주로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태 켈러(Keller, Tae.) (2021)의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으로, 이 작품은 세계적 아동문학상인 뉴베리상 수상작이며, 디아스포라의 서사, 인간 내면의 이중성, 시의적인 고통, 어린이의 정체성 혼란과 극복의 과정 등, 다중적인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 본 텍스트를 중심으로 어린이 디아스포라의 혼종적 정체성과 성장의 양상, 문학적 재현의 방식 등을 분석함으로써, 아동문학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은 한국계 이민 3세대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하기에 한국 디아스포라의 역사성과 관련이 깊다. 한국전쟁 이후 미군과 결혼한 이주여성인 할머니와 그 후손인 손녀의 삶의 이야기는, 다문화사회에 살고 있는 현재의 어린이들에게 시의적이고 확장된 세계관을 제공한다. 또한 디아스포라 어린이가 겪는 다중적인 갈등과 이를 극복하는 모습은 여러 혼종적인 사회 문제를 안고 있는 현시대 속 어린이들에게 올바른 정체성과 바람직한 성장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의 중심인 Ⅲ장과 Ⅳ장에서는 디아스포라 동화에 나타난 인물의 재현 방식과 성장의 양상을 각각 분석하였다. Ⅲ장의 인물 재현 방식은, ‘다성성의 아니무스적 재현 : 호랑이’, ‘집단 무의식을 통한 내면의 형상화 : 옛이야기’, ‘무의식에 억압된 타자성 재현 : 봉인된 유리병’, ‘젠더의식을 통한 주체적 여성상 : 단군신화의 변형된 여성’의 네 가지 주제로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작품 속에서 주체와 대적하는 ‘호랑이’는 디아스포라 소녀의 아니무스적 원형이다. 호랑이는 무력한 주변인, ‘조아여(조용한 아시아 여자애)’로 살아가는 주인공에게 출몰하여 그녀가 호랑이의 내면을 지닌 강인한 소녀로 변모하는 과정을 재현한다. 또한 할머니를 매개로 한 ‘옛이야기’는 한국적 집단 무의식의 원형을 통해 이민자 가족에게 정서 치유의 과정을 보여준다. 디아스포라의 가족사를 유리병에 봉인하는 행위는, 타자에 의해 초래된 낮은 자아와 죄의식을 무의식에 숨기려는 상징성을 함의한다. 또한 반인반수 호랑이 소녀의 신화 이야기는 소극적이고 전형적인 여성상에서 강인한 여성상으로의 성역할의 전환을 보여주는 재현 장치이다.  Ⅳ장에서의 인물 성장 양상은 ‘디아스포라적 삶의 이해와 극복’, ‘죽음의 이해와 애도를 통한 현재적 삶 이해’, ‘권위적 가치(세계)의 전복을 통한 주체성 인식’의 세 가지 주제로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작중 인물인 자매는 주류 미국인의 차별과 사회적 모순을 극복하며 성장하는데, 때로는 사회적 불평등에 맞서 일탈과 저항을 통해 거칠게 대항하는 면모를 보인다. 또한 할머니의 죽음과 애도의 경험을 통해 가족의 가치를 직시하고 소중함을 깨닫는 내적 성장을 이룬다. 위와 같이 디아스포라 동화에서 인물의 재현 방식과 성장의 양상을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어린이 디아스포라가 겪는 다중적 정체성과 인간 존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아동문학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국내의 디아스포라 동화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미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디아스포라 동화만의 특징적인 인물 재현 방식과 성장의 양상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주요어: 디아스포라 동화, 어린이 디아스포라, 재현의 방식, 성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