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윤미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오존층 파괴·지구 온난화(기온상승)·산성비·해양 오염· 열대림 감소·사막화 등과 같은 환경문제는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한 다양한 생물 종 멸종과 같은 위기는 우리 인류가 생존의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으로 바꾸어 표현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계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바로 환경 윤리교육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환경윤리교육은 환경윤리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즉 환경윤리란 "환경친화적인 규범을 설정하고, 그 가능성과 타당성을 탐구하는 윤리학의 한 분야"이고 환경윤리교육은 "환경친화적인 규범을 설정하고, 그 가능성과 타당성을 탐구하여, 환경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 변화와 올바른 환경 의사결정을 하도록 안내해 주는 것"이다. 이런 환경윤리교육을 공식적으로 하고 있는 곳이 바로 학교이다. 그리고 그 중요 담당 과목이 도덕·윤리과인 것이다. 또한 "미래 세대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 행위"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주 교재인 '윤리교과서'의 환경윤리교육 체계를 분석하고자한다. 이번 7차 교육과정 개정으로 중 1, 2, 3, 고 1학년은 《도덕》을, 고등학교 2, 3 학년은 일반선택인 《시민윤리》, 심화선택인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를 배우게 된다. 여기서 연구의 대상을 선택 중심 교과서로 좁히고자 한다. 그러한 이유는 이미 "도덕" 교과서에 대한 환경윤리교육 분석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교과서에서 환경윤리에 관한 내용을 선정·진술·조직하는 것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이는 환경윤리의 문제영역 및 연구동향과 그 방법론이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서술되어져야 한다. 그런데 이제까지 살펴본 7차 윤리교과서의 환경윤리교육 체계 분석 결과, 환경윤리에 대한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오히려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내용 선정의 편파성과 내용 진술의 창의성 결여, 내용 조직의 통일성에 대한 문제점들은 세 교과서가 비슷하게 드러내는 문제점들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원인은 과연 무엇인가? 문제점이 생기는 근본 원인을 "생활환경확대법(expanding communities)"이 그 근저에 말미암는다고 보고 있다 즉 이 설정 방법은 인지적인 측면만을 고려하면서, '어떤 주제'에 대한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진술을 어렵게 한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주제 중심적 접근"을 논하고자 한다. 이 접근법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으며 내용을 직접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주제'를 선정·진술·조직하는데 무엇보다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져본다. 그리고 '주제 중심 접근법'의 모범으로 '프랑스 고교 철학 교과서'를 들고자 한다. 이러한 본 논문의 연구가 다음 우리나라 교과서 편찬에 시사점이 있으리라는 것을 인지하며, 교과서의 환경윤리교육 내용이 미진한 부분을 보충하여 교수-학습자료로 사용되기를 희망하여 본다.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the ozone layer destruction, global warming (temperature rise), acid rain, marine pollution, shrink of the tropical forest, desertification, etc, are generally combined and related with each other. Due to those factors it can be said that the critical situation of various organic species extermination is condemning the human specie existence. How can we stop such a critical situation? The moral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an be the answer. The moral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environmental ethics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environmental ethics creates environmentally friendly standards and investigates its possibility and adequacy, while the moral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reates environmentally friendly standards, investigates its possibility and adequacy, guides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related fundamental awareness and correct environmental proceeding decisions. The school is the place where the moral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s being formally conducted, and the major subject responsible for it is the Moral and Ethics. An analysis was made about the main material for moral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ethics textbook, by the importance attributed to the behavior, conduct and environmental awareness of the future generation leaders - the teenagers. By the 7th curriculum amendment, 1st, 2nd, 3rd grade junior high and 1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got to learn <Moral>,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got to learn <Citizen Ethics> as an elective subject and <Ethics and Ideology> and <Traditional Ethics> as an intensive elective subject. This researchs sample was narrowed to textbooks focused on elective subjects, because the Moral textbook about the moral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already been analyzed. Then how do the contents of selection, explanation and organization in the environmental ethics related textbook should be accomplished? It should generally and coordinately describe the environmental ethics problems and research trends methodology.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of the 7th moral textbook on moral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system, a general and coordinated approach to the moral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system is almost inexistent. It rather showed many problems, Among the revealed problems, the contents selection discrimination and lack of originality in contents explanations were found. As for problems on the contents structure unity, the new textbook showed similar problems. What is the cause of such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the basic cause comes from the expansion of communities. In other words, while the created method only has and intellectual side, it is desirable that the incomplete parts of the moral educa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s textbook are supplemented by the teaching-learning instructional material. Following that, we need to discuss the alternative plan such as center-focus approach to subject. The main benefit of this approach is that it directly shows the content as well as raising the fun level for the participant students. In addition, by unifying the method in selection, declaration and construction in subject, web can expect the results that are beneficial for everyone. Finally, by following the model of center-focus approach to subject, we can expect to take note Frances High school textbook in philosophy. In summary, by following the above research, we recognized the need to correct the Korean textbook and to supplement the content that is lacking. We look forward to a day when Korean textbook becomes world standard.
박지연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중의 하나는 전지구적인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태학적 위기는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문화를 파괴함으로써 그 심각성이 인류 전체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의 존립마저도 위태롭게 할 정도에 이르렀다. 생태학적 위기는 인간의 자연환경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러한 그릇된 인식은 바르지 못한 교육에서 나왔음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을 바로 세우는 데는 교육적 해결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생태학적 위기 역시 인간이 생존하는 삶의 터전을 스스로 파괴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주변 환경이나 우주환경이 결코 인간만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간 스스로 인식하고 실천하고자 할 때 그 해결의 실마리가 풀릴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인류가 만든 환경의 재앙을 스스로 극복하고 미래세대의 후손들에게 보다 나은 환경을 물려주기 위한 관점을 인간중심적인 입장과 비인간 중심적인 입장에서 다각도로 모색하면서 환경윤리의 문제영역과 접근 방법의 논쟁 통해 우리에게 적용 가능한 환경윤리의 관점을 생명중심주의와 전체론를 통해 절충하였다. 그리고 교육현장애서의 실현 가능한 환경친화적인 방안을 탐구하기에 앞서 환경윤리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환경윤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보전을 위한 환경윤리교육의 강화 방안에 대해 연구 했다. 환경윤리교육의 강화 방안에 관해서, 첫 번째로, 환경윤리교육의 제도 보완으로 환경교육법의 신설과 환경윤리과목의 필수화, 그리고 환경윤리교육에 있어서의 중·장기적인 계획의 수립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환경윤리교육 담당교사 양성 체계의 개선 방안으로 환경윤리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 방안과 교사 연수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다양한 교육의 내용과 교육의 방법으로 생태학적 지식을 갖추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모든 생명에 대한 책임성과 윤리의식을 기반으로 하는 생태학적 상상력과 도덕적 감수성을 높이는 생태주의적 환경윤리교육과 실생활에서 직접적인 행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행동적인 측면이 가미된 환경친화적인 환경윤리교육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로는 환경문제는 복잡한 문제로 단선적인 접근방법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복합적인 성격으로서의 학제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혹독한 환경파괴의 결과는 급속한 기술적 진보가 그 원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욱 근본적인 원인은 환경에 대한 가치관과 윤리의식의 결여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술적, 정치적, 또는 법적인 측면에서의 개선만으로는 궁극적으로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며,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는 세계에 대한 생각과 태도를 재구성하는데 있어서 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환경교육이 환경윤리교육이라고 할 수 있겠다.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faced by humankind nowadays is the crisi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destruction all over the world. Such a crisis is directly threatening our lives, destroying durable cultures, and even holding the life of all creatures at stake. This ecologically-menacing crisis came from our wrong recogni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the wrong recognition resulted from our wrong education. Needless to say, the most effective way to correct this is educational solution. As the ecological crisis is attributable to people's destruction of their own living environment, the real clue to the solution of the current problem can be provided when they acutely realize that natural surroundings are not just for humans but for all living things and practice what can be done here and now.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considered both human-centered and non-human-centered viewpoints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environmental catastrophes and succeeding better natural surroundings to future generations. Also, the viewpoints of environmental ethics were approached on the basis of life-centered totalitarianism. Next, theories as well as the reality and problems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were considered in order to look for some reinforcement strategies. The reinforcement strategies suggested here are as follows: 1. To compensate for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a law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lso, environmental ethics should be a required subject, while medium-long-range plans for such education ought to be prepared. 2. As an improvement plan in the training of environmental ethics teachers, some proposals and training methods are suggested. 3. For divers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ecologically-oriented and environment-friendly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s recommended to help students have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oral consciousness about all living creatures as well as some behavioral aspects of direct activities to put something into practice. 4. As environmental matters are nothing simple, a complex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made. The extreme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se days partly came from rapid technological progress, but primarily resulted from the lack of environment-minded values and ethical consciousness. Therefore, the improvement in technical, political, and legal aspects alone cannot bring about an eventual solution. That's why we need efforts in fundamental dimensions. Here, the role of education is of significance to restructure our attitudes and ways of thinking about the world we live i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s the elementary one we need in that respect.
본 논문은 현재 인류가 직면한 생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주의적 환경윤리 측면에서 환경윤리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환경윤리교육은 환경 친화적인 삶의 가치를 인식하고 환경 문제 해결에 필요한 올바른 도덕적 판단 능력을 기르며 환경친화적 실천 역량을 적극적으로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생태적 위기의 실태는 크게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위기 징후들은 그 양태만 다를 뿐 본질적으로는 인식론상의 위기라는 점에서 시작한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가 맞고 있는 생태적 위기 상황은 인류의 생존 기반과 삶의 터전에 관한 문제로 외부로부터의 억압이나 구속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과욕과 지나친 물질주의가 불러온 인간 내부로부터 비롯된 위기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인간의 마음, 정신의 위기 나아가 교육의 위기이다. 따라서 환경 문제는 자연에 대한 사람의 그릇된 가치관과 태도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연환경에 대한 인간의 가치관과 태도에 대한 철학적 반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적 위기 극복을 위해 생태주의적 환경윤리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고, 이러한 생태주의적 윤리에 근거하여 생태주의적 환경윤리교육이 필요하다. 생태주의적 환경윤리교육이란 생태적 위기 극복을 위한 윤리가치에 의한 방법을 말한다. 이는 환경을 위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켜 환경문제 해결에 접근하려는 교육으로, 환경과 윤리의 교량적 역할에 기여하며 인간과 자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환경친화적 가치관을 내면화하여 환경문제 해결에 자발적으로 행동하고 실천하는 데 역점을 둔다. 이러한 생태주의적 환경윤리교육이 이루어질 때 생태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지닌 인간형을 길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라는 Ⅳ영역이 설정되면서 <환경친화적인 삶>이라는 단원이 신설되었다. 이로써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환경 윤리 내용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중학교에서의 환경윤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윤리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도덕과의 환경윤리교육이 목표로 하는 전인적 인간, 즉 아는 것, 느끼는 것, 행동하는 것이 상호 융합된 삶을 사는 통합적 인간을 길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생태적 위기, 생태주의적 환경윤리교육, 2009 개정 교육과정, 도덕 This thesis intend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ecological environmental ethics in order to overcome ecological crises that mankind faces today.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s to make people recognize the value of an eco-friendly life, to make them cultivate proper ethical judgment abilitie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and also to make them actively learn eco-friendly practices. The situation of ecological crises is largely classified into atmospheric pollution, water pollution and soil pollution. The only thing that differs from these types of crises are the aspects from which they are seen, but they intrinsically start from the viewpoint of epistemological crises. Therefore, the ecological crises we face today are such affairs that are related to the foundation of people's existence and living, and they result not from outside suppression or restrictions but from inside problems such as human greed and excessive materialism. This is a crisis of human mind or spirit and furthermore, it is a crisis of education. Therefore, environmental problems stem from the misguided values and attitudes that people currently possess. The only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reflect on our values and attitude in a philosophical light. In this context,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ecological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ecological crisis. For this, it is required to conduct ecological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ecological ethics on the basis of the conversion to ecological paradigm. Ecological environment ethics education means a method through ethical value to overcome ecological crisis. This is an educational approach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by changing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environment. It plays a role as a bridge between environment and ethics; it internalizes not only proper recognition of humans and nature, but also eco-friendly values; and thus, it places emphasis on taking voluntary actions and practice of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anticipated that human models with ecological sensitivity and imagination can be cultivated when such ecological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akes place. From this viewpoint,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iddle school ethics curriculum and ethics textbook as p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unit of <eco-friendly life> was additionally established as IV Field of relationships with nature·transcendental existence was newly made. This proves tha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thics is becoming stronger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uture of ecological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is going was also given by suggesting a proposal of teaching-learning cours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ethics curriculum and ethics textbook. I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s covered in ethics class, it is expected that we can cultivate a person that is whole targeted in the ethics class, in other words, a complete person who lives life assimilated with what he knows, what he feels and how he acts.
전효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이성에 대한 지나친 신뢰와 과학기술문명에 대한 맹신은 인간의 오만과 편견을 촉발시켰고, 그것이 바로 인간과 자연을 대립시키면서 환경오염을 비롯한 심각한 생태학적 위기를 유발하였다. 특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생태학적 환경위기는 인류의 생존 기반과 삶의 터전에 관한 문제로 외부로부터의 억압이나 구속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과욕과 지나친 물질주의가 불러온 인간 내부로부터 비롯된 위기이기에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가치관, 태도 그리고 생활양식을 근원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이 위기로부터 인간은 벗어날 수 없다. 생태적 위기의 근원은 환경에 대한 인간의 잘못된 인식과 태도에서 비롯된 만큼 환경문제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대처는 사후 대책보다는 사전 예방이 효과적이고 이는 교육을 통해서 근본적인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현재 당장의 이익이 있다면 생태계를 파괴하고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여도 그만이라는 편협한 사고와 자기 중심적 행동은 하루 아침에 쉽게 바뀔 수있는 것이 아니라, 그릇된 환경인식을 바로잡아 주고 자연의 가치에 대한 안목을 높이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 가정, 사회에서의 평생에 걸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환경윤리교육이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어린시절부터 이러한 환경윤리 의식을 심어주는 체계적인 교육이 요청되며 이는 도덕교육의 핵심적 과제로서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지식전달 위주의 수동적인 우리나라의 환경교육과, 환경문제를 현실과 결부시키지 못하는 단순한 교과내용들 및 다양한 행동 지향적 해결 방법들에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환경교육 실시자가 환경교육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시키고, 또 학습자가 환경교육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수용하느냐의 문제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태학적 위기 극복을 위한 환경교육의 체계화방안으로 먼저 생태학적 위기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환경윤리에 근거하여 새롭게 설정해 보고, 현재 살고 있는 우리 자신뿐만 아니라 앞으로 존속하게 될 미래의 인간에 대한, 그리고 인간 이외의 존재들에 대한 도덕적 의미에 대해 진지하게 모색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환경윤리교육을 위한 교과서의 내용과 체계를 분석하여 미래의 환경에서의 삶을 살 학생들을 위해서 유용한 환경윤리교육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Excessive reliance to rationality and credulity to science and technology has caused man's arrogance and prejudice, which has resulted in the serious ecological crisis which man competes against today. The ecological crisis we are now facing is a serious problem related to our existence and place to live and thus so serious, because it resulted from not only suppression or restraints from the outside but excessive greed and materialism from inside of man. Therefore, man is not able to escape from this crisis unless he basically changes his life style and way of thinking. Ecological crisis was originated from the wrong perception to and attitude toward environment, so it seems that prior prevention is more effective than post measures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basic settlement through education is possible. Because, the biased way of thinking that man can destruct ecological system and discharge a great deal of pollutants if he has immediate profits, and self-centered action can not change easily or in a short time. Those way of thinking and action can change only through a consistent and systematic education that cures wrongly environment perception and raises insight for the value of nature and makes man practice such insight. Korea's environmental education has still restricted itself within many limitations induding the passive approach based on knowledge delivery, the simple contents of the related textbooks that don't relate to the reality, and the approaches lacking diversity and actions. Thus, it is one of the big tasks that Korea's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solve in the future how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effectively provided by the educators and received by the learners. In these respects,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ehtics is the very condition of the removal of ecological crisis. Such establishment can be made only home, schools and society jointly provid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hrough which we can directly meet, contact and feel natural environment. To fundamentally overcome environmental crisis requires fundamental changes in value and attitude structures social members have. For such changes,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oward a new pattern of life is necessary.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윤리교육 연구 :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를 중심으로
박희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현대사회에서 공간적으로는 전 세계가 공동으로 해결해 나가야 하고 시간적으로는 지금 실천해야 할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바로 환경문제이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문제의 근본 원인으로는 환경에 대한 인간의 잘못된 사고방식과 가치관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가장 수용가능한 환경윤리관으로는 기존의 인간중심주의와 자연중심주의의 장점을 수용하고 한계점은 최소화하는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라 하겠다.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의 존재가 전적으로 자연종속적이지도 자연초월적이지도 않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인간은 전지하지도 무지하지도 않다. 또한 자연은 전적으로 기계적이지도 전적으로 유기체적이지도 않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이는 기존의 폐쇄적 인간중심주의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인 인간 존재에 대한 우월성을 바탕으로 환경을 이용하고 이를 인간의 전지한 힘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잘못된 가치관을 바로잡을 수 있다. 또한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는 자연중심주의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인 자연의 권리를 인정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간섭을 허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간섭을 허용하면서도 환경보호라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은 개방적 인간중심주의가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윤리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후손이자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이해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윤리를 내면화하는 것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열쇠가 될 수 있다. 그런데 동시대에 살아가는 타인에 대한 배려도 하지 않는 현세대들에게 눈에 보이지 않고 현재 존재하지도 않는 미래세대에 대한 의무를 가지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도 있다. 그러나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반드시 존재하게 될 것이고 현세대에 의해 막대한 영향을 받을 것이 분명한 미래세대를 고려해야 하는 것는 우리에게 피할 수 없는 의무이다. 그러므로 논자는 개방적 인간중심주의에 근거한 올바른 환경윤리관을 가지고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윤리를 실천하게 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방법으로 환경윤리교육을 들었다. 개방적 인간중심주의에 바탕을 둔 환경윤리교육을 통해 절제, 배려, 책임, 지속가능한 소비, 정의를 적절한 교수-학습모형에 의해 적용시켜 교육함으로써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지·정·의라는 통합적 영역에 있어 현세대의 욕망과 편의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미래세대를 위한 의무로서의 환경윤리를 실천하게 해야 한다. 이제 환경윤리교육은 교육활동의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개방적 인간중심주의에서의 환경윤리교육은 미래를 위한 장기적인 투자이자 위대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세대는 미래세대가 생존 가능하고 그들의 환경권을 지켜줄 수 있도록 개방적 인간중심주의에 바탕을 둔 미래세대를 위한 의무로서의 환경윤리를 실천하게 하는 환경윤리교육은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요구라 하겠다. The environmental problems are one of critical matters which we should solve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entire world and should take steps right now. And the wrong way of thinking and values human beings have had are the very cause of the problems. The most desirable environmental ethics to correct them is the open anthropocentrism, which accepts the virtues of the existing anthropocentrism and naturalism and minimizes their limitations. The open anthropocentrism does not assume that the being of humans is entirely dependent on or superior to the nature. According to it, humans are not omniscient and not ignorant, and the nature is not what is entirely mechanical or entirely organic. It is able to correct the wrong thought of the closed anthropocentrism that humans can exploit the environment by their superiority over the nature and can solve problems by their omniscient power; the open anthropocentrism is also able to solve the limitation of the naturalism that there should be no intervention of human beings in the nature, by recognizing the right of the nature. As allowing the human's intervention and at the same time protecting the nature, it can be the environmental ethics for our future generation. For the generation who will have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not remarkably different from that of us as our descendents, to internalize the environmental ethics can be a key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is, however, a skeptical attitude about the thought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future generation which is not existent here and invisible to the present generation, who is often inconsiderate even of others of the same time. The next generation will surely come unless there are unavoidable circumstances and they will be greatly affected by the present people, so it is our responsibility to care about the generation to come. Here, th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was thus presented as the most basic and long-range way to have people practice the environmental ethics for the future generation, based on the open anthropocentrism. We should teach saving, consideration of others, responsibility, sustainable consumption and justice with a proper teaching-learning model through th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open anthropocentrism, in order that the youth are taught to practice environmental ethics as a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as well as to pursue the convenience and desire of the present, in the integrated field of cognition, affection and conation. Th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s being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especially under the open anthropocentrism, can be the long-term investment and excellent resources for the future. Consequently, th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s the demand of the present time for us to practice the environmental ethics as our responsibility for the generation to come, based on the open anthropocentrism, so that the present generation secures the environmental right and survival of the future generation.
환경윤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도덕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중심으로
서민정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오늘날 인간에 의한 자연환경의 이용은 인간의 생존과 생활을 위한 필요에서 보다는 풍요로운 사회를 지향한 성장 그 자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즉 경제적·사회적 성장만을 위해 자연환경을 변형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연파괴와 환경의 오염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파괴되고 오염이 심각한 자연환경은 인간의 생활과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그 결과 인간과 자연환경 간의 조화는 깨지고 더 이상 공생적 관계형성이 어렵게 되었다. 이제 환경 보전을 생각하지 않은 개발과 성장은 한계점에 다다랐기 때문에 그 심각성이 더해 가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하는데,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윤리규범 체계로서 환경윤리의 형성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윤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표를 설정하고, 환경윤리 교육에 포함해야 할 내용을 정리하며, 교육방법으로서 도덕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적용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학교 교육에서 환경교육은 제4차 교육과정부터 다루기 시작하였고, 제5차 교육과정은 8대 중점사항의 한 영역으로 제시하였고,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반영시켜야 할 필수내용으로 선정되었다. 이제 학교교육에서 환경윤리는 중심적 문제가 되었으므로 환경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하는 것은 학교 안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며 일시적인 관심의 수준에 머무는 것은 더욱 아닌 것이 분명해졌다. 그렇다면 환경윤리 문제를 근본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어떠한 목표를 설정하여 어떠한 교육내용을 어떠한 방법으로 교육할 것인가? 에 대한 답변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환경윤리 문제의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의 계획이다. 따라서 환경교육은 환경윤리의 함양에 중핵적인 목표를 두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환경윤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표가 설정되었다. 환경윤리 교육 내용으로는 생태학에 대한 기초지식의 함양, 인간중심주의적 자연관의 극복, 동양의 전일적 우주관의 적립 등을 고찰하였다. 환경보전 및 환경윤리에 대한 자율적인 도덕성을 형성시켜 줄 수 있는 수업 방법으로서는 '내용'의 도덕 교육, '형식'의 도덕교육, '동기'의 도덕교육이 동시에 그리고 전체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제시되고 있는 도덕적 문제해결 수업 모형에 의한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도덕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은 새로운 도덕 수업의 한 방법으로서 문제사태의 제시, 문제사태의 인식, 문제사태의 직면, 도덕적 판단, 도덕적 신념, 도덕적 행동 등 6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모형이다. 이 모형을 환경윤리 교육에 적용하여 수업을 전개함으로써, 초등학생의 환경윤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환경보전에 대한 행위 규칙과 올바른 가치관을 갖게 하고, 환경보호에 대한 기본적인 규범을 습관화시킬 수 있는 환경윤리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환경윤리 및 도덕과 교육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 교사들은 각 단계의 특징에 적합한 유도 발문을 구성하여 수업을 전개해야 한다. 끝으로 현행 환경윤리교육은 여러 교과에 분산되어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교사는 해당 교과에 한정하여 지도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환경문제에 대한 책임감을 갖는 올바른 태도, 신념, 가치관 등을 환경윤리 의식의 함양에 최우선 목표를 두고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의 환경문제 인식과 환경관에 따라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교사의 환경문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올바른 환경관의 정립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In these days, the community has problem to use of the Natural Environment by human. That is just a thing our society wants to use growth only aim at an affluent form itself rather than for human's existence, under the necessity of human. Precisely they keep growth transforming only for growing of economy and the public without any fatigue. It leads to destroy of natur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destroyed and polluted environment have a dramatic effect on the living and existence of human. Now we reach uppermost limit because of development and growth excep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refore we have to lay out newly scheme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 formation of ethics environment by ethical standards from amo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set up a determined goal to ethic environment education and including arranged subjects into environment ethic education. And then the chief aim is invest for teaching model of moral problem solving with education methods. The contents are going on throughout teaching in mo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has started the fourth course of study in primary school. When the fifth course of study brings it up in the middle of eight essential particular. And also when the sixth course of study be selected a mandatory clause that the contents should reflect in a curriculum a national position, Environment ethic became key subject in school education now. how do we deal with the environment problem! It should not stop only in schooling and is not a sure to remain just a temporary interest. In that case, what is device to treat the environment ethic problem, basically? what is set up of specific target? Is there any using method for activation? The definite answer is three points which are environment ethic problem of the education goal, the education substances and the plan of educa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 education, We have to set a core goal to cultivate environment moral. We inquiry into cultivation of basic knowledge about ecology, subjugation of human-oriented a view of nature, accumulation of the oriental whole-mind vision of the universe and so on in the environment ethic schooling. The following studying methods are building to self-regulating morality of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first, ethic education of 'content', the second ethic education of 'formation' the last ethic education of 'motivation'. And generally, they are operated and showed to us by instructional model of mor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al model of moral problem solving is one method of them which is moral learning. In other words, it makes up six stages with presentation of problem situation, confront, morality judgement, belief, action. We make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newly recognition through instructional model of moral problem solving that regulation are applied to the environment ethic education. This recognition leads to action law of environment conservation, cultivate a correct sense of values, get into a habit of basic model of behavior. We are looking forward formation of environment morality foundation. When we apply instructional model of moral problem solving into environment and ethics education, teachers should develope lesson with induce to students to postscript. It is suited to each step's mark. In conclusion, current environment ethics education get teached decentralizing, On this count, teachers should get out of defined relevant subject and then guide to have with correct attitude, belief, senses of values. these kinds of list put emphasis on the first of all. And also if teachers have different environment ideal, their student have many different points. Therefore it is requested newly consciousness about environment problems and correct environment senses.
송영종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인류가 현재 안고 있는 생태위기는 본질적으로 인류가 자연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가치관의 위기이며, 이와 같은 위기로부터 벗어나 인류와 생태계의 영속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윤리와는 전혀 다른 어떤 새로운 윤리는 아닐지라도 자연에 대한 인간의 책임이 부과되는 윤리, 즉 환경윤리가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치, 경제 제도의 조정과 인간의식의 실천적인 힘을 제공하고, 그것이 실질적인 결과를 산출해 내기 위해서는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교육을 위주로 현재 학교교육에서의 환경윤리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것의 개선방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I장에서는 생태학적 위기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인간과 자연에 관한 새로운 윤리를 정초 해야 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II장에서는 생태학적 위기와 환경문제에 대한 여러 이론들을 살펴보고 환경윤리에서의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 해 보았다. III장에서는 학교환경교육의 중요성과 그 원리 그리고 내용과 방법을 통하여 학교 교육을 통한 환경윤리의 모색을 시도해 보았다. IV장에서는 학교 환경윤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V장에서는 환경윤리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방안으로 가치명료화 이론을 제시하였다. 가치명료화 이론은 개인이 선택한 가치의 존중과 가치의 내면화 그리고 내면화된 가치를 적절한 행동으로 실행 또는 결정하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위에서 제시한 환경윤리교육의 개선 방향은 "인간, 인간과 문화, 인간과 생물, 물리학적 환경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올바로 평가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태도를 개발시키기 위하여 가치를 인식하고 개념을 명백하게 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환경의 질에 관련된 행동 규범을 규정하고 수립하는 실천과정"이다. 즉, 환경윤리교육은 환경에 대해 알고(knowing), 느끼고(feeling), 행동하기(acting)의 학습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학교환경윤리교육의 핵심은 환경에 대한 바른 인식과 행동을 배우고 이것을 실천에 옮겨, 환경의 질 향상과 유지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The ecological crisis the mankind is currently encountering is essentially the juncture of the outlook of value the mankind has toward the nature. To be rid of such crisis and to be guaranteed of the perpetuation of mankind and ecosystem, perhaps not the whole new set of moral principles but the code of conduct that imposes the mankind the responsibility of nature, namely, the environmental moral is requested.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above, the arbitration of politics and economical regime as well as provision of practical strength of human awareness and that to bring forth the practical result,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study is demanded. Accordingly, this treatise seizes the controversial point of environmental study of morals of current school education and inspects the bearings of improvement. On the first chapter, the consultation of the ecological crisis is deployed and talks about the new moral principle concerning human and nature. On the second chapter, the divergent views referenced to environmental crisis are examined and the gravity of the education of environmental moral is consulted. On the third chapter, through the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of environment, its reform measure and through contents and method, attempted the groping of environmental moral. The fourth chapter gropes for the point at issue of school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and the reform measure. Finally, on the fifth chapter, by the drilling measure of faculty for the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the theory of the lucidity of value is presented. The theory of the lucidity of value assists the respect of value chosen by individuals, internalization of value, and practicing or concluding the internalized value into pertinent conduct. The course of improvement for the proposed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from above is "not only the process to perceive the value and distinct the concept to exploit the capability and attitude needed to comprehend and uprightly valuate the mutual relation of man, man and civilization, man and organism, and physical surrounding, but the practical process that ordains and establishes the related behavioral criterion. That is, the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can be seen as the course of education of knowing, feeling and acting of environment. The core of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of school takes aim at learning about upright recognition and conduct and putting this into practice, as well as cultivating the democratic citizens that contribute in uplift and maintenance of quality of th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