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스피스환자 주 수발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최영순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매해 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늘어나 2004년에는 전체 사망자의 26.3%인 6만5천명이나 되었다. 이렇듯 암 진단 후 수술, 항암요법 및 방사선 요법 등으로 고통을 받게 되고 그중 많은 환자는 완치가 어려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된다.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영적 고통으로 삶의 질은 급격히 떨어지고 가족들은 치료에 소요되는 많은 비용 부담과 함께 환자가 고통 받는 모습을 지켜보는 어려움이 가중되곤 한다. 이때 가족들의 태도에 따라 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도 변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는 주 수발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호스피스 팀과 의료진이 있는 서울을 비롯한 전국 6개 도시의 10개 호스피스 기관에 등록된 호스피스 환자 80명과 그들을 돌보는 주 수발자 80명이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는 호스피스 환자용 13문항과, 주 수발자용 9문항으로 이루 졌다. 주 수발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의 측정도구는 노순희(2003)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는 유승연(2000)의 구조화된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 방법은 면담을 통하여 한 달간 수집하였다. 통계 방법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회기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스피스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첫 번째 고통으로는 통증이 60.0%로 제일 높았고 두 번째로는 식욕부진이 23.8%로 높았다. 호스피스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차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차원에서는 종교(p=.o44)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5). 실존적 차원은 연령(p=.03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고 (p<.05), 영적 차원에서는 종교(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주 수발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에서는 연령(p=.025)과 종교(p=.05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5). 주 수발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Pearson correlation으로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단순 선형 회귀분석에서는 신체적 차원(B=-.082, p=.025)과 영적 차원(B=.064, p=.027)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R square=.147로 14.7%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호스피스 돌봄에서 주 수발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과 관계는 회기분석 결과 14.7%의 설명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there are constantly increasing number of cancer patients with reaching 65,000 deaths and it was 26.3% of the total number of death in 2004. Many cancer patients suffer from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fter being diagnosed as cancer. And many of them are facing fear of death because they can't be perfectly cured. Due to patient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pain, quality of life drops dramatically. Patients' families also suffer from huge medical expenses while they have to take care of patients's suffering from pain. At the same time, family's attitude c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patients'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orientation of first care giver and the quality of life of hospice pati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 hospice patients registered at ten hospice institutions with hospice team and medical practitioners in six cities including Seoul as well as their first care givers. This study used 13 questions for the hospice patients and nine questions for the first care givers to recognize general characteristic. To measure death orientation of the first care giver the tool developed by Noh, Soon-hee (2003) was used. And to measur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Yoo, Seung-yeon's structured tool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or a month through interview method. SPSS win 1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Pearson correlation.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In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of hospice patient and quality of life, the highest suffering was pain (60%) and the second suffering was anorexia (23.8%).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ai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spice patient. In psychological aspects, religion (p=.04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existential aspects, age (p=.03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variable in support aspects. And religion (p=.000)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in spiritual aspects (p<.001). Age (p=0.025) and religion (p=.050) were the variab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first care giver's death orientation. Although the relation between death orientation of first care giver and quality of life of hospice pati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conclusion, while death orientation of first care giver and hospice patient's quality of life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rrelation analysis.

      • 호스피스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의 발전방안

        서영준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호스피스는 의료 전문가와 자원봉사자가 중심이 된 팀에 의해서 제공되며 호스피스 팀은 환자나 그 가족을 돌보기 위해서 가능한 한 많은 자원을 끌어들여 이용하게 된다. 임종 환자나 가족을 위한 보살핌에서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호스피스에 있어서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은 자연히 커지고 있으므로 각 기관에서는 사명감과 좋은 자질을 가진 봉사자를 모집하여 교육하고 호스피스 활동에 참여시켜야 한다. 호스피스 활동은 점진적으로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호스피스 자원봉사의 수요와 요구가 점점 확대되어가고 있기에, 자원봉사자들이 효율적인 호스피스 활동에 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이 요구된다. 자원봉사활동은 단순한 인간의 뜻만으로는 부족한 것이며 끊임없는 훈련과 교육의 뒷받침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의 활성화와 체계적이고 차원 높은 양질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호스피스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조사 및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호스피스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호스피스 활동에 있어서 자원봉사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지만 효율적인 호스피스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문제점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활동이 부족하다. 둘째, 호스피스에 대한 관심과 인식의 부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문제중의 하나로 나타나는 문제는 호스피스와 호스피스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며, 인식부족의 주체는 일반대중들 뿐 아니라 의료인이나 기타 의료관계 종사자, 병원행정가 및 국가정책 입안자들이다. 죽음에 대한 국민대중의 폐쇄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는 또한 일련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에 대한 거부감을 고양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고, 호스피스에 대한 사회적·제도적인 기반이 취약성도 호스피스 자원봉사의 걸림돌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호스피스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운영상의 문제이다. 자원봉사자 관리 측면에서는 자원봉사자 양성기관의 교육내용의 미체계화와 내용의 부실, 그리고 홍보의 부족, 업무부여 및 배치과정의 체계성 부족, 다양한 호스피스자원봉사 활동 프로그램의 부족이 문제이다. 또한, 지도·감독 및 평가에 있어서 체계적인 평가의 부재를 들 수 있다. 관리조직상의 문제와 호스피스 병동시설과 병동의 부족, 인력구성의 문제(전문가의 부족), 재정적 측면의 문제가 있다. 넷째, 법적·제도 및 정책 지원의 결여이다. 대부분의 호스피스 기관은 제도적 장치 안의 부서로 편성되어 있지 않고, 특별 부서나 기타 부서 중의 한 부서로 편성되어 있어서, 각 기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혜택(재정, 시설, 인력, 등)들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호스피스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활동 측면에 있어서 호스피스에 대한 종합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양질의 호스피스가 제공되도록 실습과 연계되는 연구활동을 활성화하고,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자원봉사자와 환자의 요구도 조사 및 만족도 등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호스피스에 대한 무관심과 인식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급히 수행되어야 할 것은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매스매디아를 통한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사회적인 교육과 계몽이 이루어져야 한다. 관리운영적인 측면에서 볼 때 호스피스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서 호스피스 병동 설립, 전문요원 배치, 자원봉사자 개발 및 활용,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방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국가의 행정적·법적 뒷받침과 제도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정보체계의 활성화로 각 호스피스기관과의 유기적 관계의 강화, 전문인력의 양성프로그램개발이 급선무이며, 정책적 측면에서는 정부의 재원 및 정책의 지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The hospice was given by the team which is formed by the medical specialists and the volunteers and the hospice team gets to be used by the volunteer as much as possible for the purpose of taking care of the patients or their family. The role of volunteers take the very important position in which they take care of the dying patients or their family. The role of volunteers is naturally and generally increased in these situations, and thus each authorities recruits and trains the servants who have the sense of duty and the good character and also makes them to take part in the hospice activities. The hospice activities gradually becomes universal, and the demand and need on the hospice volunteer is expanded step by step, and thus the systematic control and operation of hospice program are required in order that the volunteers can be devoted to the effectives. Accordingly, it is regarded as which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the educational system of volunteer for one element for promoting the effectiveness of activities of volunteer.

      • 호스피스 환자에 대한 의식구조와 원예요법의 효과 분석

        신영숙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원예요법 프로그램으로 호스피스 환자의 의식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원예요법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환자의 의식구조 효과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군의 피험자는 D시에 소재한 2016년 A병원 2월17일부터 2017년 2월22일까지 환자와 보호자 49명(남22명, 여27명)과 ,2016년 B병원 1월7일부터 2017년 12월28일까지 환자와 보호자 115명(남61명, 여54명)과 ,2017년 C병원 1월4일부터 2017년 12월20일까지 환자와 보호자 170명(남99명, 여71명) 전체 334명을 대상으로 원예요법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환자와 보호자의 의식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원예요법 프로그램 후 적어낸 언어표현으로 호스피스환자의 의식구조를 나타내는 핵심요인 Common Factor Analysis방식으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ICRO EXCELL과 SPSSV25 ANOVA 분석을 수행하여 호스피스 환자의 의식구조 및 효과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랑 (42.66%), 희망 (30.54%), 감사 (13.17%), 행복 (10.03%), 반성 (2.54%)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병원환경에 따른 효과 분석에서는 (F=0.627, p=0.535) 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원예요법 프로그램 대상자에 따른 효과 분석 결과 희망은 유의확률 0.003**으로 희망은 유의수준 (p〈0.01)의 범위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성은 유의확퓰 0.003**으로 반성은 유의수준의 (p〈0.01)의 범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요법 프로그램에 따른 효과 분석에서 공예프로그램은 사랑이 (45.24%), 관엽프로그램은 사랑이 (40.19%), 생화프로그램은 사랑이 (45.68%)로 사랑표현이 높게 나타나고 향기프로그램은 희망이 (54.55%)로 높게 나타났다. 희망은 유의확률 0.028**로 유의수준 (p〈0.01)의 범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요법 프로그램 참여성별에 따른 효과 분석 결과로 남자는 사랑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반성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랑의 표현이 남녀모두 가장 높게 나타나고, 희망, 감사, 행복, 반성 순으로 원예요법 프로그램 참여성별에 따른 효과 분석 결과 (F=7.712, p=0.006)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원예요법의 호스피스 환자의 의식구조에서 가족들에게 사랑을 보내는 사랑의 표현이 가장 많이 표현 되였으며 희망, 감사, 행복, 반성 순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병동의 환자 희망은 보호자들의 희망조사보다 낮게 조사되었지만, 환자의 반성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cious structure of hospice patients using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hospice patients.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analysis of the consciousness structure effect of the hospice patient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49 patients (male: 22 (61 males and 54 females) from January 7, 2016 to December 28, 2017, and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from 2017 to January 201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conscious structure of hospice patients and caregivers. The research tool was classified into the common factor analysis method which is the key factor that shows the consciousness structure of the hospice patients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ICRO EXCELL and SPSSV25 ANOVA to analyze conscious structure and effects of hospice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llowed by love (42.66%), hope (30.54%), thanks (13.17%), happiness (10.03%) and reflection (2.54%).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hospital environment (F = 0.627, p = 0.53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hope was 0.003 and that of hope was significant (p <0.01). The significance level of significance was 0.003 and the significance level of significance was significant (p <0.01) In the hospice patient 's consciousness structure of gardening therapy, the expression of love that expresses love to the family was expressed the most, followed by hope, appreciation, happiness, reflection. Patient hopes of hospice wards were lower than those of guardians 'hopes, but patients' reflections were higher than average.

      • 일 지역 성인들의 호스피스 인식 및 죽음 태도

        최경아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호스피스와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는 환자와 가족의 신체‧정신‧사회‧영적 고통을 완화시켜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개인의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호스피스와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고취는 우리사회에서 호스피스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일 지역 성인들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성인 415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12월 8일부터 2010년 11월 2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편의표집으로 공공기관, 세미나, 교회, 병원 등에서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대상자에게 본 연구자가 연구 목적 및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의 서면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는 호스피스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김정희(1990)와 이은자(1998)가 개발하고 김명숙(2007)이 구조화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는 Thorson과 Powell(1988)의 죽음에 대한 성향 도구를 박석춘(1992)이 번안한 것을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은 SPSS 18.0/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t-test, ANOVA와 Scheffe's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정도는 71.32±6.6점(도구점수범위: 23~92)으로 최소 54점, 최대 90점이며 평균평점은 3.10± .28점(척도범위: 1~4)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평균 67.09±10.08점(도구점수범위: 25~100)으로 최소 35점, 최대 93점이며 평균평점은 2.68± .40점(척도범위: 1~4)으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식 정도는 대상자의 성별(t=-2.472, p= .014), 사별기간(F=2.564, p= .028), 고인과의 관계(F=2.403, p= .038), 호스피스에 대해들은 경험(t=4.602, p< .000), 호스피스나 죽음교육 받은 경험(t=5.627, p< .000), 호스피스 봉사경험(t=2.500, p= .013), 유언장 작성경험(t=5.613 , p< .000), 종교(F=7.021, p< .000), 종교기관 참여도(F=6.016, p= .003), 신앙생활 비중(F=15.052, p< .000), 신앙생활 만족도(F=13.273, p< .000), 내세의 존재 믿음(t=4.404, p< .000), 삶의 목적(t=3.055, p= .003), 삶의 긍정성(t=2.038, p= .04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죽음 태도는 대상자의 의료보험형태(t=4.949, p= .008), 호스피스에 대해 들은 경험(t=3.529, p< .000), 호스피스나 죽음교육 받은 경험(t=3.775, p< .000), 호스피스 봉사경험(t=4.195, p< .000), 유언장 작성경험 (t=4.475, p< .000), 시신이나 장기기증 서약(t=3.049, p= .002), 종교(F=14.751, p< .000), 종교기관 참여도(F=33.527, p< .000), 신앙생활비중(F=39.630, p< .000), 신앙생활 만족도(F=35.091, p< .000), 내세의 존재 믿음(t=6.258, p< .000), 삶의 목적(t=6.210, p< .000), 삶의 긍정성(t=2.960, p= .003), 삶에 대한 만족도(F=19.922, p< .000), 마음의 평온(t=5.051, p< .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 지역 성인들의 호스피스 인식은 비교적 높았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인들의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호스피스 인식 및 죽음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호스피스완화간호 실무에서 결과에서 밝혀진 관련 변수 즉 인지 정서 사회적 특성 및 영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며, 호스피스완화간호와 죽음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본다.

      • 국내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호스피스 제도화 방안과 제도화 과정 고찰

        한옥선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Consideration of the way to institutionalize hospice and the process of hospice institutionalization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in domestic Han, ok s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Nowadays, med-tech gets developed steadily, and people's living standard gets improved, so many diseases which were incurable in the past are cured and the average span of a man's life is lengthened. Although med-tech made remarkable progress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who died of cancer are about 60,000 a year. Among them, people are spending painful time on dying of acute pain that modern medicine cannot solve in the process of ending their lives with terminal cancer. Therefore, social problem has been expressed about the quality of their life as a human who meets death for a long time. During the past time, hospice system relied heavily on dedicated service of volunteer work and religious groups. In this respect, the thesis has started to study with purpose that hospice system would be much more systematized and institutionalized in the social welfare.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ruth and problem survey of the existing hospice service or concentrating on a theoretical approach. After basically studying the problem and the operation status of hospice in domestic, we analyzed major issues about discussion of institutionalization for hospice and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ing hospice. In addition, we study the way to institutionalize hospice, and we tri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process of domestic hospice institutionalization which is being implemented on a trial basis in 2011. We also researched major issues such as enhancing human right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nd a standard of guideline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knew which part we prosecute in the way of institutionalizing hospice, so hospice system has to be linked between a local community and house hospice. It also has to be a linked service between house hospice and domiciliary care.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raised issues to be reflected to rational and efficient hospice system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성현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한다. 연구문제 1,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개인적 특성은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간병관련 특성은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경제관련 특성은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는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조사는 호스피스 병동, 기관, 가정 호스피스 환자의 주 부양자 158명 중에 15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직접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방법,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개인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F값이 P<.001 수준에서 성별, 종교, 학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50대 미만이고, 여성이 70.7%, 환자와의 관계는 주보호자가 배우자인 경우가 36.7%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가정 내에서 환자를 돌보는 역할은 주로 여성이 맡고 있으며 이로 인해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여성의 부담자 경감과 삶의 질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리라 본다. 둘째,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간병관련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F값이 P<.05 수준에서 간병시간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병시간에 대해서는 자원 간병인 육성 등의 사회적 지원과 지역 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연계망 구축이 필요하다. 호스피스 환자 가족이 외출하거나 잠시 환자 곁을 떠날 때 자원봉사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자원봉사자 교육이 필요하고, 전문, 비전문 자원봉사자 관리를 하여야 한다. 셋째,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경제관련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F값이 P<.001 수준에서 월 평균 수입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의 치료와 입원으로 인한 의료비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인 어려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호스피스의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호스피스기관 운영에 필요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공공기금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기부금 후원회 조직과 더불어 지역사회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F값이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환자와 가족원의 스트레스, 우울, 부담감, 고독감 및 무력감의 완화와 예방으로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중재변수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지모임의 시기, 형태, 내용, 접근 전략 등을 고려하여 일회적이며 단기적이기보다는 효과적으로 장기간의 운영이 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사회적 지지 모임을 장기간 운영하는 것이 예산이나 관리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추가로 주기적인 모임이나 시간을 단축한 월례모임으로 개선하는 것도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적 지원 문제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자원체계를 조직하고 동원하여 지원하거나 연결해 주는 호스피스 팀의 조정자로서 사회적 지지와 적응을 강화하도록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삶의 질에 대한 기존 연구 대상의 틀을 벗어나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개입을 다각적으로 모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재정문제에 대한 사회복지 차원에서 호스피스 운영 방안에 대해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호스피스 환자 가족은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어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는 홍보와 안내에 보다 적극적인 활동으로 가족의 문제를 의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본 연구가 밝혔다는 것이다. 호스피스 사회복지사 개입에 대한 실천적 함의는 첫째,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사회적 욕구와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사정과 평가를 수행하고, 함께 나누고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지원하고 중재해 주는 호스피스 팀의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둘째, 호스피스 환자 가족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역 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연계망 구축을 위해 자원봉사자 교육과 관리를 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자원체계의 정보수집 및 제공을 위해 활용 가능한 자원 및 시설, 제도 등의 활용을 위한 의뢰 상담과 관리를 하도록 한다. 사회복지 차원에서 호스피스 운영 방안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함의는 첫째, 호스피스기관 운영에 필요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공공기금을 조성하고 기부금 후원회 조직과 지역사회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고 둘째,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여 호스피스전문기관 육성과 민간의료기관과 사회단체 등과 연계하여 호스피스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호스피스 제공기관을 확대하고 셋째, 우리 의료 현실에 적합한 호스피스 적정 진료를 보장할 수 있는 건강보험 수가체계를 개발하고, 국가적인 호스피스지원본부를 구축할 필요가 있고 넷째, 의료비 부담능력이 취약한 지역주민을 위해 지역사회의 호스피스 모델 개발과 의료전달체계에 알맞은 호스피스 전문가팀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nding out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hospice patients' family's lif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those. The research result will contribute as the basic data to enhance the quality of hospice patients' family's life.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questions. Question 1, D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 hospice patients' family affect the quality of their life? Question 2, Do nursing characteristics of a hospice patients' family affect the quality of their life? Question 2, Do economic characteristics of a hospice patients' family affect the quality of their life? Question 2, Do social support of a hospice patients' family affect the quality of their life? This survey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man-to-man interviews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the sample of 150 out of 158, the main supporters of hospice patients in hospice wards, institutions, home. The analysis of data was made by SPSS WIN 12.0 version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survey data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effects of hospice patients' family'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the quality of life, F value was significant in gender, religion, education background in P<.001 level.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less than 50 years old and 70.7% of them were females. The 36.7% of main supporters were their spouses. Such a result shows that the care for the hospice patients' is mainly given by women, and the chance for a high stress on them is very likely to happen. This result implies that an adequate mediation is demanded for relieving their pressur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Second, the analysis result on the effects of nursing characteristics of hospice patients' family to the quality of the life, F value of nursing tim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P<.05 level. As to the nursing time, it is demanded that social support through nurturing voluntary supporters or establishing a network among hospice volunteers in the region should be materialized. The training for volunteers who can give cares for a short time when the family of hospice patients' goes out for a while or takes a few days' leave is needed. In addition to this, proper management of professional, non-professional volunteers should be maintained.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ffects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spice patients' families, F value of monthly income was significant in P<.001 level to the quality of the patients' family's life. Long-term treatment and hospitalization results in the increase of medical expenses, causing economic troubles. In order to deal with the financial difficulty of hospice families, policies for public funds should be made to help them both nationally and regionally. Organizing committees for donation should be followed along with making most use of resources in the local community. Lastly,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hospice patients' families to their quality of life, the F valu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P<.01 level. Social support causes many effects as a mediating factor that is closely related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mitigating and preventing helplessness, stress, depression, pressure, and loneliness of patients and family members. In order to boost social support, it is demanded that long-term approach should be made by governmental initiative, considering period, types, contents, and strategies rather than one-shot short-term approach. Regular meetings in short-term basis or monthly meetings will be helpful to complement the difficulties in management of long-term meetings to facilitate social support. The role of a social-service officer is critical so as to enhance the quality of hospice patients' families through helping them find ways to benefit from the current social welfare policies. A support system to handle the problems of hospice patients' family is highly required to strengthen possible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of their situation as well as social-service officers' intervention as a mediator.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his study is that the scope of investigation as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broadened to the hospice patients' families, which is an unprecedented approach. Such a perspective will contribute to finding desirable ways for hospice social service officers' intervention in various ways to deal with this issue. It will raise interest of governmental side in policies as to financial problems which are related to the quali쇼 of hospice patients' families. Another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need for hospice social workers should be acknowledged because those who should benefit most from them is unaware of ways to use th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ore strategic and active publication should be made to offer more trustworthy information for the patients' families. Lastly, governmental support was also emphasized in this survey. In specific, the ways for hospice social workers' intervention are as follows. First, their role is a mediator who can analyze and assess the hospice patients' families' social desire and social-psychological problems, thus finding solutions to share and overcome their situations. Second, training and management of volunteers should be made in order to help the families when they are in need of volunteers in the region as a network. Third, counseling and proper management are demanded to collect information in the local community so that they can be offered to those who need usable resources, facilities and institutions. Another practical implication for governmental policies us as follows. First, training professionals who can deal with the hospice patients' families problems under the current medical system need to be raised through sustainable intervention. Second, governmental or regional fund should be built to raise donations that will be used for managing hospice institutions. Organizing supporting committee and making most use of the given regional resources are demanded. To help the hospice patients' families in social welfare approach, the governmental side could take notice of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is research. First, a donation system should be activated to support hospice institutions. Second, more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give support for hospice families through a cooperative system among professional institutions, private medical centers, and social organization under governmental fund. Third, a national system to guarantee a proper health insurance system that suits the reality in Korea needs to be developed in addition to nationwide hospice supporting system. Fourth, a hospice support system based on each local community's need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help residents who do not have enough financial capability.

      • 암 환자와 가족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 및 호스피스 완화간호 요구도 :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and Nursing Demand of Cancer patient's and Families

        곽다연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암 환자와 그 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및 호스피스·완화간호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B 광역시에 소재하는 P 대학병원 종양내과 병동에 입원하여 고식적 완화 치료 중인 Stage Ⅳ 병기의 암 환자 110명과, 그 가족 116명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 1일부터 2017년 3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김정희[45]와 이은자[46]가 개발하고 김명숙[35]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한 호스피스 인식 측정도구, 강경아와 김신정[48]이 개발하고 진현정[36]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한 호스피스·완화간호 요구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 환자의 성별은 남자와 여자가 50%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령은 60세 이 상이 61.8%로 가장 많았고, ‘40∼59세가’ 31.8%, ‘20∼39세가’ 6.4%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로는 ‘기혼’ 80.9%, ‘미혼’ 10% 순이었으며, 종교는 불교가 37.3%이었고, ‘무교·기타’ 33.6%, 기독교 ‘23.6%’, 천주교 ‘5.5%’ 순이었다. 최종학력은 고졸이 40.9%로 가장 많았고, 직업 유무는 ‘없음’이 81.8%로 나타났으며, 경제 상태는 ‘보통’이 66.4%이었고 ‘어려움’ 30.9%, ‘여유 있음’ 2.7%으로 나타났다. 암 환자의 진단명은 ‘소화기계암’이 56.4%로 가장 많았고, ‘유방암’ 13.6%, ‘비뇨기암 및 기타암’ 11.8%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병기(病期)에 대한 인식은 ‘알고 있음’이 65.5%, ‘모름’이 34.5%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stage Ⅳ 병기의 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병기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환자 중에서 본 인의 병기를 2기로 알고 있는 사람이 1.4%, 3기로 알고 있는 사람이 11.1%로 나타났다. 최초 진단 후의 경과기간은 ‘3년 이상’ 28.2%, ‘6개월 미만’ 23.6%, ‘6개월∼1년 미만’ 21.8% 순이었으며, 질병의 재발 유무에는 ‘재발’ 28.2%, ‘초 발’ 71.8%이었다. 암 치료를 위해 현재까지 시행한 치료방법으로는 ‘항암화학 치료’가 97.3%로 가장 높았고, ‘수술’ 48.2%, ‘방사선치료’ 14.5% 순으로 나타 났으며 항암치료를 받은 횟수로는 ‘5차 이내’가 34.5%, ‘10차 이내’가 23.6%, ‘20차 이상’이 21.8% 순으로 나타났다. 치료 결과에 대한 기대로는 ‘생명 연장’ 이 55.5% 로 가장 높았고, ‘잘 모름’이 20.9%, ‘절망적’ 이 16.4%, ‘완치’가 7.3%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성별은 여성이 69%이었고, 연령은 ‘40∼59세’가 40.5%로 가장 많았 으며, ‘20∼39세’가 35.3%, ‘60세 이상’이 24.2% 순이었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76.7%, 이었으며, 종교는 ‘무교·기타’가 38.8%, ‘불교’ 33.6%, ‘기독교’ 22.4%, ‘천주교’ 5.2% 순이었다. 최종학력은 ‘대졸이상’이 55.2%로 가장 많았고, 직업 유무는 ‘있음’이 56.9%로 나타났으며, 경제 상태는 ‘보통’이 66.4%로 가장 많 았고, ‘어려움’ 20.7%, ‘여유 있음’ 12.9%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와의 관계는 환자의 자녀가 34.5%로 가장 많았고, 환자의 배우자가 31.9% 순이었다. 2. 암 환자와 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정도는 평점 3.15점/3.13점(1-4점)으로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의·철학 영역(3.27점/3.22점), 대상자 영역(3.09점/3.07점), 서비스 내용 영역(3.16점/3.17점), 윤리 및 심리 영역(3.03점/2.94점), 홍보 및 교육의 필요성 영역(3.18점/3.26점) 이었다. 3. 암 환자와 가족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요구도 정도는 평점 4.24점/4.32점(1-5점)으로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신체적 요구도(4.66점/4.61점), 영적 요구도(3.89점/3.89점), 정서적 요구도(4.35점/4.45점), 가족지지 요구도(4.11점/4.32점) 이었다. 4. 암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정도는 성별(t=-2.61, p<.010), 종교(F=5.5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정도는 성별(t=-2.26, p<.026), 연령(F=3.11, p<.048), 최종학력(F=2.80, p<.029), 직업유무(t=-2.23, p<.02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 환자의 질병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정도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5. 암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요구도는 성별(t=-3.02, p<.003), 종교(F=7.0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요구도는 연령(F=4.08,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 환자의 질병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요구도는 병기 인식 유무 (t=0.36, p<.037), 경과기간(F=3.21,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암 환자와 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간호 요구도는 양의 상관관계(암 환자 : r=.60, p<.001 / 가족 : r=.51, p<.001)로,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완화간호 요구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암 환자와 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간호 요구도 정도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가 필요한 암 환자와 가족이 이를 적절한 시기에 이용할 수 있도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향상시키는 전략 및 대상자의 요구에 부합한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마련되어 호스피스·완화간호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올 것을 제안한다.

      • 호스피스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김경자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우리나라는 과학의 발달과 경제 수준의 향상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와 함께 의학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만성질환과 말기환자의 수가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말기환자들의 고통을 제거하고 편안한 삶을 유지하고자 하는 요구가 팽배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이러한 말기환자를 돌보기 위해 발달한 것이 호스피스라 하겠다. 의료와 복지의 목표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며 복지사회가 추구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이다. 따라서 말기환자의 경우에도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케 하기 위해 우리사회에서 이용 가능한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임종을 앞둔 말기환자들의 마지막 생을 보다 편안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인간적인 삶에 대한 배려이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의 개념을 분석하고 호스피스 도입을 위한 제반여건을 조정하여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한 부분으로 정착될 수 있는 호스피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호스피스란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팀 접근을 통해 총체적으로 돌보는 사랑의 행위이다. 이를 통해서 말기환자가 여생동안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고,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환자와 그 가족들을 질병치료 중심이 아닌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도 돌보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활성화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호스피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호스피스 현황에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선진국의 호스피스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영국과 미국, 일본은 역사는 짧지만 호스피스가 하나의 독립된 의료체계로 정착되어 발전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도 호스피스가 대두되어 다소의 적용을 보이고 있기는 하나 아직 초기단계의 수준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전국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기관 또는 팀은 약 60개이며, 의료기관, 사회복지 시설, 종교기관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이 종교적인 배경 하에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뿐, 의료보건체계의 한 전문분야로 제도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호스피스 기관이나 활동에 대한 표준화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에 대한 법적·제도적 규제도 없어 다양하고 체계화된 호스피스를 정착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전문가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 홍보 부족으로 인한 전문가와 일반대중의 인식부족은 호스피스 활성화의 저해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가 우리나라에 정착하고 활성화 방안으로 법적 제도 및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하며 호스피스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조직구조와 전달체계가 우리에게 적합한 한국형 호스피스 모델개발 및 검증을 통해 적용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 그리고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각 분야의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호스피스팀의 역할 규정 등이 구체화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전문가 및 일반대중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호스피스의 이용률을 높이며 폭넓은 사회적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시행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모든 국민에게 특히 소외 계층이 제외되지 않도록 질적인 면에서 일정한 수준의 호스피스 혜택이 골고루 주어지는 방향으로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The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rapid changes in people's of way of lives. It has also prolonged people's span of life, and increased the number of chronological disease and the number of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The higher level of economic well-being has caused people to be concerned about the quality of lives of such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The hospice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take good care of them. The ultimate purpose of medical service and welfare is said to be the improvement of people's quality of lives and the respect of human dignity. Accordingly the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also has the right to be taken good care of. We should have much more consideration in order to make them spend their last lives more comfortably.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concept of hospice system, to describe the present situation of hospice and the medical care for the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in Korea,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advanced countries, and to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 and policy measures to cope with such problems.. We largely depend upon literature survey for carrying out this research. There are only 60 institutions or teams which can be regarded to function as a hospice. Most of them are religiously related organization, and are not formally institutionalized as a public health care system. Therefore, no standards have yet been established for the hospice activities and their organization. Furthermore, there has not been special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information of the hospice system. Accordingly, there has been very few specialist on hospice and average citizens seldom have the knowledge of hospice. In this paper, we suggest that legal system as well as policy support should provided in order to activate hospice system. We also suggest that a speci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education of doctor, nurses, social workers who can work at hospice. Finally, we suggest that a very positive public relations programs should be worked out in order to derive wide public support for the early introduc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 system.

      • 정토마을 佛敎 호스피스 敎育이 心理的 安寧感과 社會 心理的 健康에 미치는 影響

        이성경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호스피스는 6개월 이내로 예견된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사랑을 실천하는 수행이다. 본 논문은 정토마을 불교 호스피스 교육생을 통해 정토마을 불교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결국 이는 의료복지사업과 사회복지 사업에서 호스피스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호스피스 마인드의 저변확대와 더불어 살아가는 실천적 방향을 준비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정토마을에서 운영하는 불교호스피스교육생 39기 교육생을 실험집단으로 하여 57명을 대상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불교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한 6박7일 70시간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사회 심리적 건강 척도(Psycho-sociological Well-being Inventory 단축형:PWI-SF)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불교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사전 검사설문지를 실시하고 교육 종결 시에 사후 검사 설문지를 실시했다. 조사결과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 통계분석 툴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정토마을 불교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지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토마을 불교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은 심리적 안녕감(이하 PWBS)과 사회 심리적 건강(이하 PWI-SF)의 향상에 유의한 효과를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정토마을 불교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른 효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효과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겠다. 연령에 따른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측정요인은 심리적 안녕감 측정요인 중 자아수용, 사회 심리적 건강척도 측정 요인 중 자기 신뢰도로 볼 수 있다. 참가 목적에 따라 불교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없는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의 범주에서 일반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는 측정요인은 사회 심리적 건강척도 중에서 일반 건강(자아성찰, 주위권유, 자아수용), 자기 신뢰도(자아성찰, 주위 권유, 호스피스 역할), 우울(자아성찰, 주위권유, 목적 없음)이라고 볼 수 있다. 불교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사후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 심리적 건강 척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상관관계의 경우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불교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이 실험 대상자들에게 해당 상관관계의 요인과 관련된 인식에 변화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암 발생률이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다는 것을 감안 했을 때 남성에게 프로그램의 효과를 나타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분석을 하고 나아가 삶과 죽음의 질 향상의 노력을 위해 시대에 발 맞춰 불교 호스피스 교육 또한 눈높이를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더불어 불교 호스피스 교육을 통해 함께 사는 사회에 적합한 밝고 건강한 사회를 구축하는데 기틀이 될 것이다. Palliative care or Hospice is specialized medical care that it serves for people ended within half year with serious illness and families of them. It is a kind of practical asceticism that is designed to increase quality of life of them based on the value and dignity of human. Through data of hospice education program in Jung-To Community, this paper releases that project could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social health over them.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ospice on the medical and social welfare business. Eventually, it could lay at the cornerstone of palliative care 101 to expand the base of hospice mindset and nudge into setting pragmatic direction on way to live together. Research in Buddhist Hospice Education in 2014 studied the fifty-seven trainees participated hospice course on seventy hours in seven days. On the paper, there are two kind of measurement method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and Psycho-sociological Well-being Inventory, PWI-SF. Pre-testing and post-testing with questionnaire are conducted education either before or after. Result of survey is analyzed with a statistical analysis tool called IBM SPSS Statistics 21. The data i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social health in Buddhism palliative care training course. This study has found the result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urvey in hospice training program, PWBS could help to rise an improvement of PWI-SF. In comparison analysis on the gender group, the female group outstands by the correlation between PWBS and PWI-SF rather than the male group. The effect by age groups is able to relate with self-acceptance and self-trust in the PWBS and PWI-SF. It seems to be no sign of influence for PWBS with participation purpose in this program. Most of the measurement facts, yet, shows progressive improvement. The facts contain general health; (self-reflection, recommendation, self-acceptance), self-confidence; (self-reflection, recommendation, role of a hospice), and depression; (self-reflection, recommendation, purposelessness). After completing the course, research in a correlation between PWBS and PWI-SF indicates similar results as it of former. The main cause of changes of the recognition in a correlation fact can be accounted a Buddhist hospice education program held at Jung-To Village.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cancer incidence rate of male, it is necessary for men to find appropriate requirements for effectiveness of course on hospice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that the program of palliative care is angled towards a new demand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and death. Furthermore, the hospice program would be the foundation to make better health and bright society.

      • 일 지역 가정간호 대상자의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김영미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modern society, because the numbers of cancer patients and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rates of chronic illnesses, such as cerebrovascular disease,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are increasing, so too the demands for in-home visiting care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burdens on families regarding hospitalizations. In-Home visiting care offer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care for terminally patients to allow them to meet a comfortable death in familiar surroundings along with the care of their fami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subjects regarding their knowledge of in-home hospices and to inspire in-home visiting care hospice recognition. For this purpose, the recognition of and the demand for hospice care was sought from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a general hospital or an organization that had a domiciliary care division in the Busan reg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3 to November 15, 2008.Th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s and by chi-square test using SPSS WIN 14.0.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cluded 47.3% male and 52.7% female subjects. Their average age was 68 years, and the age of 70's was the oldest. (Editor Note to Author: It is not clear what is meant by "age of 70’s."It might be preferable to list the age of the oldest subject.) Most of the subjects were married. Education levels were evenly distributed from elementary school graduates to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or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s. Regarding economic status, 53.7% was regular state. As for primary nursing care, spouses provided nursing care for 47.8%. By insurance types, 75.1% with health insurance was the highest rate. Most of the subjects were not employed. 2) Subjects’ disease distinctive quality With regard to the subjects’ diagnoses, nervous-system disorders represented 47.0 %, which was the highest proportion of subjects, followed by cancers at 20.5%.Regarding the diagnosis period, over 5 years was reported by 39.1%,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regarding health conditions, 55.6% reported difficulty for complete recovery. With respect to conditions of activity, most subjects found it difficult to live daily life. 3) Subjects’ hospice recognition and needs For all subjects, 68.3% were recognition of hospices, and their recognition regarding hospices was primarily through the mass media.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53.6 %) knew the definition of a hospice, and 81.2%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needed hospice care. However, only 16.1% of the subjects had ever received hospice nursing service. If the subjects had an incurable disease, just 74.1% wanted to know the truth, and 70.2% replied that they had prepared for death. Regardingcaring for subjects who had an incurable disease, 54.7% wanted to have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nursing to minimize pain and a peaceful death. When asked about the time at the hour of death, most of the subjects wanted to be with their family, and they replied that the most helpful person is a nurse. Most subjects (77.8%) agreed that hospice ward management should be just for the impending death patient, and for equipment management types, most subjects hoped for housing-hospice type. 4) Hospice recognition and needs based on subjects’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ages and education levels, there was a small statistical difference for the group who had recognition of hospices. The group younger than their 60's was more aware than those over 60 years of age (χ² = 4.516, p=.034) and those with more than a high school education were more aware than those with less than middle 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and health condition, there was a small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for the group in which the subjects knew the exact definition of a hospice. Those with more than a high school education was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an middle school education (χ² = 12.147, p= .000) and the subject group who had incurable diseases had a higher percentage (65.8%) who knew about hospice care than the subject group who had curable diseases at 40.7% (χ² = 12.709, p= .000). The group that thought hospice care is needed showed a small statistical difference based on their current health condition. The subject group who had incurable diseases at 87.5%was higher than the subject group who had curable diseases at 73.6% (χ² = 6.351, p= .012). The group's responses to wanting to know the truth regarding a diagnosis of terminal cancer had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sand current health conditions. The group who had over a high school education (χ² = 6.890, p= 009) and had an incurable status (χ² = 4.319, p= .038) had higher rates than the other groups. For the question that asked if you need hospice care, then you should receive hospice service, the group of patients with an incurable status had a higher rate (χ² = 5.561, p= .018). For the question asking if you would agree to management in a hospice ward, the incurable patients’ group had a higher positive response rate than the group of patients who had a curable status (χ² = 4.480, p= .03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1) To obtain a grasp for in-home visiting care clients regarding their recognition and needs for hospice care, it is required to repeat the research by targeting other regions. 2) It will be required to research nursing-mediations plans that are reflective of in-home visiting care clients’ needs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develop individual and practical care. 3) To revitalize the in-home visiting care hospice servic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manage hospice educational programs for in-home visiting care-professional nurses. 사회는 암 환자의 지속적인 증가와 뇌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 등 만성 질환자의 발생률과 유병률이 높아지면서 장기 입원에 대한 가족적 부담으로 효율적인 재가 간호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가정 호스피스는 대상자가 친숙한 환경의 가정에서 가족의 돌봄을 받으며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말기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정 호스피스 대상자의 발굴과 가정 호스피스 인지도 및 활성화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소재한 가정간호 사업실이 있는 기관과 종합 병원 가정간호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 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가 47.3%, 여자가 52.7%로 여자가 남자 보다 다소 많았으며 연령은 평균 68세였으며 70대가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는 대부분 기혼이었고, 교육정도는 초졸, 중졸, 고졸이상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경제 상태는 보통이 53.7%, 가족동거유형은 자녀들과 함께 사는 경우가 47.8%, 주간병인은 배우자가 47.3%, 보험유형은 건강보험이 75.1%로 제일 높았으며 직업은 대부분 무직이었다. 2) 대상자의 질병 특성 대상자의 진단명은 신경계 질환이 47.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악성 신생물로 20.5%였다. 진단 시기는 5년 이상이 39.1%로 가장 많았고, 신체 상태는 완치가 어려운 상태에 있는 대상자가 55.6%로 가장 많았다. 활동정도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일상생활이 어려운 대상자였다. 3) 대상자의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대상자의 68.3%가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가 있었으며,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경로는 주로 메스컴을 통해서였다. 호스피스에 대한 정의를 바르게 알고 있는 대상자는 53.6%였으며,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81.2%가 호스피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호스피스간호를 받아 본 적이 있는 대상자는 16.1%에 불과했다. 불치병일 경우 진실을 알기를 원하는가에 대해서는 74.1%가 진실을 알기를 원했고, 죽음을 준비해야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70.2%였다. 불치병에 걸린 대상자의 치료에 대해서는 54.7%가 최소한의 통증과 평화로운 죽음을 위한 신체적 정신적 영적 간호를 원하였다. 임종 시에 대상자의 대부분이 가족과 함께 있기를 원하였고, 가장 도움이 되는 사람은 간호사라고 응답하였다. 임종자들 만을 위한 호스피스 병동 운영에 대해서는 77.8%가 찬성하였고, 시설운영형태에 대해서는 가정에서 호스피스를 받는 형태를 가장 많이 원하였다. 4)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호스피스 인지가 있는 군의 분포는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60세 미만 연령층에서(χ² = 4.516, p=.034), 또 고졸이상 군(χ² = 7.318, p= .007)에서 높게 분포하였다. 호스피스 정의를 바르게 알고 있는 군의 분포는 교육정도와 현 신체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고졸이상 군(χ² = 12.147, p= .000)에서,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대상자 군(χ² = 12.709, p= .000)에서 높게 분포하였다.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은 현 신체 상태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대상자 군에서 높게 분포하였다(χ² = 6.351, p= .012). 말기 암 진단에 대한 진실을 알기를 원하는 군의 분포는 교육정도와 현 신체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는데, 고졸이상 군에서(χ² = 6.890, p= 009) 그리고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의 군(χ² = 4.319, p= .038)에서 높게 분포하였다. 호스피스가 필요하다면 호스피스를 받겠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대상자 군에서 높게 분포하였으며(χ² = 5.561, p= .018), 호스병동의 운영을 찬성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대상자 군이 완치가 가능한 상태의 군 보다 높게 분포하였다(χ² = 4.480, p= .034).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가정간호대상자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도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 타 지역을 대상으로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2) 가정간호대상자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개별적이고 실질적인 가정 호스피스 간호중재 방안 개발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3) 가정 호스피스의 활성화를 위해 가정전문간호사들을 위한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