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와 업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행복지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은주 목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데에 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의 높은 이직률은 그들이 속한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의 안정적 전달을 저해하기 때문에 실증적 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이직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다. 이직의도가 실제 이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들의 업무소진과 이직을 희망하는 상태에서의 서비스는 장기적으로 질적 수준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의 업무소진을 낮추는 문제 역시 중요하다. 그간 사회복지사의 이직 또는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주로 특정 분야 또는 특정 지역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해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기업에 재직중인 사회복지사 100명을 분석한 결과를 사용했다. 실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에는 필용한 변수에 무응답한 18명을 제외하고 82명만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했다. 이로써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와 업무소진에 미치는 일반적 영향들을 최대한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직무스트레스를 역할관련, 조직관련, 관계관련으로 나누어 통계분석한 결과 역할 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만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 스트레스 하위 영역 세 가지 중 조직 관련 요인과 역할 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기존 연구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지만, 역할 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만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사의 역할 관련 요인 스트레스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 점에서 차별화된다. 또한, 관계 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소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관계 관련 요인 스트레스를 줄일 바람직한 방향이 중점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한편, 역할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업무 부담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업무량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본 연구는 역할 관련 요인 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업무 부담감을 높여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업무 부담감이 역할 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임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 사회 복지사의 업무 부담감을 해소해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factors actually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s of social workers. It is an important task to grasp the factors of turnover of the social worker through empirical analysis because the high turnover rate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Korea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organization and ultimately impedes the stable delivery of social welfare services. Even if the turnover intention does not lead to actual turnover, it is also important to lower the exhaustion of the social worker at work because the quality of the service in the state of hoping for their work exhaustion and turnover may be deteriorated in the long term.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the turnover or turnover intentions of social workers,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used the results of analyzing 100 social workers in social service companies.In fac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only for 82 subjects, except for 18 subjects who did not respond to the variables used.As a result, the general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turnover and job exhaustion were examined as much as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stress, an independent variable, on the turnover and exhaustion of social workers.Specifically, job stress was divided into role, organizational, and relationship, and it was found that role - related factor job stress only explained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significantly. These results may be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study, in which organizational and role-related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but only the role-related factors, job stress,And social worker 's role - related facto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related factors showed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exhaustion of the social worke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exhaustion of the social worker, the desirable direction to reduce the stress of the relationship-related factor should be sough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burden of job was mediated by the role - related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found that existing workloads directly affec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stress related to role-related factors may increase the burden of social worker's work, ultimately increas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Respectively. This implies that the burden of work is a cruci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at various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relieve the social worker 's job burden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직무스트레스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정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독립변수인 직무 요구와 직무 통제가 종속변수인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개인적 특성인 성별이 직무 요구와 직무 통제가 직무 스트레스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검증을 위해서 국내 재직 중인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260 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먼저 직무 요구가 직무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는 부분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무 자원이 직무 스트레스에 부분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며,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성별이 직무 자원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만이 채택되었다. 본 논문은 직장인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업무 환경과, 적절한 근무환경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업무에 임하는 태도를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는 방향을 알려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job stress and job engagement.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a moderating effect of the gender which is individual role. This paper empirically tes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260 businessma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job demand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stress and negative effect to employee engagement partially. Also, job resources were partially negative effect to job stress and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engagement. The gender on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stress. Based on these result, implication to the company and limitation are discussed.

      •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간호조직문화, 이직의도가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 K 대학병원 중심으로

        임소영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직무스트레스, 간호조직문화, 이직의도, 행복지수에 미치는 차이를 규명하고, 각 변수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대학병원 간호사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사의 행복한 삶 증진을 위한 전략적 정책결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13일부터 10월 27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1개 K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임의 표출하여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총 3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최종 274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행복지수, 직무스트레스, 간호조직문화, 이직의도의 차이분석은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사후검증은 DMR(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로 분석하였으며,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90점, 간호조직문화유형별 평균점수는 3.06점, 이직의도는 3.20점, 행복지수는 3.40점으로 나타났다. 연령,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 연봉, 부양책임별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 근무형태, 직위, 연봉, 간호직 선택동기별 특성에 따른 간호조직문화 유형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총 임상경력, 현 근무부서경력, 근무형태, 직위, 연봉, 간호직 선택동기, 부양책임별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연령, 결혼상태, 직위, 연봉, 간호직 선택동기, 종교별 특성에 따른 행복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간호조직문화, 이직의도, 행복지수의 각 변수별 상관관계분석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업무지향문화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행복지수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와 이직의도는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업무지향문화와 행복지수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직의도와 행복지수는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이직의도, 관계지향문화,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로 설명력은 2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대학병원 임상간호사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 중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가 낮아질수록,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조직문화가 관계지향문화일수록 간호사들의 행복지수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계지향문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중재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며, 자존의식을 높이고 조직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 개발 및 동기부여 임파워링 프로그램이 전략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각 부서별 간호조직문화를 파악하여 관계지향적인 긍정적 조직문화로 조성하기 위한 간호관리자들의 감성적 리더십의 노력을 통한 동기부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임상의 어려운 직무스트레스 상황에서 관계지향문화로 간호조직문화가 증진된다면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가 감소될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임상간호사들의 행복지수인 삶의 만족도가 증진됨으로써 궁극적 목표인 간호의 질적 수준이 향상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strategic policy-making for nursing, based on basic data on predictors of happiness index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which were deducted from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impact factors : job stres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turnover intention and the happiness index. Data were gathered from October 13th to 27th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andomly selected clinical nurses working for K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274 vali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y using SPSS V.21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and ANOVA, DMR(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General traits nurses have were analyzed by measur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differences among happiness index, job stres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DMR(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chosen as the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measure the correlation among parameter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index.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job stress earned an average of 3.90 points on a scale of 1 through 5, whil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earned an average of 3.06 points, turnover intention an average of 3.20 points, and the happiness index an average of 3.40 points.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ollows: the job stress by age, marital status, clinical career, annual salary, filial obligatio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clinical career, w, title, annual salary, vocational motives; turnover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age, marital status, academic credential, clinical career, working period in current duty, form of work, title, vocational motive, filial obligation; the happiness index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annual salary, vocational motive, and religious feature. In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parameters related to job stres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turnover intention, and happiness index, job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ask-oriented cultur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index. Relationship-oriented, innovation-oriented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Relationship-oriented, innovation-oriented, hierarchy-oriented, and task-oriented cultu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index. Turnover inten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index. As a result of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uential factors for happiness index, turnover intention,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have explanatory power of 20.2 percent, which is statically significan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confirmed that whe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re lower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s more relation-oriented, nurses’ happiness index becomes higher. That is, the influential factors for clinical nurse’s happiness index are lower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more relation-oriented culture. In order to improve nurses’ happiness index,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for accelerating relation-oriented culture is required.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for nurses to develop their potentials with high self-esteem, which can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and an empowering program for motivation. This study aims to rethink the necessity of motivation through emotional leadership effort of nurse managers for fostering relation-oriented,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by understanding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each department. In summary, nurses’ happiness index has ultimately contact with organizational culture. I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s more oriented towards relationship, nurses facing everyday a stressful context where they work come to have lower levels of interpers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so that the quality of nursing as an ultimate goal will be improved by enhancing nurses’ life satisfaction.

      •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공·사립대학의 교직원을 중심으로

        박남규 全州大學校 中小企業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처럼 전문화, 분업화되고 다원화 된 조직사회속에서 구성원 개개인들이 직무와 관련해 느끼는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의 불만은 조직 구성원의 사기가 저하시켜 조직의 비능률성이 초래할 뿐만 아니라 결국은 조직 자체의 생존까지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연구는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이렇게 중요시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탐색하고,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개인적 특성과 스트레스의 상관관계에서 학력만이 직무스트레스와 정(+)의 관계를 나타낸 반면에 나머지 변인들은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하여 빈(-)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력이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도 높아지나, 소득, 연령, 근무년한, 직위가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진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직무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는 보상체계와 관련된 성과평가, 그리고 직무성격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구성원의 보수체계를 개선하여 임금을 현실화하고, 직무성격과 관련된 자율성과 제안제도를 확립하여 좀더 적극적인 업무수행과 창의적인 능력개발을 유도해서 직무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줄 때 조직과 개인이 함께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함축하는 것이다. 이렇게 될 때 조직 구성원은 자신이 하는 직무에 만족하는 것은 물론 조직에 몰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이 직무에 만족하여 조직과 자신이 일체감을 갖도록 유도하기 위한 조직 차원의 노력이 절실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s of the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to search for the management strategies which utilize the organization' manpower resources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 academic career and job stress, but in the cases of income, age, job career, and job status,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s. And there is also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is findings imply that the more job stress are, the less job satisfaction are. Among the causes of job stress, performance evaluation and job character as a incentive systems are relative to job satisfaction powerfully. So, the more the pressures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difficulties of job are, the less job satisfaction is. According to this findings, we suggest the management strategies as following: To raise the job satisfaction, the manger promotes reward system and readjusts wages to a realistic level. In the cases of job character, the manager encourges the organization members to suggest the good ideas and to unite organization members in one through the autonomy and creativity. In this context, we come to a conclusion that first of all, it is imporant to induce organizational effort for promoting the job satisfaction and for removing job stress.

      •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개선점에 관한 연구

        강난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가 현재 느끼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고 교사의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구체적인 직무스트레스 내용과 대처방안 및 개선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처우개선 및 보다 나은 장애유아에 대한 보육적서비스와 특수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개선점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에 소재한 10개의 장애전담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12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8개의 요인과 자유 기재형 문항으로 총 5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 분류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는 요인별로 보았을 경우, '교육활동(업무) 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아동 관련 스트레스', '개인 관련 스트레스', '학부모 관련 스트레스', '보상체제 관련 스트레스', '근무환경 관련 스트레스', '운영 관련 스트레스', '동료교사 관련 스트레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는 다음 과 같다. 첫째, 학력에 따른 전체적인 직무스트레스는 2년제 대졸이하 교사나 4년제 대졸 이상 교사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자격증에 따라서는 유아특수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교사가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보육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교사가 가장 낮았으며, 소지하고 있는 자격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육경력에 따른 전체 직무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보상체제 관련 스트레스'요인에서만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장애 정도에 따른 전체 직무스트레스는 학급 유아들의 장애 정도가 중등도인 교사가 가장 높았고, 경도인 교사가 중도인 교사보다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 환경 관련 스트레스', '개인 관련 스트레스'요인에서 중등도인 교사가 다른 장애 정도 교사보다 높았다.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구체적인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 관련 요인, 전문성 관련 요인, 아동 관련 요인, 학부모 관련 요인 순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대한 응답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증상관리 방법을 선택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통제방법을 사용하고, 아주 소수의 응답자들은 소극적인 방법인 회피방법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하고 있었다. 교사에게 모든 권한이 주어졌다고 가정한다면, 현재 느끼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개선 방법에 관해서는 업무부담 경감, 대화의 장 마련 및 휴식 공간 확충, 전문성 신장, 보조교사 배치와 직원 충원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job stress that a teacher of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and to inquire into which difference a teacher's job stress depending on a changing factor shows. Also, it examined which there are in the specific contents, measures and improvement points as to job stress, and studied on job stress and improvement points of a teacher for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aiming to improve treatment for a teacher of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and to offer better child-care service and specially educational service as to the disabled infant. This study targeted 125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10 Children's homes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made up total 59 items with 8 factors and free-recording items in terms of questionnaire used for the study, and carried out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depending on a study matter, in terms of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iven having seen the job stress by factor, 'stress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y (duties)' was highest, and it was shown in order of 'stress related to a child', 'stress related to an individual', 'stress related to parents', 'stress related to a compensation system', 'stress related to working environment', 'stress related to operation' and 'stress related to a colleague teacher'. The following are the differences of job stress depending on a changing factor of a teacher for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First, the wholly job stress depending on an academic background, did not show the big difference between a teacher with junior-college graduate and a teacher with university graduate. Second, depending on qualification, a teacher with qualification of a special teacher for an infant, showed the highest job stress, and a teacher with qualification of a child-care teacher, showed lowes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qualification that is possessed.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ly job stres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areer for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charge of disorder,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 teacher with higher educational career, only as to a factor of 'stress related to compensation'. Fourth, the wholly job stres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isorder, was highest in a teacher with the moderately disorder level of the class infants, a teacher with slight degree was lower than a teacher with moderate degree, and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stress related to working environment' and 'stress related to an individual' a teacher with moderate degree was higher than a teacher with other disorder degree. As to specific factors of job stress of a teacher for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it was responded to be receiving stress in order of a factor related duties, a factor related with specialty, a factor related a child, and a factor related to parents. In terms of a response to measures of job stress, most teachers selected a method of managing symptoms. Next, the controlmethod was used, and the minimum respondents were coping with job stress through an evasive method, which is a passive method. Given supposing that a teacher was given all rights, as to a method of improving job stress being now felt, it was responded in order of reducing the burden of duties, arranging for a place of conversation and expanding a resting place, strengthening speciality, posting an assistant teacher and recruiting the staff.

      • 고용형태에 따른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구자중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 문 개 요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고용형태에 따른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여 종사원들의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에 따라 느끼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표본은 서울, 인천지역에 위치한 특급호텔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 조사기간은 2008년 10월 13일부터 10월 31일까지 연구자가 해당호텔을 직접 방문하여 총 250부를 배포하였으며, 245부를 회수 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3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42부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고용형태에 따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곱째,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형태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형태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호텔 기업은 서비스 제공의 일선에 있는 종사원들을 관리함에 있어서 그들이 받는 직무스트레스 발생요인들에 대해 철저한 관리와 적절한 보상을 통해서 직무만족을 극대화 시키고 이로 인한 조직몰입을 높여서 최상의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또한 비정규직 사원의 정규직 전환기회의 확대와 함께 비정규직에 대한 관심도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인다.

      •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소집단 미술치료 사례연구

        강현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직무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D 지역 D 기업의 고객 응대 근로자로,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하여 동의서를 제출한 3명이다. 연구 기간은 2023년 5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이며, 미술치료 중재는 2023년 10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총 10회기로 1회기당 90분씩 주 2∼3회 진행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종결의 3단계로 초기 단계에서 관계형성 및 흥미유발 그리고 중기에서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여 발산하고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며, 종결 단계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다지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첫째, 참여자의 자기보고 및 개별 면담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신체화 증상의 파악 및 기초선 자료를 수집하였고 둘째,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KOSSⓇ19), 한국형 감정노동 평가도구(K_ELSⓇ11), 한국형 직장폭력 평가도구(K_WVSⓇ13)의 세가지 도구를 이용해 사전, 사후에 실시하고 결과를 표와 막대그래프로 제시하였다. 셋째,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를 실시하여 중재 이전과 이후의 그림에 나타난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넷째, 감정노동자가 호소하는 신체적 증상의 변화를 보기 위해 빈도관찰표집법을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 동안 참여자들의 행동변화 결과를 꺾은선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행동관찰기록지와 회기별 작품을 토대로 참여자들의 단계별 변화과정을 초이론모델(Transtheoretical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미술치료는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감소에 효과적이다. 둘째, 소집단 미술치료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신체화 증상 감소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소집단 미술치료는 직무스트레스를 겪는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신체화 증상 감소에 효과적임을 실증적으로 입증 하였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실적인 프로그램이 부족한 상황에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 자료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reducing job stress of emotional work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ustomer service workers at Company D in Region D who were suffering job stress, and 3 people were selected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submitted relevant consent forms. The study period was from May 2023 to December 2023, and art therapy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2 to 3 times a week from October 2023 to November 2023 for a total of 10 sessions, and 90 minutes per session. The art therapy program had 3 stages consisting of initial, middle, and final ones: the initial stage was to build relationships and stimulate interest; the middle stage was to identify and releases job stress of emotional workers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the final stage proceeded to enhance their ability to cope with stress. Data was processed as follows: first, baseline data was collected by identifying somatization symptoms caused by job stress through self-reports and individual interviews of participants; second,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job stress of emotional workers,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using 3 tools including the Korean Job Stress Assessment Tool (KOSSⓇ19), Korea Emotional Labor Assessment Tool (K_ELSⓇ11), and Korea Workplace Violence Assessment Tool (K_WVSⓇ13),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tables and bar graphs; third, in order to find out the stress level and coping ability of emotional workers, a test was conducted on pictures of people in the rain, an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pictur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analyzed, and described; fourth, in order to see changes in physical symptoms complained of by emotional workers, the frequency observation sampling method was used to present the results of participants’ behavioral changes in a line graph during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eriods; fifth,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the progress of the art therapy program was filmed, and the participants’ step-by-step change process was analyzed using a Transtheoretical model based on the behavioral observation records and works by sess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l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job stress scale of emotional workers; second, smal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somatization symptoms caused by job stress. Therefore, this study has empirically proven that smal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job stress and somatization symptoms of emotional workers suffering from job stress.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research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where realistic programs are insufficient, although the problem of job stress of emotional workers in the industrial field is emerging.

      •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영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사가 지각하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탐색해 보고,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또한 각 요인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영재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높여 영재교육의 질적 향상 및 영재교육의 발전을 추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인천 등 10개 교육청소속 영재교육기관 영재교사 183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각각의 검사도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첫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검사는 어떠한 요인과 항목으로 구성되는가? 둘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 수준은 어떠한가? 또한 영재교사의 성별, 직급, 나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은 창의적 교수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는 교사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가? 여섯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는 교사효능감에 의해 매개되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도구를 타당화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4개의 요인이 구성되었고 요인에 대한 계수 값이 높은 문항을 중심으로 최종 27문항을 구성하였다. 최종 영재교사 직무스트레스 문항에 대한 내적합치도가 양호한 수준의 값을 나타냈고 신뢰도는 .70~.79로 적정한 수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교사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의 성별, 직급, 연령에 따른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전체적으로 높으며 창의적 교수행동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직급에 따라서는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행동은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재교사 집단을 연령에 따라 네 집단으로 나누어 차이를 비교한 결과 30세 이하의 교사가 가장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51세 이상의 교사가 스트레스를 가장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 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행동에서도 30세 이하의 교사들이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41~50세 연령대의 교사들이 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스트레스는 낮아지고 교사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행동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행동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변인 또한 모두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영재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행동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교사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행동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창의적 교수행동을 설명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나 영재교사의 스트레스가 클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변인인 교사효능감도 창의적 교수행동을 설명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영재교사 직무 스트레스가 교사 효능감의 매개에 의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영재교사 직무스트레스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moting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by teacher for gifted students, and seeking quality enhancement and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by exploring various work stress factors sensed by teacher for gifted students and finding out the role of job stress and teachers' efficacies have on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stablished six subjects for inquiries as follows targeting 183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within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supervised by education office-in-local such as Incheon, and verified the subject for inquiries by each inspection tools. First, what factors and items does the stress test for teacher for gifted students consist of? Second, What is the level of job stress,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Also, what kind of difference is there according to sex, ranking and age between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Third, what kind of relations does job stress,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have for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Fourth, what kind of effect do the job stress and teaching efficacy have on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Fift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adjusted by teaching efficacy? Sixth, is teaching efficacy the paramet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and composed 4 factors to validate the job stress tools for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and composed final 27 inquiries centered on inquiries having high coefficients on those factors. For final job stress inquiry for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item internal consistency shows figures on good level, and confidence level was proper at .70~.79. Second, this study worked on general trend of job stress, teaching efficacy,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according to sex, ranking and age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Male teachers were reported as having higher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According to ranking of teachers, chief teachers were seen has having less stress than normal teachers, Regarding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chief teacher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normal teachers. This study categorized and compared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age.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under age of 30 are getting the most stress. while teachers aged more than 51 are least stressed. As for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teachers under age of 30 were found low in both aspects. Those teachers at the age of 41~50 were reported as high in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In other words, older teachers have less stress and higher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Third, this study explor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Job stres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showed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s with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Subordinate variables also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in all. By this correlation, this study reports i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has more stress, their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is inferior.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shows meaningful static positive correlation, hence higher teaching efficacy is found as linked to more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Fourth, this study did multiple regression test to find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has on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First of all, job stres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was seen as proper in explaining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hence the more job stres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was seen as exerting negative effect on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Another variable, teaching efficacy is also found out to be proper in explaining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It may be concluded that higher teaching efficacy is affecting positively to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Fifth, this study did numerou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o find out the adjus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vis-a-vis job stress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The results shows that teaching efficacy does not have adjusting effects. Sixth, this study did 3-step parametric regression to find out the parametric effect of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The partial parametric effect of teaching efficacy was verified. In other words, job stres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does affect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with teaching efficacy as parameter, while job stress of teachers for gifted students is simultaneously directly affecting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as well.

      •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그릿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양혜정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그릿,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또한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8월 17일부터 2022년 8월 27일까지 직무스트레스, 그릿,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 그릿,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각각 3.58±0.57점, 2.85±0.39점, 2.30±0.44점이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건강증진행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01, p=.047). 최종학력 석사 재학/이상이 전문학사에 비해 건강증진행위가 높았다(F=3.64, p=.029). 또한 주관적 건강 상태에서 건강함에 응답한 대상자가 보통과 건강하지 않음에 응답한 대상자에 비해 건강증진행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4.43, p=.014). 또한 건강증진행위는 직무스트레스(r=.18, p=.029), 그릿(r=.3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그릿(β=.32, p<.001), 직무스트레스(β=.16, p=.029) 순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설명력은 22.4%였다(F=7.184,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직무스트레스와 그릿은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 관리 및 그릿의 증진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gri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subjects of shift-working nurses. Also,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offer the basic data to be able to contribute seeking the enhancement plan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shift-working nurses upon investigation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7 to 27, 2022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6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ean scores of job stress, gri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3.58±0.57, 2.85±0.39, 2.30±0.44 points, respectively. Men showed higher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an women (t=-2.01, p=.047). Those who had master’s degree or more showed higher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an those with college graduates (F=3.64, p=.029). Significantly higher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found in those who answered healthy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an those who answered not healthy and normal (F=4.43, p=.014). In additi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stress (r=.18, p=.029) and grit (r=.36, p<.001).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shift-working nurs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grit (β=.32, p<.001) and job stress (β=.16, p=.029) with 22.4% of explanatory power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F=7.184, p<.001). In summary, job stress and grit were found to be the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shift-working nurses. Hence, to enhanc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shift-working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strategies to manage their job stress and enhance grit.

      • 영상관법을 통한 직무스트레스 경험 : 현상학적 연구

        김선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지난 50년간 세계가 부러워할 정도의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 오다가 IMF와 글로벌 금융위기, 최근의 코로나 사태로 인한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 직장인들이 겪는 직무스트레스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증가되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기업뿐 아니라 사회 또는 국가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 하에 기업 구성원인 직장인들의 경쟁력 약화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기업체 관리직 직장인들이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문제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관법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그 경험의 본질적 구조와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를 호소하는 6명의 직장인을 선정하여 그들이 경험한 직무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영상관법을 통한 직무스트레스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의 영상관법 주제와 개인적 환경의 여건과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별 영상관법 경험에서 나온 의미단위들을 비교하고 통합하여 범주화한 결과 6개의 공통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영상관법의 공통된 구성요소인 경험의 본질적 구조는 ‘잊혀지지 않는 상황’, ’고통스런 몸과 마음‘, ’관찰을 통한 탐색‘, ’알아차림의 변화 이해‘, ’돌파구를 위한 깨달음‘, ’삶에 대한 인식의 재조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상관법 경험의 본질적 구조는 힘든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고,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영상관법의 주제로 선정하여, 미해결된 문제에 대해 영상을 떠올려 반복적으로 직면하여 이해하고 통찰하면, 직무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 성장과 긍정적인 의미 있는 삶을 돕기 위한 단계적 구조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의 맥락적인 영상관법의 경험적 의미는 ‘이해와 통찰을 통한 의미 있는 삶’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결론은 영상관법을 통해 직무스트레스 경험을 구체적으로 하였고, 경험의 본질적 구조와 의미를 탐색하여,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자발적 도움을 줄 수 있었다. Over the past 50 years, Korea has achieved globally respected rapid economic growth. However, the IM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recent COVID-19 situation have led to a dramatic change in the management environment, making workers experience more and more job stress. Due to increasing job stress, not only businesses but also society as a whole has been experiencing a variety of challenges. This has become a factor in weakening the competitiveness of workers in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Accordingly, there’s a growing need for a detailed understanding of how business managers are experiencing job stress, and how we might mitigate its related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orker experience of job stress through Reflected Image Meditation and to explore the essen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this study, six workers experiencing job stres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To understand their job stress in-depth,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a qualitative methodology,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job stress differed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Reflected Image Meditation, as well as the individual’s environment and nature. Also, six common components were deduced after comparing, integrating, and categorizing the semantic units from each worker’s Reflected Image Meditation experiences. The essential structure of experience, which is a common component of a reflected image meditation experience, includes “unforgettable situations”, “painful body and mind”, “exploration through observation”, “comprehension of change in a acknowledgment”, “enlightenment for a breakthrough”, and “a review of one’s perception on life”, Therefore,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Reflected Image Meditation experience refers to a step-by-step structure to relieve job stress and enjoy a positive, meaningful life improved by recognizing the problems that occur under stressful conditions, selecting an unsolved problem as the theme of the Reflected Image Meditation, and by repeatedly facing, understanding and discerning the proble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meaning of the essential structure of a Reflected Image Meditation experience to the participants is having “a meaningful life through understanding and insights.” In conclusion, this study embodied the experience of job stress through reflected image meditation and helped workers to manage their job stress by exploring the essen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