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ltrasound-mediated imaging and drug delivery systems using nanobubble-contained micro platforms

        이정민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Drug penetration and heterogeneous drug distribution of nanomedicine–based continue to impede the therapeutic effect. Ultrasound (US)-enhanced drug delivery has become a promising strategy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Recently as a blood pool tracer ultrasound contrast agents (UCA), microbubbles stabilized with a composite shell of phospholipid or albumin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microvasculature due to biosafety. The advantage of small bubbles is their capability to easily perfuse into the capillaries, the ability to carry and deliver drugs to a specific location using targeting materials, etc.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research using microbubble because of the relatively short retention period and drug loading capacity due to gas-filled inside the bubble also ultrasound efficiency is low because of the low concentration of bubbles. So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is study we designed a micro platform by mixing and encapsulating oil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nanobubbles so a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to react to ultrasound further this system could also load a sufficient amount of drug. release of drug was observed on bursting the bubble due to heat energy and distribution of the drug was seen via 'Diffusion mechanism'.

      • 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is-acting Signal Mutant Influenza Virus : 이정민

        이정민 연세대학교 공과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바이러스 유전자(vRNA)의 양끝에는 항상 보존된 서열들이 일정 수만큼 존재한다. 그 중 자연적으로 유일하게 발견되는 변종은 3' 끝 쪽의 네 번째 위치의 염기서열(C 나 U) 이다. 이 염기서열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HA와 NA 유전자 단편 중 하나의 단편에 변이가 있는 바이러스를 비롯하여, 두 단편에 모두 변이가 있거나 야생형 (wild-type)의 바이러스까지, 3' 끝 쪽의 네 번째 염기서열을 바꾼 4가지 종류의 바이러스를 역유전적(reverse genetics) 방법으로 만들었다. NA 유전자 단편에 C에서 U로 변이가 형성되면, NA 유전자의 mRNA/vRNA 비율이 증가하였다. 즉, U가 네 번째 염기서열에 존재할 때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사가 촉진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반면에 NA 유전자 단편의 U가 C로 변이 되면, NA 유전자의 cRNA/vRNA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C가 네 번째 염기서열에 존재 할 때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복제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HA 유전자 단편에 대해서는 이 규칙이 항상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 NA가 충분히 발현되고 있다는 등의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더불어 HA 유전자 단편에 U 대신 C가 존재하면, MDCK 세포에서 plaque가 생성될 때 그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비리온(virion) 안에 존재하는 표면 항원(HA, NA)의 양을 비교해 봤을 때, vRNA 당 mRNA의 비율과 비슷하게 변화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wild type 바이러스와 비교하면 세 개의 재조합 바이러스는 모두 HA/NA의 비율이 낮다. 다시 말해서 바이러스가 세포에 감염되거나 방출되는 용이함으로 p.f.u./HA 비율이 높게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변종 혹은 야생형 바이러스에 감염된 생쥐는 큰 감염증세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결론적으로 각 유전자 단편의 3' 끝 쪽 네 번째 염기서열은 단편 특이적으로 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사와 복제의 효율을 조절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이 조절 요인의 변화로는 바이러스 성장이나 병원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를 이용하여 독감 바이러스 백신을 유전공학적으로 제조 할 때나, 다른 바이러스에의 백신 기능을 가진 독감 바이러스 백신을 만들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Within the conserved sequence at the extreme end of the influenza virus vRNA, a unique natural variation (U or C) is observed at the position 4 of the 3' end. To test the role of this nucleotide, four recombinant viruses, with substitution ether on position 4 of HA or NA segment, or both segment, and wild type, were generated by reverse genetics. The time course of expression of influenza specific RNAs was monitored by RT-PCR after infection of MDCK cells by recombinant viruses. The mRNA/vRNA ratio of NA segment was increased by the substitution of C nucleotide to U nucleotide, which suggest that the U4 nucleotide stimulates transcription. Whereas, the cRNA/vRNA ratio of NA segment was decreased by substitution of C to U, suggesting that C4 stimulates replication. However, for HA segment, this role adapted on condition. In addition, C4 nucleotide on HA increases the stability to form plaque in MDCK cell than U4. Compared with wild type virus, all three mutants exhibited lower HA/NA ratio, so they had the higher ability to infection and releas higher p.f.u./HA ratio. In the mouse model, the mutant and wild type recombinant viruses failed to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rulence. This suggests that the position 4 of the 3' end is a genetic determinant for the control of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 efficiency and it operates in a segment-specific manner without detrimental effect on virus growth or pathogenicity. The results could be usefully implemented for developing influenza viruses as genetically engineered vaccine and RNA viral vectors.

      • 중장년의 Big 5 성격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검증

        이정민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중장년의 Big 5 성격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검증 중부대학교 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이정민 지도교수 한효상 이 연구는 중장년의 Big 5 성격요인, 성공적 노화인식, 노후준비, 삶의 만족 도 간의 영향 관계 및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 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중장년의 Big 5 성격요 인, 성공적 노화인식, 노후준비, 삶의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둘 째로 중장년의 Big 5 성격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40∼64세 중장년을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 방법을 활 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17부를 회수한 후, 유효한 설문지 457부에 대하여 SPSS 28.0과 AMOS 28.0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성은 삶의 만족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개방성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은 성공적 노화인식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경증성은 노후준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정(+)의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공적 노화인식은 노후준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는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 신경증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 에서 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성은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개방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 쳤다. 따라서 마음 챙김과 창의력 개발을 포함한 정신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마음 챙김, 스트레스 관리 기술, 창의력 개발 워크숍 등을 포함한 정신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둘째,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이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특 성을 강화하는 활동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목표 설정 및 달성을 돕는 워크숍이나 세미나 제공이 이에 유익할 것이다. 셋 째, 신경증성이 노후 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적 지원과 스트레스 관리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노후 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 교육, 재정적 준비, 건강관리,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정신적 감정적 준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개인과 사회 차원에서 노후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다. 다섯째, 성공적인 노화인 식이 노후 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노년기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준비를 돕는 프로그램과 은퇴 후 활동 및 모임 조직이 필요하다. 여섯째, 성공 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가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 신경증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하는 포 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개인 맞춤형 상담, 다양한 삶 의 영역에 걸친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안들은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노후에 대한 준비를 강 화하며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주제어 : 중장년, 삶의 만족도, Big 5 성격요인, 성공적 노화인식, 노후준비, 매개효과

      •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Major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Lee, Jeong-min Schools have recently made sports club activities obligatory to get students' participation. However, sports club activities are stil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after-school or club activity and specialty aptitude classes and are poor at getting students'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school life, activate school sports in general as well as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nd encourage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sports club activities. For this purpose, 320 participants in sports club activities at middle schools in Jeonju City, North Jeolla Province were sampled; then, 30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11 copies containing insincere responses, obtaining meaningful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satisfaction by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chool life satisfaction by gender or school year. In contrast, participation duration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relations: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ose activities for ≥1 year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eacher relations than those participating for <1 year. Second,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self-efficacy by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fide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boy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self-confide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than girls. Participation duration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etence: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ose activities for ≥1 year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competence than those participating for <1 year and the students spending ≥1 hour in sports club activitie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self-confidence and competence than those spending <1 hour. Third, as for the effect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significantly affected peer relations, teacher relations, and competence in school activities. It also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hysical attractiveness.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positively affecte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played a role of presenting a desirable direct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nable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ontinuously and to attach importance to the educational aspect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which is expected to make great contributions to cultural development of healthy and good adolescents. 국 문 초 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정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최근에는 의무적으로 시간을 정해두고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 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스포츠클럽 활동은 방과 후 학교나 동아리 활동, 특기적성시간 등 체육활동으로 학생들의 참여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를 증가시키 기 위해,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학교생활에서 갖는 만족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은 물론이며, 전반적인 학교 체육을 활성 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 시키고자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중학교에 스포츠 클럽활동 참여자 32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불성실 하게 응답한 11부를 제외하고 309부의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여,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도출 되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면, 먼저 성별과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참여기간에 따라 교사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년 이상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한 집단이 1년 미만 참여한 집단에 비해 교사관계를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 자신감, 신체매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자신감과 신체매력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기간에 따라 유능감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1년 이상 참여집단이 1년 미만 참여집단에 비해 유능감을 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 났고, 스포츠클럽 활동시간 1시간이상 참여집단이 1시간 미만 집단보다 자신감, 유능감을 보다 높게 지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교활동에서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매력에도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중학생의 스포츠클럽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스포츠클럽 활동은 청소년시기인 중학생들의 생활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 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지속적으로 참여 할 수 있게 운영이 되어야하고, 꾸준한 관심을 가지게 되면 보다 건강하고 바람직한 청소년들의 문화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므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교육적인 면을 중요시해야 한다. 주제어: 스포츠클럽, 학교생활만족.

      • 초등 5~6학년 발달성 난독학생과 일반학생의 설명 담화이해력

        이정민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Introduction :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of the school age, understanding of discourse is achieved through listening and reading, and through this, the subject is learned.(McCray, Vaughn, & Neal, 2001). To successfully understand discours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entral contents of the processed text and connect them using one's semantic and syntactic knowledge(Kamhi & Catts, 2014). According to Chall's(1983) reading development model, elementary and upper grades are based on automated reading skills as the “reading stage to learn” to acquire new information, for learning, the process of reading and comprehending discourse comprehension becomes important. In the Simple View of Reading model, it explains that for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both decoding abilit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should be examined.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are specific learning disorders that show difficulty in accurately and fluently decoding words due to phonological defects despite continuous education.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in the simple view of reading model, even if there is no difficulty in listening comprehension, it may appear as a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due to difficulty in decoding. As a result of a preceding study targeting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y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general students in word reading tasks that did not correspond to letters and sounds (Pae et al., 2017). For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decoding, providing texts with an adjusted discourse decoding difficult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help with reading comprehension. The length and structure of the presented text can also have an impact on successful text comprehen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ext needs to be adjusted from a long and complex structure to a short and simple structure (Fang, 2006; Lee, 2011). In particular, when listening to and understanding discourse, the longer the discourse becomes, the more it becomes an obstacle to listening and understanding (Chen, 2005; Demirkol, 2009). Recently, there is a study that prefers 346 characters as the amount of text information in the mobile era (Jung Research et al., 2016). This suggests that controlling the amount of discourse is a factor influencing discourse comprehension. Various linguistic factors such as vocabulary, syntactic ability, and working memory are factors influencing discourse understanding, and it is especially an important skill to have for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understand a text, it is necessary to know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in it (Nagy & Scott, 2000), and the amount and depth of vocabulary are factors that affect the semantic understanding of the text (Quellette, 2006). In addition, processing of structural representations in sentences and sentence structure affects discourse comprehension, and difficulties in recognizing sentence structures and grammatical morphemes of texts can appear as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is the cognitive ability to temporarily remember and process given information (Danemen & Carpenter, 1980). While more vocabulary knowledge is required as the grade goes up,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have difficulty learning new words (Alt et al, 2019). Difficulties in vocabulary can be caused by difficulty understanding sentences and paragraphs by grasping the structure of writing and using syntactic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xt comprehension of developmentally dyslexic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 will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read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length of text, and language factor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15 people per group, total of 30 people. Both groups achieved an in the shape scale test of the Korean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 - Second Edition (K-CTONI-2; Park, 2014),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 with a publication index of 85 or higher, t=1.586 (p = 0.124), and childre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closure ability were selected. In addition, KOrean Lang-based Reading Assessment(KOLRA; Pae et al., 2015) were selected as children with no language difficulties with a standard score of 85 or higher in listening comprehension. Also, the students were reported to have no physical problems such as vision, hearing, or movement by their parents or teachers.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show difficulty in reading with a standard score of less than 80 on the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KOLRA) Reading Index 2 (decoding,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General students were selected as children who had no difficulty in reading with a standard score of 85 or higher.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produced by referring to Lee Joungmin et al. (2021). Eight them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extbook topics for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the text of each topic is more than 40% of syllables with grapheme-phoneme mismatch, The difficulty level was less than 20%, and the amount of discourse consisted of 50 to 60 words for short texts and 100 to 110 words for long texts. Four types of texts were created by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and length of text by topic, and the same questions were asked to all types of texts. Each question consisted of 8 questions and was scored on a 0, 1, 2 point system. The linguistic factor test for text comprehension evaluated the vocabulary semantic classes,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recalling sentences of the four items of the Korean-Clinical Evaluation of Language Fundamentals(K-CELF 5).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was conducted for group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general students)*discourse mode (reading, listening), group*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and group*length of text.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in the four domains of language factors (vocabulary semantic classes,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recalling sentences) on comprehension. Results & Discuss :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discourse mode (reading, listening) of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0.718 p=.197), but the group (F=20.848, p=.000) and discourse mode (F=26.866, p=.000)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s. The developmental dyslex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general children in both reading and listening tasks, and both normal and developmentally dyslexic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listening comprehension than reading comprehen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which must be achieved academically through text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lead to a lack of language skills, which also affects listen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support is needed not only for reading comprehension but also for listening comprehension during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between the two group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F=13.081, p=.001).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in both group (F=20.848, p=.000) and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F=10.207, p=.003). Normal students did not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but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showed lower performance in texts with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difficulty than easy texts. In Hangeul, correspondence between letters and sounds is regular, and decoding ability is relatively high (Landerl et al., 1997), and word decoding is said to increase in the upper elementary grades. (Kim, Pae, 2011, Yoon, 2015, Yoon, 2016). Nevertheles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ifficulty in decoding can lead to reading comprehension until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adjusting the writ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decoding performance can be a positive factor in text comprehens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ext between the two group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F=0.133 p=0.718). No main effect was found in the length of text (F=0.748, p=0.394), but a main effect was found in the group (F=20.848, p=.000). Although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general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affected by the length of text. It can be seen that the long text of this study is about 340 words, and it is not burdensome when 5th to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process it. It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that 346 characters are preferred as the amount of text information in the mobile age in a study on the article path in the mobile age (Jeong et al., 2016).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language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levels than the general children in all four areas of vocabulary semantic classes,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recalling sentences. It was found that although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are cognitively no different from general students, they show more difficulties than general students in not only vocabulary and syntactic structure, which are the basis of text, but also in repeating sentences to remember and process what they have memorized. It seems that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have less reading experience and as a result, they have difficulties in linguistic ability to acquire through text. This can be seen as the effect of the Matthew effect, which occurs when vocabulary and background knowledge a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children due to reading difficulties proposed by Stanovich(2009).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various language abilities are also required by factors of vocabulary semantic,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서론: 학령기의 교실환경에서는 읽기와 듣기를 통해 담화 이해가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교과내용을 학습하게 된다(McCray, Vaughn, & Neal, 2001). 성공적인 담화이해를 위해서는 처리한 텍스트의 중심내용을 파악하여 자신이 가진 의미, 구문지식 등을 활용하여 연결해야 한다(Kamhi & Catts, 2014). Chall(1983)의 읽기발달에 따르면 초등 고학년은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배우기 위해 읽는 단계”로 자동화된 읽기능력을 기반으로 학습을 위하여 읽고 이해하는 담화이해의 과정이 중요해진다. 읽기 단순 관점 모델(Simple View of Reading)에서는 성공적인 읽기이해를 위해서는 해독능력과 듣기이해능력 두 능력을 모두 살펴보야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발달성 난독학생은 지속적인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음운론적인 결함으로 인해서 정확하고 유창하게 낱말을 해독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특정학습장애이다. 읽기 단순 관점 모델에서 발달성 난독학생의 특성을 살펴보자면, 듣기이해능력의 어려움이 없더라도 해독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읽기이해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 초등 발달성 난독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 글자와 소리를 대응하지 않는 낱말 읽기 과제에서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배소영 외, 2017). 해독의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성 난독학생을 위하여 담화해독난이도를 조절한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읽기이해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성공적인 담화이해를 위해서는 제시되는 텍스트의 길이와 구조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텍스트를 길고 복잡한 구조에서 짧고 단순한 구조로 조절해줄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Fang, 2006; 이성영, 2011). 특히 담화를 듣고 이해할 때에는 담화량이 길어질수록 듣고 이해하는데 방해요인이 되며(Chen, 2005; Demirkol, 2009), 최근 모바일 시대 텍스트 정보량으로 346자를 선호한다는 연구가 있다(정연구 외, 2016). 이는 담화량을 조절해주는 것이 담화이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어휘, 구문 능력, 작업기억 등 다양한 언어요인들이 담화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 특히 성공적인 읽기이해를 위해 갖춰야할 중요한 능력이다.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안의 어휘의 의미를 알아야 하며(Nagy et al., 2000), 가지고 있는 어휘의 양과 깊이는 텍스트를 의미적으로 이해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Ouellette, 2006). 또한 문장 내 구조적 표상, 문장의 구조에 대한 처리가 담화이해에 영향을 주며, 텍스트의 문장 구조 및 문법형태소의 인식의 어려움이 읽기이해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 작업기억은 주어진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처리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다(Danemen & Carpenter, 1980). 학년이 올라갈수록 많은 어휘지식이 요구되는데에 비해 발달성 난독 학생은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Alt et al, 2019). 이러한 어휘의 어려움은 글의 구조를 파악하고 구문구조를 활용하여 문장과 문단을 이해하는 것의 어려움으로 야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고학년 발달성 난독학생의 담화이해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읽기이해와 듣기이해에 따라 담화이해력에 차이가 있는지, 담화해독난이도, 담화량, 언어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 5-6학년에 재학 중인 발달성 난독학생과 일반학생으로 집단별 15명, 총 30명으로 하였다. 한국 비언어 지능검사 제2판의 도형척도검사(K-CTONI-2; 박혜원, 2014)에서 지능지수 85이상으로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t=1.586(p=0.124)으로 인지능력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한국어읽기검사(KOLRA; 배소영 외, 2015) 듣기이해 표준점수 85이상으로 언어적인 어려움이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부모 혹은 교사에 의해 시각, 청각, 운동 등 신체적인 문제가 없다고 보고된 학생이었다. 발달성 난독학생은 한국어읽기검사 읽기지수2(해독,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표준점수 80 미만으로 읽기의 어려움을 보이나, 일반학생은 표준점수 85 이상으로 읽기의 어려움이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이정민 외(2021)를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초등 3-4학년 교과서 주제를 바탕으로 8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각 주제의 텍스트는 담화해독난이도 측면에서 난이도 상은 자소-음소 불일치 음절 40% 이상, 난이도 하는 20% 이하로, 담화량은 짧은 글은 어절 50~60개, 긴 글은 어절 100~110개로 구성하였다. 주제별로 담화해독난이도와 담화량을 고려하여 4개의 타입의 텍스트를 제작하였으며, 모든 타입의 글에 같은 질문을 하였다. 각 질문은 8문항으로 0, 1, 2점 체계로 채점하였다. 담화이해에 대한 언어요인 검사는 한국어 핵심 언어 임상평가(K-CELF5, 배소영외, 출판준비중)의 4가지 항목의 어휘 의미, 문법 지식, 구문 의미 이해, 문장따라말하기 영역을 평가하였다. 집단(발달성 난독학생, 일반학생)*담화모드(읽기, 듣기), 집단*담화해독난이도, 집단*담화량에 대하여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담화이해에 대한 언어요인 4가지 영역(어휘의미, 문법지식, 구문의미이해, 문장따라말하기)의 집단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첫째, 두 집단의 담화모드(읽기, 듣기)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F=0.718 p=.197), 집단(F=20.848, p=.000)과 담화모드(F=26.866, p=.000) 모두에서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발달성 난독 집단은 읽기와 듣기 두 과제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일반학생과 발달성 난독학생 모두 읽기이해에 비해 듣기이해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초등 고학년이 되면서 학업적으로 텍스트를 통해 성취해야 할 읽기이해의 어려움이 언어능력의 결핍으로 이어져 듣기이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달성 난독학생 중재 시에 읽기이해 뿐만 아니라 듣기이해에도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두 집단의 담화해독난이도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13.081, p=.001), 집단(F=20.848, p=.000)과 담화해독난이도(F=10.207, p=.003) 모두에서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학생은 담화해독난이도에 따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발달성 난독 학생은 담화해독난이도가 어려운 글에서 쉬운 글보다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한글은 글자와 소리의 대응이 규칙적이고 해독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며(Landerl et al., 1997), 초등 고학년 시기에 낱말 해독이 올라간다고 한다(김미배, 배소영, 2011, 윤효진, 2015, 윤효진, 2016). 그럼에도 발달성 난독학생은 초등 고학년까지 해독의 어려움이 읽기이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학생의 해독수행력에 맞춰 글을 조절해주는 것이 담화이해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두 집단의 담화량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F=0.133 p=0.718). 담화량에서는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F=0.748, p=0.394), 집단에서 주효과가 나타났다(F=20.848, p=.000). 발달성 난독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담화량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긴 글 텍스트는 340자 내외로 초등 5-6학년 학생들이 처리할 때에 부담스럽지 않은 담화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모바일 시대의 기사 길에 관한 연구(정연구 외, 2016)에서 모바일 시대 텍스트 정보량으로 346자를 선호한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넷째, 두 집단의 언어요인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어휘의미, 문법, 구문이해, 문장따라말하기 4가지 영역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발달성 난독학생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수준을 보였다. 이는 발달성 난독학생이 인지적으로는 일반학생과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담화의 바탕이 되는 어휘, 구문구조 뿐만 아니라 기억하고 기억한 것을 처리하는 작업기억에서도 일반학생보다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달성 난독학생은 읽기경험이 적어지면서 결과적으로 텍스트를 통해 습득해야 하는 언어적인 능력의 어려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Stanovich(2009)가 제안한 읽기에 어려움으로 인하여 어휘력 및 배경지식이 일반아동보다 낮아지면서 생겨나는 마태효과(Mattew effect)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어휘 지식, 문법, 구문 지식 및 작업기억의 요인들에 의한 다양한 언어능력 또한 요구됨을 확인해 본 것에 의의가 있다.

      •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빈랑자 추출물의 효능 연구

        이정민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빈랑자 추출물의 효능 연구 이정민 지도교수 : 유민정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에서는 빈랑자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이용해보고자 항산화효과 시험에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 활성,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UV 자외선 흡수도,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B16F10 mouse melanoma 세포에서 melanin 생합성 저해율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α-MSH 유도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합성효과는 Type-Ⅰprocooage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7종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빈랑자 열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1 mg/mL에 포함되어 있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빈랑자 열수 추출물은 140.14 μg/mL, 에탄올 추출물은 101.20 μg/mL의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는 열수 추출물은 76.19 μg/mL, 에탄올 추출물은 96.72 μg/mL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빈랑자 열수, 에탄올 추출물 400 μg/mL의 농도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69.72, 82.90%으로 확인되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각각 50.22, 71.53%의 소거능 확인되었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은 70.26, 85.73%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효과가 확인되었다.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 자외선 흡수도는 빈랑자 에탄올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보다 UV-A와 UV-B 영역 모두 자외선 흡수도가 높게 확인 되었다.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측정결과 400 μg/mL의 농도에서 tyrosinase 저해 활성도는 각각 56.12%, 79.26%로 확인되었다. B16F10 mouse melanoma 세포에서 melanin 생합성 저해율 측정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각각 82.66%, 75.61%로 melanin 생합성 저해효과가 확인 되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80.66%, 65.61%으로 저해 되었다. α-MSH (0.5 mM) 유도에 의한 melanin 생합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α-MSH (0.5 mM)만 처리한 경우에는 melanin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205.7%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빈랑자 열수, 에탄올 추출물을 같이 처리한 경우에는 α-MSH (0.5 mM) 단독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α-MSH (0.5 mM) 유도에 의한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α-MSH (0.5 mM) 만 처리한 경우에는 tyrosinase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191.5%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빈랑자 열수, 에탄올 추출물을 같이 처리한 경우에는 α-MSH (0.5 mM) 단독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가 확인되어 100 μg/mL 농도에서 139.9%, 124.1%로 tyrosinase이 저해되었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melanin 합성에 관여하는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TRP-2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RP-1에서는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콜라겐 합성능은 procollagen type Ⅰ C-peptide (PIP)의 함량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136.2%, 150.3% 콜라겐 생합성률을 보였다.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는 5 mg/mL 농도에서 빈랑자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2, 4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효과는 4, 6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효과는 1, 4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균효과는 3, 5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효과는 3, 5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효과는 2, 4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Tricho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한 항균효과는 3, 5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빈랑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콜라겐 합성, 항균 효과를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결망에 기반한 공동체 특성 분석: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민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Traditionally, community space implies a small-scaled geographic area mainly hinged upon face-to-face contact. Nowadays, however, owing to the breakthrough of mobility equipped with the combination of high-speed internet and mobile phone, the social interactions occur in a wider area and the community extends beyond the conventional space, stressing the non-space world. Korea is no exception: the village is now at the center of community discussion, which has been strengthened by a series of "Maeul(Village)-Making-Movement" since the 1990s. Different from the past, however, as activities related with housing, labor, culture and leisure are separated each other, more people have to spend most of time outside the village. If community policies are confined to village, nowadays communities of people who do not spend their daily lives in the neighborhood are invisible and consequently it is not possible to support their communities. The key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community, drawing out reliable implications from the in-depth analyses of the intimate network of ordinary people. It examines 3,985 network data of 572 Cheongju people in Korea, apply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The followings are major findings. Firstly, neighborhood networks occupy only 6.1 percent, consisting of housewife and the aged. Secondly, 77.1% of the total networking occurs within Cheongju proper. The second position is given to connecting with Seoul Metropolitan Areas and nearby cities including Daejeon and Sejong. There exists a weak connection with other cities within Chungbuk Province. Thirdly, 85.12% of the total networking is geared towards a huge cluster, and main connectors are the unemployed, artists and activis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supporting the actual communities of the people within a village unit. With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s and communication, accessi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propinquity to form a community, locally and regionally. In order to restore the community, various communal spaces which can be intertwined with places of labor, culture and leisure should be on the discuss table. Al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ctivities-based communities such as artistic activities and local movements. In this context, the unemployed group would be treated as precious social capital rather than insignificant social surplus.

      • 전통음식문화의 체험가치 인식이 문화공유 태도 형성과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food culture is continuously evolving and has diverse influences on consumer attitudes.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experiential value and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cultural sharing have an impact on consumer participation behaviors. Recently, with the advent of the global era of K-content, the Korean Wave and K-FOOD are gaining worldwide popularity. Moreover, a trend in traditional food culture is emerging, particularly among the MZ generation, and there is a noticeable enthusiasm for Korean traditional food, to the extent that a coined term, "yakketting" has emerged. The trend indicates an increasing interest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dividuals in experiential programs related to traditional food, and this interest is expected to grow.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participants perceive the value of traditional food culture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how their attitudes change after the experience, and how they share and engage in behaviors following the experience. Based on these objectives, the study seek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experiential value perception in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examine the impact of these perceptions on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cultural sharing and participation behaviors. The specific objectives outl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ptually define the perception of experiential value in traditional food culture as sensory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xperience.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establish a redefined theory based on existing research to align experiential value perception with the context of food culture. Second, conceptualize and structure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cultural sharing as trend sharing, trust sharing, and image sharing. Furthermore, investigate how the perception of experiential value influences changes in participation behaviors, and clarify how the attitudes toward cultural sharing impact the transformation of participation behaviors among experiential participants.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was designed to establish new variables suitable for food culture, and to conduct factor analysi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bring about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after participating in experiential programs. The study aims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experiential programs to enhance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 culture. Additionally, it suggests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and approaches for transfer and success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levating the value of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fostering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in related industries.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online surveys targeting consumers who had experienced traditional food culture.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starting from July 20, with the main survey conducted over 45 days after addressing identified issues.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fter excluding 18 responses deemed unreliable, 382 were utiliz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employed AMOS 27.0 and SPSS 27.0 programs for data analysis, with the chosen methods and procedures aiming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erception of experiential value positive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cultural sharing. Secondly,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cultural sharing had a positive impact on participation behavior. Thirdly, the perception of experiential value positively influenced participation behavior. Lastly,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cultural sharing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experiential value and participation behavior. These results are crucial for validating the core hypotheses of the study and enhancing theoretical understanding.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ile this research initially attempted to base its study on Pine & Gilmore's Experience Economy theory (4Es), it found that this theory was not suitable for the concept of traditional food culture. Therefore, a new definition for the perception of experiential value was proposed. The study was conducted by structuring the sub-variables of experiential value perception as sensory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xperience, in line with the experiential requirements of food culture. Additionally, the factors shaping attitudes toward cultural sharing were newly established as trust sharing, trend sharing, and image sharing, leading to meaningful results. This differentiation in research from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adds scholarly significance to the study. Secondly, this study present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cultural marketing. In this research, a new conceptualization of the theory of cultural sharing attitude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tailored to food culture, was introduced. This aimed to stimulate the interaction between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consumers, ultimately enhancing awarenes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This scholarly contribution is significant as it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emotional connections with consumers by reinforcing the image of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providing unique experiences. Thirdly,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forming cultural sharing attitudes was applied and analyzed in the context of experiencing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academic significance lies in the expectation that there will be subsequent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cultural sharing attitudes in various cultural experience fields. This anticipates further exploration into the formation of cultural sharing attitudes in diverse cultural experiential domains in the futu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crucial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tial value of traditional food culture. Conducting educational and promotional activities to enhanc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raditional food experiences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cultural sharing attitudes and increased participation behavior. This can elevate the perceived value of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enhance participants' motivation to engage. Secondly,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nts to engage freely in traditional food culture through elements such as trust sharing, trend sharing, and image sharing, a more diverse and active participation can be encouraged. Facilitating these aspects of cultural sharing attitudes can create an environment conducive to dynamic involvement. Thirdly, education on the values and significance of traditional food culture is essential to assist participants in forming cultural sharing attitudes. This approach encourages participants to develop a greater respect and appreciation for traditional food culture. Fourthly, providing incentives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to induce participation behavior. For instance, offering special benefits or discounts to those who participate in traditional food culture experiences can boost motivation and encourage greater engagement. Th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provide operational programs for the cultural sharing of traditional food culture. These programs should incorporate activities centered around trust sharing, trend sharing, and image sharing, allowing participants to experience and share traditional food culture. For example, operating experiential programs where participants can try making traditional dishes or organizing discussion programs to share stories about traditional food culture can help form cultural sharing attitudes and increase participation behavior. Secondly, there should be a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and promotional activities emphasizing the values and significance of traditional food culture. This aims to raise awarenes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assist participants in forming cultural sharing attitudes. Educational programs, workshops, seminars, and promotional activities using social media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widely communicate its values and importance. Thirdly, to promote the cultural sharing of traditional food cul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llaborative networks with relevant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experts. This collaboration allows for the sharing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related to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can enhance the quality of operational programs.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cultural tourism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other entities can contribute to the ongoing development of cultural sharing in traditional food culture. Fourthly, governments or local authorities should implement policy support and incentive systems to support the cultural sharing of traditional food culture. This may include policies to support operational programs and provide subsidies or introducing systems that offer incentives to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contributing to cultural sharing. These policy measures aim to sustainably activate the cultural sharing of traditional food culture. Considering these policy implications can promote and continually develop the cultural sharing of traditional food culture. 음식문화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수용자의 태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체험가치 인식과 문화공유 태도 형성은 수용자의 참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K-콘텐츠가 글로벌 전성시대를 맞아 한류와 K-FOOD가 세계적으로 열풍을 보이고 있다. 또한, MZ 세대를 중심으로 전통음식문화의 유행이 일어나고 있으며, 약켓팅이라는 신조어가 나올 만큼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열풍이 나타나고 있고, 전통음식과 관련된 체험 프로그램을 원하는 내국인과 외국인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음식문화 체험을 통하여 체험자들이 전통음식문화 가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또 체험 후에 변화된 태도를 어떻게 공유하고, 또 어떻게 행동하게 될 것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의 문제를 도출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전통음식 문화의 체험가치 인식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문화공유의 태도 형성과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통음식문화의 체험가치 인식을 감각적 체험, 교육적 체험, 심리안정 체험으로 개념적 정의를 하고자 하며, 체험가치 인식을 음식문화에 맞도록 기존 연구자의 연구를 토대로 재이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둘째, 문화공유 태도 형성을 트렌드 공유, 신뢰 공유, 이미지 공유로 새롭게 개념화 및 구성하고, 또한, 체험가치 인식이 참여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리고 문화공유 태도 형성에 따라 체험 참가자들의 참여 행동이 어떻게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체험경제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음식문화에 적합한 변수를 새롭게 정립하여 요인을 연구 분석하고자 설계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가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참여 행동에 변화를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전통음식문화의 발전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 및 전승과 계승에 대한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는 전통음식문화의 가치를 높이고, 관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음식문화 체험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예비 조사는 7월 20일부터 2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문제점을 보완한 후 본 조사는 45일 동안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포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이 포함된 18부는 제외하고 382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AMOS 27.0과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과 절차는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신중하게 선택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가치 인식은 문화공유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문화공유 태도 형성은 참여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셋째, 체험가치 인식은 참여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공유 태도 형성은 체험가치 인식과 참여 행동 간에 일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의 핵심 가설을 검증하고, 이론적인 이해를 높이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첫째, 본 연구에서는 Pine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4Es)을 기반으로 연구하려 했으나, 전통음식문화 개념에는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체험가치 인식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였다. 음식 문화의 체험요건에 맞게 감각적 체험, 교육적 체험, 심리안정 체험으로 체험가치 인식의 하위 변수를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문화공유 태도 형성의 구성요인을 신뢰 공유, 트렌드 공유, 이미지 공유로 새롭게 정립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선행연구와는 차별화된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문화 마케팅과 관련하여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문화에 맞도록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문화공유 태도 형성의 이론을 새롭게 개념 정리하여 전통음식문화와 소비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는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이미지 강화,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소비자들과의 감정적인 연결을 형성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학문적 의미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문화공유 태도 형성의 개념을 전통음식문화 체험에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체험 분야에서 문화공유 태도 형성에 관한 후속 연구가 나올 것으로 기대가 되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전통음식문화의 체험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참여자들이 문화공유 태도를 형성하고 참여 행동을 증진 시킬 수 있도록 교육 및 홍보 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이는 전통음식문화의 가치를 보다 높게 인식시키고, 참여자들의 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문화공유 태도 형성 요소인 신뢰 공유, 트렌드 공유, 이미지 공유를 통해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전통음식문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 더욱 다양하고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통음식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참여자들이 문화공유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전통음식문화를 보다 존중하고 소중히 여길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참여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통음식문화 체험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특별한 혜택이나 할인을 제공하여 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본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으로 첫째, 전통음식문화의 문화 공유를 위한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신뢰 공유, 트렌드 공유, 이미지 공유를 중심으로 전통음식문화를 체험하고 공유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통음식을 만들어보는 체험 프로그램, 전통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토론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여 참여자들이 문화공유 태도를 형성하고 참여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전통음식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홍보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참여자들이 문화공유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 프로그램, 워크숍, 세미나 등을 통해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소셜 미디어 등을 활용하여 전통음식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홍보 활동을 진행한다. 셋째, 전통음식문화의 문화공유를 위해 관련 기관, 단체, 전문가 등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운영 프로그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역사회, 문화관광 기관, 대학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전통음식문화의 문화공유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전통음식문화의 문화공유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정책적 지원 및 장려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운영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보조금을 제공하는 정책을 마련하거나, 문화공유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를 도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통음식문화의 문화공유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책적 시사점을 고려하여 전통음식문화의 문화공유를 촉진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