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태도 및 죽음인식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지수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경기도 및 충북⦁충남지역에 소재한 일부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죽음인식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의 임종간호태도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서비스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4월 20일부터 5월 8일 까지 약 3주 정도였으며, 설문지는 총 250부를 배포하여 199부를 회수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분석과 분산분석(ANOVA)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척도는 Frommelt(1991)가 개발한 임종간호태도척도(FATCOD)를 조혜진(2004)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김보람(2013)이 재수정한 총 21문항으로 구성 된 척도도구를 사용하였고, 죽음인식 척도는 Templer와 Boyer가 개발하고 Thorson과 Powell(1988)이 수정·보완해서 만든 Death Orientation 측정도구를 박선희(2001)가 번역, 노순희(2004)가 수정한 것으로 총 25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직무소진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Maslach Burnout Invrntory, MBI)를 최혜윤(2002)이 번안하여 사용한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고, 3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자에 대한 비인간화(5문항), 개인적 성취감 감소(7문항), 정서적 소모(10문항)의 총 2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소진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와 죽음인식, 직무소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서 비인간화(2.845, p=0.039)와 전체 직무소진(3.601, p=0.015)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종교에 따라서 임종간호태도(2.709, p=0.047)와 죽음인식(3.166, p=0.026)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나이가 낮을수록 비인간화와 직무소진이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일수록 임종간호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두려움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인식에 따른 죽음인식(3.822, p=0.011)은 건강상태가 매우 좋은 경우 두려움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소진(3.333, p=0.021)과 정서적 소모(5.343, p=0.002)의 경우도 소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 근무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와 죽음인식, 직무소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평균급여에 따라서 임종간호태도(4.239, p=0.000)와 전체 직무소진(-3.554, p=0.000), 개인적 성취감(-4.117, p=0.000)과 비인간화(-2.038, p=0.043)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경력에 따라서 임종간호태도(3.218, p=0.014)와 죽음인식(2.841, p=0.026), 정서적 소모(2.909, p=0.023), 개인적성취감(5.039, p=0.001), 비인간화(2.427, p=0.050), 전체직무소진(6.233, p=0.000)등 모든 항목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동기에 따라서는 죽음인식(4.024, p=0.009)과 개인적 성취감(3.303, p=0.022)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임종간호태도는 급여와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긍정적이었으며, 개인적 성취감과 비인간화도 소진정도가 적었다.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두려움도 적었으며, 직무소진은 근무경력 2-4년 정도가 가장 높았다. 생계와 미래를 위하여 요양보호사를 시작한 경우 죽음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개인적 성취감은 생계를 위하여 시작한 경우 소진정도가 높았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죽음과 임종관련 경험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가족 및 친구의 죽음을 경험함에 따라서는 임종간호태도(2.12, p=0.036), 가족 및 친구의 죽음이유에 따라서는 전체 직무소진(3.371, p=0.020)과 정서적 소모(7.969, p=0.000)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임종간호교육경험에 따라서는 임종간호태도(2.167, p=0.032), 전체 직무소진(-2.708, p=0.007), 정서적 소모(-2.665, p=0.008), 개인적 성취감(-2.437, p=0.016)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임종간호교육을 받은 경우에 임종간호태도가 크게 높았으며, 전체 직무소진과 개인적 성취감, 정서적 소모 등의 소진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종간호태도와 죽음인식이 정서적 소모에 미치는 영향에서 죽음인식(3.403, p=0.001)은 정서적 소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그 외에 연령(-2.062, p=0.042)은 부(-)적인 영향관계, 건강인식(2.411, p=0.018)과 생계더미(2.334, p=0.022)는 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생계를 위하여 요양보호사 직업을 갖게 된 경우일수록 정서적 소진이 높은 것이다. 다섯째 임종간호태도와 죽임인식이 개인적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학력(-2.448, p=0.017), 임종간호교육 여부(-2.057, p=0.043)는 개인적 성취감과 부(-)적인 영향관계가 있었다. 임종간호교육을 받지 않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개인적 성취감 측면에서 소진이 증가하는 것이다. 여섯째, 임종간호태도와 죽음인식이 비인간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인식(2.303, p=0.024)은 비인간화와 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었다.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요양보호사일수록 비인간화 측면에서 직무소진이 낮은 것이다. 일곱째, 임종간호태도와 죽음인식이 전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죽음인식(2.142, p=0.035)은 전체 직무소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고, 연령(-2.255, p=0.027)은 부(-)적인 영향관계, 건강인식(2.25, p=0.027)과 생계더미(2.223, p=0.029 This study is on the influence of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nd the death awareness of nursing staff based on seve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in the Kyung-gi, Chungbok and Chungnam area.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service methods for nursing staffs'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ose who work in nursing institutions. Data collecting period was approximately three weeks. Between April 20th and May 8th, 2015, a total of 250 surverys were distributed and 199 were completed.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sed through t-test analysis and ANOVA analysis. The analysis criteria, FATCOD, was first developed by Frommelt(1991), the tool that was edited and supplemented by Jo Hye-Jin(2004) was re-edited by Kim Bo-Ram(2013), formed by a total of 21 questions as the criteria tool. The work exhaustion criteria was developed by Templer and Boyer, edited and supplemented by Thornson and Powell(1988) as the Death Orientation measuring tool, translated by Park Sun-Hye(2001), edited by Roh Soon-Hee(2004), was formed of a total of 25 questions. The criteria used in order to measure work exhaustion was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 (1981)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adapted by Choi Hye-Yoon(2002), formed by three of the lower rank domains. The questions for the participants are consisted of a total of 22 questions; dehumanization (five questions), decrease in personal achievement (seven questions), emotional consumption (ten questions). The higher the points the higher the representation of exhau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way. Firstly, following the sociodemographic nature of the nursing staff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itue towards terminal care and death awareness, and work exhaus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dehumanization (2.845, p=0.039) and the general work exhaustion (3.601, p=0.015) in accordance to age. In accordance with relig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nd death awareness.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dehumanization and work exhaustion, and the closer one was to Christianity in religion,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was positive and the fear of death was much less. Death awareness in accordance with health awareness, when one is in very good condition the fear of death is much smaller, and even in cases of general exhaustion (3.333, p=0.021) and emotional consumption (5.343, p=0.002), the exhaustion was much less. Secondly, following the working nature of the nursing staff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between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nd death awareness, and work exhaus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4.239, p=0.000) and general work exhaustion(-3.554, p=0.000), personal achievement(-4.117, p=0.000) and dehumanization(-2.038, p=0.043) terms of the average monthly wage. In accordance with experience in the field of wor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rovisions;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3.218, p=0.014) and death awareness(2.841, p=0.026), emotional consumption(2.909, p=0.023), personal achievements(5.039, p=0.001), dehumanization(2.427, p=0.050), and general work exhaustion(6.233, p=0.000). In accordance with work colleagu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ath awareness(4.024, p=0.009) and personal achievement(3.303, p=0.022). Specifically,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was more positive as the monthly wage was higher and the more experience one had in the field, personal achievement and dehumanization was lower in the degree of exhaustion. The more experience one had in the field of work the lower the fear of death, and those who worked in the field with 2-4 years experience had the highest work exhaustion. Nursing staff that started working in the field for the benefit of livelihood and the future had a positive awareness to death, and those who started work for personal achievement and livelihood has higher degree of exhaustion. Thirdly, according to the analyized results on the nature of experiences of nursing staff on death and death-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following a death of a family member or friend(2.12, p=0.036), the general work exhaustion following the reason for death of a family member or friend(3.371, p=0.020) and emotional consumption(7.969, p=0.000).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 terminal ca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2.167, p=0.032), general work exhaustion(-2.708, p=0.007), emotional consumption(-2.665, p=0.008), and in personal achievement(-2.437, p=0.016). More notably, in cases were nursing staff have received terminal care education,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was greatly higher, however, general work exhaustion, personal achievement, emotional consumption was shown to be much lower. Fourthly, from the influenc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nd death awareness caused on emotional consumption, death awareness(3.403, p=0.001) cause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al consumption. Apart from those, age had a nega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whereas health awareness(2.411, p=0.018) and accumulation of livelihood [생계더미] had a posi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 younger the age, the worse the health condition, and the more likely the nursing staff started work because of livelihood, the higher the emotional exhaustion was. Fifth point, from the influenc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nd death awareness had on personal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academic background(-2.448, p=0.017) and whether education on terminal care was received(-2.057, p=0.043), there was a nega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 less education received on terminal care and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as

      • 응급실 간호사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박정은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소명의식, 공감 역량,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 태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U광역시 U대학병원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응급실에 종사하는 간호사로 응급실 경력 1년 이상, 응급실에서 임종간호를 1회 이상 환자에게 수행한 간호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27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은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8곳 응 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48부가 분석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12문항,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17문항, 임종간호 스트레스 40문항, 소명의식 12문항, 공감 역량 17문항, 임종간호 태도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소명의식, 공감 역량,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 태도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소명의식, 공감 역량,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 태도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변수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였고,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2.99±0.43점, 소명의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12±0.65, 공감 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3.63±0.49,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27±0.84점, 임종간호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87±0.51점이었다. 2.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명의식은 학력(F=4.25, p=.015), 종교(t=2.37, p=.018), 임종간호 시 환자, 보호자에게 임종에 대한 설명 및 교육 노력(F=4.57, 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공감 역량은 학력(F=3.20, p=.042), 임종간호 시 환자, 보호자에게 임종에 대한 설명 및 교육 노력(F=10.7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연령 (F=2.77, p=.042), 결혼상태(t=-2.43, p=.016), 임상근무 경력(F=3.49, p=.016), 임종간호 경험 횟수(F=3.03, 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종간호 태도는 가족 죽음 경험(t=2.10, p=.036), 임종간호 경험 횟수(F=3.70, p=.012), 임종간호 시 환자, 보호자에게 임종에 대한 설명 및 교육 노력(F=3.90,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본 연구 대상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r=.48, p<.001), 소명의식(r=.33, p<.001), 공감 역량(r=.24, p<.001)은 임종간호 태도와 양의 상관관계,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 (r=-.44,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본 연구 대상자의 임종간호 태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한 결과, 가족 죽음 경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소명의식,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확인되 었으며, 임종간호 태도의 34.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가족 죽음 경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소명의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응급실 간호사 가 긍정적인 임종간호 태도를 취하기 위해서는 좋은 죽음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갖출 수 있도 록 좋은 죽음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소명의식은 내면적인 성향이 강하므로 올바른 간호전문 직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주제어: 간호사, 죽음에 대한 태도,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공감, 직업 만족도

      • 완화의료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수행

        안수민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암 환자의 임종을 접하고 간호하는 완화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와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파악하는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 10개의 완화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임종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165명을 대상으로 임종간호 태도는 Frommelt가 개발하고 조혜진(2004)이 번역한 도구,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이연옥(2004)이 개발하고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 임종간호 수행은 박순주(1996)가 개발한 도구로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정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38,p=.629) 대상자의 임종간호 태도와 임종간호 수행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63, p=.000). 즉, 임종간호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임종간호 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 수행의 하부영역별 분석을 한 결과, 신체적(r=0232, p=.003). 영적(r=219, p=.005) 심리적(r=.468, p=.000) 간호 수행과 임종간호수행정도 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암 환자들에게 임종간호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임종간호 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긍정적인 임종간호 태도의 고착을 위해 완화의료기관 간호사가 지속적인 임종간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행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임종간호 수행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요양병원 간호사가 인식한 좋은 죽음과 임종간호태도 및 수행

        김선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및 수행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요양병원의 임종간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의 6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1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최종 147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8월 10일에서 8월 22일까지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좋은 죽음인식의 평균은 4점 만점에 3.04±0.42점이었고, 임종간호태도는 4점 만점에 2.86±0.28점, 임종간 호수행은 4점 만점에 2.91±0.43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수행 정도의 차이에서 연령, 결혼 여부, 최종학력, 직위, 간호사 경력에서 임종간호수행 정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좋은 죽음인식, 임종간호태도 및 수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r=.176, p=.033)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종간호태도와 임종간호수행((r=.221, p=.007) 또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수행 (r=.297, p=.000) 또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들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21.8%였으며 (F=5.520,p=.000) 연령(β=0.292, p=.011), 최종학력(β=0.173, p=.028), 간호사 경력(β=-.197, p=.038), 좋은 죽음인식(β=0.229, p=.007), 임종간호태도(β=0.160, p=.049)가 임종간호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젊은 연령의 간호사와 임종간호 교육을 받은 기간이 오래된 간호사를 중심으로 임종간호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요양병원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 훈련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김은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일 대학 병원 간호사의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W시에 소재한 Y대학 병원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간호사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영성은 Howden(1992)의 영성 척도와 오복자와 강경아(2000)의 영성 척도를 수정 보완한‘영성 척도’(박현준, 2003)를 사용하였으며, 공감역량은 이영진(201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임종간호태도는 Frommelt(1991)의 ‘Frommelt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Scale(FATCOD)’를 번안한 조혜진과 김은심(2005)의‘임종간호태도’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3월 28일부터 4월 6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ASW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와 차이검정(two samples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사후분석(scheffe test), 상관관계분석 (pearson cor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영성의 평균 점수는 수직적 영성 94(±4.71)점, 수평적 영성 27.4(±4.44)점으로 통합 점수는 67.33(±8.13)점이다. 공감역량은 61.23 (±7.85)점이었으며 임종간호태도는 85.75(±6.05)점 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성, 공감역량, 임종간호태도의 관계는 다음 과 같다. 수직적 영성은 연령(F=8.243, p=.000), 학력(F=5.513, p=.005), 근 무부서 (F=4.486, p=.013)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20대, 30대 보다 40대 이상 에서 수직적 영성이 높았으며, 학력은 석사 이상에서, 근무부서가 응급실인 대상자가 중환자실 근무자보다 수직적 영성이 높게 나타났다. 수평적 영성은 연령(F=8.709,p=.000), 배우자 유무(t=2.99, p=.003), 종교 (t=3.565,p=.003), 학력(F=4.144 p=.018), 임상경력(F=7.532, p= 0.001)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40대 이상에서, 배우자가 있는 집단에서 종교가 있는 대상자 가 대학원 이상의 대상자들이 수평적 영성이 높았다. 공감역량은 연령(F=5.849, r=.003), 배우자 유무 (t=2.434, p=.016), 종교 (t=2.610, p=.010) 학력(F=6.227, p=.002)에서 차이가 있었고 40대 이상에서, 배우자가 있는 집단에서, 종교가 있는 대상자와 석사 이상의 대상자들이 공 감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임종간호 태도는 일반적 특성에 서는 차이가 없었 으나 임종간호 특성의 임종간호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임종간호태도가 더 높았다(t=4.930, p=.000). 3) 대상자의 영성, 공감역량, 임종간호태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 다. 수직적 영성은 수평적 영성(r=.557, p=.000), 공감역량 (r=.528, p=.000), 임종간호태도(r=.215, p=.005)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수평적 영성은 공감역량(r=.730, p=.000), 임종간호태도 (r=.234, p=.002)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성이 높을수록 공감역량과 임 종간호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공감역량은 임종간호태도 (r=.289,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공감역량이 높을수록 임종간호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4) 다중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수직적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의 관 계에서 공감역량이 완전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수평적 영성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성, 공감역량, 임종간호태도에서의 상관관계뿐 아니라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어 간호사의 공감역량 증진이 영성을 향상시키고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암병동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 감성지능 및 자아탄력성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미영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암 발생률과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업무가 증가하고 있다. 임종간호태도는 환자가 인간으로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품위 있고 편안한 마음으로 임종을 맞이하도록 배려하는 것으로 환자의 삶과 죽음에 영향을 미치고 임종환자와 가족의 총체적 건강과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 요인이다. 그러므로 암병동 간호사가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긍정적인 임종간호태도를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임종간호태도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B광역시 일개 상급종합병원 암병동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2월 25일부터 동년 3월 8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B광역시 소재의 P대학병원 간호부에 허가를 받아, 구조화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임종간호태도 측정은 Frommelt(1991)가 개발한 Frommelt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FATCOD)를 조혜진(2005)이 수정, 보완, 번역한 도구를, 좋은 죽음인식 측정은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좋은 죽음 측정도구를 정현숙(2010)이 번역한 도구를, 감성지능 측정은 Wong 와 Law(2002)가 개발한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WLEIS) 감성지능 측정도구를 최영옥(2012)이 번역한 도구를, 자아탄력성 측정은 Connor 와 Davidson(2003)이 개발한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을 백현숙(2010)이 수정, 보완, 번역한 한국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IBM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요약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좋은 죽음인식은 평균 47.98±5.82(도구범위:17-68), 평균평점 2.84±0.33(척도범위: 1-4),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평균 53.20±7.36(도구범위: 16-80), 평균평점 3.33±0.46(척도범위: 1-5), 대상자의 자아탄력성은 평균 81.95±11.12(도구범위: 25-125), 평균평점 3.28±0.44점(척도범위: 1-5)이었다.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는 평균 87.49±7.43(도구범위: 30-120). 평균평점 2.92±0.25(척도범위:1-4)이었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는 일반적 특성 중 최종학력(F=18.342, p<.001), 종교 유무(t=2.327, p=.022), 종교의 중요도(F=4.222, p=.006), 총 임상경력(F=2.969, p=.003), 주관적 건강상태(F=5.909, p=.003), 임종관련 특성 중 임종환자 경험(F=3.916, p=.004), 임종간호 교육 유무(t=2.954,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와 좋은 죽음인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65, p=.022)가 있었다. 임종간호태도와 감성지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335, p<.001)가 있었다. 임종간호태도와 자아탄력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305, p<.001)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요인은 최종학력(β=.334, p<.001), 감성지능(β=.247,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197, p=.002), 임종간호교육 유무(β=.129, p=.016)이었다. 이들 변수의 임종간호태도에 대한 총 설명력은 26.5%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교육수준, 감성지능, 주관적 건강상태가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암병동 간호사에게 긍정적인 임종간호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간호조직 차원에서 전문지식 증진과 자기개발을 위한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감성지능을 향상시키는 임종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중소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 완화간호 인식, 영성, 임종간호태도 및 임종간호수행에 관한 연구

        지미정 창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 문 요 약 중소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 완화간호 인식, 영성, 임종간호태도 및 임종간호수행에 관한 연구 지미정 창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목적: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 완화간호 인식, 영성, 임종간호태도 및 임종간호수행에 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중소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향상시키고 중소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7월 5일부터 7월 31일까지로 중소병원 간호사 중 근무경력 1년 이상인 1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김정희(1990)와 이은자(1998)가 개발하고 김명숙(2007)이 수정․보완한 호스피스 완화간호 인식 도구, 이경열 등(2003)이 개발한 한국인을 위한 영성 척도, Frommelt (1991)가 개발하고 조혜진과 김은심(2005)이 수정‧보완한 임종간호태도, 박순주(1996)가 개발한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는 t-test와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완화간호 인식은 평점 3.14점, 영성 수준은 평점 3.33점, 임종간호태도는 평점 3.47점. 임종간호수행 수준은 2.54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간호 인식은 연령(F=3.62, p=.015), 결혼상태(F=4.11, p=.019), 호스피스 교육 경험(t=3.05,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성은 학력(F=4.97, p=.008), 임종경험(t=2.25, p=.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종간호태도의 차이는 학력(F=6.53,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임종간호수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호스피스 완화간호 인식(r=0.18, p=.041), 영성(r=0.36, p<.001) 및 임종간호태도(r=0.22, p=.009)와 임종간호수행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임종간호수행이 말기 환자와 가족의 건강과 삶의 총체적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임종간호수행이 적절히 제공되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임상에서 그들의 죽음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확립하고 임종간호수행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적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 간호사, 호스피스 완화간호 인식, 영성, 임종간호태도, 임종간호수행. Abstract A study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spirituality, terminal care attitude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i Mi-jeong The Gradute school of Chang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Propose: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hat improve the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 hospital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viding terminal care in accordance with actual circumstances, by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s, spirituality, terminal care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Method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5, 2018 to July 31, and 135 nurses who were working in a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for more than one year.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tools was developed by Kim, Jung - Hee (1990) and Lee, Eun - Ja (1998) and modified by Myeong - Sook Kim (2007). spirituality tools was the spirituality scale for Koreans developed by Lee Kyung-Yeol et al. (2003). terminal care attitude tools was developed by Frommelt (1991)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end-of-life nursing attitude instrument of Cho Hye-jin and Kim Eun-shim (2005). terminal care performance tool was developed by Park, Soon - joo (199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18.0.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score was 3.14, the spirituality level was 3.33, and terminal care attitude was 3.47. The level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2.54.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F = 3.62, p = .015), marital status (F = 4.11, p = .019) and hospice education experience (t = 3.05, p = 0.003). Spirituality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F = 4.97, p = .008) and the experience of dying (t = 2.25, p = .026). Terminal care attitud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F = 6.53, p = .002).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r = 0.18, p = .041), Spirituality (r = 0.36, p <.001), Terminal care attitude (F = 6.53, p = .002). Conclusion: Terminal care performance is a major determinant of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health of the end-stage patient and family. terminal care performance to be provided, the nurse must establish a positive view of their death in the clinic. It is necessary to seek policy measures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Keyword : nurse,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spirituality, terminal care attitude, terminal care performance.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태도가 소진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청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nd-of-life care stress and attitudes among nurses at tertiary general hospitals.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redu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by controlling end-of-life care stress and the attitude of nurses. An attempt is made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by raising the level of education. The research subjects were nurses with more than 2 times end-of-life nursing experience in the last 1 year among nurses with clinical experience of 6 months or mor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the questionnaire. The study was conducted for one month from January 1, 2022 to January 31, 2022. The appropriate number of samples required for the selection of subjects for this study was .05 significance level, .15 median effect size, and .80 power using G*Power 3.1.9.7 version. When 10 predictors were use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was 118. Among them, a total of 130 people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considering the 10% dropout rat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nd-of-life nursing attitu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and burnou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2. This study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end-of-life care stress and end-of-life care attitude of nurses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burnout increased as the stress of end-of-life care increased.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nd-of-life care stress and the attitude of nurses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end-of-life care stress and attitude were not influenced by job satisfaction. Examining the above results, the end-of-life care stress of nurses in tertiary general hospitals was associated with burnout but was not influenced by job satisfaction. Improving end-of-life care stress can be helpful to decrease the burnout of nurses. Finally, if we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end-of-life care stress of nurses, the burnout of nurses will also decrease. Keywords: End-of-life care stress, End-of-life care attitude, Burnout,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태도가 소진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태도를 조절하여 소진을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여 간호의 질 향상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임상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중 최근 1년간 임종 간호 경험이 2회 이상 있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서면 설문지와 온라인 URL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한 달간 진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 선정에서 필요한 적정 표본 수는 G*Power 3.1.9.7 version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05, 중간 효과크기 .15, 검정력 .80으로, 예측변수 10개를 사용하여 산출하였을 때 총 표본 수가 118명이었으며, 이 중 10%의 탈락률을 고려하여 총 13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임종간호태도는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소진은 직무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2.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태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소진이 증가하였다. 3.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태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태도는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임종간호태도와는 유의하지 않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태도도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개선할 수 있는 체계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태도, 소진, 직무만족도

      • 간호사의 영성과 죽음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수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목적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영성과 죽음 인식 및 임종간호태도를 조사하고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간호사들이 임종환자와 가족들이 존엄하고 좋은 죽음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방법 :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5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였으며, 내과 병동 경력 1년 이상인 간호사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설문지로 일반적특성, 직무특성, 그리고 영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경렬 등(2003)이 개발한 한국인을 위한 영성 척도를, 죽음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이누미야 요시유키와 한상열(2004)이 개발한 사생관 척도를 차영례(2005)가 수정·보완한 인식도구를, 임종간호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Frommelt(1991)가 개발한 FATCOD를 조혜진과 김은심(2005)이 번역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간호사의 영성 평균 점수는 3.32±0.37점(5점 만점), 임종간호태도는 평균 2.94±0.29점(4점 만점)이었다. 영성의 하위영역 중 영성자각이 3.65±0.41점으로 가장 높았고, 죽음 인식의 영역 중 생명존중의지가 3.21±0.69점으로 가장 높았다. 임종간호태도의 하위영역 중에는 임종수행이 3.00±0.32점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는 교육수준(F=4.023, p=.020), 종교활동 참여빈도(F=4.021, p=.024), 6개월 임종간호 경험 횟수(F=7.938, p<.001), 임종간호 교육 유무(t=5.443, p=.021)에서 차이가 있었다.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일반적 특성 중 6개월 임종간호 경험이 16회 이상(β=.321, t=4.508, p<.001), 교육수준 대졸, 석사졸 이상(β=.166, t=2.305, p=.022), 영성의 하위영역 자비심(β=.170, t=2.090, p=.038)과 연결성(β=.162, t=1.990, p=.048)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19.6%였다(F=10.762, p<.001). 결론 : 임종간호태도는 임종간호 경험이 많고, 영성에 자비심과 연결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비심과 연결성을 높일 수 있는 중재 전략을 개발하고 임종간호교육을 체계화하여 임종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주제어 : 간호사, 영성, 죽음 인식, 임종간호태도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nurses' spirituality, awareness of death and the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Method: From May 1, 2017 to July 15, 2017, 161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of medical care experience were included in the selection criteria. Research tools were conducted as questionnair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o measure spirituality, the Spirituality Scale for Koreans developed by Lee et al.(2003)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awareness of death, the awareness of death scale developed by Inumiya Yoshiuki and Han(2004) was used as a recognition tool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Cha(2005). The FATCOD developed by Frommelt(1991)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Cho & Kim(2005) to measure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Result: The average score of nurses' spirituality was 3.32±0.37 (out of 5), and the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was 2.94±0.29 (out of 4). Spiritual-Awareness among the sub-domains of spirituality was the highest with 3.65±0.41 points. Among the areas of Awareness of Death, the highest degree of willingness to respect life was 3.21 ± 0.69 points. Among the sub-domains of attitudes toward care of dying, Dying-Performance was highest at 3.00±0.32 poin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toward care of dying between education level(F=4.023, p=.020), religious activity participation frequency(F=4.021, p=.024) and 6 months endurance nursing experience frequency (F=7.938,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d-of-life nursing education (t=5.443, p=.021).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toward care of dying were identified as 6-month endurance nursing experience(more than 16 times)(β=.321, t=4.508, p<.001), educational level(college graduate, master’s degree)(β=.166, t=2.305, p=.022), sub-domain of spirituality benevolence(β=.170, t=2.090, p=.038) and connectivity(β=.162, t=1.990, p=.048)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regression analysis was 19.6%(F=10.762, p<.001). Conclusions: The attitudes toward care of dying was found to be more positive as the more experience of care of dying, the higher sub-domain of spirituality benevolence and connectivit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Key word: Nurse, Spirituality, Awareness of Death, Attitudes toward care of d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