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우구스티누스 인간관의 도덕교육적 함의

        이승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과 사상을 인간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초월적 존재에 대한 이해, 인간의 자유의지, 카리타스 등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관에 내재된 주요 도덕적, 철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도덕교육적 함의를 이끌어 내는 것에 있다. 도덕교육의 목적은 도덕적으로 선한 사람을 육성하는 것에 있으며, 이를 위해 도덕과 교육과정에는 다양한 형태의 인간관과 그 핵심 개념들을 통해 학생들에게 도덕적 특성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인간관을 통해 삶의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청소년 시기를 거치면서 내면적 성찰이 부족한 학생들의 인격적 성숙을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인간 능력에 대한 맹신, 지나친 인간 중심적 사고가 왕따, 자살, 청소년 범죄 등의 문제로 이어지는 지금에 있어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인간관, 그 중에서도 기독교 철학의 근간이 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과 그의 인간관을 살펴보는 것은 적지 않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관을 연구하기 위해,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과 배경, 아우구스티누스 인간관의 주요 내용을 살펴본 다음, 그의 신앙적, 도덕적 인간관에서 제시되는 내용과 주요 개념이 도덕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를 위해 제1장에서는 학생들의 내면적 성찰 또는 인격적 성숙보다 교육의 유용성(有用性)이 중시되는 도덕교육의 현실을 지적하고, 도덕과 교육에서 올바른 인간관 교육이 필요함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 생애와 사상적 배경을 소개하고 그의 사상에서 인간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 인간관의 기본적 요소와 주요 특성들을 확인하고, 그의 인간관을 본격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관은 신과의 관계를 전제로 한 신앙적 존재로서의 인간관으로, 이는 창조된 인간, 타락한 인간, 회복된 인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아우구스티누스의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관을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 자유의지를 가진 인간, 인간이 지향해야할 사랑-카리타스로 나누어 보고, 인간이 선을 행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지고한 사랑, 카리타스를 실현함으로서 행복을 추구하고, 이를 통해 덕성을 가진 인간, 즉 덕 윤리가 도출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관을 바탕으로 도출할 수 있는 도덕교육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현재의 교육은 학생들이 치열한 입시경쟁의 관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 교육에 초점에 맞춰져 왔다. 하지만 교육의 본질과 도덕교육의 본래적 목적을 생각했을 때, 우리의 도덕교육은 인간의 문제에 좀 더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인간이란 무엇이며 인간이게 하는 요소는 무엇이고, 그러한 삶을 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근원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들을 도덕적 삶의 중심에 놓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관은 초월적 존재로서의 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신의 은총을 바탕으로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의 덕성, 덕 윤리의 일단을 제시하고 있으며, 인간이 자유의지를 통해 사랑할만한 사랑, 즉 카리타스를 추구해야한다는 그의 인간관을 통해 덕 윤리와 의무 윤리가 상호보완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더불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아우구스티누스 인간관의 주요 내용인 자유의지, 카리타스, 책임의 귀속 등을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덕교사가 역할을 생각해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아우구스티누스 인간관을 통해 인간 중심의 사고, 유용성과 합리성이 지배하는 현재 교육의 문제점을 치유하고,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여 삶의 의미를 회복하는 도덕교육의 올바른 인식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조직이론의 인간관과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박영자 이화여자대학교 1995 국내박사

        RANK : 247806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how human beings are viewed in the light of organization theories, by focusing on human beings in the context of an organization. The secondary objective was to seek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o investigate how educational goals can be influenced by applying the various organization theories, and their views of human beings, to educational organizations. An organization is established in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environment of the time upon which imposes on people a particular point of view on human beings. Researchers who study educational phenomena have made major efforts to examine not only the behavior of the organization but also the person working for the organization. This is because the organizations actual strategy of operation, and views of all the other component attributes of the organizational scheme are determined by the way in which the human essence of an organization-participant is understood. Therefore the views of human beings in the organization can be considered to provide us with a sort of basic assumption for comprehensively explaining organizational phenomena. Likewise the distinctive views regarding human beings lead to the distinctive educational views regarding education, upon which the direction of education is dependent. In order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are specified as follows: First, how were the organization theories established, and how have they developed to accommodate the changing times, and the changing historical and structural environments? What ar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organization theories as projected through the respective paradigms of organization theories? Second, how do they define human being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 Third, what educational implications do we observe in the divergent views on human beings which are premised in various organization theories?; When they are applied to education organizations, what educational phenomena appear?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In Classical Organization Theories, an individual is compelled to agree with or obey the organization authorities; he or she is defined as a“machine model,” the“home economicus”who is supposed to satisfy economic motivations, and who is hypothesized as a person of function complying with the rationale in order to enhance the legitimacy and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Consequently, in Classical Organization Theories, a person-who is emotional, irrational, and socio-psychic-appears to be a non-individualized impersonality which is treated simply as an inhuman, and reasonable mechanic tool; and by minimizing an individual’s freedom and spontaneity, the human alienation of inhumanity has been invited. The Classical Organization Theories are represented by the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and the Theory of Bureaucracy. What the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suggests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productivity is enhanced through scientific management, and educational innovations are made possible by scientifically carrying out the educational tasks; yet its applicability in a school organization could arouse quite a few controversies due to the view of human beings it has premised. In terms of the Theory of Bureaucracy a person of idiosyncrasy cannot be nurtured, and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purpose is likely to be impeded; therefore its enforcement of inhumanity is oppos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organizations. This is because the ideal of a bureaucratic scheme may be attributable to the results of both pro and anti-functions, regarding efficiency or rationality.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Theory of Human Relations, people have more interests in an informal organization, complying with the“logic of affection -”rather than with the“logic of efficiency”, and puts emphasis on individual socialization or group dynamism, base on the socio-psychological human relationships induced by socio-psychological motivation. In this theory, a person’s human value is regarded as more important. In an educational organization,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 ignited the teachers and the staffs’ motivations by perceiving human essences; and by underlining human relationships, he or she provides principles of educational management, and triggers an efficient education organization management. Many Modern Organization Theories are still in the process of evolving. A lot of concepts still remain undefined, and it is not an easy task to explain an organizational structure or the view of human beings in a word. Yet, in Modern Organization Theories, a person and his/her work are properly harmonized, and the 『work』and 『person』 are both regarded as important; by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ambivalence of pursing rationality by reason, and irrationality by emotion, the researchers attempt to integrated a rational formal organization with an irrational informal organization. In Modern Organization Theories, a person is hypothesized as an independent being of distinctive personality who makes decisions, and who is an open and autonomous system. Furthermore, he/she is perceived as a future-oriented integrated personality complex, yet dynamic and active in adapting him/herself favorably to his/her inexperienced environments. The three representatives of the Modern Organization Theories are Behavio ral-Science Theory, System Theory and Contingency theory. The researchers of Behavioral-Science Theory attempt to integrate a person with organization, concentrating on human behavioral or functional aspects, while the System Theory researchers attempt the same, placing the focus on the rational or structural aspects. The Behavioral-Science Theroy researchers have systematized education theories, and added an ideal antecedent which facilitat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education. In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all organizations including those in education, the System Theory researchers perceive every question form the standpoint of the entire organization; for them a systematic account has been made possible by openly attempting to work out the problems in the interactions of the divergent factors concerned; thus the creative characteristic of System Theory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accurately the structural organization of a school as a social system. Contingency Theory is a dynamic one which deals with the organizational problem of adaptability in the interactions between organiza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ts educational application represents the openness of a school system, defines the effective leadership of a teacher or a school administrator, and alters or extends the conceptions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s. As mentioned above, the organization theories appear to have been continuously evolving, and expanding their scope; likewise, the view of human beings rendered in the theories is observed to have undergone a complex and divergent transition beyond our expectations. Although none of the aforementioned theories is sufficient in itself for our understanding of every viewpoint of human beings, none of them should be completely rejected, because each particular explanation is persuasive. Thus we eventually reach this conclusion: while all the theories keep on independently growing, it is till required that they complement each other. Many organizations including the educational ones have incessantly been changing along with the scientific developments of high technology in this pluralistic environment; and with the organizations, individuals are also growing and changing; hence, it is inevitable to deal comprehensively with the problems of harmony and conflict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 and between one individual and another, That is, the problems need to be projected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which enables us to perceive and understand a person as a dynamic integrated whole instead of a part. For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s or theorists who are committed to education, such a view or standpoint is even more urgent, for the direct impact of the view or standpoint in the actual practice of education is not only significant, but in fac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본 연구는 조직 속의 인간에 주목하여 조직이론을 통해서 인간관을 구명해 보고자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조직이론과 그 속에 전제되어 잇는 인간에 대한 견해들을 교육조직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과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새로운 인간이해 방법을 모색해 보고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탐구하는 것이 이차적인 목적이다. 조직이론은 시대적 · 역사적 · 구조적 배경 속에서 성립되며 그러한 배경을 토대로 인간에 대한 일정한 관점을 가진다. 조직 현상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조직의 행위뿐만 아니라 그 속에서 활동하는 인간에 관삼을 가지고 인간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주력해 왔다. 그 이유는 조직 속의 인간이 지니는 본질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는 다른 모든 속성들에 대한 관점과 조직 운영의 실천적 전략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직 속의 인간에 대한 견해들은 전반적인 조직 현상을 설명하는데 일종의 기본가정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교육의 대상인 인간을 어떻게 보느냐 하는 인간관의 차이는 곧 교육을 어떻게 보느냐 하는 교육관의 차이를 가져오게 되고 교육관의 차이에 따라 교육의 방향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선정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이론이 시대적인 변천과 역사적, 구조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정립되고 발달되어 왔는가? 또한 각 조직 이론이 갖는 패러다임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조직이론의 발달에 따라 각 시대별 조직 이론에서 이간은 어떻게 규정되고 있는가? 셋째, 다양한 조직이론과 그 속에 전제되어 있는 각기 다른 인간에 대한 견해가 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이며, 또는 이들을 교육조직에 적용했을 때 어떠한 현상들로 나타나는가? 이상과 같은 내용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개인은 조직의 권위에 동조하고 복종하도록 강요되며 인간은 경제적 동기를 충족하기 위한‘기계적 모델’(machine model)로서의‘경제인’으로 규정되며, 조직의 합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합리적 조직체계에 따르는 기능인의 가설로 대변된다. 따라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감정적, 비합리적, 사회 · 심리적 성격을 가진 인간을 단순히 기계적, 합리적, 비인간적 도구로 취급하는 비개인성, 비 인격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개인의 자유와 자발성을 극도로 제한함으로써 인간의 소외와 인간성 상실을 초래하였다. 고전적 고직이론을 대표하는 이론으로는 과학적 관리론과 관료제 이론을 들 수 있다. 과학적 관리를 통해여 생산성을 높이고 과학적 직무수행으로 교육혁신을 꾀한다는 점에서 과학적 관리론이 주는 시사점은 크다고 하겠으나 이 이론이 전제하는 인간관 때문에 과학적 관리론을 학교조직에 적용할 때 많은 논쟁점을 일으킬 수 있다. 관료제 이론에서는 개성 있는 인간을 육성할 수 없으며 교육의 본질적 목적달성을 저해하고 관료제의 비정성의 강요는 학교조직의 특성과 정면으로 대치된다고 할 수 있는데, 아는 관료제의 이상형의 각 속성은 효율성 및 합리성에 관한 순기능적 결과는 물론 역기능적 결과도 마찬가지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 관계론적 조직이론에서는‘능률의 논리’보다는‘감정의 논리’의 체계에 따른 비공식조직에 과심을 가지며 구성원 사회 심리적 인간관계를 고려하여 인간의 사회성 내지 집단성이 강조되고 사회 · 심리적 동기에 의하여 유인되는 사회 · 심리적 인간관에 입각하고 있다. 인간 관계론에서는 인간의 인간적이 가치에 비중을 둔다. 교육조직에 있어서 교육 행정가의 인간요인에 대한 지각은 교사와 직원들의 동기를 부여하고 인간관례를 강조함으로써 민주적인 교육행정의 원리를 제시하며, 또한 교육조직관리의 시발점이 된다. 현대 조직 이론에는 아직도 많은 이론들이 전개중에 있거나 그 개념 정립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조직이나 인간관을 하나로 요약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현대 조직이론에서 조직과 인간은 적절한 조화를 이루며 『일』 과 『사람』 이 다 같이 중시되고 인간의 이성에 의한 합리성 추구와 감정에 의한 비합리성 추구의 양면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합리적인 공식구조와 비합리적 비공식적 양자의 적절한 통합을 꾀하고 있다. 현대조직이론에서 인간은 주체적, 개성적 존재로 행동하며 의사결정의 주체자이고 개방적인 존재로서 자율인의 가설에 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은 새로운 환경과 상황을 감안하여 적절히 적응하는 동태적이고 역동적이며 복잡하지만 통일된 전체를 이루는 미래 지향적인 이격의 통합체로 인식된다. 현대조직이론을 대표하는 이론으로는 행동과학적 조직이론, 체제이론, 상황이론을 들 수 있다. 행동과학적 조직이론은 인간의 행동적 내지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체제이론은 조직의 합리적 내지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인간과 조직의 통합을 꾀하고 있다. 현대조직이론을 교육에 적용할 때, 행동과학적 조직이론은 교육에 이론의 체계화를 가져왔으며 다학문적 접근의 이념과 전제를 첨가 시켰다. 체제이론은 교육조직을 포함한 모든 조직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를 조직의 전체적인 입장에서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과의 상호 관련하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개방적 노력을 기울이는 체계적 사고를 하게 하며, 체제 이론의 창조적 특성은 사회체제로서의 학교의 조직구조와 기능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상황이론은 조직과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조직의 적응문제를 다루는 조직의 동태론으로써 이러한 이론의 교육에의 적용은 학교체제의 개방성을 표현하여 학교 행정가와 교가의 효과적 지도성을 규명해주고 교육과 교육행정의 개념을 확장, 변화 시켜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고찰해볼 때 시대적 변화를 통하여 조직이론은 끊임없이 새로운 영역을 향해 확대 발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론에 나타난 인간관 또한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복잡하게 변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각 이론에 따른 인간관은 인간의 모든 면을 충분히 다 설명해 주지는 못하나 각 이론의 인간이해의 관점은 그 특유의 설명력을 갖고 있어 어느 하나의 관점을 전적으로 부정할 수도 없다. 결국 조직에 대한 제 이론들이 독립적으로 성장할 수는 있겠지만 이들 이론들의 통합을 위한 상호보완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즉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을 왜곡하지 않는, 부분으로서가 아닌 역동적이고 통합된 전체로서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론의 관점이 필요하다. 더욱이 인간교육의 사명을 띄고 있는 교육자나 교육 행정가, 교육 이론가들은 위와 같은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내지 관점을 절실히 요청 받게 되는데, 이는 교육현장에서 그러한 시각내지 관점들이 주는 직접적인 영향은 매우 클 뿐 아니라 그로 인해 교육의 방향까지도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 다산 정약용의 인간관과 사회개혁론 연구 : 수기(修己)와 치인(治人)과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김희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6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사회사상가였던 다산 정약용의 인간관과 사회개혁론을 수기(修己)와 치인(治人)과의 연속성의 조화 관계를 중심으로 탐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다산의 공동체주의 도덕 자율적 인간관인 수기와, 균평사상에 기초한 정치⦁경제의 사회구조적 측면의 사회개혁론인 치인과의 연속성의 조화관계를 탐구해 본 것이다. 수기와 치인과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하는 이 논문은 현대 주류 사회학의 논의 가운데 첫째, 인간관에 대한 인간 본성의 실현에 있어서, 변화를 위한 주체적 도덕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간과하였다는 점과, 둘째, 현대 사회학이 사회 구조를 독립 변인으로, 인간 속성을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여, 인간을 사회 구조의 피조물로 파악하고 있다고 보았던 점, 즉 치인에 의한 수기라는 현대 사회학이 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사회학의 패러다임 구성을 위한 풍부한 함의를 갖고 있다. 기존의 연구 관점에서는 서구 사회학의 주류적 사고인 사회 구조 결정론적인 시각에서 다산을 바라보아왔다. 즉 주관적 도덕성 보다는 객관적 제도를 중심으로 다산을 이해하여 치인에 의한 수기라는 관점으로 다산의 사상을 바라보아왔던 것이다. 그 결과 다산의 사상은 수기와 치인과의 관계가 불연속적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이 논문은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관점에서 다산의 인간관인 수기와 사회개혁론인 치인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다산은 서구 근대와는 다른 관점에서 논리적 근거가 된 수기인 균평적인 인간이해를 기초로 하여 현실의 치인인 사회 구조적인 문제들을 다음과 같이 개혁하고자 하였다. 먼저 다산은 수기인 그의 균평적 인간이해에서 주자학적 인성론 비판과 함께 신형묘합(神形妙合)의 중심인 ‘심(心)’, 성기호설(性嗜好說), 자주지권(自主之權), 인간관계관을 통하여 공동체주의적 도덕 자율적 인간관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하고 있다. 균평적 입장에서 본 다산의 인간관은 주자학적 인간과도 다른 독특한 인간관에 입각하고 있다. 주자학적 인성론에 따르면 인간과 인간 사이에는 기의 차이에 따라 생래적으로 현우⦁귀천에 차이가 있음을 정당화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다산의 인성론에 따르면 인간은 모두가 똑같이 도의의 성과 기질의 성을 겸비하고 있는 것이므로 인간이 선천적으로 현우⦁귀천의 차이가 있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다산이 인간의 본성을 강조하여 인간존엄성의 근거를 정초하는데 목적이 있음을 드러내고 있으며, 다산은 모든 인간이면 누구나 스스로 결정하는 자주지권을 가졌다고 선포함으로써 군(君)의 특수한 신분이나 민의 신분사이에는 더 이상의 구별이 있을 수 없다고 보고 있다. 다산은 인간관계관에서 인이란 두 사람 사이에서 서로의 도리를 극진히 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렇게 인이란 일방적 관계가 아니라 서로 상대하여 자기의 위치를 지키고 남의 위치를 존중해 주는 대대적 관계에 있는 것이지 결코 상하(上下)의 주종(主從) 관계가 아닌 것으로 보았다. 균평적 다산의 공동체주의 도덕 자율적 인간관의 특징은 현실의 인간을 문제 삼았으며, 인간의 주체성과 능동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인간이 선 지향성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관계성을 예리하게 주목하고 있다. 다산에게서 개인은 인륜도덕과 사회의 규범을 체득하여야 자율적 능력을 획득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다음으로 다산의 공동체주의 도덕 자율적 인간관에 바탕 한 균평사상에 기초한 정치⦁경제 사회개혁론의 전개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서구적 근대성에서 인간의 자아 발견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는 평등관(平等觀)과, 다산의 인간의 자아 발견을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는 균평관(均平觀)은 그 차이를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산의 균평관은 다산의 평등관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평균적 정의로서의 평등과 배분적 정의로서의 평등이라는 두 가지 입장을 결합해 전개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균평에 기초하여 다산은 사회 구조적인 치인인 정치⦁ 경제개혁사상에 합리적인 제도 방안을 강구한다. 다산은 모든 인간이 자주지권을 가짐으로써 각기 균평한 입장에 놓여 있다는 인식론적 균평관의 연장선 위에 정치적, 경제적 균평관을 풀어나가고 있다. 즉 국가의 구성원인 군(君)⦁신(臣)⦁ 민(民)의 관계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균평하므로 지위, 특권 등은 동등한 입장에서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다산에 있어서의 군⦁ 신⦁민이란 주자학에서처럼 태어나면서부터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각 개체마다 요구되는 기능이 있는 바 그 기능에 합당한 인물이 바로 군도 될 수 있고 신도 될 수 있으며 또한 민도 될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다산의 사상은 주권(主權)의 소재 문제로서 다산에 와서는 근본적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다산의 이러한 인식을 바탕한 균평에 기초한 정치사상으로는 주권의식론(主權意識論), 왕정정치론(王政政治論), 용인책론(用人策論)을 전개한다. 다산은 주권의식론에서 주권이 민에 있다는 것은 통치자와 민은 균평한 것이어서 본래부터 통치자와 민이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에 그 근원을 두고 있으며, 왕정정치론에서는 군(君)이 된 자가 덕으로 인도하되, 법과 형을 적절히 균등하게 사용하는 정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용인책론에서는 과거제도(科擧制度)와 고적제도(考績制度) 개혁을 통하여 합리적인 기회균등, 능력본위의 개혁을 제안한다. 다산의 균평에 기초한 경제사상으로는 경제의식론(經濟意識論), 직업분업론(職業分業論), 토지개혁론(土地改革論)을 전개한다. 다산의 경제의식론에서는 이(利)를 추구하기 위한 백성의 이동은 이의 사회적 균형을 가져온다고 생각하며, 직업분업론에서는 신분의 의미보다는 기호의 다양성에 의하여 개인의 소질이나 능력에 맞춰 인간의 직업이 결정되는 것으로 보며, 토지개혁론에서는 여전제(閭田制)와 정전제(井田制) 개혁을 통하여 직업과 능력에 따라 토지를 주고 소득을 균등하게 배분하고자 한다. 즉 사(士)⦁농(農)⦁공(工)⦁상(商)의 사회적 신분계층으로서보다는 사회적, 경제적인 직종의 분업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다산의 정치적, 경제적 균평관에서 국가나 정부는 백성의 경제생활을 균평하게 하여 모두 잘 살도록 해야 할 의무를 갖는다는 점이다. 이것은 정부가 정치사회에 있어서 “사회적 형평성”(social equity)을 실현해야 한다는 의도가 함축된 것이다. 다산은 사회개혁론의 논리적 근거가 되는 인간이해인 수기를 통하여, 인간의 자기 실현 과정에서 행위자 자신의 주체적 도덕적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다산은 내재적인 도덕적 본성의 자각과 실현이 바깥으로 확장되었을 때, 사회의 규범적 질서가 형성되게 된다고 하여, 사회 구조에 미치는 인성 변화의 역할을 강조하였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다산의 공동체주의 도덕 자율적 인간관인 수기와, 균평에 기초한 사회개혁론 전개인 치인과의 관계에서 내재(內在)적인 연속성(連續性)의 조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산이 개인의 도덕수양의 정신적인 측면과, 도덕적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사회적 실천을 일관된 연관성 위에서 주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산에게서 주관적 도덕성 보다는 객관적 제도의 관계에 우선시 하여 바라보아왔던 치인에 의한 수기라는 기존의 연구 관점은 재고해야 한다. 서구의 현대 사회학 이론에서도 수기인 인간이해에 우선하기 보다는, 치인인 사회 제도나 사회 구조적인 측면에 먼저 중점을 두고서 인간을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다산의 인간관과 사회개혁론을 자세히 분석해 보면, 수미일관(首尾一貫)하게 수기인 공동체주의 도덕 자율적 인간관과, 균평(均平)에 기초한 치인인 사회개혁론과는 내재적 연관구조를 가지고 조화로운 관계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시점에서 다산 인간관과 사회개혁론 연구는 서구적 근대성이 안고 있는 사회 한계를 반성하고 비판하면서 새로운 차원의 근대성을 모색하려는 성찰적 근대성의 관점에서 본다면 다산사상은 아직도 유용하고 귀중한 사상적 자양(滋養)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다산에게서 유학의 학문 목적인 수기와 치인과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개혁론을 새롭게 분석하여 본다면, 우리 사회가 처한 현실에 알맞은 시대정신을 가지고 그에 부합하는 사회 구조적인 개혁의 문제들을 잘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다산 전통사회사상은 국가의 발전에 초석이 되는 하나의 귀중한 사상적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e self cultivating(修己)and the governing people(治人) through Tasan's view on humanity and social reform. More specifically, it has closely examined the harmonious relations of the connection of his views on moral cultivation and the ways of social reform. In the analysis of the governing its people by individual's self-cultivation in the modern society, the human nature in the realization of the change, tries to overlook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moral petitioner points it regards human beings as creatures of social structure. That is, it establishes social structur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human nature as a subordinate one. So the limitations the modern society is facing should be overcome through the approach to cultivate individuals rather than first to govern them. Therefore, the established modern approach should be re-examined in the Tasan's way of subjective morality. Also, the problems of westernized modern society should be reconsidered in this way. I tried to present the approaches to reform the existing structural problems through Tasan's idea on human nature like this: First, Tasan criticized confucius human nature and emphasized the relations with T'ien(천), the spirit(심), the central idea in sinhyeongmyohap (神形妙合), and the understanding human nature in Seonggihoseol (性嗜好说) and jasoosikwan (自主之权). He took a notice of individual's independence and active attitude and insisted that individuals should intend to perform morality actively. He added that humans could acquire self-regulation after mastering human morals and social norms. Second,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n the economic and social reform shown in Tasan's view of human nature is as follows: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western ideal of equality and Tasan's to explain the self-discovery of human. Tasan's ideal of equality can be explained by the combination of average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which Aristotle suggested. Tasan intended to seek institutional alternatives by focusing the governing people politically and the ideal of rational equality economically. In the political view based on equality, he insisted on reforming the examination system (科举制度), and Gojuk system(考绩制度)and in the economic fields, the yeojeonje (閭田制) and jeongjeonje (井田制) for land reform. Tasan insiste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subjective efforts for self-realization in self-cultivating. In addition, when the realization of the inherent moral nature has been extended to the outside, the society's normative order can be formed. Therefore he emphasized the role of personality change. In conclus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are harmonious connections between self-cultivation which is moral self-control in a community and the governing the people according to Tasan's social reform based in equality. Therefore, the existing view of non- connection between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 should be re-examined.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in the West have treated human affairs in the view of social structure, instead of understanding human beings first. However, if we closely look into Tasan's analysis of the process of social reform, it is found that there is a continuous inherent connection between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 Today, we are facing many social problems and conflicts in the society because of the collapse of morality and humanity and loss of sense of values. The various levels of society have also conflicts due to structural problems caused in social systems. Therefore, we should reflect and criticize social pathologies in westernized modern society. In this view point, Tasan's idea of social reform shows a great importance. So if we are to analyze his idea of social reform, that the aim of learning Confucianism is in continuity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 we could find out a philosophical indication to develop modern social reforms in Korea.

      • 원효 인간관의 비교 종교학적 고찰 : 에크하르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길환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790

        이 논문은 인간 존재의 본래적 완전성을 강조하는 원효 覺사상의 인간관과 에크하르트의 인간관을 비교하는 데 그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현실의 깨닫지 못한 인간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존재 성숙의 길을 열어주는 두 인간관의 방법에 대한 고찰은 이 논문의 또 하나의 주제이다. 원효 覺사상에 따르면, 인간은 본래 깨닫고 있는 존재이다. 그러나 그는 현실에서 인간의 根本無知인 無明에 의해서 깨닫고 있는 본래의 상태를 망각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현실의 삶속에서 고통 속에 유전하며 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각의 모습을 『대승기신론』과 원효는 아홉 가지 모습(삼세육추)으로 의식의 분화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염법훈습은 그러한 불각의 상을 더욱 악화시킨다. 그러나 그에게는 절망의 길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不覺의 상태인 현실의 인간은 본래 깨닫고 있다는 본각의 불가사의한 훈습에 의해 불각의 상태를 혐오·반성하고 깨닫기 시작한다. 이는 始覺의 국면으로서 각 계위에 있는 인간 존재가 그 根機에 따라 수행해가는 모습을 ‘心相의 四位’로 표현된다. 이 시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淨法熏習이다. 그리하여 始覺의 과정을 마치고 구경각을 이룬 자는 본래 시각 불각 본각이 모두 한마음에서 나왔으며, 모두 상대적인 관계임을 깨닫게 된다. 깨달음이후의 인간 존재는 물리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는 존재적인 변화보다는 인식적으로 어디에도 걸림이 없이 자유자재한 존재가 된다. 그는 마음의 변화와 外界 환경의 변화에 끄달리지 않고 그저 그것들을 지켜볼 뿐이다. 그러한 그의 심적 초월은 세상과 他者들을 나와 같이 여기며, 동시에 그저 하나로 소통되며 살게 한다. 그의 삶 그 자체가 세상을 이롭게 하고 타자의 안녕과 깨달음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것이다. 에크하르트의 사상을 엿보기 전에 칼빈 신학이 중심이 된 기독교의 인간 구원의 구조를 살펴보면, 기독교의 신과 인간의 관계는 계약 관계에 있었으며, 창조된 인간은 신의 형상을 닮아 거의 완전한 존재의 상태에서 그와의 계약을 파기하여 그의 인생이 죄와 부패로 얼룩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하느님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에 힘 입에 하나님의 은총으로 인하여 죽음을 통해서 완전히 구원받고 천상에 거듭날 수 있다. 이러한 기독교의 구원의 구조는 인간의 상향을 위한 노력을 모두 신의 영역으로 전가하게 되면서 인간 스스로 독립된 희망을 꿈꾸는 데 많은 어려움을 惹起한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해 주는 것이 에크하르트의 인간관이다. 에크하르트는 인간 존재는 신 존재로부터 흘러 나왔다는 신플라톤주의의 유출설에 입각하여 피조물인 인간은 그의 노력을 통해서 원래 상태인 신으로 복귀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피조물인 인간은 현실에서 하느님에 대한 잘못된 경배를 하고 있고, 자신 안에 있는 ‘영혼의 불꽃’ 즉, ‘신성’이며, ‘아들이 탄생하는 곳’을 인지하지 못하고 피조물의 영역에만 그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은 물질적 소유나 계약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신 영혼에 깃들여져 있는 신성을 인식하게 하는 심적 초월의 방법을 통해 피조물의 영역을 벗어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이 곧 ‘마음의 가난’과 ‘무심(detachment)’이다. 그리하여 피조물의 영역에서 벗어나 완전히 신성으로 복귀한 인간은 자기 밖 누구든 혹은 어떤 것이든 의존하지 않고 오직 자기 자신의 힘으로 살아간다. 순전히 자신의 존재, 자신의 생명으로 살기에 자기 밖으로부터 오는 어떤 목적이나 “이유 없이” 자족적으로 산다. 원효 각사상과 에크하르트의 인간관 사이에는 인식적 측면과 존재론적 측면이라는 서로 다른 측면을 서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들 모두 인간 상향의 목표를 위한 노력의 구조와 문제 설정의 배경 즉, 인간은 본래 완전한 존재였다는 것, 현실의 인간은 불완전하다는 것, 그러나 인간은 현실을 혐오 반성하고 본래 완전함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 존재가 염원하는 고귀한 가치들은 무수하고 다양하다. 그러나 上向을 위한 인간의 노력은 그 어느 가치보다 소중하다. 현실의 인간 존재는 불안과 고통을 안고 살지만 이와 같은 완전성이라는 희망과 그 목표를 향해 언제든 달려갈 수 있는 고귀한 존재다. 원효 覺사상의 인간의 본각 귀환의 구현과 에크하르트의 신과 합일 내지는 신성으로의 복귀는 이러한 현실의 인간이 그 본래적 완전성이라는 희망을 성취해가는 고귀한 인간의 노력을 강조하는 것이다. This thesis lays emphasis on comparing between view of human of Won-Hyo's enlightenment thought which stresses subjective perfection of human existence and view of human of Master Eckehart. Another subject of this thesis is consideration about method of two views of human which helps human existence that does not realize reality of life to perceive maturation and perfection of life. According to Won-Hyo's enlightenment thought, human is being who can realize. However, he forgets original aspect realized by ignorance. Therefore, he lives to move perpetually inside the suffering in real life. He and『The Awakening of Faith』 explains specialization's process of consciousness through nine aspects(三細六麤), but he may not have only journey of eager of hope. Human who is in situation of the aspect of nonenlightenment(不覺) begins realizing, repugning, and reflecting it by incomprehensible influence of the aspect of nonenlightenment which people originally realize. This is the process of actualization of enlightenment(始覺), which is expressed in the four shift of mind, according to each conditions of human being. A person who finishes the process of actualization of enlightenment and achieves the one enlightenment can realize that the process of actualization of enlightenment, the aspect of nonenlightenment, and original enlightenment primarily come out of one mind and are relative relation. Human existence after realizing becomes free existence which perceivably does not have any problems, not existent change that experiences physically sudden change. He does not lust for the change of mind and the external world. He just watches them. His psychological transcendence considers the world and the others same as me, and makes me live I come to be understood one way. His life, itself makes the world benefit and is devoting for peace of the others and perception. Before I look aspect of Eckhart, I mention about human relief's structure of Christianity which lay stress on Calvin theology. Relation of God and human in Christianity is contractual, and created person is made like God's features. Because created person is alike God's feature, he breaks the contact in almost perfect existence's situation, so his life is stained with sin and rottenness. Because of the Atonement of Jesus Christ, which is God's son, he gets the grace of God. Consequently, he receives salvation completely through death and can be reborn in the heaven. Such relief's structure of Christianity has a lot of difficulties when human dreams independent hope in person because effort for upwardness of human is imputed to the area of God. View of human of Eckhart solves this crux. Eckhart is based on opinion of Neoplatonism which is that human existence comes out from God's existence. Therefore, human who is a created thing may be able to return to God that is original aspect through his effort. However, human who is a creature does wrong respectful bow about God in reality of life, and does not recognize flame of soul which is inside human own, that is, divine nature and where son is born. Human may be limited only area of creature. This kinds of human can get out of creature's area through method of psychological transcendence which makes divine nature that dwells in soul of my own understand. Such method is namely poverty of mind and detachment. Therefore, after escaping from area of creature, human who returns perfectly to divine nature lives by only one's own efforts without depending on other people or thing. Purely, because of living by existence and life of one's own, human lives self-sufficiently without reason or purpose which comes from outside. Between view of human of Won-Hyo's enlightenment thought and Eckhart describe with perceptive and existent side. It means they have different aspect. But they all stress on the endeavor of human being for the noble states. Valuable worth which human existence desires is numberless and various. However, human's effort for upwardness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worth. Even though human existence in reality of life is charged with anxiety and anguish, it has hope which is called perfection and is very valuable worth that always go to the goal. The realization of human's 'repatriation of original enlightenment' in Won-Hyo's enlightenment thought and returning to the divine nature or union with God of Eckhart, are that human emphasizes effort of valuable human which achieves hope.

      • 『걸리버 여행기』에 나타난 스위프트의 인간관 연구

        김진걸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71

        이 연구의 목적은 1726년에 출판된 조너선 스위프트의 작품인 『걸리버 여행기』에 나타나는 작가의 인간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스위프트는 다채롭고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기 때문에, 그의 작품은 작가의 전기적 사실 및 사상적 배경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위프트의 삶의 흔적과 그가 살았던 시대의 역사 및 철학적 사상을 참고하여 그의 역작인 『걸리버 여행기』에 나타나는 작가의 인간관을 고찰하려 한다. 이 논문은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에서는 수세기 동안 이어져 내려오던 스위프트와 『걸리버 여행기』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소개하고 이에 관한 필자의 견해를 밝히며 논의의 방향을 정립한다. 제2장에서는 『걸리버 여행기』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작가의 삶에 대해 조명한다. 제3장에서는 작가의 인간관에 영향을 끼쳤으리라 예상되는 18세기 영국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철학사상의 흐름을 파악하고, 국교회 사제이기도 했던 스위프트가 가진 인간관의 바탕이 될 수 있는 기독교적인 인간관에 대해 고찰한다. 제4장에서는 『걸리버 여행기』에 나타나는 인간의 모습을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으로 나누어 상세히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작가인 스위프트와 화자인 걸리버와의 사이에 거리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위프트의 인간관을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이제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스위프트가 『걸리버 여행기』를 통해 인류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걸리버 여행기ꡕ가 출판된 1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이 작품을 평가한 비평가들은 작품의 제4부 「후이늠국으로의 여행」에 나타나는 걸리버의 인간혐오가 작가의 관점을 철저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는 작가와 화자를 동일시함으로써 생기는 오해로, 작가인 스위프트와 화자인 걸리버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를 인식할 때 좀 더 객관적이고 바람직한 관점에서 이 작품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걸리버는 스위프트를 대변하여 풍자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스위프트가 내뱉는 조롱과 풍자의 대상으로 전락하기도 하는 도구적인 존재이다. 따라서 우리는 걸리버가 내는 목소리를 곧이곧대로 듣기 보다는 그 이면에 감추어진 스위프트의 의도를 파악해야 하고, 걸리버의 인간혐오를 스위프트의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스위프트는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의 참 모습을 인식하게 하고, 이를 개선하게 만들려는 목적으로 『걸리버 여행기』를 집필했다. 작가의 관점에서 인간은 오만하고 이기적이며 동물적인 본능과 야만성을 가진 존재이다. 게다가 이러한 인간은 자신이 가진 이성의 힘을 오용하여 그가 가진 비도덕적인 본성을 더욱 더 확대시킬 뿐이다. 그렇지만 스위프트는 이러한 인간에 대한 애정을 포기하며 절망하지만은 않았다. 그는 선한 의지와 잔잔한 덕성을 지니는 브롭딩낵의 왕, 자연의 섭리를 따르며 옛것을 존중하는 무노디와 고대인들, 기독교인의 사랑을 몸소 실천하는 멘데즈 선장 등의 이상적인 인간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인간이 더 나은 삶을 일궈나갈 수 있는 한 가닥 희망의 빛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스위프트는 자만심으로 가득 차 자신의 허점과 추악함을 인식하지 못하는 인간에게 『걸리버 여행기』라는 거울을 들이밀면서 “너 자신을 알라”라고 소리치며 인간의 각성을 부르짖고 있다. 핵심어: 걸리버 여행기, 스위프트, 풍자 문학, 18세기 영문학, 인간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Jonathan Swift’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n his masterpiece Gulliver’s Travels. As Jonathan Swift’s writings cannot be separated from his career and his ideological background, I studied on the thesis with the help of the history and philosophical thoughts in Swift’s era. This in-depth study involves 6 chapters. The 1st chapter contains an introduction of wrong understanding that lasted for centuries on the writer’s work and my opinion about this problem. The 2nd chapter is about Gulliver’s Travels and Swift’s dramatic life. The 3rd chapter includes the socio-cultural history and philosophical ideas toward human nature in the 18th-century Britain. The Church’s understanding on the human being is also dealt with in this chapter because Swift was a Dean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he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hurch’s opinion. In the 4th chapter, I divide the characters appeared in Gulliver’s Travels into satirical and ideal categories and analyze them individually and objectively. The 5th chapter explains the existence of the distance between a writer Swift and his persona Gulliver. At the same time, I define Swift’s own understanding on the human being according to the previous findings. In the 6th chapter, finally, I conclude my thesis, trying to interpreting Swift’s messages to the world. The critics have thought that Gulliver’s Travels, especially “A Voyage to the Country of the Houyhnhnms,” is the result of Swift’s misanthropy. Yet their opinions can be regarded as misunderstanding caused by automatic identification of Swift with Gulliver. We can understand the Travels more objectively and reasonably with the recogni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writer and his persona. Gulliver himself satirizes the foolish and the selfish speaking for Swift. However he is also satirized by the writer because of his own arrogance. That is, Gulliver is a means of Swift’s satire. Hence, we should try to understand Swift’s hidden intention instead of believing Gulliver’s opinion just as we are told. Futhermore, we must not consider Gulliver’s misanthropy to be derived from Swift’s attitude. Swift wrote the Travels to make people be aware of their true nature and to have them reform their nature into a better one. The writer thought that human being is savage, barbarous and full of pride and that human race enlarges their immoral nature misusing the power of their reason. Swift, however, never gave up his affection for human being. He insists that the people have the capacity to change their lives, exemplifying some ideal characters, such as the king of Brobdingnag who has good will and calm virtue, lord Munodi who is obedient to natural processes and respects the precepts of his ancestors, and Pedro de Mendez who is a good and charitable man. Swift clamors for the reform of human nature, shouting “Know yourselves!” to the people who do not recognize their weakness and immoral nature due to their arrogance. Key words: Gulliver’s Travels, Swift, satire, 18th-century British literature,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 쟈크 마리탱의 인격교육론 연구

        노혜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71

        본 논문은 쟈크 마리탱의 관점에서 현대 교육의 문제점들을 살펴본 후, 그 문제점들이 나타난 원인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교육에서 추구해야 하는 것과 그 목적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논하고자 하였다. 마리탱은 현대 교육의 오해 일곱 가지를 제시하는데, 이 오해들을 살펴보면 현대 교육에서 빚어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첫 번째 오해와 두 번째 오해는 교육의 목적과 관련된다. 현대 교육에서는 수단이 수단으로서의 지위를 지키지 않고 목적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교육 목적을 설정할 때에 그릇된 관념을 갖고 교육을 바라보고 있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오해는 각각 실용주의와 사회학주의이다. 교육을 통하여 일상에서 유용한 것들을 가르치고자 하며, 교육의 내용과 기준을 사회에서 이끌어내고자 하는 현상이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오해는 각각 지성과 의지에 지나친 강조를 두어 빚어지는 문제점이다. 어느 하나를 강조하다 보니, 학생들은 균형 잡히지 않은 불균형한 인간이 될 수 있다. 일곱 번째 오해는 교육에서 ‘무엇이든 가르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이는 실용주의와도 관련되는데, 실생활에 필요한 온갖 기술과 방법들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고자 하는 현대 교육의 모습이다. 현대 교육에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이유는 교육이 올바른 인간관에 기초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마리탱은 과학적 인간관과 철학적·종교적 인간관을 제시하는데 현대 교육은 경험 과학적인 방법으로 증명 가능하고 확인할 수 있는 과학적 인간관에 토대를 두고 있다. 그렇지만, 교육은 인간의 마음과 생각을 다루는 활동이기에 과학적 인간관만으로는 답할 수 없는 문제들이 있다. 철학적·종교적 인간관은 현상 너머의, 인간의 존재를 다루며 눈에 보이지 않는 초월적인 차원을 인정하는 인간관이다. 교육이란 인간의 본질, 존재와 마음 등을 다루는 활동이기에 철학적·종교적 인간관이 필요한 영역이다. 철학적·종교적 인간관을 지닌 교육에서 핵심이 되는 개념은 인격이다. 인격이란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신적 본성으로, 인간으로서 지니는 인간의 정신적이고 초월적인 부분이다. 반면, 개체성이란 인간이 육체를 지녀 갖게 되는 인간의 물질적이고 경험적이며 감각적인 부분이다. 마리탱은 교육을 통하여 이상적인 상태인, 인격이 최대한으로 함양되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교육의 목적은 인격 함양이며, 교육은 인격 함양의 과정이 된다. 인격은 어떠한 교육을 통하여 함양될 수 있을까? 실용주의적인 교육을 통하여서는 인격 함양을 도모할 수 없다.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기술과 방법 등은 학생들 당장의 삶에는 도움을 줄 수 있을지는 모르나, 근본적인 내용인 본질과 진리에는 다가가게 하지 못할 것이다. 실용적인 내용 대신, 교과 지식 교육을 하는 중에 학생들은 지식 이면에 붙박혀 있는 전의식을 인식할 수 있다. 전의식이란 정신력의 근원이자 실재에 다가가고 실재와 일치하려는 열망이다. 학생은 진리와 실재를 느끼며 그곳에 다가가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게 된다. 진리를 알고 보려고 하는 과정 속에서 인격이 함양된다. 이 때 교사의 기예가 동반된다면 학생들의 인격 함양에 도움에 줄 수 있다. 교사가 먼저 진리를 인정하고 느끼며 살아가지 않으면서 인격 함양을 외친다면, 학생들은 현상 너머의 것들은 바라볼 수 없을 것이다. 교사가 철학적·종교적 인간관을 지니고 절대적인 진리에 끊임없이 다가가고자 하는 태도와 신념을 지닌 채 교과 교육을 행한다면, 학생들 또한 자연스럽게 그 진리와 일치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니게 될 수 있을 것이기에 교과 교육에서 올바른 교사의 기예가 요청된다.

      • 太宰治의 『人間失格』고찰 : 요조(葉蔵)의 인간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박계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759

        太宰治(1909~1948)の『人間失格』は、人間の生活から完全に疎外された主人公の葉蔵という人物の苦悩と自虐を通して、人間の疎外の深刻性と人間性の追求の問題を扱っている作品である。自伝的性格の作品である『人間失格』は、太宰の自己弁明のための作品として評価されてもいるが、太宰の人間に対する恋がこもっていると思う。太宰は『人間失格』を通して、人間性の喪失の問題を提起し、深刻に暴こうとしたとも言えるのである。 太宰が追求しようとした「人間性」を把握するためには、まず葉蔵の「人間観」を注意してみる必要がある。太宰の心情を代弁している葉蔵が人間に対してどのような見解を持っているかというのは、太宰が『人間失格』を通して、我々に提起した人間に関する問題を解くための重要な手掛かりになると信じているからである。 葉蔵は幼年時代、病弱だった母と奔忙だった父によって、世間と交流する機会を剥奪され、一般人とは違う観点で世間を見ながら人間の生活との乖離から不安と恐怖を経験するようになる。さらに、女中と下男によって、人間の不信さえ経験し、人間を「恐怖の対象」、「不信の存在」と認識するようになる。 しかし、葉蔵は不安と恐怖を感じるが、人間との関係を諦めなく、「道化」という手段を通して、人間との関係を結び続けていく。道化はただ、怖い人間を欺くための手段ではなく、人間に対する彼の恋だと言えるのである。 葉蔵はツネ子やシヅ子やヨシ子などの多くの女性と交際する。葉蔵はその女性たちとの交際を通して、人間の世間に目覚める認識の変化を経験し、より人間に近くなろうと努力する。しかし、人間は彼をじっとほっておくのではない。彼は傷付かれ、挫折し、絶望し、終局には世の中で生きていこうとする自信を失う。 人間に対する不信と恐怖が極に達した葉蔵は、酒や薬物にもたれて不信と恐怖から離れようとするが、絶対離れることができないのを自覚し、死を決心する。しかし、その時、一度も見せたことのない優しい微笑みをする堀木に連れられ、精神病院に入院するようになる。それは、完全な人生の敗北者になり、人間社会から葬り去られるのである。葉蔵は「人間、失格。もはや、自分は、完全に、人間で無くなりました。」と自分を「人間失格者」に規定しながら、世の中で生きていくためのすべての努力を諦めてしまう。 太宰は人間の生活に適応することができない葉蔵を「人間失格」に規定しているが、それは葉蔵に向かうのではなく、世の中の人に向かって叫んでいると思う。人間らしく生きていくための真実や正直を訴えながら、誇張や偽善で生きている人に、逆説的な主張を通して、人生の本当の意味を教えてくれるのである。

      • 뉴에이지 운동의 인간관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고찰

        유청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58

        In the process of the modern history of the European society begun from 17 to 18 century, the human life have gotten out of the religious influence, taken a serious view of the human freedom. And the human beings have taken 'the Secular Humanism' improving his and her lots of themselves as the main stream of though. This stream has continued today. There was a movemen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deal society through the socioplolitical revolution, but it failed. And today' s efforts of 'the Secular Humanism' resulted in the inhumaness and the tendency of the materialism, so the manage of the negative side have come into effort considerabl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man experiences the alienation and the spiritual futility. Therefore as the new century is coming us near at hand, many people have to long for recently what the new thing is, that is, what the new human being, the new mind and the new world is. The very one among these streams is 'the New Age Movement'. This has a huge effect on this society: The New Age Movement convinces that the New Age will come by means of the past mythologic astrology. They say the old-fashioned man will change into the New Man through the spiritual evolution of human being, so they hope that the New World will open in front of the man. After all the very 'New Way of Humanization' is what the New Age Movement wants. But the New Age Movement, because of the fundamental thoughts themselves, so to speak, their pantheistic, monistic thoughts and the ecological view of the world on the basis of the above thoughts, it has the evolutional view of world by founding their methodology as well. So human beings that the New Age Movement seeking for have the possibility of the diminition, restriction, instrumentalism. In short we could not help thinking indeed whether their hopeful 'The new way of humanization' is the true way of it or not. Therefore this treatise focuses on the view of New Age movement's man. And it criticizes the view of New Age Movement's man on the basis of Christian teaching which is the proper humanization. The investigators of New Age Movement regard a man as essentially the perfect being and the being of the infinite potentiality. Owing to the power of man they have dreamed 'a leap to the new dimension for future'. But their conviction has many problems, for their conviction about the human essence is only due to the individual experience, decisively they regard their subject experiences in the same light with the mystical experiences of Christianity, they are sure of their own subject experiences as the absolute. After all, Imago Dei(the image of God), human being was mandated the reign as a prime mover of world, but he resigned the reign to 'the whole' or 'the nature'. The man created as Imago Dei has his own nobility in himself, and possessed the infinite possibility for the veracity and freedom. But the man of New Age Movement does not recognize his own individuality, also the individual is absorbed by 'the whole', and come to degrade to the part of 'the whole' as well. Though their speaking insistence that man is the perfect man, the man cannot accomplish the perfection of person and perform the universal good actually. And then the New Age Movement gropes the real way of humanization, but the basis of their thought cannot escape the character of totalitarianism. Of course they have the aspect that giving the hope to the general public. But it is a passing pnenomenon and is not the final means of setting. For their giving settlement avoids the ultimate problems of historical, concrete human being. New Age Movement gives the contemporaries the hope, but on the other hand they disregard the things that people want to escape from fear generally, for example the sins, sufferings, deaths, moral problems etc.. They see simply the future as the optimistic hope. Therefore 'the New Man' in the hope to the new world of New Age Movement is the only evolved man intentionally. They say 'the New Man' differs from that of christianity. The new man of Christianity is born newly through 'the New Man Christ'. 'The New Man' of New Age disregards the human salvation, only goes to extremes to make much of human function. After all, in the center of New Age Movement teaching they do not aim at the Man, they seek for 'the evolved man intentionally', so to speak, 'tie human function' rather than 'the Man himself, and 'the New World' derived from the above. Is then the real way of humanization without 'Man' in the world? What they speak, what they want is apparently the real way of humanization. But this point tells us that the New Age Movement is also the sort of secular humanism in a way. Though the New Age Movement criticized the problems of secular humanism, in fact the secular humanism sets up the fundamental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past science technical materialism and the New Age is founded on the East-West cultic and mysterious spirituality. Both are different form each other. New Age Movement flatters the cousumptiveness of the secular humanism and sells his own spiritual commodities in the market. And owing to that they are interested in the 'human ability and efficiency' than 'the man himself even more. Their essential thought is not 'the man' but 'the unity between man and the whole(or universe)', that is 'the human progress and the construction of new world'. They are indifferent to the individual living in the present and do not care how the human being becomes a bit to acquire this. Therefore New Age Movement exclaimes the true humanization, but according to that thought, the feature of true humanization and the settlement of the human ultimate problem are simply the fantasy. Finally the New Age Movement is not the new paradigm that can reach the true humanization. We would rather regard it as the sporadic organisms came from the intimate relation of periodic background, the social phenomenon, the secular demand of modem society, etc., or the perfection of humanism packed by the unusual method. In other word, we can tell that the New Age Movement is the culture or religion integrated the human hope and demand of this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