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로봇윤리(Roboethics)의 도덕교육적 적용 방안 연구

        지현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With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variety of ethical problems due to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s are expected, and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portance of roboethics that can solve such problems. Accordingly, more and more people are agreeing that we need a new change in school education to apply roboethics. Thus,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application of roboethics to moral education” focusing on roboethics as a core factor to solve the ethical problems caused by AI robots. However, compared to the high interest in the need for roboethics, it has been insufficient to systematically discuss the application of roboethics to school education. In light of this problem awareness, this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and category of roboethics, and then established the meaning and contents of robo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meaning and category to finally propose the application to embody roboethics education through moral education. Roboethics means ethics that humans and robots shall follow for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robots. In this study, roboethics was categorized into two: robot’s ethics that robot shall follow, and human ethics that human shall follow, and proposed each of the contents and issues. Some of the main issues discussed in relation to robot’s ethics was a moral status of robot, and in relation to human ethics, human dignity, privacy,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ies were discussed.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and contents of robo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meaning and issues of roboethics. To specify the roboethics education, this study searched the need, meaning, purpose, and contents of the robo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categories of robot’s ethics and human ethics. The education about robot’s ethics was needed to re-establish humanity in the era of post-humanism, and the education about human ethics was needed to foster the citizenship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study, roboethics education means education that explores and reflects on human and robots for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robots. The robo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definition aims to achieve ethical reflection on human and robots and solve the ethical problems of robots. To achieve the above goal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contents of the roboethics education. First, this study set the ethical reflection on the ontology of human and robot as the content area to achieve the goal of ethical reflection on humans and robots. The specific content elements discussed in this area were derived as follows : moral status of AI robots and the identity of humans and robots. Second, this study set the moral thinking and judgment about robot problems and moral responsibilities of robots as the content area to achieve the goal of the ethical solution of robot problems. In the area of moral thinking and judgment about robot problems, human dignity, privacy, and transparency were derived as specific content elements, and in the area of moral responsibilities of robots, a sense of responsibility about roles and citizenship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derived as specific content elements to be discussed. This study analyz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in relation to roboethics education by utilizing the above content elements as the analysis framework.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ducation curriculum exhibited that there were some parts related to roboethics education in the purpose and contents although no direct mention about robots was found. Through this result,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roboethic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was proven. Furthermore, roboethics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the specification of self-identify establishment process as a moral agent,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contents on ethics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roboethic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ed a practical plan to improve the contents in roboethics education through moral education and methods of roboethics education. First,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reflect the roboethics education contents i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a practical plan to newly establish a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relation to roboethics education, thereby aiming to embody roboethic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a project method, science fiction movie-utilized method, and moral dilemma debate method as the method of roboethics education through moral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mbody the roboethic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as it focused on the need for roboeth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o do this, this study clearly identified the meaning and category of roboethics. In addition, this study clarified the meaning and contents of robo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roboethics category.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suggesting the practical plan to apply the moral education of roboethics by clarifying the meaning and contents of robo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roboethics category.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not only attempted the discussion about the meaning and contents of roboethics education, which was not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but also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roboethics education through moral education.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해 인공지능 로봇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문제가 예상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로봇윤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에서도 로봇윤리를 적용하여 교육현장의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보다 힘을 얻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 로봇으로 인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요인으로서 로봇윤리에 주목하여, ‘로봇윤리의 도덕교육적 적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제4차 산업혁명과 로봇윤리에 대한 사람들의 높은 관심에 비해 로봇윤리를 도덕과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는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로봇윤리의 의미와 범주를 규명한 후, 이를 토대로 로봇윤리교육의 의미와 내용을 정립하여 최종적으로 도덕과 교육을 통한 로봇윤리교육의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로봇윤리는 ‘인간과 로봇이 함께 살아가기 위해 인간과 로봇이 지켜야 할 윤리’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로봇윤리를 로봇이 지켜야 할 ‘로봇의 윤리’와 인간이 지켜야 할 ‘인간의 윤리’로 범주화하여 각각의 내용과 쟁점을 제시하였다. ‘로봇의 윤리’의 주요 쟁점으로는 로봇의 도덕적 지위에 대해 살펴보았고, ‘인간의 윤리’의 주요 쟁점으로는 인간 존엄성, 프라이버시, 투명성, 책임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로봇윤리의 의미와 쟁점에 근거하여 로봇윤리교육의 의미와 내용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로봇윤리교육의 구체화를 위해 ‘로봇의 윤리’와 ‘인간의 윤리’에 대한 범주를 토대로 로봇윤리교육의 필요성, 의미, 목표, 내용을 탐색하였다. ‘로봇의 윤리’에 관한 교육은 포스트휴먼시대 인간성 재정립을 위해 필요하고, ‘인간의 윤리’에 관한 교육은 과학기술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로봇윤리교육은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해 인간과 로봇을 탐구하고 성찰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정의에 기반을 두는 로봇윤리교육은 ‘인간과 로봇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로봇의 문제에 대한 윤리적 해결’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로봇윤리교육의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과 로봇에 대한 윤리적 성찰’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간과 로봇의 존재론에 대한 윤리적 성찰’을 내용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영역에서 다룰 구체적 내용 요소로는 인공지능 로봇의 도덕적 지위, 인간과 로봇의 정체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로봇의 문제에 대한 윤리적 해결’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로봇의 문제에 대한 도덕적 사고와 판단’, ‘로봇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내용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로봇의 문제에 대한 도덕적 사고와 판단’영역에서 다룰 구체적 내용 요소로 인간 존엄성, 프라이버시, 투명성을 도출하였고, ‘로봇에 대한 도덕적 책임’영역에서 다룰 구체적 내용 요소로는 역할책임의식, 과학기술 시민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 요소를 분석의 틀로 활용하여 로봇윤리교육 관련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 로봇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부분은 없었지만, 목표나 내용면에서 로봇윤리교육과 관련 있는 부분이 있었고 이를 통해 도덕과에서 로봇윤리교육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덧붙여 로봇윤리교육은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아 정체성 정립 과정을 보다 구체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도덕과 과학기술윤리교육 영역의 내용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덕과 교육에서 로봇윤리교육의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토대로 도덕과 교육을 통한 로봇윤리교육 내용 개선 방안과 로봇윤리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로봇윤리교육 내용을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과 로봇윤리교육 관련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을 신설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도덕과에서 로봇윤리교육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도덕과 교육을 통한 로봇윤리교육 방법으로는 프로젝트 수업 모형, SF 영화 활용 수업 모형, 도덕적 딜레마 토론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른 로봇윤리교육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도덕과 교육에서 로봇윤리교육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로봇윤리의 의미와 범주를 명확하게 규정하였다. 또한 로봇윤리의 범주를 토대로 로봇윤리교육의 의미와 내용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로봇윤리의 도덕교육적 적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로봇윤리교육의 의미와 내용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를 시도했을 뿐만 아니라, 도덕과 교육을 통한 로봇윤리교육의 구현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다.

      • 윤리교육의 개선을 위한 WBI의 설계 및 구현

        조성국 한서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터넷의 교육적 잠재력에 대한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정부는 교수-학습에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시도하고 있다. 그 결과 인터넷 환경이 학교 현장에 갖추어지고 있으며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들도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볼 때 교육에서의 인터넷 활용은 극히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현행 윤리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웹기반수업(WBI : Web Based Instruction)의 활용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WBI는 정규교육 체제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교사와 학생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교육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열린교육 및 평생교육을 가능케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인 배경으로 구성주의와 WBI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웹 문서를 제작하기 위한 Tool을 고찰한 다음, 윤리과목을 Apache, MySQL, PHP 등을 활용하여, WWW상에서 상호 작용이 가능한 동적인 웹 문서로 구현하였다. Recognizing the growing need for the use of the Internet in education, our government is taking policy initiatives to incorporate this new medium into its educational system. Efforts are being made to integrate network learning environments with school education and develop practical ways of using the Internet as a teaching and learning instrument. As a result, schools are being equipped with the Internet facilities. However, the use of the Internet for education is only at its initial phas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way of WBI(Web Based Instruction) as a new method of ethics education. The distance education, which is WBI, has enabled the open and the life-long education by freeing from the chronological and spatial constraints, and keeping up the fundamental frames of form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inciples of structivism and the concept WBI were researched. And Tool was examined for producing the web-page. Also, through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thics education to Apache, MySQL, PHP, the dynamic web-page, which is capable of interaction through WWW, was implemented.

      • 西隱 金基錫의 敎育思想 硏究

        전봉웅 仁荷大學敎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西隱 金基錫은 1505년 平北 龍川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立志에 결정적 影響을 받기 시작한 것은 五山中學校에 진학하여 南綱 李昇薰과 島山 安昌浩의 높은 人格과 民族精神이 살아 움직이고 있는 곳이었다. 이런 분위기에 感化되어 그는 일찍부터 민족교육의 역군이 되겠다고 작심하게 되었고, 마침내는 교사가 되기 위한 출발이 시작되었다. 1930년 이 학교를 졸업하던 당년 4월부터 모교에서 교사생활이 시작되었다 일제의 탄압을 받는 수난을 겪으면서 약 8년 동안 굳건하게 교사생활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참다운 인격교육을 위해서는 이를 위한 준비와 硏磨를 필요로 했다.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晩學의 길을 떠났다. 東北帝國大學 哲學科에 진학하여 동서고금의 철학사상, 윤리학, 독일철학, 기독교 사상, 불교철학 등 철학자로서 기본적 자질과 조건을 갖춘 후에 1941년 동북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다시 모교에 돌아와 교사생활을 계속하다가 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다. 해방이 되면서 잠시 정주 오산중학교에서 교장생활을 했으며, 얼마 안가서 결국 越南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월남후 잠시 서울중학교 교사로 재직한 적이 있으며, 1947년 9월부터 서울大學校 師範大學 社會敎育學科 敎授로 취임하여 1960년 7월까지 약 14년간 재직하게 되었다. 1951년에는 서울大學校 師範大學 學長으로 취임하였으며 1960년에는 檀國大學 學長 兼 大學院長이 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교육자로서, 철학자로서의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를 일러 "哲學하는 敎育者이며 敎育하는 哲學者"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1950년대는 6·25 전란으로 해서 도덕적 타락은 이루 말 할수 없었다. 도덕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한 그는 학교의 도덕교과는 덕목해설에 떨어져 도리어 어떤 학생의 심성을 경화시키기 쉽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도덕교육의 긴급성에 비추어 우선 도덕교육을 위한 시간배당이 1954년부터 부과되게 하자 교과서가 긴급히 필요하게 되었다. 초·중등학교에 쓰여질 교과서를 집필하여 중학교용, 「새로운 윤리」 Ⅰ, Ⅱ, Ⅲ 3권과 고등학교용「새로운 윤리」 1권이었다. 전국의 중등하교에서 거의 사용하였다. 당시와 현재를 비교하면 역사적으로 50여 년의 乖離가 있지만 물질적으론 풍요롭고 문명의 利器가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있으나 정신적으로 공허하고 타락하여 사회현상이 말할 수 없이 부패하고 교육현장이 무너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기 그지없다. 이런 시점에서 윤리교육과 그 실천으로 현재 젊은이들과 한국인들의 精神改革과 意識革命을 일으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정신적 지도자이자 純粹 無窮한 교육자인 西隱 金基錫의 교육사상과 윤리운동을 펴 나가야만 한다고 굳게 믿고 그의 사상을 조명하는 것이다 그는 대학교수이면서 바쁜 중에도 "倫理綱領"과 순수 윤리 운동지인 「理性」을 自費出版에 의한 실비 또는 무료 배포하였다. 먼저 윤리운동의 지도자 양성이라는 목적으로 이성강좌를 개설하여 운영하였고 그의 교육사상과 윤리운동을 실천적으로 펴기 위하여 그는 1963년부터 「東方아카데미」 건물을 지어 윤리운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으며 당시 양심적인 인사들을 초청하여 강연을 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또한 이 건물 안에는 「民旅獨立志士: 記念室」 을 비롯하여 南綱 李昇薰 室, 島山 室 , 페스타로찌 室에 이르는 동서철인과 교육자들을 기르는 초상화와 그들의 생애와 사상을 조망할 수 있는 자료를 비치하여 분류했던 것이다. 그는 한마디로 20세기 중엽(1905∼1974) 한국 교육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킨 모범적이고 인격적인 참스승이었다. 그의 義의 사상은 윤리교육 실천의 핵심적인 사상이었으며 義의 실천을 위하여 한 평생을 바치신 위대한 교육 철학자였던 것이다. 한편 그는 著述活動도 활발하여 「倫理全書 Ⅰ,Ⅱ,Ⅲ」에서는 우리 나라 윤리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덕목해설로 일관된 종래의 윤리·도덕교육의 병폐를 없애려고 노력하였으며 일상생활에서의 윤리 ·도덕적 생활화를 외치고 실천에 앞장섰던 것이다.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문제들을 다양하게 접근하여 실생활에 접목시켜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참되고 義롭게 살아 갈 수 있는 방향과 正道를 제시하여 義의 실천을 강조하고 몸소 실천에 앞장섰던 것이다. 그의 대표적 저서라고 할 수 있는 「現代精神史」 의 序文에서도 "義를 세우고 義를 구현하는 일이 현대의 공통된 과제"로 보았다. 義는 옮음(正, Righteousnsss)을 뜻하는 것으로 동서양이 다같이 의를 윤리학의 기본개념으로 중시하고 있다. 대학교수인 그는 「南綱 李昇薰」을 저술하여 傳記作家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전기작가 이상의 眞面目을 유감없이 발휘했던 것이다. 오산중학교 재학당시 스승이였던 南綱 孝昇薰의 애국심과 인격에 감화되고 島山 安昌浩의 영향을 받아 현대 한국 교육계의 큰 별이 되었던 것이다. 西隱 金基錫은 純粹 淸廉한 교육자요, 反共 民主主義 信奉者요, 불타는 애국자이며 윤리·도덕적 인격자요, 尊敬받는 大學敎授이자 참스승이었던 것이다. It is very difficult to exaggerate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ist ability o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e educational process in the face of radical changes that are nowadays coming out in every field. An educational process that show the intrapersonal of educational factors (schools, teachers and student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mong educational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education can be changed by the educationalist's philosophy and his Ethics. To have a good teacher is to have a good educational opportunity. That is, excellent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excellent teachers. In this respe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Kim, Ki-Seok. Kim, Ki-Seok devoted himself to enlightening people through education and was, what we call, "For the Righteous Koreans" in that field. His educational philosophy was based on righteousness and teaching the student to reach a stage of true love, true Koreans. His philosophy of education tells us that education is a way of teaching and of learning to be with real students, and real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 co-operative life, and righteous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He was born in Yong-cheon, Pyung Pook in 1905. Professor Kim, Ki-Seok was a pioneer in education, introducing us to the sense of righteousness. He always taught the Korea people that the reason they had to many hardships throughout their history, was not because they had an undesirable geographical location but because the Korean Peninsula was to the Korean people, what teleological ethics was to Upopia land. Kim, Ki-Seok planted hope into the heart of discouraged and pessimistic people at his time, as well as showing the way to wisely overcome such a difficult situation confronting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New Modernization (1945∼1974). In briefly, in many respects, he was representative, great professor and educationalist of the Korean people. And then he was an anti-communist and practical professor. He was the author of several books. Biographical story "Nam-Kang Lee Seung-Hoon", "The Ethics Completes", "Modern Ethos," and "General Principles Of Philosophy was written by him. In the absence of educational philosophy at present, it is very meaningful to remind our generation of Kim's philosophy and his noble righteousness thoughts of enlightening people through education. Even though he ended his life as a more professor, he was as great an educationalist that ever lived in Korea, and will live forever in the hearts of Korean people.

      • 학교현장에서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이 컴퓨터 범죄 예방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진경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 윤리교육이 컴퓨터 범죄 예방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년, 성, 거주지별로 학생들의 정보통신 윤리교육 실시 여부 및 만족도와 컴퓨터 범죄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조사 분석한 후,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정착을 위한 방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전국 중학교를 선정하여 중학생 1-3학년 1500명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적용된 통계적 기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 윤리교육 경험에서는 여자보다는 남자가 높게 조사되었고 학년별에는 3학년보다는 1학년이 높게 조사되었다. 도시와 농촌과의 비교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보통신 윤리교육이 컴퓨터 범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윤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이 받은 학생보다 높게 나왔으며 컴퓨터 범죄 경험에서는 받지 않은 학생이 낮게 조사되었다. 범죄 경험에서는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 모두 경험을 했다고 응답하였으나 받은 학생보다 받지 않은 학생이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담당은 도덕 교과나 컴퓨터 관련 교과의 한 분야에서만 담당하는 것으로 국환하지 않고 다른 교과목과 연계하여 다양한 교육내용을 담은 정보통신 윤리교육 교재와 교육방법으로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ffect on the prevention of computer crimes by the performanc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school. And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cognition and experiences about the performanc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atisfaction and computer crimes by grade, sex and place of residence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And a plan for the settlemen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was provided. As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1,50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lst to 3rd grade from the middle schools in the whole country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use of the SPSS/WIN program and intersection analysis was utilized for the applied statistic technique. The summary of the analyzed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is as following. In the experienc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choolboys were higher than schoolgirls and in grade, the 1st graders was higher than the 3rd graders. It was surveyed that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a city and a farm village. It is the result of the effec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on computer crimes. Students who didn't receive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was higher than those who did and in the recognition of computer crimes student. In the recognition of computer crimes, those who didn't receive it were surveyed lower. As for crime experience, all the students who received or didn't receive the education replied positive answers. But it was shown that students who didn't receive in were higher than those who received it.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performed in school should not limit the education to one field of the moral subject or the computer related subject. But they should connect it to other subjects to efficiently perform it to students by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nd educational methods including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 정보통신윤리교육을 활용한 도덕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류혜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우리는 급변하는 정보 사회 속에서 살고 있다. 정보 사회의 진전에 따른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은 많은 사람들에게 삶의 풍요로움과 여가를 가져다주었다. 그러나 정보 사회의 빠른 발달 속도는 그에 따라 많은 윤리적인 문제들을 출현시켰다. 따라서 21세기 정보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과 21세기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이 정보 사회에서 발생하는 비윤리적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의식의 확립이 요청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도덕․윤리 교육 또한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고 연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도덕과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방안을 다음과 같이 연구해 보았다. 제 Ⅱ장에서는 사이버 공간으로부터 파생되는 윤리적 문제들의 등장 배경을 살펴본 후, 정보 사회의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로 개인 정보 및 사생활 침해, 지적 재산권 침해, 해킹과 바이러스의 유포, 불건전 정보의 유통, 정보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 소외와 자아정체성 혼돈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정보 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요구됨을 설명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에 대한 두 가지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현행 도덕과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원칙과 그에 따른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네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의 수업지도안을 연구하였다. 제 Ⅴ장의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살펴 본 논의들을 정리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생각해 보면서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정보 사회에서 필요한 인간은 정보 사회에 적합한, 즉 정보 사회를 바람직한 사회로 만들어갈 수 있는 완성된 인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에 있어서 학생들이 정보 사회에 대해 알고 느끼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정적인 측면의 시정을 위한 교육과 더불어 바람직한 정보 사회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모습을 지니도록 하기 위한 주제를 선정을 하였다. 그리고 실제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정보통신윤리교육을 통한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제 청소년들이 급변하는 정보 사회 속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판단력을 길러주는 일과, 건전한 정보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도덕․윤리과에서도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중요한 주제로 생각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청소년의 책임감 고양을 위한 성윤리교육 연구

        오지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성을 보수적인 입장에서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20세기 이후 서구문화의 빠른 유입으로 인해 성에 대한 가치관은 크게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우리의 학교나 가정에서 성에 대한 문제는 사회의 개방적인 성문화에 비하여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고 있다. 반면에 감수성이 풍부한 청소년들은 개방적인 사회의 성문화에 반응하며 성을 호기심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청소년의 성문화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바람직한 성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청소년들의 성문제는 성에 대한 도덕교육과 책임감에 대한 교육의 부재라고 여겨진다. 이에 연구자는 성윤리 교육을 통한 청소년들의 책임감 고양이 시급한 때라고 생각한다. 기존의 성교육이 학교에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성에 대한 이론적 지식에만 치중하던 형식적인 성교육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바른 성교육의 실행과 더불어 청소년들의 성윤리 부재를 통감하고 그들의 내면을 성숙시켜줄 수 있는 성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책임윤리교육을 통하여 청소년들에게 책임감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심어주어 성행동의 결과에 대한 책임감을 고양시키고자 한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청소년들에게 책임의식을 고양시키고 올바른 성윤리관을 정립할 수 있는 성윤리교육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Our country has a conservation position on sex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However, the perspectives on sex started to be changed because of the fast flow-in of the Western culture after 20 century. Still, the perspectives on sex is conservative in our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sensitive juveniles are curious about sex after encountering a new trend from western society. In this research, I try to claim a new perspective in educating young people for a sexual relationship. Currently,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in educating sex is the lack of responsibility. So I think it is necessary that young people should enhance their responsibility in sexual behavior. The existing sex education is insufficient in achieving the goal. It is the reason why I made up my mind to write about this topic.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method on how to teach young people on sexual material. The most important point in my dissertation is that we need an “ethical” education for sex, not just an education for sex. So I provided several different ethical theories and how to apply them in teaching young people on sex. I wish this dissertation becomes a new trend in enhancing juveniles' responsibility on sex.

      • 모바일의 역기능 실태 분석에 따른 청소년 모바일 윤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김은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터넷 기술과 함께 모바일 기술 또한 급속히 발전해오고 있다. 모바일 기술은 생활에 있어서 획기적인 편익을 제공하지만 그 역기능으로 인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역기능은 스스로를 제어할 수 없는 청소년들에게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모바일 사용으로 인한 역기능 사례가 속출하면서 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모바일 윤리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윤리교육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 모바일 윤리교육은 거의 부재한 상태이기에 모바일 역기능으로 인한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우려를 낳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모바일 피해사례를 통해 모바일 역기능의 유형을 분류·정의하고 청소년들의 역기능 유형별 실태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청소년 모바일 문화의 심각한 정도를 진단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들의 모바일 윤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 조사를 통해 모바일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 및 분석 결과, 청소년의 98%가 모바일을 사용하고 있었고, 모바일 중독 등 대부분의 역기능 유형에서 우려할 정도의 심각한 상태를 보였으며, 고학년일수록 그 심각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현재 학교에서의 모바일 윤리교육은 거의 부재한 상황임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모바일 역기능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학교 교육에 있어서 모바일 윤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건전한 모바일 문화 형성을 위해서는 학교 교육에 있어서 정보통신 윤리 교육의 확대가 필요하고, 모바일 윤리교육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의 재편성이 요구되어진다.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prompted the advent of mobile revolution. Whereas the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provides us with convenience on our everyday life, it also has dysfunction which cause serious damage to us. These dysfunction especially do harm to teens who are not able to control themselves. As the social events by the misuse of mobile has grown so quickly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mobile ethic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prevent serious damage. However, so far there is no foundation for providing mobile ethics education and so there is no proper case of educating mobile ethics. The absence of mobile ethics education will make the bad situation on mobile usage be worsen. In this paper, the investigator defined the types of dysfunctions in mobile usage by investigating the recent cases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teens' mobile usage focusing on the classified dysfunctions.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bile ethics education through the attitude survey on the need for mobile ethic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most 98% of the teens surveyed use mobile services and they have serious problems in all the types of dysfunctions including mobile addiction and the elder youth are, the more serious dysfunctions are. According to the survey, mobile ethics education are absent in school education and most of the teens were aware of the need for mobile ethics education and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for mobile ethics. In order to prevent dysfunctions of mobile usage and so to create wholesome mobil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school should be reinforced and its curriculums should be reorganized to contain mobile ethics education.

      • 초등학교 ICT의 정보통신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조항옥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화 사회를 지향하면서 미래사회에 나타날 여러 가지 문제점 등을 철저한 사전 준비 없이 받아들여 정보통신기술의 편의성만을 강조하고 그 활용에만 치우쳐 왔기 때문에 그 이면에 숨겨진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이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부각되어 가치판단이 필요하게 된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본 연구는 정보화의 심각한 역기능 현상을 해결하는 근본적인 주체를 학생들로 삼아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정보윤리교육으로 정보윤리의식을 고취시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컴퓨터 교육이 시작되어지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실태를 점검해 보고, 그 문제점과 정보윤리교육의 강화를 위해 다양한 수업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가정, 사회, 국가가 학교 교육을 보완하고 개선해 나아가 보다 나은 다양한 개선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몇 가지의 영역별로 문항을 설정하여 대전광역시의 초등학교 학급 담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분석 결과 정보윤리교육의 부재는 현재의 ICT교육이 정보윤리를 소홀히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그 체계가 미흡하여 준비가 제대로 되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학생들의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는 대다수가 관련연수를 받은 경험이 없으며 자신의 수준을 보통이하로 평가하고 있다. 정보윤리교육은 교육현장 일부분에서만 몇 번 정도 실시하였으며, 정보윤리에 관한 유인물조차 배포가 적었고, 대두되는 역기능의 몇 가지만 교과서의 내용체계나 그때마다 교사의 견해에 따라 수업이 진행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윤리는 교과의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 학년에 비해 교육내용이 현실적으로 너무 늦게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적절하지 못한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더구나, 대다수가 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참고 자료를 접한다. 하지만 타 교과에 비해 미약한 자료의 제공과 미흡한 현실을 반영한 자료로 바로 수업에 적용하고 활용되어지기보다는 지도교사가 학습내용을 다시 재구성하여야 하는 열악한 현실에 처해 있어, 학생들의 정보윤리의식을 확립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그러므로 별도의 교육시간을 확보하여 모든 학생들이 골고루 정보윤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학생별 수준에 맞는 내용과 다양한 교육방법을 적용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정보윤리 부분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교사는 언제 어디서든 정보윤리를 학생들에게 심어줄 수 있도록 그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의무적인 직무연수형태의 정보윤리연수가 마련되어 일정기간이 지나면 다시 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정보윤리교육을 위해서는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전담교사가 있어야 한다. 여기에 학생들이 불건전 정보에 노출되어 있는지 점검해보고 이를 대처하고 예방할 수 있는 단계적인 학습 프로그램으로 각 학년에 맞게 정보윤리의식을 쌓아갈 수 있는 새로운 정보윤리 교재 개발을 통해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더불어 타 교과처럼 계속적인 갱신과 충분한 양의 지도 자료의 제공으로 번거로움을 줄여 수업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인지도가 높은 책이나 멀티미디어 자료 등 참고자료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학생들의 이해를 한 차원 높일 수 있도록 활용되어져 학생들의 올바른 사고를 위해 이러한 다양한 개선점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정보윤리교육의 현 시점과 필요성은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와 국가가 정보윤리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져 청소년들에게 바른 정보윤리를 심어줌으로서 기틀을 확립하여 확실한 가치 판단에 의해 건전한 정보만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We tend to emphasize on benefits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ique without thoroughly advance preparations for many questions that will come out in the future, so it is time for valuation about many negative effects on society. This study aims to make students as the main group who can solve side effects of information and to encourage ethical consciousness about information and to overcome some problems through ethical education of information in systematic and deep. This research focuses on inspect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thical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start computer education at first in the spot. This also presents many instruction methods for reinforcement of ethical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it's problems, and finding out better solutions while family, society, and nation supplement and improve school education. I made some questions in some areas and asked these questions to homeroom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The result showed that ICT education neglected information ethics but also the system of the ICT was insufficient. Most teachers didn't have any related training and devaluated themselves. The ethical education of information was performed only some times in a part of a real scene and there was little material about this education, that is, teachers mentioned just some side effects appearing in a society according to contents of a text and their opinion in the class. The ethical education of information have a small part of the curriculum and is consisted of inadequate quality of education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applied too late to each grade. In addition, most people find useful data from interne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awareness of student's information ethics, because teachers must reconstruct the curriculum than use unadequate and unreal materials compared with other subjects. Therefore, we should ensure a special curriculum for the ethical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give all students this chance. We also reconstruct the systematic curriculum with adequate curriculums for each student's level and extend the part of information ethics. We need a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to teach students information ethics

      • 情報倫理 涵養을 위한 初等 道德敎育 指導方案 硏究

        선정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에 들어와 정보통신기술은 우리 생활과 분리할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는 바람직하게 사용되면 지금껏 우리가 상상하지 못했던 많은 혜택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잘못 사용될 경우에는 사회적 기반 자체를 흔들리게 하는 엄청난 해악을 줄 수 있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판단과 선택이 중요하며, 정보화 시대에는 그 어느 때보다도 수준 높은 건전한 윤리 의식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는 정보통신기술의 양적인 성장에만 관심을 기울여온 나머지 건전한 정보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일에는 매우 소홀하였으며, 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 역시 이를 조작하고 다루는 기술적인 측면의 교육에만 많은 시간을 할애해 왔을 뿐,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에 수반하는 윤리적 문제를 바르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정보윤리교육에는 소홀하였다. 즉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옳음과 그름, 윤리적인 것과 비윤리적인 것을 올바르게 판단하여 행위하게 하는 가치를 가르치는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정보윤리교육은 새로운 시대에 따라 만들어진 새로운 윤리를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다. 존중, 공동체 의식, 책임의식, 해악금지와 같이 전통적으로 강조하였던 덕목들을 복잡하고 다문화적인 정보사회에 재해석하여 학생들이 정보사회의 교양을 갖춘 시민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교육인 것이다. 이러한 정보윤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현재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윤리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여 강조하고 있지만 급조된 교육내용만 담고 있을 뿐 보편성과 통합성을 갖춘 구체적인 지도체제가 미비한 실정이다. 게다가 학교 현장에서의 관심 부족과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하여 시행에 난황을 겪고 있으며, 올바른 통신 예절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고 정보화의 역기능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불균형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생활교육이며 가치교육의 총체를 담당하고 있는 초등도덕교육에서 정보윤리를 지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의 세 측면을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는 학급에서의 정보윤리교육이다. 도덕과 수업시간은 학생들이 모범적 행동과 규범을 알고 소중히 여기며 실천 동기를 부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업 이외에 어린이 회의나 정보일기쓰기 활동, NIE, 포트폴리오나 소책자 만들기 등의 교실 체험활동을 통하여 정보윤리교육이 생활교육으로서 자리잡아 나가야 한다. 도덕교육은 도덕과 수업시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바람직한 인성을 형성시키기 위한 광의의 개념으로 교사의 재량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지 시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교사는 확실한 정보윤리의식을 갖고 많은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는 학교에서의 정보윤리교육이다. 계발활동이나 조회와 같은 행사활동 등의 특별활동을 통해 학생의 요구와 지역 및 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정보윤리교육이 계획될 수 있다. 이 밖에도 학교 신문, 각종 대회, 명상의 시간, 자율규제운동, 설문조사 활동으로 학급의 차원을 넘어선 학교의 전체적인 계획 속에서 중점적으로 정보윤리가 지도되어야 한다. 이를 담당하는 교장 및 학교 구성원들은 학교의 실정과 학생의 발단단계, 능력과 수준, 교과와의 관련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구체적인 교육 실천계획을 운영해 나갈 책임이 있다. 셋째는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된 정보윤리교육이다. 도덕교육에서 연계지도가 필수적인 것처럼 정보윤리도 가정과 지역사회의 긴밀한 협조 속에서 네티켓 만들기, 서약활동, 정보윤리 관련 모임에의 참여 등을 통해 정보윤리에 대한 건전한 의식, 태도, 실천력을 길러 나갈 수 있다. 이 때 부모 역시도 확고한 정보윤리의식을 확립하고 자율적인 통제 속에서 아동들의 교육에 대한 책임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결국 정보윤리교육은 각계의 노력과 연구가 병행되면서 인간이 지켜야 할 기본적인 도리 및 행동 양식을 가르치는 가치관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때 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앞으로의 밝은 정보 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근본적인 토대가 될 것이다. The technolog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in the present age has occupied the important role indispensable to our living. This technology can be either a good or reverse function according to people's use, and the decision and selection of people who utilize the technolog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is important. Therefore, they need a higher level in the moral sense than any other times. However, we have quite neglected our work in making healthy information culture until now because it mai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growth in the technolog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We should emphasize the moral education of information which leads people do the correct judgment for right and fault, and morals and non-morality in the infomation age. The research based on above cognition suggests three methods developing information ethic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se area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moral education of information in the classroom. Activities such as children conference, writing an information diary, NIE, and making a portfolio/brochure as well as moral education should make the moral education of information to be living education. These can be caused by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classroom. Teachers who will accomplish these objectives have to get the firm moral sense of information, and they should carry out various and systematic education through a lot of research and efforts. Secondly, it is the moral education of information in the school. In addition to a club activity, activities such as a school newspaper, various tournaments, a contemplative class, self-imposed control movement and the use of questionnaire have to be made beyond the level of the classroom. Information ethics to achieve the best information education should be focused and instructed according to the school's whole plan. Moreover, principal and school faculties should manage the moral education of information b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es of the school,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abilities and level, and the relationship with subjects. Finally, it is the moral education of information with relation to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Information ethics require the cooperation of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it can be developed by keeping netiquette (etiquette of a netizen), making an oath, and participating in organizations related to information ethics. Fulfilling information ethics often makes healthy consciousness, attitude and action. Parents also have to build up the moral sense of information, and take the responsibility of the proper education while giving voluntary restraints to their children. In summary, the moral education of information needs to keep pace with research and efforts in each party. When it performs roles as an educational method teaching basic duties and behavioral modes of human beings, it would be a foundation for healthy informatio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