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관계에서 성취욕구, 조직공정성과 보상만족의 매개효과

        박헌회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Today, the aviation industry is growing and developing around the world due to the increase in trade between countries and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living standards.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he aviation industry was at its best. Due to this influence, flight attendants worked for flight hours close to the limit suggested by the Aviation Act. This caused excessive work stress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Excessive work, insufficient wages for labor, and unfair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led to conflicts with the organization, which in turn led to a decrease in loyalty to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se organizations and the flight crew, continuou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However,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which started in 2019,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has gone through a period of downturn.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global COVID-19 epidemic, all countries have attempted to contain the epidemic through shutdown. Curr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VID-19 vaccines and therapeutics, the aviation industry is coming out of a recession and passing the time of WITH COVID-19. We are now preparing for the end of the pandemic and post-pandemic. However, during the time with the pandemic, the number of flights operated by airlines decreased rapidly, and the flight hours of flight attendants also decreased rapidly.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aircraft operated caused the airline's bankruptcy and survival crisis. For airline workers, it caused new stresses such as reduced wages and uncertain working conditions, and created a different kind of stress from the excessive flight work before the pandemic. In the end, the job stress of flight crews is always present for various reasons, not just due to flight working hours. Various efforts must be mad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reducing job stress by solving the root cause.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problem awareness related to the flight crew's job stress, this thesis studie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of flight crews using achievement desire,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s parameters. And by compa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average of each variabl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250 flight attendants of domestic private airlin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reward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ward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However, al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ward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e correlation was low compared to other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reward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chievement need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fairness. By compa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mean of each variable, it was fou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origin in reward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co-pilot's compensation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aptain.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Compensation satisfaction was higher for singles than for married on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origin.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by job pos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origin.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job title and marital statu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tress by age, the average difference in job stress between those in their 40's and 50's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eople in their 40's receive more job stress than those in their 50s. In terms of job stress by company, there were differences by company. In particular, the job stress of Korean Air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compared with that of Jin Ai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by university or age group. Regarding job satisfaction, there were no average differences by company or universit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y age group regarding reward satisfaction. In the difference between reward satisfaction in their 40s and 20s, it was found that those in their 40s had a greater sense of reward satisfa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by company.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reward satisfaction by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Hanseo University had higher reward satisfaction than general 4-year universiti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hievement needs by age group, company, or univers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age group or company regarding organizational fairness. The average difference was confirmed by university of origi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ose who graduated from Hanseo University had higher organizational fairness than the Air Force Academy, Korea Aerospace University, general four-year universities, and other univers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job stress showed a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to job satisfaction, reward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lso, organizational fairness showed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as confirmed for reward satisfaction with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mediating effect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However, when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mediate in the middle,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leading to job satisfaction. Also, due to the indirect effect of rewar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fairness did not show any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to job satisfaction. Next, job stress showed a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to job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rganizational fairnes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s showed a very high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need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re as follow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However, when achievement need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were input as mediating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only achievement need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achievement need has a very strong effect as a mediating factor that lowers job stress and leads to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ummary of the major research results so far, the compensation system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f a company do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by lowering job stres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when individual achievement need increased, job stress decreased and job satisfaction increased.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are increased by developing a program to satisfy achievement ne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flight crew member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rew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stable flight operations. 오늘날 국가 간의 무역 증대와 개인 생활수준 향상으로 항공운송산업은 세계적으로 성장 및 발달하고 있다. COVID-19 팬데믹(pandemic) 이전 항공업계는 최고의 호황을 누렸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운항승무원들은 항공법에서 제시하는 한계치에 가까운 비행시간을 근무하였다. 이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였고, 과도한 업무와 노동대비 부족한 임금, 공정하지 못한 조직의 운영은 조직과의 갈등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곧 조직에 대한 충성도의 감소로 이어져, 이러한 조직과 운항승무원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이와 관련된 계속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9년부터 시작된 COVID-19의 영향으로 항공운송산업은 침체기를 겪게 되었고, 전 세계적인 COVID-19 유행의 전파를 막기 위하여 모든 국가가 셧다운(Shutdown)을 통한 전염병의 차단을 시도하였다. 현재 다양한 COVID-19 백신의 개발과 치료제의 개발로 항공운송산업은 침체기를 벗어나고 있으며 WITH COVID-19의 시간을 지나, 이제는 팬데믹 상황의 종료와 이후(Post-pandemic)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팬데믹과 함께하는 시간동안 항공사들의 운항편수가 급속히 감소하며 운항승무원들의 비행근무 시간 역시 함께 급속히 감소하였다. 항공기 운항편수의 감소는 항공사의 파산 및 존립의 위기를 초래하였고, 항공사 근로자에게는 임금의 감소 그리고 업무 여건의 불확실성 같은 새로운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팬데믹 이전의 과도한 비행근무로 겪었던 것과는 또 다른 종류의 스트레스를 생성하였다. 결국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비행 근무시간으로 인한 원인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으로 항상 존재를 하며,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 져야만 한다. 이와 같이,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련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성취욕구, 보상만족, 조직공정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각 변인에 대한 평균 비교를 통해 집단의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라 국내 및 국제공항을 운항하는 국내 국적 민간 항공사의 운항승무원 250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을 수집하고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보상만족, 성취욕구, 조직공정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존재하였다. 직무만족은 보상만족, 성취욕구, 조직공정성에 대하여 유의한 정적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직무만족과 보상만족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으나 다른 변인들에 비해 상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만족은 성취욕구, 조직공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취욕구는 조직공정성에 대하여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각 변인에 대한 평균 비교를 통해 집단의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보상만족에 대하여 출신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직급에 따라서는 보상만족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장보다는 부기장이 보상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여부에 따라 보상만족에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기혼보다는 미혼일 경우 보상만족이 더 높았다. 직무스트레스는 출신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에 대해서도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혼 여부에 의해서도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직무만족 역시 출신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과 결혼 여부에 대해서도 직무만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스트레스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에서, 40대와 50대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차이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40대가 50대보다 직무스트레스를 더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별 직무스트레스에서는 항공사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한항공의 직무스트레스와 진에어의 직무스트레스가 비교하여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출신대학별, 연령대별로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만족에 대하여 항공사별, 출신대학별 평균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보상만족에 대해서는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40대와 20대의 보상만족의 차이에서 40대의 보상만족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별 보상만족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출신대학별로는 보상만족의 차이가 나타났다. 출신대학 중 한서대학교가 일반4년제 대학교보다 보상만족이 더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성취욕구에 대한 연령대별, 항공사별, 출신대학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조직공정성에 대하여 연령대별, 항공사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출신대학별로는 평균차이가 확인되었는데, 특히 한서대학교 출신이 공군사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일반4년제 대학교, 기타 대학교보다 조직공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보상만족, 조직공정성에 부적인 인과관계를 보였고, 또한 조직공정성은 직무만족에 대하여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보상만족은 직무만족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보상만족과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으로 향하는 관계의 인과관계는 확인되었으나 보상만족과 조직공정성이 중간에 매개할 경우 직무만족에 도달하는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보상만족의 간접 영향에 의해 조직공정성 역시 직무만족으로 가는 경로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다음으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성취욕구, 조직공정성에 부적인 인과관계를 보였고,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성취욕구는 직무만족에 매우 높은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성취욕구와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으로 향하는 인과관계는 확인되었으나 성취욕구와 조직공정성이 매개변인으로 투입될 경우, 성취욕구만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중간 매개 역할을 하며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직무만족에 도달하게 하는 중간 매개요인으로서 성취욕구는 매우 강력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주요 연구 결과 요약내용에 따르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직무만족을 높이는 데 항공사의 보상체계 및 조직공정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개인의 성취욕구가 올라가면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성취욕구 충족 프로그램의 개발로 직무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조직의 충성도를 높임은 물론 안정적인 항공 운항을 위한 승무원 인적자원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메이크업 전공 교육과정 분석 및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에 따른 교육과정 연구

        최영희 한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미용관련학과의 메이크업 전공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에 따른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 미용관련학과 6개 대학을 선정하여 메이크업 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과 대학에 따라 메이크업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와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과목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크업 전공 교육과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6개 대학 전체 72개 과목 중 코디 메이크업과 분장이 9개 과목(12.5%)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초 메이크업과 아트 메이크업 7개 과목(9.7%), 화장품학, 일러스트레이션, 색채학이 6개 과목(8.3%), 공중위생관리학과 미디어 메이크업 5개 과목(6.9%), 테마 메이크업 5개 과목(6.9%), 이미지 메이크업 4개 과목(5.5%), 소독 및 전염병학 2개 과목(2.7%), 에어브러시 1개 과목(1.4%) 순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검정과목과 4년제 대학의 메이크업 전공 관련 교과목간에 차이가 있어 메이크업 국가기술 자격증을 취득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이크업 전공 교과목 개설 현황을 대학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한라대가 18개 과목(25.0%)으로 가장 높으며 성신여대 15개 과목(20.8%), 광주여대 14개 과목(19.4%), 영산대 13개 과목(18.1%), 을지대 7개 과목(9.7%), 한서대 5개 과목(6.9%) 순으로 나타났다. ‘코디 메이크업’은 성신여대와 한라대가 3개 과목(4.2%), ‘분장’은 성신여대가 3개 과목(4.2%), ‘기초 메이크업’은 영산대가 2개 과목(2.8%), ‘아트 메이크업’은 영산대와 한라대가 2개 과목(2.8%)으로 가장 높았다. ‘화장품학’은 광주여대, 성신여대, 영산대, 을지대, 한라대, 한서대가 1개 과목(1.4%)으로 나타났으며, ‘일러스트레이션’은 성신여대가 2개 과목(2.8%), ‘색채학’은 한라대가 2개 과목(2.8%)으로 가장 높았다. ‘공중위생관리학’은 광주여대, 성신여대, 영산대, 한라대, 한서대가 1개 과목(1.4%)으로 나타났으며, ‘미디어 메이크업’은 광주여대가 2개 과목(2.8%), ‘테마 메이크업’은 한라대가 3개 과목(4.2%)으로 가장 높았다. ‘이미지 메이크업’은 광주여대, 성신여대, 영산대, 한라대가 1개 과목(1.4%)으로 나타났고, ‘소독 및 전염병학’은 광주여대, 한서대가 1개 과목(1.4%), ‘에어브러시’는 한라대 1개 과목(1.4%)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관련학과의 메이크업 전공과목별 개설 학교 수는 ‘화장품학’, ‘기초 메이크업’, ‘분장’이 6개 대학(100%) 모두 개설되어 있어 가장 높으며, ‘공중위생관리학’, ‘일러스트레이션’, ‘색채학’, ‘코디 메이크업’, ‘아트 메이크업’, ‘이미지 메이크업’ ‘미디어 메이크업’, ‘테마 메이크업’, ‘소독 및 전염병학’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지 여부를 살펴보면, 자격증 인지여부는 ‘예’ 195명(91.1%), ‘아니오’ 19명(8.9%)’으로 나타났으며, ‘대학(p=0.018)’, ‘졸업 후 진로(p=0.000)’, ‘메이크업교육 경험 유무(p=0.03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의사 이유를 살펴보면 취득 의사 128명 중 ‘취업과 창업을 위해’ 50명(39.1%)으로 대체적으로 취업과 창업에 꼭 필요하기 때문에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졸업 후 진로(p=0.001)’, ‘메이크업 교육경험 유무(p=0.024)’, ‘전공분야(p=0.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지 않으려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면 ‘취득하지 않겠다’고 답한 86명 중 ‘필요성을 못 느껴서’ 41명(47.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p=0.05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의 현장실무 도움 정도를 살펴보면 ‘보통이다’ 86명(38.8%), ‘그렇다’ 83명(38.8%), ‘매우 그렇다’ 22명(10.3%), ‘그렇지 않다’ 20명(9.3%), ‘전혀 그렇지 않다’ 3명(1.4%)으로 현장실무에 도움이 된다고 나타났으며, ‘진학이유(p=0.031)’, ‘전공분야(p=0.014)’, ‘전공에 대한 만족도(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덟째, 대학에 따른 메이크업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교육과정의 세분화 정도(M=2.65)’, ‘전공과목수(M=2.45)’, ‘국가자격증취득가능(M=2.15)’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평균 2.41점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대학별로는 전체적으로 을지대(M=2.76)와 광주여대(M=2.69)가 영산대(M=1.8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과목수’, ‘교육과정의 세분화 정도’에서는 메이크업 전공 교과목이 많이 개설되어 있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홉째, 대학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체 평균 3.36점 중 ‘기초 메이크업(M=3.6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6개 대학에서 ‘기초 메이크업’이 7개 개설되어 있는 것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별로는 전체적으로 한서대(M=3.67)가 영산대(M=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와 같은 결과는 교과목 개설 수는 적지만 개설 과목 중 국가기술자격증 검정 교과목이 과반 수 이상 차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열 번째, 대학에 따른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과목 요구도를 살펴보면 ‘기초 메이크업(M=4.21)’, ‘웨딩 메이크업(M=4.14)’, ‘코디 메이크업(M=4.04)’, ‘미디어 메이크업(M=4.01)’, ‘테마 메이크업(M=4.00)’, ‘분장(M=3.96)’, ‘화장품학(M=3.88)’, ‘아트 메이크업(M=3.73)’, ‘위생학(M=3.68)’, ‘공중보건학(M=3.61)’, ‘에어브러시(M=3.60)’, ‘소독 및 전염병학(M=3.59)’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에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아 재학생들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대학별로는 전체적으로 한서대(M=4.09)와 성신여대(M=4.05)가 을지대(M=3.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0). 이와 같은 결과는 ‘한서대’가 가장 적은 교과목(6.9%)이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교과목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신설된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따른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와 상응하는 고찰이 미흡했으며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표집에 있어서 전국의 미용관련학과가 아니라 지역별로 6개 대학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미용관련학과의 특성상 남학생의 수가 여학생의 수보다 적어 비율이 적정하지 못했던 점 등을 볼 때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렵다. 둘째, 일부 미용관련학과를 대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2년제와 4년제로 구분하여 구체적이고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셋째, 대학별 교육과정 운영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보다 많은 대학을 조사하여 선택 편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아울러 2016년 신설된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가 향후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의 활성화 및 관련 메이크업 직종의 질적 향상 방안 마련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Make-up major curriculum of beauty-related department depending on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state of the curriculum. By selecting 6 universities in Seoul, Gyionggi-do, Chungcheong-do, Jeolla-do, Gyeongsang-do, Gangwon-do make-up major curriculum have been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4 who were majoring in cosmetology at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current make-up major subjects for beauty-related department, ‘Coordi make-up’ and ‘Make-up’ (12.5%)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followed by ‘Basic make-up’ and ‘Art make-up’ (9.7%), ‘Cosmetology’, ‘Illustration’, ‘Chromatics’ (8.3%), ‘Public Health’, ‘Media Make-up’, ‘Theme Make-up’ (6.9%), ‘Image Make-up’ (5.5%), ‘Immunology and Microbiology’ (2.7%), ‘Airbrush’ (1.4%) among the subjects announced in curricula. It was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acquire th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 of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and the subject of make-up major of 4-year university. Second, with regard to current make-up major subjects for beauty-related department by university, ‘Halla university’ (25.0%)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followed by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8%), ‘Kwangju Women’s university’ (19.4%), ‘Youngsan university’ (18.1%), ‘Eulji university’ (9.7%), ‘Hanseo university’ (6.9%) among universities. ‘Coordi make-up’ 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and ‘Halla university’ (4.2%), ‘Make-up’ 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4.2%), ‘Basic make-up’ is ‘Youngsan university’ (2.8%), ‘Art make-up’ is ‘Youngsan university’ and ‘Halla university’ (2.8%)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Cosmetology’ is ‘Kwangju Women’s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Youngsan university’, ‘Eulji university’, ‘Halla university’ and ‘Hanseo university’ (1.4%), ‘Illustration’ 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8%), ‘Chromatics’ is ‘Halla university’ (2.8%)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Public Health’ is ‘Kwangju Women’s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Youngsan university’, ‘Halla university’ and ‘Hanseo university’ (1.4%), ‘Media make-up’ is ‘Kwangju Women’s university’ (2.8%), ‘Theme make-up’ is ‘Halla university’ (4.2%)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Image Make-up’ is ‘Kwangju Women’s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Youngsan university’, ‘Halla university’ (1.4%), ‘Airbrush’ is ‘Halla university’ (1.4%)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Third,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university for current make-up major subjects for beauty-related department, ‘cosmetics’, ‘basic make-up’ and ‘Make-up’ (100%)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followed by ‘Public Health’, ‘Illustration’, ‘Chromatics’, ‘Coordi make-up’, ‘Art make-up’, ‘Image make-up’, ‘Media make-up’, ‘Theme make-up’ (50%), ‘Immunology and Microbiology’ among universities. Forth, With regard to recognition on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91.1% of respondents recognize make-up technical certification, while 58.9% of respondents had a plan to get it. ‘University(p=0.018)’, ‘Career after graduation(p=0.000)’, ‘Make-up education experiece(p=0.031)’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ifth, With regard to the main reason for obtaining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39.1% of respondents are trying to acquir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for ‘getting a job’, 30.5% for ‘Developing themselves’, 28.1% for ‘Own major’. ‘Career after graduation(p=0.000)’, ‘Make-up education experiece(p=0.031)’, ‘Major field(p=0.003)’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Sixth, With regard to the main reason for not obtaining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47.7% of respondents and ‘Satisfaction with major(p=0.050)’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Seventh, With regard to the practic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Normal’ (38.8%), ‘Good’ (38.8%), ‘Very good’ (10.3%), ‘Bad’ (9.3%), ‘Worse’ (1.4%) and ‘Reason for enter university(p=0.031)’, ‘Major field(p=0.014)’, ‘Satisfaction with major(p=0.001)’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Eigh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for make-up major curriculum by university ‘Classification of curriculum(M=2.65)’, ‘Number of subjects(M=2.45)’, ‘Acquisition of certification(M=2.15)’ and the overall average was 2.41. By university overall ‘Eulji university(M=2.76)’ and ‘Kwangju Women’s university(M=2.69)’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Youngsan university(M=1.86)’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Nin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for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subjects by university among the total 3.36 points, ‘Basic make-up(3.69)’ was the highest and these results ar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re are seven 'basic makeup' in six universities. By university overall ‘Hanseo university(M=3.67)’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Youngsan university(M=3.00)’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p=0.001). This resul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is small, but more than half of the courses in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are covered in the courses. Ten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necessity of courses for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acquisition, ‘Basic Make-up (M=4.21)’, ‘Wedding Make-up (M=4.14)’, ‘Coordi mak-up(M=4.04)’, ‘Media Make-up(4.01)’, ‘Theme Make-up(M=4.00)’, ‘Make-up(3.96)’, ‘Cosmetology(M=3.88)’, ‘Art make-up(M=3.73)’, ‘Hygiene(M=3.68)’, ‘Public health(M=3.61)’, ‘Airbrush(M=3.60)’, ‘Immunology and microbiology(M=3.59)’ and ‘Basic make-up’ was the highest re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emand for students is high because there is no curriculum at university. By university overall ‘Hanseo university(M=4.09)’ and ‘Sungshin women’s university’ showed higher subjects necessity than ‘Eulji university(M=3.50)’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p=0.000). This result shows that the demand for the total subjects is high because the 'Hoseo University' has the smallest number of subjects(6.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sufficient in the case of the study o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wly made make-up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proposal for the follow - up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sampling of the studied, only six universities were selected for the region, not only the department of beauty related field in the whole country.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number of male students was less than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due to the nature of beauty related departments it is difficult Seco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to some beauty related departments. In futur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research subjects should be divided into collage and universuty, and specific and various follow up studies should be done. Third, Considering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of the curriculum by universit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more university and to consider the confusion that may arise in the selection bias. In addition,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newly established in 2016,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of the make-up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test and related make-up occupation.

      • A Comparative Study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between China Korea : Huangshan University and Hanseo University = 중한 지방 대학교 영어 교육 비교 연구 : 황산대학과 한서대학을 중심으로

        홍연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중국이 세계 무역 기구에 가입 함으로서 경제, 문화의 국제화, 그리고 국제간의 거래가 갈수록 빈번해져 가고 있다. 이에 발 맞추어 전문적인 지식도 갖추고 있으며, 유창한 영어구사능력을 갖춘 대학생들이 사회의 인기를 갈수록 많이 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전 세계에 금융위기가 발발하여 대학생들은 거대한 취업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또한 거대한 도전을 받고 있으며, 대학교 영어교육 역시 이와 같은 상황에 놓여있다. 이런 현실적인 시점에서 우리는 선진국들의 훌륭한 교육과정을 토대로 우리의 교육실정에 맞는 교육과정을 좀 더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우리의 이웃 나라로써 문화배경은 우리나라와 아주 큰 연원이 있어 우선먼저 참고로 할 대상이다. 그러므로 양국 대학교 영어 교육의 발전 과정으로부터 출발하여 중•한 양국 두 나라 대학교 영어교육 현황을 비교, 연구하였다. 두 대학의 연구를 통하여 우수한 점과 우수하지 않은 점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우리나라 대학 영어교육에 필요한 연구를 제언하며, 효율적인 영어지도방법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4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본 연구의 서론 부분으로써 본 연구의 배경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효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한국과 중국의 두 대학을 선정하였다. 둘째, 이론부분으로써 주요하게 중•한 대학교 영어 교육 현황을 설명하였고 아울러 영어전공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를 고찰하였다. 셋째, 본 논문의 중점 부분으로써 비교를 통해 중•한 지방 대학교의 영어 교육에 치중하여 분석하였고 학점, 방법, 내용, 교실교수품질 등 4가지 방면으로부터 분석, 설명하였으며 아울러 필자의 견해와 제안을 두었다. 또한 비교, 분석한 것에서 유익한 점들은 우리나라 대학 영어교육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을 정리하였다. With the entry to WTO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in economy and literature,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communication makes the students with bo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good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more and more popular. Meanwhile, owing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university students bear heavy pressure of employment, and our higher education, as well as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is facing huge challenge. Under such condition, we should learn from the advanced experience from the countries with developed education. Korea, our neighboring country with various connects in cultural background, is our first choice to learn from. Therefore, it’s of high significance to push our country’s research and guide our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under the way of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ency of Sino-Korea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to seek out the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rom the point of the development of Sino-Korea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The study of this paper includes mainly four parts. The introduction, as the first part, mainly analyzes this paper’s research background, purpose, research range and methods. The second is theory part, mainly describing the currency of Sino-Korea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and investigating the students’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The third, key part of this paper, analyzes the English education in Sino-Korea local universities by comparison of credits, methods, contents and class teaching quality, and proposes the writer’s views and suggestion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e can get some helpful inspirations and find out the points worth learning. The last is the brief conclusion.

      • 중국과 한국의 대학교 산업디자인 교육과정 비교 연구

        황찬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investigator who is a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 in Korea studied industry design in a Chinese university and is keeping it on during the process as a graduate student in Korea. The content and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China's  educational process of industry design with Korean, and bring forward new methods for China's design education process. In the national and overseas market of Korea, the competitive power of a product does not only depend on production technological capacity. As the product design more and more controlling the competitive power of product, for enterprises, the product design has become the most dominant method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of product. Under the economic system of contemporary capitalism, much results have been made from the ideas of dominance in design, which are affected by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much attentions have been put into the design related revival policy. The design education of Korea University is trying to make an effort to be adapted to the changing market through the renovations in educational process. China is comparatively  slower in this aspect than other countries.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policies was put in practice in 1979, the organizing of design subject has started to be booming.In interim period of 1980s, only 20 universities possessed design education system. Later on, as many universities owning single major carried out recombine and made up university scale, most of universities has offered design subject, the number of which has been up to 400 by 2002. However, because of the remains of old customs and habits, some aspects of the design education were pointed out to be improper and needed innovating.  In China, industry design still belongs to new-style scale; many aspects need to refer to overseas advanced education concept and system.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industry design between China and Korea is a method to solve such problems. The comparison and understanding of training process indicate its importance in side face in the two countie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the exchange of industry desig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who intend to study abroad for the education process. Certainly, the purpose to improve Chinese industry design education demands a settlement for the existing problems of Chinese industry design. Some of the problems were raised by Chinese conditional habits, but current internationalized age needs many cases related to design education, they can obtain answers from the existing circumstances of Korean design education. The direction of Chinese design education that the investigator obtained from her research is art educational process approach in design education, and become five issues such as the digitalization of modernization-era concept, the importance of industrial-academia collaboration,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specialization and creativeness act. 한국은 국내외 시장에서 상품의 경쟁력이 생산기술력 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의해 좌우되는 현상이 짙어지면서, 기업에 있어서 산업디자인은 이제 가장 강력한 상품경쟁력 증진수단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현대자본주의 경제체제 하에서 국가경제에까지 깊이 연관되어있는 디자인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해 통상산업부 주관 하에 디자인 진흥책을 내놓는 등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한국 대학교의 디자인교육도 여러 번의 교육과정의 혁신을 통해서 사회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중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늦은 1979년 개혁개방 정책 이후, 디자인학과의 설립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대 중반까지는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가진 대학교는 20개 대학교에 지나지 않았지만, 수많은 단일 전공의 기술대학교가 대학교로 재구성되면서 대부분이 디자인학과를 개설하여 2002년에는 약 400여개 대학교로 늘어났다. 그러나 한편으로 과거의 유산들과 관습들이 유지되면서 현대적 디자인 교육에 불합리한 요소들에 대한 혁신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부분도 있다. 중국에서 산업디자인은 아직 신흥분야로 많은 부문에서 국외의 선진적인 교육의 이념과 교육의 체계를 참고로 해야 된다고 생각하며, 중국과 한국의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의 비교분석은 중국의 디자인 교육문제의 해결책을 구하는 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양국의 교육과정의 비교와 이해를 통해서 두 나라의 산업디자인 교육의 이해의 증진, 산업디자인 교육의 교환, 유학중인 학생들과 유학을 준비 중인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명료한 이해 등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논문이 목적으로 하는 중국 산업디자인 교육의 개선은 물론 현재 중국 산업디자인이 안고 있는 문제의 해결 조건 위에서 전제되어진다. 연구자가 한국과 중국의 디자인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에서 구한 중국 디자인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은 교육과정의 개편, 교육과정의 구체성, 미술기초과목의 개선, 디자인기초과목의 개선, 기술과정의 개선, 디자인 표준과정의 정립, 과정간의 긴밀한 연계강화를 통한 개선, 디자인 전공과정의 개선 등을 학습자 입장에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내용의 조정과 배치의 최적화, 기업과 관련되는 과정의 강화, 디지털 교육과정의 강화, 교육과정의 국제화, 특성화와 창조성 배양의 교육과정 등을 보다 발전적인 중국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하여 제시하였다.

      •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미은 한서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하위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우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오감자극 생활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를 위하여 기초조사1과 기초조사2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기초조사1은 대학생들의 오감자극 생활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서대학교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질적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초조사2는 한서대학교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Cohen과 Hoberman(1983)이 개발한 대인관계지지평가척도(Interpersomal Support Evaluation List : ISEL)를 기초로 하여 평가적지지, 소속지지, 자존심지지, 유형적지지로 구성된 소척도를 김정희(1987)가 우리 문화권에 맞는 문항으로 번안한 하위 척도를 사용하였다. 우울증의 유형과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Beck(1967)이 개발한 BDI한국판을 이영호(1993)가 사용한 도구이었고, 합리적 신념척도는 Jones(1968)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했고, 자아정체감척도는 Dignan(1965)의 Ego Identity Scale을 서봉연(1975)이 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오감자극 생활척도는 일상생활에서의 오감 활용도를 알아보고자 고안된 척도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척도로서, 대인관계, 우울, 합리적 신념, 자아정체감이 오감자극 생활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기초조사1과 기초조사2를 바탕으로 5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통해 개발된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을 한서대학교 대학생 중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각각 선발하여, 실험집단을 통해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을 10회기에 걸쳐 실행하고, Ryff의 심리적 안녕감 검사를 한국의 정서에 맞게 수정 보완한 하태민의 심리적 안녕감 검사지를 이용하여,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8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속에서 오감으로 느끼는 습관을 오감에 집중하는 훈련이 있어야 매 순간 생각에서 머무는 시간이 줄게 되고, 감각에 집중하는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감각에서 주는 만족감과 풍요로움, 새롭고 신선한 느낌으로 행복해 질수 있는 시간이 더욱 늘어날 수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들에게 미래에 대한 불안에 대해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에 특히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하위 요소인 낙관적 사고, 삶의 목적, 긍정적 친구관계, 긍정적 자아인식, 자기 주장성, 환경조절력, 개인적 성장, 내적귀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개인의 긍정적 자아인식과 낙관적 사고요인이 향상된 점으로 보아 오감자극 생활이 개인의 긍정적 정서에 효과적인 원리와 방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긍정적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오감자극 프로그램을 실제 생활에 적용 할 수 있는 도구의 적극적인 모형과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life program which stimulates five senses and figure out how this program affects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its sub-factors to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 set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five senses affect college students' standard of living? Second, what composes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Third, how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affects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its sub-factors? For this study, we perform 2 basic researches which are research 1 and research 2. In research 1, we use qualitative method and randomly sampled 20 students from Hanseo University in both sexes. Then in research 2, based on 100 students in both sexes from Hanseo University, we us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Cohen & Hoberman, 1983) which evaluates sub-scales of appraisal, tangible, self-esteem and belonging support, adapted by Kim Jeong Hee(1987), suitable to our culture. For measure types and degree of depression,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Beck, 1967), adapted by Lee Young Ho(1993), is used and for rational beliefs, Jones scale(1968) is used. We also use Ego Identity scale(Dignan, 1965), adapted by Seo Bong Yeon in 1975 to measure ego-identity and develop scales to measure the use of five senses stimulation in real life. Based on research 1 and 2, we follow 5 stages of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develop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Then, we select both 20 students from Hanseo University to compos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r experimental group, we provide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10 times and evaluate results with Ryff's Psychological Well Being Scale. By using this scale, we perform pre and post test to figure out whether this program affects 8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ining five senses can reduce the time that participants spend on thinking. And concentrating on senses can give satisfaction, richness and happiness. Second, five senses stimulation program makes college students think optimistic about future anxiety and recognize themselves as positive which is especially effective. Third,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affects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its sub-factors: optimistic thinking, life goal, positive friend relationship, positive self-recognition, self-assertion, environment control, personal growth and internal attribution. This study suggest that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is a effective method to person's positive emotion as improvement on individual's positive self-awareness and optimistic thinking factors show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we need to develop model to apply five senses stimulation program in real life.

      • 중국 안휘성 대학 교육시설에서 나타난 휘파건축 양식 표현에 관한 연구

        장지용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Huizhou architec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ols of Chi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in Anhui Province.Is an important part of Hui culture, has always been respected by Chinese and foreign architectural masters, popular in Huizhou and Yanzhou, Jinhua, Quzhou and other western Zhejiang.It is the essence of Chinese customs and culture, unique style, rigorous structure, exquisite carvings, both the plane and space planning, or the construction of the integrated use of sculpture are fully embodies the distinctive local characteristics. Huizhou architecture is the most important architectural form of Huizhou area. Huizhou architecture is the embodiment of the ancient Huizhou society's economic, political, geographical environment, production methods and living habits and other material forms, and truly reflects the ancient Huizhou people's spiritual and cultural ideas. The study of local architectural culture is of great significance to China. This treatise is based on Anhui Province University of education facilities in the style of Huizhou architecture as a research direction.First of all, through the location and scope of the traditional Huizhou architecture in Huangshan area,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study and understanding, and then by selecting the relevant conditions of 24 universities selected 12 appeared Huizhou architectural style of the University of Anhui Construction patterns, patterns of specific field trips and analysis. Because of the particularity of university functions, the authors hopes to understand the use of Huizhou architecture style of Anhui University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paper, hoping to spread the traditional Huizhou architecture culture to the modern people in an all-round way. Can cause everyone to the traditional Huizhou architectural culture heritage and innovation awareness and attention. In the design of modern architecture in the hope that a little exploration. 안휘성 휘파(徽派)건축은 중국 전통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유파중 하나이며, 휘문화(徽文化)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서 중국과 외국 건축가들의 찬양을 받아왔다. 휘파 건축은 휘주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건축 형식이다. 휘파건축은 고대 휘주 사회와 역사의 정치, 경제, 지리적 환경, 자연 조건, 생산방식 및 생활습관 등을 물질적 형태와 정신적 이념으로 반영해낸 것이며, 특정한 시기와 문화 배경 속에서 육성해낸 물질적 실체이다. 중국 지역의 건축문화 연구에 대해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향은 주로 안휘성 대학 교육시설에서 나타난 휘파건축 양식이다. 우선 황산지역의 전통 휘파건축의 위치 및 환경, 건축양식 사례로 고찰하며, 안휘성 대학 교육시설에서 나타난 휘파건축 양식의 형태, 문양 특징을 연구 주제로 분석하려한다. 대학교의 기능이 특별하기 때문에 저자는 본 눈문 연구에 통해 대학교에서 휘파건축 양식을 사용 현황이 알고자 하는 현대 지식인들 에게 전통 휘파건축 문화를 전달하고자 한다 .

      •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노화불안과 노인에 대한 태도

        양교용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is based on the survey of each 170 students of university in Anhui, China and Hanseo University in South Korea. Despite of the 20 pieces of incomplete questionnaires, 300 pieces of 320 are used as the ultimate materials to analyze and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phenomenon and difference of two countries’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s ageing and the old, based on the gender, academic year, the lecture experiences related to old age, voluntary experiences aiming at the old, the interaction and vocal conversation frequency with grandparents of the students. It adopts the theory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 being developed by Jungran Han(2004) and the theory of Anxiety about Aging Scale of Lasher & Faulkender (1993). The results are listed as follows. Firstly, as for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degree of girls, freshmen and students without voluntary experience to the old of ageism is relatively higher. In contrast, Chinese students who have less interaction and conversation with grandparents have higher degree of ageism. By comparison of situations in the two countries, Chinese college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ageism than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higher frequency of vocal conversation with grandparents, the more positive their attitude is to the old. And college students of South Korea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han Chinese student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variables researched, students in the two countries who have voluntary experience aiming at old people and have taken the course related with old people have higher frequency of conversations and interaction with their grandparents. The lower frequency of their connection with their grandparents, the higher degree of ageism they have. The higher frequency of their connection with their grandparents,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y have to the old. Fourthly,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in the two countries to the old, as for the South Korean students, the higher frequency of voice conversation with grandparents, the lower degree of ageism, and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y have to the old age. Among them, the degree of ageis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 their attitude to the old people. As for the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less degree of ageism of people who have participated in voluntary activity to old people,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y have. Similarly, the degree of ageism is still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ir attitude to the old people. According to the research, compared with Chinese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of South Korea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 the old age, and relatively less degree of agei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e the students’ attitude to the old in the two countries are both degree of ageism.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노화불안과 노인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다르며, 이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각각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과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노화불안에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양국 대학생들 간에 노화불안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한국 대학생들과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노인에 대한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양국 대학생들 간에 노인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한국 대학생들과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노인관련 경험요인, 조부모 변인,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태도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넷째, 한국 대학생들과 중국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안휘성에 있는 대학생과 한국 한서대학교 대학생 각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32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내용이 불충분한 20부를 제외한 30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 내용은 성별, 학년, 전공, 노인관련과목 수강경험,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 참여경험, 조부모님과 동거상황, 조부모님과의 접촉빈도, 조부모님과의 통화 횟수,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태도 등이었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한정란(2004)이 개발한 의미 분화 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를 사용하였고, 노화불안 척도는 Lasher & Faulkender(1993)의 ’노화불안척도(AAS: Anxiety about Aging Scale)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의 경우 여자이고, 1학년이고, 노인자원봉사 참여경험이 없는 경우에 노화불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의 경우 조부모와 만나는 횟수가 적고, 전화 통화하는 횟수가 적을수록 노화불안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대학생보다 중국 대학생의 노화불안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과 한국의 대학생은 같은 결과로 조부모와 자주 통화할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중국대학생보다 한국대학생이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국 모두 노인자원봉사 참여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경우 노인관련과목 수강경험도 있었으며, 조부모와의 통화빈도가 많을수록 조부모와의 접촉빈도도 높았고, 노화불안은 조부모와의 접촉빈도와 통화빈도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는 조부모와의 접촉빈도와 통화빈도가 많을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국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한국 대학생들은 조부모와의 통화빈도가 많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화불안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 중국 대학생들은 노인자원봉사경험이 있고, 노화불안이 낮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시 노화불안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대학생들이 중국 대학생들보다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이고 노화불안이 더 낮지만, 두 나라 학생들 모두 노인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공통적으로 노화불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대학생 실업문제에 관한 연구

        야오위안 한서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Under the new historical term, the employment mechanism for university graduates has been transferred from the traditional "centralized enrollment and centralized placement" to the current "two-side-choice" practice. The reform in the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system has brought about at once numerous opportunities and endless challenges for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have abundant manpower capital, they are elites in the modernization build. In our country, the government spend a large number of manpower, material resources to cultivate university students, but they are unemployed while human capital is still rare. In the last few years,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slides year by year. Getting employed has more and more difficult. Under this serious situation, it is urgent and important to study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First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entire social employment. If the graduates can't get employed smoothly, it not only affects the graduates' life and emotion, but also induces contradiction and issues. which will influence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our harmonious society. Second the employment is the foundation of people' life. It involves people's individual interest. Finally, it reflects the current high-level eduction's level and quality and also relates to the high-level eduction' popularization, whether the graduates can get employed or not. So, It has great significant that analyzing the reasons of low employment and putting forward the specific suggestion to the development of our national economy, the bulit of the harmonious society, the popularization of high-leve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emselves. The study on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is divided into 3 main body parts. First the theoretical content of discussion on the unemployment problem. An intraperso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tion of unemployment, unemployment, the type of unemployment, China also analys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unemployment problem. Second, theoretical basis of the unemployment problem, starting at the University graduat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conditions in China, Chinese University graduate unemployment problem and explain the causes of the four Analyze ways. Thir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the Chinese students in the unemployment problem and Chinese students through the leading causes of unemployment problem, Chinese students to improve the unemployment problem discuss ways and conclusions. The solution to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is a comprehensive task, which requires the joint efforts from the government, the society, the institution of higher learning and university students themselves. 새로운 역사 조건 하에 고등학교 졸업생 배치제도는 이미 과거의 “통포배치(统包分配)”의 취업모식이 졸업생과 고용기관의 “상대선태(双向选择)”로 바꾸었다. 대학생 취업제도의 개혁은 중국대학생 취업 작업에 발전 기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무궁한 압력을 초래했다. 대학생은 풍부한 인력자본을 가진 사회단체나 현대화건설 중의 엘리트(精英)다. 인력자본이 모자란 중국에 정부는 대량의 인력과 물력을 기울이고 배양한 대학생들이 오히려 실업하게 된 형상이 나타났다. 최근 몇 년 이래에 중국 대학생 취업률이 해마다 하락세를 보이게 한다. 대학생 취업난의 소리가 나날이 고조되어 있다. 현재 취업 현황이 날로 가혹한 배경 하에 대학생 취업 문제를 연구하는 것은 절박성과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우선은 현재 대학생 취업은 전 사회 취업의 중요 구성부분이다. 졸업생들이 순조롭게 취업을 못하면 졸업생 개인의 생활과 사상정서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각종의 갈등과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중국 조화로운 사회의 건설과 발전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다. 다음은 취업은 민생의 기본이다. 사람들 자신의 이익에 관련 민생문제다. 마지막은 대학생들이 졸업한 후에 취업할 수 있는지는 현재 고등교육의 경영수준과 품질을 반영되다. 고등교육 대중화의 진행 과정에 관련 문제다. 그러니까 현재 대학생 취업현황, 문제와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중국 경제의 발전, 조화로운 사회의 구성, 고등교육대중화의 진전, 그리고 대학생 자신 등 중요한 현실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중국 대학생 실업문제에 관한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실업문제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고찰한다. 고찰을 통해 실업의 정의, 실업의 특징, 실업의 유형, 중국 실업문제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둘째, 실업문제의 이론적 기초에서 시작하여 중국 대학교 졸업생 취업 및 실업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중국 대학교 졸업생 실업문제의 원인을 네 가지 방면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중국 대학생 실업문제의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분석하고, 중국 대학생 실업문제의 원인을 통해서 중국 대학생 실업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대학생 취업문제의 압력과 곤란을 해결하기는 시스템 공학이다. 정부, 사회, 대학교, 대학생 등 여러 가지 방면으로 공동적으로 노력하고 총관해서 관리해야 하다.

      • 대학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충청권 산학협력 선도 사업을 중심으로

        소리나 한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의 본격화에 따른 급격한 산업구조 개편과 신산업 전문 기술 인력 수요 증가에 따라 다변화하고 있는 노동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그 수요에 맞는 특화 교육 운영시스템 개선, 산학 공동연구 기술개발 등을 통한 고부 가 가치 창출을 위해 많은 지역의 대학과 기업이 함께 협력하고 있다. 또한 수도권 대학 중심주의와 학령인구 감소로 심화되고 있는 지방대 위기가 맞물려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기관과 대학이 함께 상생하여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 해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대응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어려운 대외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대학-지역, 대학-기업의 협력은 지역 정착을 위한 기업지원과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방안 등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지역-기업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기반으로 연계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역사회에 혁신 등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지역에 공헌 하는 프로그램들을 시도하고 있다. 프로그램들 통하여 산업 분야별 실질적 기업지원 확산과 더불어 현장 중심형 융 합인재를 양성은 물론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공유·협업 시스템 구축으로 성과를 창 출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경제 및 대학 경쟁력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진행된 산학협력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 대학과 지역, 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필요한 프로그램 만족 도 요인을 도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서대학교의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를 통하여 산학연계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시제품 제작과 사업화 등을 위한 토탈 서비스, 애로기술자문, 재직자 교육, 기술이전과 산학연계 지역사회 혁신·지원 사업 (생활안전체험, 식품분석, 항공·해양·디자인 특성화, 6차 산업, 도시재생, 마을 만들기, 문화관광콘텐츠, 사회봉사 등) 사업의 결과를 통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전체 문항의 빈도분석과 막대그래프를 이용 하여 각 문항에 대한 응답자의 전체적인 반응과 더불어 간략한 설명을 추가하였다. 선별된 중요 문항에 대한 교차 및 수정된 잔차분석, 의사결정나무(Answer Tree)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 통계기법을 활용한 조사 방법으로 선별된 중요 문항에 대하여 각 문항의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ICC 사업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ICC 사업 프로그램 의 참가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의 지원 내용 및 지 원 규모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지원 내용 및 지원 규모의 적정성에 만족도가 높은 기업은 경영 지원 사업에 만족도 뿐 아니라 ICC 사업 프로그램의 참여 의사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제품 제작 지원 사업의 만족도가 높은 기업은 경영지원 사업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기업은 산 학협의체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공동기술개발 과제 확대 및 기업 추천 의향에서는 남녀의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지원 확대 및 추천 의향을 높일 수 있는 유인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 내용 및 지원 규모의 적정성에서도 남녀의 차이를 보였으며 남성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지원에서는 기업의 소 재지에 따라 지원내용 및 규모의 적정성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충청지역 소재 기업 들이 수도권 소재 기업보다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충청남도 기업의 소 재지를 대상으로 한 기술이전 사업의 지원 내용 및 지원 규모의 적정성을 높일 수 있는 특별한 유인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RCC 사업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향후 RCC 사업 프로그램 참여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소는 문화관광콘텐츠 지원 사업 > 6차산업 지원사업 순으로, 도시재생 지원 사업 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소는 사회복지 지원 사업>문화 관광콘텐츠 지원 사업>마을 만들기 순으로, 문화관광콘텐츠 지원사업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요소로는 도시재생 지원 사업>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 순으 로 분석 되었으며 영향력이 큰 사업과의 상호연계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진행되어 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거지역에 따라 문화관광콘텐츠 지원 사업의 만족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산 지역의 경우 서울 및 경기 지역에 비해 부정적으로 나타나 서산시의 특성을 고려한 유인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다. RCC 지원 프로그램 참여의사가 높을수록 식품분석 지원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참여의사를 높일 수 있는 유인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사회복지 지원 사업의 경우 참여의사가 높을수록 지원 내용 및 지원 규모의 적정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본 분야의 지원 사업 에 대한 기대에 어느 정도 부응하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지원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대부분의 지원 사업은 대체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의 기대에 상당히 높게 부응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충청권 산학협력선도 사업을 통해 분석한 기업협업센터(ICC), 지역협업센 터)(RCC)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과 지역의 기업, 대학과 지역 주민들과 진행된 각각의 프로그램은 전체적인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이 서로 밀접한 영향을 주는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상호 연관적 관계인 산학협력 선도 사업 프로그램의 만족도 제 고를 위해서는 지역과 프로그램별 특성 고려를 전제하여, 지원 사업의 내용 및 지 원 규모의 적정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 정책 마련과 자발적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홍보에 대한 특별한 유인체계 및 구축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프로그램 재검토를 통해 프로그램 간 상호보완적 운영을 위한 방안 강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프로그램 간의 현실적 상황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문 제 도출을 통해 효율적인 연계 및 운영에 관한 제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도내 대학과 기업 그리고 지역민과의 긴밀한 상호작용 체계를 통해 함께하는 산학 협력 선도 사업 프로그램은 충남권 지역의 지속적이고 안정적 성장을 이루는 근간 에 중요한 영향 요소로 판단되며 지역의 혁신과 새로운 기회 창출을 위해서는 지 속적이며 현실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기업협업센터(ICC), 지역협업센터(RCC),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 (LINC+) 육성사업, 산학협력 프로그램, 만족도 요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