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 지도 방안

        김성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학습자의 소설 읽기 능력 및 언어적 상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하여 소설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 방침을 모색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문학 교육이 상상력의 신장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인식하고 교육과정에 제시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인지적이며 지식적인 문학 작품 이해와 감상 위주로 이루어지는 현실 교육상황에서 외면당하고 무시되어 왔다. 그러나 문학이 상상의 소산이고 상상력이 문학 창작 및 감상의 본질이라는 점에서 문학적 상상력 교육의 중요성은 계속 제기되었고, 이를 교육 현장에 실천하기 위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연구 결과들이 아직은 문학적 상상력 교육의 체계를 잡는데 미흡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문학 교육 본래 목적을 달성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 교수․학습 방법의 필요성을 느끼고 그 가능성을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찾아 보았다. 본 연구는 문학교육과정에서 문학 작품을 이해 및 감상할 때 작용하는 학습독자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하여 소설 읽기에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고 문학적 상상력의 학습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 지도가 학습자들의 소설 읽기 능력 및 언어 창의력 신장에 있어서 어떤 가능성을 제시하는지 살펴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안하여 적용할 것인가? 둘째,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소설 읽기 능력이 향상될 것인가? 셋째,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언어 창의력이 향상될 것인가? 넷째,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긍정적일 것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Ⅱ장에서는 상상력의 개념과 속성, 문학적 상상력의 개념, 문학적 상상력과 문학 교육의 관계 및 문학적 상상력 교육의 의의를 탐색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교수․학습 방안을 구한하고 실제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총 30차시에 걸쳐 실제 현장 수업에 적용한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집단의 소설 읽기 능력 및 언어 창의력의 사전 ․ 사후 검사결과를 분석하였고, 학습자의 본 프로그램에 관한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 과정에서 미흡한 점을 차후 연구 과제로 제시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적 상상력 활용을 통한 소설 읽기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제안하였다. 둘째,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 교수 ․학습 모형은 언어 창의력 신장에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셋째,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소설 읽기 교수 ․학습 모형은 그 지도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국어 및 문학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상상력 신장에 실제적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현대소설을 활용한 문학적 상상력 신장 교육 방안 연구

        최영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447

        현대소설을 활용한 문학적 상상력 신장 교육 방안 연구 본고는 문학작품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문학교육, 특히 소설이라는 영역 안에서 상상력은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고 강조되고 있지만, 상상력 자체의 개념이 다분히 철학적(哲學的)이고 모호하기 때문에 문학적 상상력 역시 밝히기 어렵고 교수·학습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데서 문제를 발견한다. 상상력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상상력 교육을 도외시 하여 문학교육의 중요한 요소인 문학적 상상력을 적극적으로 규명하지 않고, 문학적 상상력의 교육 또한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상상력의 개념을 보다 깊이 있게 규명하고, 현대소설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문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과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기존에 이루어진 문학교육에서의 문학적 상상력 연구 중에서 본고에서 검토할 만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일반적인 상상력의 개념을 바탕으로 문학적 상상력의 개념, 문학적 상상력의 원리와 기능, 문학적 상상력의 유형, 그리고 문학적 상상력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학 작품을 상상력을 동원하여 상상력의 유형에 따라 분석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마련한 문학적 상상력 분석 기틀을 토대로 하여 현대소설에 나타난 문학적 상상력을 분석하였다. 작품 안에서 나타나는 상상력의 유형은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작용하나, 각 상상력의 유형을 보다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상력에 따라 작품을 구분하였다. 또한 작품 안에서 상상력의 작용과정을 쉽게 나타낼 수 있도록 1920년대 사실주의(경향주의 소설까지 포함) 소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문학적 상상력의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각 단계는 1. 계획단계→ 2. 진단단계→ 3. 교수·학습 단계→ 4. 평가단계→ 5. 내면화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운수 좋은 날」 소설 수업에 적용하여 문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1. 읽기 전 활동→ 2. 읽는 중 활동 → 읽은 후 활동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특히 ‘2. 읽는 중 단계’는 모둠 활동을 이용한 토론법을 사용하여 작품에 대한 창의적이고 심도 있는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Ⅴ장에서는 Ⅰ장에서 Ⅳ장까지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면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안을 다루었다. 본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상상력의 교수·학습이 학습자의 문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키는 매우 유의미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재확인한 점, 또한 문학적 상상력의 신장을 위한 현대소설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가 기반이 되어 문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키는 다양한 문학 수업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odern Novel for Enhancing Imagination of Literary Literary education, understanding and accommodating literature, emphasizes that imagination is the key factor especially in novel. However, the concept of imagination is philosophical and ambiguous, so it is hard to find out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people have difficulty teaching and learning. The research starts from the critical point that education of imagination is ignored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imagination, and literary imagination is not actively established. This research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imagination deeply and suggest the direction and the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how to increase literacy imagination of learners through the modern novel.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the need of the research were proven, and quick review of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is shown. In chapter Ⅱ, based on the general concept of imagination, the concept, principles and functions, types, educational value of literary imagination were checked. It paves the way for analyzing the literatures by carrying types of imagination. In chapter Ⅲ, literary imagination in modern novel was analyzed based on literary imagination analysis foundation arranged in chapter Ⅱ. The types of imagination are various and complicated in literatures, so the literatures are classified by each types of imagination for clear explanation. Also, the realistic novel (including tendency novel) in 1920 was the target of analyzing to show processing the imagination in the literature. In chapter Ⅳ, teaching-learning model was suggested for increasing literary imagination. Each stage was constituted that 1. Planning -> 2. Diagnosing -> 3. Teaching and learning -> 4. Evaluation -> 5. Internalizing.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concrete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increasing literary imagination by applying the novel lesson of ‘a lucky day.’ It was constituted of 3 stages that 1. Pre-activity -> 2. During-activity -> 3. Post-activity. Especially in the During-activity, the researcher used discussion method for group activity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creatively and in depth. In chapter Ⅴ, the research from Ⅰ to Ⅳ was summarized and the researcher define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finds the meaning that the researcher reconfirms that teaching and learning of imagination increases learners’ literary imagination in literary education, and the researcher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application methods by using modern novel for increasing literary imagination. It is hoped that based on this research, there will be various research of literature lesson that increasing literary imagination.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학적 상상력 신장 방안 지도 연구

        이민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447

        문학에서의 상상력은 언어적 상상력이며 언어로 표현되는 문학 작품은 문학 상상력의 발현에 의해 학습자의 머릿속에 의미를 생성한다. 문학적 상상력은 학습 학습자가 작품을 읽고 이해하고 감상하며 자기화하는 과정에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다. 최고보다는 유일, 즉 다른 사람과 다른 나만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이 중요해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는 그 가치가 더 커지고 있는 상상력을 키워주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이야기의 힘을 빌리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은 같은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전혀 다르게 해석하고 창작할 수 있으며 이야기를 끊임없이 재생산시킬 수 있어 상상력을 키우는 좋은 방법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문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려고 한다. 먼저, 문학교육에서 상상력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의 교육과정에서도 끊임없이 논의될 것이다.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의 차원에서 상상력은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이 요구되므로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문학적 상상력’을 문학 텍스트에 근거를 두고 이루어지는 의미 구성능력이자 이를 통해 형성되는 언어적인 창조능력으로 본다. 그리고 문학적 상상력의 세 가지 층위는 재현적 상상력, 조작적 상상력, 창조적 상상력이라고 구분하였다. 이때 각각의 상상력은 학습자가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하나 혹은 둘 이상이 종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선행 문학적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연구를 통하여 문학적 상상력 신장 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하나의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학적 상상력 신장 학습이 자연스럽게 수업 전체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이를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설계하기로 하였다.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문학적 상상력 교육에 대한 부분을 살펴보았고, 7차 교육과정보다 더 강조되고 있는 면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올해 새롭게 도입된 2013 개정 1,2학년 국어 교과서를 살펴보면서 스토리텔링을 위한 그림책 제재가 매우 늘어났고 이를 활용하여 학습 목표와 성취 기준에 도달하려는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학적 상상력 신장 전략 활용 모형의 단계는 ‘이야기와의 만남을 위한 준비→이야기 안으로 뛰어들기→이야기 속으로 파고들기→이야기 밖으로 표현하기→새로운 상상 정리하기’의 5단계로 나누어 설정하였으며,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학적 상상력 신장 전략을 문학적 상상력 층위에 맞게 세부적으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기존에 이미 존재하고 교사들이 활용하고 있는 방법들도 있었지만 문학적 상상력 층위라는 새로운 기준에 맞추어 정리하고, 몇 가지 방법을 추가함으로써 수업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상력의 개념과 층위를 정의하고, 문학적 상상력의 개념과 작용, 교육적 의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국어 교육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문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선행 스토리텔링 모형을 참고하여 ‘스토리텔링 모형-문학적 상상력 신장 전략 활용’을 설계하였으며 그 방법을 교육 현장에 적용해보도록 제안하기 위해 실제로 수업을 계획, 실천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스토리텔링은 문학의 감상과 창작 활동에 있어 흥미로운 도구 역할을 하였으며, 감상을 바탕으로 한 경험을 통해 문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통해 문학적 상상력 신장 전략을 활용한 결과 학습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상상력에 대한 자신감이 커지고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었다. 셋째, 문학적 상상력 신장 전략을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경직된 국어 수업에서 벗어나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고 수용적 사고보다는 발전적 사고를 지향하는 수업을 했다. 연구자는 위의 논의를 통해 학습자가 작품을 읽으며 텍스트를 더 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했으며 자신이 읽은 텍스트를 통해 삶에 가치를 더하고 상상력을 보다 더 잘 발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에서의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법의식 함양 사례연구

        이인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14

        법교육은 지식·정서·행동으로 이루어진 법의식의 함양과 실천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이다. 그러나 현재의 지식 중심의 형식적 법교육으론 인지적 깨달음에 그칠뿐이다. 학습자가 사실적 지식과 논리적 지식을 주변 세계에 연결시켜 실천적 깨달음을 이루기 위해선 문학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실질적인 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자 하였으며, 법의식 함양의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문학작품을 통한 문학적 상상력의 활용을 구안하였다. 법과 문학은 둘 다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점, 작품이나 법정에서 갈등상황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밀접한 공통점을 갖는다. 문학은 우리가 알고 있는 현실에서 창조되지만 동시에 우리가 그 삶을 넘어서 대안을 생각하게 하는 모험을 하게 한다.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모험은 학생들의 기존 사고체계에 의문을 갖게 하고, 심지어 규범적인 영역까지도 믿고 따라야 하는 것인지 숙고하게 한다. 총신대학교 산학협력단(손병덕 외, 2019)에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법의식 및 법교육, 법원 및 사법이해」 실태조사 분석결과에 따르면 50.5%의 학생들이 법에 관심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문학적 상상력의 활용은 법교육에 관심이 없는 수동적인 학습자들을 공감과 몰입을 통한 능동적인 참여자로 탈바꿈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분절적인 텍스트로는 학생들의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하여 충분한 몰입을 할 수 없기에, 한 권의 책을 전체를 읽는 국어과 수업 방법인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통해 학생들의 풍부한 상상력의 자극과 정서적 깨달음을 유도하였다. 문학작품의 선정 원리는 교육성, 이해성, 흥미성, 예술성으로 설정하여 그 원리에 따라 프랑크 파블로프의 「갈색아침」을 선정 및 분석한 후, 수업 실천의 방식과 절차를 살펴보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주체적인 근대적 법인식 함양을 목적으로 4단계의 실행연구로 구성된다. 1단계는 사실 확인, 2단계는 공감적 분석, 3단계는 공동 추론, 4단계는 시사점 도출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별 수업에서 발견된 유의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수업은 사실 확인 단계로 학생들의 사전 법의식 확인, 삽화 보고 작품 내용 예상하기, 질문을 통한 작품 이해도 확인으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이 작품에 대한 관심을 가져 법수업에 흥미를 갖도록 하는 단계로, 작품 속 삽화를 보고 작품 내용을 예상하는 활동은 학생들의 궁금증과 다음 수업에 대한 기대를 불러일으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그 결과 질문을 통한 작품 내용 이해도 확인에서도 대부분의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이해도를 보였다. 2단계 수업은 공감적 분석 단계로 작품 속 인물이 되어 갈색아침 낭독회 하기나 작품 느낌 추상화로 표현하기 같은 공감각적 활동과 헌법에 나타난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배우고 사례에 적용·분석해 보는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낭독회를 준비하면서 학생들은 마치 실제 작품 속 인물이 된 것처럼 상황에 맞는 배경음악을 세심하게 골랐고, 자신이 상상한 작품 속 상황에 맞는 대사를 추가로 넣었다. 낭독회 후에는 자신이 느낀 작품에 대한 감정을 추상화로 표현해 보도록 하였다. 오감을 활용한 공감각적 활동은 학생들의 흥미와 상상력을 자극하였고, 헌법에 나타난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배우는 다소 지루한 수업에서도 진지한 자세를 보였다. 뒤이어 유신헌법과 갈색법을 분석할 때는 학생들의 열띤 대화를 볼 수 있었다. 3단계 수업은 공동 추론 단계로 역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무법도시를 상상하여 웹툰으로 표현하기, “악법도 법인가?”라는 주제로 신호등 토론하기, 공동추론을 통해 갈색아침에 필요한 새로운 법안 만들기였다. 3단계 수업은 담화공동체와의 대화를 통해 개인의 사적 법의식을 공적 법의식으로 확장하는 단계로 담화공동체와 함께 만드는 공적 상상력의 활용이 주요한 목적이다. 학생들은 역브레인스토밍이나 신호등 토론을 하면서 기존 법의식에 인지 불평형이 일어나고, 담화공동체와의 추론을 통해 기존의 스키마를 변형시켜 평형화를 회복한다. 이는 학생들이 가진 기존의 스키마 즉, 규범적인 법의 명령까지도 변화시시킬 수 있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뒤이어 갈색아침에 필요한 법 만들기에서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자세로 새로운 법안을 만들기 위해 토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인권을 위한 법의 역할을 깨닫고 능동적 주체로서의 시민의 역할을 경험하고 있었다. 4단계 수업은 뒷이야기 상상하기, 관심 분야 법 발표하기, 사후 법의식 확인하기로 학생들의 창조적인 법의식의 표현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뒷이야기 상상하기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상상력을 마음껏 펼쳤는데 갈색아침의 국가는 인권이 보호되지 않고 있다며 시위대를 조직해서 항의한다는 아이, 대통령을 탄핵시키기 위해 서명을 모은다는 아이, 대통령의 억압적인 정치에 재판을 연다는 아이 등 학생들의 확장된 법의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뒤이어 관심 분야 법 발표하기에서 흥미로운 점은 발표 활동은 학생들이 원해서 진행된 것이었다는 점이다. 앞의 공동 추론 토의 과정 중 궁금한 법에 대한 물음이 나왔고, 학생들은 직접 관심 있는 법을 조사하여 발표한다고 말하였다. 어렵고 무섭게 느꼈던 법이 학생들의 세상 속에 하나의 합리적인 도구이자 흥미로운 대상이 된 순간이었다. 친구들의 발표를 보며, 나머지 앉아있던 학생들도 몰입하였고, 몇몇 학생들은 궁금한 분야의 법에 관해 질문을 던지기도 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분석을 위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여 학생들의 법의식 향상 정도를 확인하였다. 양적 분석 방법으론 프로그램 사전·사후 동일한 설문지로 양적 검사를 실행하였는데, 인지/정서/행동 전 영역에서 고루 학생들의 법의식 신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적 분석 방법으론 사전·사후 법관련 생각그물 그리기 활동을 통해 가지수와 단계의 확장으로 법의식의 향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문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법의식 함양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교육에서 문학작품을 통한 문학적 상상력의 활용은 학생들의 흥미와 상상력을 자극하여 수업에의 몰입을 높인다는 점에서 법교육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인지적 영역에서 생각그물에 나타난 법관련 지식의 확장과 학습자가 법의 주체인 근대적 법인식으로의 전환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정서적 영역에서 학생들의 실생활 관련 법 흥미도와 신뢰도가 향상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되었다. 넷째, 행동적 영역에서 학생들의 발화에서 법 사용의사와 법 효능감이 보이고 양적 검증에서 행동적 영역의 법의식 점수가 상승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문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픽토리(Pictory) 표현 연구 : 연구자 작업을 중심으로

        이정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67

        This thesis aims to propose a new art form called 'Pictory,' which combines two terms: 'Pictures' and 'Stories.' In other words, pictures and stories are combined to offer audiences a chance to experience visual fun and literary emotion simultaneously. The goal is also to study its production process and forms. Pictures and literature are artistic mediums that allow people to experience life indirectly.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pictures and literature, according to the times and circumstances, are related to individual experiences and knowledge. When these works are projected into the lives of viewers and understood, they evoke stronger emotions and bring about change. Therefore, the 'Pictory' that I developed embraces various visual literacy skills through painting and literature. It is also an art form that actively encourages viewers to bring up their experiences and imagination. The beginning of the study on Pictory came from my experience of drawing illustrations for books. My aim has been to make the illustrations be recognized not only as supplementary to the book's contents but also as great works with literary value. As seen in Chapter II,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concept of Pictory is as follows: First, select a motivational literary work. Second, choose the core scenes of the story from the selected literature and draw illustrations for them. Third, during the drawing process, determine the general plot of the story by reorganizing the literature. Fourth, draw illustrations that will contain the author's own interpretations and messages based on the previous story’s composition. Fifth, reconstruct the story based on the produced illustrations and create a Pictory book with them. Lastly, display the completed illustrations and the book together in an exhibition spac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xhibition space allows viewers to see the book scenes directly and spatially. Based on the concept of Pictory, I produced a picture book titled 'Sungsungi Has Found.' For this work, I reviewed the authors, historical backgrounds, and narrative structures of 'Sooksoonyeom, who will make this thought come true' by Hong Gil-joo and 'Mongyudowon,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by Prince Anpyeong. These works helped enhance my literary imagination, as presented in Chapter Ⅱ, Section 2. In Chapter Ⅲ, Section 1, I summarized the narrative themes that served as motivations for the creation of the 'Who will make this idea come true' Pictory exhibition works. Particularly, I expressed the theme of 'gap,' which appears in 'Sooksoonyeom,' as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dreams in my work. The gap represents both the entrance and exit to the place where wishes come true, i.e., to Mongyudowon. Next, I interpreted Prince Anpyeong's dream story in 'Mongjudowon' as a space where happiness and aspirations come true in Mureungdowon. In Section 2, I analyzed Pictory expression techniques as a literary-imagination-picture. I integrated folk painting materials into my painting style and explained the symbolism of a monkey, a dragon, a phoenix, Haetae (a unicorn lion), Hyeonmu (a black tortoise), and a peach in the picture. These symbols appear in 'Seosukakwondo,' a 10-panel folding screen depicting a paradise where Seosu, imaginary animals, live to pray for bless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I have also tried to convey my message of wishing for family happiness by contrasting intense colors. For example, for the sake of expressing the strong will for life, I mostly used red colors that seem to be confident, powerful, active in the work <Found> which is derived from <Mongjudowon-do>, and furthermore, I depicted the green peach that desires them in marked contrast to them. In the work <Seosukakwondo>, the green forest of stability and the blue ocean of conformity made a contrast, symbolizing sentiments for a new challenge and freedom. At last, I aimed to maximize the visual effect that may captivate the viewer’s attention. In this way, I have emphasize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by applying folk painting that reflects our Korean senses, emotions, and thoughts into my work. Thus, I added my modern interpretation to the picture particulars, such as a monkey longing for life, phoenixes as a couple, a dragon as the head of a family, Hyeonmu (a black tortoise) as a spiritual stepping stone, Haetae (a unicorn lion) as a symbol of justice, and a peach as a symbol of good fortune. Lastly, I regard this entire work as an artistic attempt to connect the modern world and tradi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creative contemplation of Pictory. I hav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a complex and holistic art form can be expanded through mutual exchange between painting and literature. However, since the research on Pictory has just begun, a new proposal for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is needed. I look forward to seeking changes and developmen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on this topic. 본 논문은 'Picture'와 'Story'를 합성한 ‘픽토리(Pictory)’ 즉, 그림과 이야기를 결합하여 시각적 재미와 문학적 감동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예술 형식을 제안하고 그 제작 과정과 형식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림과 문학은 삶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예술 매체이다. 그림과 문학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달리 해석되는 것은 개인의 체험이나 지식과 연관된 것으로, 이러한 작품들을 감상자의 삶에 투영되어 이해될 때 더욱 큰 감동과 변화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연구자가 개념을 정립한 '픽토리'는 회화와 문학을 통해 다양한 시각적 문해력을 포용하는 것이다. 또한 감상자의 경험과 상상력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예술 형식이다. 픽토리에 대한 연구의 시작은 본인이 책의 삽화를 그린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책의 내용을 보조하는 삽화의 역할을 넘어서 그림 자체로 문학성을 지닌 작품으로 인정받고자 하였다. Ⅱ장에서 살펴본 픽토리의 설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자의 작업 동기가 될 문학작품을 선택한다. 두 번째, 선택한 문학에서 이야기의 핵심과 주요 장면을 그림의 소재로 도출한다. 세 번째로 그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문학을 각색하여 이야기의 구성을 정한다. 네 번째는 앞의 스토리 구성에 따라 작가만의 해석과 메시지가 담긴 그림들을 그려낸다. 다섯 번째, 제작된 그림들을 통해서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그림들이 수록된 픽토리 책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전시 공간에서 완성된 그림들과 책을 함께 배치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그림과 책들을 배치할 때, 전시 공간 자체가 책 속의 광경을 감상자들이 직접적이고 공감각적으로 경험될 수 있도록 한다. 연구자는 <숭숭이가 찾았다>라는 그림책을 제작하였는데, 이 책의 동기부여가 된 홍길주의 <숙수념>과 안평대군의 <몽유도원>에 대한 저자와 시대적 배경, 서사적 구조를 살펴보고, 특히 연구자의 문학적 상상력에 도움을 준 부분을 짚어내어 Ⅱ장 2절에 정리해 보았다. Ⅲ장 1절에서는 앞의 내용을 토대로 <누가 이 생각을 이루어 주랴> 픽토리 전시작품들의 창작 계기가 되었던 서사적 주제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숙수념>에 등장하는 ‘틈’은 연구작에서 현실과 꿈의 경계로 표현되었다. 이 ‘틈’은 염원이 이루어지는 곳, 즉 무릉도원으로 가게 되는 입구이자 출구이다. 다음 <몽유도원>의 안평대군의 꿈의 이야기를 연구자는 무릉도원에서 알게 되는 삶에 대한 행복과 그에 대한 염원이 이뤄지는 공간으로 해석되었다. 2절에서는 이러한 문학적 상상화로서의 픽토리 표현기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민화적 소재를 그림 양식에 접목하였는데, 특히 조선시대 복을 기원하기 위해서 상상 속의 동물인 서수(瑞獸)가 사는 낙원의 모습을 10폭 병풍에 그린 <서수낙원도>를 통해서 연구자 그림에 나오는 원숭이, 용, 봉황, 해태, 현무와 복숭아의 상징성을 설명하였다. 연구자는 가족의 행복을 염원하는 메시지를 강렬한 색채대비로 담고자 하였다. 예를 들면, 삶에 대한 강한 의지와 생명력을 표현하고자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차용한 연구작 <찾았다>에서는 확신과 자신감을 주는, 힘차고 역동적인 붉은색을 주로 표현하였으며, 그것을 염원하는 초록색 ‘복숭아’와 대비시켰다. 연구작 <서수낙원도>에서는 안정감을 상징하는 초록색 ‘숲’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파란색의 ‘바다’가 대비를 이루어 새로운 도전과 자유에 대한 정서를 상징하였다. 이를 통해 감상자들의 시선을 이끄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렇듯, 연구자는 우리의 감각, 정서, 사상 등을 담은 그림인 민화를 작품에 접목함으로써 과거에서 미래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현재의 시대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민화의 소재이지만, 삶을 염원하는 원숭이, 부부로서의 봉황, 한 가족의 가장인 용, 정신적 징검다리인 현무, 정의의 상징인 해태, 복을 상징하는 복숭아와 같은 그림 소재에 연구자만의 현대적인 해석을 가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픽토리에 대한 이론적이고 창작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현대와 전통을 잇는 시대성을 지닌 예술적 시도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회화와 문학이 상호교류하여 복합적이고 전체적인 예술 양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다만 연구자에게 픽토리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로써,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새로운 제시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창작을 통해서 픽토리 전시 체제 구축으로 이어질 것이다.

      • 문학적 상상력 : 바슐라르와 라캉의 이론과 실제

        이지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351

        Recent scholarship has brought up a new approach to literary studies that deals with the unprecedented challenges facing culture and civilization. These challenges were initiated by the revolution of cognitive science and the accompanying advent of the posthuman era, which demanded new perspectives of human beings and their world through literary researches. With this revolutionary change in mind, this dissertation tries to reconceptualize imagination by unifying the theoretical works on imagination of Gaston Bachelard and Jacques Lacan. Throughout Western history, the concept of imagination have been evolved from the ancient, as in the book of Genesis, to contemporary times.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imagination has been conducted across a range of fields including philosophy, science and literature. Although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ystematize the concept of imagination, it has been largely neglected or misunderstood in general because of both the range of its application and the complexity of its formations. It can be said this was the case until Sigmund Freud introduced the dynamics of the unconscious and Bachelard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poetics and imagination. Previous studies on imagination have been done separately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analysis and literature. However, I integrate two divergent approaches on imagination: the literary view of Bachelard and the psychoanalytic view of Lacan. On the one hand the two approaches seem to take different directions; Bachelard tries to find the mechanism and methodology of human imagination by emphasizing the ambiguity and polysemy of literary language and image whereas Lacan pursues to realize the scientification of psychoanalysis. Nonetheless, despite this disparity in their respective conceptualization, I argue that both of them are mutually inclusive to the full understanding of imagination. Even though very little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theories of Bachelard and Lacan, there are a few scholars who are interested in finding some common ground between them. Taking into account Tom Eyers’s pioneering research on the subject, this dissertation aims to gain a new insight into the concept of imagination, investigating both distinctness and commonness between Bachelard and Lacan. In a sense that the unconscious has been considered as the source of human imagination, this dissertation is devoted to explicating the theories of Bachelard and Lacan upon the common ground of psychoanalytic perspective. Lacan who returns to Freud with an emphasis on linguistic and mathematical formalization particularly provides a possibility of getting access to the Real by way of the function of the Imaginary. After outlining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Bachelardian theory and Lacanian psychoanalysis in the discussion of the function of imagination this thesis also attempts to analyze some literary works of Arthur Conan Doyle, Robert Louis Stevenson and Edgar Allan Poe from the viewpoint of imagination. For the gradual development of the argument, chapter Ⅱ examines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particularly his concept of poetic reveri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Bachelard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the fields of French epistemology at first and then shifts to a theory of imagination, especially centering on literary images. According to Bachelard, since literary expression itself is autonomous, literary imagination is by no means a mere reproduction of perception.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one can broaden the horizon of imaginative thinking, consequently experiencing the creation of language and original psychic vitality. Furthermore, Bachelard argues that psychoanalysis would be one method to find special literary images that touch the depths of the human soul. Chapter Ⅲ scrutinizes Lacan’s psychoanalytic theory, especially the concept of the Real. Lacan introduces three psychoanalytic orders: the Symbolic, the Imaginary and the Real. He expounds that as we, human beings, enter the Symbolic Order, we are inescapably subjugated to the socioeconomic structure, being taken away from the imaginary satisfaction that is the primal pleasure given by mother-infant attachment during the pre-oedipal phase. Since then, human beings have ceaselessly tried to recover their lost primal satisfaction but there has been always an unbridgeable gap between reality and the primal image. At this juncture, this dissertation expostulates how this gap is bridged with Lacan’s related concept of fantasy, highlighting its significance as a paradoxical, dynamic mental-process. In chapter Ⅳ, in order to illuminate the conjunction between Bachelardian and Lacanian approaches to the imagination, this dissertation firstly explores the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the subject, especially that of Eyers. He suggests highly original and useful resource of the conjunction. However, Eyers’s thesis, while elegant, does not deal with Bachelard’s later study on imagination. Therefore, my study aims to advance the related research one step further by making sure that there is certainly a meaningful conjunction between the theories of Bachelard and Lacan. Most importantly, under the theme of literary imagination there is a distinct possibility to postulate the Bachelardian imagination as a way of traversing Lacanian fantasy and encountering the moment of the Real by conjoining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within a poststructural-psychoanalytic context. Chapter Ⅴ delves deeper into the significant moments that help the readership to exert their faculty of imagination by analyzing some of 19th century British and American literary works, such as: Doyle’s A Study in Scarlet, “The Yellow Face”; Stevenson’s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de; Poe’s three sea narratives, The Narrative of Arthur Gordon Pym of Nantucket, “Ms. Found in a Bottle,” and “A Descent in the Maelström.” These works contain abundant and kaleidoscopic literary images that blur the boundary and limitation of language. By analyzing these literary texts from the perspectives of Bachelard and Lacan,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they help to broaden the horizon of human imagination and at the same time embody the working of imagination in their literary thematic formation.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makes a strong argument for the conjoining nature of Bachelardian theory of imagination and Lacanian concept of the Real in the scholarship of literary imagination. Moreover, I maintain that the investigation of both the conjunction and the disjunction between the Lacanian Real and Bachelardian imagination offers a new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aradigm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imagination and human lives in the symbolic world where the faculty of imagination is absolutely more essential to meeting the growing demand of this postmodern, global environment. Furthermore, by applying the theories of Bachelard and Lacan to the analysis of literary works, this dissertation opens up a new interpretation of the literary texts and proves how literary imagination broadens and cultivates the minds of people in a positive way within the 21st century sociocultural milieu.

      • 문학교육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이은민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50

        이 연구는 문학교육과 윤리교육의 매개체로서 도덕적 상상력을 고찰하고 문학교육을 통해 이를 신장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문학텍스트의 수용과정에서 도덕적 상상력이 발현되는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도덕적 주체로서의 학습자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현대윤리는 기존의 선험적인 윤리 지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수많은 도덕적 갈등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윤리는 보편적인 지식을 다루는 데는 강점을 지니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 문학은 구체성과 특수성은 강하나 보편성을 구안해 내기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이에 도덕적 상상력은 상상력을 윤리적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서사윤리학을 매개로 문학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서사윤리는 서사의 윤리적 기능과 문학의 서사적 형식을 종합한 영역이다. 서사와 윤리는 서로 다른 영역이지만, 윤리는 서사를 통해 대안적 윤리를 모색하였고 서사 역시 윤리를 통해 삶과의 연관성을 중시해왔다고 할 수 있다. 서사윤리란 불변하는 보편으로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새로운 특수가 기존의 잠정적 보편 윤리에 통합해 나가는 수정 가능성이 열려 있는 것임을 의미한다. 특히 소설은 인간의 갈등과 충돌, 선택을 통해 무엇이 윤리인가를 보여주고 독자의 평가나 판단을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관점들의 정합들로 이루어지고 수정 가능성을 인정하는 열린 구조를 제공해 준다. 문학에서 윤리적 가치는 텍스트 속에 형상화되어 내재해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명제 형식으로 직접 인지할 수 없으며 추체험을 통해 자기화해야 한다. 즉 작품 감상 결과 내면화에 앞서 독자가 문학의 윤리적 가치를 경험하는 방식이 무엇인가 먼저 해명되어야 한다. 이때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신장이 그 간극을 매워줄 매개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는 문학 작품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 요소를 구안하여 생명윤리의 영역 중 자살, 사형, 안락사, 생명 복제를 다룬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윤리적 쟁점을 파악하고 이 쟁점이 드러난 실제 작품을 문학적 상상력과 사고 활동 구조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 요소를 통해 해석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도덕적 주체로서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구안하였다. 학습자는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발달단계를 거쳐 문학에서의 윤리적 또는 도덕적 가치를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여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도덕적인 인간으로 살아가는 주체로 성장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렇게 문학 감상이 이루어질 때 윤리 실천으로서의 문학교육은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며 문학의 눈으로 윤리 보기를 실천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는 문학을 통해 폭 넓은 가능성의 실현과 자아의 발달을 포용하는 기제로서 도덕적 상상력의 위치를 논한 것에 의의가 있다.

      • '살아보기'와 '거리두기'를 활용한 역사동화 지도 방안 연구

        서민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32

        이 연구는 ‘살아보기’와 ‘거리두기’를 활용한 역사동화 지도 방안을 설계하고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적용해봄으로써, 지도 방안이 초등학생들의 역사동화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역사동화는 과거의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이 결합되어 창작된다. 이러한 역사동화는 현재를 살아가는 어린이들에게 마치 과거에 살고 있는 듯한 생동감을 느끼게 해 주고, 이를 통해 어린이들은 현재 자신들이 살아가고 있는 삶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하지만, 기존에 이루어진 역사동화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는 a) 역사동화의 문학 교육적 가치를 등한시하고, 역사동화를 단지 역사학습의 수단으로 활용하거나, b) 역사동화 수업이 말하기나 쓰기 학습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한계들에 주목하여 교육연극 드라마에서 사용하는 ‘살아보기’와 ‘거리두기’를 활용하여 역사동화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역사동화의 문학 교육적 가치와 중요성을 재고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업에 활용할 역사동화는 어떤 기준을 가지고 선정할 것인가? 둘째, ‘살아보기’와 ‘거리두기’를 활용한 역사동화 지도 방안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셋째, ‘살아보기’와 ‘거리두기’를 활용한 역사동화 지도 방안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역사동화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수업에 활용할 역사동화 선정기준을 Linda S, Levstik·Keith C, Barton(2007), 김민정(2006), 임성규(2008)의 연구를 참고하여 정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선정된 10개의 역사동화 작품 중 『책과 노니는 집』, 『서찰을 전하는 아이』의 두 작품을 선정하였고, 김주연(2010)이 제시한 과정드라마의 원리와 스키마 이론을 바탕으로 역사동화 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한 지도 방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 과정 및 결과를 교사의 수업일지, 학생들의 드라마 활동 소감문, 학생들과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살아보기’를 활용한 역사동화 수업은 학생들의 문학적 상상력 중 인식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학생들은 ‘살아보기’를 통해 역사동화 속 인물이 되어, 동화 속 인물과 같이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역사동화 속 작품 세계를 파악하고 역사동화 속 인물의 사고와 감정에 공감할 수 있었다. 둘째, ‘거리두기’를 활용한 역사동화 수업은 학생들의 문학적 상상력 중 조응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고, 창조적 상상력의 신장에도 도움을 주었다. 학생들은 ‘거리두기’를 통해 동화 속에서 빠져나와 자신이 살아보았던 인물과 시대, 겪었던 사건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문학작품에 대해 통찰할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공감과 비판능력을 형성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학생들은 역사동화가 현재를 살아가는 자신들의 삶에 주는 의미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역사동화의 문학 교육적 가치에 주목함으로써 학생들이 역사동화를 문학작품으로써 온전히 이해하도록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앞으로 현장에서 역사동화의 문학 교육적 가치에 초점을 둔 역사동화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배려윤리의 교육방법 연구:누스바움의 공감과 문학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최수경 조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5

        In this study, I contend that nurturing literary imagination is essential as the way of practicing caring. Educating literary imagination enables students to have an attitude to practice caring others. The attitude itself is empathy. Because empathy is the first step to take practicing caring others, educating literary imagination is important. 본 논문에서는 배려윤리 교육의 방법으로서 문학적 상상력을 키우자는 주장을 한다. 문학적 상상력에 대한 교육은 배려를 실천할 수 있는 마음의 자세를 갖추게 되는 것이고, 그 마음의 상태가 바로 타인에 대한 공감이다. 공감은 배려를 실천 할 때 반드시 거쳐야할 첫 관문이기 때문에 문학적 상상력에 대한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배려윤리를 실천 할 수 있게 해주는 가장 중요한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환상 동화 지도 방법 연구

        박소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86

        이 연구의 목적은 환상동화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여 문학적 상상력 신장, 자아실현의 기회 제공, 현실 인식의 가치를 내면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환상동화의 가치를 밝히고 문학 교육적인 필요성을 제고하였으며 시대의 흐름, 아이들의 흥미 등의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교육 과정 상에서의 필요성을 재인식 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합한 환상동화를 선정하고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환상동화의 이해부터 시작하여 문학 교육적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환상동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치들의 내면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먼저 환상동화의 개념과 범위,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이는 다양한 논의가 있어 왔던 환상동화의 범위를 한정한다. 환상동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문학적 가치를 세 가지 도출하였다. 그 후 기준을 세워 적합한 환상동화를 세 가지 선정한 후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모색하였다. 지도의 실제에서는 계발한 지도 방법을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여 아동들이 환상동화를 올바르게 읽어보고 이를 통해 상상력 증진, 현실 인식, 자아실현을 체험하도록 하였다. 수업 적용 결과 환상동화 수업이 위에 제시한 세 가지 가치를 획득하는 데 효과가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환상동화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효과적인 문학 교육을 위한 방법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상동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꾀할 수 있었다. 그동안 저평가 되었던 환상동화의 위상을 밝히고 가치를 재인식하도록 할 수 있었다. 둘째, 환상동화를 함께 읽으며 구조와 내재된 가치 파악, 작품과 작품을 연결해보는 등의 과정을 강조하여 환상동화의 감상과 수용의 측면을 간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었다. 셋째, 개작과 모작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의 문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환상 요소와 바꿀 장면 모두 학습자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율권을 바탕으로 마음껏 상상해볼 수 있기 때문에 문학적 상상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크다. 넷째, 주인공이 되어 자신의 소망을 실현시켜보면서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주인공이 되어보기는 다른 서사를 통해서도 이룰 수 있지만 소망 실현이라는 구체적인 지시를 통해 학습자는 자아를 실현하는 데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작가의 문제의식 또는 생각이 담긴 작품을 읽으면서 환상의 세계가 단지 허구적 세계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현실을 반영함을 깨닫고 이를 통해 현실을 재인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초등학교 교육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환상동화의 가치를 밝히고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계발하였다. 환상동화 지도 단계에 맞춰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the teaching methods of Children’s fantasy. Using the methods, students can enhance literary imagination, get the opportunities of self-realization, improve realistic recogn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 clarify the value of fantasy fairy tales. And I consider many elements like chronological change, interests etc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fantasy fairy tales in the curriculum. Also I select the fantasy fairy tales for the 3rd grade students and find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to internalize three literary values. W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purpose is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2 deals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s definition, scope, types and characteristic of the fantasy fairy tales.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scope because of the various discussions. Also I select 3 literary values; literary imagination, the opportunities of self-realization, realistic recognition through the fantasy fairy tales. Furthermore, Chapter 3 examines learning standards and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to analyzes the actual status of fantasy education. In addition, I select 3 children’s fantasy based on the appropriate criterion and propose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y were applied to 3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results are given. As a result a class using fantasy teaching-learning methods can arouse literary imagination, emotion, realistic recognition and get the opportunities of self-realization. Also, Fantasy fairy tales can arouse students interests and methods are effective.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5. First, The recognition of fantasy fairy tales has been changed. In the meantime, it has been undervalued. So I revealed the status of the fantasy fairy tales and also learners have a new understanding of it. Second, Learners can improve their literal imagination through adaptation or imitation of the works. They can select the fantastic elements. After that, they can change the part or the entire of the fantastic elements. Through those works they can get the opportunity of improve their literal imagination. Third, Learners can get the opportunities of self-realization through the works called become a main character. Though self-realization is the effect which many kinds of literature can arouse, but learners focus on the desire that has to be achieved. It goes on step better. At last, Learners not only recognize that fantastic world reflects the real world, but also understand the real world. Authors imply their critical minds or thinking in their works. Learners and authors can share the common ideas about the world, so learners improve their awareness of the real world. The present study clarifies the value of the fantasy tales and develop the method to apply to the teaching-learn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the work focused on the stage that can utilize to the elementar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