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1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서민희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1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서 민 희 본 연구는 생활 그림책을 바탕으로 가정연계 놀이가 만 1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1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1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하위요인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1.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1세 영아의 예절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1세 영아의 질서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1세 영아의 청결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4.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1세 영아의 절제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강원도 S 시에 소재한 국공립 D 어린이집과 국공립 I 어린이집 영아 30명을 대상으로 이중 D 어린이집 만 1세영아 15명을 실험집단으로, I 어린이집 만 1세 영아 15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 1세 반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측정을 위하여 이은화 외(1996)가 개발한 ‘기본생활습관 평가척도 개발 연구’를 기초로 서미경(2004)이 영아발달에 맞춰 수정·보완한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평정 척도는 4개 하위요인의 총 40문항으로 되어있으며, 교사는 영아의 행동과 일치되는 정도에 따라 ‘매우 그렇다.’ 5점,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아니다’ 2점, ‘전혀 아니다.’ 1점 평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절차는 2021년 5월 10일부터 12일까지 S 시 A 어린이집의 만 1세 영아 5명을 대상으로 예비실험을 하여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기본생활습관 형성 지원 활동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였고, 2021년 5월 13일부터 14일까지 S 시 D 어린이집의 만 1세 영아 5명으로 예비검사를 하여 검사 도구의 적절성 및 검사 소요시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2021년 5월 17일과 18일 총 2차례 교사 훈련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절차에 맞게 설명하고 연구 전반의 검사측정 방법 등에 대한 교육 및 세부내용 협의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하기 전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사전검사를 2021년 5월 20일부터 21일까지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 처치는 2021년 6월 14일부터 2021년 9월 24일까지 주 2회 12주 동안 총 24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실험 처치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사후검사는 2021년 9월 27일부터 29일까지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측정 도구의 사후검사를 하였다.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1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5점 척도의 기본생활습관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 그림책을 활용하여 가정연계 놀이를 진행한 실험집단과 기관에서 생활 그림책 읽어주기와 놀이를 한 비교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공분산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생활 그림책을 활용하여 가정연계 놀이가 만 1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생활 그림책을 활용하여 가정연계 놀이를 진행한 실험집단과 기관에서 생활 그림책 읽어주기와 놀이를 한 비교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공분산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생활 그림책을 활용하여 가정연계 놀이가 만 1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하위요인인 예절, 질서, 청결, 절제 형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생활 그림책을 활용하여 가정연계 놀이가 만 1세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기본생활습관 하위요인에 실험 전보다 실험 처치 후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을 적용하여, 만 1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한국 고등학생들에 대한 Holland 직업흥미이론의 문화간 타당도 평가

        서민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인의 직업흥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업흥미검사를 이용하며 이러한 검사들의 대부분은 Holland의 직업흥미이론을 기초로 제작되었다. 직업흥미이론은 미국 백인들의 직업흥미구조를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한국에서 그러한 이론과 검사도구가 정확성과 유용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한국 사람들의 직업흥미구조도 미국 백인들의 그것과 유사하다라는 가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직업흥미이론이 전제로 하고 있는 가설들이 한국에서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기 위하여 Holland 직업흥미이론의 문화간 타당도를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Holland 직업흥미이론의 문화간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크게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로 분류하여 내적 타당도는 이론의 구조적 가설인 순환순서가설과 주변관계가설에 대해 평가하고, 외적 타당도는 검사가 예측하고 있는 행동과 검사점수와의 관계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자료로는 한국 고등학생들의 직업흥미를 측정하기 위하여 Holland이론에 기초하여 제작된 표준화검사인 종합진로적성검사에 응답한 1,44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내적 타당도 평가를 위한 순환순서가설에 대해서는 RANDALL 프로그램에 의한 무작위검사를, 주변관계가설에 대해서는 LISREL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으며 한국 고등학생들의 직업흥미구조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SPSS 10.0에서 지원하는 ALSCAL에 의한 다차원 척도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외적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Holland의 6유형과 관련된 계열을 선택하여 계열에 따른 각 유형 점수의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에 의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작위검사 결과 한국 고등학생들의 자료로부터 얻은 일치도 계수는 낮게 나타났으며 분석 결과 나타난 일치도보다 더 낮게 나올 확률도 높아 Holland가 가정한 순환순서가설과 유사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주변관계가설을 적용한 모형은 간명성에 있어서는 비교적 적합한 모형이라고 볼 수 있으나 경쟁모형인 주변관계가설을 적용하지 않은 모형보다는 합치도 지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각 유형들간 상관의 크기관계에 있어서 그 순서가 틀린 경우도 있으므로 주변관계가설 역시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에 의해서는 지지될 수 없었다. 셋째, 다차원 척도법에 의한 결과 모형의 합치도나 설명력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한국 고등학생들의 직업흥미구조는 RIASEC이 아닌 RIEASC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정육각형의 모양이 아니었다. 넷째, 분산분석에 의한 결과 과학계열은 탐구형에서, 농·공계열은 현실형에서, 예술계열은 예술형에서, 그리고 상업계열은 관습형에서 다른 계열보다 가장 높은 점수를 보임으로써 Holland이론이 예측하는 결과와 그것에 따른 행동이 일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볼 때, Holland의 직업흥미이론은 이론이 지지하는 유형과 환경과의 대표성은 일치하므로 개인들의 직업흥미를 측정하는 데는 타당한 검사이론으로 볼 수 있으나 육각모형(Hexagonal Model)에서 각 유형들간의 순서나 상관의 크기관계가 직업흥미이론에서 예측된 바와 달라 구조적 가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따라서, Holland의 직업흥미이론은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나 한국 학생들의 직업흥미구조의 형태를 반영하여 그에 적합하게 재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업흥미구조는 모든 집단에게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각 집단이나 개인의 영향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검사 결과 해석이 내려질 수 있는 직업분류는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관성/객관성, 보수성/진보성의 차원에서 재분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Vocational interest test is used for understanding one's vocational interest, a test that is mostly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heory. Because the theory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vocational interest of Anglo -Americans, the assumption that the structure of vocational interest of Americans are like that of Koreans must be the premise to acquire accuracy and utility of the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est when used in Korea.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oss-cultural validity of Holland's theory though analysis how well the hypothesis of the theory applies to the Koreans, the culturally different population from one on Which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heory was developed. To evaluate effectively, Holland's theory needs to be dissected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the sense of validity. Internal validity means evaluating the circular order hypothesis and circumplex hypothesis, while external validity means assessing the relation of test scores and performances that the test theoretically predicts. The data of the study was the reponses of 1,445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who completed the Comprehensive Vocational Aptitude Test based on the Holland's theory.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randomized test by RANDALL program for the circular order hypothesi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LISREL for circumplex hypothe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by ALSCAL to find the structure of vocational interests. Also, for evaluating the external validity, each student's field was classified into one of Holland's six types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scores of each type by ANOVA was compar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ose research methods. Firstly, the randomized test turned out that the data from the Korean students indicated lower Correspondence Index and higher p value not fitting in with the Holland's circumplex hypothesis. Secondly, although the model applied with the circumplex hypothesis was relatively a good model, Fit Index was low compared to the model that was not applied to the circumplex hypothesis. And because the order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type may be different, circumplex hypothesis couldn't be supported with the data of this study. Thirdly, as a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there was no problem in explaining the Fit Index, but vocational interests of Korean students appeared not as RIASEC but as RIEASC which was not a shape of a cube. Lastly, the result of dispersed analysis showed that scientific field had the highest scores on investigative type, agriculture and engineering field on realistic type, art field on art type, and commercial field on conventional type, thus, being consistent with Holland's theory. Based on the outcome of the study, the model supported by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heory accords with the representative of career environment. And so, it is a valid evaluating theory to assess individual vocational interest but the question is whether the structural hypothesis of order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each type in hexagonal model can be applied given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estimation of Holland's theory. Therefore, Holland's theory can be used in Korea but it might be re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vocational interest of the Korean students. Vocational interest does not appear the same in all groups, instead it might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type of group or individual. 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ocational grouping might reclassified in the level of subjectivity/objectivity and conservativeness/progressiveness.

      • 콘서트용 모음곡의 발레클래스 음악화에 관한 연구 :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중심으로

        서민희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용을 위한 모음곡은 바로크 시대에 와서 연주회용 모음곡으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이 연주회를 위한 음악을 다시 무용을 위한 음악으로 바꿔보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발레클래스에서 음악은 수업의 분위기를 좌우하고 신체적 기능을 도우며 동작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하는 등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레음악가들은 한정된 시간 안에 발레와 어울리며 작품성 있는 음악을 찾고 그 형식에 맞추기 위해 노력을 하게 된다. 그러나 필요한 곡의 수에 비해 많은 수업일수와 한정된 준비 시간은 무용 음악 레퍼토리 부족이라는 벽에 부딪힐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서양음악 문법이 체계화되는 시대이자 무용과 관련된 모음곡이 발전한 바로크 시대의 모음곡을 연구하게 되었다. 모음곡은 각 지역 춤의 반주 음악을 모아놓은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음악적으로 형식이 생기고 통일성을 갖게 되면서 연주회용 악곡으로서의 완성도를 가지게 되었고 무용에서도 독립하게 된다. 연구 제재곡으로 선택된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알르망드-쿠랑트-사라방드-지그 순서의 모음곡으로서 정형성을 보여주는 작품이자 최초의 독주용 첼로 연주곡이라는 의의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곡을 통해 첼로는 바로크 시대의 통주저음 악기로 사용되었던 것처럼 낮은 음역에서 화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독주 악기로서 선율적 성격 또한 분명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이유로 이 곡을 선택하였으며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제재곡을 구성하는 시대와 형식, 음악 요소 등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후에 발레클래스 동작과 어울리는 특징을 찾아 각 곡을 짝을 짓고 그 형식에 어울리도록 편곡하였다. 무용에 쓰이던 모음곡이 연주회곡으로 발전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다시 발레클래스 음악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하여 앞으로도 발굴되지 않은 음악을 발레클래스 음악으로 연결하여 더 다양한 음악이 사용되고, 발레클래스 음악으로서 모음곡, 바흐, 바로크 음악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진다면 이 논문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e suite for dance came to the Baroque Period and turned into a concert suite. Then, why don’t you transform the suite for performing music back into the suite for ballet? In ballet classes, music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fluencing the mood of class, helping to maximize bodily functions, and maximizing the beauty of motion. To do this, ballet musicians strive to find artistic music that would fit to the technical requirement of the ballet in a limited amount of time. However, compared to the number of songs required, many lesson days and limited preparation time cause the dance music repertoire to run shor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is situation, I studied the suite of the Baroque period in which the grammar of Western music was systemized and the suite related to dance developed. The suite begins with a collecting musical accompaniment from each local dance, which has influenced ballet in the later. As time went by, it develops into a musical forms and unity, and becomes perfected as performing music and becomes independent of dance. Bach's unaccompanied cello suite, selected as a research title, is considered to have the significance of being the first solo cello piece to be shown as a composition of the order of Allemande - Courante - Sarabande - Gigue. Through this piece, the cello clearly shows the chord in the low range, as it was used as a thoroughbass instrument in the Baroque period, and also reveals the melodic character as a solo instrument. For this reason, I chose this music. To learn more, I first examined the external elements of music such as Baroque, Bach, and Suite, and the musical elements such as rhythm, melody, variation, etc. After that, I searched for a feature that matched the movement of the ballet class, paired each song and arranged it to match the ballet format. The suite, which was used for dance, evolved into a musical piece, which was reborn as a ballet class music. I hope to continue to transform music that has not been explored in the future into ballet class music, and continue to follow a series of follow-up studies on suites, Bach and Baroque music, and so forth.

      • 한국 성인의 미충족 의료 현황과 관련 요인

        서민희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강 불평등은 보건 의료 접근성에 대한 문제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이는 개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으로 파악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충족 의료 경험의 관련요인을 연령별,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통계분석 결과, 전체 표본의 8.9%가 미충족 의료를 경험했다. 세부적으로 성별, 연령, 결혼상태, 경제활동, 거주지역, 소득수준, 주관적 건강 상태 그리고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미충족 의료 경험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유형별로는 가용성 제한이 48.5%로 미충족 의료 경험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모든 연령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미충족 의료 경험 가능성이 높았다. 세부 연령별로는 45세 미만에서는 결혼상태, 45~74세는 경제활동에서, 75세 이상에서는 거주지역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다. 연령별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세대별로 미충족 의료 경험의 요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경제 활동의 여부는 전체 연령에서 동일하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결혼의 여부와 거주지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형별 분석에서는 경제적 이유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었으며, 가용성이나 수용성 제한에 대한 필요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미충족 의료 경험의 관련 요인에 따른 보건 의료 정책의 다각적인 연구와 변화가 요구된다.

      • 화상 환아 어머니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치료 요구도

        서민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화상 환아 어머니의 외상 경험과 이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립하고자 시도 되었다. 화상 환아 어머니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만 15세 이하의 화상 환아 어머니 87명을 대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척도(PDS)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과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화상 환아 어머니 9명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화상 환아 어머니가 겪는 구체적인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조사하였다. 화상 환아 어머니가 경험하는 구체적인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은 다음과 같다. 화상 환아 어머니는 화상 사건을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화상 사건을 목격하거나, 치료 과정을 지켜보며 간접적으로 외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 환아 어머니는 고통스러운 화상 장면이 반복적으로 생각나는 재경험 증상을 호소하였고, 화상과 관련된 기억, 생각, 감정을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다시 화상을 입을까봐 과도하게 경계하며, 화상 이후 본인과 화상아동을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에 부담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아동의 성별이 여자일 때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유의한 차이(t =-2.04, p < .05)를 보였다. 아동이 입원 하였고(t = 2.05, p < .05), 수술 했을 때(t = 2.19, p < .05)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화상 이후로 성격이 변했다고 느낄 때(아동이 짜증이 늘거나, 신경질적이거나, 내성적으로 변하거나, 소심해졌다)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차이가 나타났다(t = 3.07, p < .05). 표재성 2도, 심재성 2도, 3도 순으로 화상 깊이가 깊어질수록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주었다(F = 3.87, p < .05). 화상 당시 돌본 사람이 어머니이고 사고 장면을 목격 했을 때 외상후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F = 4.75, p < .05). 반면 아동의 연령, 출생순위, 화상범위, 화상 이후 경과 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화상 환아 어머니는 아동의 화상 사건 이후 상당한 심리적 고통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 환아 어머니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은 아동의 성장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화상 환아를 치료하고 양육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화상 환아 어머니에게서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우울, 죄책감, 불안 등의 심리적 부적응 증상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화상 환아 어머니를 위한 심리치료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개발 및 개입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화상 환아 어머니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개별 상담, 집단상담, 가족 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화상 환아 어머니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측정 변인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의 차이와 구체적인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외상후 스트레스의 구체적 증상 확인을 통해 실질적으로 환아 어머니에게 필요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mother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an acute burn accident of the children to contribute in an establishment of a psychiatric program. A short-term, prospective study,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 total number of 87 mothers of children with burn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conductor has directly visited and surveyed the mothers at 3 burn treatment hospitals, Seoul B Burn Professionalized Hospital, Seoul H Burn Professionalized Hospital, and Daejeon B Professionalized Hospital. In addition, to reach out for a further specific stress symptoms, 9 more mothers were interviewed. The data collection took a total of 4 months from August of 2014 to November of 2014.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t stress levels after the accident, and the study concludes as the following. When the child was a female, the stress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 = 2.04, p < .05). When the child was hospitalized(t = 2.05, p < .05), performed an operation(t = 2.19, p < .05), the stress after the acciden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when the mother felt that the child's personality had changed after the accident(feels irritated easily, increase of temper, turns introverted, or becomes timid), stress level shown to be different(t = 3.07, p < .05). However, the child's age, birth order, range of burns, and passed time after the accident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pth of the burn, from partially thick second degree to fully thick second degree and to third degree, has shown to be affected in stress(F=3.87, p<.05). From a comparison of the stress level among "who" had taken care of the child, the stress score resulted high when it was the mother who took care of the child and seen the accidental scene(F = 4.75, p < .05).The mothers of children with burn went through an unintentional repetition of picturing the painful scene of the accident, and were found out that they avoid memories related to burns, thoughts, and emotions. They also perceived the cause and results of the accident wrongly and blamed themselves as a mother of the children that such accident had happened. In addition, they were excessively aware and cautious of another possible burn accident, went through a psychological hardship from an unwanted attention from others due to the scar, had purposely avoided to go outside sometimes, and had a dermatological problem in moisturizing and rehabilitating.

      • 영아교사 성인애착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서민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 간의 상관성 및 영향관계를 분석해보고 영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지역의 영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박성덕, 이우경, 2012)와 교사효능감 척도(홍화연, 2015)와 영아-교사 상호작용 척도(임옥희, 2006)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계수(Cronbach α)를 구하였으며,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차이검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영아상호작용은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안정애착과는 정적 상관이, 회피애착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교사효능감과 영아상호작용과는 높은 상관계수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인애착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안정애착은 반응적 태도와 적극적 활동 참여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보였고, 회피애착은 반응적 태도에만 의미 있는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허용적 태도에는 성인애착의 하위요인들이 의미 있는 영향력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셋째,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학급운영관리, 영아상호작용, 교수활동은 교사의 반응적 태도, 적극적인 활동 참여, 허용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영아교사의 연령, 경력, 결혼여부, 시설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직책과 학력은 의미 있는 영향력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의 모든 교육관계자들의 실무에 반영하여 인적자원인 교사의 성인애착의 변화와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teacher efficacy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2)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and teacher efficacy on infant-teacher interaction; 3)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infant teacher. This study subjects were 189 infant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ere used to test adult attachment types (Park & Lee, 2012), teacher efficacy scale (Hong, 2015),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measurement tool (Lim, 2006). The collec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or correlation among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xplanatory power, reliability test to verify reliability, and ANOVA analysis for difference according to infant teachers' general backgrou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fant attachment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ure attachment has positive correlation and avoidant attachment has negativ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has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effect of the adult attachment type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 to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Secure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sponsive attitudes and active participation, avoidant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ly on reactive attitudes, however not on permissive attitudes. Third,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infant-teacher interaction, there was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Infant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eaching activ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s responsive attitude, active participation, and permissive attitude.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career, marital status, and facility type of the care center, and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us, the effects of the adult attachment and teacher efficacy on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can be reflected in the practices of all infant teachers, which could improve the adult attachment and teacher efficacy of human resources.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policie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teachers behavior level highly.

      • 대학Musical 제작 실습 학습 모형연구 : 명지대학교 뮤지컬공연전공 졸업공연<지하철1호선>을 중심으로

        서민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에서 실시되는 뮤지컬 제작실습 학습의 모형을 도출하여 제작실습 자료들을 분석, 정리하고 표준화함으로써 대학에서의 뮤지컬 제작에 있어서 인력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목적으로, 명지 대학교 Musical 학과 학생들이 실시한 졸업공연 <지하철 1호선>의 공연 기획서부터 제작 과정에 이르는 전 과정을 정리 하였고,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연 제작 시스템을 확립하여 실제 제작실습을 할 때 예비단계, 제작실습 작업 단계 및 제작실습 후 단계에서 체계적인 분석을 해서 보다 발전적인 공연, 제작에 도움을 주려고 했다. 실제 명지 대학교 뮤지컬 학과의 졸업 공연을 모형으로 그동안의 준비경험과 뮤지컬 제작에 활용한 제작서 및 관련 문헌들을 수집 그리고 조사하여 명지대학교 졸업공연을 모형으로 대안을 제시하여 대학교 뮤지컬 공연에서 효과적인 제작실습 모형을 연구하여 보았다. This study purports to produce a musical model created by college students, and also to analyse the related materials, organize their results obtained and standardize its model produced in order to help save manpower and time effectively for the later utilization of this college musical production model. The musical work produced by the college students of the Musical Dept. of Myungji University as their graduation requirement is used to conduct this study and its scope covers the analysis of the preparation stage up to the production stage as well as the post production job to help produce better college musical production. By means of the musical work produced by the Musical Dept. of Myungji University for requirement of their gradu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references and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sents the musical model created by Myungji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