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교양체육 참여학생의 지도자 역할기대와 수업만족도의 관계

        백영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른 교양체육 참여학생의 지도자 역할기대와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역할기대와 수업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고, 교양체육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에게 교양체육의 가치를 인지시키는 것이다. 나아가 평생체육의 디딤돌 역할을 하는 교양체육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라 교양체육 참여학생의 지도자 역할기대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라 교양체육 참여학생의 수업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양체육 참여학생의 지도자 역할기대와 수업만족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에 소재한 10곳의 대학교에서 교양체육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의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400명을 표집 하였다. 배부한 40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결측치가 확인된 46부의 설문지는 분석에서 제외하고 345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WIN 12.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른 역할기대의 차이에 있어서는 성별의 경우 이론위주와 실습위주의 수업진행, 교정적 피드백 위주의 수업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설명위주의 지도방법과 이론위주의 수업진행, 교정적 피드백위주의 수업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증결과 3, 4학년이 1, 2학년에 비해 바라는 역할기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역할기대 평균값이 4, 3, 2, 1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계열의 경우 긍정적 피드백위주 수업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위주의 지도방법은 비사범대 학생, 시범위주의 지도방법은 사범대학생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고, 수업진행과 지도중점 요인은 모두 비사범대 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적 피드백위주의 수업은 사범대 학생, 교정적 피드백위주의 수업은 비사범대 학생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교양체육 참여횟수의 경우 설명위주의 지도방법과 자세위주의 지도중점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결과 2회, 1회, 3회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의 고용직급의 경우 긍정적 피드백위주의 수업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설명위주의 지도방법, 이론위주 및 실습위주의 수업진행, 자세위주 및 실전위주의 지도중점, 교정적 피드백위주의 수업은 초빙교수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고, 시범위주의 지도방법, 긍정적 피드백위주의 수업은 전임교수의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변인에 따른 수업만족도의 차이에 있어서는 성별의 경우 모든 수업만족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평균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사회적 만족과 신체적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에서 1학년, 4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높은 평균값이 나타났다. 사후검증결과 1, 4학년이 2, 3학년에 비해 수업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의 경우 사회적 만족을 제외한 모든 만족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범대 학생이 비사범대 학생에 비해 수업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 대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교양체육 참여횟수의 경우 교육적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후검증결과 2회, 3회 이상, 1회 순으로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지도자의 고용직급의 경우 신체적 만족, 심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임교수가 초빙교수보다 수업만족도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 참여학생의 지도자 역할기대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교양체육 참여학생의 지도자 역할기대는 수업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기대의 하위요인인 설명위주의 지도방법의 경우 심리적 만족과 휴식적 만족에서, 시범위주의 지도방법은 모든 만족도 요인에서, 이론위주의 수업진행은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심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서, 실습위주의 수업진행의 경우 휴식적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위주의 지도중점의 경우 교육적 만족,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서, 실전위주의 지도중점의 경우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서, 긍정적 피드백위주의 수업의 경우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교양체육 참여학생의 지도자 역할기대는 전반적으로 교양체육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양체육에 흥미를 갖지 못하거나 학점이수만을 위해 참여에만 의미를 두는 대학생들이 줄어들고, 질 좋은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교양체육의 가치를 인식시켜 교양체육을 참여하는데 있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나아가 평생체육의 디딤돌 역할을 하는 교양체육의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제도적 방법 등의 다양한 방안과 대책을 강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역할기대 유형에 따른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가족지원 인식의 차이

        정채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장과 가정에서의 역할기대 유형에 따라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가족지원의 인식차이가 있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업에서 풀타임 근로자 중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2016년 4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실시방법은 지필과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졌고 온라인을 통한 실시는 직접 온라인설문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이트 주소를 전송하였다. 지필을 통한 실시는 연구자가 직접 방문을 통해 실시하고 수거하였다. 총 240부를 배포하여 많은 문항의 누락과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24부를 제외한 216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일 가정갈등 척도, 역할기대 척도, 가족 지원 척도, 조직몰입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군집분석을 통해 군집유형을 나누고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역할군집에 따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역할기대가 직장역할기대와 가정역할기대 두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며 구분된 역할기대 유형에 따라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가족지원이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가정역할기대와 직장역할기대는 일-가정갈등, 조직몰입과 정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기대 유형에 따라 일-가정갈등의 차이가 나타났고, 직장역할기대와 가정역할기대가 높을수록 일-가정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근로여성에게 직장역할에 대한 기대와 가정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부담감과 스트레스의 잠재성이 증가하여 일과 가정에서 겪는 갈등이 많아짐을 의미한다. 셋째, 역할기대 유형에 따라 조직몰입의 세 하위영역 중 지속적 몰입의 차이가 나타났다. 가정역할기대와 직장역할기대가 모두 높을수록 지속적 몰입이 잘 이뤄지는 반면, 가정역할기대와 직장역할기대가 모두 낮을수록 지속적 몰입이 잘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역할기대와 직장역할기대가 모두 낮을 때 정서적 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역할에 대한 기대가 모두 낮을수록 일-가정갈등이 줄어듬으로서 이로 인해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장에서의 역할기대보다 가정에서의 역할기대가 높을수록 규범적 몰입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에서의 의무나 책임, 자녀의 양육이 영향을 끼여 직장에서 업무에 집중, 몰입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스스로 조직의 구성원으로 남아있어야 한다는 의무감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역할기대 군집유형에 따라 가족지원의 두 하위영역 중 정서적 지원의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가정역할기대가 낮고 직장역할기대가 높은 집단이 정서적 지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에 대한 가정역할 기대가 낮을수록 가족 안에서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기혼근로여성들의 역할기대로 인해 일과 가정을 병행하며 경험하는 갈등과 조직몰입의 저하를 고려하였으며, 가족의 지원 인식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연구로서 여성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가정과 직장이라는 환경적 측면에서의 기대가 여성 개인으로 하여금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고 가족, 조직 등 갈등에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 진로상담에서 맥락적 환경과 사회적 측면을 함께 다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amily support according to the type of role expecta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married women who worked as a full-time employee on April, 2016.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paper and online, and the site's address was sent in order to access the online questionnaire directly. In case of paper based survey,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urvey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by direct visits. After distributing a total of 24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21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24 copies of which the response was missing and dishonest.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work-family conflict scale, role expectation scale, family support sca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 18.0. The cluster type was divided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then one-way ANOVA was performed according to role clusters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cluster type diffe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role expectation was divided into two subareas: workplace expectation and home expect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ole expectation,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amily support had different patterns. More specifically, workplace expectation and home expect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ccording to the type of role expect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work-family conflict. The higher workplace expectation and home expectation, the more work-family conflic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job role and the expectation of home role for married working women, the greater the burden and the potential for stress, so the conflicts suffering at workplace and at home would increase. Third, according to the type of role expect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sustainable commitment, one of three subarea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gher workplace expectation and home expectation, the more sustainable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the lower workplace expectation and home expectation, the less sustainable commitment. Fourth, when both home expectation and workplace expectation were low, it has been found to enhance emo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role expectation, the lesser work-family conflict, so emotional commitment would increase. Fifth, the higher the role expectation in home than role expectation in workplace, it has been found to reduce normative commitment. This means that they could not concentrate or immerse on their works in workplace because of their obligation to caring their child or home, so duties or responsibilities as a member of their organization in the workplace would be diminished. Sixth, according to the type of role expect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emotional support, one of two subareas of family support. The higher workplace expectation and the lower home expectation, the higher emotional support. This showed that the lower the expectation of home role for women, they recognized much of emotional support in their family. In this study, due to role expecta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in Korea, experiencing conflict and de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work and family were considered, and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family support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xpectation in workplace and home on women should be considered, and these expectation had effect on family and organizational conflict.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textual environment and social aspects should be treated together in women's career counseling.

      •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지각 연구

        이성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2

        Today, our adolescents are growing up in a threatening environment such as school system centered around competitive entrance exams, increase of dysfunctional and disorganized families, expansion of commercialism and hedonism culture targeting adolescent and intensifying social polarization(e.g., families of grandparent as parents, single parent, and multi-culture fami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se extreme social phenomen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re being allocated, starting with vocational high schoo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igh school students’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role and the perceptions regarding their performances. Then it will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to help school counseling plan, which were allocated extensively by Ministry of Education & Science Technology, to be activated and stabilized.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0 students in high schools with professional counselors in Kangwon-do, Gyunggi-do, Seoul, Incheon, and Daeje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wo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paired sample t-test.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expectation level on the professional counselors’ roles in high schools were found to be high. In detail, it was examined the level of counseling administrations area was scored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individual counseling, correction, large group guidance, group counseling, and consultation in order. Also the expectation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on the professional counselors’ roles. Secondly, the students’ perception level regarding professional counselors’ performance in high schools were measured to be a little above average. In detail, individual counseling area was evaluated to be performing best, and the next high areas were counseling, counseling administration, correction, large group guidance and consultation in order. The results from the students level variables involving group counseling, large group guidance, and counseling administration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ve higher perception level than male students regarding professional counselors’ performance. In the aspect of grade level, the lower school year students had a higher perception level about the counselors’ performance.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used h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for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he perception of their performance in high school students, in all areas, relatively high positive relationship were found. In other words, as the student’s expectation on the counselors’ role increases, the students’ perception level regarding the counselors’ performance correspondingly increases. Four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high school students’ expectations for counselors’ role and the perception about counselors’ performance. Although the overall expectation on counselors’ role was relatively high, the perception level about the counselors’ performance was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which means the students’ perception about counselors’ performance was regarded lower than the students’ role expect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professional counselors need to work harder to establish their identity in schools and to aggressively inform students of their role in improving and expand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ounselors. Also, the counselors need to develop more competent skills and experiences in order to meet high school students’ expectation for professional counselors. Furthermore,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professional counselors be appointed to every school for more students to get help and benefits from the counselors. 오늘날 우리 사회의 청소년들은 입시위주·경쟁위주 학교교육, 가족기능 약화 및 가족 해체, 청소년 대상의 상업주의와 향락문화의 확산, 사회적 양극화 경험 심화(조손, 한부모, 다문화) 등 위협적인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극심한 사회현상으로 인해 일어나는 청소년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문계 고교를 시작으로 상담만을 전담으로 하는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 현재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고등학교의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의 지각수준을 조사하여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교육과학기술부의 계획대로 전문상담교사가 확대 배치되어 학교상담이 정상화, 활성화 될 수 있는 발판이 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원도, 경기도, 서울, 인천, 대전 지역의 상담 전담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일원변량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대응표본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역할기대의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상담행정관리 영역이 가장 역할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상담, 조정, 대집단생활지도, 집단상담, 자문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개인 변인별로는 전문상담교사에 대해 여학생의 역할기대가 남학생의 역할기대보다 높았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역할수행의 지각 수준은 보통 수준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개인상담 영역이 가장 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고, 집단상담, 상담행정관리, 조정, 대집단생활지도, 자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개인 변인별로는 집단상담, 대집단생활지도, 상담행정관리 면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수행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자문과 조정 영역에서 학년이 낮을수록 역할수행의 지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가 높을수록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수행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인 역할기대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지만, 역할수행의 지각 수준은 보통에서 조금 상회하는 수준으로 역할기대보다 역할수행이 낮게 인식되고 있었다. 위의 결과에 따라 전문상담교사는 빠른 시일 내로 학교 내에서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갖추고, 적극적인 홍보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켜야겠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전문상담교사가 풍부한 역량과 경험을 갖추도록 노력하여야 하고, 모든 각급학교에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되어 보다 많은 학생들이 전문상담교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 보육시설 교원들이 인식한 시설장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

        김혜란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시설장 자신이 실제 수행하는 역할과 주임교사․일반교사의 시각을 통해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 인식이 어떤지 알아보고,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역할 기대와 주임교사, 일반교사의 역할 기대가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같은 조직에 있는 다른 구성원의 시각에서 역할을 조명해 보고 이를 절충하며 바람직한 시설장으로서의 역할을 찾아나가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시설장, 주임교사, 일반교사의 시설장에 대한 역할기대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시설장, 주임교사, 일반교사의 시설장에 대한 역할수행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3. 시설장, 주임교사,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시설장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간에 관계가 있는가? 3-1 시설장들이 인식하는 자신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간에 관계가 있는가? 3-2 주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시설장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간에 관계가 있는가? 3-3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시설장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간에 관계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보육시설의 시설장 45명, 주임교사 44명, 보육교사 88명으로 총 177명이다. 본 연구도구는 김정희(2008)가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유아교육 전문가 2인으로부터 내용에 대한 타당도를 알아본 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장, 주임교사, 일반교사에 따라 시설장의 역할기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보육시설 교원의 지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장, 주임교사, 일반교사에 따라 시설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보육시설 교원의 지위에 따른 시설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시설장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한 시설장, 주임교사, 일반교사 각각의 인식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설장들이 인식하는 자신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시설장들이 인식하는 자신의 역할기대가 높을수록 역할수행이 높았다. 또한 역할기대 총점은 역할수행 ‘재정관리’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주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시설장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 간에 관계는 주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시설장의 역할기대가 높을수록 역할수행이 높았다. 또한 시설장의 역할기대 총점은 역할수행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시설장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 간에 관계는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시설장의 역할기대가 높을수록 역할수행이 높았다. 또한 시설장의 역할기대 총점은 시설장의 역할수행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actical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and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directors' role performance from the viewpoint of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This study also was to propose the desirable role of child care directors by compromising the role expectation of child care directors,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different view of members in same organization. Questions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directors,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n the role expectation of child care directors? 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directors,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3. Are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in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directors,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3-1. Are there relation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in directors' own view? 3-2. Are there relation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in the perception of head teachers? 3-3. Are there relation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in the perception of general teach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child care directors, 44 head teachers, 88 general teachers and overall 177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ools of this study was used revised version of survey, Perception of the Directors' Job, developed by Jung Hee, Kim(2008). To examine the tools, the conte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2 professio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clusions drawn for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directors,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n the role expectation of child care directors according to teachers' status. Second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directors,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according to teachers' status. Thirdly, The relation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in each perceptions of child care directors,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relation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in directors' own view were the higher on the role expectation in directors' own view, the higher on the role performance. And also the overall score on the role expectation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sub-scales of the role performance except for financial management. The results of relation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in the perception of head teachers were the higher on the role expectation of child care directors in the perception of head teachers, the higher on the role performance. And also the overall score on the role expectation of child care directors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sub-scales of the role performance. The results of relation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directors in the perception of general teachers were the higher on the role expectation of child care directors in the perception of general teachers, the higher on the role performance. And also the overall score on the role expectation of child care directors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sub-scales of the role performance.

      • 敎師에 對한 役割期待 分析을 通해 본 敎師像 定立에 關한 硏究

        조성두 水原大學校 行政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2

        When it comes to education a teacher is one of the most importaut and pivotal factors, together with the student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Besides, I think that the teacher is responsible for the factors which can help a man or a student to make round or perfect, of course, to have a high character. That is because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are usually made and executed through the role of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e parents who support the students and the society at large, in respective of the students, have much concern about the role which the teachers are playing at present. Therefore, this study is on establishing the desirable model of teachers who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with a much feeling of mission and duty.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iollows : 1. Analyze the role and expectation of the capability of true teachers which are estimated by the students, parents and the society. 2.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idiosyncracy of " good and desirable teachers " and " undesirable teachers " estimated by the students and parents. 3. Analyze the role and ecpectation to the teachers, and set the teachers model. In this study, I used the method which is essayed and exanined by the papers above mentioned. So I studied and checked the bibliography method and approach by analyzing and studying this paper more efficiently. After I studied and analyzed the data which were resulted from the role and expectation about the teachers, especially estimated by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I conclude the study as follows: 1. The model, The ideal teacher model may be what we can love, praise, inspire the students and identify the aim of study through education. 2. The ideal teacher whom the parents expect and hope is the very teacher who has the quality of good teacher, a round character, a good attitude, the good view of students. Hereby, the good teacher can help the students to contribute to ther studeutis future in the character-building. 3. Especially, in modern society, we can expect that the good and able teachers can support their students to lead a happy life which serves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with the full respect for the character and freedom. So, the society usually expect the teacher to help their students lead a happy life and confident life to cope with high-tech society and high-tech information society. 4. The teacher whom the society urgently wish is to consider and take into account the various curiosity and the difference of individuals. Thus, the teacher gives advices to adjust and cope with the situation positively. 5. The teacher model, which is requested by the individual home, society and school, nation may be what is a kind of calling given by God, teaching students with a high Character. Besides, the good teacher must lead a happy life together with his famiily members. Furthermore, he can contribute to the education circle In addition, he can make every effort to serve the education circie We, teachers, have to be respected by school students and the society. Thereby we have to be looked up to also by many citizens. This is the pivotal energy which can lead the world as well as rule or govern the citizens with a full sense of duty or responsibility. Therefore, we, teachers, must build our character very high and have much responsibility for the society. This is the short cut or the best way to cuntribute to the current society. Besides, the guality of education is importants for the success of education. Therefore, We teachers must think over, " Which way should I take as a true teacher?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ttitude of the studeuts should be very assiduous and warm, long-cherished wish to learn. Like this, the love of education is the very start line of education and the prerequisites. Besides, the true teacher must not forget that they should love their students just as their students do. That is, education is the work of ascertaining self-existence. Finally, We should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real education be looked upon as the indentification of education with humanistic principle.

      •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관한 분석

        박정순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교사들이 인식한 초등학교 교감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정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역할수행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역할기대 수준 분석,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역할 수행 수준 분석,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역할기대 수준과 역할 수행 수준의 직무영역별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이며, 연구대상은 경상북도내의 구미, 김천, 상주, 문경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300명을 표집 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먼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과 같은 기본적인 통계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분포를 확인한 다음, 차이검정(t-test), 분산분석 (ANOVA), 종속표본 차이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1) 직무영역별 역할기대 수준 분석에서 첫째, 직무영역별 역할기대의 전반적인 수준은 높게(3.32<M<4.27)나타났다. 둘째, 직무영역 중 인사관리 지역사회관계 학교경영관리 자율장학운영 재무 및 사무관리 영역은 역할기대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교육과정 운영 학생지도관리영역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영역별 역할기대 수준에 따른 집단간 차이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교경영관리 영역은 교육경력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감의 학교경영관리 영역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교육과정운영 영역은 경력이 높은 교사, 규모가 작은 학교, 연령이 높을수록 교감의 교육과정 운영에 높은 기대를 걸고 있었다. 학생지도관리 영역은 교육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안전지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자율장학운영 영역은 학급담임교사, 부장교사, 교과전담교사 순으로 기대가 높았다. 재무 및 사무관리 영역은 교육경력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사무관리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지역사회 관계 영역은 학급담임교사, 부장교사, 교과전담교사 순으로 기대가 높았고, 교육경력은 15~20년 미만인 교사가 가장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기대가 높다. 2) 직무영역별 역할수행 수준 분석에서 첫째, 직무영역별 역할수행의 전반적인 수준은 보통이상(3.34<M<3.69)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영역 중 지역사회관계, 재무 및 사무관리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학교경영관리, 교육과정운영, 생할지도 관리, 자율장학 운영, 인사관리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영역별 역할기대 수준에 따른 집단간 차이 분석결과에 의하면, 학교경영관리 영역은 교과전담교사, 부장교사, 담임교사 순으로, 20년 이상의 경력교사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역할수행 수준을 높게 평가 하였다. 교육과정운영 영역은 교과전담교사, 부장교사, 담임교사 순으로 교감의 역할 수행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교육경력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감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학생지도관리 영역은 교과전담교사, 부장교사, 담임교사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경력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감의 역할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자율장학운영 영역은 교과전담교사, 부장교사, 담임교사 순으로 교감의 역할수행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교육경력이 높은 교사, 연령이 높은 교사가 교감의 역할수행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인사관리 영역은 교과전담교사, 부장교사, 담임교사 순으로, 학교규모가 작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감의 인사관리 영역에 대한 역할수행수준을 높게 평가하였다. 재무 및 사무관리 영역은 교육경력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역할수행 수준을 높게 평가하였다. 지역사회관계 영역은 경력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감의 지역사회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3) 직무영역별 역할기대 수준과 역할수행 수준 차이 분석에서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감에 대한 역할기대 수준은 학부모 영역, 복지후생, 사무관리, 학교경영 관리 실천단계, 안전지도, 연수활동, 교과지도 순으로 높은 기대를 하고 있었다. 반면 기대가 낮은 영역은 특별활동, 생활지도, 회계 관리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감의 역할수행 수준은 학교경영관리 평가단계, 안전지도, 연수활동, 후생복지, 사무관리, 학부모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특별활동, 생활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교감의 역할기대와 수행수준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기대보다는 수행수준이 낮다. 이것은 교감이 일선현장에서 아동을 직접교육하지 않는 것이 원인이고 교감에 대한 교사의 기대가 높은 반면 낮은 수행수준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 교육장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분석 연구

        표종희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A. 요약 본 연구는 교육장이 이상적으로 수행하기 바라는 역할기대와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수준을 교육청 학무과장, 장학사, 초·중 교장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파악, 비교 분석하여 교육장으로 하여금 기대에 부응하는 바람직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육장은 교육·학예에 관한 지방단체의 장, 교육행정가, 교육지도자로서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그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므로 어떻게 하면 그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까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문제이며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장에 대한 학무과장, 초·중 장학사, 초·중 교장들의 역할기대수준을 규명하고, 이들 간의 차이를 비교한다. 둘째, 교육장의 실제 역할수행수준에 대한 학무과장, 초·중장학사, 초·중 교장들의 반응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차이를 비교한다. 셋째, 교육장의 이상적인 역할기대와 실제 역할 수행 정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넷째, 교육장의 수행과 관련된 교양영역의 핵심 요소를 규명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위한 문헌연구와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교육장의 실제역할 수행수준과 이상적 역할기대수준 측정을 위한 질문지와 교육장의 소양관련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충남의 15개 교육청의 학무과장, 초·중 장학사와 초·중 교장으로 하였고, 표집 방법은 연령별, 직위별, 교육경력별, 소재지별, 출신별등의 변인을 고려하여 유층화하여 무선표집(random sampling)방법을 적용하였다. 표집 인원은 350명이었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25명의 질문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DOWS 10.0을 사용하여 변량분석(ANOVA)과 Chi-Square({{{{chi^2}}}})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수행을 통해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남도 교육장들의 실제 역할수행수준을 분석해본 결과 전체적으로 대외활동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인사관리, 재정관리, 장학관리, 시설관리, 교육과정관리 순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현재 교육장들의 역할수행은 시설관리와 교육과정관리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장들의 실제 역할수준을 배경 변인별로 평가해본 결과 교육과정 운영, 장학관리, 인사관리, 시설관리, 재정관리, 대외활동 등에서는 시보다 군이, 남자보다 여성이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위별로는 교장과 장학관에 비해 장학사가 높게 평가하였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장의 실제 역할수행수준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청남도 교육장들의 이상적 역할기대수준을 평가해본 결과 전체적으로 인사관리에 대한 역할 기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외활동, 재정관리, 장학관리, 시설관리, 교육과정관리 순으로 역할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교육장들은 대외활동과 장학관리를 다른 역할영역에 비해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장들의 이상적 역할기대수준을 배경변인별로 평가해본 결과 교육과정 운영, 장학관리, 인사관리, 시설관리, 재정관리, 대외활동 등 모든 역할영역에서 시보다 군, 남자보다 여성이 기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위별로는 교장에 비해 장학관과 장학사가 교육장의 역할기대 수준이 높았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장의 이상적 역할기대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장의 실제역할수행과 이상적 역할기대 수준의 차이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교육과정관리가 가장 큰 차이를 보여 실제역할 수행수준과 이상적 기대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사관리, 장학관리, 대외관리, 시설관리, 재정인사관리 순으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인사관리영역을 제외하고 교육과정관리, 장학관리, 대외관리, 시설관리, 재정인사관리 등의 영역에서 직위에 따라 교장과 장학사보다 장학관이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장의 직무와 관련해서 교육지도자로서는 교육철학이 가장 중요하였으며, 지방자치단체장으로서는 국가관과 공직자윤리, 교육자로서는 교육정책이 가장 중요한 교양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장 임명에 대하여 전문직을 반드시 거쳐야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B. 결 론 본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들을 집약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장은 교장, 장학사, 장학관 역할 기대에 보다 더 부응할 수 있도록 역할수행 능력을 강화하여 교육행정과 학교 경영의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군 지역 교육장이 시 지역교육장에 비해 역할기대 수준이 높은 점을 감안하여, 소도시의 교육장은 소도시의 교육여건에 맞는 역할수행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장들의 실제 역할수행수준 영역 중 시설관리와 교육과정관리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점을 감안하여 학교의 시설관리 부분에 더 많은 관심과 재정지원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학교와 지역의 현실에 맞는 교과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상적 역할기대수준이 인사관리영역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관내의 인사행정에 있어 공정한 근무평정 결과의 반영과 합리적인 인사규정을 확립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장의 직무와 관련해서 교육지도자로서는 교육철학, 지방자치단체장으로서는 국가관과 공직자윤리, 교육자로서 교육정책에 대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소양지식을 높일 수 있도록 개인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장 임명에 대하여 관련인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되 전문직을 거친 인사를 임명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has a purpose of finding a way for the superintendent to perform the expected role by understand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ole expectation, which expects the chief of the education affairs and superintend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o perform the ideal roles, and how well the superintendents perform their role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chief of educational affairs, supervisors and superintend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rom 15 Offices of Education in Choong-Nam. We collected 350 of them back and used 325 for the analysis. For the statistics, we did ANOVA and Chi-Square( ) analysis using SPSS WINDOWS 10.0.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en we evaluated the actual role performance of the superintendents in Choongchungnamdo, they generally got the highest evaluation on outside activity. They got high evaluations on personnel management, finance management, supervision management, facilities management and curriculum management in this order. Therefore, it shows that the current superintendents are weak in facilities management and curriculum management. 2. As the result of evaluation on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superintendents according to different environments, the superintendents in the city got higher evaluation on personnel management, finance management, supervision management, facilities management, curriculum management, and outside activity than the superintendents in the district area. It also shows that female got higher evaluation that male. According to the position type, the supervisors got higher evaluation than the superintendents and the chief of the educational affairs. As the respondent was old, the actual role performance of superintendents was evaluated low. 3. After evaluating the desirable role performance of the superintendents in Choongchungnamdo, they generally show the highest role expectation on personnel management. They showed high role expectations on outside activity, finance management, supervision management, facilities management and curriculum management in this order. Therefore, the current superintendents should put more thoughts on outside activity and supervision management than other fields. 4. When we evaluated the desirable role performance of the superintendents according to different backgrounds, he superintendents in the city got higher evaluation on personnel management, finance management, supervision management, facilities management, curriculum management, and outside activity than the superintendents in the district area. It also shows that female got higher evaluation that male. According to the position type, the supervisors and the chief of the educational affairs got higher role expectation than the superintendents. As the respondent was old, the desirable role performance of superintendents was evaluated low. 5.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actual role performance and desirable role performance of the superintendents, generally the curriculum management was the biggest difference. It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actual role performance and desired role performance is big. The differences shows in orders of personnel management, supervision management, outside activity, facilities management and finance management. 6. The most important thing related to duty of superintendent as an educational director is educational philosophy and as a chief of local autonomous entity is national view and public ethics and as an educator is educ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lso, for appointment of an educator, there were many answers saying that they have to go through profession and select by opinions and public employment.

      • 중학교담임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기대에 관한 연구

        박상현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2

        교육은 국가의 장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만큼 교육현장에서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교사의 자질과 사명감 그리고 사회적 여건은 교육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학교교육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하는 학급담임교사가 자기의 역할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하느냐 하는 것은 학생을 지도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지각에 대해 조사 분석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며,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학교행정가나 일반교사는 얼마나 기대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여 역할지각과 역할기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역할갈등을 해소시킬 때 학교교육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지각과 학교행정가, 일반교사가 기대하는 역할기대간에는 어느 정도의 역할갈등이 있을 것으로 보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을 보다 분명하게 규명하고 그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역할지각과 역할기대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자 역할의 개념, 역할지각과 역할기대, 역할갈등, 중학교담임교사의 역할 등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연구에 필요한 질문지를 제작 충청남도내 중학교 교장, 교감, 교사 400명을 무선표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교장(감), 일반교사, 학급담임교사, 남교사, 여교사, 도시지역, 농촌지역별로 구분하여 견해차와 전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문항 분석은 각 항목별로 평균, 표준편차로 처리하였고 유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F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처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경영에 있어서 학급담임교사는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 자율성을 인정하여 명랑한 학급 분위기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반면 학교행정가는 학급 경영 방침을 세워 이를 준수하게 하는 등의 체계적인 학급 경영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생활지도에 있어서 학교행정가는 학급 담임교사 및 일반교사보다 규칙적인 바른 생활습관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학습지도면에 있어서 학교행정가는 예습 복습지도, 교과 수업에 대한 출결석 점검, 올바른 학습태도 지도, 자율학습 감독 및 각 교과 성적 평가 결과에 관한 지도 등에 매우 높은 기대수준을 보여 학급 담임교사 보다 학습지도면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간관계에 있어서 학교행정가 및 일반교사는 학급 학생에 대한 편애없는 사랑을 강조한 반면 학급 담임교사는 학생들의 개성을 존중하며 많은 대화를 통하여 인간관계를 맺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과의 유대면에 있어서 가정환경과 학부모의 의견을 파악하는 등 학교와 가정에서의 연계 교육을 강조하는 학교행정가의 기대수준보다 학급 담임교사의 지각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경영 참여면에 있어서 학교행정가는 학교 행사에 학생들과 충분한 의견을 나눈 다음 반영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강조하여 학급담임교사의 지각수준보다 높은 기대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