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비교 연구

        이상숙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Sang-Sook Lee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the main stream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specialization of 21C,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sets and runs special high schools seeking for generating practical expert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raise professional employees. This thesis surveyed students' thoughts of the carrier program running in speci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Gumi area in terms of motivation of entering high school, satisfaction, students' carrier awareness, reality of carrier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carrier education. Generally,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esent carrier education programs. The study proposes that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realigned for the purpose of carrier education, and systematic and various carrier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and that expert teachers who operate carrier education effectively and professionally are requested.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비교 연구 이 상 숙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진로의식과 진로교육의 실태를 비교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구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 특수목적 고등학교 2, 3학년 학생 각각 152명, 133명과 특성화 실업계 고등학교 2, 3학년 학생 각각 134명, 139명으로 총 5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생들은 진로를 미리 계획하여 재학 중인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으며,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중학교 성적에 의해서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였다. 둘째,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생들은 재학 중인 고등학교 진학을 위해 중학교 때부터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계획적인 준비를 하였고 또한 재학 중인 학교에서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기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주로 중학교 성적을 중심으로 자신의 소질과 흥미를 고려한 진학을 하였으나 재학 중인 학교교육과정이나 자격증 취득을 위한 많은 실습이 힘들어서 학교에 대하여 대체로 불만족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생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모두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목표를 잘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 목표를 위하여 부모의 의견을 많이 따른 반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부모 의견뿐만 아니라 현장 경험이 있는 선배나 친구들의 의견도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진로를 위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진로 정보를 제공 해 주기를 원하며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생들은 진로를 위해 성적향상과 관련된 대회참여로 수상하기를 바라며,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성적향상 뿐만 아니라 자격증 취득의 중요성에 높은 반응을 보였다. 다섯째, 진로 상담을 주로 가족과 함께 하지만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전문직업계에 실제적으로 먼저 경험을 하고 있는 선배나 친구들이 소중한 상담자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원하는 만큼에 진로 교육이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진로교육도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만큼의 현실적인 자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서 학생들이 직접 매스컴(인터넷)을 통하여 진로 자료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생들은 효율적인 진로교육을 위해서는 한 달에 한 번씩이라도 진로교육이 시행이 되어야 하며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전문상담자가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를 제공 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고 진로교육에서 우선적으로 학생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알 수 있는 내용으로 다루어주기를 원했다.

      •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영숙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and Self-esteem) 이 영 숙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무한한 잠재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부족하고 미래의 직업세계와 관심직업에 대한 정보부족 등으로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고민하고 갈등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성격, 가치관, 흥미, 적성 등을 파악하여 진로를 현명하게 선택,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2. 연구의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는 진로성숙도의 능력점수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는 진로성숙도의 태도점수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는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가?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대상은 실험집단 33명과 통제집단 33명으로 구성하였고,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주2회를 기준으로 1회기에 45분씩 1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1992)이 개발 제작한 ‘진로성숙도검사’와 Cop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역한 사용한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검사는 태도영역(36문항)과 능력영역(6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자아존중감 검사는 자기비하, 가족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불안 등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실험결과 자료는 SPSS를 통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본적이고 기술적인 통계를 산출하였고, 각 연구문제에 따라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4. 연구의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설정하고 그 효과를 검정해 본 결과,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진로성숙도의 능력영역인 ‘직업세계의 이해, 직업선택, 의사결정’의 전 하위영역에서 높은 향상을 가져왔고, 진로성숙도의 태도영역인 ‘계획성, 독립성, 결정성’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에서는 ‘자기비하’는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매우 좋은 효과를 가져왔지만, ‘가족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불안’에서는 평균은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의 능력영역을 살펴보면,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지 못한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성숙도의 능력영역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의 능력영역인 직업세계 이해와 직업의 선택능력, 의사결정능력의 발달을 촉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학교현장에서는 이러한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중학생들에게 각 학년마다 주당 한 시간씩 배당되어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체계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선택 능력이 지속적으로 계발될 수 있도록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태도영역을 살펴보면,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경험하지 못한 통제집단보다 진로성숙도의 태도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학생들에게 직업결정을 위한 사전준비와 직업선택에 대한 확신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일선 학교현장에서는 창의적 재량수업을 전담하는 교사가 없어 주당 교과수업 시간수가 적은 교사들이 한두 반씩 수업을 맡아 진행하기 때문에 자율학습으로 시간을 보내는 경우도 있고, 진로교육을 한다고 해도 수업내용이 체계적이지 않고 수업의 질에도 문제가 많다. 따라서 체계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이 진로에 대하여 계획적으로 탐색 - 준비 - 선택하도록 함은 물론 진로교육을 담당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교사가 배치되어 교육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비하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자기 자신을 가치 있고 능력 있는 사람으로 인정하며,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사고방식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고 자존감을 높이기 위하여 자신의 성격, 흥미, 적성, 가치관 등의 자기이해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어야하고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장래에 대한 깊은 성찰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이은순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A Study on the Teachers' Role for Improving Preschool Children's Creativity) 이 은 순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본 연구는 교사의 창의성이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이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파악하고, 유아의 창의성의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역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내용으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첫째는 창의성의 개념, 둘째는 창의성의 구성요인, 셋째는 창의성과 교육, 넷째는 창의성 교육과 교사의 역할, 다섯째는 창의성 교육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선행 연구의 이론을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는 첫째, 교사의 창의적 인성 특성은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가? 둘째,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이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가? 셋째, 유아의 창의성 증진이 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 수행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조사 연구로 설문조사 대상은 경상북도 구미시, 칠곡군, 김천시, 상주시, 의성군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유치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200부 중에서 회수된 181부를 최종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통계적 처리방법은 SPSS (Sta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표준편차 등과 같은 기본적인 통계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분포를 확인한 다음 차이검증(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alysis of variance) 및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첫째, 교사의 창의성이 인구학적 특성과 인성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경력과 소지자격, 경험유무가 교사의 창의적 인성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지자격이 1급 정교사 자격을 소지한 교사가 2급 정교사 자격을 소지한 교사보다 창의적 인성이 높았다. 이는 교육경력이 높고 1급 정교사 자격을 가진 교사집단이 더 많은 교육과 경험의 기회를 가졌음을 시사한다. 즉, 창의성은 교육에 의해서 계발되고 증진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교사의 창의적 증진 역할수행의 변화에서 창의적 활동경험 및 강좌수강, 연수, 창의성 교재탐독 및 소지자격을 통한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들의 역할을 살펴보면 소지자격이 1급 정교사 자격을 소지한 교사와 2급 정교사 자격을 소지한 교사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즉 소지자격에 관계없이 교사모두 유아의 창의성 프로그램연수와 강좌수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유아의 창의성 프로그램 편성 운영에 필요한 여건을 갖추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교사에게 창의성 교육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많이 마련하여야 한다. 교사의 창의성 증진 역할수행의 승패를 결정하는 요인은 교사의 자질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창의성 교육과 연수기회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수행 관계에서는 창의성 하위요인에 몰입,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영역이 낮은 반면 유창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창의성 영역인 독창성에서 교사의 교육경력을 분산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아 수에 따른 독창성에서는 통계적으로 5%의 수준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으로 유아의 창의력 증진을 더 높일 수 있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교육하고, 유아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도록 유도하여 많은 시간이 걸려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태도를 갖고 유아교육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넷째,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소들을 대상으로 상관 분석한 결과 이들 하위요인 사이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창의성 증진노력이 유아의 창의성 특정요인에 한정되었다 하더라도 유아의 창의성 전체 영역에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들의 유창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모든 유아에게 통합적 교과내용을 창의성과 관련지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 결국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 공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에 대한 전자관련 기업체의 인식 연구

        이세훈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공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에 대한 전자관련 기업체의 인식 연구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Electronic Industries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s) 이 세 훈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의 교육현안과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기업체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방향을 재정립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의 교육현안, 현장실습, 그리고 졸업생에 대한 전자관련 기업체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이며 연구대상은 구미지역과 경기지역에 있는 전자관련 기업체에 종사하는 회사원을 대상으로 무선표집을 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다음,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χ2-test), 다중응답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교육현안을 분석한 결과 기업체의 인식은 공업계 고등학교 발전 저해요인으로 공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국가 지원정책의 미비 등 사회나 국가의 지원 같은 외부적 요인을 지적하였고,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방향은 기능인력 양성 및 계속교육의 기회를 부여에 두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공업계 고등학교 졸업생 사회인정도가 낮은 이유로는 사회 전반의 학력 중시 현상과 기능직에 대한 편견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기능사 자격증에 대한 기업체의 인식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둘째, 현장실습에 대한 기업체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기업체에서 실습생을 채용하는 목적을 노동력 확보라고 응답하였으며, 기업체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실습생의 기능수준은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으나 필요시 보충 교육만 실시하면 현장근무를 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응답도 많았다. 그리고 현장실습생의 졸업 후 회사 잔류정도에서는 200인 이상의 기업체에서 잔류한다는 응답이 많은 반면에 200인 미만의 기업체 경우 잔류하는 학생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체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현장실습생의 문제점으로는 회사방침에 적응하지 못하는 점과 불성실한 근무태도라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에 대한 기업체 인식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대학졸업자와 공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업무수행능력에는 차이가 있으며, 고졸사원 필요인력의 실제 수급 현황은 큰 어려움은 없으나 근로자수가 적은 기업체일수록 낮은 사회인식과 학생들의 대학진학 때문에 다소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체에서 고졸 신입사원 채용 시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생활기록부, 면접,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순이었고, 현장실무에서 가장 요구되는 항목으로는 일에 대한 도전의식, 합리적 긍정적 사고와 같은 직무수행에 필요한 직업의식을 강조하고 있었다. 공업계 고졸자의 주요 배치부서를 보면 조립, 생산관리, 품질관리 순으로 대부분이 창의적인 업무보다는 단순 기술직 부서에 배치되고 있었다. 또한 공업계 고등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으로는 보수가 많은 직업,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 순이었으며, 졸업 후 입사한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평균 근무연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직 인력모집의 애로사항으로는 높은 대학진학률로 인한 생산직 기피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대책으로는 기능인력 맞춤식 교육과 병역특례 제도 확대라고 응답하였다.

      •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박영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A Perception of Parents for Teaching of Five Days a Week in the Elementary School.) 박 영 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 주5일 수업제는 주5일 근무제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지식 정보화 사회와 평생학습을 강조하는 새로운 학력관의 등장, 교육에 대한 의식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가족간의 유대를 증진하고 사회체험을 통한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5일 수업제에 대한 중소도시와 농촌 학부모의 인식을 연구하여 보다 효율적인 주5일 수업제의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주5일 수업제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주5일 수업제 운영에 필요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토요휴업일 활용에 관련해서 학부모의 역할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넷째, 토요휴업일과 관련한 학교 교육활동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토요휴업일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이며,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김천시와 구미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학부모 400명을 무선 표집하여 회수된 설문지369부를 최종 분석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부모들은 주5일 수업제의 의미와 취지에 대해서 대부분 이해하고 있으며, 만족도는 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하는 이유로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많고 체험학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반면, 주5일 수업제 시행의 문제점으로 체험학습 기회의 불균형에 많이 응답하였다. 이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학부모는 토요휴업일을 자녀들의 경험과 견문을 넓혀주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만족하고, 생업에 바쁜 읍면지역의 학부모는 토요휴업일 자녀들의 지도에 상대적으로 무력감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주5일 수업제의 문제점인 체험학습기회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내는 물론이고 이웃한 학교와 연계한 저소득층자녀의 체험학습기회 제공하는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주5일 수업제 시행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부족한 부분으로는 시지역과 월소득이 높은 학부모가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을 지적하였고, 읍면지역과 월소득이 낮은 학부모는 여가활용을 위한 시설부족을 지적하였다. 이는 시내의 경제력을 갖춘 학부모들이 여유시간이 많아 다양한 여가활용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고, 읍면 지역은 여가활용을 위한 시설이 멀리 있거나 근본적으로 없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주5일 수업제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 여건에 맞는 전통체험 관련 프로그램, 독서관련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여가 활용 시설과 프로그램을 확충하고, 체험학습 안내자, 교육활동 자원 봉사자, 각종기능 지도자 등의 인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라 읍면지역과 저소득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스스로 공부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토요휴업일 자녀지도에 문제점이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생업에 바쁜 농촌과 저소득 학부모들이 자녀와 함께 생활하고 학습을 도와줄 여유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촌의 저소득 학부모의 토요휴업일 자녀지도에 대한 부담을 들어주기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의식을 갖고 방문체험학습일 운영, 찾아가는 체험학습 도우미 운영 등 토요휴업일 학생 지도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토요휴업일 학교에서 운영할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체험학습 활동과 특기적성교육이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프로그램 운영 방법은 농촌과 저소득층 학부모는 학교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방법에 많이 응답했고, 시내거주자와 고소득 학부모는 교육청 단위로 운영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농촌과 저소득 학부모는 토요휴업일 거리가 가까운 학교에서 학습이나 기능을 배우기를 바라고, 시내 거주자와 고소득 학부모는 자녀들의 견문을 넓히고 폭넓은 체험을 하고 부모들의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토요휴업일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사람이 함께 할 수 있는 큰 규모의 프로그램은 지역교육청 단위로 추진하여 단체 활동을 통해서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고, 학교를 중심으로 소규모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들의 취미와 특기를 신장하고 능력을 개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주5일 수업제 실시에 가장 장애가 될 학교교육의 문제점은 공무원과 고소득 학부모는 체험학습을 실시할 유관 기관단체와의 협조체제 부족에 응답했고, 농축수산업과 저소득 학부모는 휴업일 자녀지도의 어려움에 많이 응답하였다. 이는 토요휴업일에 학부모들이 생업이 바쁜 관계로 자녀들과 함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주5일 수업제의 장애요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 기관 단체와의 협조체제를 강화하고 휴업일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모든 직장의 주5일 근무제 확대실시와 ‘나홀로 학생’에 대한 지도대책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섯째, 주5일 수업제 운영을 통해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로는 체험 위주의 학습을 통한 사회 적응력 향상과 건전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태도 함양 등 주로 사회성이나 태도, 인성 등의 정의적인 영역의 신장을 기대하는 학부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5일 수업제 운영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함양, 그리고 건전한 사회성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과 만족도 조사

        석윤복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석윤복의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석 윤 복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원아모집 실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 분석하고, 학부모들이 유치원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과 유치원 선택 후 만족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첫째,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학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된 설문지는 박소향(1998), 강지현(2003)이 작성한 질문지를 연구목적에 맞게 지도교수의 지도조언을 받아 연구자가 일부 수정한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 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구미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취원하고 있는 원아들의 학부모들이다. 연구대상의 표집은 임의 표집법으로 공 ․ 사립 유치원과 사립 어린이집을 선정하였고 표본의 크기는 300명이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먼저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과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배경변인에 따라 교차분석(χ²-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의 중요도 분석 첫째, 학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으로 중요한 것은 교육의 내용과 방법, 어린이의 안전 및 편리성과 관련된 시설과 환경, 교사의 자질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소득 100만원 정도의 저소득층에게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육비도 매우 중요한 선택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의 통원방법, 시간, 거리, 그리고 교육시간 등은 상대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교육기관 선택의 만족도 분석 첫째, 국공립병설유치원에서는 통원시간, 거리, 교육비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유치원 생활전반에 대하여 학부모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양, 학부모-교사 면담횟수와 내용, 부모교육의 내용 및 실시 정도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사립유치원에서는 교재와 교구의 충실성,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감독과 지도, 교사의 학습 지도 능력, 현장체험학습 및 견학에서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립어린이집에서는 간식 또는 급식의 질,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감독과 지도, 교사 및 원장이 학부모의 요구를 수용하는 정도에 대해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으로 교재와 교구의 충실성과 시설 ․ 설비의 안전성이 매우 높았고 교육방법에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사립어린이집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교육비 부담액, 통원방법, 거리, 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 정도였으나 국공립병설유치원의 경우에는 통원시간, 거리, 방법에서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으로 중요한 것은 교육내용과 방법, 어린이의 안전 및 편리성과 관련된 시설과 환경, 교사의 자질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모들의 유치원 선택시 유치원의 규모나 시설보다는 원아들의 안전과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운영하는 유치원을 선택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편법운영을 하기보다는 전인교육을 위한 정규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의 통원방법, 시간, 거리, 그리고 교육시간 등은 상대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학부모들이 통원방법보다는 교육방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치원 학부모들의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에 충실한 내실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 셋째, 국공립병설유치원에서는 통원시간, 거리, 교육비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유치원 생활전반에 대하여 학부모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양, 학부모-교사 면담횟수와 내용, 부모교육의 내용 및 실시 정도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한편 사립유치원에서는 교재와 교구의 충실성,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감독과 지도, 교사의 학습 지도 능력, 현장체험학습 및 견학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통원시간, 통원거리, 간식 또는 급식의 질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그리고 사립어린이집에서는 교육비 부담액, 간식 또는 급식의 질,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감독과 지도, 현장 체험학습, 교사 및 원장이 학부모의 요구를 수용하는 정도에 대해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이는 국공립유치원에서는 유아교육기관과의 관계가 긴밀하지 않을 것을 의미하며 앞으로 가정과 연계성을 갖고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해야 한다. 그리고 사립유치원은 교육방법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간식이나 급식의 질이나 통원방법의 만족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창 자라나는 유아들에게 영향이 높은 질 좋은 간식, 급식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사립어린이집에서는 연령이 어릴수록 또 교육시간이 길수록 교육비가 많아 어린이집 학부모들의 부담이 큰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가차원에서 영 ․ 유아 교육비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전체적으로 교재와 교구의 충실성과 시설 ․ 설비의 안전성이 매우 높았고 교육방법에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사립어린이집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교육비 부담액, 통원방법, 거리, 시간은 중간정도였으나 국공립병설유치원의 경우에는 통원시간, 거리, 방법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사립어린이집의 교육방법에서 낮게 나타났는데 앞으로 영유아들을 위한 교재 교구가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하며 단순한 장난감 보다는 인성과 지능을 함께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 보급이 시급하다. 한편 국공립병설유치원의 경우 차량운행을 하지 않는 곳이 많은데 앞으로는 국가차원에서 농어촌지역에 거주하는 원아들을 위한 차량이 지원되어야겠다. 다섯째. 유치원 원아모집 실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 분석하고 선택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육내용과 방법, 어린이의 안전과 편리성과 관련된 시설 및 환경, 교사의 자질 등으로 나타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앞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원아확보를 위해 학부모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과정보다는 유아들의 전인교육을 위한 정규 유치원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al Selection of Kindergarten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Selection Seok, Yun Bok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eck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tual state of kindergartens’ receiving pubils and to survey key factors that parents take into account in selecting a kindergarten as well as to examine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ir selections. For this aim,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ents’ selection of a kindergarten were surveyed and what satisfaction they get from their se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nalysis of significance of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First, some key factors affecting the parents’ selection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ar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 facilities and environment connected to the children’s safety, teachers’ quality, etc. Second, for a family whose monthly income is less than 1,000,000 won, the education tuition is also a vital factor in selecting a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Third, it has been revealed that commutation method, commutation time/distance, education hour, etc are comparatively less influential in selecting a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2. Analysis of satisfaction degree after the selection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First, in the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s, high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commutation time/distance, and tuition, but low satisfaction in information offered to the parents concerning pupils’ overall life in the kindergarten, frequency and contents of parent-teacher conference, and contents and performance of parent training. On the contrary, in private kindergartens, high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the quality of the texts and tools, teachers’ supervision and guidance for the children’s safety,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experience/field study. On the other hand, low degree of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the quality of snacks or meals, teachers’ supervision and guidance for the children’s safety, and the degree of accepting parents’ requests. Second, in overall consideration, very high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the quality of texts/learning tools and safety of facilities, and high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education method. But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education method in the case of private kindergartens. Generally medium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tuition, commutation method, distance/time, but comparatively high satisfaction in the same factors in the case of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s.

      •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운영 실태와 효율적인 운영방안

        강태성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운영 실태와 효율적인 운영방안 강 태 성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보의 폭주와 첨단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가속화된 사회 변화는 교육에 있어서도 엄청난 변화를 요구하는데, 교육의 정상화와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해 효율적인 교과전담제 운영에 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져야하며, 개선 방향에 대한 모색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과전담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2. 연구의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즉, 문헌연구를 통해 교과전담제의 개념과 의의, 교과전담제의 필요성, 교과전담제의 운영 실태와 교과전담교사의 자질에 대해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교과전담제의 조직 ․ 운영 실태와 교과전담제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초등학교 교과전담제 운영 실태와 효율적인 운영방안」이라는 설문지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김천시, 구미시, 칠곡군, 성주군의 초등학교 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355부를 회수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인 분포를 확인한 다음,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test)을 실시하였다. 4. 연구의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과전담제 조직 ․ 운영 실태 분석 첫째, 교과전담 과목은 대체로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선정하고 있었으며, 그 결과 교과전담 본래의 목적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영어와 예 ․ 체능과 같이 특정한 기능이 요구되는 교과 위주로 편성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교과전담제는 학교에 충분히 적응한 학생(3학년에서 6학년)을 주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둘째, 전담교사의 배정은 시 지역에 소재한 학교와 대규모 학교에서는 절대적으로 희망자를 우선 배정하였으나, 읍 ․ 면지역에 소재한 학교와 중 ․ 소규모 학교에서는 희망자와 학교 ․ 학급 업무 정도를 함께 고려하여 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전담 교사 조직 방법은 근무지역과 학교규모에 따라 다양하고 대체로 16시간 ~ 20시간 정도를 담당하며, 시 지역에 소재한 학교와 대규모 학교에서는 전담교사의 업무량이 적은 편이었고 읍 ․ 면지역에 소재한 학교와 중 ․ 소규모 학교에서는 상대적으로 업무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전담 시간의 결강 대책에 대해 결손 된 시간에 학급담임교사가 전담교과를 지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시 지역에 소재한 학교에서 정규수업 시간 외에 별도의 보강시간을 확보하여 지도하려는 노력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전담 교사가 교재 연구를 할 수 있는 장소로 시 지역에 소재한 학교는 전용 교과전담실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읍 ․ 면지역 소재한 학교는 교무실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교과전담제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첫째, 교과전담제가 교사들의 근무부담 경감, 교육과정 정상화, 교수 ․ 학습 개선, 교사의 전문성 제고와 아동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어 대부분의 교사가 교과전담제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아동의 생활지도에는 어느 정도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전담 교사를 희망하는 교사가 52.1%, 희망하지 않는 교사가 20.5%로 교과전담을 희망하는 교사의 비율이 희망하지 않는 교사의 비율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교과전담을 희망하는 교사는 특정교과에 소질을 가지고 있어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하고 생활지도 및 학급 잡무에서 벗어나고자 하기 때문으로 조사되었으며, 교과전담 교사를 희망하지 않는 교사는 학급 담임을 선호하고 전담교과에 대한 지도능력이 부족하며 보결 등 학교 잡무에 많이 시달리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3) 교과전담제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 첫째, 현행 교과전담제가 갖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자질 있는 교과전담 교사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특정한 교과목이 요구하는 기능을 갖춘 자질 있는 교과전담 교사를 확보하여 체계적으로 관리 운용해야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었다. 둘째, 교과전담 교사가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아동 생활지도이며, 그 다음으로는 교과전담 지도 교과에 대한 기능과 전문성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전담제에 대한 관리지원의 문제에 대한 반응에서 교과전담실의 확보 및 확충, 교재, 교구, 자료의 확충, 보결 수업 및 사무 부담 경감 순으로 나타났다. 4) 교과전담제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분석 첫째, 교과전담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자질과 기능을 갖춘 교과전담 교사를 충분히 확보하고 인원을 확대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직 교사를 재교육하고 교육대학에서 양성하는 방안을 병행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수업 시수가 많은 3학년 이상을 대상으로 교과전담제를 적용하고 전담교사 1인이 담당해야할 학년수와 과목수를 최소화해야 하며, 특별한 기능이 요구되는 예 · 체능 및 영어 교과를 전담과목으로 선정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전담 교사의 배정은 희망을 고려하여 교과전담 관련 연수 이수자와 전담 교과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를 우선 배정해야하며, 주당 수업시수를 20시간 이하로 배정하는 것이 수업의 질 향상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전담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 교육기관의 교과전담 교육 강화와 각종 연수기회 제공 및 연수비를 지급하고, 교과전담 관련 전문자료와 실기 중심 교재를 개발하여 전담교과를 지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주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담임교사 및 관리자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전담교사의 보결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철저한 보결 계획을 세워 수업 결손을 최소화하며 교육청 차원의 증치교사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과전담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교과전담 교사 양성 ․ 관리 제도를 마련하여 우수한 소질을 가진 교과전담 교사를 증원 ․ 확보하며, 교과전담실을 확보 및 확충하여 전담교육의 정상화를 기하고 현직 교사들의 연수 및 교육 기회를 확대하여 자질과 전문성을 향상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해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담제 운영은 교사들의 근무부담 경감, 교육과정 정상화, 교수 ․ 학습 개선, 교사의 전문성 제고와 아동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어 대부분의 교사들이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과전담제는 교수 학습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을 강구하여 지속적으로 확대 운영해야 한다. 둘째, 현행 교과전담제가 갖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자질 있는 교과전담 교사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특정한 교과목이 요구하는 기능을 갖춘 자질 있는 교과전담 교사의 확보와 체계적인 관리 운용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직 초등학교 교사의 실기 중심의 교과전담 연수 기회를 확대하여 기능 향상을 도모하고, 장기적으로는 교육대학교와 같은 교사 교육 기관을 통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전담교사 양성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현직 교과전담 교사들이 제기한 교과전담제 운영에 따라 겪게 되는 어려움은 아동 생활지도의 난맥상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보결 수업에 대한 과중한 부담이다. 이는 교과전담 교사가 아동들과 친밀성을 유지하며 적극적으로 생활지도를 꾸준히 할 수 없기 때문이며, 빈번하게 발생하는 보결 수업 발생에 따른 근본적인 대책이 수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과전담 교사 스스로 아동들과 친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려는 노력을 바탕으로 담임교사와 연계한 생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교 자체적으로 보결 수업 발생에 따른 수업 담당 계획을 수립 ․ 운용하고 교육청 차원에서 증치교사를 확보하여 공급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 넷째, 교과전담 교사의 배정은 전담 교과 지도 경험과 자질이 있는 교사를 희망을 고려하여 우선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과전담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전문성과 자질을 갖춘 교사가 배정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전담제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희망을 고려한 배정을 통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책임의식을 가지고 지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전담교과에 대한 전문성과 자질을 기를 수 있는 전담교과목 연수기회와 실기 중심 연수 확대와 같은 구체적인 방안 강구가 요구된다. 다섯째, 초등학교에서 수업 시수가 많은 3학년 이상을 대상으로 교과전담제를 적용하고, 전담교사 1인이 담당해야 할 학년수와 과목수를 최소화해야 하며 주당 20시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담제 운영을 3학년 이상을 대상으로 하여 고학년 교사들의 수업부담을 줄여주고, 전담교사 1인이 담당해야할 학년 수와 과목 수를 최소화 하고 주당 수업 시수를 20시간 이하로 하는 것이 충분한 교재 연구의 바탕을 마련하여 보다 질 높은 전담 교과 지도를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수학습에 있어서 교사가 수업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수요자 중심의 다양하고 특성화된 질 높은 수업을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과전담제 운영 교과는 특별한 기능과 소질이 요구되는 예 · 체능과 시대적 요청에 의해서 그 필요성이 급속하게 높아진 영어로 나타났다. 이는 예 ․ 체능 교과의 지도를 위해서는 교과가 필요로 하는 전문적인 기능과 소질이 필요하고, 영어 교육의 필요성과 비중이 매우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한 결과라 판단된다. 따라서 교과전담 전문자료와 실기 중심 교재 및 시청각 교재를 개발 보급하고 실기 중심의 연수회 운영을 통해 예 ․ 체능 교과가 요구하는 기능과 소질을 배양하며, 영어 구사 능력 향상 및 지도 방법 개선을 위해 원어민을 통한 연수회의 상설화와 같은 보다 근본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일곱째, 교과전담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우수한 소질을 가진 전담교사를 증원 ․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과전담제의 성공은 교과전담교사의 질적 향상을 바탕으로 한 양적 확대를 통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학교와 지역 교육청 차원에서 현직 교사들의 교과전담 관련 연수 및 교육 기회를 확대하여 전담교과 지도 기능과 소질을 향상시키고, 도교육청과 교육부 차원에서 교육대학교와 같은 교사 양성 기관을 통해 장기적인 안목으로 교과전담 교사를 양성 ․ 관리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A Study on the Conditions and the Plans Improvement of Departmental Teacher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Kang, Tae-Sung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in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departmental system and to find out how that system was actually implemented and seek more efficient ways to run that system, which was designed to raise teacher expertise, lower teaching load, elevate teaching quality, and ultimately improve student achievement.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how is the Departmental Teaching System organized and operated in Elementary School? Second, how is teachers' cognitions on the operation of the departmental teaching system in elementary school? Third, what is the problem on the operation of the departmental teaching system in elementary school? Fourth, what are desirable measure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departmental system in elementary school? On the basis of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weekly classes of specific subject matter teacher shouldn't exceed 20 classes a week, and departmental system should be more widely applied from third grade. The subjects covered by departmental system english, physical and art education. Specific subject matter teachers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teacher's wishes. Second, the teachers felt keenly the necessity for departmental system. It's needed to extend the departmental system to offer quality elementary education, raise teacher expertise, normalize curriculum operation, and lower teaching load. Third, the problem of departmental system was lack of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talent, work overload and supplementary class. Teachers in Subject-Exclusive Teaching System has problem in guidance. Fourth, to get departmental system on the right track securing teachers with special talents are needed. To increase specific subject matter teachers, in-service teachers should be reeducated, or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offer major and minor together. Researches should be continuously made in relation with the training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the expertise of teachers in Subject-Exclusive Teaching System and the efficient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Fifth, more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to help teachers want to be subject matter teachers, such as lowering duties, providing special allowances ,giving additional points in case of transfer. exclusive research for a subject and special classrooms should be provided and that training should be allowed with a view to enhancing their expertise.

      •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 운영실태와 교사의 요구분석

        손수정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An Analysis of the Realities and Kindergarter's Needs Assessment on Sex Education in the Children's Garden Son Su Jeong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indergarteners’ understanding, realities and problems of sex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to propose measures to activate the sex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Research tool used in this research was a 「Questionnaire about Sex Education in Kindergartens」prepared by mysel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teachers sampled throuth Claster-Stratified Sample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so as to obtain such descriptive statistics as frequency, mean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through -test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rough this study finding, drawn conclusion is as following. First, most kindergarten teachers have agreed on the need for sex education in kindergartens. They said that preschool children need sex education to attain appropriate consciousness and knowledge about sexual matters. As to the appropriate age for sex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3~4-year-old children said that age 5~6 would be appropriate while those in charge of mixed age groups (3-4-5 years old) said age 3~4 would be appropri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also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in sex education. As to the contents of the sex education, the teachers showed the greatest concern about sex violence and its prevention. Teaching about appropriate use of toilets and desirable life habits follow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Therefore, in order for sex education in kindergartens to be effective, some key elements are program development for sex education, appropriate to each age group, providing reference materials to teachers and parents, OJT of the teachers, and parent education. Second, as to the time for sex education,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conducted the education once in 3~4 months along with the subject of life. The activities for the education included talking, fairy tales, videos, etc, and the materials were videos, books, pictures, photos, etc. However the majority of those who surveyed responded that most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not equipped with enough materials for sex education. According to them, the reason was that the materials for sex educational are not suffici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It was revealed that most of those teachers acquired necessary information from internet whenever they need sex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So, to guarantee effective sex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we urgently need the development of standard programs/materials to be used for sex education of preschool children, and establishment of a system from which the search for authorized information about sex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will be available. Besides, it is necessary to set up a course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so that the would-be kindergarten teachers can be trained enough in sex education problems that may arise in kindergartens.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 운영 실태와 교사의 요구분석 손 수 정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본 연구는 유아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유아 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성교육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유아 성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 운영 실태와 문제점, 유아 성교육 활성화 방안을 배경변인(연령, 결혼여부, 담당유아연령, 근무기관형태, 성교육 연수유무)에 따라 분석한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에 관한 설문지」이며, 연구대상의 모집단은 경상북도 구미시, 김천시, 칠곡군에 근무하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이며, 200명을 대상으로 유층화 무선 표집을 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먼저, 빈도, 비율, 평균, 표준편차 등과 같은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 본 후, 연구문제에 따라 교차분석( - ),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교사가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성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유아들의 올바른 성의식과 발달 단계에 맞는 성지식 습득을 위해서 유아의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성교육을 실시하는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는 만 3-4세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은 만 5-6세가 적당하다고 반응한 반면, 혼합연령(만 3․4․5세)를 담임하고 있는 교사들은 만 3-4세가 적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성교육을 하는데 있어 교사와 학부모가 협력해서 교육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반응이 많았으며, 성교육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는 성폭력 가해 및 예방에 관한 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장실 사용 및 기본생활습관에 관한 교육의 순으로 반응하였다. 따라서 유아 성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령에 따른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사와 학부모들에게 유아 성교육에 대한 자료제공 그리고 교사 연수 및 부모교육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 실시 시기는 생활주제와 관련해서 실시한다는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3∼4개월에 한 번 정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성교육 활동형태는 이야기나누기, 동화, 비디오 등의 순이었으며, 성교육 자료는 비디오, 도서류, 그림이나 사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 관련 자료 구비현황은 약간 부족하다는 반응이 많았으며, 그에 대한 이유로 구입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 성교육시 어려움에 봉착했을 때 젊은 교사들의 대부분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 성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지침을 삼을 만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유아 성교육 관련 자료개발이 시급하며, 검증된 기관을 통해 성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마련해야 하며, 예비 유아교사들을 위해 관련학과 전공과정에 성관련 과목을 개설해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례별 대처방안에 대한 사전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경상북도 구미시, 김천시, 칠곡군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제한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 운영 실태와 교사의 요구분석을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관찰법, 면접법 등을 병행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 고등학교 통합교육에 따른 일반학생의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김규봉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고등학교 통합교육에 따른 일반학생의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A Study on General Students' Attitude toward Special Students in the Intergrated General High School) 김 규 봉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구미 지역을 중심으로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의 효과적인 방향 제시와 통합학급에서의 생활지도 및 상담활동 개선을 위한 방향 제시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일반 학생의 특수학급에 대한 수용태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북도 구미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총400명을 무선표집하여 설문지를 실시하고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일반에 대한 수용 태도는 종교가 있는 학생들이 각종 종교 행사와 신앙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통합교육 실시에 대하여 더 수용적인 경향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남학생 보다 여학생들의 모성애적 감정이 통합교육의 수용태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수용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이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하여 실질적 통합의 노력보다는 형식적인 통합교육이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둘째, 생활영역에 대한 수용 태도는 친한 친구로 수용하는 태도는 남학생들이 포용성이 높아서 긍정적인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통합교육의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함께 생활하는 과정에서 지적인 면이나 운동기능 등에서 일반학생들 보다 불편한 특수학급 학생들이 자신들의 생활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경험들이 부정적 반응으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려면 형식적, 교육장소의 통합이 아니라 실제 생활에서 서로 함께 이해하고,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생활통합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학습 영역에 대한 수용 태도는 함께 교과서를 보고, 모르는 것을 가르쳐 주는 것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의 반응이 긍정적이며, 함께 모둠학습하고, 학습에 대한 기대, 학습을 수용하는 마음에서는 남학생들의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서는 각 문항별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다. 학습 영역에서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수용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실제 학습과정에서 지적 능력이 부족한 특수학급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경험하고, 실제 대학 진학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하게 되어 부정적인 반응으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다양한 통합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통합교육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 고등학교 과학 물리단원 ICT 수업자료의 개발 및 적용 : 전류와 전기저항을 중심으로-

        우병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Class Materials for High School Physics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Focused- Woo byeong sik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de of Technology ABSTRACT The developed IT technology is expanding over the whole of education now and it is also bringing complete innovation to educational target, educational time and place, educational method, etc,. As a result of driving the school information busines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base facility for utilizing IC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t school was acquired and the teacher and students utilizing Internet are suddenly increas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duct ICT class that utilized contents and review and analyze learner's opinions about its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and content-utilizing class by using the advantage of ICT data-utilizing class through ICT contents development for enhancing students'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in the unit of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among the units of high school physics and raising its learning efficacy. Ga. What kind difference is there in students' sympathy when ICT-utilizing class method and general class method are applied in the range of the unit of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of "Physics" in high school science? Na. What kind of effect is there on students' software-utilizing ability when ICT-utilizing class method and general class method are applied in the range of the unit of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of "Physics" in high school science? Da. What kind of effect is there on IT technology-utilizing recognition when ICT-utilizing class method and general class method are applied in the range of the unit of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of "Physics" in high school science? This study distributed total 145 questionnaires for the 1st grade students of 5 schools within the province where teachers work from February 2007 to November 2007 and collected total 139 questionnaires. Among them,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otal 131 questionnaires except for 8 questionnaires that didn't answer or answered insincerely. The conclusions got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CT knowledge education at school is essentially necessary as computer utilization is becoming to be essential for our daily life as well as for our learning, and it was possible to cultivate the ability to retriev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students, collect right information and use those information for their learning and material making through Internet utilizing the most. Second, as a result of learning ICT knowledge education as a web-based learning, learner became to have some interest in class and be able to get new information by becoming to be familiar with computer and I think that as learners' recognition on ICT-utilizing class can make to get variou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learning desire and make actively self-leading and effective learning. Therefore, ICT education has its meaning in enhancing information knowledge ability of learners naturally by utilizing ICT to all subjects effectively without limiting ICT education to particular subjects. 고등학교 과학 물리단원 ICT 수업자료의 개발 및 적용 -전류와 전기저항을 중심으로- 우 병 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요 약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은 이제 교육 전반에 걸쳐서도 널리 확산되고 있으며, 교육의 대상, 교육시간 및 장소, 교육의 방법 등에 일대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학교 정보화 사업의 추진 결과 모든 초·중·고교에서 ICT 활용을 위한 기반 시설이 확보되었으며, 학교에서 인터넷을 활용하는 교사와 학생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고등학교 물리 단원 중 전류와 전기저항 단원에 대해 학생들의 흥미도와 참여도를 증진시키고 학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ICT 컨텐츠를 개발하여 ICT 자료 활용 수업의 장점을 살려 컨텐츠를 활용한 ICT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컨텐츠 활용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가. 고등학교 과학 “물리” 전류와 전기저항 단원 영역에서 ICT 활용 수업 방식과 일반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호응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나. 고등학교 과학 “물리” 전류와 전기저항 단원 영역에서 ICT 활용 수업 방식과 일반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활용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다. 고등학교 과학 “물리” 전류와 전기저항 단원 영역에서 ICT 활용 수업 방식과 일반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 정보통신기술 활용 인식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2007년 2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교사가 근무하는 관내의 5개 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총 145부를 배부하여 139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미 응답이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8부를 제외한 131부를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의 ICT 소양 교육은 컴퓨터의 활용이 학습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생활화가 되어가므로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올바른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과 학습 및 자료 제작에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둘째, ICT 소양 교육을 웹 기반 학습으로 학습한 결과, 학습자는 컴퓨터와 더욱 친숙하게 되어 수업에 흥미를 느끼며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ICT 활용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학습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학습에 대한 의욕이 생기며 능동적으로 자기 주도적이며 효율적 학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ICT 교육은 특정교과에서 ICT 교육을 하는데 그치지 않고 모든 교과에서 IC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학습자에게 정보 소양능력이 함양되도록 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