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혜란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quality of mung bean jelly and to promote consumption of Yuza, citron. Mung bean jell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Yuzacheong (Product of sliced Yuza with sucrose) juice (0%, 5%, 10%, 15% and 20%) were prepar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pH, total acidity, color, appearance and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were analyzed. Moisture content of the mung bean jelly was highest in control group showing 87.14% and decreased as the more Yuzacheong juice added. pH of control mung bean jelly was 8.36 and decreased with addition of Yuzacheong juice showing the lowest pH value of 3.53 with 20% addition. Color of mung bean jelly, expressed as CIE values, was shown that the control group had the highest values of lightness (L*) and redness (a*), and more Yuzacheong juice led to decrease in the lightness and redness. However, Yellowness (b*) was lowest in the control group to increase with Yuzacheong juice showing highest value with 20% addition. In terms of texture, no differences in hardness, fracturability, gumminess and adhesiveness were observed among tested jellies. In comtrast, springi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with Yujacheong juice showing highest with 10% addition. The results of consumer preference test showed that in terms of overall prefernnce, the control group had the lowest value and the more Yuzacheong juice added, the higher the preference significantly (p<0.05). In all aspects of color, flavor, sweetness and texture, more Yuzacheong juice upgraded them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ach property’s frequencies using the CATA method showed that the mung bean jellies with strong tastes of soybean, rice water, starch, savory, unpleasantness and hardness were those with 0% and 5% of Yuzacheong juice. In addition, the jellies with strong tastes of grapefruit, citron, lemon, sourness, pineapple, citron flavor, mango and sweetness were those with 15% and 20% of Yuzacheong juice.
초등 과학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창의적 자연 놀이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4학년의 동물 단원을 중심으로
김혜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우리나라 학생들의 생명영역 관련 지식과 흥미가 낮게 나타나며, 75% 이상의 생물 수업이 강의식으로 진행되는 현실(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7)은 학생들에게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탐구 중심의 교육 방법의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미국의 대표적인 자연주의자인 Cornell(1979)에 의해 제안된 자연 나눔 학습은 자연에의 자각과 나눔을 기본 정신으로 하는 자연 놀이 활동이다. 자연 나눔 학습의 교육 방법으로서 자연의 흐름에 따라 4단계로 구성된 플로러닝(Flow Learning)은 단순히 자연을 물리적으로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일체가 되며, 서로 감동을 나눔으로써 유대감과 감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생명영역의 학습에 놀이의 적용은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 창의력 신장을 가져올 수 있다(김우경, 2008; 홍석정, 2009; 김주영, 2008; 김선봉, 2005; 김일두, 2003). 이를 통해 플로러닝의 각 단계에 창의적인 놀이 활동을 생명영역의 학습에 적용하였을 때, 탐구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과학적 태도, 학업 성취도의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자연 나눔 학습이 초등 과학 생명 영역 교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기에 과밀 학급 문제, 시간과 공간의 제약, 관련된 단계별 자연 놀이 활동의 다양성과 적절성의 문제, 생명 영역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의 부재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자연 나눔 학습을 우리나라 교실 상황에 적합하고, 현재의 과학 교육 목표인 창의성과 탐구능력의 계발을 도울 수 있도록 기존의 플로러닝의 단계를 재구성하고, 초등 과학 4학년 2학기 생명 영역 중 동물 영역을 주제로 단계별 창의적 자연 놀이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 학업 성취도, 과학적 태도 및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으로, 실험반에는 창의적 자연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비교반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과학적 태도 측정도구(김효남 등, 1998), 과학 탐구능력 검사(권재술 등, 1997), 자체 제작한 학업 성취도평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검사(이동규, 2007)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 후 t-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후검사에서 과학적 태도와 하위요소인 호기심, 협동성, 창의성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05). 둘째, 초등 과학 생물 영역 성취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후검사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05). 셋째, 과학 탐구 능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후검사에서 과학 탐구능력과 하위요소인 기초 탐구능력, 통합 탐구능력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05). 넷째,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후검사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하위요소인 문제감지, 문제 명확화하기, 아이디어 선택하기, 평가하기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05). 따라서 자연놀이학습 프로그램의 구안 및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초등 과학 생명 영역 관련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의 신장을 위한 수업방법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earning Program Using Creative Nature Game that can be utilized in Korea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explore the its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of students after applying it. Sharing Nature used a playful and inspirational teaching strategy and was named after Flow learning based on universal principles of how people learn. It provides a simple and natural framework sequencing of creative nature games. Through playful games that awaken the students' curiosity and enthusiasm, learning becomes fun, immediate, and dynamic, instead of static and secondhand. Even if Sharing Nature has a good influence on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e application is difficult because of overcrowded classes, time and place constraints. So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original one to a suitable learning too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reative Nature Game Learning Program this 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4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A located in Icheon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pil's enhancement of the inquiry ability(.01>p). Specifically, among sub ordinate factors of the inquiry abilities, it was effective to increase abilities of observing, classification, reasoning, data interpretation, formulating hypothesis, and controlling variable.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comparison and experimental groups in terms of the scientific attitude(p.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ncreases in the curiosity and creativity, and cooperation in science. Thirdly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to which the Creative Nature Game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improv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f the school children(.01>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ncreases in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finding learning problems, setting a strategy to resolve these problems, finding a variety of ways to solve the problem, and creating the practical plan. In conclusion, the Creative Nature Game Learning Program was useful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had better be widely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key ward : Flow Learning, Sharing Nature, Creative Nature Game,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인터넷 상담사례에 나타난 청소년의 이성교제의 특성 연구
김혜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본 연구는 인터넷을 통한 청소년 이성교제 상담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이성교제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청소년 이성교제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터넷 상담사례를 통한 청소년의 이성교제 특성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사례 대부분은 교제중 문제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접근방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성교제 상담내용을 분석해 보면 교제를 희망하는 것으로 인한 고민이 가장 많았으며, 교제 중 갈등, 짝사랑 순이었다. 학년별과 성차를 볼 때 이성교제시의 문제를 경험하는 문제들이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관계의 특성에 더 민감하고, 관계에 내재한 어려움을 더 많이 호소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상담을 의뢰한 청소년들은 선행연구에 비해 이성교제의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자의 사귄 경험이 적다는 것은 청소년 이성교제 상담이 현재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청소년들이 이성교제시 상대에게 접근하는 방법 , 이성에게 호감을 갖게하는 법, 이성과 만날 때 느끼는 용모, 성적, 학교등의 컴플렉스, 헤어질 때 느끼는 아픔등등 이성교제시 겪게되는 내면적 어려움을 상담하는 청소년들이 주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기존의 청소년 이성교제를 문제발생이나 성위주, 현상중심의 연구와는 달리 청소년 이성교제가 청소년의 발달선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상대방의 외적 조건이 초기의 인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연령이 비슷한 동급생끼리 사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에 대해 인식하게 된 시기는 고등학교 1학년 때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 보다 교제대상에 대해 친밀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을 최초로 만난 장소로는 전체적으로 볼 때 학교의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통신(미팅), 학원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존의 청소년 이성교제에 대한 연구들과 비교하여 볼 때, 상대연령, 교제기간, 만나는 장소, 외적 호감도등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교제를 희망하는 것으로 인한 고민, 교제 중 갈등, 헤어질 때 아픔 등 상담내용은 청소년 이성교제 상담이 현재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기존의 청소년 이성교제를 문제발생이나 성행동위주, 현상중심의 연구와는 달리 청소년 이성교제가 청소년 발달의 선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결과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현실에서 청소년들이 이성교제에 대해 친밀하게 상담할 수 있는 전문 싸이트들이 많이 요구되어지며, 장차 인터넷을 통한 청소년 이성교제 및 성의식 설문조사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finding desirable directions of youths' intersexual relations by analyzing various cases of them revealed in the counseling on internet and grasping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youths' intersexual relations. The results of researching the youths' characterist intersexual relations through counseling cases on interne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counseling cases were about problems in the intersexual relation in the order of approaching to the opposite sex. Second, as for the contents of counseling, the largest in number was wanting to have an intersexual relation, conflicts in the relation, and one-sided love in that order. Problems experienced in the intersexual relation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chool grades and gender. Girl students were more sensitive to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than boy students, complaining a lot of the inherent difficulties. Third, the youths who took counsel had less intersexual relations than those in precedent studies. Small quantity of inter sexual relation means that counseling was not given to juveniles having intersexual relations only. The major inherent difficulties of intersexual relation came from approaching and appealing manners, complexes about appearance, school record and the social position of school attended, and painful breakup. This means that unlike the claims of the existing problem-, gender- and phenomenon- oriented researches, youths' intersexual relations are being made in parallel with their developments. And youths' first impression of the opposite sex was generally determined by the latter's external conditions. Also they mostly made an acquaintance with the opposite sex of the same age. Most commonly youths began to be sensible of the opposite sex when they were the first grader of high school, and girls felt more intimacy about the person acquainted with than boys. As for the place where they met their girl- or boyfriends for the first time, school accounted for the greatest percentage of the whole, and communication (meeting) and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were the next in that order.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those of the existing studies of youths' intersexual relations, it was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hown in the age of the opposite sex, period of intersexual relation, meeting place and favorable external conditions of the person acquainted with, but longings for intersexual relation, relational conflicts and pains from breakup accounted for much of counseling. Counseling was not only given to juveniles having intersexual relations but also to those without any experience. Unlike the claims of the existing problem-, gender- and phenomenon- oriented researches, youths' intersexual relations paralleled with their developments. These results imply that specialized counseling sites are demanded more than ever for youths to take counsel on their intersexual relations in a friendly way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 of the rapid increase of their using internet and further researches of youths' intersexual relation and sexual consciousnes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on internet.
명월초(Gynura procumbens) 잎 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균 및 항염증 활성
본 연구에서는 명월초(Gynura procumbens)를 잘게 분쇄하여 에탄올로 추출, 농축한 후 용매 분획을 진행하여 항균활성과 항염활성을 규명하여 천연 항산화제 및 항염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 여부를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명월초를 50 % 에탄올 추출물을 얻은 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의 용매를 통해 분획물을 얻어 항균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실험하였다. 항균활성은 S. aureus, E. coli, P. acnes, B. sutilis, P. aeruginosa, P.ovale의 6가지의 균주를 통해 확인하였다.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50 %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엔 P. aeruginosa 균주를 제외한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분획물 측정 결과로는 hexane층에선 P. acnes 에서 22 mm의 clear zone을 나타내며 다른 균주보다 탁월한 항균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hloroform층에서는 혐기성 균인 P. ovale 에서 19 mm의 clear zone을 나타내며 뛰어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ethylacetate 층에선 P. acnes 층서만 10 mm의 clear zone이 확인 되었다. 또한 명월초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쥐의 복강대식세포인 RAW 264.7세포에 LPS를 처리한 후 세포독성과 NO의 생성량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결과로는 Choloroform층에서 가장 낮은 농도인 25μg/mL에서 LPS에 의해 생성된 NO의 양을 감소 시켰으며, 이는 시료 자체의 세포독성에 의한 것이 아닌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결과 명월초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활성 및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가공식품, 화장품 소재 관련 분야에서 천연 항균 및 항염증 소재로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for applications of medicine and food additives using Gynura procumbens. The 50 % ethanolic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a series of solvents in order of increasing polarity. Microorganism used for exeriments was three gram-positive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and two gram-negative bacteria,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and Escherichia coli (E. coli), and the yeast , Plasmodium ovale (P. ovale). The bioassay applied for determining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G. procumbens leaf extract and fractions included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results shown that among the five fractions, n-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 aureus, E. coli, P. acnes, B. subtilis and P. ovale. Also, to confirm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we treated the solvent fractions on Raw 264.7 cell with LPS. So the result showed that chloroform fraction at 25 ug/ml concentration inhibited NO produc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 procumbens leaf extract and fractions showed inhibition of bacterial and inflammatory activities and could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as to whether artists are fre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the reality of the depletion of many types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consequent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that have made today's civilization possible. Moreover, in researching into works of art, I attempted to symbolically embody my concern over the ecological problems and issues involving women as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of our tim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and artistic contexts of relevant works of art. Ecofeminism is a feminist theory that seeks alternatives to the ecological and women's issues of the present by defining a masculine-culture-centric patriarchal system and extreme competition sparked by capitalism as the common cause of the issues. To understand ecofeminism in the context of feminism, I looked into the arguments and characteristics of Enlightenment feminism and cultural feminism and examined the activities and works of feminist artists relevant to each type of feminism. Enlightenment feminist artists who emerged in the early days of the feminist movement include Harriet Powers, an African-American leading figure in quilt, Jang Sun-hee, an embroidery educator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Na Hye-seok who took the lead in enlightening women as the first female artist of Western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era. They all practiced women's equality and liberation in the form of creation and education. Cultural feminism following Enlightenment feminism emphasizes women's own qualities. Cultural feminists argue that in terms of arts, materials and techniques that reflect women's lives, such as crafts and ornaments transmitted in matriarchal traditions, have good value as esthetic factors. This view is in line with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in Britain that advocated the moral restoration and democratization of arts in that they both emphasize the organic rela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arts. Niki de Saint Phalle showed cultural feminist factors in her works that highlight the value of motherhood and the liberation of femininity in a male-dominated culture. Ecofeminism that emerged afterward not only criticizes the dichotomous standards for superiority and discrimination against nature and women but also focuses on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gender cultures that have been neglected due to excessive emphasis on economic value. In this regard, Ivan Illich claimed that the conventional gender roles and gender cultures that flourished before industrial societies emerged should be restored through the concept of 'Vernacular Gender'. The term 'vernacular' is also used to describe the history and cultural sentiments of African-Americans implied in African-American literary works, and both 'vernacular gender' and 'vernacular' in African-American literature lay stress on each individual's origin, experience, conventional thinking, and gender. Thus in this study, I referred to objects with such value as a 'Vernacular Object' and used the concept as the main idea for analysis of works of art. For example, I determined that "Femmage," created by Miriam Schapiro, meaning 'female collage,' has value as an vernacular object considering it is a collection of factors derived from women's lives. In addition,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works of art from the same period, I examin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ecofeminist factors in formative and emotional terms by examining works of feminist artists and female artists. In Wang Kyung-ae's sewing works, I discovered symbols of healing, combination, and reconciliation for care and bioethics of nature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sentiments in Korea and women's own emotions. Chung Kyung-yeun has had a far-reaching influence on the fabric art field in Korea since the 1980s by creating a gentle form of sculpture using gloves as the object. Kim soo-ja, who reinterpreted Korean women's sentiments and objects, helped me ascertain the esthetic, emotional potential of native objects. I also found that the esthetics of motherhood that enables women to tend wounds and take care of abandoned beings is the spiritual value of ecofeminism by examining Yun Suk-nam's work of art representing women and abandoned dogs. I looked into my work of ar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s. The work is mainly characterized by the use of old wood and sewing. Old wood, thrown away from the destruction of an old building, symbolizes abandoned beings, men, homes, patriarchal systems, and social restrictions imposed on women, while sewing serves as a vernacular object that represents the esthetics of care and regeneration unique to women that were formed in matriarchal cultural traditions. This work was produced by sewing big stitches on the material or wrapping a piece of old wood with a fabric with stitches. The wrapping style using fabric, showing that one object is treasured after transforming into a new one, is to wish healing and rebirth. Then using these, I installed the work with the purpose of producing a dramatic space that has a narrative in it. Regarding the work, I divided the main theme into sub-categories -abandoned objects, the value of care, time for regeneration, and co-existence -and discussed the findings that reveal the ecological crisis and support the idea of the restoration of femininity. This discussion follows the steps in order, from the discovery of the materials to regeneration and co-existence through observation and care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reation of the work, which started from a stray thought of abandoned objects continuously found today, extends to a question as to the value of the harsh period where even humans are abandoned and then leads to efforts and wishes for healing on a social level, including care and regeneration.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and the work or art, I aimed to highlight the need for demolishing various boundaries and seeking the value of co-existence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es facing humankind resulting from the destroyed ecosystem and to restore the inherence of the genders. 본 논문은 예술가는 지금의 문명이 있기까지 사용된 수많은 자원과 그로 인해 파괴된 생태의 현실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가? 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작품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도 이 시대의 생태 문제와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작품의 사회적, 예술적 맥락을 분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생태적 여성주의는 남성문화 중심의 가부장적 제도와 자본주의의 극단적 경쟁구도를 오늘날 생태와 여성 문제의 공통된 원인으로 보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여성주의 이론이다. 이러한 생태적 여성주의의 주장을 여성주의 이론의 맥락 안에서 이해하기 위해서 계몽적 여성주의와 문화적 여성주의의 주장과 특징을 고찰하고 각각의 내용과 연관되는 여성주의 미술가의 활동과 작품을 연구하였다. 여성주의 운동 초기에 등장한 계몽적 여성주의 미술가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서 퀼트의 대모인 헤리엇 파워스(Herriet Powers), 식민지 조선의 자수 교육자 장선희, 최초의 조선 여류 서양화가이자 여성 계몽에 앞장섰던 나혜석 등이 있다. 이들은 여성의 평등과 해방을 창작과 교육으로 실천하였다. 이후 등장한 문화적 여성주의는 여성고유의 특성을 강조하는 태도로서, 미술에서는 모계적 전통으로 이어져 온 공예, 장식 등 여성의 삶을 반영한 재료와 기법 등이 미적 요소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여성의 미술은 예술의 도덕성 회복과 민주화를 주장했던 영국의 미술공예운동과 인간과 예술의 유기적 관계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맥을 같이 한다. 한편 니키 드 생 팔(Niki de Saint Phalle)은 남성중심의 문화에서 모성의 가치와 여성성의 해방을 주장하는 작품을 통해 문화적 여성주의 요소를 잘 보여 주었다. 그 후에 나타난 생태적 여성주의는 자연과 여성에게 가해지는 이분법적 우열과 차별을 비판함과 동시에 경제적 가치를 지나치게 우선한 나머지, 소외된 남녀의 고유 성역할과 문화의 복원에 주목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이반 일리치(Ivan Illich)는'버내큘러 젠더(Vernacular Gender)'개념을 통해 산업사회 이전 고유의 성역할과 문화의 복원을 주장하였다. 또한 미국의 흑인문학에 내포된 흑인역사와 문화정서를'버내큘러'라 하는데'버내큘러 젠더'와 흑인문학의'버내큘러'는 모두 개인의 고유 태생, 경험, 관습적 사고, 고유의 젠더를 중요시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 이러한 가치를 지닌 사물을'버내큘러 오브제(Vernacular Object)'라고 명명하고 작품 분석의 주요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그 사례로 미리엄 샤피로(Miriam Schapiro)가 여성의 콜라주라는 의미로 만든'페마주(Femmage)'가 여성의 삶에서 파생된 요소들의 집합으로서 버내큘러 오브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이와 함께 본 연구 작품의 동시대 영향관계 분석을 위해 여성주의 미술가와 여성미술가의 작품 연구를 통해 생태적 여성주의의 요소와 조형적, 감성적 영향관계 등을 고찰하였다. 왕경애의 바느질 작업을 통해서는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정서와 여성 고유의 감성을 바탕으로 보살핌과 자연의 생명윤리를 위한 치유, 결합, 화해의 상징을 발견하였다. 정경연은 장갑이라는 오브제를 이용한 부드러운 조각의 형태를 구축함으로써 1980년대 이후 한국섬유미술계에 폭넓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김수자는 우리나라 여성의 정서와 사물의 재해석을 보여주었는데, 이를 통해 토착적 사물이 담아낼 수 있는 미적, 정서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윤석남의 여성과 유기견을 소재로 한 작품 연구에서 상처를 위로하고 유기된 존재를 보살피는 모성의 미학이 생태적 여성주의의 정신적 가치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살펴보면, 대표적인 작품의 형식적 특징으로 고목재와 바느질의 사용을 들 수 있다. 고목재는 오래된 건축물의 해체과정에서 버려진 것으로 유기된 존재, 남성, 가정, 가부장적 제도,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제약 등을 상징하며, 바느질은 모계 문화의 전통에서 형성된 여성 고유의 돌봄과 재생의 미학을 상징하는 버내큘러 오브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들을 이용하여 커다란 바늘땀을 새겨 넣거나 바늘땀이 새겨진 직물로 고목재를 감싸는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한다. 직물로 감싸는 포장(包裝)의 형식은 새로운 존재로 변화하여 소중히 간직된다는 포장(包藏)의 의미로서 치유와 환생을 기원하는 표현이다. 그리고 이들을 이용하여 내러티브가 존재하는 연극적 공간을 연출하기 위해 작품을 설치한다. 연구 작품은 유기된 사물, 돌봄의 가치, 재생의 시간, 공생(共生)의 소주제로 분류하여 생태의 위기와 여성성의 복원을 지향하는 연구내용들을 서술하였다. 이는 작품 소재를 발견하는 것을 시작으로 오랜 시간 관찰과 돌봄을 통해 재생, 공생으로 이어지는 사건과 시간의 흐름에 따르게 된다. 오늘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유기된 사물들에 대한 단상으로부터 시작된 작업은 인간마저 유기되는 가혹한 시대의 가치에 대한 문제 제기로 확장되고 돌봄과 재생의 사회적 치유를 위한 노력과 바램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본 논문과 작품에서는 생태 파괴로 인한 인류의 위기를 극복하고 젠더의 고유성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계를 허물고 공생을 가치를 추구해야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on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geomantic tale in Cholla province and the examination of the world of consciousness of people contained in the tale. The geomancy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age of unified Shilla, combined with our unique idea of housing site and rooted in the folk customs as the popular belief. The idea that the geomantic system used in choosing auspicious sites for graves and houses has the influence on the good and bad luck, fortune and misfortune of the man has been rooted in the popular life and the people have considered it as the belief. The tale of geomancy was handed down through the people based on such a consciousness and Cholla province has also such a tale.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Ⅱ is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tale of geomancy and examines the background of introduction of geomancy to Korea and its application to real life. The nature of geomancy is the unique belief since ancient times and as it was combined with the theory of geomancy introduced through frequent exchange to Tang since the age of unified Shilla, it was settled as an idea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piritual system of a nation. Therefore, it was introduced to king and high class, became a custom and a religion and was prevailed widely, and finally it provided the important motif of tale. Chapter Ⅲ classifies the types of the geomancy tales of Cholla province centering around consumer, geomancy and propitious site. The consumer centered tales are divided into the story of obtaining propitious site and that of change in fortune through the propitious site obtained and geomancy centered tales are into real story of geomancy of the person who is famous or win the fame owing to geomancy and spurious story of geomancy of the person who sets up for the geomancer. The propitious site centered tales are composed of the story that it is damaged by unselfishness and taboo and others show the value of the people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people and ruling class and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Chapter Ⅳ investigates the historical figures of this province shown in the tale of geomanc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ypes. The historical figures are Dosun and Kim Duk-Ryung and the tales of them express them to affirmative and heroic characteristics in the tale of geomancy of Cholla province. So this research examines their birth and activities through the literature and orally handed down materials of them. Chapter Ⅴ examines the world of people's consciousness in the tal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ypes. The people sought to find out the appearance of lost hero through Dosun and expressed their hopes to establish a new order through the tale of Kim Duk-Ryung's birth and baby commander. Finally, the tale of geomancy of Cholla province suggests the situation of real lacks of Cholla people, shows their confrontation and conflict through the story and tells that they were governed by their way of fatalistic life of geomancy, but they struggled to overcome the fate with the strong spirit of resistance. Accordingly, the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geomancy tales of Cholla province to those of other regions is required and then the literary status of geomancy tales of Cholla province can be emphasized.
한재 미나리의 건조속도와 분말의 흡습특성 및 기능성에 관한 연구
In this study, drying kinetics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trunk were examined in a laboratory scale vacuum dryer. The samples were dried at 50, 60 and 70℃ air temperature with control, blanching and 1% potassium metabisulphide (KMS) solution as pre-treatment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continually with drying time at a given drying air temperature. The increase in drying air temperature resulted in a decrease in drying time. The drying time required to reach final moisture content for the water dropwort was 300, 480, and 960 min when samples were dried at 70, 60, and 50℃, respectively. Nine thin-layer drying models (Newton, Page, Modified Page, Henderson and Pabis, Logarithmic, Two term, Two-term exponential, Approximation of diffusion and Modified Henderson and Pabis) were fitted to the moisture ratio data. Among the drying models investigated, the Page model satisfactorily described the drying behaviour of dropwort trunk. The tEMC values for the samples indicate that they decreased exponentially with increase in drying time. Interestingly, the inverse of time to reach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1/tEMC) indicated linear temperature dependency described by the Arrhenius type equation. The activation energy value calculated based on 1/tEMC was 53.70, 59.57, and 44.40 kJ/mol for the control, blanched, and 1% KMS treated, respectively. At the beginning of drying process, drying rate was very high, and drying rate continued to decrease as moisture content approached to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It is apparent that drying rate decreases continuously with decreasing moisture content or increasing drying ti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ter dropwort stem powder as influenc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freeze drying, vacuum drying, and hot-air drying) were investigated. Hot-air dried water dropwort stem showed the higher moisture content and the lower value of pH than those of the other drying methods. Hot-air dried sample also showed the lower L*-value and higher a*- valu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ugar, reducing sugar, galactose, and glucose content (p<0.05) depending on the drying methods, these sugar content of freeze dried sample were higher than those of hot-air and vacuum dried samples. Samples prepared by hot-air drying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aillard reaction value as compared with those prepared by freeze and vacuum drying (p<0.05). Moisture sorption isotherms represent the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water activity and moisture content of foods at constant pressure and temperature. A sound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isture content and equilibrium relative humidity is essential in the formulation of foods and in their storage stability.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was dehydrated with three different drying methods: freeze-drying, vacuum, and conventional hot-air drying to a moisture content of about 9-10%. The effect of the drying method on the water sorption properties of dehydrated products was evaluated at 25℃. Freeze-dried sample adsorbed more water vapor than vacuum and hot-air dried products, which had a higher sorption capacity than vacuum- and conventional-dried product. The sorption isotherms were in agreement with the reported shape for high sugar foodstuffs. Four different equations proposed in the literature (Khun, Oswin, Iglesias-Chirife, and Smith) were used to fit the sorption data. The Khun model gave the best fit to the experimental data. 진공건조기를 이용하여 미나리 줄기의 건조속도를 측정하고,건조온도와 전처리 방 법을 달리한 후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건조시간의 측정 결과 control시료에 비 해 blanching 시료가 가장 빨리 건조되고,1% potassium meta bisulphide(KMS)처 리한 시료가 대조군보다 늦게 건조되었다.건조속도는 건조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 고,blanching,control,1% KMS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건조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 한 결과 control,blanching,1% KMS 시료 모두 Page모델식이 최적의 모델로 선택 되었다.Page모델식에 준하여 실제 값과 예측 값을 비교했을 경우 세 가지 전처리 방법 중에서 control시료가 가장 일치하였고,blanching,1% KMS 시료 순으로 나 타났다. 활성화 에너지는 control시료가 29.60 kJ/mol,blanching 시료가 39.06 kJ/mol 그리고 1% KMS 시료가 20.26kJ/mol으로 나타났다.L*-value는 건조온도와 건조시 간이 증가할수록 어두워졌고,a*-value는 1% KMS 용액에 담근 시료가 대체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그리고 b*-value는 control시료가 가장 크고,전처리를 한 시료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미나리분말을 제조하고 건조방법에 따른 미나리분말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건조 미나리의 수분함량은 동결건조 미나리는 8.78%,진공건조 미 나리는 8.54%,열풍건조한 미나리가 9.83%로 나타났고,pH는 동결건조 미나리는 6.04, 진공건조 미나리는 5.86,열풍건조한 미나리가 5.16으로 나타났다.미나리분말의 색도 는 갈변현상의 영향을 받아 밝기와 황색도에 큰 변화가 있었다.높은 온도에서 건조 한 진공건조 분말과 열풍건조 분말의 CIE-L*값은 낮은 온도에서 동결건조 시킨 분말 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갈변도는 고온처리과정이 없는 동결건조 분말이 가장 낮았으며,같은 고온에서 건 조시킨 진공건조 분말과 열풍건조 분말 간에는 풍속을 이용하여 건조한 열풍건조가 진공건조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 미나리분말의 입자크 기가 열풍건조>진공건조>동결건조 순으로 나타났고,급속 동결한 후 낮은 온도에서 수분을 승화시켜 건조하는 동결건조 양파분말의 공극률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양파 분말의 복원력은 입자크기가 제일 작은 동결건조 분말이 가장 높았고,다음으로는 진 공건조,열풍건조 분말의 순으로 나타났다.용해도는 동결건조 분말이 다른 두 방법에 비해 높았으며,팽윤력은 열풍건조 분말이 가장 높았다.총당,환원당,유리당 함량은 온도의 영향을 적게 받은 동결건조 분말이 가장 높았으며,진공건조,열풍건조 순으로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흡습특성을 살펴보면 동결건조한 시료가 가장 높은 흡습량을 보여주고 있으며,진공건조,열풍건조 순으로 나타났다.흡습모델과의 적합성은 Kuhn 모델이 가장 적용도가 높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수분활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0.75 이상의 높은 수분활성도에서는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지고,0.53이하의 수분활성도에서는 비교적 빨리 평형에 도달하였다.그리고 온 도가 높아짐에 따라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 단축되었으며 낮은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초기 흡습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동결,진공,열풍 건조한 분말 모두에서 수분활성도의 증가에 따라 수분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형적인 S자형 (Sigmoid)등온흡습곡선 형태를 나타내었다. 물,에탄올,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미나리 추출액의 추출특성과 추출액의 항산 화성을 검토하였다.추출수율을 비교한 결과 물과 메탄올 추출액의 수율보다 에탄올 로 추출한 추출액의 수율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28.69±1.46%, 물 추출물이 58.65±2.64%, 메탄올 추출물이 48.10±2.19%로 나타났다.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 으며,메탄올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조금 낮았고,물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Reducing power를 측정한 결과 또한 앞의 결과와 유사하게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여 항산화능이 우수한 것을 증명하였다.미나리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 질수록 reducing power는 증가하였다.세 가지 추출방법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의 reducingpower값은 물<메탄올<에탄올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총 페놀 함량을 측정 한 결과 물 추출물의 페놀 함량은 76.64±0.26 ㎍/mg, 에탄올 추출물은 139.46±0.26 ㎍/mg,메탄올 추출물은 94.16±0.30 ㎍/mg으로 나타났다.에탄올 추 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메탄올,물 추출물 순으로 그 함량이 높게 나타 났다.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한 미나리는 48.08±0.36 ㎍/mg,에 탄올 추출한 미나리는 105.17±0.72 ㎍/mg,메탄올 추출한 미나리는 53.29±0.36 ㎍ /mg로,물<메탄올<에탄올 순으로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비타민 C 함량을 측정한 결과 비타민 C 함량의 결과에 따르면 물 추출물의 비타민 C 함량이 57.0mg/100g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다음으로는 에탄올 추출물이 22.2mg/100g,메탄올 추출 물이 15.4mg/100g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 결과와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영화 <천사와 악마>에 나타난 한스 짐머(Hans Zimmer)의 음악적 특징 연구
김혜란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This thesis is on the study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vie, <Angels & Demons (2009)>, directed by Ronald William Howard (1954~ ) among the musical works of soundtrack composer Hans Zimmer (1957 ~ ). Hans Zimmer, following his soundtrack works in the early stage of having joined the soundtrack industry in England, moved to Hollywood and has been accumulating filmographies in a diverse range of fields including movies, TV dramas and games, etc. The movie, <Angels & Demons>, which depicted the process of disclosing the conspiracies surrounding the doubtful secret society of Illuminati and the Catholic Church, is based on the original novel by Dan Brown (1964) under the same title and is the sequel to the previous movie, <The Da Vinci Code (2006)>. The central theme of suspicion associated with Illuminati, which had been oppressed by the Catholic Church for more than 500 years, is a story that can elicit great deal of interest in all audiences. On the strength of the outstanding success of the original novel, the movie was produced in a 3-sequel series up to the movie, <Inferno (2016)>. Director Ron Howard and Hans Zimmer worked together on all 3 movies and <Angels & Demons> is the second movie of this series. This movie is equipp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mystery genre for disclosing of conspiracy and thriller genre of pursuing the culprits to save the characters confronted with imminent crisis and threats. Studying which musical grammars Hans Zimmer used to exhibit the aforementioned themes and genre characteristics is the goal of this thesis. For this purpose, all music used in the movie was analyzed on the foundation of their correl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cenes in the movie. As the first step, it was attempt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by examining the flow of Hollywood thriller films. In this preceding study stage, it was attempted to obtain the background knowledge for the analysis of this mystery thriller genre work, <Angels & Demons>, by making inquisitions with focus on the most popular mystery and suspense movies among thriller films in Hollywood. Then, all the works of Hans Zimmer, ranging from his early stage works to the most recent works, were reviewed and categorized into each genre. After having assessed genre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s in the works of Hans Zimmer, his music contained in <Angels & Demons> (a total of 39 pieces) were analyzed in depth.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as it can be seen from the title of the movie, his music utilized themes or motifs to express ‘angel’ and ‘devil’. In addition, use of the ‘theme of Camerlengo’, who is the character for beginning of all conflicts, fortifies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equipped with reversal of events. Moreover, as the result of having reflected the genre of mystery thriller onto music, it can be seen that ‘deduction motif’ was used whenever the leading character makes deduction of the series of events. These themes or motifs made sounds more abundant and voluminous by suing orchestra, electronic music and sound effects together. Such group of musical instruments that is maintained long like pad sounds consistently maintains the mood of the mystery movie. On the contrary, dramatic sense of tension was markedly elevated through the use of rhythmical percussion instruments and acoustic instruments used in the manner of percussion instrument for the chasing scenes. Since Vatican is the background of the movie, it is possible to find various examples of the use of church music formats, with the foremost characteristic of use of only male voices in the chorus part with exclusion of female voices. This male-only chorus part composed of boys, baritone and bass portrays the Church by singing mode melodies. Although the temporal background of the movie is the modern era, the locational background uses Vatican as the stage. As such, it is interpreted that Hans Zimmer used medieval church music formats. As illustrated, Hans Zimmer is effectively conveying the genre of mystery thriller along with the dichotomous theme of Angels & Demons, and religion and science by utilizing his own unique musical grammar. That is, Hans Zimmer is assisting the audiences to immerse themselves and understand the movie better through the music that thoroughly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director in production of the movi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beneficial preceding research material in pursuing further researches on the works of soundtrack musician and composers including Hans Zimmer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영화 음악 작곡가 한스 짐머(Hans Zimmer, 1957~)의 작품 중 론 하워드(Ronald William Howard, 1954~) 감독의 영화 <천사와 악마(Angels & Demons, 2009)>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한스 짐머는 영화 음악에 입문한 초창기 영국에서의 작품 활동에 이어 할리우드로 건너가 영화, TV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모그래피를 쌓아가고 있다. 의문의 비밀 조직 일루미나티와 교회를 둘러싼 음모를 밝히는 과정을 그린 영화 <천사와 악마>는 댄 브라운(Dan Brown, 1964)이 지은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전작 <다 빈치 코드(The Da Vinci Code, 2006)>의 속편이다. 500년간 교회로부터 억압을 받아온 일루미나티와 관련된 의혹이라는 소재는 누구에게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이야기이며, 원작 소설의 흥행에 힘입어 영화는 <인페르노(Inferno, 2016)>까지 세 편의 시리즈가 제작되었다. 이 세 편을 통틀어 감독 론 하워드와 한스 짐머가 함께 작업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인 <천사와 악마>는 이 시리즈 중 두 번째 영화이다. 이 작품은 음모를 밝히기 위한 추리 과정과 위기에 처한 인물들을 구하기 위해 범인을 추격하는 스릴러적인 장르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러한 소재와 장르적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한스 짐머가 어떠한 음악적 어법을 사용했는지 연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모든 음악은 영화 장면과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분석되었다. 그 첫 단계로, 할리우드 스릴러 영화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장르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특히나 그 범위가 넓은 스릴러는 액션, 판타지, 전쟁 등의 타 장르와 결합하여 새로운 장르가 탄생하기도 하므로, 세분화하자면 그 종류가 굉장히 다양하다. 그러므로 이 선행 연구 단계에서는 스릴러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미스터리와 서스펜스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인 <천사와 악마>의 작품 분석을 위한 배경 지식을 얻고자 했다. 이어서 한스 짐머의 초기 작품부터 최근 작품까지를 살펴보고, 이 작품들을 장르별로 분류하였다. 장르적 특성과 한스 짐머의 작품 경향을 파악한 후 본격적으로 <천사와 악마>의 음악(39곡)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화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음악은 ‘천사’와 ‘악마’를 표현하기 위해 테마 혹은 모티브를 활용하였다. 또한 모든 갈등의 시작인 인물 ‘궁무처장 테마’의 사용은 반전을 지닌 인물의 성격을 강화한다. 더불어 미스터리 스릴러라는 장르를 음악에 반영한 결과로, 주인공이 추리를 할 때 마다 ‘추리 모티브’가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테마 혹은 모티브들은 오케스트라와 전자 음악 그리고 사운드 이펙트(Sound Effect)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운드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다. 악기 사용만큼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남성 합창의 사용인데, 주로 장면에서 교회가 등장할 때 소년, 바리톤, 베이스로 구성된 이 남성 합창 파트가 선법 선율을 아카펠라 혹은 안티포날 형식으로 노래하면서 배경을 묘사하였다. 영화의 시대적 배경은 현대이지만 장소적 배경은 바티칸을 무대로 하기 때문에 한스 짐머는 중세 교회 음악의 양식을 사용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렇듯 한스 짐머는 자신만의 음악 어법을 활용하여 천사와 악마 그리고 종교와 과학이라는 이분법적인 주제와 더불어 미스터리 스릴러라는 장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즉 한스 짐머는 감독의 연출 의도를 반영한 음악을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에 대한 몰입과 이해를 돕고 있다. 앞으로도 한스 짐머를 비롯한 영화 음악가들의 작품을 연구하는 데에 본 연구가 유익한 선행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