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황시비가 과채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재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황 시비가 몇몇 원예작물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황 시비량이 과채류(토마토, 호박)에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유황 시비량이 25kg/10a, 50kg/10a인 처리구가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생육촉진 효과가 우수하였다. 토마토는 25kg/10a 처리구에서는 초장과 엽장에서 뛰어난 생육촉진효과를 보였고, 유황 시비량이 많을 수록 초장, 엽장, 엽폭은 감소하고 경경, 엽록소 함유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박의 경우도 토마토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어 유황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전반적인 생육은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 25kg 시비구가 전반적인 생육이 좋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초장, 엽장, 경장 모두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고농도 유황과 혼합광물의 혼합처리가 과채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고농도 유황과 혼합광물의 혼합 처리가 토마토 수확량과 가용성 당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수확과수와 정상과율은 고농도 유황 단독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과중과 수량은 15% 이상 감소하였다. 가용성 당함량은 대조구의 6.2도에 비해 유황처리구가 7.2도로 16% 함량 증가를 나타냈다. 반면에 유황과 혼합광물 처리구에서는 과중을 제외하고 모든 조사항목이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고농도 유황과 혼합광물의 혼합 처리가 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엽장과 엽폭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황을 시비했을때 8.2~13.2%감소하여 생육촉진에 저해 요인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혼합광물 + 유황을 시비했을 때에는 엽수, 엽장, 엽폭, 엽록소함량 모두에서 뚜렷한 증가율을 보였다. 배추의 생체중 및 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생체중에 비하여 건물중에서의 지상부증가율이 지하부보다 현저히 높다. 이는 처리제가 뿌리의 활력을 촉진시켜 양수분의 흡수를 촉진하여 전반적인 생육촉진을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lphur applic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fruit vegetables. As 25 kg/10a and 50 kg/10a levels of sulphur fertilized to vegetables, the growth of tomato and squash was enhanced. In tomato, 25 kg/10a treatment increased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hile these growth characteristics in above this level rather decreased. But the chlorophyll content of tomato leaf increased, as the level of sulfur application increased. As the high concentration sulphur fertilized to fruit vegetables, the number of harvest fruit and marketable fruit rate was increased but the average fruit weight and total yield was decreased more than 15% compared to control. The soluble solids of tomato fruit that fertilized sulphur was 7.2oBrix that was increased more than 16% compared to control, and the other growth characteristics except fruit weight also increased by sulphur application. When high concentration sulphur fertilized to leaf vegetables, the length and width of leaf decreased to 86.8-91.8 % of control. But the sulphur and mixed minerals treatment increased leaf length and width, and chlorophyll content compared control. The sulphur application influenced more in top zone than in root zone in dry weight of cabbage. Because the treatments increased uptake of water and nutrient, the growth of investigated crops should be enhanced.

      • 금속 가공업에서 발생되는 폐수의 응집 처리에 관한 연구

        정재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F사(금속 가공업) 폐수 처리 공정 중 제품의 세척을 위해 과량 사용되어지는 계면활성제(MBAS) 사용에 따른 폐수 처리 시 문제점과, 화학적 처리로서 무기 응집제(Alum, Ferric Sulfate), 무기 고분자 응집제(Poly Aluminium Chloride), 혼합 응집제(Ferric Sulfate / PAC)를 사용하여, 고농도 계면활성제(MBAS) 함유 폐수의 유입에 따른 응집 특성을 고찰 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 개선과 폐수 처리 시설 운영에 따른 경제성을 조사 하였다. F사 폐수 처리장에서 정상적인 응집 공정을 보일 때 채수한 폐수를 사용하여 Jar-test를 실시, 응집제 Alum, PAC, Ferric Sulfate, Ferric Sulfate / PAC(혼합 응집제)에 대한 유기물 제거효율을 CODcr로 분석한 결과 Alum 30.8 % , PAC 39.6 %, Ferric Sulfate 49.8 %, Ferric Sulfate / PAC(혼합 응집제) 47.8 %으로 Al계 응집제가 혼합 응집제 및 Fe계 보다 제거율이 좋지 않음을 관찰하였으며, 특히 Alum은 MBAS 함유 폐수의 유입에 따라 SS 및 탁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반응을 보임으로서, 대상 폐수에 적합 치 않음을 알 수 있었다. Al계 응집제 보다 좋은 효율을 보인 Ferric Sulfate와 혼합 응집제인 Ferric Sulfate /PAC 응집제는 CODcr이 일반적으로 화학적 처리에서 기대되어지는 제거 가능한 범위까지 처리되었으나, Ferric Sulfate 경우 낮은 pH에서 최적 효율을 보이기 때문에 응집 공정 후 pH를 올리기 위한 공정의 추가와 알칼리제 투입을 감안 할 때, Ferric Sulfate와 PAC을 혼합한 응집제가 Ferric Sulfate 단독으로 사용한 응집보다 경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MBAS 제거는 정상상태에서 Ferric Sulfate 78.0%, PAC 73.3%, Ferric Sulfate / PAC 62.1%, Alum 38.7%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방류 pH가 3.5인 Ferric Sulfate가 높은 제거율을 보였고, 방류 pH가 8.5인 Alum이 가장 적은 제거율을 보였다.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which happened when the company treated waste water according to MBAS that was used in excess and coagu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flow of waste water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MBAS using Alum, Ferric Sulfate/ PAC as a chemical treatment for washing products under the treatment process of waste water in F company (Metal Working Industry). It also examined the improvement of those problems based on that situation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attendant on managing waste water treatment plant. It could observe that the removal rate of Al system coagulant at Alum 30%, PAC 39.6%, Ferric Sulfate 49.8%, and Ferric Sulfate/PAC 47.8% is not better than mixed coagulant's and Fe system's when it was done Jar test using waste water which was got when it was showed normal coagulation process at waste water plant in F company as a result of analysis of organic removal rate for each coagulant: Alum, PAC, Ferric Sulfate/PAC with CODcr. Especially Alum showed response that SS and muddy grade rapidly increased, so it showed it was not suitable for this waste water . Ferric Sulfate that showed better efficiency than Al system coagulant and Ferric Sulfate/PAC were treated to the possible removal extent that CODcr was generally expected at chemical treatment, but in case of Ferric Sulfate because it showed ideal efficiency at low pH, after coagulation process, allowing for addition of process and projecting alkali agent to increase pH, Ferric Sulfate and coagulant that mixed PAC were showed more economical efficiency than coagulant that singly used Ferric Sulfate. The removal rate of MBAS showed the rate of Ferric Sulfate 78.0%, PAC73.3%, Ferric Sulfate/PAC 62.1%, and Alum 38.7%, also Ferric Sulfate that was discharge pH of 3.5 showed high removal rate, and Alum that was discharge pH of 8.5 showed the least removal rate.

      • 회계정보유용성 증대를 위한 회계정보재생산자의 역할

        정재우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재무분석가와 감사인의 역할이 회계정보이용자의 유용성 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현대의 기업은 광범위한 이해관계자들과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은 회계정보를 일방적으로 공급하여 회계정보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광범위한 이해관계자들의 정보요구에 만족을 충족시켜줄 수 없다. 또한 회계정보의 제공자가 분식회계와 같이 회계부정을 저지르거나 회계정보에 오류가 포함되어 있거나, 회계감사가 부실한 경우 유용하지 못한 회계정보가 회계정보이용자에게 제공되어 의사결정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회계정보의 공급은 기본적으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근간을 두고 재무제표를 작성, 제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회계정보의 제공에 있어서 선행연구를 통하여 회계정보의 공급과 수요, 질적 특성을 연구하여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에 의한 정보제공과 회계정보의 수요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채택하여 회계정보재생산자인 재무분석가와 감사인이 회계정보이용자의 정보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가설검증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회계정보이용자의 각각의 필요성에 충족하기 위해서는 목적적합성과 충실한 표현의 근본적 질적 특성과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적시성, 이해가능성의 보강적 질적 특성이 충족한 회계정보가 유용하다. 또한 재무제표 이외에도 추가적인 자료의 제공과 재무분석가의 정보중개자 역할의 강화와 감사제도의 강화를 통하여 회계정보이용자의 만족에 기여한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초등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관계 연구

        정재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보다 능률적이고 생산적인 직무를 수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경력별, 근무지별, 학교규모별로 구분하여 5단계 척도가 주어진 35문항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그 측정결과를 SPSS 18.0으로 처리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이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보다는 도시지역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2. 인간관계 만족도의 경우 농촌 지역의 초등교사의 만족도가 도시지역 초등교사의 만족도보다 높았다. 3. 근무조건 만족도와 행정체제 만족도의 경우에는 도시 지역 초등교사가 농촌지역의 초등교사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4. 직무스트레스의 경우 성별과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저 경력 교사일수록 고 경력 교사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대체로 교직에 만족하고 있다. 둘째, 도시지역의 초등학교 교사의 만족도가 농촌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농촌지역의 근무환경 개선 및 행정체제의 합리화를 통해 농촌지역 초등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 마련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여자 교사보다는 남자 교사의 경우에서, 고 경력교사 보다는 저 경력 교사의 경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여성 위주의 교직사회에서 남자 교사들에 대한 높은 기대감 및 업무 과중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인다. 초등교사의 성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여 남자 교사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교직 경력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는 업무 능숙 정도와 관련지어 해석 할 수 있다. 고 경력 교사와 저 경력 교사의 멘토링 제도를 활용하여 저 경력교사의 업무 능력을 향상시켜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은 고려할 수 있다.

      • 유계 공간 및 흡수 경계 조건 하에서의 포커-플랑크 방정식에 관하여 : On the Fokker-Planck Equation with Absorbing Boundary Condition in Bounded Domains

        정재우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흡수 경계 조건을 가정한 포커-플랑크 방정식의 초기-경계치 문제를 연구한다. 첫째, 경계에서 존재하는 특이집합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우선 정칙화한 방정식을 생각하고 이의 해를 특성곡선을 이용한 방법으로 구한다음, L^1 및 L^∞ 공간에서의 고른 추정을 통해 이의 극한을 구함으로써 약해의 존재성을 보였다. 둘째, 범공간에서의 정칙 이론을 토대로 특이집합을 제외 한 구역에서는 해가 매끈함을 보였다. 또한, 경계 곡면의 주곡률 값이 모든 점에서 0을 가지지 않는다고 가정할 경우, 해가 특이집합을 포함한 전 구역에서 휄더 연속 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방정식의 해는 시간이 무한대로 가면 지수적으로 소멸함을 증명하였다. In this thesis, we study the initial-boundary value problem of the Fokker-Planck equation with absorbing boundary condition. First, we establish a well-posedness theory by constructing a solution for the regularized equation and passing to the limit by uniform L^1 and L^∞ estimates. Secondly, based on the theory of the hypoellipticity in the whole space, we show that the solution is smooth far from the singular set. Moreover, if we assume additionally that, on each points of the boundary surface, the principal curvatures do not admit value zero, then the solution is H ̈older continuous up to the singular set. Lastly, we prove that the resulting solution decays exponentially in time.

      • 시선추적기를 통한 TV동영상 시청자의 시각반응 연구 : 뉴스, 예능, 홈쇼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재우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장치인 시선추적기(Eye Tracker)를 이용하여 영상매체에 대한 시청자들의 시선의 흐름, 순서를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영상물에서 타이포그래피가 차지하는 역할과 영향력, 유인 구조 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관성적으로 디자인, 배치되어왔던 영상 제작, 편집이 효과적인 방식이었는지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선추적은 눈동자가 움직이는 경로를 추적함으로써 시각 자극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과 정보처리 방식 등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최근 시각디자인 관련 분야에서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연구는 적지 않으나 대부분 정지된 이미지에서 시선의 이동경로를 추적한 것이었고, 동영상을 실험한 논문은 3편에 불과했다. 이 3편의 경우에도 프로모션, 광고, 모션그래픽 등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본 연구가 대상으로 하는 TV 방송 프로그램과는 다루고자 하는 연구목적이 달랐다. 본 연구의 대상 TV 프로그램은 실사 동영상과 글자가 동시에 나오는 뉴스 프로그램과 예능, 그리고 전문 채널(홈쇼핑 채널) 프로그램이다. 이 3가지 분야의 방송 프로그램은 영상 속에 ① 인물, ② 관련 상품 혹은 관련 영상 ③ 글자가 함께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세 요소들 중에서 시청자의 시선이 어디에 자주 머무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영상에 표현되는 요소들의 영향력, 관계 등을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중파 3사의 뉴스 프로그램과, 예능 프로그램, 홈쇼핑 프로그램을 실험 대상으로 하고, 부가적으로 홈쇼핑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홈쇼핑 방송 내에서 문자 위주의 화면이 포함된 동영상으로 세분화 실험하여 두 실험 사이의 차이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20대 남녀를 그 피실험자들로 삼았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배경, 연구 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을 기술하였고, 2장에서는 이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시각과 시선 관련 이론,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실험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실험대상, 피험자대상 및 실험방법과 도구에 대해 좀 더 세세하게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이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한 실험, 즉 뉴스, 예능, 홈쇼핑 프로그램과 글자만으로 된 동영상 화면을 대상으로 네 가지의 실험 과정과 결과를 그림으로 제시하고 표로 정리하였다. 5장에서는 실험의 결과를 빈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것이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검증을 하였다. 6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와 시사점을 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TV프로그램의 동영상디자인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한다. 첫째, 동영상에 대해 수용자가 집중하는 시간은 30초도 되지 않는다. 동일 영상에 오래 노출되어 있으면 수용자는 그 영상 속의 구석구석 정보를 두루 살펴보기보다는 영상 자체에 대한 관심을 중단하기 때문에 하나의 화면 안에 많은 정보, 요소를 배치하여 골고루 시선을 이끌어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보다는 짧은 동영상 내에 핵심 요소가 잘 드러나도록 디자인하고, 새로운 정보나 타이포그래피로 이끌기 위해서는 새로운 화면을 통해 유인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둘째, 피실험자의 시선은 문자나 전달자보다는 주제에 맞는 동영상이나 상품에 많은 관심을 가진다. 그동안 영상매체의 고도화된 발달과 함께 타이포그래피의 적극적인 개입이 수용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었다. 그러나 20대들은 문자텍스트보다는 주제에 직접 관련된 대상(상품, 뉴스의 관련 동영상 등)에 더 주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기존의 관행적으로 동영상 내에 문자를 삽입해 왔던 것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는 매우 중요한 발견이다. 셋째, 중요한 메시지, 대상은 중앙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포그래피는 화면 분할 과정에서 한쪽에 치우쳐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전달자나 해당 상품 등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겠지만, 그럴 경우 글자에는 끝내 시청자의 시선이 가지 않은 채 시청행위가 끝날 수도 있다. 따라서 꼭 필요한 정보의 경우에는 타이포그래피를 과감히 중앙에 위치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중앙 다음으로 시선을 끄는 위치는 좌측이다. 앞선 실험에서 시청자들의 시선이 인물(앵커)이나 영상물에 의한 주목도의 차이보다 좌측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주목도의 차이가 더 크다. 시청자들의 시선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은 현대의 한국인들의 글쓰기/읽기의 방향이기도 하다. 이점을 고려하여 수용자에게 각인 혹은 주목시키고자 하는 메시지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동영상 시청 과정에서 남녀 간의 시선 차이가 두드러진 것은 홈쇼핑 프로그램이다. 뉴스나 예능, 그리고 짧은 홈쇼핑 동영상에서는 남녀 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반면에, 인포메이션 바가 강조되고 다소 긴 홈쇼핑 동영상에서 남성은 상품 외에 인포메이션 바에 시선이 많이 머물렀고, 여성은 상품에 시선이 더 집중되었다. 따라서 홈쇼핑 채널에서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주요 소비자층이 어떤 성별이냐에 따라 화면 구성과 강조점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즉, 남성소비자 대상 상품에는 상세한 설명의 인포메이션 바를 함께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시연이나 설명 동영상을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 H7 대용 LED retrofit headlamp 광학설계 및 특성분석

        정재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차량용 광학계에 사용되는 광원의 발전은 할로겐, HID, LED, LD(레이저 다이오드) 순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에 사용된 벌브 광원은 발광면인 필라멘트 코일의 온도가 상승할수록 효율이 상승하지만 코일 증발속도도 가속화되는 특징이 있다. 코일 증발을 억제하기 위해 전구 내부에 할로겐 가스를 채워 넣은 할로겐벌브로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전조등, 상향등, 안개등 등 차량용 광원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이 후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에 클러스터, 방향지시등 램프에서만 사용되던 LED 광원이 할로겐벌브 광원을 대체하여 헤드램프 광원으로도 적용되는 추세다. Audi, BMW 등 일부 고급 차량 기종에 적용되던 LED 광원이 현재는 일반 차량까지 빠르게 확산 되었으며, 2015년 완성차에 한하여 주간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 사용이 법제화 되면서 자동차용 LED 조명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할로겐램프에서 LED 헤드램프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신형 자동차에만 적용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LED 광원은 에너지 소비량이 적고, 반영구적인 수명과 구조적 안정성으로 인해 유지보수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차용 할로겐램프를 LED로 변경하기 위한 다양한 Retrofit 램프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할로겐램프가 적용된 기존의 차량에 대해 LED 모듈 광원으로 대체할 수 있는 Retrofit 타입 헤드램프의 광학설계 및 모듈 광원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H7 할로겐 벌브 광원을 Reference 광원으로 하여 Projection 타입의 전조등 광학계에 적용하여 배광분포를 확인하고 배광법규를 대입하여 법규에 명시된 광도값을 측정 지점별로 만족하는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법규를 만족하는 조건을 바탕으로 새로이 설계한 LED 모듈 광원에 적용하여 마찬가지로 법규 만족 여부를 확인하였다. 모듈 광원 자체의 LED 칩 간 거리를 조정하여 최적의 위치 조건을 선정하고, 광원이 광학계에 설치된 각도를 조정하여(Aiming) 측점 지점을 최대한 많이 만족하는 조건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광학 설계 프로그램 중 하나인 ‘SPEOS’ 프로그램을 이용한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전조등 배광 법규 만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할로겐 광원에 대응 가능한 LED 모듈 광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