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斷層帶와 터널 最適發破 패턴의 聯關性에 관한 硏究(경기도 신갈 저수지 하부지역 중심)

        장성수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역적인 여건 및 노선에 의하여 연약 파쇄대층(예를 들어, 단층대 지역)에 근접 또는 통과하여 터널식(굴착식)으로 새로운 터널을 굴착하여야 할 경우, 새로운 터널의 굴착으로 인하여 연약 파쇄대 지반이 이완 또는 함몰되고 따라서 신설 터널 및 기존 연약 파쇄대층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사전에 조사된 지반조건과 터널의 용도에 맞는 공간의 자립시간 등을 기초로 하여 암반의 안정성과 공간의 자립력을 유지시키면서 경제적이고 효율성 있게 터널을 굴착하기 위하여 폭약을 이용하는 굴착방법으로 발파계획 및 패턴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는 주변 연약 파쇄대층(단층대)의 분포에 따른 허용 지발당 장약량과 공당 장약량을 산정하여 원지반의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야 한다. 신설 터널과 연약 파쇄대층(단층대)과의 이격거리 및 신설 터널 굴착에 따른 이완 영역의 증가에 따른 신설 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여 각 조건별 안정성 대책과 발파로 인한 진동영향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터널 발파패턴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2010년 발주된 수도권 고속철도(수서~평택 제4공구) 건설공사 터널구간 설계과정에서 수행한 연약 파쇄대층(단층대)과 신설 터널의 이격거리별 영향 분석 모형실험을 기초로 하여 굴착지반의 이완 및 함몰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발파패턴을 모색함으로 향후 연약 파쇄대층(단층대)를 통과하는 신설 터널 공사에 있어 경제성과 시공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In the case of excavating for new tunnels by using tranch method in close proximity to weak shattered zone such as fault zone or going through it because of areal conditions and routs, excavation for new tunnels lead to relaxation or dent of fault zone and make it possible to cause some stability problems of existing weak shattered zone. It should make full consideration of the original ground characteristics with calculating charge volume per permissible delay time and empty hol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around weak shattered zone to set up blasting plan and pattern as the excavation method using explosives to excavate tunnels economically and effectively,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rock mass and self-reliance of the space based on the pre-surveyed ground condition and self-reliance time being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unnels. It need to set up more effective tunnel blasting pattern considering stability measures and vibration effect caused by blasting under each condition with proposing the influence of not only the distance between new tunnels and weak shattered zone(fault zone) but also the increase of relaxation scope according to the excavation for new tunnels. This study focuses on seeking suitable blasting pattern to enhance economic feasibility and constructability of new tunnels going through weak shattered zone such as fault zone in the future, predicting the relaxation and dent of the excavation ground based on the scaled model experiment on the analysis of the distance effect between new tunnels and weak shattered zone such as fault zone regarding the tunnel design of capital area high speed railway project(Suseo-Pyeongtaek 4th section) ordered in 2010. Key word : weak shattered zone(fault zone), The stability of tunnel, Suitable blasting pattern

      •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공통과학과 생명과학Ⅰ 교과서의 인류세 개념

        장성수 강릉원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물학 및 생물 교육은 종합적 학문을 지향하면서도 자연과 인간을 분리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생물 교육에서 생태환경에 대한 교수는 자연적 과정을 관찰하고 측정하려는 과학적 접근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인류가 지구 생태환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힘으로 등장하고 있고, 이런 인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는 제대로 된 생물학이나 생물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인류세는 오늘날 지구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는 생태환경의 변화가 유례없는 규모와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는 판단을 전제로 하며, 나아가 인류가 그런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힘으로 작용한다는 가설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인류세 개념이 지질과학계에서도 아직 정설로 인정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생물학 및 생물 교육에서 인류세적인 접근방법은 기존의 자연 중심의 과학 교수에 비해 전 지구적 성격을 지니는 환경 문제와 환경 시민성, 또는 생태 시민성을 함양시킬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류세적 이해라는 관점에서 2015년도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과학과 생명과학Ⅰ 교과서를 분석하여 생태환경 변화에 대한 인류세적 이해가 생물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이를 위해서 2015년 교육과정에 따라 미래엔, 비상교육, ㈜금성출판사, 동아출판사, 천재교육에서 발간한 통합과학 교과서와 미래엔, 비상교육, 금성교과서, 동아출판사, 천재교육, 교학사, 지학사, ㈜와이비엠의 생명과학 1 교과서에서 각각 <생태계와 환경>과 <생태계와 상호작용> 단원을 중심으로 본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인간 활동이 생태환경 악화에 미치는 영향이 기술되거나 더 나아가 사례가 제시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생태환경을 지켜야 하는 이유가 인간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는지 생태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는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통합과학의 <생태계와 환경> 단원의 모든 교과서에서는 인간 활동에 의한 생태계의 파괴를 지적하며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기술했고, 궁극적으로는 생태적 측면보다는 인류의 생존 등 인간중심주의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둘째, 생명과학Ⅰ의 대부분의 교과서는 생물 다양성의 가치를 인간이 생활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인간중심주의적 측면에서 서술하고 있고, 인간의 활동으로 생물 다양성은 매우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으며, 많은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있음을 경고하며 인간의 책임을 강조한다. 셋째, 일부 교과서에서는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국가적, 국제적인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인류는 많은 생물 종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는 환경 윤리적인 측면에서 기술하였고, 모든 교과서에서는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활동 사례와 보존을 위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목표에 설정된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 ”라는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여 개발되어야 하겠다. 인간은 자연과 서로 공존해야 할 존재로서 자연의 본래적 가치를 인식하고, 지구 구성의 일부분으로 지질학적 행위자 입장에서 인류세 극복을 위한 책임 의식이 필요하다. 교육은 기후 변화, 친환경 에너지, 수질 및 토질 보존, 생물 다양성 등 ‘지구 환경의 문제’의 환경친화적 가치관 정립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직면한 환경 문제를 분석하고 회복 방안을 도출하며 생활에 적용하도록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정착이 절실하다. 생물교육에서는 인간도 다른 생물들과 생태계의 일부로서 공동체의 일원임을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생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환경의 변화에 따른 위기를 공감하고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폭넓게 적용해 보며 환경이 인간과 동등한 가치로 함께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어야 바람직한 생태가 유지될 수 있음을 인지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인류가 직면할 문제들은 공통의 주제에 대한 합의를 공유하고, 서로의 차이에 대해 개방적으로 소통하며, 다른 관점도 존중할 수 있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기존의 패러다임을 벗어난 과감한 학문 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초 학제적인 연구 및 교육이 필요하다.

      • 觀光地 開發潛在力 評價要因과 投資決定經路에 관한 構造分析

        장성수 京畿大學校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관광지 개발을 둘러싼 외부여건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범자유주의의 등장과 시장경제논리의 확산으로 정부의 역할이 효율중시와 기능축소라는 경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지 개발에 있어서도 공공투자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고 그 대안으로 민간투자의 논리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어떤 관광지의 개발잠재력이 아무리 크게 평가된다 하더라도 결국 투자가 수반되지 않으면 그 개발잠재력은 가시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연구지역인 제주도의 경우 1994년 수립된 제주도종합개발계획은 정부의 공공투자를 관광기반시설 건설에 한정하고 대신에 외부 대자본 위주의 민자유치를 통한 관광지개발을 천명하였다. 이것은 관광자원을 공공재로 인식하여 정부의 개입을 당연시하는 가운데 동시에 시장재로서의 성격도 수용함으로써, 관광지 개발에 있어서 공공재적 성격에 더하여 시장경제원리를 균형적으로 포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관광개발 연구에 있어서도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가 전통적으로 중요시해온 관광수요적 요인, 관광공급적 요인,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요인 등 기존의 연구성과에 더하여, 나날이 그 역할이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관광지 개발의 「투자적 요인」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연구노력이 시급하다고 보아진다. 모름지기 학문은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시대요구를 수렴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관광지 개발잠재력이 아무리 크게 평가된다 하더라도 결국 투자가 수반되지 않으면 그 개발잠재력은 현재화되지 않고 있다는 현실에 유념하였다. 그리하여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 연구성과를 고찰하고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민간투자유인력의 논리를 추가·확립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했다. 이러한 작업은 관광의 공공재적·시장재적 성격을 동시에 고려하는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의 통합적 이론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나아가서 이러한 학문적 결실을 통해 관광지개발의 투자실현 가능성을 제고하고자 한 목적에서 시작된 것이다. 사회과학의 패러다임은 변화하는 현실의 여건을 수용하여 인간생활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실용적이고 실천적인 입장이 강조되는 관광개발학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입장을 수용하여 「문제제기 → 관련 이론고찰 → 연구설계 → 분석결과 및 해석→ 결론 및 시사점」 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연구과정을 밟으며 수행하였다. 제2장 관련이론의 고찰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관광지 개발잠재력 관련 접근체계와 그 평가요인에 관한 논리를 광범위하게 탐색하고 관광지 개발잠재력을 구체화하는 개발투자의 결정경로를 이론화한 연후에 관련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여 본 연구의 분석준거로 삼고자 했다. 특히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투자중심의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논리를 논의하고 이에 근거하여 투자관련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요인을 추출하였다.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요인으로는 본 연구가 문제로 제기한 투자요인과 더불어 관광수요적 요인, 관광공급적 요인, 관광영향·수용력·지역사회 등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요인을 고찰하였다. 제3장은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설계로 이루어졌다. 앞에서 검토된 이론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가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는 공변량 구조분석에서 요구되는 이론적 연구모형(제안모형)과 측정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통해 모형을 구성·측정하는 제변수간의 관계를 설정했다. 제안모형은 수요관련 요인, 공급관련 요인,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관련 요인, 그리고 투자관련 요인이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라는 매개변수를 통하여 결과변수인 투자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구조적 틀을 가정해 만들었다. 이에 따라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는 투자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또한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는 투자촉진요인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계 경로를 단순화·도식화하고, 각각의 이론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변수를 표시하는 경로도형(path diagram)으로서 설계되었다. 또한 조사목적·조사방법·표본추출 등 조사설계를 다루었고 설문지를 구성했으며 구성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했다. 제안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주로 공변량 구조방정식 모형 프로그램인 LISREL을 이용하였고 이외에도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T검증(T-test),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 이론단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등 다변량 통계분석(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기법 등을 활용하였다. 제4장은 분석결과 및 해석이다.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기술하고 변화량 계수(CV: coefficients of variation)와 카이저(Kaiser) 적합도를 통하여 측정변수의 안정성과 적합도를, 그리고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 계수와 다중상관 자승치(SMC: squared multiple correlation)를 통하여 측정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하여 관련 이론고찰에서 추출된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요인들이 이론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변수로서 충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를 검증했다. 각각의 검증 결과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모형검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된 제안모형의 전반적 부합도는 비교적 양호하여(CFI 0.845, AGFI 0.750, RMSR 0.096, NNFI 0.874) 충분한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을 통해 수요관련 요인을 제외한 공급관련 요인,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관련 요인, 투자관련 요인이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와 의미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또한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는 투자촉진 요인을 매개로 하여 투자의사결정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각각의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요인은 요인상호간 유의한 관련성을 갖고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수요관련 요인이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과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가 투자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제안모형과 가설의 검증에 이어 공변량 구조분석의 주요절차로서 대안모형의 탐색작업을 실행했다. 대안모형은 모형의 부합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과 모형의 부합도는 다소 떨어지더라도 이론적 정당성에 충실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분하여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모형의 부합도가 개선된 「대안모형 I」의 경우 수요관련 요인에 더하여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관련 요인조차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어 제안모형보다 이론적·경험적 토대가 탄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반해 「대안모형II」의 경우 수요관련 요인이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적으로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형의 부합도가 제안모형보다 의미있게 떨어져(CFI의 값의 경우 0.845에서 0.745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서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항목들(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요인, 관광지 개발잠재력 전체 평가, 투자촉진요인, 투자의사결정)이 공공투자자·민간 투자자 등 조사대상의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설정된 인과 관계에서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요인의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특히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에 얼마나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상의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와 관련된 실증분석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지개발의 투자실현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공공정책적 함의를 발견·제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특히 투자요인의 경우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에 대한 경로 계수가 다른 요인들에 비해 가장 높게 나온 점, 그리고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가 투자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투자촉진요인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점은 본 연구의 타당성과 관광지개발 이론상 새로운 이론체계의 가능성을 높여주는 대목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투자요인」이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에 있어서, 그리고 관광지개발의 실현가능성을 제고하는 데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관광지개발에 있어서 투자자 중심의 여건 변화가 관광지 개발잠재력 평가방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따라서 그 평가방법에 있어서도 「투자요인」이란 새로운 변수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는 주장을 구체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나아가서 지금까지 관광지개발 이론이 중시해 온 수요중심적·자원중심적·수용력적·지역사회적 접근체계에 더하여, 「투자적 접근」이 추가되는 통합적 이론이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해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up the theoretical system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field survey & empirical analysis on the factors and paths of the evalu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 potentials into investment decision-making, founded upon the philosophy that the academic approach to the tourism science should be practical for the betterment of 'on-spot' tourist development implementation. From the review of literature are firstly set up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n the evalu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 potentials in context of structural approach, roughly divided into three sectors ; (1) the concept and system of the evalu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 potentials, (2) the exploratory recomposition of the evaluation factors determining the tourist destination potentials, i.e., ① factors based upon the tourist demand, ② factors based upon the tourist supply, ③ factors based upon the interaction of the tourist development system with the environments(tourist development impacts, carrying capacity of the tourist destinations, and tourist destination community oriented characteristics, etc.), and ④ factors based upon the development investment which the tourist destination really attracts, and (3) the investig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this study. Secondly field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are designed. The study model, made up of two kinds of models - theoretical and structural model and measurement model, is built upon the bases of the above discuss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five hypotheses containing 12 sub-hypotheses are established so as to explain the inter-variable functional relations. The study model is designed in the integrated level to be a path-diagram as below, and then is verified with hypotheses by application of LISREL(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s) Program Version 8.14.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The data for this study are 283 copies out of distributed 400 ones in target of the tourist investment groups containing public and private investor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field survey from March 25 to April 18, 1999. For data analysis a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d one-hundredth part percentage,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LISREL). Thirdly the result is analysed and interpreted, the summary of which is as follows : (1) The reliability, stability, and adequacy of the data are all affirmed excellent, and especially the results of the feasibility analysis on the measurable variables of the suggested model by way of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ppear to be satisfactory, for all fitness indexes such as GFI, AGFI, NNFI and so on are above 0.90. (2) The overall fitness of the suggested model is estimated to be satisfactory, GFI(goodness of fit index) showing 0.845, AGFI(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0.750, RMSR(root mean square residual) 0.096, and NNFI(non-normed fit index) 0.874. Accordingly the devised factors and paths of the suggested study model are thought to be meaningful and have an enough explanatory power. (3) Four hypotheses among five are adopted, but one hypothesis that the evalu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 potentials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is discarded. Accordingly not only among the measurable variables and the result one but also among four factor variables are discovered the notable correlations, and so both the result variables, the evalu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 potentials and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can be explained by the factor variables. (4) The investment groups, public and private, are revealed to perceive all variables differently in a statistical meaning, and the public group is more positive than the private one. In view of policy point, this perception gap among two is thought to be the cause of inter-group policy conflicts. (5) The outcome of this empirical study is comprehensively discussed, on the foundation of which the policy implications to the tourist destination development are explored in an optimal way. Finally is summarized the output of this study, is discussed the limi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and is proposed those study subjects which are in need of continued research.

      • 軍宗活動이 戰鬪力 向上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장성수 韓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ypothesis how chaplain activity influence to soldiers' generally life in usual-time and the discharged soldiers' life as citizen and in war-time, how it power up the fighting strength. The way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believer and not believer's 80% and not believer's 39.30% reply that it is enable. This result show the power of religion is important to propose judgment to be straight life, and to make straight aspect Especially because the present society was backslide and nicious crime was often happened. So the value of chaplain activity is important. Soldier's duties is when war-time or national crisis is happened to protect nation and people. To fulfill this duties our army must win all of ground battle. As we showed in the result when the soldiers was asked whether you believe your god protect you in battle field, believer's 97.6% and not believer's 15% answered that it would be enable. Also about the question whether your army will win in battle field by religion faith. Believer's 94% and not-believer's 9% answered that it would be enable. The others, although a lot of Q&A is remained. As showed in above request's result. We can judge about recent chaplain activity is effecting a lot of influence to soldiers at war-time & usual-time. Especially at war-time it will help to maximize the war potential. Recent X-generation soldiers forced by military-laws are not enough to go battle field for protect nation and people when war happened. So solve this problem chaplain activity is necessary. But it need to introduce various program for improve quality in recent "The 1 person got 1 religion movement" growing up in quantity. The end, thanks for help to compose this study, leading professor Song, Chang Seok and professor Sung, In Seok and professor Lee, Kang Yong and battalion commander Kim, Yong Il, and lieutenant-colonel Lee, Ki Bong. In introduction 'The 1 person got 1 religion movement' background, "It's purpose is for soldiers to have religion belief", this sentence made me to do this study. And thanks for all the other people for helping finished this study.

      • 국산 C형간염바이러스 검출키트의 평가 및 항체가와의 비교

        장성수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 수혈후 간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C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는 1989년에 발견된 이후, 항체측정에 기초한 혈청학적 검사들이 진단에 이용되어져 왔고, 최근에는 역전사효소-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이용하여 HCV RNA를 직접 검출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RT-PCR법은 경우 방법자체의 번거로움과 위양성, 위음성등의 문제가 있으며, 그 중에도 치료효과 등을 반영할 수 있는 정량법의 경우 방법에 따라 표준화가 어렵고, 고가의 검사비용으로 치료효과의 추적검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구자는 C형간염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HCV RNA를 검출하는 국산 정성키트를 표준 정량법과 비교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 효소면역법에 의한 항 HCV 항체측정시 나오는 흡광도(optical density, 이하 OD) 값을 이용하여 항체가의 반정량을 시도하여 치료효과 판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8년 2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에서 항 HCV 항체 검사에 양성이었던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AmplicorTM HCV Monitor Test (Roche, USA)를 이용한 HCV RNA 정량검사와 HCV PreMixTM-PCR (Bioneer, Korea)을 이용한 HCV RNA 정성검사를 시행하였다. HCV RNA 측정외에 제3세대 효소면역검사(COBAS CORE Anti-HCV EIA, Roche, USA)를 이용한 항 HCV 항체검사의 OD 값을 측정하여 항체가의 반정량을 시행하였고, 측정한계를 넘는 검체의 경우 10배 또는 100배 희석하여 OD 값을 측정하여 HCV RNA 정량 수치 및 RNA 정성검사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 항 HCV 항체양성인 22검체중 HCV RNA 정량검사로 음성이 7예, 양성이 15예가 나왔고, 양성 15예중 9예에서 측정상한치인 500,000 copies/mL 이상이 , 나머지 6예는 24,224 copies/mL에서 475,619 copies/mL 까지의 결과를 보였다. 국산 키트를 사용한 정성검사에서는 정량검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양성이 15예, 음성이 7예가 나와 정량검사를 기준으로 민감도 100%, 특이도 100%를 나타내었다. 효소면역검사를 이용한 항 HCV 항체검사의 반정량법에서는 두 검체에서 OD값이 1.09와 1.53으로 나왔으며, 측정상한치인 OD값 3.5이상인 나머지 21검체는 3검체에서 10배 희석하여 0.64에서 1.93까지의 OD 값이 측정되었고, 14검체에서 100배 희석후 0.49에서 3.14까지의 OD 값이 측정되었으며, 100배 희석 후에도 3검체에서는 여전히 측정한계인 3.5이상이 측정되었다. 항 HCV 항체가와 HCV RNA 정량값의 비교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HCV RNA 음성군과 양성군의 비교에서는 음성군에서 항체가가 낮게 나타났다(p=0.04). 결론 : 국산 HCV RNA 검출 키트인 HCV PreMixTM-PCR이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어 정량표준법인 AmplicorTM HCV Monitor Test에 비해 손색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바이러스혈증 음성군과 양성군의 항 HCV 항체가 비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으로 항체가가 높은 검체에서는 바이러스혈증의 가능성이 더 높음을 보여 주었다.

      • 경영인들의 사회·심리적 자본이 마케팅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세계시민주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장성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른 경영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런 맥락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한 중 기업의 경영자들의 사회적 심리적 자본이 기업의 마케팅 역량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와 이런 영향력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영자들의 세계지향적인 마인드인 세계시민주의 지수가 경영자들의 사회 및 심리적 자본의 하위 요소들이 기업의 마케팅 역량의 하위 요소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 역할을 하는지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영자들의 사회적 자본 하위 요소로는 경영적 관계(유대관계), 신뢰, 결속력 등으로 구성하였고, 심리적 자본의 하위 요소는 자기 효능감, 희망(희망), 낙관주의, 탄력성으로 구분하였다. 세계시민주의를 조절 변수로 처리하였고, 통제 변수로는 기업의 설립년도, 규모, 목표 시장으로 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2014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 까지 약 6개월간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국에 400부를 배포하여 한국은 329부, 중국은 307부가 본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통제 변수로 설정된 기업의 연령, 규모 그리고 목표 시장은 기업의 마케팅 역량의 하위 요소인 가격, 유통, 제품 개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사회적 심리적 자본의 하위 요소들 역시 기업의 마케팅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세계시민주의는 경영자들의 사회적 및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소들이 기업의 마케팅 역량의 하위요소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분적으로 드러났다. 이렇게 형성된 마케팅 역량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실제 경영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마케팅 전략이나 기업의 경영성과를 평가하는데 소중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 할 때 경영진들의 이런 사회적 및 심리적 자본이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마케팅 전략 역량이 최대의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도록 경영인들의 사회적 심리적 자본 형성에 보다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This study was therefore designed to examine the role of top management’s social capital?focusing on specific components of social capital?in shaping a company’s marketing capabilities. In addition, the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cosmopolitanism as a top management’s characteristic serves as a moderator that allows top management’s social capital to influence corporate marketing capabilities. A media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is study proposed the hypothesis that top management’s social capital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marketing capabilities: pricing strategies, product development, distribution strategies, and marketing communications. While managerial tie utilization and solidarity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marketing capabilities, trus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 present study segmented social capital into sub-factors, thereby identifying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behavioral outputs of corporate executives, such as business practice processes, marketing capabil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op management’s social capital should enable companies to consolidate corporate business practice capabilities and, eventually, to be seen as closely associated with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essential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op manag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