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Sel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8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491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스트레스 대처전략 질문지(박창순, 2005),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셀프리더십 질문지(박동현, 2014)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소극적인 대처방식은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적극적 대처방식은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초임유아교사의 적극적 대처방식은 셀프리더십을 통해서도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초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가 경험하는 역할수행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경로는 셀프리더십이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적극적 대처방식과 역할수행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내에 셀프리더십 증진내용과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있는 교과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491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491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스트레스 대처전략 질문지(박창순, 2005),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셀프리더십 질문지(박동현, 2014)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소극적인 대처방식은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적극적 대처방식은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초임유아교사의 적극적 대처방식은 셀프리더십을 통해서도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초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가 경험하는 역할수행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경로는 셀프리더십이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적극적 대처방식과 역할수행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내에 셀프리더십 증진내용과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있는 교과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희,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09-227, 2013

      2 오현미, "초임보육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김인영,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준거집단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4

      4 이란희, "초등학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박창순, "초등학교 교사의 내외통제성과 직무 스트레스 대처전략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조병남, "청소년 교육을 위한 교사의 셀프 리더십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51-171, 2010

      7 백은주,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사의 자아개념 및 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7-46, 2006

      8 임진형,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김현미,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김진영,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23-140, 2012

      1 김정희,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09-227, 2013

      2 오현미, "초임보육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김인영,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준거집단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4

      4 이란희, "초등학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박창순, "초등학교 교사의 내외통제성과 직무 스트레스 대처전략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조병남, "청소년 교육을 위한 교사의 셀프 리더십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51-171, 2010

      7 백은주,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사의 자아개념 및 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7-46, 2006

      8 임진형,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김현미,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김진영,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23-140, 2012

      11 박신영,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2 이은미, "유아교육 교사의 교직전문성인식, 정보자원활용, 교사역할수행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이희경, "유아교사의 역할 Q-set개발 연구" 4 (4): 27-54, 2000

      14 고영자, "유아교사의 교직부합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교사의 조직몰입 및 역할수행"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15 주연희, "유아 교육기관 신임교사의 역할수행 관련변인의 영향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4

      16 이진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6 (6): 127-144, 2011

      17 김옥주,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2

      18 이민경,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의 불안과 문제 및 지원 요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9 곽현주, "수업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20 김수자, "셀프리더십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6

      21 구지애, "사립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지도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2 박복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23 박동현,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4 정정희,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실제의 관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2

      25 김정희,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51-68, 2013

      26 문혁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1

      27 서윤희, "매개변인으로서의 개인내적변인을 고려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Self-leadership)과 직무태도 간 구조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17-242, 2012

      28 김민정,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7

      29 김세일,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0 金貞姬, "知覺된 스트레스,認知세트 및 對處方式의 憂鬱에 대한 作用: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31 House, J. S.,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Wesley 1981

      32 Dolbier, C.,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 leadership and enhanced psychological, health, and work outcomes" 135 (135): 469-485, 2001

      33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4 Marshall, G., "The influence personality and leader behaviour have on teacher self-leadership in vocational colleges" 40 (40): 707-723, 2012

      35 Kovess-Masfety, V., "Teachers' mental health and teaching levels" 23 (23): 1177-1192, 2006

      36 Fuller, F. F., "Teacher education(seventy-four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Ⅱ)"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52, 1975

      37 Lazarus, R. S., "Stress and adaptational outcome : The problem of confounded measure" 40 (40): 770-779, 1985

      38 Curry, J. R., "Shifting to a wellness paradigm in teacher education : A promising practice for fostering teacher stress reduction, burnout, resilience, and promoting retention" 14 (14): 178-191, 2012

      39 Manz. C. C.,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 in organization" 11 (11): 585-600, 1986

      40 Agron, P., "School wellness policies : Perceptions, barriers, and needs among school leaders and wellness advocates" 80 (80): 527-535, 2010

      41 Manz, C. 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Prentice Hall 1998

      42 Burden, P. R., "Implications teacher career development : New roles for teachers, administrators" 4 (4): 21-25, 1983

      43 Huling-Austin, L.,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535-548, 1990

      44 Armstrong, L. J., "Getting started : Leadership opportunities for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37 (37): 11-17, 2009

      45 Tankersley, A. A., "Discovering curriculum concerns of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86 (86): 293-297, 2010

      46 Ho, J., "A refinement and extension of the self-leadership scale for the chinese context" 24 (24): 450-476,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7 2.161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