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조직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소재 초·중등학교 교사 763명을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06422
2021
-
370
KCI등재
학술저널
307-333(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조직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소재 초·중등학교 교사 763명을 대...
본 연구의 목적은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조직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소재 초·중등학교 교사 76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은 학교조직효과성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조직신뢰에 대해서는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조직신뢰는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도 주었지만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을 완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은 매개변인인 조직신뢰를 통해 학교조직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 진정성 리더십을 통해 학교조직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첫째, 진정성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신뢰와 존경을 바탕으로 구현되어야 하고, 조직신뢰의 하위변인들이 갖고 있는(공감능력, 소통능력, 포용력 등) 긍정적 가치가 교육활동에 반영될 필요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부장교사나 고경력 교사들이 갖고 있는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임파워먼트를 개선하고, 이를 일반교사들에게 지원하여 교사효능감을 높이고 교육적 성취와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 리더십 연수 과정을 제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incipal 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Trus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examine this study, based on questionnaires, which were collected from 763 te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incipal 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Trus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examine this study, based on questionnaires, which were collected from 763 teachers in Busan, Ulsan and Kyungsang-Namdo,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executed. The result is that Principal s Authentic Leadership showed the meaningful direct effects no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on Organization Trust. Moreover, Organization Trust showed that it directly affect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directly have an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fully-mediated Principal s Authentic Leadership. It means that Principal s Authentic Leadership can improve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Organization Trust, which is a mediation variable. A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o enhance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Authentic Leadership, it is required that First, the Authentic Leadership should be embodied by the trusts and respects of school members. And the positive values (Empathy, communication, engagement, etc.) that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 Trust have is proved to be necessary for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In order for Head teachers and senior teachers to show their competences, their empowerment should be refined. In the back of this implementation and supporting general teachers, I suggest the Empowerment Leadership Education System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boosting up teachers’ ef icac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규, "호텔레스토랑Chef의 진정성리더십이 조직신뢰 및 팀웍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3 (13): 143-161, 2014
2 구동우, "호텔기업에서 총지배인의 진정성 리더십에 의한 리더신뢰와 조직신뢰가 정서적 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3 Maxwell, J. C., "함께 승리하는 신뢰의 법칙 [Winning With People: Discover the People Principles That Work for You Every Time]" 21세기북스 2006
4 윤수진, "학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구조적 관계" 신라대학교대학원 2020
5 김지현,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75-296, 2016
6 황연성, "학교장의 인사공정성, 행동특성, 교사의 학교장에 대한 신뢰 및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경민, "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조직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8 이진원,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지도성이 조직공정성과 학교장 신뢰에 따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9 강경석,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팔로워십, 학교장 신뢰 및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한국교육개발원 34 (34): 75-101, 2007
1 김인규, "호텔레스토랑Chef의 진정성리더십이 조직신뢰 및 팀웍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3 (13): 143-161, 2014
2 구동우, "호텔기업에서 총지배인의 진정성 리더십에 의한 리더신뢰와 조직신뢰가 정서적 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3 Maxwell, J. C., "함께 승리하는 신뢰의 법칙 [Winning With People: Discover the People Principles That Work for You Every Time]" 21세기북스 2006
4 윤수진, "학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구조적 관계" 신라대학교대학원 2020
5 김지현,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75-296, 2016
6 황연성, "학교장의 인사공정성, 행동특성, 교사의 학교장에 대한 신뢰 및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경민, "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조직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8 이진원,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지도성이 조직공정성과 학교장 신뢰에 따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9 강경석,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팔로워십, 학교장 신뢰 및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한국교육개발원 34 (34): 75-101, 2007
10 김순미, "학교장의 감성지도성, 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4
11 이기용, "초등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학교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22, 2017
12 오정재, "초등학교 교장·교감의 지도성 결합유형, 교사의 성숙도,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3
13 김선주,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오센틱 리더십, 학교조직문화, 학교조직몰입,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중원대학교 대학원 2017
14 이광숙,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리더십, 신뢰성, 학교 조직효과성의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1
15 주영효,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31-62, 2019
16 박종근, "진정성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6
17 유재익,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6
18 안순희, "진정성 리더십이 부하의 이직의도와 감정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매개효과와 팔로워십의 조절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7
19 김현생, "진정성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웰빙 매개효과와 상사신뢰조절효과 중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8
20 송진구, "진정성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리더와 차상위 리더의 상향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및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5
21 김애경, "진정성 리더십과 변화지향행동의 관계성 : 직장 내 신뢰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안정의조절효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22 김지현, "진정성 리더십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143-164, 2018
23 권혁기, "진성리더십과 상사에 대한 신뢰, 조직침묵, 이직의도,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22 (22): 131-147, 2017
24 권상집, "진성 리더십, 상사 신뢰, 심리적 웰빙, 지식공유 간의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지식경영학회 17 (17): 1-26, 2016
25 황연경, "직장인의 개인이미지, 오센틱 리더십 및 조직소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5
26 김지현, "중학교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7
27 이형주, "중등학교에서 교장의 오센틱 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의구조적 관계"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9
28 Peterson, J., "조직을 놀라운 성과로 이끄는 신뢰의 힘" 가남 2017
29 임성만, "조직 신뢰와 구성원 신뢰의 기반 요인 및 관계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0 이인석, "조직 내 신뢰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16 (16): 227-250, 2005
31 양진영, "오센틱 리더십이 대학 스포츠 선수의 심리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모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32 유영철,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학습조직의 영향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3 탁진규,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19-336, 2016
34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9
35 Abrashoff, M., "네 자신속의 또다른 너를 깨워라 [It’s Your Ship]" 홍익출판사 2002
36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6
37 이하나, "구성원들의 심리적 계약위반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와 상사지원인식 및 노조유무의 조절효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6
38 류근하, "교장의 오센틱 리더십,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39 김희규,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 헌신과의 관계" 교육종합연구원 10 (10): 123-144, 2012
40 이정란,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 팔로워십과 교사 컬리그십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41 주영효, "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증대를 위한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효과 분석 및 구현 방안연구" 한국연구재단 8-9, 2016
42 최상균,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교사리더십과 교사효능감,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43 장영희, "개인특성과 보상만족이 조직신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동양대학교 대학원 2018
44 강경수, "學校長의 變革的 리더십과 敎師 임파워먼트, 팔로워십, 學校長信賴가 學校組織效果性에 미치는 影響"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45 Laschinger, H., "Using empowerment to build trust and respect in the workplace; A strategy for addressing the nursing shortage" 23 (23): 221-234, 2005
46 Podsakoff, P. M.,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1 : 107-142, 1990
47 Kernis, M. H.,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14 (14): 1-26, 2003
48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lfrod Press 2005
49 Cook, J.,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53 (53): 39-52, 1980
50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1998
51 Northouse, P. G.,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Sage 2010
52 Scheerens, J., "Improving school effectiveness: Fundamentals of educational planning" UNESCO 2000
53 Harter, 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382-394, 2002
54 Schmiesing, R. J., "Factors related to Ohio State University extention agent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Ohio State University 2002
55 Yang, J., "Examining the effects of trust in leaders : A base-and foci approach" 21 : 50-63, 2010
56 Williamson, O., "Cal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 34 : 453-502, 1993
57 Sergiovanni, T. J.,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Jossey-Bass 1994
58 Quinn, R. E., "Beyond rational management: mastering the paradoxes & competing demands of high performance" Jossey-Bass Publishers 1988
59 Avolio, B., "Authentic leadership: Theory-building for veritable sustained performance" Gallup Leadership Institute, University of Nebraska 2004
60 Terry, R. W., "Authentic leadership: Courage in action" Jossey-Bass 1993
61 Avolio, B. J.,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 for research" Mind Garden 2007
62 김명수, "Authentic Leadership이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5 (15): 99-122, 2012
63 George, B., "Authentic Leadership: Rediscovering the Secrets to Creating Lasting Value" Jossey-Bass 2003
64 Walumbwa, F. O., "Authentic Leadership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heory-based measure" 34 (34): 89-126, 2008
65 배병렬,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 2014
66 윤정구, "21세기 한국 리더십의 새로운 표준 진정성 리더십" 라온북스 2015
초·중등교원 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경험과 전문성 함양에 대한 인식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교원 갈등 유형과 해결방안 탐색
혁신학교 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특성 연구:‘희망’혁신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권(敎權) 관련 연구 동향 분석:최근 10년(2011-2020)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7 | 2.37 | 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1 | 2.46 | 2.479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