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유아와 가족변인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아 가정에서 유아에게 보다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52622
2011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05-224(20쪽)
4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유아와 가족변인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아 가정에서 유아에게 보다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
본 연구는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유아와 가족변인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아 가정에서 유아에게 보다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영유아교육기관(유치원 4곳, 어린이집 3곳)에 다니고 있는 유아의 부모 238명(3세 65, 4세 106, 5세 이상 67)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연령과 출생순위는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취업여부, 부모의 인터넷 이용만족도, 부모의 인터넷 중독정도, 가족기능도의 하위요인 중 가족 간의 친밀감 등의 가족변인이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과 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대해 유아의 성별과 연령이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대해 어머니의 취업여부, 부모의 인터넷 이용만족도, 부모의 인터넷 중독정도, 가족기능도는 유일한 설명력을 갖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대한 유아와 가족변인 전체의 영향력은 어머니의 취업여부, 가족기능도, 부모의 인터넷 중독정도, 유아의 성별, 유아의 연령이 설명력을 갖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유아와 가족변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 수 있어 가정에서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유아에게 안전한 인터넷 이용환경 제공과 부모교육 관련된 지침 제공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children"s internet game addic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serious problem of young children. We have done this study to find how the variables of children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are related to the children"s internet-game-addiction ...
Recently, children"s internet game addic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serious problem of young children. We have done this study to find how the variables of children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are related to the children"s internet-game-addiction inclination and to present safe internet environment for children at home. For this purpose, we chose 238 parents whose children are enrolled in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238 parents are composed of 3 groups: 65 parents who have 3-year-old children, 106 for 4-year-old and 67 for 5-year-o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clination of young children is related to children"s age, sex, mother"s employment status, parent"s satisfaction in using internet, the degree of parent"s internet addiction, and family variables like intimacy among family members. Second, the internet-game-addiction inclination of young children is explained by children"s age and sex. Third, the internet-game-addiction inclination of young children is explained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parent"s satisfaction in using internet, the degree of parent"s internet addiction, and the functionality of family. Finally, the variables about children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that have an effect on the internet-game-addiction inclination of young children are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functionality of family, the degree of parents" internet addiction, children"s sex and 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희진, "한국형 가족기능도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15-28, 2003
2 이숙희, "컴퓨터 게임 중독 수준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판단 및 유아발달수준의 차이"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33-44, 2007
3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취학 전 아동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7
4 최나야, "충동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기대가 아동, 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209-219, 2006
5 이금화, "초등학생의 성격 특성과 가족의 기능적 특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이인숙,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인터넷 기대 및 자기효능감" 아동간호학회 9 (9): 376-383, 2003
7 任銀美, "청소년의 컴퓨터/인터넷 사용과 부모-자녀 갈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43-258, 2002
8 김기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가족 의사소통 및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조춘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가정 및 학교환경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인문계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0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1 최희진, "한국형 가족기능도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15-28, 2003
2 이숙희, "컴퓨터 게임 중독 수준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판단 및 유아발달수준의 차이"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33-44, 2007
3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취학 전 아동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7
4 최나야, "충동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기대가 아동, 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209-219, 2006
5 이금화, "초등학생의 성격 특성과 가족의 기능적 특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이인숙,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인터넷 기대 및 자기효능감" 아동간호학회 9 (9): 376-383, 2003
7 任銀美, "청소년의 컴퓨터/인터넷 사용과 부모-자녀 갈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43-258, 2002
8 김기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가족 의사소통 및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조춘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가정 및 학교환경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인문계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0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11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슈 기획분석"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12 한미경,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유아교육 관련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 12 : 215-235, 2003
13 정아란,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2007
14 김승옥, "유아의 인터넷 안전의식 측정도구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5 김승옥,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77-391, 2009
16 유구종, "유아를 위한 컴퓨터 교육" 창지사 2001
17 강정원, "유아를 위한 인터넷중독 상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23-342, 2011
18 이경옥,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개발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19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20 이순묵,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
21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
22 윤지영,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3 이인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청소년의 게임 중독정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24 조아미, "부모, 교사, 친구의 사회적지지가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0 (10): 249-275, 2003
25 노준석, "미디어 이용과 몰입경험에 따른 수용자의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2003
26 한국게임산업개발원, "게임환경 변화에 따른 게임몰입(중독)의 추세와 의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4
27 김정화, "가족의사소통 및 가족기능이 청소년 인터넷중독 경향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2
28 안영숙, "가족기능과 가족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9 김선로, "가족관계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30 박구연, "가족 기능과 자아개념이 고등학생의 컴퓨터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1 Beard, J. G.,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12 (12): 20-33, 1980
32 한국인터넷진흥원, "2006년 하반기 정보화 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명화에 기초한 도형 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 | 1.6 | 1.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5 | 2.25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