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교육 평가연구의 현황과 과제 = The Present States and Assignments of Theses on the Evaluation in History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ses on the Evaluation in History Education from 1955 to 2009 were surveyed in term of time, examination, research theme and research methodology. From 1955 to 1999, there were a few theses on the evaluation in history education, but from 2000 to 2009, they increased slowly because of history education researcher's increase and interest' enlargement about national examination and school examination.
      Because the main material of theses about history in the Evaluation of was the examination, the theses about all sorts of the examination were the most among them. And many theses about history item and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and school's performance evaluation were published, too. Besides the studies about history teaching's evaluation objectives and foreign evaluation's present state were progressed, and s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aterial was identified.
      In terms of research theme, the theses about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and analysis of history item and test in all sorts of examination were the most, and many studies about analysis of the schoo's examination' present state and search for improvement device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all sorts of examination were performed, too. By the way,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heme through introduction of new viewpoints is necessary as researches gaining information about teacher's historical perception or pupil's histor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analysis of history item and test.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many researches seemed to be quantitative research because of using statistics, but were regarded as qualitative research because of using qualitative interpretation about history item and test. By the way, it is necessary to progress the research interpreting the present states of history teaching's evaluation and giving the meaning to it.
      It is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researcher and the product of researches on the evaluation of History education increases. But it is problematic that researches about history teaching's evaluation were oriented to the specific examination as history item and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or school's performance evaluation, they were focused to the specific research theme as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or analysis of history item and test, and they were biased to the specific research methodology as text research or experiment resear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number of history teaching's researcher will increase more than past and new research theme with diverse viewpoints and methodologies will be introduced.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ses on the Evaluation in History Education from 1955 to 2009 were surveyed in term of time, examination, research theme and research methodology. From 1955 to 1999, there were a few theses on the evaluation in history education, but ...

      In this study, theses on the Evaluation in History Education from 1955 to 2009 were surveyed in term of time, examination, research theme and research methodology. From 1955 to 1999, there were a few theses on the evaluation in history education, but from 2000 to 2009, they increased slowly because of history education researcher's increase and interest' enlargement about national examination and school examination.
      Because the main material of theses about history in the Evaluation of was the examination, the theses about all sorts of the examination were the most among them. And many theses about history item and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and school's performance evaluation were published, too. Besides the studies about history teaching's evaluation objectives and foreign evaluation's present state were progressed, and s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aterial was identified.
      In terms of research theme, the theses about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and analysis of history item and test in all sorts of examination were the most, and many studies about analysis of the schoo's examination' present state and search for improvement device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all sorts of examination were performed, too. By the way,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heme through introduction of new viewpoints is necessary as researches gaining information about teacher's historical perception or pupil's histor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analysis of history item and test.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many researches seemed to be quantitative research because of using statistics, but were regarded as qualitative research because of using qualitative interpretation about history item and test. By the way, it is necessary to progress the research interpreting the present states of history teaching's evaluation and giving the meaning to it.
      It is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researcher and the product of researches on the evaluation of History education increases. But it is problematic that researches about history teaching's evaluation were oriented to the specific examination as history item and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or school's performance evaluation, they were focused to the specific research theme as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or analysis of history item and test, and they were biased to the specific research methodology as text research or experiment resear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number of history teaching's researcher will increase more than past and new research theme with diverse viewpoints and methodologies will be introduc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역사교육 평가연구의 양적 증가
      • 3. 역사교육 평가연구의 소재 확대
      • 4. 역사교육 평가연구의 나아갈 방향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역사교육 평가연구의 양적 증가
      • 3. 역사교육 평가연구의 소재 확대
      • 4. 역사교육 평가연구의 나아갈 방향
      • 5.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진, "현행 국사교육 수행평가의 실제와 문제점 및 해결 방안" (5) : 2000

      2 김정수,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의 목표 준거와 문항 반응 분석 3급 문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권오현,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역사과 학생 수업의 수행 평가 방안 연구" (28) : 2002

      4 이성재, "프랑스 역사교육 평가의 동향"

      5 한용준, "포트폴리오 평가가 초등학생의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6학년 사회과 역사수업을 중심으로" 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김보림, "최근 일본 대학입시에서의 역사 평가와 한국사 관련 문항 고찰" 동아시아일본학회 (24) : 29-43, 2007

      7 함정식,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8 임윤식, "초등사회과에서 사료를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 평가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흥열, "초등 역사학습 평가의 실태와 새로운 방향 모색 -학교 수준의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9) : 7-39, 2009

      10 이흥열, "초등 역사학습 평가문항 개발의 새로운 방향」" 2009

      1 김현진, "현행 국사교육 수행평가의 실제와 문제점 및 해결 방안" (5) : 2000

      2 김정수,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의 목표 준거와 문항 반응 분석 3급 문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권오현,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역사과 학생 수업의 수행 평가 방안 연구" (28) : 2002

      4 이성재, "프랑스 역사교육 평가의 동향"

      5 한용준, "포트폴리오 평가가 초등학생의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6학년 사회과 역사수업을 중심으로" 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김보림, "최근 일본 대학입시에서의 역사 평가와 한국사 관련 문항 고찰" 동아시아일본학회 (24) : 29-43, 2007

      7 함정식,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8 임윤식, "초등사회과에서 사료를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 평가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흥열, "초등 역사학습 평가의 실태와 새로운 방향 모색 -학교 수준의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9) : 7-39, 2009

      10 이흥열, "초등 역사학습 평가문항 개발의 새로운 방향」" 2009

      11 정한숙, "창의력 신장을 위한 역사교육의 수행평가 방안" (8) : 2003

      12 조두형, "참여와 소통을 위한 사이버 커뮤니티 활용 한국근현대사 수행평가 사례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3 이정윤, "중학교 국사과에서의 포트폴리오 수업·평가의 활용"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김명남, "중학교 국사과 학습평가의 타당성에 관한 분석연구:수도권지역 소재학교의 학습평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송선민, "중학교 국사과 학습평가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지필검사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1992

      16 신영창, "중등학교 역사교육에서 평가의 실제와 문제점"

      17 김윤철, "중등학교 국사과 수행평가 유형 및 평가기준 개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8 이승준, "중등 역사교사 임용시험의 출제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 20 (20): 2004

      19 김미선, "중등 교실 역사학습평가의 개선방안 -내용타당도 측면에서-" 한국역사교육학회 (9) : 41-96, 2009

      20 김유리, "중국 역사교육 평가의 현황과 특징: 대학입시(高考)를 중심으로"

      21 김한종, "중·고등학교 국사교육목표의 설정 방안" (63) : 1997

      22 우경득, "주관식 문항 평가·학습지도와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 효과"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3 김수미, "제 1ㆍ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분석과 문항의 방향" 한국역사교육학회 (6) : 177-227, 2007

      24 이예선, "임용고사 문제의 선정과 교사선발의 문제점 중등학교 교사의 입장에서"

      25 조승래, "임용고사 문제의 선정과 교사선발의 문제점 대학교수의 입장에서" 2006

      26 조성은, "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중학교 국사 수행평가 설계와 구현"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7 최완기, "역사학습지도의 원리와 실제" 느티나무 1997

      28 조한경, "역사지도를 활용한 평가 실태와 역사교육" (16) : 2008

      29 송일승, "역사적 상상력의 신장을 위한 수행평가 활용" 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0 최완기, "역사적 사고력과 평가의 문제" (55) : 1994

      31 최상훈, "역사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평가문항 개발방안" (5) : 2000

      32 정광호,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 사회과 포트폴리오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3 배정선,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행평가 방안" 1 (1): 2008

      34 정선영,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35 양호환, "역사교육의 연구와 방법론" (55) : 1994

      36 최상훈,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2008

      37 양정현, "역사교육에서 평가논의의 난맥상과 개선방안" (80) : 2001

      38 이원순, "역사교육론" 삼영사 1981

      39 최상훈, "역사교육 평가의 중요성과 원칙"

      40 최상훈, "역사교육 평가의 중요성과 원칙" 사교육연구회 웅진사학회 2006

      41 이명희, "역사교육 평가의 문제와 새로운 방향"

      42 허신혜, "역사교육 평가연구의 현황과 과제" 청람사학 2002

      43 정선영, "역사교육 이론의 변천 : 성과와 과제" 역사교육연구회 (97) : 33-64, 2006

      44 이원순, "역사교육 이론과 실제" 정음문화사 1985

      45 송춘영, "역사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71) :

      46 신진균, "역사과에서 창의력을 길러주는 수행평가" 내일을 여는 역사 2000

      47 이원순, "역사과교육" 한국능력개발사 1977

      48 오정현, "역사과 평가에서 목표 준거의 위계성 모색" 역사교육연구회 (111) : 35-70, 2009

      49 오정현, "역사과 평가 문항의 위계성 검토" 2009

      50 오정현, "역사과 평가 문항의 위계성 검토" 한국역사교육학회 (9) : 97-144, 2009

      51 김남철, "역사과 수행평가의 실제" (6) : 2008

      52 한경아, "역사과 수행평가와 평가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3 김미선, "역사(국사)학습평가 내용타당도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과의 일치성 측면에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135-164, 2008

      54 박수진,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학교 국사수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5 권옥영, "수행평가를 활용한 향토사 지도 방안: 순천 지역의 향토 문화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6 이재각, "수학능력시험 출제와 내용선정의 문제점중등학교 교사의 입장에서"

      57 도면회, "수학능력시험 출제와 내용선정의 문제점대학교수의 입장에서" 2006

      58 박진동, "수능 문항의 구성 요소 분석과 문항 제작 방안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 근·현대사 과목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11) : 227-262, 2009

      59 윤세철, "사회과 역사분야의 평가" (14) : 26-, 1981

      60 윤세철, "사회과 역사 분야의 평가" (14) : 1981

      61 김민정, "미국의 역사교육과 평가SAT Subject Tests를 중심으로"

      62 김창성, "대학에서 역사교육 평가의 실제와 문제점"

      63 박수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역사교육현장에 미친 영향과 바람직한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1994

      64 김경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경향과 인식도 분석을 통한 국사 교수학습 방법 연구" 제주대 교육대학원 2001

      65 구창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영역시험" (55) : 1994

      66 유연숙,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영역 세계사 문항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7 나승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사과 탐구 평가의 방향과 국사관련 문항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8 박기명,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사 문제 분석과 그 개선 방안"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69 이상식,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통해서 본 제7차 교육과정과 국사 교육" 역사학연구회 (64) : 71-102, 2007

      70 김규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역사적 사고력 평가방안: 세계사 영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1 조영미,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지도문항 분석을 통한 국사교육의 고찰: 1994학년도 2007학년도 국사관련 역사지도문항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2 최상훈,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영역 평가목표의 개선방안" 한국역사교육학회 (6) : 133-175, 2007

      73 최상훈,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영역 문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03) : 99-135, 2007

      74 조준호, "대학수학능력시험 세계사 문항 내용 타당도 증거 분석」,"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5 염정순,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사과(사회탐구영역) 문항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6 허회숙, "대입 예비고사의 문제분석올바른 국사교육을 위하여" (24) : 1978

      77 변태섭, "국사교육과 입시" (17) : 1975

      78 조성경, "국사과에 있어 주관식 평가문항을 통한 학생들의 학습방법 개선과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1996

      79 이찬희, "국사과 절대평가 기준 개발의 준거" (30) : 1997

      80 이찬희, "국사과 절대평가 기준 개발의 준거" (30) : 1997

      81 김영아, "국사과 독서 수행평가의 타당성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2 서인원, "국사 교육 평가의 현황 분석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고려시대 국사 문항을 중심으로" (40) : 2004

      83 김수미, "국가수준의 대학입시에서 한국사 문항의 변천" 2009

      84 이명희,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기준 및 도구 개발연구 in 고등학교 국사"

      85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국사과 평가기준 개발의 준거" (7) : 1999

      86 김수미, "국가 수준의 대학 입시에서 국사 문항의 변천 -객관식 선다형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9) : 145-200, 2009

      87 Anderson,L.W, "교육과정 수업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5

      88 오정현, "고등학교 역사과 서술형 · 논술형 평가의 특징과 개선 방안" 한국역사교육학회 (4) : 109-157, 2006

      89 김재곤, "고등학교 국사에서 향토사를 활용한 수행평가 방안 천안 향토사를 중심으로" (16) : 2008

      90 오정현, "고등학교 국사과에서의 수행평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1 이대희, "고등학교 국사과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행평가 방안" (29) : 2002

      92 류온례, "고등학교 국사과 문화사 지필평가 분석" 시립대학교 2004

      93 박수연, "고등학교 국사 내신평가의 분석: ‘한국 근현대사’ 교과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4 이찬희, "고등학교 국사 국가공통 절대평가기준 개발연구"

      95 안원기, "고등학교 ‘국사’ 과목 정기고사 문항유형의 분석과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6 강양희, "고교 국사교육과 입시" (17) : 1975

      97 "http://www.riss.kr/"

      98 방지원, "<국사> 서술형 평가 답안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역사 이해 양상 - 조선 후기 신분 상승에 대한 서술형 답안 분석 -" 역사교육연구회 (102) : 33-62, 2007

      99 김유진,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사’ 문항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0 최상훈, "2009학년도 역사과 중등 교원 임용 시험의 평가문항 분석" (14) :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6 1.598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