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현진, "현행 국사교육 수행평가의 실제와 문제점 및 해결 방안" (5) : 2000
2 김정수,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의 목표 준거와 문항 반응 분석 3급 문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권오현,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역사과 학생 수업의 수행 평가 방안 연구" (28) : 2002
4 이성재, "프랑스 역사교육 평가의 동향"
5 한용준, "포트폴리오 평가가 초등학생의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6학년 사회과 역사수업을 중심으로" 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김보림, "최근 일본 대학입시에서의 역사 평가와 한국사 관련 문항 고찰" 동아시아일본학회 (24) : 29-43, 2007
7 함정식,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8 임윤식, "초등사회과에서 사료를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 평가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흥열, "초등 역사학습 평가의 실태와 새로운 방향 모색 -학교 수준의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9) : 7-39, 2009
10 이흥열, "초등 역사학습 평가문항 개발의 새로운 방향」" 2009
11 정한숙, "창의력 신장을 위한 역사교육의 수행평가 방안" (8) : 2003
12 조두형, "참여와 소통을 위한 사이버 커뮤니티 활용 한국근현대사 수행평가 사례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3 이정윤, "중학교 국사과에서의 포트폴리오 수업·평가의 활용"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김명남, "중학교 국사과 학습평가의 타당성에 관한 분석연구:수도권지역 소재학교의 학습평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송선민, "중학교 국사과 학습평가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지필검사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1992
16 신영창, "중등학교 역사교육에서 평가의 실제와 문제점"
17 김윤철, "중등학교 국사과 수행평가 유형 및 평가기준 개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8 이승준, "중등 역사교사 임용시험의 출제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 20 (20): 2004
19 김미선, "중등 교실 역사학습평가의 개선방안 -내용타당도 측면에서-" 한국역사교육학회 (9) : 41-96, 2009
20 김유리, "중국 역사교육 평가의 현황과 특징: 대학입시(高考)를 중심으로"
21 김한종, "중·고등학교 국사교육목표의 설정 방안" (63) : 1997
22 우경득, "주관식 문항 평가·학습지도와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 효과"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3 김수미, "제 1ㆍ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분석과 문항의 방향" 한국역사교육학회 (6) : 177-227, 2007
24 이예선, "임용고사 문제의 선정과 교사선발의 문제점 중등학교 교사의 입장에서"
25 조승래, "임용고사 문제의 선정과 교사선발의 문제점 대학교수의 입장에서" 2006
26 조성은, "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중학교 국사 수행평가 설계와 구현"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7 최완기, "역사학습지도의 원리와 실제" 느티나무 1997
28 조한경, "역사지도를 활용한 평가 실태와 역사교육" (16) : 2008
29 송일승, "역사적 상상력의 신장을 위한 수행평가 활용" 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0 최완기, "역사적 사고력과 평가의 문제" (55) : 1994
31 최상훈, "역사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평가문항 개발방안" (5) : 2000
32 정광호,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 사회과 포트폴리오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3 배정선,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행평가 방안" 1 (1): 2008
34 정선영,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35 양호환, "역사교육의 연구와 방법론" (55) : 1994
36 최상훈,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2008
37 양정현, "역사교육에서 평가논의의 난맥상과 개선방안" (80) : 2001
38 이원순, "역사교육론" 삼영사 1981
39 최상훈, "역사교육 평가의 중요성과 원칙"
40 최상훈, "역사교육 평가의 중요성과 원칙" 사교육연구회 웅진사학회 2006
41 이명희, "역사교육 평가의 문제와 새로운 방향"
42 허신혜, "역사교육 평가연구의 현황과 과제" 청람사학 2002
43 정선영, "역사교육 이론의 변천 : 성과와 과제" 역사교육연구회 (97) : 33-64, 2006
44 이원순, "역사교육 이론과 실제" 정음문화사 1985
45 송춘영, "역사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71) :
46 신진균, "역사과에서 창의력을 길러주는 수행평가" 내일을 여는 역사 2000
47 이원순, "역사과교육" 한국능력개발사 1977
48 오정현, "역사과 평가에서 목표 준거의 위계성 모색" 역사교육연구회 (111) : 35-70, 2009
49 오정현, "역사과 평가 문항의 위계성 검토" 2009
50 오정현, "역사과 평가 문항의 위계성 검토" 한국역사교육학회 (9) : 97-144, 2009
51 김남철, "역사과 수행평가의 실제" (6) : 2008
52 한경아, "역사과 수행평가와 평가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3 김미선, "역사(국사)학습평가 내용타당도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과의 일치성 측면에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135-164, 2008
54 박수진,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학교 국사수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5 권옥영, "수행평가를 활용한 향토사 지도 방안: 순천 지역의 향토 문화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6 이재각, "수학능력시험 출제와 내용선정의 문제점중등학교 교사의 입장에서"
57 도면회, "수학능력시험 출제와 내용선정의 문제점대학교수의 입장에서" 2006
58 박진동, "수능 문항의 구성 요소 분석과 문항 제작 방안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 근·현대사 과목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11) : 227-262, 2009
59 윤세철, "사회과 역사분야의 평가" (14) : 26-, 1981
60 윤세철, "사회과 역사 분야의 평가" (14) : 1981
61 김민정, "미국의 역사교육과 평가SAT Subject Tests를 중심으로"
62 김창성, "대학에서 역사교육 평가의 실제와 문제점"
63 박수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역사교육현장에 미친 영향과 바람직한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1994
64 김경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경향과 인식도 분석을 통한 국사 교수학습 방법 연구" 제주대 교육대학원 2001
65 구창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영역시험" (55) : 1994
66 유연숙,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영역 세계사 문항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7 나승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사과 탐구 평가의 방향과 국사관련 문항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8 박기명,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사 문제 분석과 그 개선 방안"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69 이상식,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통해서 본 제7차 교육과정과 국사 교육" 역사학연구회 (64) : 71-102, 2007
70 김규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역사적 사고력 평가방안: 세계사 영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1 조영미,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지도문항 분석을 통한 국사교육의 고찰: 1994학년도 2007학년도 국사관련 역사지도문항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2 최상훈,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영역 평가목표의 개선방안" 한국역사교육학회 (6) : 133-175, 2007
73 최상훈,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영역 문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03) : 99-135, 2007
74 조준호, "대학수학능력시험 세계사 문항 내용 타당도 증거 분석」,"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5 염정순,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사과(사회탐구영역) 문항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6 허회숙, "대입 예비고사의 문제분석올바른 국사교육을 위하여" (24) : 1978
77 변태섭, "국사교육과 입시" (17) : 1975
78 조성경, "국사과에 있어 주관식 평가문항을 통한 학생들의 학습방법 개선과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1996
79 이찬희, "국사과 절대평가 기준 개발의 준거" (30) : 1997
80 이찬희, "국사과 절대평가 기준 개발의 준거" (30) : 1997
81 김영아, "국사과 독서 수행평가의 타당성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2 서인원, "국사 교육 평가의 현황 분석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고려시대 국사 문항을 중심으로" (40) : 2004
83 김수미, "국가수준의 대학입시에서 한국사 문항의 변천" 2009
84 이명희,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기준 및 도구 개발연구 in 고등학교 국사"
85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국사과 평가기준 개발의 준거" (7) : 1999
86 김수미, "국가 수준의 대학 입시에서 국사 문항의 변천 -객관식 선다형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9) : 145-200, 2009
87 Anderson,L.W, "교육과정 수업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5
88 오정현, "고등학교 역사과 서술형 · 논술형 평가의 특징과 개선 방안" 한국역사교육학회 (4) : 109-157, 2006
89 김재곤, "고등학교 국사에서 향토사를 활용한 수행평가 방안 천안 향토사를 중심으로" (16) : 2008
90 오정현, "고등학교 국사과에서의 수행평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1 이대희, "고등학교 국사과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행평가 방안" (29) : 2002
92 류온례, "고등학교 국사과 문화사 지필평가 분석" 시립대학교 2004
93 박수연, "고등학교 국사 내신평가의 분석: ‘한국 근현대사’ 교과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4 이찬희, "고등학교 국사 국가공통 절대평가기준 개발연구"
95 안원기, "고등학교 ‘국사’ 과목 정기고사 문항유형의 분석과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6 강양희, "고교 국사교육과 입시" (17) : 1975
97 "http://www.riss.kr/"
98 방지원, "<국사> 서술형 평가 답안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역사 이해 양상 - 조선 후기 신분 상승에 대한 서술형 답안 분석 -" 역사교육연구회 (102) : 33-62, 2007
99 김유진,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사’ 문항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0 최상훈, "2009학년도 역사과 중등 교원 임용 시험의 평가문항 분석" (14) :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