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지도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전략을 탐색한 후, 타당성과 실용성을 갖춘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스트레스 대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89277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69-280(12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지도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전략을 탐색한 후, 타당성과 실용성을 갖춘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스트레스 대처 ...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지도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전략을 탐색한 후, 타당성과 실용성을 갖춘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도자는 대한태권도협회에 소속된 부산지역에서 활동하는 태권도 지도자 15명이다. 태권도 지도자 스트레스 및 대처 실태 자료,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선행연구, 전문가 회의 자료를 통합하여 태권도 지도자에게 적합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직무스트레스 검사지, 스트레스 대처 검사지, 직무 만족 검사지, 행복 검사지, 삶의 질 검사지 등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태권도 지도자를 위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총 18회기로 구성되었다. 첫째,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태권도 지도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태권도 지도자의 문제 중심 대처와 초연대처 수준은 증가시키고, 정서중심 대처와 회피 대처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 만족도와 행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program on job stress, stress coping, job satisfaction, happiness and life quality of Taekwondo instructor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5 Taekwondo instructor who were master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program on job stress, stress coping, job satisfaction, happiness and life quality of Taekwondo instructor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5 Taekwondo instructor who were masters and grand masters.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made up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qualitative data. The self-report instruments were compose of job stress scale, stress coping inventory, job satisfaction scale, happiness inventory, and life quality scale. Stress coping program for Taekwondo instructors were developed by previous literatures, interview,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and sports psychologists consultation. Each program was applied to participants in 18 s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tress cop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of Taekwondo instructor. Secondly, stress cop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stress coping of Taekwondo instructor. Thirdly, stress cop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Taekwondo instructor. Fourthly, stress cop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Taekwondo instructo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기, "호텔 하우스키핑(housekeeping) 직원의 직무만족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아웃소싱(outsourcing) 직원을 중심으로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6 (16): 71-82, 2007
2 조정은,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박철용, "핸드볼팀과 지도자의리더쉽 행동유형과 선수만족도 및 팀 성과에 관한 연구" 12 : 77-87, 1996
4 김정모, "투어 골퍼의 심리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효과" 한국웰니스학회 8 (8): 105-117, 2013
5 홍금석, "태권도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김상범, "태권도지도자의 리더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4
7 이재학, "태권도 지도자의 직업 가치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8 이종목,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31 (31): 99-116, 2015
9 신경수, "태권도 지도자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영남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8
10 임상호, "태권도 사범 지도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 대한무도학회 13 (13): 129-143, 2011
1 박영기, "호텔 하우스키핑(housekeeping) 직원의 직무만족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아웃소싱(outsourcing) 직원을 중심으로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6 (16): 71-82, 2007
2 조정은,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박철용, "핸드볼팀과 지도자의리더쉽 행동유형과 선수만족도 및 팀 성과에 관한 연구" 12 : 77-87, 1996
4 김정모, "투어 골퍼의 심리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효과" 한국웰니스학회 8 (8): 105-117, 2013
5 홍금석, "태권도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김상범, "태권도지도자의 리더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4
7 이재학, "태권도 지도자의 직업 가치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8 이종목,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31 (31): 99-116, 2015
9 신경수, "태권도 지도자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영남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8
10 임상호, "태권도 사범 지도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 대한무도학회 13 (13): 129-143, 2011
11 고한이, "태권도 도장의 근무환경에 따른 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조만태, "코치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 및 직무태도와의 관계" 38 (38): 184-194, 1999
13 이미혜, "컨벤션 종사자의 조직신뢰가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375-399, 2015
14 이강윤, "축구 지도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탈진과 이직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이용식, "체육행정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6 김병현, "체육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분석 및 직무탈진과의 관계"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17 (17): 93-101, 2006
17 신현균, "청소년의 학업 부담감,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및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171-187, 2002
18 조만태, "청소년의 스포츠참가가 스포츠태도에 미치는 영향" 15 : 203-212, 2000
19 이병관, "직업무용단 단원들의 직무 긴장이 직무 만족, 무용단 조직 몰입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회 36 : 277-297, 2015
20 尹慶遠,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이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21 김동준, "중등 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조직 유효성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22 김진희, "제조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행동의 구조적 관계 및 스트레스 관리 훈련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23 김소라, "인지행동적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0 (10): 19-38, 2011
24 신현심, "인지-행동적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0 (10): 73-87, 2006
25 김은숙, "인지-행동적 스트레스 대처 훈련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6 방선희, "육상경기 코치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27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28 임선균, "유도 지도자들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9 최은규,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직무 탈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중재 효과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159-174, 2003
30 김성훈, "엘리트 장애인 선수를 위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31 박윤식, "실업 탁구 지도자의 스트레스 요인 및 대처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17 (17): 315-324, 2006
32 조만태, "스포츠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의 관계" 13 : 819-828, 2000
33 박진경, "스포츠 조직 구성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행동의 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34 유진, "스포츠 대처 척도의 개발과 구조적 타당화 검증" 37 (37): 151-168, 1998
35 최경민, "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6 신정택, "스트레스 관리 훈련이 손상 선수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6 (16): 71-88, 2005
37 김유미,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8 조현익, "생활체육 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유효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1 (41): 205-216, 2002
39 Rosenberg, M. B., "비폭력대화" 바오 2003
40 박인환, "도시 근로자의 스포츠 참여와 사회적 태도 및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41 박경혜,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개인내적 변인과 관계적 변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42 신정택, "대학 여자 운동선수를 위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효과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18 (18): 111-119, 2007
43 신정택, "국가대표 펜싱선수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적용" 한국사회체육학회 (33) : 1325-1338, 2008
44 김성필, "교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와 직무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江原大學校 大學院 1998
45 김은주, "과학고 학생을 위한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1 (11): 127-148, 2012
46 신승남, "골프 지도자들의 직무 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1 (21): 59-70, 2010
47 김정식, "고등학교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8 유상란, "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행복의 조건-14'의 효과검증" 釜山大學校 敎育大學院 1988
49 장정주, "감정표현 훈련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연구" 33 : 59-68, 2002
50 이상금, "간호사가 지각한 자율성, 그룹 결속력과 직무 만족도, 조직 몰입, 직무 동기, 재직 의도와의 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1 Fordyce, M. W., "happiness: it's daily variation and it's relation to values" 33 : 1972
52 Diener, E., "Very happy people" 13 : 81-84, 2002
53 Lyubomirsky, S., "The how of happiness. New York : The Penguin Press" 42 (42): 251-252, 2008
54 Cooper, C. L., "The higher cost of stress on women managers" 53 : 1982
55 Kerr, G., "The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injuries and stress levels" 8 (8): 109-117, 1996
56 Mullen, B., "The effectiveness of attention and rejection as coping style" 26 : 223-236, 1982
57 Thelwell, R. C., "Stressors in elite sport : A coach perspective" 26 : 905-918, 2008
58 Haney, C. J., "Stress-management interventions for female athletes : Relaxation and cognitive restructuring" 35 : 109-118, 2004
59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60 Murphy, L. R., "Stress management in work settings : A critical review of the health effects" 11 : 112-135, 1996
61 Olusoga, P., "Stress and coping : A study of world class coaches" 22 : 274-293, 2010
62 Kraut, R. E., "Social and emotional messages of smiling : an ethological approach" 37 : 1539-1553, 1979
63 이은희, "REBT를 적용한 스트레스 관리 훈련이 부적응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317-334, 2002
64 Fletcher, D., "Psychological stress in sports coaches : A review of concepts, research, and practice" 28 : 127-137, 2010
65 Alderman, R. B., "Psychological behavior in sport" Saunders 1974
66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therapy" 11 : 774-788, 2006
67 Knight, C. J., "Personal and situational factors influencing coaches’ perceptions of stress" 31 : 1504-1563, 2013
68 Levy, A., "Organisational stressors, coping, and coping effectiveness : A longitudinal study with an elite coach" 4 (4): 31-45, 2009
69 Hall, D. T., "Oganlzational and individual response to external stress" 16 : 533-547, 1971
70 Tkach, C., "How do people pursue happiness? Relating personality, happiness-increasing strategies, and well-being" 2006
71 Chan, D. W., "Hardiness and its role in the stress-burnout relationship among prospective Chinese teachers in Hong Kong" 19 : 381-395, 2003
72 Fredrickson, B. L.,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20-134, 2002
73 Noda, T., "Efficacy of stress management classes at a health center" 47 : 476-485, 2000
74 Crocker, P. R. E., "Coping by competitive athletes with performance stress : gender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with affect" 9 : 325-338, 1995
75 Ivancevich, J. M., "Controlling work stress : The human resource and management strategies" Jossy-Buss 26-28, 1987
76 Frey, M., "College coaches’ experiences with stress : "Problem solvers have problems, too" 21 : 38-57, 2007
77 Albert, M., "Capitalisme Contre Capitalisme" Seuil 1991
78 Malone, C. J., "Burn-out in coaching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it" 52 : 1981
79 김옥순, "A유형 대학생을 위한 사이버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80 Carver, C. S., "Assessing coping strategies :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56 : 267-283, 1989
81 Hirokawa, K.,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training for japanese college students of social work" 9 (9): 113-123, 2002
82 Kelley, B. C., "An examination of personal/ situational variables, stress appraisal, and burnout in collegiate teacher-coaches" 64 : 94-102, 1993
83 Fordyce, M. W., "A program to increase happiness : Future studies" 30 (30): 483-498, 1983
84 Kelley, B. C., "A model of stress and burnout in collegiate coaches : Effects of gender and time of season" 65 : 48-58, 1994
상담전공 학부생이 수업 중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치료적 요인 분석
심상이 교육도구로써 교양무용수업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7 | 0.7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