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지은, "학습자의 동기적 특성과 학업 성취간의 관계 : 학습된 무기력과 실패내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 金宣禮, "학습된 무기력집단의 귀인유형과 우울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忠北大學校 大學院 1995
3 朴癸度,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1993
4 박경연, "학습된 무기력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이 자아개념 및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김진희,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7 김은주, "초등학생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의 관계 및 학업성취수준별 차이"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25-44, 2013
8 한은수, "초등학생 또래괴롭힘 예방을 위한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과 독서치료 프로그램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9 李靈仙,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된 무기력과 성패귀인 및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10 이지연, "청소년의 역경과 자아탄력성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 주지은, "학습자의 동기적 특성과 학업 성취간의 관계 : 학습된 무기력과 실패내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 金宣禮, "학습된 무기력집단의 귀인유형과 우울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忠北大學校 大學院 1995
3 朴癸度,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1993
4 박경연, "학습된 무기력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이 자아개념 및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김진희,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7 김은주, "초등학생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의 관계 및 학업성취수준별 차이"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25-44, 2013
8 한은수, "초등학생 또래괴롭힘 예방을 위한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과 독서치료 프로그램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9 李靈仙,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된 무기력과 성패귀인 및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10 이지연, "청소년의 역경과 자아탄력성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1 이명진, "청소년기의 학습된 무기력" 한국교육학회 51 (51): 77-105, 2013
12 황순택, "자아탄력집단의 성격특질" 20 (20): 569-581, 2001
13 박은희, "자아탄력성(Ego-Resiliency), 지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14 오경석,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한혜진,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6 진미영,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 (28): 103-128, 2012
17 차정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18 배정희, "인간관계, 학습사 및 동기적 변인들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김필기, "여중생의 낙관성 수준에 따른 우울, 학습된 무기력, 자기 효능감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최상원, "아직 초등학생인데… “성적 문제가 가장 큰 고민”"
21 김현옥,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2 김희수,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이 정신건강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4 (54): 77-93, 2006
23 박천수, "가출청소년 연령 낮아지고 늘어나는 추세... 쉼터이용 외면"
24 申基明, "學習된 無力感 診斷尺度의 開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0
25 Block, J. H., "Venturing a 30-year longitudinal study" 61 (61): 315-327, 2006
26 Akca, F.,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learned helplessness" 39 (39): 101-112, 2011
27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28 김휘아,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9 Ruthig, J. C., "Optimism and attributional retraining : longitudinal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xiety, and voluntary course withdrawal in college students" 34 (34): 709-730, 2004
30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70): 349-361, 1996
31 Chemers, M. M.,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93 (93): 55-64, 2001
32 통계청, "2013 청소년 통계. 통계청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