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Resilience on Learned-Helpless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70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elf-resilience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809 4th~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earned-helplessness, self-efficacy, self-resilience were measured with questionnaire based on several studies. The data analyzed by using frequence,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arned-helplessness with self-efficacy and self-resilience. Second, Subordinate concept, confidence and efficacy of self-adjustment of self-efficacy have effects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Subordinate concept, relationship of friend, vitality, emotion-control of self-resilience have effects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th, Subordinate concept, confidence of self-efficacy and vitality, relationship of friend of self-resilience have effects on subordinate concept of learned-helpless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ecreased by increasing self-efficacy, self-resilience to theaters and therapists. Finall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e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elf-resilience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809 4th~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earned-helplessness, self-efficacy, 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elf-resilience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809 4th~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earned-helplessness, self-efficacy, self-resilience were measured with questionnaire based on several studies. The data analyzed by using frequence,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earned-helplessness with self-efficacy and self-resilience. Second, Subordinate concept, confidence and efficacy of self-adjustment of self-efficacy have effects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Subordinate concept, relationship of friend, vitality, emotion-control of self-resilience have effects on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th, Subordinate concept, confidence of self-efficacy and vitality, relationship of friend of self-resilience have effects on subordinate concept of learned-helpless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earned-helples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ecreased by increasing self-efficacy, self-resilience to theaters and therapists. Finall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e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지은, "학습자의 동기적 특성과 학업 성취간의 관계 : 학습된 무기력과 실패내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 金宣禮, "학습된 무기력집단의 귀인유형과 우울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忠北大學校 大學院 1995

      3 朴癸度,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1993

      4 박경연, "학습된 무기력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이 자아개념 및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김진희,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7 김은주, "초등학생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의 관계 및 학업성취수준별 차이"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25-44, 2013

      8 한은수, "초등학생 또래괴롭힘 예방을 위한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과 독서치료 프로그램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9 李靈仙,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된 무기력과 성패귀인 및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10 이지연, "청소년의 역경과 자아탄력성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1 이명진, "청소년기의 학습된 무기력" 한국교육학회 51 (51): 77-105, 2013

      12 황순택, "자아탄력집단의 성격특질" 20 (20): 569-581, 2001

      13 박은희, "자아탄력성(Ego-Resiliency), 지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14 오경석,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한혜진,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6 진미영,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 (28): 103-128, 2012

      17 차정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18 배정희, "인간관계, 학습사 및 동기적 변인들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김필기, "여중생의 낙관성 수준에 따른 우울, 학습된 무기력, 자기 효능감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최상원, "아직 초등학생인데… “성적 문제가 가장 큰 고민”"

      21 김현옥,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2 김희수,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이 정신건강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4 (54): 77-93, 2006

      23 박천수, "가출청소년 연령 낮아지고 늘어나는 추세... 쉼터이용 외면"

      24 申基明, "學習된 無力感 診斷尺度의 開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0

      25 Block, J. H., "Venturing a 30-year longitudinal study" 61 (61): 315-327, 2006

      26 Akca, F.,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learned helplessness" 39 (39): 101-112, 2011

      27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28 김휘아,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9 Ruthig, J. C., "Optimism and attributional retraining : longitudinal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xiety, and voluntary course withdrawal in college students" 34 (34): 709-730, 2004

      30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70): 349-361, 1996

      31 Chemers, M. M.,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93 (93): 55-64, 2001

      32 통계청, "2013 청소년 통계. 통계청 보도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