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the Story-Making Activity based on Art Appreciation 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iteracy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1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 유아 40명이며, 평균 월령은 71.55개월이었다. ‘그리기표상능력 평가척도’,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연구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 유아 40명이며, 평균 월령은 71....

      본 연구는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 유아 40명이며, 평균 월령은 71.55개월이었다. ‘그리기표상능력 평가척도’,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연구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appreciation program connected with story-making for young childre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iteracy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attended day-care center in S cit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1.55 months. It used ‘Drawing Representation Evaluation Scale’ and ‘Sentence Comprehension Evaluation Scale’ in collection of data. The experiment procedure was according to this order, a pilot study, a pretest, a four-week experiment, and a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tory-making activity based on art appreciation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an art application based on art element. Both activities were totally carried out twelve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test by SPSS Win 18.0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scores.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literacy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tory-Making Activity based on Art Appreciation is effective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iteracy 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appreciation program connected with story-making for young childre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iteracy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appreciation program connected with story-making for young childre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iteracy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attended day-care center in S cit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1.55 months. It used ‘Drawing Representation Evaluation Scale’ and ‘Sentence Comprehension Evaluation Scale’ in collection of data. The experiment procedure was according to this order, a pilot study, a pretest, a four-week experiment, and a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tory-making activity based on art appreciation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an art application based on art element. Both activities were totally carried out twelve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test by SPSS Win 18.0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scores.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literacy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tory-Making Activity based on Art Appreciation is effective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iteracy 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은지,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한 만5세 유아의 또래간 언어적 상호작용 및 유아와 교사의 인식 변화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Yenawine, P., "현대미술 감상의 길잡이" 시공사 1997

      3 이윤경, "한국화 감상을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보건복지가족부, "한국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교육내용 및 교사지침"

      5 Eisner, E. W, "표상형식의 개발과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1994

      6 길신희,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문은식, "통합적 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233-244, 2005

      8 문세라, "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지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 능력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 김순자,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1 홍지은, "육하원칙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지성애,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99-133, 2010

      13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14 박화윤, "유아의 미술표현 및 감상교육" 동문사 2009

      15 김선정, "유아의 명화감상이 미술활동 표현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6 김선정, "유아의 명화감상이 미술활동 표현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13 (13): 169-180, 2004

      17 지성애,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공간지각력, 언어능력 및 또래상호작용 질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35-254, 2007

      18 채미영, "유아용 이야기 꾸미기 활동 평가 준거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19 송혜영, "생활주제에 따른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0 Eisner, E. W,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도서출판 예경 2003

      21 Parsons, M. J, "미학과 예술교육" 현대미학사 1998

      22 구현주, "미적요소에 기초한 미술비평활동이 유아의 미적어휘 및 언어표현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3 Arnheim, R,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6

      24 박화윤, "미술 작품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22 (22): 277-290, 2001

      25 지성애, "미술 교수방법이 유아의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21 (21): 177-202, 2001

      26 신유진,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7 지옥녀, "명화를 통한 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8 김금임, "명화를 통한 미술감상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9 남효인,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적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형교육학회 32 (32): 115-137, 2008

      30 이위환,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273-283, 2005

      31 지성애,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39-358, 2010

      32 최현숙,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45-65, 2012

      33 장혜진,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6

      34 조은정, "명화감상과 구연동화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121-139, 2006

      35 박성식, "명화감상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28 : 159-178, 2007

      36 김은심, "동작활동을 통합한 미술 작품감상이유아의 그림 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69-285, 2006

      37 지성애, "극화활동을 활용한 유아 미술감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및 그리기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5-26, 2009

      38 장영숙, "그림책과 명화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이유아의 미술 감상능력과 미술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97-110, 2005

      39 Lehr, S, "The child's developing sense of theme as a response to literature" 23 (23): 1988

      40 김성원, "Rudolf Steiner의 유아교육" 양서원 2005

      41 강인언, "Piaget 이론 입문" 학지사 1994

      42 Koster, J. B., "Growing Artists: Teaching The Art To Young Children(4th ed.)" Delmar 2009

      43 Mayesky, M,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lishers 2004

      44 Schirrmacher, R, "Art &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lishing 2009

      45 지성애,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presentational drawing ability and recognition memory" 한국유아교육학회 14 (14): 55-7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4-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2 1.3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