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생태실천행동, 경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eco-life behaviors and work experi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 Using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as the medi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5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이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유아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생태유아교육효과에 대해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량은 19.2%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에 대해 생태실천행동, 경력 및 생태유아교육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량은 21.7%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생태실천행동, 생태유아교육효과 및 교사효능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량은 30.9%였다. 마지막으로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은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생태유아교육효과는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생태실천행동은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은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이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유아교사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이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유아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생태유아교육효과에 대해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량은 19.2%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에 대해 생태실천행동, 경력 및 생태유아교육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량은 21.7%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생태실천행동, 생태유아교육효과 및 교사효능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량은 30.9%였다. 마지막으로 생태실천행동과 경력은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생태유아교육효과는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생태실천행동은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은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kindergarten teachers'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have an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were used by medium. For this study, 274 kindergarten teachers living in Daegu and Gyeungbook answered a questionnaire and the result of survey was analyzed.
      The first, as the results indicated, the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affected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ly, explaining 19.2% of the variance. The second, the eco-life behaviors, career and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ffected the teacher efficacy positively, explaining 21.7% of the variance. The third, the eco-life behaviors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an teachers' job satisfaction, explaining 30.9% of the variance. And finally, the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Overall, the eco-life behavior had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had a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kindergarten teachers'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have an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were used by medium. For this study, 27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kindergarten teachers'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have an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were used by medium. For this study, 274 kindergarten teachers living in Daegu and Gyeungbook answered a questionnaire and the result of survey was analyzed.
      The first, as the results indicated, the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affected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ly, explaining 19.2% of the variance. The second, the eco-life behaviors, career and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ffected the teacher efficacy positively, explaining 21.7% of the variance. The third, the eco-life behaviors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an teachers' job satisfaction, explaining 30.9% of the variance. And finally, the eco-life behaviors and career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Overall, the eco-life behavior had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had a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ffect and teacher effica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선정, "환경교육 실시효과 분석 및 제언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2 김은숙,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3 서영희, "표준보육과정과 생태보육과정의 운영 실제에 관한 연구 : 교사와 유아의 일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4 이소영,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5 김아영,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5-29, 2002

      6 홍성희,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23-147, 2012

      7 마경희, "자연친화적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8 김미경, "유치원교사의 개인성향 및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9 임양미, "유치원·보육시설 교사의 현직 교육 요구도 및 직무 만족도와 관련된 변인"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4) : 23-51, 2008

      10 권성민,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교사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1 윤선정, "환경교육 실시효과 분석 및 제언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2 김은숙,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3 서영희, "표준보육과정과 생태보육과정의 운영 실제에 관한 연구 : 교사와 유아의 일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4 이소영,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5 김아영,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5-29, 2002

      6 홍성희,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23-147, 2012

      7 마경희, "자연친화적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8 김미경, "유치원교사의 개인성향 및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9 임양미, "유치원·보육시설 교사의 현직 교육 요구도 및 직무 만족도와 관련된 변인"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4) : 23-51, 2008

      10 권성민,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교사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11 황해익,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11-432, 2013

      12 도순남,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특성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1999

      13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 개념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4 (24): 81-94, 2003

      14 서지영, "유치원 교사의 이직 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5 박경희,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 개발 및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6 노명려, "유아교육의 생태학적 각성" 22 : 17-21, 2000

      17 김현아, "유아교육기관의 생태유아교육 학급운영 실태조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8 이명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숲체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75-200, 2011

      19 권미량,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태적 식생활에 관한 사례연구 - 교사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 (2): 141-161, 2003

      20 김신덕,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1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22 황해익,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57-180, 2013

      23 이정현,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학회 33 (33): 129-141, 2012

      24 서현아, "유아교사의 성격 강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35-453, 2013

      25 황해익,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사효능감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95-117, 2013

      26 박영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75-298, 2009

      27 여은진, "유아교사의 개인적, 학문적, 사회환경적 요인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75-192, 2004

      28 조정녀, "유아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9 김희진, "유아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ㆍ외적 요인에 대한 연구" 16 (16): 161-181, 1999

      30 김은주,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 (2): 119-140, 2003

      31 Day, C., "열정으로 가르치기" 파란마음 2007

      32 임재택, "아이들의 삶과 생태유아교육: 아이살림과 생명살림의 유아교육을 위하여" 5-32, 2002

      33 Worster, D., "생태학 그 열림과 닫힘의 역사" 아카넷 2002

      34 김성옥,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원장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5 노상우, "생태주의에서 본 현대교육학의 세 가지 과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 57-79, 2007

      36 노상우, "생태적 담론의 교육학적 함의 -새로운 생태교육관의 모색-" 한국교육학회 41 (41): 1-21, 2003

      37 김미진,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29-55, 2012

      38 한남주, "생태유아교육의 이해와 실천과정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31-49, 2011

      39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40 최양미, "생태유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접근 방안 모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 (1): 103-119, 2002

      41 박주연,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2 박귀자,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8

      43 이미영,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47-170, 2011

      44 신세니, "생태유아교육과정으로의 전환에서 겪는 경력교사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27-57, 2011

      45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05

      46 허은희,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 조사"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7 박숙현,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8 박지인,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이야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49 권미량,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50 김은주, "생태유아교사 되어가기: 경력에 따른 생애사적 접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19-147, 2011

      51 이점자,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101-120, 2012

      52 정민정,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5-74, 2009

      53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한국아동학회 26 (26): 55-70, 2005

      54 이정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559-570, 2009

      55 이채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보육효능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49-70, 2009

      56 이진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57 이연승,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41-67, 2005

      58 강란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71-88, 2006

      59 정혜영,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건강, 직무 만족도의 인과모형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45-67, 2005

      60 이성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1-50, 2007

      61 이재완,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자존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7) : 127-149, 2004

      62 서지연,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1 (21): 45-66, 2004

      63 김은영, "국선도(밝달법) 수련법의 유아교사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35-57, 2009

      64 김주환,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65 명지원,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과 생태학적 세계관" 7 (7): 51-73, 2003

      66 이은정, "교육 생태학의 성립 가능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67 박선미, "교사 발달의 생존기에 대한 질적 연구: 생태보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0 (30): 41-55, 2009

      68 이소은, "결혼여부 및 근무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23-45, 2006

      69 강숙현,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70 Enochs, L. G.,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79 : 63-75, 1990

      71 Meijer, C. J. W., "The effect of teacher self-efficacy on referral change" 22 (22): 378-385, 1988

      72 Beeby, C. 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Developing Contries" Teachers College Press 1966

      73 Yoon, J. S., "Teachers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 Stress, negative affect, and self-efficacy" 30 : 485-494, 2002

      74 Puurula, A.,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education in twelve countries" 15 (15): 29-48, 2000

      75 Edwards, J. L., "Teacher efficacy and school and teacher characteristic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1996

      76 Sobel, M. E.,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1982

      77 Gorton, R. A., "School administration: Challenge and opportunity for leadership" Wm. C. Brown Company 1976

      78 Lohelin, J. V. C., "Latent variable models: An introduction to factor, path, and structural analysi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

      79 Locke, E. 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cNlly 19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