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의 내·외적 진로장벽과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44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외적 진로장벽이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진로포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외적 진로장벽이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진로포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4년제 대학 6곳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외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사회복지분야로의 진로결정을 보다 확고하게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spirations in this process. To attain the goal...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spirations in this process. To attain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478 undergraduat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six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3-step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by using SPSS 12.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directly nega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y exert indirect effects as well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did not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directly; however, they showed indirect, negative effects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 practical implication was presented that could help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maintain and develop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s more firm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난미, "한국 대학생의 사회인지 진로선택 모형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 김양희, "학업 우수 여자청소년들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의 종단분석"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447-465, 2009

      4 심성지, "폴더모델(Polder Model):복지국가의 합의적 개혁?" 분쟁해결연구센터 9 (9): 77-111, 2011

      5 이상희, "진로장애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375-392, 2007

      6 유나현, "진로장애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상담학회 10 (10): 2241-2255, 2009

      7 김은희, "진로장벽 깨뜨리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10 (10): 2225-2239, 2009

      8 박용두,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041-1056, 2007

      9 최웅용, "장애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9 (19): 5-28, 2009

      10 엄태영,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97-222, 2011

      1 양난미, "한국 대학생의 사회인지 진로선택 모형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 김양희, "학업 우수 여자청소년들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의 종단분석"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447-465, 2009

      4 심성지, "폴더모델(Polder Model):복지국가의 합의적 개혁?" 분쟁해결연구센터 9 (9): 77-111, 2011

      5 이상희, "진로장애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375-392, 2007

      6 유나현, "진로장애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상담학회 10 (10): 2241-2255, 2009

      7 김은희, "진로장벽 깨뜨리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10 (10): 2225-2239, 2009

      8 박용두,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041-1056, 2007

      9 최웅용, "장애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9 (19): 5-28, 2009

      10 엄태영,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97-222, 2011

      11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개인ㆍ심리적 변인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415-427, 2002

      12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3 정홍원,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4 이성식,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5 최수욱, "여대생의 진로포부에 영향 미치는 요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6 박미경,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7 (27): 1-26, 2008

      17 윤현숙,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실습 전·후를 비교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18 김태순,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전문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 충청지역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9

      19 김선환,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20 강영숙,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전북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15 : 1-22, 2006

      21 김수영,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3개 대학 사회복지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22 정진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2

      23 이홍직,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51-172, 2007

      24 이윤로, "사회복지사를 위한 SPSS" 학지사 2009

      25 윤지혜, "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포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1

      26 전선영, "대학환경과 개인특성이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1 (11): 129-160, 2009

      27 김유경, "대학에서의 사회복지실천 학습경험이 학생들의 사회복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8 정미예, "대학생의 진로장애 지각과 진로신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발달의 구조적 분석" 한국상담학회 8 (8): 247-264, 2007

      29 강윤심,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0 최숙현,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31 이기엽,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2

      32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 311-333, 1997

      33 천석준,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에서의 Holland 흥미 유형별 내적·맥락적 장벽 요인의 효과모형검증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407-430, 2008

      34 정민,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391-405, 2008

      35 고미나, "대학생의 내·외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36 손은령,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 장벽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15 (15): 73-86, 2002

      37 이은희,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25-52, 2004

      38 양현정, "남녀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간의 관계연구" 596-597, 2007

      39 홍세희,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Ⅳ.구조방정식모형:초급,중급" S&M 리서치그룹 2008

      40 서석윤, "경호관련 전공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2

      41 Crites, J. O., "Vocational psychology" McGraw-Hill 1969

      42 Holland, J. L.,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24 : 404-414, 1977

      43 Brown, M. T., "Traditionality and the discriminations effect of expectations of occupational success and occupational values for women within math-orientedfields" 50 : 418-431, 1997

      44 Lent, R. W.,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45 : 79-122, 1994

      45 Swanson, J. L.,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5 (5): 443-467, 1997

      46 Lent, R. W., "The role of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in the choice of math/science educational options: A test of social cognitive hypotheses" 48 : 474-483, 2001

      47 Lee, J. I.,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self-efficacy expectations and career decision status at the college level" Ohio State University 1994

      48 O'Brien, K. M., "The operationalization of women's career choices: The Career Aspiration Scale, Promoting women's career development into the next millennium and beyond" 1996

      49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50 O'leary, V. E., "Some attitudinal barriers to occupational aspirations in women" 81 : 809-826, 1974

      51 Luzzo, D. A., "Perceived occupational barriers among Mexican-American collegestudents" 24 (24): 1-8, 1996

      52 McWhirter, E. H., "Perceived barriers to education and career: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50 : 124-140, 1997

      53 Luzzo, D. A.,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velopment" 22 (22): 239-248, 1996

      54 Tak, J. K., "Development of the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11 : 328-345, 2003

      55 Lent, R. W.,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A social cognitive analysis" 47 (47): 36-49, 2000

      56 Swanson, J. L.,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38 : 92-106, 1991

      57 Gottfredson, G. D,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aspirations" 28 : 545-579, 1981

      58 O'Brien, K. M., "Career Aspiration Scale" University of Maryland 1992

      59 Swanson, J. L., "Assessing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5 : 219-244, 1996

      60 Osipow, S. H., "A scale of educational vocational undecidedness:A typological approach" 9 : 233-243, 1976

      61 O'Brien, K. M., "A causalmodelof the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choice of adolescent women" 40 : 456-469, 1993

      62 손향숙, "2006학년도 용인대학교 재학생 대학생활 실태 조사연구" 14 : 115-135, 2006

      63 류진혜, "2002학년도 서울캠퍼스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연구" 20 : 77-120,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