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 Positive Discipline Using Picture Books on Two-year-old Infants’ Emotion Control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57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disciplin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of infants. For this purpose, after applying the 8 week positive school discipline using picture books on 30 children(15 experimental groups, 15 comparison groups) each 2 years ol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coping abilities among the total emotional adjustment ability and sub-factors of infants. Second, the peer interaction total score and the sub-factor play interactions were improved, and play break was decreas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sitive train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a child's emotional control and peer intera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disciplin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of infants. For this purpose, after applying the 8 week positive school discipline 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disciplin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of infants. For this purpose, after applying the 8 week positive school discipline using picture books on 30 children(15 experimental groups, 15 comparison groups) each 2 years ol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coping abilities among the total emotional adjustment ability and sub-factors of infants. Second, the peer interaction total score and the sub-factor play interactions were improved, and play break was decreas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sitive train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a child's emotional control and peer intera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들의 생활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훈육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을 적용하여 영아들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G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만 2세 학급 영아 30명(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을 대상으로 8주간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을 적용한 후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총점과 하위요인 중 정서관리와 정서적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상호작용 총점과 하위요인인 놀이상호작용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놀이붕괴와 놀이단절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아들의 생활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훈육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을 적용하여 영아들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

      본 연구는 영아들의 생활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훈육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을 적용하여 영아들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G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만 2세 학급 영아 30명(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을 대상으로 8주간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을 적용한 후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총점과 하위요인 중 정서관리와 정서적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상호작용 총점과 하위요인인 놀이상호작용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놀이붕괴와 놀이단절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순선, "자연친화적 산책활동 프로그램이 영아의 그림 표현력과 정서지능 및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 Durrant, J. E., "인권 친화적 학교조성을 위한 체벌의 대안, 긍정적인 훈육"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교육센터 1-118, 2009

      3 정대현,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유아-교사관계·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4 서정숙, "유아문학교육 프로그램" 창지사 2008

      5 김세희, "유아교사와 부모를 위한 유아문학교육" 양서원 2000

      6 권정윤,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관련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27-444, 2012

      7 김주영, "영아의 정서조절 능력 측정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8 하지영,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9 전효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5

      10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 2세" 보건복지부 2013

      1 이순선, "자연친화적 산책활동 프로그램이 영아의 그림 표현력과 정서지능 및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 Durrant, J. E., "인권 친화적 학교조성을 위한 체벌의 대안, 긍정적인 훈육"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교육센터 1-118, 2009

      3 정대현,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유아-교사관계·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4 서정숙, "유아문학교육 프로그램" 창지사 2008

      5 김세희, "유아교사와 부모를 위한 유아문학교육" 양서원 2000

      6 권정윤,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관련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27-444, 2012

      7 김주영, "영아의 정서조절 능력 측정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8 하지영,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9 전효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5

      10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 2세" 보건복지부 2013

      11 서혜정, "어린이집 2세 학급 영아의 또래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2 Pinheiro, P. S., "아동폭력에 관한 유엔보고서" 세이브더칠드런 2006

      13 최혜영,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4 Fields, M. V., "아동생활지도: 구성주의적 접근" 21세기사 2006

      15 이은혜, "아동발달의 평가와 측정" 교문사 2000

      16 이종희, "수학적 의사소통의 관점에 따른 수학 수업" 5 (5): 69-86, 2001

      17 이세림, "생활동화를 활용한 통합교육활동이 만 3세반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8 고인숙, "만 2세 유아의 언어발달이 또래유능성 및 교사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19 Nelsen, J., "긍정의 훈육" 프리미엄북스 2010

      20 양유진,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1 김정원, "그림책을 활용한 생활지도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463-482, 2015

      22 김정원, "그림책을 활용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107-132, 2016

      23 김시내, "그림책을 활용한 민주시민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24 박분미,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감정표현 및 조절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5 조미숙,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이 만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6 이혜숙,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7 이성은, "그림책 활용에 따른 인성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8 서정숙, "그림책 중심의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학적 능력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03-127, 2006

      29 박성희, "그림책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30 Nichols, S. R., "Toddlers' understanding of peers'emotions" 171 (171): 35-53, 2010

      31 Kohut, H., "The restoration of the self"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77

      32 Feldman, R., "The development of regulatory functions from birth to 5 years : Insights from premature infants" 80 : 544-561, 2009

      33 Dobbs, S. M., "Research Readings for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A Journey beyond Creating"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1988

      34 Carter, D. R., "Program-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preschool: Lessons for getting started" 38 (38): 349-355, 2011

      35 Stafford, L.,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age Publishers 1993

      36 Esteban, M., "Improving social understanding of preschool children : Evaluation of a training program" 8 (8): 841-860, 2010

      37 Van Zeijl, J.,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discipline :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 temperament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discipline and early childhood externalizing problems" 21 (21): 626-636, 2007

      38 Cummings, E. M., "Children and marital conflict: The impact of family dispute and resolution" Guilford Press 1994

      39 Hurlock, E. B., "Child Development" McGraw-Hill 1987

      40 Johnson, C. S., "Caring as classroom practice" 22 (22): 8-11, 2009

      41 Fantuzzo, J. W.,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 in young low-income children : Penninteractive play scale" 10 : 105-120, 1995

      42 이송은, "2세 영아의 책에 대한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