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77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포부의 관계를 확인하고, 전공만족도와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포부의 관계를 확인하고, 전공만족도와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22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11월 5일부터 12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별로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하위변인인 일반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는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일반만족이 높을수록 진로포부의 하위요인 중 성취포부, 교육포부가 향상되었으며, 교과만족이 높을수록 교육포부 또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미래계획은 성취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문제해결은 리더십포부에, 목표선택은 교육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포부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적, 내재적 요인을 밝힘으로써 대학생활 중 경험하게 되는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에 대한 주관적 시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대학생활의 적응과 학업 및 진로에 대한 교육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investigating whet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investigating whet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222 students attending a college which offers three-year degree program, with 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jor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fluence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gener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Second, major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ed the career aspiration.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gener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aspiration and education aspiration. Furthermore the higher the level of curriculum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spiration. Thir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the career aspiration. Specifically, the making plans for the future which is a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aspiration, problem solving affected leadership aspiration, and goal sele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aspiration. Fourth,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the career aspir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clarifying the main variable affecting their career aspi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민재, "항공서비스 관련학과(부)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6

      2 강유선, "학업우수 고등학생이었던 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17 (17): 1-16, 2011

      3 김우경,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65-77, 2012

      4 김경주, "청소년 진로포부 영향 요인 구조 분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1

      5 최재혁, "진로포부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29-143, 2016

      6 황세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7 이영미, "진로결정에 있어서 메타인지, 정서조절곤란과 계획된 우연기술과의 관계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49-69, 2017

      8 김양희,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에 대한 종단연구 : 학업 우수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경미, "전문대학생의 일반적인 개인 특성 및 성격 5요인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 직업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김국현,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와 학생 및 대학 변인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 오민재, "항공서비스 관련학과(부)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6

      2 강유선, "학업우수 고등학생이었던 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17 (17): 1-16, 2011

      3 김우경,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65-77, 2012

      4 김경주, "청소년 진로포부 영향 요인 구조 분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1

      5 최재혁, "진로포부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29-143, 2016

      6 황세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7 이영미, "진로결정에 있어서 메타인지, 정서조절곤란과 계획된 우연기술과의 관계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49-69, 2017

      8 김양희,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에 대한 종단연구 : 학업 우수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경미, "전문대학생의 일반적인 개인 특성 및 성격 5요인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 직업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김국현,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와 학생 및 대학 변인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1 김국현, "전문대 학생의 진로포부와 개인 및 대학 변인의 위계적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141-161, 2017

      12 임용수, "전공만족도를 중심으로 본 대학생들의 진로사회화 과정에 대한 조사연구" 9 : 107-129, 1993

      13 이종훈,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4 (14): 77-96, 2018

      14 정영희, "유아교육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229-248, 2013

      15 이명희,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 (25): 437-453, 2017

      16 이희경, "유아교육과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17 : 27-43, 2014

      17 송주연,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진학과 진로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31 (31): 249-265, 2010

      18 이효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주도적 진로설정 프로그램 개발" 4 : 139-142, 2012

      19 조준오,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287-301, 2011

      20 김미나, "예비유아교사의 통제소재와 계획된 우연 능력이 진로에 대한 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901-919, 2018

      21 유은영,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그릿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73-96, 2018

      22 신원애,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련성"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213-238, 2016

      23 김승원,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24 권연정,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수준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소 21 (21): 121-138, 2019

      25 최수욱, "여대생의 진로포부에 영향 미치는 요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6 김하라, "여대생의 부모진로지지, 진로장벽,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간의 구조적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21-1142, 2019

      27 민은주, "수화통역학전공 학생들의 전공수업 만족도와 전공 관련 진로결정 효능감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81-197, 2015

      28 이의빈,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이 여대생의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8

      29 최수미, "성별에 따른 부모진로지지와 진로포부와의 관계_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연구소 14 (14): 213-234, 2013

      30 민경진, "무용전공생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1 윤지혜, "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포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1

      32 장재윤, "대학에서 '전공'에 몰입하면 좋은 직장을 얻게 되는가? 대학생들의 전공 몰입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415-435, 2007

      33 조현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진로적응성, 자아존중감의 구조관계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4 (14): 93-109, 2017

      34 김계현,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1 (1): 7-20, 2000

      35 이기학,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12 (12): 127-136, 2000

      36 최숙현,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37 강채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8

      38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습몰입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55-374, 2015

      39 남중수,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개인 심리 특성 변인, 대학 생활 특성 변인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40 정은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장애, 진로포부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75-91, 2010

      41 고미나, "대학생의 내․외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년차를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81-100, 2012

      42 신상수, "대학생 진로상담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계획된 우연 이론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43 구자윤, "대학생 64.6% “취업진로에 불안, 초조...대2병 앓아”"

      44 정연순, "대학교육만족도가 고용형태와 이직여부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1

      45 소영호, "대학 운동선수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 의도 및 행동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75-190, 2013

      46 이은진,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47 이동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성정체감·성고정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8 강승희,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91-307, 2010

      49 소영호, "골프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8) : 567-580, 2014

      50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es,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51 Plaud, J. J., "Freshman decidedness regarding academic major and anticipated and actual adjustment to an engineering college" 10 (10): 20-26, 1990

      52 유연화, "3년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61-484, 2011

      53 한상미, "2년제 대학 사회복지전공학생의 현장실습 성과 영향요인"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3 (13): 99-11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